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7936B1 -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 - Google Patents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7936B1
KR102607936B1 KR1020207036291A KR20207036291A KR102607936B1 KR 102607936 B1 KR102607936 B1 KR 102607936B1 KR 1020207036291 A KR1020207036291 A KR 1020207036291A KR 20207036291 A KR20207036291 A KR 20207036291A KR 102607936 B1 KR102607936 B1 KR 102607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station
working box
su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6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9453A (ko
Inventor
오리브 루이스 알폰소 페르난데즈
Original Assignee
로라멘디, 에스.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라멘디, 에스.쿱. filed Critical 로라멘디, 에스.쿱.
Publication of KR20210019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9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7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7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2Treating moulds or cores, e.g. drying, 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2Treating moulds or cores, e.g. drying, hardening
    • B22C9/123Gas-hard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Abstract

모래 코어를 만드는 방법 및 설비가 개시된다. 방법은 입자상 재료와 상기 입자상 재료를 응고시키는 첨가제의 복수의 층이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에 교번적 및 선택적 방식으로 적용되는 3D 제조를 통해, 작업 상자(1)에 의해 구분된 내부 공간(1.0)에서 코어(9)들을 원하는 형상으로 생성하기 위한 생성 단계, 및 상기 코어(9)를 경화시키기 위한 경화 단계를 포함한다. 경화 단계에서, 마이크로파 및 건조 스트림은 상기 내부 공간(1.0)에 적용되고, 건조 스트림은 상기 내부 공간(1.0)에 흡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흡입은 흡입 플레이트(3)를 통해 적용되며, 흡입 플레이트(3)는 상기 내부 공간(1.0)에 존재하는 재료와 접촉한다.

Description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
본 발명은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 특히 3D 제조(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로서 또한 공지된)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래 코어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모래 제조 기계로 만들어지며, 몰드는 각각의 제조 사이클에서 만들어질 코어(또는 코어들)의 형상을 한정한다. 코어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재료는 그런 다음 몰드 내로 부어지고, 상기 재료는 응고된 결과물을 생산하기 위해 경화되거나 또는 양생된다. 상기 결과물은 모래 코어이다. 사용되는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 또는 결합제(예를 들어, 수지의 한 유형)와 혼합된 입자상 재료(모래의 한 유형)이다. 모래 코어가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기계의 예는 EP0494762A2 및 EP2907601A1에서 찾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후자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소유한다.
최근에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 즉 3D 제조(적층 제조로서 또한 공지됨)가 사용되었다. 3D 제조에서, 물체(코어)들은 입자상 재료(통상적으로 모래)와 생성 단계에서 입자상 재료를 응고시키는 첨가제로 만들어진다. 입자상 재료와 첨가제는 교번적 및 선택적 방식으로 적용되는 층들에서 플랫폼 상의 작업 상자(job box) 또는 작업 상자의 베이스에 배열되며, 첨가제의 층들은 관심 입자상 재료에만 적용된다(그리고 만들어질 물체의 형상에 의존한다). 공정의 종료시에, 첨가제에 의해 만들어지고 응고된 물체는 작업 상자에 위치되지만, 첨가제가 함침되지 않은 입자상 재료(응고되지 않은 입자상 재료 또는 과잉 입자상 재료)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과잉 입자상 재료로부터 물체를 분리하는 것이 통상적이며, 즉, 물체는 세정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물체들이 고체 상태에 있더라도, 물체들은 일반적으로 부서지기 쉽고, 물체들을 부술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과잉 입자상 재료로부터 물체들을 분리하는데 여러번 용이하게 취급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기 물체들을 덜 부서지게 하기 위해 물체들을 세정하기 전에, 생성 단계 후에 물체들에 적용되는 경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경화 단계 후에, 물체를 세정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
CN105344941A는 3D 제조를 통해 만들어진 코어들을 위한 경화 단계를 개시한다. 이를 위해, 작업 상자는 전자 레인지에 도입되고, 이전에 만들어진 물체(코어)들은 상기 전자 레인지에서 건조되고 경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코어가 3D 제조(또한 적층 제조로서 공지됨)를 통해 원하는 형상으로 생성되는 생성 단계를 포함한다. 3D 제조에서, 코어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입자상 재료와 재료의 복수의 층이 교번적 및 선택적 방식으로 적용된다. 방법에서, 상기 층들은 작업 상자의 플랫폼 상의 작업 상자의 내부 공간에 적용된다.
방법은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코어가 경화되고 상기 코어가 작업 상자의 내부 공간에 배열되는 경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생성 단계는 설비의 제1 스테이션에서 작업 상자로 구현되고, 경화 단계는 상기 설비의 제2 스테이션에서 구현된다. 작업 상자는 생성 단계가 제1 스테이션에서 수행된 후에, 상기 경화 단계가 구현되는 제2 스테이션으로 이송된다.
경화 단계에서, 상기 코어를 경화시키기 위해, 상기 코어가 배열된 작업 상자의 내부 공간에 마이크로파와 건조 스트림이 적용된다. 코어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는 물을 함유하며, 마이크로파는 상기 물의 입자를 성공적으로 이동시켜 증발시킨다. 상기 건조에 기여하는 것 외에도, 건조 스트림은 코어 주변의 영역으로부터 배출되는 증발된 물을 혼입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파와 건조 스트림의 조합은 코어 건조 유효성에서의 증가, 그러므로 코어 경화를 수반하며, 그러므로 더욱 안전한 후속 세정 단계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조합은 그 효율성의 결과로서 경화 단계의 시간을 단축하여, 코어 제조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경화 단계에서, 마이크로파와 건조 스트림을 적용하기 전에, 작업 상자의 내부 공간은 그 목적을 위해 구성된 뚜껑으로 그 상부 부분에서 누출 방지 방식으로 폐쇄되고, 작업 상자를 향한 뚜껑 또는 뚜껑을 향한 작업 상자의 수직 이동은 누출 방지 폐쇄를 확립하기 위해 유발된다.
건조 스트림은 상기 내부 공간의 외부로부터 및 아래 또는 위로부터의 흡입을 작업 상자의 내부 공간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흡입은 뚜껑과 작업 상자의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재료 사이에 배열된 흡입 플레이트를 통해 적용되며, 상기 흡입 플레이트는 상기 재료와 접촉한다. 상기 접촉으로 흡입을 적용하는 것은 건조 스트림이 생성될 때 입자상 재료가 내부 공간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는 효율성에서의 손실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모래 코어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설비에 관한 것이다. 설비는,
- 코어들이 생성되고, 플랫폼을 포함하는 작업 상자,
- 작업 상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스테이션,
- 제1 스테이션과 결합되고, 입자상 재료 및 입자상 재료를 응고시키는 첨가제의 복수의 층이 상기 작업 상자의 플랫폼에 교번적 및 선택적 방식 적용되는 3D 제조를 통해, 작업 상자에 의해 구분된 내부 공간에서 코어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조 수단,
- 작업 상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스테이션,
- 작업 상자를 제1 스테이션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디바이스, 및
-제2 스테이션과 결합되고, 상기 생성된 코어들을 경화시키기 위해 구성된 경화 수단을 포함한다.
경화 수단은 작업 상자에 의해 구분된 내부 공간에 마이크로파를 적용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 및 상기 내부 공간에서 건조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설비는 상기 제2 스테이션에서, 상부 부분에서 누출 방지 방식으로 작업 상자의 내부 공간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뚜껑, 상기 누출 방지 폐쇄를 확립하기 위해 뚜껑 또는 작업 상자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 및 수직 이동이 자유롭게 뚜껑에 부착된 흡입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한다. 작업 상자가 제2 스테이션에 있을 때, 상기 흡입 플레이트는 상기 뚜껑과 상기 작업 상자의 플랫폼 사이에 배열된다.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는 흡입 플레이트와 뚜껑을 통해 내부 공간에 흡입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방법에 대해 설명된 장점은 설비에 의해 또한 얻어진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이점 및 특징은 도면 및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그 요소의 일부(예를 들어, 컨베이어 디바이스와 같은)없이 본 발명의 설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략적이고 단순화된 방식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설비의 제1 스테이션에서 생성된 복수의 코어를 구비한 작업 상자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설비의 제1 스테이션을 개략적이고 단순화된 방식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설비의 제2 스테이션을 개략적이고 단순화된 방식으로 도시한다.
도 5는 작업 상자에서 한정된 내부 공간의 누출 방지 폐쇄를 제공하는, 도 1의 설비의 제2 스테이션의 뚜껑을 도시한다.
도 6은 구조물에 배열된 도 2의 작업 상자 및 상기 설비의 제2 스테이션의 세정 플랫폼을 도시한다.
도 7a는 상기 플랫폼의 구멍들이 폐쇄된, 도 2의 작업 상자의 플랫폼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다.
도 7b는 상기 플랫폼의 구멍들이 개방된, 도 2의 작업 상자의 플랫폼을 더욱 상세히 도시한다.
도 8은 구조물에 배열된 도 2의 작업 상자 및 틸팅된 상기 설비의 제2 스테이션의 세정 플랫폼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설비(1000)에서 구현되는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방법은 적어도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 입자상 재료(바람직하게 모래) 및 입자상 재료를 응고시키는 첨가제의 복수의 층이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에 교번적 및 선택적 방식 적용되는 3D 제조(또한 적층 제조로서 공지됨)를 통해, 도 2에 예로서 도시된 작업 상자(1)에 의해 구분된 내부 공간(1.0)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코어(9)들이 생성되는 생성 단계,
-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코어(9)들이 경화되는 경화 단계.
생성 단계에서, 단일 코어(9)가 작업 상자(1)에서 생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복수의 코어(9)가 상기 작업 상자(1)에서 동시에 생성될 수 있다. 생성 단계는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설비(1000)의 제1 스테이션(101)에서 구현된다.
작업 상자(1)는 플랫폼(1.1)과 프레임(1.2)을 포함하며, 내부 공간(1.0)이 플랫폼과 프레임 사이에서 구분된다. 바람직하게, 작업 상자(1)는 직사각형이고, 플랫폼(1.1) 및 실질적으로 수직인 4개의 벽을 포함하고, 내부 공간(1.0)은 플랫폼(1.1)에서, 그리고 4개의 벽 사이에서 구분된다.
경화 단계에서, 작업 상자(1)에서 코어(9)들을 꺼내지 않고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코어(9)들을 경화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파 및 적어도 하나의 건조 스트림, 바람직하게 공기 스트림(예를 들어, 질소와 같은 임의의 다른 기체 유체가 사용될 수 있다)은 상기 코어(9)들이 위치되는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적용된다. 마이크로파와 건조 스트림의 조합은 상기 코어(9)들의 빠른 건조, 따라서 그 경화를 유발한다. 마이크로파 및/또는 건조 스트림 적용 시간은 생성된 코어(9)들에 대한 요구 사항 및/또는 대응하는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코어(9)들의 형상 및/또는 총 체적에 의존하며, 두 방법 모두는 동시에 발생하거나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요구 사항 및 필요에 따라).
생성 단계는 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비(1000)의 제1 스테이션(101)에서 작업 상자(1)로 구현되고, 경화 단계는 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비(1000)의 제2 스테이션(102)에서 구현된다. 방법에서, 생성 단계가 제1 스테이션(101)에서 수행된 후에, 작업 상자(1)는 상기 경화 단계가 구현되는 제2 스테이션(102)으로 이송된다.
생성 단계 동안, 입자상 재료 및 대응하는 첨가제는 플랫폼(1.1) 상의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적용되며, 그러므로 코어(9)들은 상기 생성 단계 후에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 상의 내부 공간(1.0)에서 생성된다. 경화 단계에서, 마이크로파와 건조 스트림을 적용하기 전에, 상기 내부 공간(1.0)은 이 목적을 위해 구성된 뚜껑(2)에 의해, 생성 코어(9)들이 그 안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상부 부분에서 누출 방지 방식으로 폐쇄된다. 누출 방지 폐쇄의 결과로서, 후속적으로 적용되는 마이크로파 및 건조 스트림은 코어(9)들에서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 뚜껑(2)이 누출 방지 폐쇄(도 5에 도시된 상황)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작업 상자(1)와 접촉할 때까지 작업 상자(1)를 향한 뚜껑(2)의 수직 이동이 유발된다. 누출 방지 폐쇄를 보장하기 위해, 뚜껑(2)은 바람직하게 작업 상자(1)(작업 상자(1)의 프레임(1.2))에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1.2)과 상기 뚜껑(2) 사이에는 밀봉 개스킷(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존재한다(예를 들어, 밀봉 개스킷은 뚜껑(2)에 부착되거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것처럼 전자 레인지를 통합할 필요가 없으며, 작업 상자(1) 자체는 마이크로파 수신기로서 이용되어, 저렴하지만 마이크로파로부터 기인하는 이점을 희생하지 않는 설비(1000)를 초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파는 예를 들어 마그네트론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4)에 의해 뚜껑(2)을 통해 적용되며, 상기 뚜껑(2)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0)을 포함하며, 내부 공간(1.0)은 관통 구멍을 통하여 상기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4)와 연통하고, 마이크로파는 관통 구멍을 통해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을 향해 조향된다.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4)는 외부로부터 격리되도록, 즉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도관(4.0)에 의해,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서 뚜껑(2)에 의해 제공된 누출 방지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관통 구멍(2.0)과 연통된다.
건조 스트림은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흡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흡입은 아래(작업 상자(1)의 플랫폼(1.1) 아래)로부터 유발될 수 있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위로부터 적용된다. 상기 후자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랫폼(1.1) 아래에 존재하는 공기를 포획하기 위해 플랫폼(1.1) 아래에서 작업 상자(1)의 외부로의 건조 스트림 접근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 또한 요구된다. 이에 따라, 플랫폼(1.1)은 적어도 하나의 흡입 영역(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입자상 재료의 통과는 허용하지 않는 다공성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흡입이 내부 공간(1.0) 위로부터 적용될 때, 플랫폼(1.1) 아래로부터의 공기는 상기 플랫폼을 통해 흡수되고, 건조 스트림은 상기 내부 공간(1.0)을 통해 바닥으로부터 위로 생성된다.
흡입은 뚜껑(2)과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존재하는 재료 사이에 배치된 흡입 플레이트(3)를 통해 적용되며, 상기 흡입은 바람직하게 상기 재료와 접촉하는 상기 흡입 플레이트(3)에 의해 적용된다. 상기 접촉으로 흡입을 적용하는 것은 건조 스트림이 생성될 때 입자상 재료가 내부 공간(1.0)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는 효율에서의 손실을 방지한다.
흡입 플레이트(3)는 바람직하게 수직 이동이 자유롭게 컬럼(2.2)에 의해 뚜껑(2)에 부착된다. 이러한 것은 뚜껑(2)이 이동될 때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의 누출 방지 폐쇄를 유발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러한 이동을 완료하기 전에 흡입 플레이트(3)가 상기 내부 공간(1.0)에 존재하는 재료와 접촉하면, 상기 흡입 플레이트(3)는 뚜껑(2)이 계속 움직이더라도 움직이지 않는다. 그 결과 내부 공간(1.0)에 존재하는 재료의 과도한 콤팩팅(compacting) 및 코어(9)들의 파손이 방지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입 플레이트(3)는 자유로운 이동없이 뚜껑(2)에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의 누출 방지 폐쇄가 확립되면, 플랫폼(1.1)은 상기 내부 공간(1.0)에 존재하는 재료가 상기 흡입 플레이트(3)와 접촉할 때까지 흡입 플레이트(3)을 향해 이동된다. 상기 접촉이 달성되었으면, 상기 플랫폼(1.1)은 고정되고, 건조 스트림이 생성된다.
플랫폼(1.1)을 향하는 흡입 플레이트(3)의 표면적은 플랫폼(1.1)의 유사한 표면적보다 작거나 같지만, 바람직하게 적어도 코어(9)들을 수용하는 작업 상자(1)의 표면적을 덮는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9)들을 덮지 않는 더 작은 표면적과 비교하여 상기 코어(9)들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흡입이 수행된다. 또한, 흡입 플레이트(3)의 효율이 더욱 개선되어야 하면, 흡입 플레이트(3)는 챔버(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챔버는, 작업 상자(1)에 대해 흡입 플레이트(3)을 적소에 고정하고 상기 흡입 플레이트(3)와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 사이에 누출 방지 환경(코어(9)들이 위치되는 공간)을 생성하기 위해 누출 방지 폐쇄가 확립되면, 유체(예를 들어 공기)에 의해 그 윤곽을 따라서 팽창된다. 챔버가 팽창되었으면, 흡입이 적용되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흡입은 그 목적을 위해 구성된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예를 들어 흡입 펌프)에 의해 흡입 플레이트(3)를 통해, 그리고 뚜껑(2)을 통해 적용된다. 이를 위해, 뚜껑(2)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1)을 포함하고, 컬럼(2.2)은 중공체이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는 관통 구멍(2.1) 및 컬럼의 중공 공간을 통해 흡입 플레이트(3)와 연통된다. 흡입 플레이트(3)는 적어도 하나의 흡입 영역(3.0)에서 주어진 다공성을 포함하며, 주어진 다공성은 과잉 또는 응고되지 않은 입자상 재료가 상기 흡입 플레이트(3)을 통해 작업 상자(1)와 흡입 플레이트(3) 사이의 구분된 공간을 벗어나 상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를 향하는 것(이는 상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의 오작동 또는 심지어 상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의 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입자상 재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으며, 흡입은 상기 흡입 영역(3.0)(그리고 흡입 플레이트의 나머지 부분이 아닌)을 통해 적용된다.
대안적으로, 생성 디바이스(5)는 작업 상자(1) 아래에 배열된다(흡입이 작업 상자(1) 아래로부터 적용되는 실시예에 대해). 임의의 실시예에서, 생성 디바이스(5)가 작업 상자(1) 아래에 배열되고 흡입이 흡입 플레이트(3)를 통해 적용될 때,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통과하는 건조 스트림은 이전에 작업 상자(1)를 통과 하는 반면에, 생성 디바이스(5)가 작업 상자(1) 위에 배열되고 흡입이 흡입 플레이트(3)를 통해 적용될 때,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통과하는 건조 스트림은 이전에 작업 상자(1)를 통과하지 않았으며, 작업 상자(1)는 흡입 플레이트(3)를 통과한 후의 상기 건조 스트림을 수용한다.
바람직하게, 뚜껑(2)은 예를 들어 마이크로파의 에너지가 뚜껑(2)이 아니라 내부 공간(1.0)에 존재하는 코어(9)들에 전달되도록 Teflon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유전체 또는 마이크로파 투과성 재료와 같은 마이크로파를 견디는데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이는 한편으로 뚜껑(2)의 특성이 변경되지 않고 상기 뚜껑(2)이 긴 서비스 수명을 가지며, 다른 한편으로 뚜껑(2) 자체가 뜨거워지지 않고 마이크로파로부터 에너지를 포획하지 않으며, 상기 마이크로파로부터 가능한 최대량의 에너지가 코어(9)들의 건조 또는 경화에 이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작업 상자(1) 및/또는 흡입 플레이트(3)는 또한 마이크로파를 견디는데 적합한 재료로 만들어지며, 상기 재료는 작업 상자(1)를 만드는 재료와 동일한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법은 경화 단계 후에 세정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세정 단계에서, 코어(9)들 주위에 존재하는 과잉 또는 응고되지 않은 입자상 재료는 작업 상자(1)로부터 배출된다. 이전의 경화 단계의 결과로서, 코어(9)들을 파손시킬 위험이 없는 효과적인 세정 단계가 허용된다.
세정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작업 상자(1)는 설비(1000)의 제3 스테이션으로 이송될 수 있지만,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세정 단계는 경화 단계와 같이 설비(1000)의 제2 스테이션(102)에서 구현되며, 이는 공정 시간을 단축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파 및 건조 스트림은 모두 뚜껑(2)을 통해 내부 공간(1.0)에 도입되어서, 작업 상자(1) 아래에서 작용하지 않고, 상기 공간은 자유로울 수 있다. 이에 따라, 과잉 재료는 작업 상자(1) 아래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은 복수의 배출 구멍(1.1a)을 포함하며, 과잉 또는 응고되지 않은 입자상 재료는 배출 구멍들을 통해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으로부터 배출된다. 배출 구멍(1.1a)들은 생성 및 경화 단계 동안 폐쇄되고, 상기 과잉 입자상 재료의 배출을 허용하기 위해 세정 단계 동안 개방된다. 배출 구멍(1.1a)의 크기는 상기 배출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입자상 재료의 입자의 크기보다 명백히 크다. 그러므로, 상기 배출 구멍(1.1a)들은 제어된 방식으로 개방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스테이션(102)은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물(102.1), 및 상기 구조물(102.1) 상에 배열되고 상기 구조물(102.1)에 부착된 세정 플랫폼(102.0)을 포함한다. 세정 플랫폼(102.0)은 중공 프레임이다. 작업 상자(1)는 상기 작업 상자(1)가 상기 제2 스테이션(102)으로 이송될 때 세정 플랫폼(102.0) 상에 배열되고, 상기 세정 플랫폼(102.0)에 결합된다. 세정 단계 동안, 플랫폼(1.1)의 배출 구멍(1.1a)들이 개방되는 것에 추가하여, 일부 실시예에서, 다른 방향으로의 작업 상자(1)의 틸팅을 유발하고, 이에 의해,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존재하는 과잉 입자상 재료의 이동을 유발하기 위해 상이한 방향으로의 세정 플랫폼(102.0)의 제어된 틸팅이 유발되어, 배출 구멍(1.1a)들을 통한 과잉 입자상 재료의 배출(예를 들어, 세정 플랫폼(102.0) 아래에 배열된 용기(102.3) 내로의 배출)이 더욱 용이하다. 상기 세정 플랫폼(102.0)의 제어된 이동은 틸팅을 유발하기 위해 생성된다. 세정 플랫폼(102.0)은 높이에서 이동 가능한 제2 스테이션(102)의 복수의 지지 영역 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지지 영역들의 제어된 수직 이동은 언급된 틸팅을 유발하기 위해 생성된다.
틸팅을 유발하기 위해, 설비(1000)는 제2 스테이션(102)에서의 복수의 팽창성 요소(102.2)를 포함하고, 팽창성 요소들은 구조물(102.1)과 세정 플랫폼(102.0) 사이에 배열되고, 그 각각이 세정 플랫폼(102.0)의 상이한 영역에 접촉하도록 분포된다. 각각의 팽창성 요소(102.2)는 세정 플랫폼(102.0)이 지지되는 지지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성 요소(102.2)들의 각각의 제어된 팽창 및 수축은 세정 플랫폼(102.0) 및 세정 플랫폼(102.0)에 결합된 작업 상자(1)의 원하는 틸팅을 유발하기 위해 유발된다. 팽창성 요소(102.2)는 독립적인 방식으로 제어되며, 각각의 팽창성 요소(102.2)는 바람직하게 단일의 각각의 지지 영역을 포함한다.
세정 플랫폼(102.0)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직사각형인 작업 상자(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상기 세정 플랫폼(102.0)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4개의 지지 영역에서 지지된다. 각각의 지지 영역은 세정 플랫폼(102.0)의 모서리들 중 하나에 근접하거나 그 아래에 있으며, 전술한 것과 같은 팽창성 요소(102.2)는 각각의 지지 영역에 대응한다.
세정 단계 동안, 뚜껑(2)은 누출 방지 폐쇄를 계속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세정 플랫폼(102.0)과 동일한 정도로 그러므로 작업 상자(1)와 동일한 정도로 틸팅되도록 구조물(104)에 의해 세정 플랫폼(102.0)에 부착되거나, 또는 작업 상자(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이 경우에 구조물(104)이 요구되지 않는다).
세정을 위해, 작업 상자(1)만의 진동 또는 상기 작업 상자(1)의 틸팅과 조합된 진동이 발생되어 응고되지 않은 입자상 재료를 주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건조 스트림은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작업 상자(1) 아래로부터 플랫폼(1.1)을 통해 흡입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생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설비(1000)는 작업 상자(1)가 경화 단계 후에 이송되는 제3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세정 단계는 상기 제3 스테이션에서 실행된다.
본 발명의 일부가 아닌 예들에서, 건조 스트림은 흡입 대신에 공기 또는 다른 기체 유체의 주입에 의해 생성되고, 다른 실시예에서, 분사 및 흡입의 조합에 의해 생성된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적용된 건조 스트림은 작업 상자(1) 내부에 배열된 코어(9)를 강제로 관통하도록 생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건조 스트림은 코어(9)의 외부 표면에서만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단순한 공기 공급이 내부 공간에 적용될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이, 코어의 건조가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모래 코어(9)를 제조하도록 구성된 설비(1000)에 관한 것이다. 설비(1000)는,
- 코어(9)들이 생성되고, 플랫폼(1.1)을 포함하는 작업 상자(1),
- 작업 상자(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스테이션(101),
- 제1 스테이션(101)과 결합되고, 입자상 재료 및 입자상 재료를 응고시키는 첨가제의 복수의 층이 상기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에 교번적 및 선택적 방식 적용되는 3D 제조를 통해, 작업 상자(1)에 의해 구분된 내부 공간(1.0)에서 코어(9)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조 수단,
- 작업 상자(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스테이션(102),
- 작업 상자(1)를 제1 스테이션(101)으로부터 제2 스테이션(102)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디바이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 제2 스테이션(102)과 결합되고 상기 생성된 코어(9)들을 경화시키도록 구성된 경화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스테이션(101)은 작업 상자(1)가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물(101.1)을 포함한다(상기 작업 상자(1)는 바람직하게 구조물(101.1)에 결합된다). 제1 스테이션(101)과 결합된 제조 수단은 상기 제1 스테이션(101)에 배열되고, 상기 제1 스테이션은 상기 제조 수단을 포함한다. 제조 수단은 적어도 2개의 헤드(101.2 및 101.3), 입자상 재료의 층들을 적용하는 것을 담당하는 제1 헤드(101.2), 및 첨가제의 층들을 적용하는 것을 담당하는 제2 헤드(101.3)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두 헤드(101.2 및 101.3)는 수평 방향(X)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제1 스테이션(101)의 제2 구조물(101.4)에 부착된다. 제2 구조물(101.4)은 제조 수단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경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4), 및 건조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를 포함한다. 상기 작업 상자(1)가 제2 스테이션(102)에 배열될 때, 두 디바이스(4 및 5)는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과 연통하는데 적합하다.
설비(1000)는 제2 스테이션(102)에서, 방법에 대해 논의된 것과 같은 뚜껑(2), 및 작업 상자(1)와 뚜껑(2) 사이의 누출 방지 폐쇄를 확립하기 위해 뚜껑(2)을 작업 상자(1)를 향해 이동시키거나 또는 작업 상자(1)를 뚜껑(2)을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누출 방지 폐쇄에 관한 방법을 위해 제공된 설명은 임의의 실시예 및/또는 구성에서 설비(1000)에도 유효하고, 상기 설비(1000)에 대해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4)는 또한 뚜껑(2)을 통해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 내로 마이크로파를 조향시키도록 구성되며, 뚜껑(2)은 내부 공간(1.0)을 향해 마이크로파가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0)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2)은 바람직하게 방법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파를 견디는데 적합한 재료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4)와 관통 구멍(2.0) 사이의 연통은 예를 들어 그 목적을 위해 구성된 도관(4.0)에 의해 확립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4)는 마그네트론을 포함할 수 있고, 고정된 방식으로 제2 스테이션(102)에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누출 방지 폐쇄를 생성하기 위해 뚜껑(2)이 이동되면, 이동하는 관통 구멍(2.0)과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4)를 연통시키는 것은 도관(4.0)이다(그러므로 상기 도관(4.0)은 가요성이다).
설비(1000)는 바람직하게 자유롭게 수직 이동하도록 뚜껑(2)에 부착된 흡입 플레이트(3)를 포함하고, 작업 상자(1)가 제2 스테이션(102)에 있을 때, 상기 흡입 플레이트(3)는 상기 뚜껑(2)가 작업 상자(1)의 상기 플랫폼(1.1) 사이에 배열되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는 흡입 플레이트(3) 및 뚜껑(2)을 통해 내부 공간(1.0)에 흡입을 적용하기 위해(내부 공간(1.0)의 위 또는 아래로부터) 구성된다. 방법을 위해 흡입 플레이트(3)에 대해 제공된 설명은 임의의 실시예 및/또는 구성에서 설비(1000)에 대해서도 유효하며, 상기 설비(1000)에 대해 다시 설명되지 않을 것이며, 생성 디바이스(5)는 바람직하게 흡입 플레이트(3)가 내부 공간(1.0)에 존재하는 물질과 접촉한 상태에서 흡입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흡입 플레이트(3)와 뚜껑(2) 사이의 부착은 예를 들어 컬럼(2.2)에 의해 확립될 수 있고, 흡입 플레이트(3)는 상기 컬럼(2.2)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는 방법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플레이트(3)을 통해 흡입을 적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는 그 누출 방지 폐쇄가 확립된 후에 내부 공간(1.0)의 외부에 배열되고, 그 목적을 위해 특정된 도관(5.0)에 의해 뚜껑(2)과 연통된다. 뚜껑(2)은 흡입 플레이트(3)을 통한 흡입의 생성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와 연통되는 관통 구멍(2.1)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컬럼(2.2)은 부분적으로 중공이며, 관통 구멍(2.1)과 연통되며(바람직하게 상기 관통 구멍(2.1)과 정렬 되며), 흡입 영역(3.0)이 상기 컬럼(2.2)(컬럼(2.2)의 중공 공간)과 연통되어서,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로부터 생성된 흡입은 작업 상자(1)에 의해 구분된 내부 공간(1.0)에 도달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생성 디바이스(5)는 작업 상자(1) 아래에 배열된다(흡입이 작업 상자(1) 아래로부터 적용되는 실시예에 대해). 생성 디바이스(5)가 작업 상자(1) 아래에 배열되고 흡입이 흡입 플레이트(3)를 통해 적용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통과하는 건조 스트림은 이전에 작업 상자(1)를 통과하는 반면에, 생성 디바이스(5)가 작업 상자(1) 위에 배열되고 흡입이 흡입 플레이트(3)를 통해 적용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통과하는 건조 스트림은 이전에 작업 상자(1)를 통과하지 않았으며, 작업 상자(1)는 흡입 플레이트(3)를 통과한 후의 상기 건조 스트림를 수용한다.
방법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바이스(4 및 5)들은 상기 작업 상자(1) 아래에서 간섭하지 않는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설비(1000)의 제2 스테이션(102)은 제2 스테이션(102)의 구조물(102.1) 상에 배열된 세정 플랫폼(102.0)을 포함하며, 작업 상자(1) 및 세정 플랫폼(102.0)은 서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은 방법에 대해 설명된(이 설명은 또한 설비(1000)에도 유효하다) 바와 같이 제어된 개방을 가지는 복수의 배출 구멍(1.1a)을 포함하고, 입자상 재료는 배출 구멍을 통해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세정 플랫폼(102.0)은 작업 상자(1)에 결합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중공이어서(또는 부분적으로 중공이어서), 작업 상자(1)로부터 플랫폼(1.1)의 배출 구멍(1.1a)을 통해 배출되는 과잉 입자상 재료는 동일한 배출 구멍을 통해 낙하되어 요구될 때마다 후속 이송을 위해 수집된다(폐기되거나, 또는 가능하면 심지어 재사용되도록).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랫폼(1.1)은 샌드위치처럼 서로 위에 배열된 복수의, 바람직하게 3개의 평행 플레이트(1.10)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플레이트(1.1b)는 복수의 관통 구멍(1.11)을 포함하고, 플랫폼(1.1)의 구멍(1.1a)들을 개방하기 위해, 상기 플레이트(1.1b)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이동이 가로 방향(T)으로 유발되어서, 도 7b의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플레이트(1.10)들의 구멍(1.11)이 정렬되고, 플랫폼(1.1)을 통해 응고되지 않은 결합 재료의 통과를 허용한다. 그러므로, 상이한 플레이트(1.10)들의 구멍(1.11)이 정렬될 때, 구멍을 통해 작업 상자(1) 밖으로의 응고되지 않은 입자상 재료의 통과가 허용되기 때문에, 구멍(1.1a)들이 개방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세정 플랫폼(102.0)은, 제어 가능하고 독립적인 방식으로 높이에서 이동 가능한 복수의 지지 영역에서 지지되며, 상이한 방향으로의 작업 상자(1)의 제어된 틸팅은 도 8에서 예로서 도시된 바아 같이 상기 지지 영역들의 제어된 이동에 의해 생성된다. 세정 플랫폼(102.0)은 바람직하게 직사각형 베이스를 포함하고(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방법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 플랫폼(102.0)은 4개의 지지 영역에서 지지되고, 각각의 지지 영역은 세정 플랫폼(102.0)의 모서리들 중 하나에 가깝거나 아래에 있다.
제2 스테이션(102)은 구조물(102.1)과 세정 플랫폼(102.0) 사이에 배열된 복수의 팽창성 요소(102.2)를 포함하고, 각각의 팽창성 요소(102.2)는 세정 플랫폼(102.0)이 지지되는 지지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성 요소(102.2)는 독립적인 방식으로 제어되고, 대응하는 지지 영역의 수직 이동을 유발하기 위해 제어된 방식으로 팽창 또는 수축된다.
세정을 위해, 설비는 응고되지 않은 입자상 재료를 주위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업 상자(1)의 진동을 유발하도록 진동 생성 디바이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작업 상자(1)를 틸팅시키기기 위한 수단과 결합될 수 있다.
임의의 실시예에서,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는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적용된 건조 스트림이 작업 상자(1) 내부에 배열된 코어(9)를 강제로 관통하게 하도록 적응된다. 그러므로, 건조 스트림은 단지 공기 공급이 내부 공간에 적용될 때 발생하는 것처럼 코어의 외부 표면에서만 효과적으로 수행되며, 코어의 건조는 효과적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1000)는 임의의 실시예 및/또는 구성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설비(1000)는 필요한 구성 또는 방법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필요한 구성을 포함할 것이며, 그 반대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므로, 방법과 관련하여 제공된 설명은 설비(1000)의 대응하는 실시예/구성에 대해서도 유효하며, 그러므로, 설비(1000)에 대해 제공된 설명은 방법의 대응하는 실시예/구성에 대해서도 유효하다.

Claims (15)

  1. 입자상 재료와 상기 입자상 재료를 응고시키는 첨가제의 복수의 층이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에 교번적 및 선택적 방식으로 적용되는 3D 제조를 통해, 상기 작업 상자(1)에 의해 구분된 내부 공간(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어(9)가 원하는 형상으로 생성되는 생성 단계, 및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코어(9)가 경화되는 경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는 설비(1000)의 제1 스테이션(101)에서 상기 작업 상자(1)에 의해 구현되고, 상기 경화 단계는 상기 설비(1000)의 제2 스테이션(102)에서 구현되며, 상기 작업 상자(10)는 상기 생성 단계가 상기 제1 스테이션(101)에서 수행된 후에 상기 경화 단계가 구현되는 상기 제2 스테이션(102)으로 이송되는, 모래 코어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경화 단계에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코어(9)를 경화시키기 위해, 상기 코어(9)가 배열된 상기 작업 상자(1)의 상기 내부 공간(1.0)에서 마이크로파와 건조 스트림이 적용되며,
    상기 경화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파와 건조 스트림을 적용하기 전에,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은 누출 방지 목적을 위해 구성된 뚜껑(2)에 의해 그 상부 부분에서 누출 방지 방식으로 폐쇄되고, 상기 작업 상자(1)를 향한 상기 뚜껑(2)의 수직 이동 또는 상기 뚜껑(2)을 향한 상기 작업 상자(1)의 수직 이동이 상기 누출 방지 폐쇄를 확립하기 위해 유발되며,
    상기 건조 스트림은 상기 내부 공간(1.0)의 외부로부터 및 아래 또는 위로부터의 흡입을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며,
    상기 흡입은 상기 뚜껑(2)과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존재하는 재료 사이에 배열된 흡입 플레이트(3)를 통해 적용되며, 상기 흡입 플레이트(3)는 상기 재료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는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 외부로부터 상기 뚜껑(2)을 통해 적용되며, 상기 뚜껑(2)은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0)을 포함하며, 상기 마이크로파는 상기 관통 구멍을 통해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을 향해 조향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은 상기 뚜껑(2) 및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통해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 위로부터 생성되며, 상기 플랫폼(1.1)은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입자상 재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주어진 다공성을 적어도 하나의 흡입 영역에서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플레이트(3)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입자상 재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주어진 다공성을 적어도 하나의 흡입 영역(3.0)에서 포함하며, 상기 흡입은 상기 상기 흡입 영역(3.0)을 통해 적용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상자(1)는 상기 제2 스테이션(102)의 구조물(102.1)에 결합되고, 상기 경화 단계는 상기 구조물(102.1)에 결합된 상기 작업 상자(1)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102)에서 실행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경화 단계 후에, 상기 작업 상자(1)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스테이션(102)에서 실행되는 세정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정 단계에서, 과잉 입자상 재료는 상기 코어(9)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과잉 입자상 재료는 상기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을 통하여 상기 작업 상자(1)의 상기 내부 공간(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은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으로부터 과잉 입자상 재료를 통과시켜 배출하기 위한 복수의 배출 구멍(1.1a)들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출 구멍(1.1a)들은 상기 배출을 허용하도록 상기 세정 단계 동안 제어된 방식으로 개방되며, 상기 제2 스테이션(102)의 구조물(102.1)은 세정 플랫폼(102.0)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상자(1)는 상기 작업 상자(1)가 상기 구조물(102.1)에 결합될 때 상기 세정 플랫폼 상에 배열되어 상기 세정 플랫폼에 결합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적용된 건조 스트림은 상기 작업 상자(1) 내부에 배열된 상기 코어(9)를 강제로 관통하도록 생성되는, 방법.
  8. 적어도 하나의 코어(9)가 생성되고 플랫폼(1.1)을 포함하는 작업 상자(1), 상기 작업 상자(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스테이션(101), 상기 제1 스테이션(101)과 결합되고, 입자상 재료 및 상기 입자상 재료를 응고시키는 첨가제의 복수의 층들이 상기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에 교번적 및 선택적 방식으로 적용되는 3D 제조를 통해, 상기 작업 상자(1)에 의해 구분된 내부 공간(1.0)에서 상기 코어(9)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조 수단, 상기 작업 상자(1)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스테이션(102), 상기 작업 상자(1)를 상기 제1 스테이션(101)으로부터 상기 제2 스테이션(102)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디바이스, 및 상기 제2 스테이션(102)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테이션(101)에서 생성된 상기 코어(9)들을 경화시키기 위해 구성된 경화 수단을 포함하는, 모래 코어들을 제조하도록 구성된 설비(1000)에 있어서,
    상기 경화 수단은 상기 작업 상자(1)가 상기 제2 스테이션(102)에 있을 때 상기 작업 상자(1)에 의해 구분된 내부 공간(1.0)에 마이크로파를 적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4), 및 상기 작업 상자(1)가 상기 제2 스테이션(102)에 있을 때 상기 내부 공간(1.0)에서 건조 스트림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를 포함하며,
    상기 설비(1000)는 상기 제2 스테이션(102)에서, 상기 작업 상자의 상부 부분에서 누출 방지 방식으로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을 폐쇄하도록 구성된 뚜껑(2), 상기 누출 방지 폐쇄를 확립하기 위해 상기 뚜껑(2) 또는 상기 작업 상자(1)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 및 수직 이동이 자유롭게 상기 뚜껑(2)에 부착된 흡입 플레이트(3)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작업 상자(1)가 상기 제2 스테이션(102)에 있을 때, 상기 흡입 플레이트(3)는 상기 뚜껑(2)과 상기 작업 상자(1)의 플랫폼(1.1)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는 건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 플레이트(3)와 상기 뚜껑(2)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1.0)에 흡입을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4)는 상기 뚜껑(2)에 부착되고 상기 뚜껑(2)의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0)과 연통되어서, 상기 마이크로파 생성 디바이스가 생성한 마이크로파는 상기 뚜껑(2)의 상기 관통 구멍(2.0)을 통해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도달하는, 설비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는 상기 뚜껑(2)을 통해 상기 흡입 플레이트(3)와 연통되고, 흡입을 상기 내부 공간(1.0) 위에서부터 상기 뚜껑(2) 및 상기 흡입 플레이트(3)를 통해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플레이트(3)는 중공 컬럼(2.2)에 의해 상기 뚜껑(2)에 부착되며, 상기 뚜껑(2)은 상기 컬럼(2.2)의 중공 공간과 연통되는 관통 구멍(2.1)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 공간은 상기 흡입 플레이트(3)와 연통되며, 상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는 상기 관통 구멍(2.1) 및 상기 컬럼(2.2)의 중공 공간을 통해 상기 흡입 플레이트(3)와 연통되도록 상기 뚜껑(2)의 관통 구멍(2.1)과 연통되는, 설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플레이트(3)는 공기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입자상 재료의 통과를 허용하지 않는 주어진 다공성을 적어도 하나의 흡입 영역(3.0)에서 포함하며, 상기 뚜껑(2)은 상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 및 상기 흡입 영역(3.0)과 연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 구멍(2.0)을 포함하는, 설비.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테이션(102)은 세정 플랫폼(102.0)을 구비한 구조물(102.1)을 포함하며, 상기 작업 상자(1) 및 상기 세정 플랫폼(102.0)은 건조 스트림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작업 상자(1) 및 상기 세정 플랫폼(102.0) 사이의 결합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플랫폼(1.1)은 제어된 개방을 가지는 복수의 배출 구멍(1.1a)들을 포함하며, 과잉 입자상 재료는 상기 배출 구멍을 통해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으로부터 배출되며, 상기 설비(1000)는 상기 개방을 생성하기 위한 수단을 상기 제2 스테이션(102)에서 포함하는, 설비.
  14.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림 생성 디바이스(5)는 상기 작업 상자(1)의 내부 공간(1.0)에 적용되는 건조 스트림이 상기 작업 상자(1) 내부에 배열된 상기 코어(9)를 강제로 관통시키도록 구성된, 설비.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은 마이크로파에 견디기 위한 재료를 포함하는, 설비.
KR1020207036291A 2018-06-13 2019-06-11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 KR102607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382417.6A EP3581295B1 (en) 2018-06-13 2018-06-13 Method and installation for making sand cores
EP18382417.6 2018-06-13
PCT/ES2019/070407 WO2019238997A1 (es) 2018-06-13 2019-06-11 Método e instalación para la fabricación de machos de aren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453A KR20210019453A (ko) 2021-02-22
KR102607936B1 true KR102607936B1 (ko) 2023-12-01

Family

ID=62791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6291A KR102607936B1 (ko) 2018-06-13 2019-06-11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18528B2 (ko)
EP (1) EP3581295B1 (ko)
JP (1) JP7332171B2 (ko)
KR (1) KR102607936B1 (ko)
ES (1) ES2880408T3 (ko)
MX (1) MX2020011964A (ko)
WO (1) WO2019238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46034A1 (it) * 2017-04-27 2018-10-27 Siti B & T Group Spa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di lastre in graniglie minerali legate con resine.
CN111616404A (zh) * 2020-06-05 2020-09-04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加热卷烟用颗粒的微波干燥方法
DE102020211223A1 (de) 2020-09-08 2022-03-1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Trocknungssystem für 3D-Druckbauteile, Fertigungssystem für die Herstellung von 3D-Druckbautei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4941A (zh) 2015-10-30 2016-02-24 宁夏共享模具有限公司 用于3d打印砂型的烘干方法
CN106123520A (zh) 2016-08-26 2016-11-16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一种砂芯烘干设备
CN108007096A (zh) 2017-11-14 2018-05-08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一种顶升式砂芯微波烘干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3055A (ja) * 1982-04-02 1983-10-11 Sintokogio Ltd 主型鋳型の造型方法
US5095967A (en) 1991-01-09 1992-03-17 Disamatic, Inc. Modular core making machine
ES2542894B1 (es) 2014-02-11 2016-08-03 Loramendi, S.Coop. Máquina y método para la fabricación de machos de arena
WO2017152348A1 (zh) * 2016-03-07 2017-09-14 苏州明志科技有限公司 一种集成有微波固化功能的制芯机
EP3366460B1 (en) 2017-02-23 2020-07-08 Loramendi, S.COOP. Method and system for unpacking objec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44941A (zh) 2015-10-30 2016-02-24 宁夏共享模具有限公司 用于3d打印砂型的烘干方法
CN106123520A (zh) 2016-08-26 2016-11-16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一种砂芯烘干设备
CN108007096A (zh) 2017-11-14 2018-05-08 宁夏共享机床辅机有限公司 一种顶升式砂芯微波烘干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9453A (ko) 2021-02-22
US20210069774A1 (en) 2021-03-11
EP3581295A1 (en) 2019-12-18
JP2021526461A (ja) 2021-10-07
MX2020011964A (es) 2021-09-02
ES2880408T3 (es) 2021-11-24
JP7332171B2 (ja) 2023-08-23
US11318528B2 (en) 2022-05-03
WO2019238997A1 (es) 2019-12-19
EP3581295B1 (en)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7936B1 (ko) 모래 코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설비
JP7099730B2 (ja) 物質を取り出す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RU26317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нанесения слоя для 3d-принтера
US7237593B2 (en) Molding machine and a pattern carrier used therefor
US6843303B2 (en) Method of sand coremaking
WO199000864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ticles from expandible thermo-plastic materials
DK3260272T3 (en) DEVICE FOR MANUFACTURING AT LEAST A THREE-DIMENSIONAL BUILDING TO THE BUILDING INDUSTRY
EP3112048B1 (en) Variable diameter investment casting mold of reticulated metal foams
RU2783976C2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счаных литейных стержней
KR970014882A (ko) 주조장치
KR20190128718A (ko) 주조 코어 및 주조 코어 제조 방법
US2024010058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three-dimensional objects
US4921035A (en) Process for compacting powdery materials
KR102442500B1 (ko) 수지와 결합된 미네랄 그릿으로 슬래브를 생산하기 위한 장비
US20170136663A1 (en) Chemical resistant composite support pad mol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upport pad
RU2020138482A (ru) Способ и установка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счаных литейных стержней
KR101613188B1 (ko) 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품 성형방법
US553580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ing a granular material for foundry use
SU11486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несени порошковых покрытий
SU1096033A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 лини вакуумной формовки
US20220402206A1 (en) 3d printing non-powered compartments with passive latches
JPH1029038A (ja) 中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110810878A (zh) 在食物产品的外侧面施加颗粒状物料的方法和设备
FI64762B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i en form av en maongformad prdukt av en blandning bestaoende av plast och en relativt ost andel fyllmedel
JP2000094092A (ja) 鋳型造型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