KR102442692B1 -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692B1
KR102442692B1 KR1020220011137A KR20220011137A KR102442692B1 KR 102442692 B1 KR102442692 B1 KR 102442692B1 KR 1020220011137 A KR1020220011137 A KR 1020220011137A KR 20220011137 A KR20220011137 A KR 20220011137A KR 102442692 B1 KR102442692 B1 KR 102442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arts
weight
stone
volc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금실
Original Assignee
(주)최금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최금실 filed Critical (주)최금실
Priority to KR1020220011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1Inorganic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3Hand-held or hand-drive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5Warming the body, e.g. hyperthermia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04B33/34Burning methods combined with gla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6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silicates other than cla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1Mi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35/00Aspects relating to ceramic starting mixtures or sintered ceramic products
    • C04B2235/02Composition of constituents of the starting material or of secondary phases of the final product
    • C04B2235/30Constituents and secondary phases not being of a fibrous nature
    • C04B2235/34Non-metal oxides, non-metal mixed oxides, or salts thereof that form the non-metal oxides upon heating, e.g. carbonates, nitrates, (oxy)hydroxides, chlorides
    • C04B2235/349Clays, e.g. bentonites, smectites such as montmorillonite, vermiculites or kaolines, e.g. illite, talc or sepiol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이 개시된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원적외선 방출량이 월등하며 동시에 피지 등의 노폐물 흡착 능력을 갖춘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작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Stone Therapy Massage Pottery Using Jeju Scoria}
아래 실시예들은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상기 마사지용 도자기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톤 테라피(Stone Therapy)는, 물, 공기, 불, 흙을 이용하여, 또한 자연의 에너지가 응축된 신비한 돌을 이용하여, 이런 돌이 품고 있는 원적외선을 열 요법으로 치료를 촉진하기 위해 인체 내에서 진행되는 생리적인 반응들을 변화시킬 목적으로 인체에 열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즉, 일천 년 전부터 중국이나 아시아권에 전해 내려오는 민간요법을 아리조나주의 메리 하니건(Mary Nelson-Hannigan)이란 마사지사가 5년 전에 현대적으로 재창조했다는 "스톤 테라피 마사지(Stone Therapy Massage)"가 그것이다.
상기 스톤 테라피는, 마사지 테크닉과 따뜻한 돌을 함께 균형있게 사용함으로써 신체를 가장 편안하게 진정시켜주고 조화로움을 만들어 내며 림프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데 효과적이며, 상기 스톤 테라피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스트레스 해소, 림프순환, 독소배출, 지방분해, 면역증강 체질개선, 피로회복, 세포활성화, 노화관리, 근육 이완 등이 있다.
즉, 따뜻한 돌 또는 차가운 돌로 마사지를 하면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어 신체리듬을 회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스톤 테라피로 사용하는 돌은 화산암으로 잘 알려진 현무암을 많이 쓰며 천연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현무암이 온열을 오래 유지하는 이유는, 화산암 돌 속에 남아 있는 굳어져 있는 기포에서 열을 오래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현무암은 철분이 다량 함유돼 있어 열 흡수력이 높아 몸 구석구석 열이 잘 전도되는 특징이 있는 반면, 표면이 거친 현무암으로 문지르면 상처가 나기 때문에 표면이 반질반질하게 연마해 마사지에 사용해야 한다
또한 상기 현무암 외에 대리석과 크리스털 및 천연석, 석영석 등을 사용하ㄱ고 있으며, 이때 상기 현무암은 뜨거운 온도를 가장 오래 붙잡고 있는 성질이 있고, 대리석은 차가운 온도가 오래 유지되는 특징이 있어, 현무암과 대리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톤 테라피 마사지에 사용하는 돌의 온도에 따라 그 효과가 상이하게 되며, 뜨거운 돌은 뭉쳐있는 근육을 풀어주고, 온기와 함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통증이 있는 근육과 관절을 풀어주는 효과가 크다.
또한 염증이 있는 부위나 두통에는 차가운 대리석을 이용하여, 염증으로 인한 화기를 내려주고 완화시키는 효과가 크다.
그러나 상기 스톤 테라피 마사지에 사용하는 돌은, 하천이나 산 등에서 채취해야만 하며, 원적외선 방출량이 많은 특정한 돌을 구하기로 힘들 뿐 아니라, 원하는 크기와 모양을 갖는 돌의 수량이 무척 적기 때문에 자연에서 얻기가 매우 힘이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연에서 구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산의 훼손이 심각해지는 문제점도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109756호에 따르면 점토(粘土, clay), 흑운모(黑雲母, biotite), 도석(陶石, pottery stone), 납석(蠟石, agalmatolite), 사장석(斜長石, plagioclase), 휘석(輝石, pyroxene), 감람석(橄欖石, olivine), 및 자철석(磁鐵石, magnetite)을 포함하는 스톤으로 형성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가 공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 충분히 적외선 방출을 나타내지 못하며 오히려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청정 자연 제주의 천연 자원 화산송이는 붉은 빛을 띈 천연세라믹으로 1600℃ 고온의 화산이 폭발할 때 용암이 굳어 만들어진 성분이다. 화산송이는 강력한 흡착력과 살균력으로 항균, 정화, 해독의 효능이 뛰어난 약알칼리성 천연미네랄의 제주에서 난 보물이나, 이를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로 제작하고자 하는 시도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원적외선 방출량이 월등하며 동시에 흡착 능력을 갖춘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돌을 제작하고, 일정한 모양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표면이 매끄러운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들은 원적외선 방출량이 월등하며 동시에 피지 등의 노폐물 흡착 능력을 갖춘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를 제작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톤 테라피를 적용하여 인체에 흡수된 분자에 진동을 주고 열에너지를 발생시킴에 따라 모세혈관 확장, 혈액순환 증진을 나타내고, 노폐물 흡착에 따라 피부 개선을 나타내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원은 화산송이 원료를 1,300 내지 1,700℃의 온도 하에서 1차 소성시킨 후 냉각하여 응고시키는 단계; 상기 응고된 화산송이를 분쇄하여 얻은 화산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파우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파우더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고 마사지기 형상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현무암 분말을 포함하는 천연 유약을 성형물 표면에 도포하고 1,000 내지 1,200℃의 온도 하에서 2차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파우더 조성물은 상기 화산송이 분말 60 내지 80 중량부에 도석 분말 8 내지 12 중량부, 사장석 분말 8 내지 12 중량부, 제올라이트 분말 4 내지 6 중량부, 및 자철석 분말 4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상기 천연 유약은 현무암 분말 25 내지 35 중량부, 제주토 분말 8 내지 12 중량부, 나무재 분말 8 내지 12 중량부, 및 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화산송이 분말은 46㎛이하 크기이며, 상기 도석 분말, 상기 사장석 분말,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 상기 자철석 분말은 74㎛이하의 크기인 것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예시로서, 상기 현무암 분말 및 제주토 분말은 61㎛ 이하의 크기이며, 상기 나무재 분말은 140㎛ 이하의 크기인 것일 수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의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를 이용한 피부 마사지 방법을 제공한다.
하나의 예시로서, 젤, 오일, 및 크림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형태의 보습제를 피부에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를 1 내지 3분간 원을 그리듯이 마사지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마사지 방법.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는 피부 마사지에 이용시 적외선을 방출함에 따라 인체에 흡수된 분자에 진동을 주며 열에너지를 발생시키고 원적외선이 온열반응을 일으켜 모세혈관 확장 및 혈액순환을 증진시켜 안색을 개선할 수 있다. 나아가 제주 화산 송이는 유해 중금속이 들어있지 않으며 음이온 방출량이 뛰어나 인체에 이로운 작용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는 피부 노폐물이나 피지와 같은 유해 물질을 쉽게 흡수할 뿐 아니라, 흡수된 노폐물을 중화하여 피부를 개선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조방법의 모식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은, (i) 화산송이 원료를 1,300 내지 1,700℃의 온도 하에서 1차 소성시킨 후 냉각하여 응고시키는 단계; (ii) 상기 응고된 화산송이를 분쇄하여 얻은 화산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파우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iii) 상기 파우더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고 마사지기 형상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iv) 현무암 분말을 포함하는 천연 유약을 성형물 표면에 도포하고 1,000 내지 1,200℃의 온도 하에서 2차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산송이는 제주도에서 화산이 폭발할 때 급속히 기포를 발생하여 용암이 잘게 부수어진 다공질의 화산암재로서 유기불순물의 함량이 적고 철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또한 흡습, 흡취, 원적외선 방사 기능이 있어 맥반석이나 황토 이상의 원적외선 방사재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온다습한 제주도에서는 화산송이를 가옥의 지붕이나 벽체에 발라 보온, 방음, 방습제로 사용되며 도로에 깔아 복사열 방지 및 우천시 흙탕물 방지와 여과재로도 이용된다. 화산송이 원료는 보존자원의 판매를 허가 받은 업체로부터 구입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화산송이 원료는 1,300 내지 1,700℃의 온도 하에서 (구체적으로, 1,300 내지 1,600℃, 보다 구체적으로 1,300 내지 1,500℃)1차 소성시키고 응고시킴에 따라 원료의 성분을 균질하게 하며, 용융되었다가 냉각되어 응축되어 갖는 화산송이의 특질을 뚜렷이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은 1일 내지 3일 진행될 수 있으며 급속 냉각함에 따라 높은 에너지 방출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우더 조성물은 상기 가공된 화산송이 분말을 주성분으로 포함하며, 추가적인 보조 성분을 포함한다. 보조성분에 의해 성형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강한 적외선 방출 효과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파우더 조성물은 상기 화산송이 분말, 도석 분말, 사장석 분말, 제올라이트 분말, 및 자철석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산송이 분말 60 내지 80 중량부에 도석 분말 8 내지 12 중량부, 사장석 분말 8 내지 12 중량부, 제올라이트 분말 4 내지 6 중량부, 및 자철석 분말 4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도석(陶石, pottery stone)은, 원석(原石)만으로 도자기를 제조할 수 있는 암석으로서, 광물학적 주성분은 견운모·규석 또는 단백석 등이다. 견운모가 많을수록 가소성(可塑性)이 증가하고, 건조강도가 커진다. 또한 규석의 미세화 정도가 제품의 성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분쇄밀에서 분쇄하는 정도를 적절히 설정함이 바람직하며, 화학조성은 SiO2 70∼80%, Al2O3 13∼20%, Fe2O3 0.04∼1%, CaO 0.03∼0.8%, MgO 0.4% 이하, K2O 0.06∼4%, Na2O 0.1∼3%, H2O 1.5∼5%이다. 내화도 SK 26∼29, 굳기 1∼3, 비중 2.61∼2.74이다.
상기 사장석(斜長石, plagioclase)은, 삼사정계(三斜晶系)에 속하는 소다석회장석으로서, 조장석(曹長石:albite) NaAlSi3O8과 회장석(灰長石:anorthite) CaAl2Si2O8 및 그 2종류의 여러 가지 비율의 고용체의 총칭이다. 굳기 6∼6.5, 비중 2.61∼2.76이다. 주로 회색 또는 백색이며, 때로 녹색 ·황색 ·적색 ·청색 등을 띠고, 유리광택이 있다. 사장석은 화성암의 구성 성분으로서 가장 일반적이며, 변성암 속에도 많이 발견된다.
상기 제올라이트(Zeolite)는 Si0₂와 Al2O3를 주성분으로 하고 인체에 유용한 원적외선 방출량이 많은 특징이 있음은 물론, 페트라이트와 동일하게 물체의 경량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올라이트는 규소 원자 또는 알루미늄 원자 주위에 4개의 산소 원자가 배열된 SiO4 , AlO4의 정사면체 구조를 갖으며, 이러한 SiO4 , AlO4의 정사면체 구조가 여러 가지 기하학적 형태로 붙으면서 2차 단위결합(Secondary Building Unit; SBU)을 형성하고 이들이 결합되어 여러형태의 다면체를 형성하여, 최종적으로 이들이 다시 3차원적으로 결합하여 제올라이트 결정을 이룬다.
상기 자철석(磁鐵石, magnetite)은, 등축정계(等軸晶系)에 속하는 광물로서, 마그네타이트라고도 하며, 화학성분은 Fe3O4이다. 흔히 티탄을 함유하는데, 그 함량이 6%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이는 주로 티탄철석이 혼재(混在)하기 때문이며, 그 밖에 망간 ·인(燐) ·마그네슘 등을 함유하는 경우도 있다. 순수한 것은 72.41%의 철분을 함유한다. 보통은 괴상(塊狀) ·입상(粒狀) ·사상(砂狀)을 이루는데, 때로 엽편상(葉片狀)을 나타내기도 한다. 강한 자성(磁性)이 있어, 천연자석이 된다. 그러나, 산소 중에서 가열하면 220℃에서 적색 산화철 Fe2O3로 변하고 자성이나 결정구조에는 변함이 없으나, 550℃에서는 결정구조가 적철석으로 변하여 자성이 없어진다. 광상으로서는 접촉 교대 광상 등에서 산출된다.
상기 화산송이 분말은 46㎛이하 크기일 수 있으며, 상기 도석 분말, 상기 사장석 분말, 상기 제올라이트 분말, 상기 자철석 분말은 74㎛이하의 크기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분말 입자 크기 조절에 따라 파우더 조성물의 균질한 혼합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소성시 단단하고 강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파우더 조성물은 물과 혼합 후 반죽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물을 제조할 수 있다. 성형물은 광대, 이마, 두피 등 페이스라인을 위한 평평하고 넓은 면적의 와이드 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눈두덩이 마사지를 위한 U자형의 U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종아리, 허벅지, 팔뚝의 마사지를 위해 오목한 형상의 W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눈썹, 관자놀이, 림프절의 지압을 위한 지압 존을 가질 수 있다. 이들 형상을 하나의 스톤 마사지 도자기가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유약은 현무암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톤 마사지 도자기의 적외선 방출 및 흡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나아가, 현무암 분말 25 내지 35 중량부, 제주토 분말 8 내지 12 중량부, 나무재 분말 8 내지 12 중량부, 및 물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현무암(玄武岩, basalt)은 회색 또는 흑색의 분출 화산암으로, 이산화규소의 함량(45~52%)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지표에서 용암이 급속이 냉각되기 때문에 보통 세립질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현무암은 크게 알칼리 현무암과 쏠레아이트 현무암으로 나눌 수 있다. 제주토는 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판포리 근처의 흙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무 재는 보리수나무, 뽕나무, 사과나무, 호두나무, 단풍나무, 오리나무, 느릅나무 및 광나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를 이용한 나무 재를 사용할 수 있다. 나무 재의 성분은 실리카(SiO2)가 주성분으로 그 외에 철분, 망간 등이 함유되어 있어 나무 재만으로도 유약이 되며 약간의 색채를 낼 수도 있다.
상기 현무암 분말 및 제주토 분말은 61㎛ 이하의 크기일 수 있으며, 상기 나무재 분말은 140㎛ 이하의 크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는 젤, 오일, 또는 크림 등을 바른 피부 위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는 1일 1회 내지 3회 피부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한쪽 면을 배꼽 아래나 손 발에 30분 내지 1시간 정도 올려 두면 차가운 몸을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산송이를 이용한 피부용 마사지기 제조
(1) 송이 원료 선별 및 분류
화산송이는 (주)송이산업의 송이를 사용하였다. 송이는 수분함량과 찌꺼기 등 다양한 부산물이 포함된 정제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3cm 이하의 송이를 선별하여, 채집봉투에 담은 후 자연바람에 부산물을 털어낸 다음 물로 세척하였다. 송이를 크기와 용도별로 분류하여, 60 mesh의 거름망으로 채를 쳐서 찌꺼기를 제거하는 한편, 단계별로 크기를 분류하였다. 용도별 분리된 송이는 건조시켜 원료에 들어있는 수분을 분리하였다.  1차 마른 천 위에 송이를 흩뿌려 건조시키고, 시간대별 덖는 작업을 통해 주기별 건조과정을 거쳤다. 2차로 신문지의 수분흡수력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교체를 하여 건조하였다. 3차로 햇빛, 바람의 자연건조 과정을 거쳐 최종 활용 가능한 송이의 원료를 확보하였다. 건조된 송이는 공기 중의 수분을 차단하기위해 밀폐용기에 보관하고, 주기적으로 밀폐용기의 환기를 통하여 건조형태를 유지하였다.
(2) 1차 소성 작업
상기 최종 확보된 송이 원료를 가마에서 1,400℃의 온도로 소성(용융)시킨 후 이를 48시간 15 ℃의 온도 및 바람이 잘 드는 곳에서 자연 냉각시킴으로써 응고시킨다. 이로써 원료의 성분을 균질하게 하며, 용융되었다가 냉각되어 응축되어 갖는 화산송이의 특질을 뚜렷이 갖도록 할 수 있다. 그 다음, 응고된 화산송이를 분쇄하여 300 mesh채로 걸러 46㎛이하 크기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3) 파우더 가공
도석(pottery stone) 분말 10 중량부, 사장석(plagioclase) 분말 10 중량부, 제올라이트(zeolite) 분말 5 중량부, 및 자철석(magnetite) 분말 5 중량부를 준비하였다. 상기 분말들은 200 mesh채로 걸러 수득한 74㎛ 이하 크기의 분말이다. 상기 분쇄된 화산송이 분말 70 중량부와 혼합하여 파우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4) 제품 성형
상기 파우더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고 건조 및 1주일간의 숙성 과정을 거친 후 마사지기 형상으로 성형하였다.
(5) 천연 유약의 제조 및 시유 작업
현무암 분말 (61㎛ 이하) 30 중량부, 제주토 분말 (61 ㎛ 이하) 10 중량부, 나무 재 분말 (140㎛ 이하) 10 중량부, 및 물 50중량부를 혼합하여 유약을 제조하였다. 상기 유약을 성형물 표면에 도포하였다. 제주토는 제주도 제주시 한경면 판포리 근처의 흙을 사용하였다.
(6) 2차 소성
최종적으로 소성을 진행하였다. 2차 소성은 1,100℃에서 진행하였으며, 이후 서늘한 곳에서 1주일간 건조하여 피부용 마사지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1차 소성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원료 화산송이를 파우더 조성물에 사용한 것을 비교예 1로 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현무암 분말 대신 석회석을 사용한 경우를 비교예 2로 하였다.
실험예 1. 원적외선 방출 평가
원적외선 방출 평가를 위해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실험을 의뢰하였으며, KCL-FIR-1005;2011의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온도: 40℃, 측정파장 5 내지 20㎛) 원적외선 방사율 및 원적외선 방사에너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원적외선 방사율
원적외선 방사에너지
실시예 1 0.914 3.69 X 102
비교예 1 0.572 1.84 X 102
비교예 2 0.742 2.53 X 102
실험예 2. 은나노분말 흡착 성능 측정
피부 각질, 먼지 등의 흡착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은나노분말을 정제수에 분산시키고 원자흡수분광법에 의해 농도(A)를 측정한 후에, 여기에 피부용 마사지기를 첨가하고 20분간 교반한 후에 다시 농도(B)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흡착도 [(B)/(A)]
실시예 1 0.59
비교예 1 0.71
비교예 2 0.89
실험예 3. 관능평가
성인 남녀 1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피부 마사지기를 사용하도록 하여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하루 2회 세안 후 호호바 오일이 포함된 보습제를 바르고 상기 피부 마사지기를 이용하여 3분 정도 원을 그리듯이 마사지를 하도록 하였다. 3달간 사용 후 효과 없음을 0점 효과가 뚜렷히 있음을 5점으로 하여 평가하도록 하여 평균을 내었다. 다른 남녀 10명을 대조군으로 동일하게 호호바 오일이 포함된 보습제만 바르고 상기 마사지기의 제공 없이 피부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피지제거 혈색개선 주름개선 피부유연 붓기 제거 보습효과
실시예 1 처리군 4.6 4.5 3.1 4.1 3.9 2.0
대조군 3.5 3.4 3.1 3.5 1.4 2.5
이와 같이, 피지제거, 혈색개선, 및 피부유연에서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주름 개선이나 붓기제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3)

  1. 화산송이 원료를 1,300 내지 1,700℃의 온도 하에서 1차 소성시킨 후 냉각하여 응고시키는 단계;
    상기 응고된 화산송이를 분쇄하여 얻은 화산송이 분말을 포함하는 파우더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파우더 조성물을 물과 혼합하여 반죽을 만들고 마사지기 형상의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현무암 분말을 포함하는 천연 유약을 성형물 표면에 도포하고 1,000 내지 1,200℃의 온도 하에서 2차 소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파우더 조성물은 상기 화산송이 분말 60 내지 80 중량부에 도석 분말 8 내지 12 중량부, 사장석 분말 8 내지 12 중량부, 제올라이트 분말 4 내지 6 중량부, 및 자철석 분말 4 내지 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20011137A 2022-01-26 2022-01-26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KR102442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137A KR102442692B1 (ko) 2022-01-26 2022-01-26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1137A KR102442692B1 (ko) 2022-01-26 2022-01-26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692B1 true KR102442692B1 (ko) 2022-09-14

Family

ID=83279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1137A KR102442692B1 (ko) 2022-01-26 2022-01-26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69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756A (ko) * 2006-08-21 2007-11-15 이흥주 마사지용 도자기
KR20120025676A (ko) * 2010-09-08 2012-03-16 주식회사 제주마그마에너지 현무암 분말을 이용한 칼라스톤의 제조방법
KR20180110558A (ko) * 2017-03-29 2018-10-10 이상엽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성능이 우수한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도자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9756A (ko) * 2006-08-21 2007-11-15 이흥주 마사지용 도자기
KR20120025676A (ko) * 2010-09-08 2012-03-16 주식회사 제주마그마에너지 현무암 분말을 이용한 칼라스톤의 제조방법
KR20180110558A (ko) * 2017-03-29 2018-10-10 이상엽 원적외선 방사 및 항균 성능이 우수한 유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도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940B1 (ko) 원적외선 온열효과와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갖는 방사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사체
KR100907656B1 (ko) 의료기기용 바이오 세라믹의 제조방법.
CN108751930A (zh) 一种人造砭石的制备方法
CN1850026A (zh) 凹凸棒药物保健浴泥粉
CN104623710A (zh) 一种藏香及其制备方法
CN109568194A (zh) 一种苦参洗浴液及制备方法
CN100394913C (zh) 凹凸棒中药泥浆面膜及其制备方法
KR102442692B1 (ko) 제주 화산송이를 이용한 스톤 테라피 마사지용 도자기의 제조방법
KR20020009249A (ko) 건축 내외장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182215A (zh) 一种医疗器械用生物化工陶瓷及其制备方法
CN107158575A (zh) 一种红外鼻敏贴及其制备方法
CN103936404A (zh) 一种木鱼石陶瓷砖及其制备方法
KR100622278B1 (ko) 미용팩 및 그 제조방법
CN100404018C (zh) 凹凸棒中药保湿面膜粉
CN106810248B (zh) 一种抗菌足浴球及其制备方法
KR100378132B1 (ko) 원적외선 칩의 제조방법
KR20030095924A (ko) 황토 분말.느릅 나무껍질 분말(한약재 분말.허브분말)을이용한 황토 맛사지 용 파우더 조성물 제조 방법
CN110451913B (zh) 五色石墨烯米晶瓷灸功能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20006230A (ko) 황토를 주원료로 한 피부 마사지용 팩 조성물
CN100377703C (zh) 凹凸棒中药材组合物的炮制方法
KR101150925B1 (ko) 피부마사지용 기능성 미용팩 및 그 제조방법
CN106563207A (zh) 肌肤美健按摩器
KR20000008635A (ko) 피부미용 맛사지제의 제조방법
CN104147416A (zh) 一种治疗小儿尿布疹的爽身粉及其制备方法
JPS60214720A (ja) 化粧料及び美容剤に配合し用いる火成岩類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