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500B1 -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 - Google Patents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500B1
KR102442500B1 KR1020197034535A KR20197034535A KR102442500B1 KR 102442500 B1 KR102442500 B1 KR 102442500B1 KR 1020197034535 A KR1020197034535 A KR 1020197034535A KR 20197034535 A KR20197034535 A KR 20197034535A KR 102442500 B1 KR102442500 B1 KR 102442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quipment
frame
mold
lower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726A (ko
Inventor
알렉산드로 비앙키니
프란체스코 스카라무찌
Original Assignee
시티 - 비 앤드 티 그룹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티 - 비 앤드 티 그룹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filed Critical 시티 - 비 앤드 티 그룹 쏘시에떼 퍼 아찌오니
Publication of KR2019014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04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ovable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3/3607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with sealing mea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2043/3205Particular pressure exerting means for making definite articles
    • B29C2043/3266Particular pressure exerting means for making definite articles vibrating to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29C2043/561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6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 B29C2043/561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 B29C2043/563Compression moulding under special conditions, e.g. vacuum under vacuum conditions combined with mechanical pressure, i.e. mould plates, rams, st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6Usin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7Using fluid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1/00Shaping characteristics in general
    • B29C2791/004Shaping under special conditions
    • B29C2791/008Using vibrations during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7/00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 B29C67/24Shaping techniques not covered by groups B29C39/00 - B29C65/00, B29C70/00 or B29C73/00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29C67/242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 B29C67/243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 B29C67/244Moulding mineral aggregates bonded with resin, e.g. resin concrete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by vibrating the composition before or during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3/00Use of resin-bonded materials as filler
    • B29K2503/04Inorganic materials
    • B29K2503/08Mineral aggregates, e.g. sand, clay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10Building elements, e.g. bricks, blocks, tiles, panels, posts, beams
    • B29L2031/104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4Furniture or parts thereof
    • B29L2031/448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2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whereby the material is subjected to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05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for briquetting presses
    • B30B15/0017Deai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076Noise or vibration isol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Preparation Of Clay, And Manufacture Of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1)는, 지지 프레임(2), 상기 프레임(2)과 함께 로킹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3)로서, 상기 슬래브를 얻는데 필요한 재료를 포함하는 혼합물(7)을 함유하도록 하기 위해, 상부에서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 캐비티(6)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몰드(5)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구역(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3), 상기 몰드(5)를 상기 포지셔닝 구역(4) 내로/으로부터 로딩/언로딩하는 상부 위치로부터, 상기 성형 캐비티(6) 내측의 상기 혼합물(7)을 프레싱하는 하부 위치까지, 상기 프레임(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싱 어셈블리, 상기 하부 플레이트(3)와 적어도 관련된 진동 수단(22, 25), 및 상기 몰드(5)를 함유하며,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은 값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흡입 수단(13)과 연통하는 기밀 챔버(12)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챔버(12)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3)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 반대편의 상부 밀폐 요소(14)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
본 발명은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감압 환경에서 진동을 갖는 프레싱 기술에 의해,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이다.
건축 및 가구와 같은 일부 생산 부문에서는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 슬래브가 오늘날 널리 사용된다.
심미적 및 기능적 특성에 관한 한, 이들 슬래브는 대리석, 화강암 등과 같은 천연 재료로 직접 만들어진 슬래브와 완전히 비교될 수 있다.
그러나, 후자와 비교하여,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 슬래브는 또한 다른 중요한 이점을 갖는다.
우선, 상기 언급된 천연 재료를 사용하여 얻을 수 없는 색상 및/또는 디자인 및/또는 미적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많은 변형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이들의 생산은 고객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해 더욱 다용도이며, 고객 맞춤화(커스터마이징)가 가능하다.
다른 장점은, 얻어진 재료가 예컨대 대리석보다 덜 다공성이기 때문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체가 침투할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얼룩에 더 강하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슬래브는 예컨대 부엌, 욕실 또는 기타 유사한 용도의 작업대를 구성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슬래브(명세서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단순성을 위해 집괴(agglomerate) 슬래브라고 지칭함)는 일반적으로 알갱이 형태의 미네랄(예컨대, 대리석, 화강암, 유리, 거울 파편 및/또는 기타), 석영 분말, 및 물론 결합제로서 작용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혼합물로부터 생산된다.
일단 준비되면, 이러한 혼합물은 성형 캐비티가 얻어질 물체의 크기(이후의 제조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축 제외)와 동일한 몰드 내에 놓여진다.
이렇게 준비된 몰드는 이어서 혼합물이 캐비티내로 가압되는 성형기구내로 도입되고, 동시에 적절한 특성을 갖는 진동 작용을 겪는데, 이는 혼합물을 구성하는 재료의 압축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더하여, 슬래브 몰딩은 감압 환경, 즉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에서 예상된다: 실제로, 몰딩 영역으로부터 공기의 제거는 혼합물 재료의 압축을 더욱 촉진시킨다.
따라서, 현재, 전술한 효과를 얻기 위해, 공지된 유형의 장비는 몰드가 놓여지는 하부 진동 테이블, 및 혼합물의 프레싱을 수행하는 상부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프레싱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프레싱 어셈블리는 외부 환경에 대해 기밀한 챔버 내에 수용되며, 이는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을 초래하여, 혼합물을 구성하는 재료의 압축을 용이하게 한다.
위에서 설명한 장비는 심지어 수 평방 미터의 표면적을 가질 수 있는 슬래브를 만들어, 건축 또는 가구 부문에서 사용될 수 있는 물체를 정확하게 얻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프레싱 어셈블리는 상당한 크기에 도달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는 그것을 둘러싸는 감압 챔버에도 적용된다.
이러한 챔버는 예컨대 전체 프레싱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원통형 탱크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제로, 이 솔루션은 비교적 작은 슬래브의 생산에 있어서, 제품 품질 결과의 관점 및 비용의 관점 모두에서 만족스러운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제로, 이 경우에 프레싱 어셈블리, 및 결과적으로 감압 챔버는 그 크기가 제한된다: 이는 상기 챔버 내부의 원하는 압력 값이 생산 공정의 나머지 단계와 호환되도록,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얻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 큰 슬래브에 관한 한, 챔버 내부의 원하는 공기 압력 값을 얻는데 필요한 시간은 다른 생산 단계에 비해 너무 길 수 있거나, 또는 더 짧은 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고출력 진공 생성 유닛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이러한 유형의 장비의 사용은 플랜트 비용 및 운영 비용으로 인해 경제적인 관점에서, 대형 슬래브를 만드는 것이 확실히 곤란할 수 있다.
대형 슬래브도 만들 수 있는 크기로 제조된 위에서 설명한 장비는 설치하기에 매우 무겁고 번거롭고 복잡하고 힘들다는 사실 또한 유념해야 한다. 또한, 슬래브 제조업체는 설치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가지고 있지 않다.
더욱이, 프레싱 어셈블리가 감압 챔버 내부에 완전히 수용된다는 사실은 라인 내부의 제품 흐름의 관점에서 상당히 복잡한 문제를 야기한다: 실제로 챔버 자체에는 몰드가 재료 혼합물의 준비 스테이션으로부터 들어오거나, 또는 후속 생산 단계(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마 연소 단계)를 거치기 위해 빠져나가는 일부 통과 개구부가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목적은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 분야에서 최신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목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를 제공하여, 경쟁적인 생산 시간 및 비용으로 대형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장비보다 작은 크기 및 중량을 가진,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장비보다 구조적으로 및 기능적으로 간단한,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 및 이들 목적은 모두 제 1 항에 따른,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에 의해 달성된다.
장비는 지지 프레임, 및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구역을 구비하는 프레임과 함께 로킹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이 몰드는 슬래브를 얻는데 필요한 재료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함유하기 위해 상부에서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 캐비티를 갖는다.
더욱이, 장비는 몰드를 포지셔닝 구역 내로/으로부터 로딩/언로딩하는 상부 위치로부터, 전술한 성형 캐비티 내부의 혼합물을 프레싱하는 하부 위치까지,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상부 플레이트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프레싱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장비는 또한 하부 플레이트와 적어도 관련된 진동 수단을 포함한다.
장비는 또한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은 값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흡입 수단과 연통하는 기밀 챔버를 포함하고; 몰드는 이 챔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기밀 챔버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반대편의 상부 밀폐 요소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구성은 기밀 챔버 내부에서 원하는 진공을 얻는데 필요한 시간을 상당히 단축시켜서, 생산 시간과 비용에 긍정적인 이점을 제공하다.
종속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실시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은 비-제한적인 예로서 제시된,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비의 일부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지 않은 실시 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의 입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면을 따라 취한 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 면을 따라 취한 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세도이다.
도 6은 몰드를 제거할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가 상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2의 III-III 면을 따라 취한 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비의 다른 실시 예의 입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 면을 따라 취한 도 7의 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세도이다.
도 12는 몰드를 빼낼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가 상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7의 X-X 면을 따라 취한 도 7의 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 예의 입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장비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XV-XV 면을 따라 취한 도 13의 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XVI-XVI 면을 따라 취한 도 13의 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상세도이다.
도 18은 몰드를 빼낼 수 있도록 상부 플레이트가 상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14의 XV-XV 면을 따라 취한 도 13의 장비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3의 장비의 프레임의 상세 사시도이다.
도 19A는 도 19의 상세사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3의 장비의 프레임의 측면 상세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참조 번호 1은 본 발명에 따라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제조하기 위한 장비를 전체적으로 나타낸다.
제한없지만, 단지 예로서, 슬래브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미네랄 그릿(mineral grits)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예로서, 대리석, 화강암, 석영 또는 적절한 특성을 갖는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다른 한편으로, 수지는, 특히 건축 및 가구 거래에서 특정 용도을 위한 열경화성 타입일 수 있지만, 거기에 배타적이지 않다.
슬래브가 제조될 수 있는 재료의 특성은 어떠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목적에 어떠한 방식으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장비(1)는 지지 프레임(2)을 포함한다.
또한, 장비(1)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3)를 포함한다.
하부 플레이트(3)는 프레임(2)과 함께 로킹되고(locked); 하부 플레이트(3)는 상부 표면(3a)을 포함하고, 이는 이어서 일반적으로 5로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몰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구역(4)을 형성한다.
몰드(5)는 상부에서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 캐비티(6)을 포함하며, 이는 슬래브(미네랄 그릿, 수지 및 가능한 다른 것)를 얻는데 필요한 재료를 함유하는 혼합물(7)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또한, 장비(1)는 성형 캐비티(6)에 함유된 혼합물(7)을 프레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8로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싱 어셈블리(8)를 포함한다.
프레싱 어셈블리(8)는 상부 플레이트(9)를 포함한다.
상부 플레이트(9)는 몰드(5)를 포지셔닝 구역(4) 내로/으로부터 로딩/언로딩하는 상부 위치로부터, 성형 캐비티(6) 내측의 혼합물(7)를 프레싱하는 하부 위치까지, 프레임(2)에 대해 이동 가능한데,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프레싱 어셈블리(8)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액추에이터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 액추에이터 수단은 상부 플레이트(9)가 상기 성형 캐비티(6) 내부의 재료 혼합물(7)에 원하는 압력을 (상기 하부 위치에서) 인가하는 방식으로 상부 플레이트(9)를 제어한다.
액추에이터 수단은 유압식 또는 다른 유형일 수 있다.
장비(1)는 진동 수단(10, 11)을 포함한다.
진동 수단(10, 11)은 적어도 하부 플레이트(3)와 관련된다. 장비(1)는 또한 기밀(airtight) 챔버(12)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12)는 적어도 몰드(5)를 포함한다.
챔버(12)는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3으로 표시된 흡입 수단과 연통하고; 흡입 수단(13)은 전술한 챔버(12) 내부의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은 값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기밀 챔버(12)는 하부 플레이트(3)와 하부 플레이트(3)의 반대쪽에 있는 상부 밀폐 요소(14) 사이에 개재된다.
이러한 수단 덕분에, 기밀 챔버(12)는 매우 감소된 부피를 가지며, 어떠한 경우에도 공지된 유형의 장비의 부피보다 상당히 적다. 이는 짧은 시간 및 저렴한 비용으로 챔버(12) 내부의 공기 압력을 원하는 값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하며, 이는 특히 대형 슬래브의 생산에서 장비(1)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프레임(2)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함께 로킹되는 하부 부분(15)을 포함한다.
또한, 프레임(2)은 상부 부분(16)을 포함하고; 상부 부분(16)은 기밀 챔버(12)가 수용되는 내부 체적(17)을 그 사이에 정의하는 방식으로 하부 부분(15)과 관련된다(associated).
이어서, 하부 부분(15)은 하부 플레이트(3)를 위한 지지 구조물로서 기능하는 제 1 플랫폼(18)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16)은 제 2 플랫폼(19)을 포함하고, 이는 상부 플레이트(9)를 갖는 프레싱 어셈블리(8)를 지지한다.
제 1 플랫폼(18) 및 제 2 플랫폼(19)은 주요 특징과 관련하여 구조적으로 동일하거나 적어도 매우 유사하다.
실제로, 제 1 플랫폼(18) 및 제 2 플랫폼(19)은 그 내측에 중앙 빔(20a) 및 크로스 피스(20b)가 예상되는 각각의 주변 구조물(20)을 포함한다.
따라서, 플랫폼(18, 19) 모두는 나중에 명확화될 이유로 인해 그리드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하부 부분(15)과 상부 부분(16)은 일련의 환형 요소(21)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2 개의 쌍으로 그룹화된 4 개의 환형 요소(21)가 예상된다.
환형 요소(21)의 수 및/또는 배열은 임의적일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장비(1)는 평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레이아웃을 가지며, 이는 가장 빈번하게 제조되는 슬래브의 크기에 대응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단지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 장비의 짧은 측에 대응하는, 장비의 전방측 및 후방측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2)의 내부 체적(17)은 장비(1)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부터 충분히 접근 가능하지만, 측면에서는 접근할 수 없다: 이는 (나중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비(1)의 전술한 전방측 및 후방측 중 하나로부터, 몰드(5)를 포지셔닝 구역(4)에 로딩하거나, 또는 그것으로부터 언로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장비(1)는 하부 플레이트(3)와 관련된 제 1 진동 수단(22)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진동 수단(22)은 하부 플레이트(3)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제 1 진동 수단(22)은 복수의 제 1 모터 진동기(22a)를 포함하고; 단지 예로서, 8 개의 제 1 모터 진동기(22a)가 하부 플레이트(3)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모터 진동기(22a)는 중앙 빔(20a)과 제 1 플랫폼(18)의 크로스 피스(20b)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제 1 모터 진동기(22a)의 수 및/또는 위치는 설명된 것과 상이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특징은 제조될 슬래브의 치수 변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모터 진동기와 상이한 유형의 제 1 진동 수단(22)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프레싱 어셈블리(8)는 상부 플레이트(9)로부터 이탈되는 복수의 상부 부속물(23)를 포함한다.
또한, 프레싱 어셈블리(8)는 상부 부속물(23)에 고정된 테이블(2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장비(1)는 또한 제 2 진동 수단(25)을 포함하고; 제 2 진동 수단(25)은 프레싱 어셈블리(8)와 기계적으로 결합된다.
제 2 진동 수단(25)의 존재는 몰드(5)의 성형 캐비티(6)내에 함유된 재료를 압축하는 작용을 추가로 용이하게 한다: 이는 이러한 생산 단계에서의 실행 속도의 증가 및 얻어진 제품의 품질 개선을 결정한다.
제 2 진동 수단(25)은 테이블(24)에 고정된 제 2 모터 진동기(25a)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도, 단지 예로서, 프레싱 어셈블리(8)는 제 2 플랫폼(19)의 중앙 빔(20a)과 크로스 피스(20b) 사이에 포함된 공간내에 수용된 8 개의 제 2 모터 진동기(25a)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부 밀폐 요소(14)는 내부에 슬래브가 형성되는 기밀 챔버(12)를 형성하도록, 하부 플레이트(3)의 상부 표면(3a) 상에 주변 밀봉 수단(26)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부 밀폐 요소(14)는 적어도 하나의 벨형(bell-shaped) 몸체(27)를 포함한다.
벨형 몸체(27)는 사용 중에 오목부가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 내부 체적(17)내에 포함된다.
벨형 몸체(27)는 프레싱 어셈블리(8)의 상부 부속물(23)과 슬라이딩 결합되며; 즉, 벨형 몸체(27)에는 상부 부속물(23)이 통과하는 개구(27a)가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부 부속물(23)는 원통형이고; 결과적으로, 벨형 몸체(27)의 개구부(27a)는 원형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 예에서, 상부 부속물(23) 및 결과적으로 벨형 몸체(27)의 개구부(27a)는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부속물(23)(및 개구부(27a))의 수 및 상부 플레이트(9)에 대한 이들의 배열은 예컨대 제조될 플레이트의 치수 또는 다른 생산 파라미터와 관련하여 임의적일 수 있다.
프레싱 어셈블리(8)는 상부 부속물(23)를 따라 각각 장착되는 복수의 외장(armored) 벨로우즈(28)를 포함하고; 외장 벨로우즈(28)는 벨형 몸체(27)의 상부면과 테이블(24)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된다.
외장 벨로우즈(28)는 본질적으로 원통형이며, 붕괴 방지형이다.
주변 밀봉 수단(26)은 벨형 몸체(27)의 하부 에지(276)에서 얻어진 각각의 홈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스킷(26a)을 포함한다.
개스킷(26a)은 임의의 형상 및 크기일 수 있다.
흡입 수단(13)은 벨형 몸체(27)에 제공된 복수의 흡입 구멍(29), 및 전술한 흡입 구멍(29)과 연통하는 복수의 각각의 덕트(29a)를 포함한다.
이어서, 덕트(29a)는 도시되지 않은 디프레서(depressor)(예컨대, 진공 펌프 또는 다른 유사한 장치)와 연통된다.
흡입 구멍(29)은 벨형 몸체(27)의 측면을 따라 배열되고; 이들은 몰드(5)의 로딩/언로딩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장비(1)의 긴 측면을 따라 제공된다.
도 5를 특히 참조하면, 외장 벨로우즈(28)는 각각의 밀봉 개스킷(28b)이 장착된 각각의 단부 플랜지(28a)를 구비한다.
따라서, 실제로, 기밀 챔버(12)는 외장 벨로우즈(28)의 내부 체적과 유체 연통하고; 붕괴 방지형인 후자는 챔버(12) 자체 내부에서 생성되는 진공으로 인해 변형되지 않는다.
벨형 몸체(27)는 실질적으로 평행 육면체와 같은 형상이며, 사용시 개구부가 아래쪽을 향하지만,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부 플레이트(3)의 상부면은 다수의 릴리프(relief, 30)를 가지며, 그 목적은 몰드(5)를 로딩/언로딩하는 동작을 허용하도록, 벨형 몸체(27)의 리프팅을 결정하는 것이다.
릴리프(30)는 하부 플레이트(3)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거나, 또는 그것의 상부면의 일부 구역에만 제한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릴리프(30)는 사각형 단면을 갖지만, 이들 단면은 또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장비(1)는 프레임(2)의 하부 부분(15)과 관련된 다수의 제 1 댐핑 요소(31)를 포함한다.
제 1 댐핑 요소(31)는 장비(1)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여, 이들이 그라운드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제 1 댐핑 요소(31)는 예컨대 공기 스프링 또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 다른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 1 댐핑 요소(31)는 제 1 플랫폼(18)의 긴 측면 아래에 고정되는데, 즉 이는 장비(1)의 측면을 따라 배열된다.
제 1 플랫폼(18) 아래의 제 1 댐핑 요소(31)의 개수 및 분배 방식은 특정 적용 요건에 따라 임의적일 수 있다.
장비(1)는 또한 제 2 댐핑 요소(32)를 포함하고; 제 2 댐핑 요소(32)는 프레임(2)의 상부 부분(16)과 프레싱 어셈블리(8)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댐핑 요소(32)는 제 2 진동 수단(25)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이 프레임(2)의 상부 부분(16)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제 2 댐핑 요소(32)는 예컨대 공기 스프링 또는 동일한 특성을 갖는 다른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 2 댐핑 요소(32)는 상부 플레이트(9)와 제 2 플랫폼(19)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은 제 2 플랫폼(19)의 긴 측면 아래에 고정된다; 또한, 제 2 댐핑 요소(32) 중 일부는 제 2 플랫폼(19)의 중심 빔(20) 아래에 고정된다.
제 2 플랫폼(19) 아래의 제 2 댐핑 요소(32)의 개수 및 분배 방식은 임의적일 수 있다.
몰드(5)는 측면 벽(34)이 세워진 베이스(33)를 포함하며, 이는 상기 성형 캐비티(6)을 정의한다.
몰드(5)는 또한 성형 캐비티(6)의 커버 플레이트(35)를 포함하는데, 이는 캐비티(6) 자체에 놓이면(deposited), 혼합물(7) 상에 얹혀지게 되어, 재료가 상부 플레이트(9)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비(1)의 작동은 설명된 것을 고려하여, 완전히 직관적이다.
몰드(5)가 슬래브를 제조하는데 필요한 재료의 혼합물(7)로 준비되면, 상대적인 커버 플레이트(35)와 함께, 몰드(5) 자체가 장비(1)의 포지셔닝 구역(4)에 로딩된다.
이를 위해, 상부 플레이트(9)는 도 6에 도시된 상부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상부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리프팅 이동에서, 릴리프(30)가 벨형 몸체(27)의 하부면에 접촉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면, 상부 플레이트(9)는 또한 벨형 몸체(27)를 그와 함께 당긴다.
도 6에 도시된 상부 위치에서, 상부 플레이트(9) 아래에는 장비(1)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으로부터 몰드(5)를 삽입함으로써, 포지셔닝 구역(4) 내에 몰드(5)를 배치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생성된다.
몰드(5)가 정확하게 위치되면, 상부 플레이트(9)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하부 위치, 즉 프레싱 위치로 이동된다.
이 위치에서, 상부 플레이트(9)는 몰드(5)의 커버 플레이트(35) 상에 놓이고, 거기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여 혼합물(7)를 구성하는 재료의 압축을 결정한다.
또한, 이 위치에서, 개스킷(26a) 및 외장 벨로우즈(28)는 챔버(12)를 주위 환경으로부터 격리시킨다.
상부 플레이트(9)에 압력을 가함과 동시에, 챔버(12) 내부의 압력을 원하는 값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흡입 수단(13)이 작동된다.
비-배타적인 예로서, 챔버(12) 내부에서 약 25 밀리바, 즉 약 25hPa의 절대 압력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챔버(12)의 매우 작은 체적은 매우 낮은 절대 압력 값을 매우 빠르게 달성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제조 관점에서 상당한 이점이다.
실제로 이러한 편의성 덕분에, 각 단일 슬래브의 생산 시간과 비용이 현재 생산 기술에 비해 상당히 감소된다.
또한, 제 1 진동 수단(22) 및 제 2 진동 수단(25)도 동시에 또는 다른 시간에 작동된다.
프레싱 어셈블리(8), 흡입 수단(13), 및 제 1 및 제 2 진동 수단(22, 25)의 조합된 작용은 결과적으로 혼합물(7) 재료의 최적의 빠른 압축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이 단계의 끝에서, 상부 플레이트(9)는 상부 위치로 들어 올려지고(도 6), 몰드(5)는 후속 생산 스테이션으로 보내지기 전에, 포지셔닝 구역(4)으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사이클은 장비(1)에 도입된 후속 몰드(5)와 함께 재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다른 실시 예가 도 7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예는 이전 실시 예의 모든 특징을 포함한다.
이 실시 예에서, 장비(1)는 이전 실시 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형태를 갖는 프레임(2)을 포함한다.
주요 차이점은 프레싱 어셈블리(8)와 상부 밀폐 요소(14)의 형태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이 실시 예에서, 그리고 아래에서 더 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부 밀폐 요소(14)는 몰드(5)의 또는 포지셔닝 구역(4)의 주변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부 플레이트(9)의 주변 에지(36)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부 플레이트(9) 및 상부 밀폐 요소(14)는 실질적으로 평행 육면체 형상의 단일 몸체로 제조되며, 이는 몰드(5) 또는 포지셔닝 구역(4)의 주변 외측으로 연장되는 주변 에지(36)를 포함한다.
제 2 진동 수단(25)은 상부 플레이트(9)의 상부면에 직접 고정된다.
이 실시 예에서, 주변 밀봉 수단(26)은 상부 플레이트(9)의 주변 에지(36)에 연결된 외장 벨로우즈(37)를 포함한다.
또한, 주변 밀봉 수단(26)은 서라운드 요소(38)를 포함하며, 이는 서라운드 벨로우즈(37)에 연결된다.
서라운드 요소(38)는 하부 플레이트(3)의 상부면(3a)에 인접하고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서라운드 요소(38)는 각각의 홈에 수용된 밀봉 개스킷(38a)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주변 밀봉 수단(26)은 서라운드 요소(38)가 하부 플레이트(3)의 상부면(3a)에 인접하고 밀봉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로킹 액추에이터(39 및 40)를 포함한다.
로킹 액추에이터(39 및 40)는 서라운드 요소(38)의 주변을 따라 배열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로킹 액추에이터(39, 40)는 공압식 타입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로킹 액추에이터(39)는 서라운드 요소(38)의 긴 측면을 따라 배열되고, 제 2 로킹 액추에이터(40)는 동일한 서라운드 요소(38)의 짧은 측면을 따라 배열된다.
예컨대, 도 11을 참조하면, 각각의 제 1 로킹 액추에이터(39)는 하부 플레이트(3)의 하부면에 고정된 제 1 클램프 부재(41)를 포함하고; 제 1 클램프 부재(41)는 공압 액추에이터의 실린더와 함께 로킹된다.
또한, 각각의 제 2 로킹 액추에이터는 동일한 공압 액추에이터의 로드와 함께 로킹된 제 2 클램프 부재(42)를 포함한다.
따라서, 로드가 실린더 내부에 완전히 있을 때, 제 2 클램프 부재(42)는 조임 위치에 있고, 서라운드 요소(38)에 접하여, 서라운드 요소(38)가 하부 플레이트(3)상에서 밀봉된 접촉을 유지하게 한다.
로드가 실린더로부터 나올 때, 제 2 클램프 부재(42)는 제 1 클램프 부재(41)에 대해 개방 위치에 있으며, 이러한 위치는 상부 플레이트(9)의 상부 위치 및 상부 밀폐 요소(14)의 상부 위치에 대응하는데, 즉 챔버(12)는 개방되어 있고, 몰드(5)의 로딩/언로딩을 가능하게 한다.
각각의 제 2 로킹 액추에이터(40)는 제 2 플랫폼(19)에 고정되며, 여러 개의 로드(예컨대, 트리플로드)를 갖는 각각의 공압 실린더를 포함하고; 이러한 로드는 로드가 실린더로부터 나올 때, 서라운드 요소(38)에 접하는 작은 플레이트(43)(도 7)에 연결된다.
흡입 수단(13)은 하부 플레이트(3)에 만들어진 복수의 흡입 구멍(29)을 포함하고; 보다 구체적으로, 흡입 구멍(29)은 몰드(5)의 포지셔닝 구역(4)의 주변 외측에서, 장비(1)의 긴 측면을 따라 형성된다.
흡입 구멍(29)은 각각의 덕트(29a)와 연통되고, 이를 통해 도시되지 않은 디프레서(depressor)와 연결된다.
예컨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9)가 하부 프레싱 위치에 있을 때, 매우 작은 체적의 기밀 챔버(12)가 정의되는데, 이는 몰드(5)의 측벽(34)에서 본질적으로 집중된다(concentrated).
사실, 상부 플레이트(9)의 주변 에지(36)는 동일한 상부 플레이트(9)의 주변 홈(44)에 의해 실제로 정의되는데, 상부 플레이트(9)가 하부 위치에 있을 때, 몰드(5)의 측벽(34)이 주변 홈(44) 내부에 삽입된다.
이 실시 예에서 언급된 해결책은 이전의 것과 비교하여, 특히 수직 방향으로 전체 치수를 감소시킨다; 장비(1)의 프레싱 어셈블리(8)는 실제로 훨씬 더 작은 크기 및 무게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다른 실시 예가 도 13 내지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달리 기술되지 않는 한,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 예는 이전 실시 예의 모든 특징을 포함한다.
이 실시 예는 또한 프레임(2)의 구조 및 형상 측면에서 이전의 것과 상이하다.
실제로, 이 실시 예에서, 프레임(2)은 슬래브의 성형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한 하부 부분(15) 및 상부 부분(16)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부분(15)과 상부 부분(16)은 밀폐된 프레싱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서로 이동 가능하며, 이들은 서로 멀리 이동하여 몰드(5)의 삽입/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프레임(2)의 제 1 플랫폼(18), 제 2 플랫폼(19) 및 환형 요소(21)의 형태는 이전 실시 예들의 형태와 동일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환형 요소(21)는 제 1 반 요소(semi-element)(45) 및 제 2 반 요소(46)를 포함하고, 이들은 각각의 커플링면(47)에서 서로 연결된다.
제 1 반 요소(45)에는 제 1 플랫폼(18)이 고정되고, 제 2 반 요소(46)에는 제 2 플랫폼(19)이 고정된다.
이 실시 예에서, 상부 밀폐 요소(14)는 벨형 몸체(27)를 포함하고; 이러한 벨형 몸체(27)는 프레임(2)의 상부 부분(16)에 고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벨형 몸체(27)(자체 개스킷(26a)가 장착됨)는 중앙 개구부(48)를 포함하고, 이러한 중앙 개구부(48)에서 제 2 플랫폼(19)에 고정된다.
벨형 몸체(27)의 목적은 기밀 챔버(12)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중앙 빔(20a)과 크로스 피스(20b) 사이에 제공된 제 2 플랫폼(19)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상부 슬래브(49)가 제공된다.
제 2 진동 수단(25)은 상부 플레이트(9)의 상부면에 고정되고; 실제로, (이전의 실시 예 들과는 반대로) 이들은 기밀 챔버(12) 내부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프레임(2)은 리프팅 부(50)를 포함한다.
리프팅 부(50)는 상기 밀폐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하부 부분(15)에 대해 상부 부분(16)을 선택적으로 옆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2)은 하부 부분(15)에 대한 상부 부분(16)의 선택적 로킹 부(51)를 포함한다.
리프팅 부(50)는 유압식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각각의 리프팅 부(50)(예컨대, 총 4 개)은 제 1 반 요소(45)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로킹된 제 1 플랜지(53)에 고정된 각각의 실린더(52), 실린더(52)와 관련되며 제 2 플랜지(55)에 고정된 로드(54)를 포함하고, 후자는 제 2 반 요소(46)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로킹된다.
따라서, 로드(54)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리프팅 부(50)를 작동시킴으로써, 제 1 반 요소(45)와 대비하여 제 2 반 요소(46)를 멀어지게 이동시키고, 따라서 하부 부분(15)에 대하여 상부 부분(16)을 멀리 이동시킬 수 있다.
상이한 유형의 리프팅 부(50)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선택적 로킹 부(51)는 프레임(2)의 하부 부분(15)과 함께 로킹되는 선형 액추에이터(56)를 포함한다.
선형 액추에이터(56)는 예를 들어 공압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형 액추에이터(56)는 각각의 환형 요소(21)의 제 1 반 요소(45)와 함께 로킹된다.
상기 선형 액추에이터(56)는 프레임(2)의 상부 부분(16)에 제공된 각각의 커플링 구멍(56b)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한 (성형 평면에 평행한 각각의 축을 갖는) 각각의 로드(56a)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플링 구멍(56b)은 각각의 환형 요소(21)를 갖는 제 2 반 요소(46)에 제공된다.
전체 치수의 관점에서도 최적의 솔루션을 얻기 위해, 제 1 반 요소(45)와 제 2 반 요소(46)의 커플링면(47)은 각각의 부분을 2개의 반 요소(45, 46)의 감소된 두께를 가지도록 실현함으로써, 얻어진다; 도 20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감소된 두께를 갖는 그러한 부분들은 상호 맞물려져서, 수직 방향으로의 지지와 리프팅 방향에 평행한 2 개의 짝을 이루는 표면(57, 58)의 존재를 보장하고, 그를 통해 전술한 선택적 로킹 부(51)가 작동할 수 있다.
실제로, 로드(56a)는 원추형으로 제조되고, 커플링 구멍(56b)에는 각각의 원추형 부시(59)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는데, 이는 로드(56a)의 정확하고 용이한 삽입을 보장한다.
실제 작동에서, 포지셔닝 구역(4)으로/으로부터 몰드(5)를 로드/언로드할 필요가 있을 때, 리프팅 부(50)는 상부 플레이트(9)와 벨형 몸체(27)를 도 18에 도시된 상부 위치로 가져오도록 작동된다.
몰드(5)의 로딩 및 언로딩은 항상 장비(1)의 전방측 또는 후방측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실시 예에서도, 장비(1)는 도 1 내지 도 6의 실시 예의 것보다 더 작은 수직 전체 치수를 갖는다.
또한, 프레싱 어셈블리(8),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장비(1)의 전체 상부는 구조적으로 단순화되고, 더 적은 부품을 포함하고, 우수한 접근성, 및 분해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이는 경제 및 유지 보수 관점에서 분명한 이점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어떻게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는지가 확인되었다.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를 보다 시간과 비용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한 솔루션이 제공된다.
도시된 솔루션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하고; 또한, 그것들은 공지된 형태의 장비 보다 훨씬 덜 복잡하고, 따라서 같은 공간에 더 많은 설비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한, 수많은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모든 세부 사항은 다른 기술적으로 동등한 요소로 대체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뿐만 아니라 임시적인 형상과 크기는 다음의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8)

  1.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1)로서,
    지지 프레임(2);
    상기 프레임(2)과 함께 로킹된 적어도 하나의 하부 플레이트(3)로서, 이는 상기 슬래브를 얻는데 필요한 재료를 포함하는 혼합물(7)을 함유하도록, 상부에서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성형 캐비티(6)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몰드(5)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포지셔닝 구역(4)을 포함하고;
    상기 몰드(5)를 상기 포지셔닝 구역(4) 내로/으로부터 로딩/언로딩하는 상부 위치로부터, 상기 성형 캐비티(6) 내측의 상기 혼합물(7)을 프레싱하는 하부 위치까지, 상기 프레임(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상부 플레이트(9)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싱 어셈블리(8);
    상기 하부 플레이트(3)와 적어도 관련되는 진동 수단(22, 25); 및
    상기 몰드(5)를 포함하며, 압력을 대기압보다 낮은 값으로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흡입 수단(13)과 연통하는 기밀 챔버(12);
    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12)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3)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3) 반대편의 상부 밀폐 요소(14)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3)가 함께 로킹되는 하부 부분(15), 및 상기 챔버(12)가 수용되는 내부 체적(17)을 그 사이에 정의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부 부분(15)과 관련되는 상부 부분(16)을 포함하는 장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밀폐 요소(14)는 상기 기밀 챔버(12)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부 플레이트(3)의 상부 표면(3a) 상에 주변 밀봉 수단(26)을 포함하는 장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밀폐 요소(14)는 사용 중에 오목부가 아래쪽을 향하는 상태에서, 상기 내부 체적(17)내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벨형 몸체(27)를 포함하고, 상기 주변 밀봉 수단(26)은 상기 벨형 몸체(27)의 하부 에지(276)에서 얻어진 각각의 홈 내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개스킷(26a)을 포함하는 장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밀폐 요소(14)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9)의 주변 에지(36)를 포함하고, 이는 상기 포지셔닝 구역(4)의 주변 외측으로 연장되는 장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밀봉 수단(26)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9)의 상기 주변 에지(36)에 연결된 외장 벨로우즈(37), 및 상기 외장 벨로우즈(37)에 이어서 연결되는 서라운드 요소(38)를 포함하고, 상기 서라운드 요소(38)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3)의 상부 표면(3a)에 인접하고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장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밀봉 수단(26)은 상기 서라운드 요소(38)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기 상부 표면(3a)에 인접하고 밀봉되게 유지되도록 구성된 복수의 로킹 액츄에이터(39, 40)를 포함하는 장비.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3)와 관련되는 제 1 진동 수단(22), 및 상기 프레싱 어셈블리(8)와 관련되는 제 2 진동 수단(25)을 포함하는 장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상기 하부 부분(15)과 관련되는 제 1 댐핑 요소(31)를 포함하고, 이는 상기 장비(1)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진동이 그라운드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상기 상부 부분(16)과 상기 프레싱 어셈블리(8) 사이에 배치되는 제 2 댐핑 요소(32)를 포함하고, 이는 상기 제 2 진동 수단에 의해 발생된 진동을 흡수하도록 구성되어, 진동이 상기 상부 부분(16)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비.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어셈블리(8)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9)로부터 이탈되는 복수의 상부 부속물(23), 및 상기 제 1 진동 수단(22)이 고정되는 상기 상부 부속물(23)에 고정되는 테이블(24)을 포함하고, 상기 벨형 몸체(27)는 상기 상부 부속물(23)과 슬라이딩 방식으로 관련되는 장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싱 어셈블리(8)는 상기 벨형 몸체(27)의 상부면과 상기 테이블(24)의 하부면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상부 부속물(23)를 따라 장착되는 복수의 외장 벨로우즈(28)를 포함하는 장비.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의 상기 하부 부분(15) 및 상기 상부 부분(16)은 서로에 대해 상기 슬래브의 성형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밀폐 프레싱 위치로부터 서로 멀리 이동하는 개방 위치로 이동 가능하여, 상기 몰드(5)의 삽입/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장비.
  14.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형 몸체(27)는 상기 프레임(2)의 상기 상부 부분(16)에 고정되는 장비.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진동 수단(25)은 상기 기밀 챔버(12)내에 포함되는 장비.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은 상기 밀폐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부 부분(15)에 대해 상기 상부 부분(16)를 선택적으로 옆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리프팅 부(50)를 포함하는 장비.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은 상기 하부 부분(15)에 대한 상기 상부 부분(16)의 선택적 로킹 부(51)를 포함하는 장비.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로킹 부(51)는 상기 하부 부분(15)과 함께 로킹된 선형 액츄에이터(56)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액츄에이터(56)는 상기 상부 부분(16)에 구비된 각각의 커플링 홀(56b) 내에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한 각각의 로드(56a)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로드(56a)의 축은 상기 슬래브의 성형 평면에 평행하는 장비.
KR1020197034535A 2017-04-27 2018-04-27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 KR102442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102017000046034 2017-04-27
IT102017000046034A IT201700046034A1 (it) 2017-04-27 2017-04-27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lastre in graniglie minerali legate con resine.
PCT/IB2018/052944 WO2018198088A1 (en) 2017-04-27 2018-04-27 Equipment for the production of slabs in mineral grits bound with resi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726A KR20190141726A (ko) 2019-12-24
KR102442500B1 true KR102442500B1 (ko) 2022-09-08

Family

ID=5981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535A KR102442500B1 (ko) 2017-04-27 2018-04-27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433576B2 (ko)
EP (1) EP3615294B1 (ko)
KR (1) KR102442500B1 (ko)
CN (1) CN110914031A (ko)
BR (1) BR112019022478B1 (ko)
CA (1) CA3061577A1 (ko)
ES (1) ES2919337T3 (ko)
IT (1) IT201700046034A1 (ko)
WO (1) WO2018198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4261A1 (en) * 2019-06-14 2022-07-28 Medical Soparfi S.A Mould for the production of slabs and relative forming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40012A1 (de) 1990-12-04 1992-06-11 Toncelli Luca Presse zum vibrationsverdichten von mischungen aus koernigen, steinigen oder keramischen materialien in form von platten oder bloecken
US20150314475A1 (en) 2011-08-23 2015-11-05 Christopher T. Banus Production plant for forming engineered composite stone slab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58927B1 (de) * 1968-09-04 1970-12-17 Vaw Ver Aluminium Werke Ag Ruettel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Kohle-Elektroden hoher Dichte fuer die Aluminium-Industrie
DE2201312A1 (de) * 1970-06-12 1973-07-19 Mitsuishi Fukai Iron Works Ziegelstein-presse
ITFI20010103A1 (it) * 2001-06-01 2002-12-01 Longinotti Meccanica S R L Metodo ed attrezzatura per la produzione di mattonelle monostrato
ITTV20050067A1 (it) * 2005-05-19 2006-11-20 Luca Toncelli Procedimento ed impianto per la fabbricazione di manufatti in blocchi di conglomerato di materiale lapideo.
IT1401385B1 (it) * 2010-08-06 2013-07-18 Toncelli Pressa per la vibrocompressione sottovuoto di lastre o blocchi o manufatti di materiale agglomerato o ceramico.
US9221191B2 (en) * 2011-08-23 2015-12-29 Christopher T. Banus Vacuum vibration press for forming engineered composite stone slabs
IL249654B (en) * 2014-07-08 2022-07-01 Toncelli Luca Apparatus and method for vacuum and vibrocompression of mixtures
EP3581295B1 (en) * 2018-06-13 2021-07-07 Loramendi, S.COOP. Method and installation for making sand co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40012A1 (de) 1990-12-04 1992-06-11 Toncelli Luca Presse zum vibrationsverdichten von mischungen aus koernigen, steinigen oder keramischen materialien in form von platten oder bloecken
US20150314475A1 (en) 2011-08-23 2015-11-05 Christopher T. Banus Production plant for forming engineered composite stone slab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919337T3 (es) 2022-07-26
EP3615294A1 (en) 2020-03-04
CA3061577A1 (en) 2018-11-01
BR112019022478A2 (pt) 2020-05-12
KR20190141726A (ko) 2019-12-24
US11433576B2 (en) 2022-09-06
IT201700046034A1 (it) 2018-10-27
WO2018198088A1 (en) 2018-11-01
CN110914031A (zh) 2020-03-24
US20200094448A1 (en) 2020-03-26
EP3615294B1 (en) 2022-03-30
BR112019022478B1 (pt) 202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7310B1 (ko) 대상물을 언팩킹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442500B1 (ko)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
KR102607936B1 (ko)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
RU268197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ссования изделий из строительных смесей
CN105473314B (zh) 用于根据rtm法制造构件的方法和工具系统
EP0122116A2 (en) A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flaskless, horizontally divided casting moulds of sand or similar material
JPH0780069B2 (ja) 振動プレス成形機
JPH04272804A (ja) 粒状の石材またはセラミック材料からなるプレートまたはブロックの形の混合物を振動圧密するプレス
EP204654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ceramic products
US20040001902A1 (en) Device for vibrating and compacting
US10471501B2 (en) Sand core making machine
KR20100067315A (ko) 테라조 성형용 모르터 다짐, 탈기 및 강성 강화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성형제품
CN104907544A (zh) 一种铸造用多维振动落砂机的落砂机台面
JP3626063B2 (ja) 突き固め成形装置及び突き固め成形装置用吸着治具
JP2000229313A (ja) 陶磁器製食器類の糸底溝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
KR200390417Y1 (ko) 진공포장기 내의 탈착이 가능한 성형기
EP0944464B1 (en) Press for foaming insulating panels
JP3174635B2 (ja) 鋳込成形用の成形型
KR100828634B1 (ko) 허니컴 구조체의 성형방법
JP2003291119A (ja) 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20200046164A (ko) 도자기 성형용 석고 몰드의 제조방법
CN111344246A (zh) 用于制造电梯的对重的方法、用于构造电梯设备的方法、用于电梯的对重以及具有对重的电梯设备
GB2608012A (en) Improved loudspeaker cabinet, method for forming the same and a loudspeaker formed using said cabinet
GB1584687A (en) Production of articles moulded from plastics
EP0872323A2 (en) Die and method for forming moldable materials with the said d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