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389B1 - 내시경용 지혈클립 - Google Patents
내시경용 지혈클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41389B1 KR102441389B1 KR1020220028870A KR20220028870A KR102441389B1 KR 102441389 B1 KR102441389 B1 KR 102441389B1 KR 1020220028870 A KR1020220028870 A KR 1020220028870A KR 20220028870 A KR20220028870 A KR 20220028870A KR 102441389 B1 KR102441389 B1 KR 1024413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mostatic
- tweezers
- fitting ring
- affected part
- hemostasi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2—Clamps or clips, e.g. for the umbilical cord
- A61B17/1227—Spring clip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 A61B17/128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applying or removing clamps or clip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818—Treatment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62—Material properties elastic or resili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지혈끼움링이 핀셋에 끼워져 핀셋이 환부를 파지시 지혈촉진부가 지혈끼움링의 이동에 연동하여 환부로 접촉됨으로써, 환부를 효과적으로 지혈할 수 있는 내시경용 지혈클립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내시경용 지혈클립은 양 갈래로 분기되어 자체 탄성으로 벌어지는 핀셋과, 상기 핀셋이 오므려져서 환자의 환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핀셋에 끼워지는 지혈끼움링 및 상기 핀셋이 환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지혈끼움링을 상기 핀셋에 끼움시 환부에 접촉하여 지혈을 촉진시키는 지혈촉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내시경용 지혈클립은 양 갈래로 분기되어 자체 탄성으로 벌어지는 핀셋과, 상기 핀셋이 오므려져서 환자의 환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핀셋에 끼워지는 지혈끼움링 및 상기 핀셋이 환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지혈끼움링을 상기 핀셋에 끼움시 환부에 접촉하여 지혈을 촉진시키는 지혈촉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아래 실시예들은 내시경용 지혈클립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내시경 검사는 사람의 위장관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 관체에 신체 내부 영상을 볼 수 있도록 광학기기가 장착되어 검사자 또는 환자의 입이나 항문에 삽입시켜 이루어진다.
한편, 위장관 출혈로 내원한 환자는 내시경 검사를 통해 출혈 병변을 찾을 수 있고, 이러한 출혈 병변(궤양, 혈관 이형성 등)에 대해서 지혈 목적으로 지혈클립을 결찰하여 지혈하는 시술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지혈 클립은 체내에서 제거된 생체조직에서 나오는 피를 용이하게 지혈하도록 집게 형태의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집게를 이용하여 지혈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공개되어 있다. 그 예로써, 종래에는 특허등록 제10-0918723호 결찰 장치 및 특허등록 제10-0832957호 내시경용 처치구 시스템 및 처치구가 내포된 카트리지가 공개되어 있으며, 시술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처치구는 연결부재에 연결된 지혈클립을 시술자가 직접 손으로 도입관 내부로 삽입시킨 후, 연결부재를 밀거나 당기는 동작으로 클립을 진퇴시켜 환부에 결찰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카트리지는 수용된 클립을 연결부재 일단부에 구성된 연결구와 용이하게 결합시킨 후 카트리지에서 클립을 꺼내어 내시경 관체를 통해 시술 부위로 이동시키는 구조로 클립을 보호하고, 연결구와의 결합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내시경용 처치구는 지혈클립을 이용하여 출혈부위를 결찰하여도 출혈되는 환부의 범위가 넓어 지혈 클립만으로는 충분한 지혈효과를 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지혈 클립이 환부를 느슨하게 결찰되는 경우에는 환부의 지혈이 잘 되지 않으며, 지혈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내시경용 지혈클립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실시예들은 지혈끼움링이 핀셋에 끼워져 핀셋이 환부를 파지시 지혈촉진부가 지혈끼움링의 이동에 연동하여 환부로 접촉됨으로써, 환부를 효과적으로 지혈할 수 있는 내시경용 지혈클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클립은 양 갈래로 분기되어 자체 탄성으로 벌어지는 핀셋과, 상기 핀셋이 오므려져서 환자의 환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핀셋에 끼워지는 지혈끼움링 및 상기 핀셋이 환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지혈끼움링을 상기 핀셋에 끼움시 환부에 접촉하여 지혈을 촉진시키는 지혈촉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셋은 환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집게부재와, 상기 집게부재에 연결되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탄성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혈촉진부는 상기 탄성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며, 지혈물질이 함침된 지혈부재가 단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핀셋이 환부를 파지시 상기 지혈부재가 환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지혈끼움링에 연동되도록 안내하는 연동안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연동안내부는, 상기 핀셋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부와, 상기 가이드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축부 및 상기 지혈끼움링의 단부에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끼움축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걸림이동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클립은 지혈끼움링이 핀셋에 끼워져 핀셋이 환부를 파지시 지혈촉진부가 지혈끼움링의 이동에 연동하여 환부로 접촉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환부의 지혈 작용을 촉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클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클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클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클립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클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클립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클립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용 지혈 클립은 핀셋(10), 지혈끼움링(20) 및 지혈촉진부(30)를 포함한다.
핀셋(10)은 양 갈래로 분기되어 자체 탄성으로 벌어진다. 이러한 핀셋(10)은 환자의 환부를 파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지혈끼움링(20)과 지혈촉진부(30)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때, 핀셋(10)은 환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집게부재(11)와, 집게부재(11)에 연결되며 연결부(13)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탄성몸체(12)를 포함한다. 즉, 연결부(13)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탄성몸체(12)는 자체 탄성이 구비됨으로 인해 외력이 가해지기 전에 벌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탄성몸체(12)의 양측 단부에는 집게부재(11)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탄성몸체(12)와 집게부재(11)는 일체로 형성되며, 탄성몸체(12)의 단부에서 가운데를 향하여 구부러진 형상으로 집게부재(11)가 연장된다.
물론, 핀셋(10)은 스테인리스 및 티탄 합금 등의 금속, ABS 수지, 경질염화비닐수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핀셋(10)은 내시경관(미도시)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오므려진 상태를 유지하다가 외력에 의한 가압으로 내시경관에서 돌출되도록 이동되면 자체 탄성으로 인해 벌어진다.
그리고, 지혈끼움링(20)은 핀셋(10)이 오므려져서 환자의 환부를 파지하도록 핀셋(10)에 끼워진다. 이러한 지혈끼움링(20)은 별도의 클립장치(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핀셋(10) 측으로 이동하여 핀셋(10)을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지혈끼움링(20)은 끼움홀부(21)가 형성된 원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끼움홀부(21)는 핀셋(10)의 탄성몸체(12)의 길이 방향으로 끼워져 핀셋(10)의 집게부재(11)를 상호 접촉 가능하게 근접 이동시키는 직경을 갖는다.
즉, 지혈끼움링(20)은 핀셋(10)이 내시경관의 외부로 이동되어 자체 탄성으로 벌어진 상태에서 내시경관의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시키면 핀셋(10)의 집게부재(1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집게부재(11)가 환부를 파지할 수 있게 집게부재(11)를 상호 맞닿도록 이동시킨다.
물론, 지혈끼움링(20)은 생체적합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및 티탄합금 등의 금속, 또는 ABS 수지, 경질염화비닐수지,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의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지혈촉진부(30)는 핀셋(10)이 환부를 파지하도록 지혈끼움링(20)을 핀셋(10)에 끼움시 환부에 접촉되어 지혈을 촉진시킨다.
이를 위해, 지혈촉진부(30)는 핀셋(10)의 내측에 배치되며, 단부에 지혈물질이 함침된 지혈부재(31a)가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31) 및 핀셋(10)이 환부를 파지시 지혈부재(31a)가 환부에 접촉되도록 슬라이드부재(31)를 지혈끼움링(20)에 연동되도록 안내하는 연동안내부(32)를 포함한다.
이때, 지혈부재(31a)는 환부의 지혈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피브린 글루(fibrin glue), 염화칼슘제, 트롬빈, 비타민 C, 비타민 K, 콜라겐, 젤라틴, 키토산 및 미세젤폼(gelform) 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함침될 수 있으며, 이들은 수용성의 생체 적합성 또는 생분해성일 수 있다.
또한, 연동안내부(32)는 핀셋(10)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부(32a)와, 가이드홀부(32a)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슬라이드부재(31)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축부(32b) 및 지혈끼움링(20)의 단부에 걸림 가능하도록 끼움축부(32b)의 단부에 연결되는 걸림이동부재(32c)를 포함한다.
즉, 핀셋(10)의 집게부재(11)가 환부를 파지하도록 지혈끼움링(20)이 핀셋(10)에 끼워지면 걸림이동부재(32c)는 지혈끼움링(20)의 단부에 접촉된 채로 가이드홀부(32a)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슬라이드부재(31)는 지혈부재(31a)가 환부에 접촉되도록 슬라이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연동안내부(32)는 핀셋(10)의 집게부재(11)가 환부를 파지하는 순간 지혈물질이 함침된 지혈부재(31)가 환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안내함으로써, 지혈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연결부(13)에는 집게부재(11)가 지혈끼움링(20)에 의해 환부를 파지시 지혈끼움링(20)이 끼워진 반대 방향으로 이동 방지되도록 안내하는 이동방지안내부(4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방지안내부(40)는 핀셋(10)이 환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핀셋(10)의 자체 탄성으로 벌어지려는 힘이 상쇄되어 지혈끼움링(20)이 이동되는 현상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이동방지부(40)는 탄성몸체(12)와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연결부(13)에 연장 형성되고, 자체 탄성으로 벌어지는 한 쌍의 탄성바(41) 및 탄성바(41)의 단부에 연장 형성되어 지혈끼움링(20)의 단부를 걸림 지지하는 걸림턱(42)을 포함한다.
즉, 지혈끼움링(20)이 핀셋(10)에서 연결부(13)가 배치된 구간에 끼워지면 탄성몸체(12)는 지혈끼움링(20)의 내측면에 접촉 가압되다가 지혈끼움링(20)이 집게부재(11) 측으로 이동하여 집게부재(11)가 환부를 파지하는 순간 걸림턱(42)이 지혈끼움링(20)의 단부를 걸림 지지하도록 지혈끼움링(20)으로부터 벗어나서 복원된다.
또한, 지혈끼움링(20)은 걸림턱(42)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시 핀셋(10)에 끼워진 반대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걸림해제홈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해제홈부(22)는 지혈끼움링(20)이 핀셋(10)에 끼워진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깊이가 낮아지게 경사진다.
이에 따라, 환부를 파지한 핀셋(10)을 환부에서 제거할 경우, 걸림턱(42)과 걸림해제홈부(22)가 일치되도록 지혈끼움링(20)을 회전시킨 후에 핀셋(10)에 끼워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당기면 걸림턱(42)과 탄성바(41)의 연결부위가 서서히 지혈끼움링(20)의 내측면에 가압됨으로써, 핀셋(10)의 집게부재(11)가 복원 가능하게 벌어지도록 지혈끼움링(20)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핀셋 11: 집게부재
12: 탄성몸체 13: 연결부
20: 지혈끼움링 21: 끼움홀부
22: 걸림해제홈부 30: 지혈촉진부
31: 슬라이드부재 31a: 지혈부재
32: 연동안내부 32a: 가이드홀부
32b: 끼움축부 32c: 걸림이동부재
40: 이동방지안내부 41: 탄성바
42: 걸림턱
12: 탄성몸체 13: 연결부
20: 지혈끼움링 21: 끼움홀부
22: 걸림해제홈부 30: 지혈촉진부
31: 슬라이드부재 31a: 지혈부재
32: 연동안내부 32a: 가이드홀부
32b: 끼움축부 32c: 걸림이동부재
40: 이동방지안내부 41: 탄성바
42: 걸림턱
Claims (3)
- 양 갈래로 분기되어 자체 탄성으로 벌어지는 핀셋;
상기 핀셋이 오므려져서 환자의 환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핀셋에 끼워지는 지혈끼움링; 및
상기 핀셋이 환부를 파지하도록 상기 지혈끼움링을 상기 핀셋에 끼움시 환부에 접촉하여 지혈을 촉진시키는 지혈촉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핀셋은 환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집게부재와, 상기 집게부재에 연결되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탄성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혈촉진부는 상기 탄성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며, 지혈물질이 함침된 지혈부재가 단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 및 상기 집게부재가 환부를 파지시 상기 지혈부재가 환부에 접촉되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지혈끼움링에 연동되도록 안내하는 연동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안내부는 상기 탄성몸체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가이드홀부와, 상기 가이드홀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돌출 형성되는 끼움축부 및 상기 지혈끼움링의 단부에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끼움축부의 단부에 연결되는 걸림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지혈클립.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20013429 | 2022-01-28 | ||
KR1020220013429 | 2022-01-28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41389B1 true KR102441389B1 (ko) | 2022-09-13 |
Family
ID=83286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8870A KR102441389B1 (ko) | 2022-01-28 | 2022-03-07 | 내시경용 지혈클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4138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0013A (ko) * | 2003-03-17 | 2005-11-22 |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 클립 및 생체 조직의 클립 장치 |
KR100918723B1 (ko) * | 2004-12-24 | 2009-09-24 |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 결찰 장치 |
KR20180087740A (ko) * | 2017-01-25 | 2018-08-02 |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 내시경용 클립장치 |
KR20190091771A (ko) * | 2018-01-29 | 2019-08-07 | 주식회사 솔메딕스 | 내시경용 지혈클립 |
-
2022
- 2022-03-07 KR KR1020220028870A patent/KR10244138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10013A (ko) * | 2003-03-17 | 2005-11-22 | 스미또모 베이크라이트 가부시키가이샤 | 클립 및 생체 조직의 클립 장치 |
KR100918723B1 (ko) * | 2004-12-24 | 2009-09-24 |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 결찰 장치 |
KR20180087740A (ko) * | 2017-01-25 | 2018-08-02 | 주식회사 파인메딕스 | 내시경용 클립장치 |
KR20190091771A (ko) * | 2018-01-29 | 2019-08-07 | 주식회사 솔메딕스 | 내시경용 지혈클립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62994B2 (ja) | 取り外し可能な枢動顎状部材を備えている医療器具 | |
US10828044B2 (en) | Endoscopic reposable surgical clip applier | |
US10709455B2 (en) | Endoscopic surgical clip applier | |
JP5934332B2 (ja) | 取り外し可能かつ回動可能なジョーを備える医療装置 | |
US6569085B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a medical instrument over an endoscope while the endoscope is in a body lumen | |
US8591523B2 (en) | Mid-point lock suture cutter | |
JPH07299073A (ja) | 縫合糸を確保する器具及び方法 | |
EP2244640B1 (en) | Resolution clip | |
US11457941B2 (en) | Articulable endoscopic instruments | |
JP2007090062A (ja) | 縫合具 | |
US20110046661A1 (en) | Surgical instrument which can be disassembled | |
EP1494598B1 (en) | Haemostatic clip device | |
WO2020052345A1 (zh) | 一种消化道用组织钳 | |
KR102441389B1 (ko) | 내시경용 지혈클립 | |
US20230363750A1 (en) | Control mechanism for end effectors and method of use | |
KR20220080625A (ko) | 내시경용 결찰장치 | |
KR20220053996A (ko) | 파지력이 우수한 내시경용 결찰장치 | |
JP6135142B2 (ja) | クリップケース | |
US20220202433A1 (en) | Control mechanism for end effectors and method of use | |
TWM477867U (zh) | 一種改良之微創手術用器械 | |
CN116636899A (zh) | 夹具、系统和夹具部署方法 | |
CN115605143A (zh) | 用于末端执行器的控制机构及使用方法 | |
JP2000350730A (ja) | 結紮縫合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