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1175B1 -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 - Google Patents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1175B1
KR102441175B1 KR1020200153451A KR20200153451A KR102441175B1 KR 102441175 B1 KR102441175 B1 KR 102441175B1 KR 1020200153451 A KR1020200153451 A KR 1020200153451A KR 20200153451 A KR20200153451 A KR 20200153451A KR 102441175 B1 KR102441175 B1 KR 1024411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tery
alcoholic beverages
alcohol
lower body
dist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67112A (ko
Inventor
김진호
최정훈
한규성
김응수
Original Assignee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세라믹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세라믹기술원
Priority to KR102020015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1175B1/ko
Publication of KR20220067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11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11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34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B01D3/40Extractive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1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distillation or rectification of fermented solutions
    • B01D3/003Rectification of spir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8/00Enamels; Glazes; Fusion seal compositions being frit compositions having non-frit ad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0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2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by distil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주류용 증류 옹기가 제공된다.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는, 내부에 상기 주정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고, 내벽으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격벽을 포함하는 하부 바디, 중앙부에 상기 하부 바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림(rim) 형상을 갖고, 내주면과 상기 통공 사이에 링 형상의 회수홈이 형성된 중간 바디, 및 내부에 상기 중간 바디의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공간을 갖고, 내벽 하부로부터 내벽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 {Distilled pottery for alcoholic beverages and glazes that coat them}
본 발명은 주정으로부터 알코올을 추출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주정이 수용되는 하부 바디, 기화된 주정을 회수하는 중간 바디, 및 냉각기와 연결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에 관련된 것이다.
증류과정은 열에너지의 효율적인 제어를 통해 주정의 상을 인위적으로 변화시켜 알코올과 물, 각종 휘발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으로서, 열전도, 증발, 응축과정으로 대표된다.
증류식 소주는 전통적 숙성 용기인 옹기에서 숙성과정을 거쳐 산화 조건에서의 향미성분의 화학적 변화와 알코올과 물 분자의 회합에 의한 물리적 변화를 거쳐 원숙미를 갖추는 숙성이 이루어진다.
옹기에서 용출되는 금속성분 그 자체는 향미 성분이 될 수 없으나 숙성변화를 촉진하는 촉매역할을 하며 통기성을 가지는 옹기에서 증류주는 공기와 접촉하면서 자극적 향미가 없어지고 방향이 증가하는데, 이는 숙성 초기에 가스취 성분인 아세트알데히드류와 유황 화합물이 없어지고 에스테르류가 생성되면서 나타나는 변화이다. 또한, 알코올과 물 분자의 화합에 의해 클러스터(cluster)가 형성되므로 증류 직후 알코올 특유의 자극미가 감소되면서 원숙미를 가지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옹기의 구조, 형상, 옹기를 구성하는 재료, 및 옹기에 코팅되는 유약 또한 증류주의 숙성에 영향을 미쳐, 증류주의 품질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기술적 과제는, 풍미, 향미 등과 같은 주류의 품질이 향상된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냉각기로 전달되는 증기의 유량이 극대화되어, 주류의 생산성이 향상된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압식 증류기에서 빈번하게 발생되는 Furfural(C5H4O2) 성분을 억제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옹기 표면에 형성된 DMTS(dimethyltrisulphide) 및 머캅탄(mercaptane)과 같은 황화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류용 증류 옹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정으로부터 알코올을 추출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에 있어서,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는, 내부에 상기 주정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고, 내벽으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격벽을 포함하는 하부 바디, 중앙부에 상기 하부 바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림(rim) 형상을 갖고, 내주면과 상기 통공 사이에 링 형상의 회수홈이 형성된 중간 바디, 및 내부에 상기 중간 바디의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공간을 갖고, 내벽 하부로부터 내벽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바디가 포함하는 상기 격벽은 상기 하부 바디의 내벽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정이 기화되어 형성된 증기는, 상기 격벽에 의하여 난류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바디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내지 제3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증기는, 상기 제1 격벽에 의한 제1 난류, 상기 제2 격벽에 의한 제2 난류,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한 제3 난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 바디의 내주면은 상기 회수홈의 외주면을 이루고, 상기 회수홈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회수홈 내주면의 상단부 높이는, 상기 회수홈 외주면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것을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수홈에는, 상기 중간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바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정이 기화된 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액체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중간 바디로부터 상기 하부 바디로 회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바디가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홈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선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홈의 상부 직경은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에 의해, 상기 주정이 기화되어 형성된 증기는 상기 상부 바디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용돌이 형태로 이동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바디의 열전도도는 상기 중간 바디의 열전도도보다 높고, 상기 중간 바디의 열전도도는 상기 상부 바디의 열전도도보다 높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중간 바디 또는 상기 상부 바디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도는, 74.1 μm 이하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류용 증류 옹기의 표면을 코팅하는 유약이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주류용 증류 옹기의 표면을 코팅하는 유약에 있어서, 상기 유약은 산화 구리를 포함하되, 상기 유약은,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로부터 규소(Si), 알루미늄(Al), 칼슘(Ca), 칼륨(K), 나트륨(Na), 및 구리(Cu) 이온을 용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약 내의 상기 산화 구리의 함량은, 1 wt% 초과 5 wt% 미만인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는, 내부에 상기 주정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고, 내벽으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격벽을 포함하는 하부 바디, 중앙부에 상기 하부 바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림(rim) 형상을 갖고, 내주면과 상기 통공 사이에 링 형상의 회수홈이 형성된 중간 바디, 및 내부에 상기 중간 바디의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공간을 갖고, 내벽 하부로부터 내벽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정이 기화된 증기의 순환이 극대화되고, 상기 증기가 응축된 액체가 상기 주정에 즉각적으로 혼합되는 문제점이 예방되며, 상기 상부 바디와 연결된 냉각기로 전달되는 상기 증기의 유량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바디, 상기 중간 바디, 및 상기 상부 바디의 열전도도는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냉각기로 전달되는 상기 증기의 유량이 극대화되고, Furfural(C5H4O2) 성분의 발생량이 감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의 표면에는 산화 구리(CuO)를 포함하는 유약이 코팅되되, 상기 유약 내의 상기 산화 구리(CuO)의 함량이 1 wt% 초과 5 wt%로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약을 통해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로부터 용출되는 구리(Cu) 이온의 용출량이 극대화되어, DMTS(dimethyltrisulphide) 및 머캅탄(mercaptane)과 같은 황화합물이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의 단면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하부 바디의 투과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하부 바디의 투과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하부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중간 바디의 투과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중간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상부 바디의 투과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상부 바디의 투과 저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상부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상부 바디의 단면도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자에 따른 미세구조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의 단면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10)는, 내부에 주정이 수용되는 하부 바디(100), 기화된 상기 주정을 회수하는 중간 바디(200), 및 냉각기와 연결되는 상부 바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10)는, 주정을 열처리하여 기화시키는 용기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하부 바디(10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하부 바디의 투과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하부 바디의 투과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하부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바디(100)는, 내부에 빈 공간(BS)을 갖고 상단부가 개방된 항아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100)의 상기 빈 공간(BS)에는 주정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바디(100)는, 액상 형성을 촉진시키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 바디(100)는, CaO Source Wollastonite(CaO·SiO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100)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 바디(100)의 내벽으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격벽(112, 114, 116)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바디(100)의 내부에는 제1 내지 제3 격벽(112, 114, 116)이 서로 120°의 각도를 이루면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격벽(112, 114, 116)은 각각, 상기 하부 바디(100)의 내벽 하부(100a)로부터 상부(100b) 방향으로 나선 형상을 가지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100)에 상기 주정이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주정이 열처리되는 경우, 상기 주정이 기화될 수 있다. 상기 주정이 기화되어 형성된 증기는, 상기 하부 바디(100)의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후술되는 중간 바디(2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주정이 기화되어 형성된 증기는, 후술되는 중간 바디(200)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제1 내지 제3 격벽(112, 114, 116)에 의하여 난류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격벽(112, 114, 116)은 각각, 상기 증기의 개별적 난류를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증기는, 상기 제1 격벽(112)에 의한 제1 난류, 상기 제2 격벽(114)에 의한 제2 난류, 및 상기 제3 격벽(114)에 의한 제3 난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바디(100) 내에서 상기 증기의 순환이 극대화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주정의 열평형 상태가 효율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중간 바디(20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중간 바디의 투과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중간 바디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중간 바디(200)는, 중앙부에 통공(210)이 형성된 림(rim)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간 바디(200)는, 상기 하부 바디(100)의 개방된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 바디(200)의 상기 통공(210)은, 상기 하부 바디(100)의 상기 빈 공간(BS)과 연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부 바디(100)로부터 형성된 상기 증기는, 상기 중간 바디(200)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공(210)을 통해, 상기 중간 바디(200)로 유입된 상기 증기는, 후술되는 상부 바디(300)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바디(200)의 내주면과 상기 통공(210) 사이에는 링(ring) 형상의 회수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바디(200)의 내주면은 상기 회수홈(220)의 외주면을 이루고, 상기 회수홈(220)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통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수홈(220) 내주면의 상단부 높이(h1)는, 상기 회수홈(220) 외주면의 상단부 높이(h2)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기가 상기 중간 바디(200)를 통해 이동하는 중, 열손실로 인한 응축이 발생되어 형성된 액체는, 상기 중간 바디(200)의 내벽을 따라 흘러내려 상기 회수홈(2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회수홈(220)에는, 복수의 관통홀(TH)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관통홀(TH)은 각각, 상기 중간 바디(200)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관통홀(TH)은 각각, 상기 하부 바디(100)의 상기 빈 공간(ES)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주정이 기화된 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상기 액체는, 상기 회수홈(220)으로 유입된 후, 상기 관통홀(TH)을 통해 상기 중간 바디(200)로부터 상기 하부 바디(100)로 회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100)로 회수된 상기 액체는, 상기 주정과 혼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액체는 상기 회수홈(220) 및 상기 관통홀(TH)을 거쳐 상기 하부 바디(100)로 회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액체가 상기 주정과 즉각적으로 혼합되는 문제가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주정을 통해 제조되는 주류의 풍미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회수홈(220) 및 상기 관통홀(TH)을 거치지 않고, 상기 중간 바디(200)로부터 상기 하부 바디(100)로 상기 액체가 바로 흘러내려 상기 주정에 상기 액체가 즉각적으로 혼합되는 경우, 상기 주정을 통해 제조되는 주류의 풍미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부 바디(300)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상부 바디의 투과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상부 바디의 투과 저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상부 바디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가 포함하는 상부 바디의 단면도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바디(300)는 내부에 빈 공간(TS)을 갖고,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콘(con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바디(300)의 하단부 및 상단부는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300)의 하단부는, 상기 중간 바디(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바디(300)의 빈 공간(TS)은 상기 중간 바디(200)의 상기 통공(210)과 연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하부 바디(100)로부터 상기 중간 바디(200)의 상기 통공(210)으로 이동된 상기 증기는, 상기 중간 바디(200)의 상기 통공(210)을 거쳐 상기 상부 바디(300)의 빈 공간(TS)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300)의 상단부는, 냉각기(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바디(300)의 빈 공간(TS)으로 이동된 상기 증기는, 상기 상부 바디(300)의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된 상단부를 통해 상기 상부 바디(300)로부터 상기 냉각기(미도시)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바디(100)에 수용된 상기 주정이 열처리되는 경우, 상기 주정이 기화되어 형성된 상기 증기는, 상기 하부 바디(100), 상기 중간 바디(200), 및 상기 상부 바디(300)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상기 냉각기(미도시)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300)는, 내벽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홈(3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310)은 각각, 상기 상부 바디(300)의 내벽 하부로부터 내벽 상부 방향으로 나선 형상을 가지며 연장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바디(300)는,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되는 콘(cone) 형상을 가짐으로, 상기 가이드홈(310) 또한 상부 직경(d1)이 하부 직경(d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부 바디(300)를 이동하는 상기 증기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310)에 의하여, 상기 상부 바디(300)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용돌이 형태로 이동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상부 바디(300) 내를 이동하는 상기 증기의 유속이 향상되어, 상기 냉각기(미도시)로 유입되는 상기 증기의 유량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상부 바디(300)의 내벽에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310)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 상기 상부 바디(300)를 이동하는 상기 증기의 체류시간이 증가하여, 상기 냉각기(미도시)로 유입되는 상기 증기의 유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10)는, 상기 하부 바디(100), 상기 중간 바디(200), 및 상기 상부 바디(300)의 열전도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바디(100)의 열전도도는 상기 중간 바디(200)의 열전도도보다 높고, 상기 중간 바디(200)의 열전도도는 상기 상부 바디(300)의 열전도도보다 높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10)는, 상기 하부 바디(100), 상기 중간 바디(200), 및 상기 상부 바디(300)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도가 제어되어, 상기 하부 바디(100), 상기 중간 바디(200), 및 상기 상부 바디(300)의 열전도도가 서로 다르게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바디(200) 및 상기 상부 바디(300)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도는, 상기 하부 바디(100)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도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 바디(200) 및 상기 상부 바디(300)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도는 67.1 μm 내지 74.1 μm이고, 상기 하부 바디(100)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도는 17.7 μm 내지 21.3 μm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 바디(200) 및 상기 상부 바디(300)의 열전도도는, 상기 하부 바디(100)의 열전도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중간 바디(200) 및 상기 상부 바디(300)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도가 74.1 μm를 초과하는 경우, 옹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성형불량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건조과정에서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바디(100), 상기 중간 바디(200), 및 상기 상부 바디(300)의 열전도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주정이 기화되어 형성된 상기 증기의 응축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냉각기(미도시)로 전달되는 상기 증기의 양이 극대화되어, 주류의 생산성 및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바디(100), 상기 중간 바디(200), 및 상기 상부 바디(300)의 열전도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됨에 따라, Furfural(C5H4O2) 성분의 발생량이 감소될 수 있다. Furfural(C5H4O2) 성분의 경우, 주류의 풍미를 감소시키게 되므로, Furfural(C5H4O2) 성분의 발생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주류의 풍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10)의 표면에는 유약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유약은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10)로부터 규소(Si), 알루미늄(Al), 칼슘(Ca), 칼륨(K), 나트륨(Na), 및 구리(Cu) 이온 등을 용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약은 산화 구리(CuO)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약 내의 상기 산화 구리(CuO)의 함량이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10)로부터 용출되는 상기 구리(Cu) 이온의 용출량이 증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약 내의 상기 산화 구리(CuO)의 함량이 1 wt% 초과 5 wt% 미만으로 제어되는 경우,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10)로부터 용출되는 상기 구리(Cu) 이온의 용출량이 증가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유약 내의 상기 산화 구리(CuO)의 함량이 1 wt% 이하이거나 5 wt% 이상인 경우,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10)로부터 용출되는 상기 구리(Cu) 이온의 용출량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10)로부터 상기 구리(Cu) 이온이 용출되는 경우, DMTS(dimethyltrisulphide) 및 머캅탄(mercaptane)과 같은 황화합물이 제거될 수 있다. 상술된 황화합물의 경우 주류의 향미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약을 통해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10)로부터 상기 구리(Cu) 이온을 용출하여 상기 황화합물을 제거함으로써, 주류의 향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약 내의 상기 산화 구리(CuO)의 함량을 1 wt% 초과 5 wt%로 제어함으로써, 상기 주류용 증류 옹기(10)로부터 용출되는 상기 구리(Cu) 이온의 용출량을 증가시켜, 주류의 향미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이 설명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의 구체적인 실험 예 및 특성 평가 결과가 설명된다.
옹기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도에 따른 열전도도 평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형태의 주류용 증류 옹기를 제조하되, 옹기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도를 달리하고, 이에 따라 제조된 옹기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아래의 <표 1>을 통해 정리되고, 미세구조가 도 14를 통해 도시된다.
구분 실험 예 1 실험 예 2 실험 예 3 실험 예 4
Particle Size(μm) 70.6±3.5 57.6±2.9 23.2±2.5 19.5±1.8
Porosity(%) 21.9±0.1 19.6±0.1 14.6±0.2 10.9±0.2
Thermal Conductivity(W/m·K) 0.935±0.017 1.057±0.107 1.254±0.064 1.383±0.098
Heat Capacity(J/kg·K) 869.4±56.4 811.0±20.4 786.2±33.8 708.9±28.6
Thermal diffusivity(M2/S) 4.89±10-7 6.02±10-7 7.25±10-7 9.15±10-7
<표 1>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광물의 입도가 증가할수록 열전도도 또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열전도도로 구성되는 중간 바디 및 상부 바디는 실험 예 1에 따른 광물을 사용(70.6±3.5 μm)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열전도도로 구성되는 하부 바디는 실험 예 4에 따른 광물을 사용(10.9±0.2 μm)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옹기를 표면에 코팅된 유약 내의 산화 구리 함량에 따른 용출 이온 평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형태의 주류용 증류 옹기를 제조하되, 옹기 표면에 코팅되는 유약 내의 산화 구리(CuO) 함량을 달리하고, 주류용 증류 옹기에서 용출되는 이온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아래의 <표 2>를 통해 정리된다.
구분 실험 예 5
(CuO 0 wt%)
실험 예 6
(CuO 1 wt%)
실험 예 7
(CuO 3 wt%)
실험 예 8
(CuO 5 wt%)
Si (ppm) 0.02 0.04 0.02 0.04
Al (ppm) 0.00 0.00 0.00 0.00
Ca (ppm) 0.12 0.15 0.15 0.15
K (ppm) 0.02 0.02 0.02 0.03
Na (ppm) 0.08 0.04 0.05 0.05
Cu (ppm) 0.00 0.01 0.04 0.03
Sum (ppm) 0.24±0.02 0.27±0.02 0.28±0.02 0.30±0.02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산화 구리(CuO)의 함량이 0 wt%에서 3 wt%로 증가함에 따라 구리(Cu) 이온의 용출량이 점점 증가하지만, 3 wt%에서 5 wt%로 증가하는 경우 구리(Cu) 이온의 용출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유약을 통해 구리(Cu) 이온의 용출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산화 구리(CuO)의 함량이 1 wt% 초과 5 wt% 미만으로 제어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주류용 증류 옹기
100: 하부 바디
112, 114, 116: 제1 내지 제3 격벽
200: 중간 바디
210: 통공
220: 회수홈
300: 상부 바디
310: 가이드홈

Claims (11)

  1. 주정으로부터 알코올을 추출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주정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고, 내벽으로부터 중심부 방향으로 돌출된 격벽을 포함하는 하부 바디;
    중앙부에 상기 하부 바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통공이 형성된 림(rim) 형상을 갖고, 내주면과 상기 통공 사이에 링 형상의 회수홈이 형성된 중간 바디; 및
    내부에 상기 중간 바디의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공간을 갖고, 내벽 하부로부터 내벽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상부 바디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 바디가 포함하는 상기 격벽은 상기 하부 바디의 내벽 하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상기 주정이 기화되어 형성된 증기는, 상기 격벽에 의하여 난류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내지 제3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증기는, 상기 제1 격벽에 의한 제1 난류, 상기 제2 격벽에 의한 제2 난류,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한 제3 난류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바디의 내주면은 상기 회수홈의 외주면을 이루고, 상기 회수홈의 내주면에 의해 상기 통공이 형성되되,
    상기 회수홈 내주면의 상단부 높이는, 상기 회수홈 외주면의 상단부 높이보다 낮은 것을 것을 포함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홈에는, 상기 중간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 바디의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정이 기화된 증기가 응축되어 형성된 액체는,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중간 바디로부터 상기 하부 바디로 회수되는 것을 포함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디가 포함하는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홈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나선 형상을 갖고,
    상기 가이드홈의 상부 직경은 상기 가이드홈의 하부 직경보다 작으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홈에 의해, 상기 주정이 기화되어 형성된 증기는 상기 상부 바디의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소용돌이 형태로 이동되는 것을 포함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의 열전도도는 상기 중간 바디의 열전도도보다 높고, 상기 중간 바디의 열전도도는 상기 상부 바디의 열전도도보다 높은 것을 포함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바디 또는 상기 상부 바디를 구성하는 광물의 입도는, 74.1 μm 이하인 것을 포함하는 주류용 증류 옹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53451A 2020-11-17 2020-11-17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 KR1024411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451A KR102441175B1 (ko) 2020-11-17 2020-11-17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451A KR102441175B1 (ko) 2020-11-17 2020-11-17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112A KR20220067112A (ko) 2022-05-24
KR102441175B1 true KR102441175B1 (ko) 2022-09-06

Family

ID=81806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451A KR102441175B1 (ko) 2020-11-17 2020-11-17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11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601A (ja) 2001-03-29 2002-10-0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流下膜式蒸留装置
KR101812564B1 (ko) 2015-11-26 2017-12-2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옹기 플레이트와 볼을 이용한 전통주 증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288Y1 (ko) * 1999-04-24 2002-04-03 강영순 삼단자부증류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2601A (ja) 2001-03-29 2002-10-0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流下膜式蒸留装置
KR101812564B1 (ko) 2015-11-26 2017-12-2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옹기 플레이트와 볼을 이용한 전통주 증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112A (ko) 202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95549B1 (en) A separation membrane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0687004B1 (en) Porous dielectric o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s for fabrication thereof
TWI483914B (zh) 由石英玻璃製造覆層元件之方法
TWI595585B (zh) 暫時性複合式載板
KR102441175B1 (ko) 주류용 증류 옹기 및 이를 코팅하는 유약
CN106495742B (zh) 抗蜡块粘结釉料、抗蜡块粘结陶瓷及其制备工艺
JPS5968398A (ja) 食用油の精製方法及び装置
FR2497188A1 (fr) Substrat en ceramique emaillee
CN102316949A (zh) 分隔壁蒸馏塔
US200201703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rotationally symmetrical quartz glass crucibles
CN1229273A (zh) 制造半导体器件的方法
JPS5998677A (ja) ワインのアルコ−ル濃度減少装置および方法
CN106518167A (zh) 一种具有远红外强化功能的陶瓷器皿内涂层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89202A (ko) 장기 숙성용 증류주 숙성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N106555181A (zh) 一种铜件表面的钝化处理液
CN110510998A (zh) 一种能适应多种热源的棕色釉陶瓷煲及其制备方法
US5593930A (en) Composition for high pressure casting slip, high pressure casting slip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sition and slip
US2358272A (en) Art of distilling spirituous liquors
CN108410271A (zh) 一种纳米氧化净醛地板及其生产方法以及纳米氧化净醛液和桉迷纳米净醛液
CN206188864U (zh) 用于真空冶炼炉的蒸发盘及其蒸发盘组
JPH0139974B2 (ko)
KR20170061751A (ko) 옹기 플레이트와 볼을 이용한 전통주 증류장치
KR101871320B1 (ko) 인덕션 열원을 이용한 증류기
JP2004125242A (ja) セラミックシート成形機
KR20240085388A (ko) 내오염성을 향상시키고 숙성을 가속화할 수 있는 증류주 숙성 옹기 및 증류주 숙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