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0660B1 -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0660B1
KR102440660B1 KR1020200100521A KR20200100521A KR102440660B1 KR 102440660 B1 KR102440660 B1 KR 102440660B1 KR 1020200100521 A KR1020200100521 A KR 1020200100521A KR 20200100521 A KR20200100521 A KR 20200100521A KR 102440660 B1 KR102440660 B1 KR 10244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article
delivered
notification signal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20057A (ko
Inventor
신상용
허원진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0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0660B1/ko
Priority to US17/398,324 priority patent/US20220051186A1/en
Priority to EP21190486.7A priority patent/EP3955193A1/en
Publication of KR20220020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0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0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6Recipient pick-ups
    • G06Q50/2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3Trac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2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 G06V20/54Surveillance or monitoring of activities, e.g. for recognising suspicious objects of traffic, e.g. cars on the road, trains or boa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배달 물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이 설명된다. 배달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은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1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1 물품이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1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제1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집합건물의 주차장을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DEVICE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O MANAGE DELIVERY GOODS DELIVERED TO A BUILDING}
본 개시는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아파트나 상가와 같은 다수의 개별 호가 집합된 집합건물에 택배와 같은 형태로 물품이 배달되어 해당 물품이 무인 택배함과 같은 물품 보관함에 보관된 경우, 해당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의 거주자 또는 사용자에게 해당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적절한 통지를 전달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최근 들어, 온라인 쇼핑몰이 증가함에 따라,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로 배달되는 물품이 증가하고 있다. 물품이 배달될 때, 사용자들이 업무 또는 외출 등의 다양한 이유로 자리를 비우게 되면, 배달되는 순간 물품을 받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배달자는 배달 당시 사용자가 세대에 있지 않으면, 배달 물품을 문 앞에 두고 가기도 한다. 그러나, 이처럼 문 앞에 배달 물품을 두고 가는 경우, 분실의 위험이 크며 추후에 분실된 물품에 대한 분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분쟁을 막고 물품이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파트와 같은 집합건물 내에 무인 택배함과 같은 배달 물품 보관함이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기존의 배달 물품 보관함의 경우, 물품이 배달되면 사용자의 휴대 단말에 알림을 보내는데, 이러한 알림은 배달되는 시간에 도달하게 되므로 알림이 도착하여도 사용자가 물품을 바로 수령하기 어렵다. 물품 배달 이후 시간이 흐르면, 사용자는 배달된 물품을 잊어버리는 등의 이유로 배달된 물품을 수령하는 데 어려움이 생기며, 세대에 도착한 후에는, 세대와 물품이 보관된 장소를 여러 차례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대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30796호에서는 주차장에서 인식된 차량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 상의 소정의 안내 정보 제공 서비스를 실행하여 안내 정보 제공용 메시지를 제공한다. 여기서 안내 정보 제공용 메시지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서비스 요청 목록에 따라 결정되며, 사용자는 도착한 우편물 및 택배 도착에 대한 알림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용자, 특히 운전자는 주차장 진입 시와 주차 시에는 모바일 장치를 확인하기 어렵고, 사용자의 전화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없어 적시에 배달 물품에 관한 정보를 받기 어려워진다.
공개 특허 제10-2006-0030796호
본 개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달 물품 주소지의 사용자에게 적절한 시점에 다양한 형태로 해당 물품의 배달 사실에 대한 통지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이 제시된다. 이 방법은 배달 물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며,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1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1 물품이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제1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제1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그리고 생성된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집합건물의 주차장을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물품 보관함은, 예컨대 지하 주차장에 위치할 수 있다.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집합건물의 각 주소 및 해당 주소와 연관된 차량 번호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제1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며,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주차장의 진입로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 설명된다. 이 시스템은,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제1 물품 보관함에 보관되는 물품의 배달 및 회수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과, 집합건물의 주차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주차 관리 로컬 서버와, 그리고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 및 주차 관리 로컬 서버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배달 물품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물품 보관함은, 예컨대 지하 주차장에 위치할 수 있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1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1 물품이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고, 제1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제1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생성된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집합건물의 각 주소 및 해당 주소와 연관된 차량 번호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제1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며,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주차장의 진입로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설명된다. 이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1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1 물품이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과, 제1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과, 그리고 생성된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집합건물의 주차장을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전술한 특징들 및 기타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분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고, 따라서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는 것을 이해하면서,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의 사용을 통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배달 물품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차량이 집합건물 내의 주차장에 진입할 때,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 관리 로컬 서버, 사용자 모바일 단말 및 주차 관리 중앙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달 물품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달 물품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달 물품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7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달 물품을 관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하는 도면이며; 그리고
도 8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집합건물 내에서 배달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배달 물품 관리 시스템, 방법,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집합건물은 아파트뿐만 아니라 오피스텔, 오피스, 아파트형 공장, 연립주택, 다세대 주택 등 하나의 건물 중 구조상으로 구분된 수 개의 부분이 독립된 건물로써 사용될 수 있는 건물을 포함한다. 또한,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배달 물품은 택배, 우편, 기타 여러 배달 서비스를 통해 배달되는 물품일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집합건물에는 이러한 배달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무인 택배함과 같은 배달 물품 보관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배달 물품 보관함은 지하철 코인락커와 같이 다수의 개별 보관함(각 개별 보관함에는 잠금 장치가 설치됨)과 이들 개별 보관함에 물품의 보관 및 회수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단말 및 물품 배달자와 사용자의 물품 보관 및 회수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예컨대, 터치스크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물품 보관함은 집합건물 내의 여러 장소, 예컨대 지하 주차장, 로비 등에 위치할 수 있다. 배달 물품의 배달자는 이러한 배달 물품 보관함의 특정 보관함에 해당 물품을 집어 넣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해당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등을 입력하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배달 물품 관리 시스템은 전반적인 배달 물품 관리를 위한 배달 물품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이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물품 보관함에 물품이 보관될 경우 해당 물품의 보관 사실 및 물품 배달 주소지 등의 정보를 물품 보관함으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여러 물품 보관함으로부터 수신한 물품 배달 정보를 집합건물 내의 여러 장소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해당 물품 주소지의 사용자에게 적시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배달 물품 주소지의 사용자에게 물품 배달 정보를 전달하는 대표적인 예시는 주차장 진입로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전달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주차장 차단기에 설치된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시스템을 통해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예시에서,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물품 보관함으로부터 물품 배달 정보를 수신한 후 이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송신할 수 있으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해당 정보를 수신하여 배달 물품의 주소지를 파악하고 해당 주소지에 등록된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할 경우(즉, 해당 차량의 차량 번호가 LPR을 통해 인식될 경우), 차단기 부근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해 물품 배달 사실 및 물품 보관함 위치 등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집합건물의 입주자 내지는 사용자는 본인 주소지에 배달되는 물품이 물품 보관함 등에 보관된 경우에 해당 사실을 적시(위 예시에서는 지하 주차장 진입시)에 통보 받을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편리하게 물품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 및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실시예 등에 관해서는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집합건물 내에서 배달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예시적인 배달 물품 관리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시적인 시스템(100)은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 및 이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물품 보관함(132-1 및 132-2)을 관리하는 관리 단말(130-1 및 130-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시스템(100)은 주차장 입출입을 관리하는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 집합건물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 및 집합건물의 입구에 설치된 경비실(120-3)에 설치된 경비실 단말(130-3)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집합건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독립형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의 유형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다른 예시에서,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집합건물의 외부에 설치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와 각 물품 보관함(132-1 및 132-2)의 관리 단말(130-1 및 130-2) 및 경비실 단말(130-3) 그리고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 및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러한 네트워크는 예컨대,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케이블 네트워크, 위성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네트워크, WiMax(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여기서,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 및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는 각각 단일 컴퓨팅 장치와 같은 독립형 서버,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팜(server farm), 분산형 네트워크, 클라우드 컴퓨팅 구성 및 기타 데이터 송수신 기능, 데이터 식별 기능 및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춘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물품 보관함(132-1 및 132-2)은 각각 제1 물품 보관함(132-1) 및 제2 물품 보관함(132-2)으로 집합건물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명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집합건물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 및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도 집합건물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제1 물품이 제1 물품 보관함(132-1)에 배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달 물품 보관함(132-1)은 집합건물의 지하 주차장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배달 물품 보관함(132-1)에 물품이 배달되는 경우, 제1 물품 보관함 관리 단말(130-1)은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물품 배달 신호는 제1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1 물품 보관함(132-1)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제1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생성된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집합건물의 주차장을 관리하는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집합건물의 각 주소 및 해당 주소와 연관된 차량 번호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이후,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주차장 진입로에 설치된 사이니지(125-1)에 배달 물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송하며, 이를 수신한 사이니지(125-1)는 제1 물품 보관함(132-1)에 배달된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제1 배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부 예시에서, 제1 물품 배달 신호는 제1 물품 보관함(132-1)의 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된 차량 번호 인식기를 통해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차량 번호를 통해 제1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제1 배달 물품 보관함(132-1)에서 물품이 회수되는 경우, 제1 물품 보관함 관리 단말(130-1)은 제1 물품 회수 신호를 생성하고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물품 회수 신호는 제1 물품의 회수 사실 및 회수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제1 물품 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1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에 이를 전송할 수 있다.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제1 회수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물품의 회수 정보를 제1 회수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집합건물의 각 주소의 사용자는 예컨대, 배달 물품 정보 중 일부 표시, 전부 표시, 표시하지 않음과 같이, 사이니지(125-1)에 디스플레이되는 배달 물품의 정보의 표시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의 제1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을 해당 주소와 연관 지어 추가로 저장할 수 있고,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미리 설정한 값에 기초하여 사이니지(125-1)에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시에서, 사이니지(125-1)에 디스플레이되는 배달 물품의 정보는 제1 물품 보관함(132-1)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고, 사이니지(125-1)는 제1 보관함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제2 물품이 제2 물품 보관함(132-2)에 배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물품 보관함(132-2)은 집합건물의 로비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배달 물품 보관함(132-2)에 물품이 배달되는 경우, 제2 물품 보관함 관리 단말(130-2)은 제2 물품 배달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2 물품 배달 신호를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물품 배달 신호는 제2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2 물품 보관함(132-2)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제2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집합건물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로 전송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는 집합건물의 각 주소를 가지는 제2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2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제2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연관 지어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이후,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가 제2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층수의 입력을 확인하는 경우, 즉 해당 주소지의 거주자가 엘리베이터에서 해당 층을 입력하는 경우,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사이니지(125-2)에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송하여 제2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사이니지(125-2)는 엘리베이터 내부 및 외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의 층수 입력은 엘리베이터 내부 또는 외부에서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제2 배달 물품 보관함(132-2)에서 물품이 회수되는 경우, 제2 물품 보관함 관리 단말(130-2)은 제2 물품 회수 신호를 생성하고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물품 회수 신호는 제2 물품의 회수 사실 및 회수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제2 물품 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2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는 제2 회수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2 물품의 회수 정보를 제2 회수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제2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제3 물품이 집합건물의 입구에 설치된 경비실에 배달될 수 있다. 경비실에 제3 물품이 배달되는 경우, 경비실의 단말(130-3)은 경비실의 관리자로부터 해당 물품의 정보를 입력 받아 제3 물품 배달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3 물품 배달 신호를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제3 물품 배달 신호는 제3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3 물품이 상기 경비실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제3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제3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3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정보가 확인되면,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제3 배달 알림 신호와 함께 주차 관리 중앙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중앙 서버는,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제3 배달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 제3 물품의 배달 여부를 통보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해당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제3 물품이 경비실에 배달된 사실을 통지 받고 집합건물에 진입할 때에, 예컨대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 경비실에서 제3 물품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비실로부터 물품이 회수되는 경우, 경비실의 단말(130-3)은 경비실에 보관된 제3 물품의 회수 사실 및 회수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물품 회수 신호를 생성하고,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로 이를 전송할 수 있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제3 물품 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제3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에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수신된 제3 회수 알림 신호를 주차 관리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비실에 배달되는 물품 정보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를 통해 주차 관리 중앙 서버(미도시)에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구체적인 예시에 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차량이 집합건물 내의 주차장에 진입할 때,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를 도시한다. 일 예시에서, 차량(210)의 운전자는 집합건물 내의 주차장에 차량(210)을 주차하기 위하여, 차단기(220)를 통과하여 주차장에 진입하도록 차량(210)을 운전할 수 있다. 이 때, 차량(210)의 운전자에게는 배달된 물품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차량(210)의 운전자에게 배달된 물품은, 예컨대 도 1에서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제1 물품 보관함(132-1)에 보관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은 해당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배달 물품 관리 서버로 전송하며,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수신한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관리 로컬 서버(예컨대, 도 1의 도면 부호 120-1의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배달 알림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또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수신된 배달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물품 배달 사실을 데이터베이스(예컨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각 주소지와 차량 정보가 매칭되어 저장된 제1 데이터베이스)의 해당 주소지에 저장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차량(210)이 차단기(220)를 통과할 때에, 차단기(220)에 설치된 카메라가 차량(210) 번호판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LPR 프로세스를 통해 차량(210)의 차량 번호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위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차량(210)의 주소지에 물품 배달 여부를 확인하고, 차단기(220) 근방에 설치된 사이니지(230)에 배달 물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는, 사이니지(230)가 물품 배달 정보로서 해당 차량 번호, 택배 배달 사실 및 택배 보관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집합건물의 각 주소의 사용자가, 예컨대 배달 물품 정보 중 일부 표시, 전부 표시, 표시하지 않음과 같이, 사이니지(230)에 디스플레이되는 배달 물품의 정보의 표시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주차 관리 로컬 서버의 위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을 해당 주소와 연관 지어 추가로 저장할 수 있고,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미리 설정한 값에 기초하여 사이니지에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 표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10)의 운전자는 집합건물 내 주차장에 진입할 때, 차단기 부근에 설치된 사이니지(230)를 통하여 자신에게 배달된 물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인 세대로 가기 전에 지하 주차장에서 손쉽게 배달 물품을 회수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 관리 로컬 서버, 사용자 모바일 단말 및 주차 관리 중앙 서버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한다. 이 시스템(300)은 배달 물품 관리 서버(310)와, 경비실의 단말(310) 및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나아가 주차 관리 로컬 서버와 네트워크(340)를 통해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 및 사용자 단말(3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40)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의 실시예는, 도 1에서 경비실(120-3)에 물품이 배달되는 경우 사용자가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 집합 건물 입구의 경비실에서 직접 물품을 수령하는 예시에 있어서, 각 서버와 단말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배달 물품 관리 서버(310), 경비실의 단말(310) 및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는 각각 도 1의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 경비실의 단말(130-3) 및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에 대응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경비실의 단말(310)은, 경비실 내에 설치되어 물품이 배달되는 경우, 경비실의 관리자에 의하여 물품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물품 배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배달 물품 관리 서버(310)로 해당 물품 배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310)는 수신한 물품 배달 신호에 따라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는 집합건물 내 주차장에 설치되어 주차장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는 네트워크(340)를 통하여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는 해당 네트워크(34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360)과 연결될 수 있다.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는 수신한 배달 알림 신호 및 인식한 차량의 번호를 통하여,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에 포함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는 배달 알림 신호와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는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360)로 물품의 배달 여부를 통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단말(360)은 어플리케이션, 문자 메시지 등을 통하여 배달 여부를 통보 받을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사용자 단말(360)의 사용자는 배달 물품 관리 및 주차 관리와 연관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자신의 주소지로 출발하기 전에 물품이 배달되었는지를 미리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60)의 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에 접속하여 물품 배달 여부 확인을 요청할 수 있으며,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는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를 통해 수신 받은 해당 사용자의 주소지에 물품 배달 여부를 확인하여 해당 신호를 사용자 단말(36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주소지에 물품 배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비제한적인 예시에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60)의 위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함과 동시에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자신의 현재 위치 확인을 허용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 단말(360)이 주소지 부근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함을 확인하고, 예컨대 교통 상황을 반영하여 사용자 단말(360)의 사용자가 주소지에 도착하기 10분 전일 경우에, 사용자 단말(360)에 물품 배달에 관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본인의 주소지에 도착하기 전에 사용자 단말(360)을 통해 경비실에 물품 배달 사실을 통보 받음으로써, 집합 건물 입구에서 드라이브스루 방식으로 배달 물품을 적시에 손쉽게 수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경비실에서 배달 물품이 회수되는 경우, 경비실의 단말(320)은 경비실의 관리자에 의하여 물품의 회수에 관한 정보를 입력 받아 3 물품 회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경비실 단말(320)은 배달 물품 관리 서버(310)로 해당 3 물품 회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310)는 수신한 물품 회수 신호에 따라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는 수신한 회수 알림 신호 및 사용자 정보를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로 전송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는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단말(360)로 물품의 회수 여부를 통보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는 물품이 회수된 경우, 회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사용자의 단말(360)로 회수한 물품에 대한 배달 여부가 더 이상 통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배달 물품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의 프로세스(4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1과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프로세스(400)가 단계(401)에서 시작하기 전에, 집합 건물의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집합 건물의 거주자 또는 사용자로부터 주소 및 차량번호와 같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수신된 주소와 차량번호를 연관 지어 제1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사용자는 사이니지(125-1)에 디스플레이되는 제1 물품에 대한 배달 정보의 표시 여부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값을 해당 주소 및 차량번호와 연관 지어 추가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제1 물품 보관함에 제1 물품이 배달되는 단계(4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제1 물품 보관함은, 예컨대 집합 건물의 지하 주차장에 위치한 무인 택배함일 수 있다. 단계(401)에서, 제1 물품 보관함에 제1 물품이 배달되는 경우, 제1 물품 보관함 관리 단말(130-1)은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단계(401)로부터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402)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402)에서, 제1 물품 보관함 관리 단말(130-1)은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에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제1 물품 배달 신호는 제1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추가적인 예시에서, 제1 물품 배달 신호는 제1 물품 보관함이 설치된 위치와 같은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단계(402)로부터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가 제1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403)로 이어질 수 있다.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가 단계(402)에서 생성된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단계(403)로부터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404)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404)에서,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생성된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단계(404)로부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단계(405)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405)에서,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제1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물품에 관한 정보를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단계(405)로부터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406)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406)에서,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주차장 진입로에 설치된 사이니지(125-1)에 배달 물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는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된 차량 번호 인식기를 통해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식별할 수 있고, 식별된 차량 번호를 통해 제1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으로 차량의 주차장 진입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단계(406)로부터 제1 배달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407)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407)에서, 사이니지(125-1)는 배달 물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제1 물품에 대한 제1 배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1 배달 물품 보관함(130-1)에서 제1 물품이 회수되는 경우, 프로세스(400)는 단계(408)에서 계속될 수 있다. 사이니지(125-1)에 표시된 제1 배달 정보를 통해 배달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제1 물품 보관함에서 제1 물품을 회수하면, 제1 물품 보관함 관리 단말(130-1)은 제1 물품 회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단계(408)로부터 제1 물품 회수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409)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409)에서,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130-1)은 생성된 제1 물품 회수 신호를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제1 물품 회수 신호는 제1 물품의 회수 사실 및 회수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단계(409)로부터 제1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410)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410)에서,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제1 물품 회수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제1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단계(410)로부터 제1 회수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411)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411)에서,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생성한 제1 회수 알림 신호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단계(411)로부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단계(412)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412)에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제1 회수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제1 물품의 회수에 관한 정보를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달 물품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6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달 물품 관리 방법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의 프로세스(500) 및 도 6의 프로세스(600)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도 1과 같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프로세스(500 및 600)는 단계들(501 내지 512 및 601 내지 612)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6에서 설명되는 개략적인 동작들은 예시로서만 제공되고,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작 중 일부가 선택적일 수 있거나, 더 적은 동작으로 조합되거나, 추가적인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다만, 도 5 및 도 6의 프로세스(500 및 600)의 각각의 블록들은 앞서 도 4에서 설명된 프로세스(4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동작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세스(500)는 제2 물품 보관함에 제2 물품이 배달되는 단계(5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제2 물품 보관함은, 예컨대 집합 건물의 로비에 위치한 무인 택배함일 수 있다. 제2 물품 보관함에 제2 물품이 배달되는 경우, 제2 물품 보관함 관리 단말(130-2)은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에 생성한 제2 물품 배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502).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수신한 제2 물품 배달 신호에 기초하여,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503).
이어서, 단계(504)에서,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생성한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집합건물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는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스(500)는 단계(504)에서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단계(505)로 이어질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는 집합건물의 각 주소를 가지는 제2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505)에서,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는 제2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제2 물품의 배달 정보를 제2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할 수 있다. 프로세스(500)는 단계(505)로부터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506)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506)에서,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는 제2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층수의 입력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엘리베이터 근방에 설치된 사이니지(125-2)에 배달 물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는 사용자가 엘리베이터에서 해당 층을 입력하는 경우, 제2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는 것으로 연관된 층수의 입력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세스(500)는 단계(506)로부터 제1 배달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507)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507)에서, 사이니지(125-2)는 배달 물품에 관한 디스플레이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제2 물품에 대한 제2 배달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단계(508)에서 사이니지(125-2)를 통하여 표시된 제2 배달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제2 물품 보관함에서 물품을 회수하면, 제2 물품 보관함 관리 단말(130-2)은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로 제2 물품 회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의 단계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로세스(600)는 경비실에 제3 물품이 배달되는 단계(6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경비실에 제3 물품이 배달되는 경우, 경비실의 단말(130-3)은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에 경비실의 관리자가 입력한 해당 물품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3 물품 배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602). 배달 물품 관리 서버(110)는 제3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여,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단계 603), 이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3)에 전송할 수 있다(단계 604).
이어서, 단계(605)에서,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3)는 제3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제3 물품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그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배달 물품 주소지의 사용자 정보가 확인되는 경우,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3)는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제3 배달 알림 신호와 함께 주차 관리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606). 프로세스(600)는 단계(606)로부터 제3 배달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607)로 이어질 수 있다. 단계(607)에서, 주차 관리 중앙 서버는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3)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제3 배달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제3 배달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주차 관리 중앙 서버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의 위치를 탐색할 수 있고, 이를 제3 배달 정보에 포함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시에서, 주차 관리 중앙 서버는 물품 배달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제3 배달 정보에 추가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중앙 서버는 생성된 제3 배달 정보를 해당 사용자 휴대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608). 사용자는 제3 배달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소유하고 있는 휴대 단말(125-3)을 통해 제3 물품이 경비실에 배달된 사실을 통보받을 수 있다(609). 이후, 단계(609)에서 휴대 단말(125-3)을 통하여 배달 정보를 통보 받은 사용자가 경비실에서 물품을 회수하면(단계 610), 경비실의 관리자가 입력한 물품 회수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3 물품 회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단계 611). 이후의 단계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되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달 물품을 관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7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신호 베어링 매체(710)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700)의 신호 베어링 매체(710)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730), 기록 가능 매체(740) 및/또는 통신 매체(75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베어링 매체(710)에 포함된 명령어(720)는 예컨대, 도 1에서 예시된 물품 배달 관리 서버(110), 물품 보관함 관리 단말(130-1, 130-2 및 130-3), 주차 관리 로컬 서버(120-1),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120-2), 경비실 단말(130-3) 및/또는 주차 관리 중앙 서버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명령어(720)는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1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1 물품이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수신에 응답하여, 제1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주소 및 배달 시간과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생성된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집합건물의 주차장을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제2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2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2 물품이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2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수신에 응답하여, 2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제2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생성된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집합건물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집합건물의 입구에 설치된 경비실의 단말로부터, 경비실에 배달된 제3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제3 물품이 상기 경비실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수신에 응답하여, 제3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제3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및 생성된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주차 관리 로컬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배열되는 컴퓨팅 장치(800)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일 예시적인 기본적인 구성(802)에서, 컴퓨팅 장치(8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804) 및 시스템 메모리(806)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버스(808)는 프로세서(804) 및 시스템 메모리(806)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프로세서(80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μP), 마이크로 컨트롤러(μ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프로세서(804)는 레벨 1 캐시(810), 레벨 2 캐시(812)와 같은 하나 이상의 레벨(level)의 캐시(cache), 프로세서 코어(814), 및 레지스터(816)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코어(814)는 산술 논리 연산장치(arithmetic logic unit; ALU), 부동 소수점 장치(floating point unit; FPU), 디지털 신호 처리 코어(DSP Core),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818)는 또한 프로세서(804)와 함께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일부 구현예에서 메모리 컨트롤러(818)는 프로세서(804)의 내적인 일부일 수 있다.
요구되는 구성에 따라, 시스템 메모리(806)는 (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RO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시스템 메모리(806)는 운영 체제(820),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822), 및 프로그램 데이터(824)를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822)은 도 3의 배달 물품 관리 서버(310), 주차 관리 로컬 서버(330), 주차관리 중앙 서버(350) 및/또는 도 6의 프로세스(600)에 관하여 기술된 기능 블록 및/또는 작용을 포함하여 여기에서 기술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배열된 알고리즘(826)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데이터(824)는, 알고리즘 (826)과 함께 이용하기 위한 데이터(828), 예컨대, 정적 네트워크 환경 등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션(822)은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기 위한 구현이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도록 운영 체제(820) 상에서 프로그램 데이터(824)로 동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컨대, 주차 관리 중앙 서버(350)는 컴퓨팅 장치(800)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최적의 전송 환경을 결정하는 구현이 여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822)의 전부 또는 일부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된 기본적인 구성은 도 8에서 파선(802) 내의 그 구성요소들에 의해 도시된다.
컴퓨팅 장치(800)는 기본적인 구성(802) 및 임의의 요구되는 장치 및 인터페이스(interface)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추가적인 특징 또는 기능, 및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830)는 저장부 인터페이스 버스(834)를 통한 기본적인 구성(802) 및 하나 이상의 데이터 저장 장치(832) 사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장치(832)는 이동식 저장 장치(836), 고정식 저장 장치(838),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이동식 저장 장치 및 고정식 저장 장치의 예를 몇 가지 들자면, 플렉서블 디스크 드라이브(flexible disk drive) 및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장치, 컴팩트 디스크(CD) 드라이브 또는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드라이브와 같은 광 디스크 드라이브, 고체 상태 드라이브(SSD), 및 테이프 드라이브 등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program module),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에서 구현되는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이동식 및 고정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 메모리(806), 이동식 저장 장치(836) 및 고정식 저장 장치(838)는 모두 컴퓨터 저장 매체의 예이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RAM, 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기타 메모리 기술,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 또는 기타 광 저장 장치, 자기 카세트,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 장치, 또는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도록 사용될 수 있고, 컴퓨팅 장치(800)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임의의 그러한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팅 장치(800)의 일부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또한 버스/인터페이스 컨트롤러(842)를 통한 다양한 인터페이스 장치(예컨대, 출력 인터페이스, 주변 인터페이스, 및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기본적인 구성(802)으로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버스(8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출력 장치(842)는 그래픽 처리 유닛(848) 및 오디오 처리 유닛(8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A/V 포트(85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와 같은 다양한 외부 장치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그래픽 처리 유닛(848)은 출력 장치의 컴포넌트로서 도시되었지만, 프로세서(804)에 더하여, 일부 구현예에 따른 연산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그래픽 처리 유닛(848)은 예컨대, 신경망의 학습, 신경망에 따른 처리 등과 같은 다양한 신경망 관련 연산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주변 인터페이스(844)는 직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854)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85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하나 이상의 I/O 포트(858)를 통하여 입력 장치(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장치, 터치 입력 장치 등) 또는 기타 주변 장치(예컨대, 프린터, 스캐너 등)와 같은 외부 장치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통신 장치(846)는 네트워크 컨트롤러(860)를 포함하며, 이는 하나 이상의 통신 포트(864)를 통한 네트워크 통신 상에서의 하나 이상의 다른 컴퓨팅 장치(862)와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800)는 또한 랩탑 컴퓨터나 랩탑이 아닌 컴퓨터 구성 둘 다를 포함하는 개인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800)는 무선 기지국 또는 기타 무선 시스템 또는 장치의 일부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 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구현예에 따라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게 되며, 당업자라면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혹은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배달 물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1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상기 제1 물품이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상기 제1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상기 집합건물의 주차장을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제2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2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상기 제2 물품이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2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상기 제2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상기 집합건물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상기 집합건물의 각 주소 및 해당 주소와 연관된 차량 번호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며, 상기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차량의 상기 주차장 진입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주차장의 진입로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상기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집합건물의 각 주소를 가지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며, 상기 제2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층수의 입력이 상기 엘리베이터를 통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와 연관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상기 제2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상기 제1 물품의 회수 사실 및 그 회수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물품 회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1 물품 회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 회수 알림 신호를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상기 제1 회수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1 물품의 회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회수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가 상기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차량의 상기 주차장 진입을 확인하는 것은, 상기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된 차량 번호 인식기를 통해 상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차량 번호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차량 번호를 통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의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집합건물의 각 주소의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배달 물품의 정보 표시에 관하여 미리 설정한 값을 해당 주소와 연관 지어 추가로 저장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상기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은 상기 미리 설정한 값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상기 제2 물품의 회수 사실 및 그 회수 시간을 포함하는 제2 물품 회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물품 회수 신호에 기초하여 제2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회수 알림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회수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물품의 회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회수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건물의 입구에 설치된 경비실의 단말로부터, 상기 경비실에 배달된 제3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상기 제3 물품이 상기 경비실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상기 제3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상기 제3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3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3 배달 알림 신호와 함께 주차 관리 중앙 서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주차 관리 중앙 서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제3 배달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제3 물품의 배달 여부를 통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비실의 단말로부터, 상기 경비실에 보관된 상기 제3 물품의 회수 사실 및 그 회수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물품 회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물품 회수 신호에 기초하여 제3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3 회수 알림 신호를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3 회수 알림 신호를 상기 주차 관리 중앙 서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서버에서 수행되는 방법.
  9.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배달 물품 관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제1 물품 보관함에 보관되는 물품의 배달 및 회수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
    상기 집합건물의 주차장을 관리하도록 구성된 주차 관리 로컬 서버;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 및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와 각각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배달 물품 관리 서버;
    상기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제2 물품 보관함에 보관되는 물품의 배달 및 회수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제2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 및
    상기 집합건물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1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상기 제1 물품이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상기 제1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상기 집합건물의 각 주소 및 해당 주소와 연관된 차량 번호와 사용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며, 상기 제1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차량의 상기 주차장 진입을 확인하고, 그에 따라 상기 주차장의 진입로에 설치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상기 제1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2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상기 제2 물품이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2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상기 제2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집합건물의 각 주소를 가지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며, 상기 제2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층수의 입력이 상기 엘리베이터를 통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와 연관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상기 제2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상기 제1 물품의 회수 사실 및 그 회수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물품 회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제1 물품 회수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1 회수 알림 신호를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상기 제1 회수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1 물품의 회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회수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시스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상기 제2 물품의 회수 사실 및 그 회수 시간을 포함하는 제2 물품 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물품 회수 신호에 기초하여 제2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회수 알림 신호를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제2 회수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물품의 회수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회수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추가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시스템.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집합건물의 입구에 설치된 경비실의 단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상기 경비실의 단말로부터 상기 경비실에 배달된 제3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상기 제3 물품이 상기 경비실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상기 제3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생성된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상기 제3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제3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상기 제3 배달 알림 신호와 함께 주차 관리 중앙 서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주차 관리 중앙 서버는, 상기 수신된 사용자 정보 및 제3 배달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로 상기 제3 물품의 배달 여부를 통보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물품 관리 서버는, 상기 경비실의 단말로부터 상기 경비실에 보관된 상기 제3 물품의 회수 사실 및 그 회수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물품 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3 물품 회수 신호에 기초하여 제3 회수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제3 회수 알림 신호를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는, 상기 수신된 제3 회수 알림 신호를 상기 주차 관리 중앙 서버로 전송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배달 물품 관리 시스템.
  15.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제1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1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상기 제1 물품이 상기 제1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1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1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1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상기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제1 배달 알림 신호를 상기 집합건물의 주차장을 관리하기 위한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제2 물품 보관함의 관리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제2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상기 제2 물품이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2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2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상기 제2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제2 배달 알림 신호를 상기 집합건물의 엘리베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관리 서버는, 상기 집합건물의 각 주소를 가지는 제2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달 알림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제2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 지어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며, 상기 제2 배달 알림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와 연관된 층수의 입력이 상기 엘리베이터를 통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엘리베이터와 연관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제2 물품 보관함에 배달된 상기 제2 물품의 배달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되는 경우,
    상기 집합건물의 입구에 설치된 경비실의 단말로부터, 상기 경비실에 배달된 제3 물품이 배달되어야 하는 주소 및 상기 제3 물품이 상기 경비실에 배달된 시간을 포함하는 제3 물품 배달 신호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제3 물품 배달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제3 물품 배달 신호에 포함된 배달 주소 및 배달 시간과 상기 제3 물품이 배달된 장소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 및
    상기 생성된 제3 배달 알림 신호를 상기 주차 관리 로컬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00100521A 2020-08-11 2020-08-11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44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21A KR102440660B1 (ko) 2020-08-11 2020-08-11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17/398,324 US20220051186A1 (en) 2020-08-11 2021-08-10 Device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o manage delivery goods delivered to a building
EP21190486.7A EP3955193A1 (en) 2020-08-11 2021-08-10 Device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o manage delivery goods delivered to a build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21A KR102440660B1 (ko) 2020-08-11 2020-08-11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0057A KR20220020057A (ko) 2022-02-18
KR102440660B1 true KR102440660B1 (ko) 2022-09-07

Family

ID=78500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521A KR102440660B1 (ko) 2020-08-11 2020-08-11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51186A1 (ko)
EP (1) EP3955193A1 (ko)
KR (1) KR1024406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56B1 (ko) * 2011-06-14 2012-11-13 (주)유셀네트웍스 다세대 주택에 적용되는 무인 우편물 알림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0796A (ko) 2004-10-06 2006-04-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자동차 차량번호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1616554B1 (ko) * 2014-06-05 2016-04-28 주식회사 디엘테크 집단 주거 시설 내 알림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19203B1 (ko) * 2014-07-17 2017-03-23 주식회사 디엘테크 집단 주거 시설 내 알림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65641A1 (en) * 2017-06-16 2018-12-20 Zipcodexpress, Inc. Locker-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JP6950572B2 (ja) * 2018-02-23 2021-10-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101629B1 (ko) * 2018-03-28 2020-04-17 씨앤디아이(주) 통합 홈넷 관리 시스템
US11602236B2 (en) * 2019-07-22 2023-03-14 Jerry Anderso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package delivery and retriev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0756B1 (ko) * 2011-06-14 2012-11-13 (주)유셀네트웍스 다세대 주택에 적용되는 무인 우편물 알림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51186A1 (en) 2022-02-17
EP3955193A1 (en) 2022-02-16
KR20220020057A (ko) 2022-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6025B2 (en) Automated occupant tracking systems and methods
US10043151B1 (en) Locker-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11443334B2 (en) Determining a topological location of a client device using received radio signatures
CN104396284B (zh) 呈现针对当前位置或时间的信息
US20180365641A1 (en) Locker-Based Logistics Management System
US9747797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edicting availability of parking spot in parking area
AU2015259599B2 (en) Automated package relocation from an unmanned kiosk
US20140294543A1 (en) Automated vehicle parking system
US201802328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real estate property for sale or rent
US8406986B2 (en) Emergency routing within a controllable transit system
US10275845B2 (en) Luggage retrieval and distribution
US11055654B2 (en) Packet delivery management
US20180330323A1 (en) Automated package delivery to unmanned kiosk
CN111884822B (zh) 一种对航班旅客的通知方法、装置及智能设备、存储介质
CA2904438A1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20203776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40660B1 (ko) 집합건물에 배달되는 물품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US2023019626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mory
CN107944583B (zh) 二次售卖场景推送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US202200765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 to a secured building and a secured locker system
US20160012495A1 (en) Soliciting customer feedback based on indoor positioning system detection of physical customer presence
KR20190095600A (ko) 주유소 기반의 택배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시스템
US1144982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facilitating verified deliveries
KR20230032524A (ko) 블록체인 기반의 운송 이력 매칭을 이용한 운송 중개 플랫폼 시스템, 운송 중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17021499A (ja) 管理システム、管理システムのための通信端末の組合せ、管理システムのための計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