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943B1 -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 Google Patents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943B1
KR102439943B1 KR1020210030003A KR20210030003A KR102439943B1 KR 102439943 B1 KR102439943 B1 KR 102439943B1 KR 1020210030003 A KR1020210030003 A KR 1020210030003A KR 20210030003 A KR20210030003 A KR 20210030003A KR 102439943 B1 KR102439943 B1 KR 102439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coiling
support
unit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완
정예지
이강인
김상인
이용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1003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91Fibre ring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14Pulleys, rollers, or rotary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38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 B65H59/384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regulating speed of driving mechanism of unwinding, paying-out, forwarding, winding, or depositing devices, e.g.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variations in tension using electronic means
    • B65H59/387Regulating unwindin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40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0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ibre, e.g. compositions, cross-section, shape or tap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08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ibre, e.g. compositions, cross-section, shape or tapering
    • H01S3/06745Tapering of the fibre, core or active reg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2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electric elements
    • B65H2553/21Variable resistances, e.g. rheostats, potentiometers or strain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80Arangement of the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2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유 회전되는 광섬유 코일링부로 코일링 패널부재 상에 광섬유를 가압한 상태로 공급하는 중에 코일링 패널부재를 이동시켜 이동 방향으로 광섬유 코일링부가 자유회전하면서 코일링 패널부재 상에 기설계된 광섬유 코일 형태로 광섬유를 부착시켜 코일링하여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을 기설계된 형태로 정확하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고, 코일링 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레이저 증폭기의 생산성을 증대시키며 제작 원가를 절감한다.

Description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COILING APPARATUS METHOD OF OPTICAL FIBER COIL FOR LASER AMPLIFICATION}
본 발명은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의 코일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을 기설계된 형태로 정확하게 제조할 수 있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의 코일링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어레이를 이용한 광섬유 레이저빔은 광학 스위칭, 신호처리, 광학 단층촬영, 센싱, 그리고 다파장 빔결합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광섬유 레이저빔은 우수한 빔품질을 유지하면서 광섬유 레이저의 출력을 증대하기 위해 빔결합 방식이 널리 활용된다.
무인기, 드론등 원거리에서 위협적인 이동 타겟을 요격하기 위해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를 이용한 레이저 무기체계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데 원거리 레이저 전파를 위해서는 우수한 빔품질을 유지시키면서 출력을 증대시키는 빔결합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 발생장치는 이득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섬유 증폭기, 펌프 레이저 다이오드, 펌프광 결합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각 광섬유는 광섬유 융착으로 방식으로 연결되고 있다.
고출력 레이저 발진시 보다 높은 출력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대구경 광섬유를 이용하여야 하며, 이때 낮은 빔 품질을 얻기 위해서는 광섬유 증폭기에서 이득 광섬유를 코일링 하여 레이저를 구성한다.
광섬유 증폭기에서 이득 광섬유를 코일링 하는 경우 보빈 형태나 나선 형태로 코일링하여 구성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광섬유 증폭기에 사용되는 이득 광섬유를 보빈 형태나 나선 형태와 같이 단순한 형상으로 코일링하여 구성하고 있다.
종래의 광섬유 코일링 장치는 광섬유를 평면 상에서 직접 기설정된 코일형태로 이동시키면서 광섬유를 코일링하는 것으로 보빈 형태나 나선 형태와 같이 단순한 형상으로 코일링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고출력 광섬유 레이저 발생장치의 설계가 다양해지면서 이에 따라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의 형태가 다양하게 설계되어야 하나 종래의 광섬유 코일링 장치로 코일링하는 형태가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001)한국공개특허 제2012-0009103호 "자이로 센서용 광섬유 코일, 그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이로 센서"(2012.02.01.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가 회전, X축, Y축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을 기설계된 형태로 정확하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섬유를 공급하여 광섬유를 공급하는 광섬유 코일링부가 일정한 압력으로 광섬유를 공급함과 아울러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광섬유 코일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는 광섬유가 상면에서 코일링되는 코일링 패널부재가 올려지는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를 이동시키는 받침 이동부,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 상에 광섬유를 공급하며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 상에 광섬유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광섬유 코일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 방향으로 자유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광섬유를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 상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 이동부는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를 평면 상에서 회전시키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 이동부는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를 회전시키는 받침 회전부, 상기 받침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 회전부와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이동부 및 상기 X축 이동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X축 이동부, 상기 받침 회전부와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는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가 광섬유를 일정한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게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가압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 지지부는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가 수직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코일링 지지부재, 상기 제1코일링 지지부재가 상, 하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베이스 지지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코일링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 지지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2코일링 지지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기기 및 상기 제2코일링 지지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제1코일링 지지부재의 상, 하 이동으로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가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를 가압하는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승하강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 지지부는 하단부 측이 상기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에 연결되고, 상단부 측이 상기 제1코일링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댐퍼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는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 상기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광섬유가 삽입되는 제1광섬유 삽입홈부가 형성된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 및 상기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의 하부 측에서 상기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광섬유가 삽입되는 제2광섬유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는 상기 제1광섬유 삽입홈부에 삽입된 광섬유을 외주면으로 지지하는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 및 상기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가 일단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에 장착되는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는 상기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는 상기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가 광섬유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광섬유 지지용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는 상기 수직축이 돌출되게 위치되는 축지지용 상면부 및 상기 축지지용 상면부의 하부 측으로 세워져 위치되고 상기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와 상기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 장착용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축에는 광섬유가 통과되어 광섬유를 상기 제1광섬유 삽입홈 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가 위치되고, 상기 축지지용 상면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가 위치되고 광섬유를 상기 제1광섬유 삽입홈 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광섬유 공급 안내용 관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패널 고정용 체결부가 복수의 열과 행으로 위치되고,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는 볼트가 관통되는 복수의 볼트 관통구멍이 위치되며,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는 볼트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패널 고정용 체결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패널 고정볼트로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 상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의 코일링 방법은 자유 회전되는 광섬유 코일링부로 코일링 패널부재 상에 광섬유를 가압한 상태로 공급하는 중에 코일링 패널부재를 이동시켜 이동 방향으로 광섬유 코일링부가 자유회전하면서 코일링 패널부재 상에 기설계된 광섬유 코일 형태로 광섬유를 부착시켜 코일링하는 광섬유 코일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섬유 코일링단계에서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는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의 이동 방향에 따라 수직축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섬유 코일링단계는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가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를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되는 하중을 로드셀로 감지하여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를 상, 하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가 광섬유를 기설정된 형태로 코일링하는 중에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가 이동하는 중에 광섬유를 공급하는 광섬유 코일링부가 이동 방향에 따라 자유 회전하면서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을 기설계된 형태로 정확하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어 코일링 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레이저 증폭기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제작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광섬유를 공급하여 광섬유를 공급하는 광섬유 코일링부가 일정한 압력으로 광섬유를 공급함과 아울러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광섬유 코일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어 레이저 증폭 장치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광섬유 코일의 제조 시 불량률을 크게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에서 광섬유 이송 안내부의 일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에서 광섬유 권취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로 광섬유를 코일링하는 예를 도시한 확대 도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는 광섬유가 코일링되는 코일링 패널부재(10)가 올려지는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를 포함한다.
코일링 패널부재(10)는 상면에 코일링되는 광섬유가 부착될 수 있는 접착층이 구비되며, 광섬유는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코일링 형태로 부착되어 고정된다.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는 받침 이동부(200)에 의해 이동되고, 더 상세하게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는 받침 이동부(200)에 의해 평면 상에서 회전되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받침 이동부(200)는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의 하부에 위치되어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를 회전시키는 받침 회전부(210), 받침 회전부(210)의 하부에 위치되어 받침 회전부(210)와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이동부(220), X축 이동부(220)의 하부에 위치되어 X축 이동부(220), 받침 회전부(210)와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동부(230)를 포함한다.
받침 회전부(210), X축 이동부(220), Y축 이동부(23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고,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가 평면 상에서 회전되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의 하부에 X축 이동부(220), Y축 이동부(230), 받침 회전부(210)의 순서로 위치될 수도 있고, Y축 이동부(230), X축 이동부(220), 받침 회전부(210)의 순서로 위치될 수도 있으며, X축 이동부(220), 받침 회전부(210), Y축 이동부(230)의 순서로 위치될 수도 있고, Y축 이동부(230), 받침 회전부(210), X축 이동부(220)의 순서 등으로 위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는 받침 이동부(2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고, 제어부(700)는 기설계된 코일 형태로 광섬유를 코일링할 수 있도록 받침 이동부(200) 즉, 받침 회전부(210), X축 이동부(220), Y축 이동부(230)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광섬유는 광섬유 코일링부(300)에 의해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공급되고, 코일링 패널부재(10)는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 상에 고정되어 받침 이동부(200)의 작동에 의해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와 함께 평면 상에서 회전되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패널 고정용 체결부(110)가 복수의 열과 행으로 위치되고, 코일링 패널부재(10)는 볼트가 관통되는 복수의 볼트 관통구멍이 위치된다.
코일링 패널부재(10)는 볼트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패널 고정용 체결부(110)에 체결되는 복수의 패널 고정볼트(110a)로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 상에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코일링 패널부재(10)는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 상에서 볼트 체결로 위치가 고정되거나 볼트를 풀어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코일링 패널부재(10)는 볼트 체결 구조 이외에도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 상에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는 공지의 결합 구조를 통해 다양하게 위치가 고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광섬유 코일링부(300)는 광섬유가 광섬유 권취릴부(400)에서 풀려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를 통해 이송된 광섬유를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가압하여 공급하여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서 접착층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광섬유 권취릴부(400)는 광섬유가 복수 회로 권취되어 보관되고, 광섬유는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를 통해 이송이 안내되어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는 광섬유 권취릴부(400),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장착되는 베이스 지지체(600)를 포함한다.
베이스 지지체(600)는 지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측벽에 설치되거나 천장에 설치되는 프레임 구조체일 수도 있고, 광섬유 권취릴부(400),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장착되고, 광섬유 권취릴부(400),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 광섬유 코일링부(300)의 위치를 지지할 수 있는 공지의 설치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광섬유 코일링부(300)는 수직축(300a)을 중심으로 코일링 패널부재(10)의 평면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광섬유를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공급한다.
광섬유 코일링부(300)는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광섬유가 부착되도록 광섬유를 가압하고,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접촉된 상태로 코일링 패널부재(10)가 평면 상에서 회전되거나,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수직축(300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광섬유를 코일링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는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광섬유를 일정한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게 광섬유 코일링부(300)를 상, 하 이동시키는 가압 지지부(800)를 더 포함한다.
가압 지지부(800)는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수직축(300a)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코일링 지지부재(810), 제1코일링 지지부재(810)가 상, 하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베이스 지지체(600)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코일링 지지부재(820), 베이스 지지체(600)에 장착되고 제2코일링 지지부재(820)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기기(830), 제2코일링 지지부재(820)에 위치되어 제1코일링 지지부재(810)의 상, 하 이동으로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코일링 패널부재(10)를 가압하는 하중을 감지하여 승하강 기기(8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840)를 포함한다.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840)와 승하강 기기(830)는 제어부(700)에 연결되고, 제어부(700)는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840)로부터 감지되는 하중을 전달받아 승하강 기기(830)의 작동을 제어하여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광섬유를 일정한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게 광섬유 코일링부(300)를 상, 하 이동시킨다.
가압 지지부(800)는 하단부 측이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840)에 연결되고, 상단부 측이 제1코일링 지지부재(810)에 연결되는 댐퍼 스프링부재(850)를 더 포함한다.
코일링 패널부재(10)의 상면에서 광섬유가 부착되면서 코일링될 때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코일링 패널부재(10)의 상면을 가압하면서 가압력에 의해 제1코일링 지지부재(810)가 승강하게 되고, 이 때 댐퍼 스프링부재(850)는 늘어나면서 제1코일링 지지부재(810)를 아래 쪽으로 당겨 즉, 제1코일링 지지부재(810)를 탄성적으로 지지혀면서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안정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댐퍼 스프링부재(850)는 광섬유 코일링 작업 중 발생되는 광섬유 코일링부(300)의 가압력에 의해 늘어나면서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840)를 당기게 되고,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840)는 댐퍼 스프링부재(850)에 의해 당겨지는 하중을 감지하여 제어부(700)로 전달한다.
제어부(700)는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840)로부터 감지되는 하중을 전달받아 승하강 기기(830)의 작동을 제어하여 광섬유 코일링부(300)를 상, 하 이동시킴으로써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광섬유를 일정한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한다.
광섬유 코일링부(300)는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310),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광섬유가 삽입되는 제1광섬유 삽입홈부(321)가 형성된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320),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320)의 하부 측에서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광섬유가 삽입되는 제2광섬유 삽입홈부(331)가 형성되고 코일링 패널부재(10)의 상면에 접촉되는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를 포함한다.
광섬유 코일링부(300)는 가압 지지부(800)에 수직축(300a)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는 코일링 패널부재(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르면서 제2광섬유 삽입홈부(331)를 통해 공급받는 광섬유를 코일링 패널부재(10)의 상면에 부착시킨다.
또한, 광섬유 코일링부(300)는 제1광섬유 삽입홈부(321)에 삽입된 광섬유을 외주면으로 지지하는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340),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340)가 일단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310)에 장착되는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350)를 더 포함한다.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340)는 제1광섬유 삽입홈부(321)에 삽입되어 이송 중인 광섬유를 지지하여 광섬유부재가 제1광섬유 삽입홈부(321)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제2광섬유 삽입홈부(331)로 이송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350)는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광섬유 코일링부(300)는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340)가 광섬유를 지지할 수 있게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350)를 탄성 지지하는 광섬유 지지용 스프링부재(360)를 더 포함한다.
광섬유 지지용 스프링부재(360)는 코일 스프링으로 일단부 측이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310)에 연결되고, 타단부 측이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350)에 연결되어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340)의 위치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350)는 중앙부분이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3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부 측에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340)가 위치되고, 타단부 측에 광섬유 지지용 스프링부재(360)가 위치된다.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340)는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350)가 회전됨으로써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320)에서 이격되게 위치되고 이 때 광섬유 지지용 스프링부재(360)가 늘어나게 된다.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350)를 회전시켰던 힘을 해제하면 광섬유 지지용 스프링부재(360)의 탄성 복원력으로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35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340)가 광섬유를 지지하는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310)는 수직축(300a)이 돌출되게 위치되는 축지지용 상면부(311), 축지지용 상면부(311)의 하부 측으로 세워져 위치되고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320)와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 장착용 프레임부(312)를 포함한다.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310)의 축지지용 상면부(311)에는 수직축(300a)이 돌출되게 위치되고, 수직축(300a)에는 광섬유가 통과되어 광섬유를 제1광섬유 삽입홈 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300b)가 위치된다.
또한, 축지지용 상면부(311)의 하부면에는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300b)가 위치되고 광섬유를 제1광섬유 삽입홈 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광섬유 공급 안내용 관부(311a)가 돌출되게 위치된다.
광섬유는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를 통해 광섬유 권취릴부(400)에서부터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300b) 내를 통과하도록 이송되고,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300b)를 통과해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320)와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340)의 사이로 공급되고,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320)의 제1광섬유 삽입홈부(32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의 제2광섬유 삽입홈부(331) 내로 공급된다.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는 코일링 패널부재(10)의 상면에 접촉되어 구르면서 제2광섬유 삽입홈 내에 삽입된 광섬유를 코일링 패널부재(10)의 상면에 부착시키면서 광섬유를 코일 형태로 코일링하며 이 때 광섬유는 당겨지면서 광섬유 권취릴부(400)에서 풀리게 된다.
즉, 광섬유 권취릴부(400)에 감겨진 광섬유는 일단부 측이 당겨져서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를 통해 수직축(300a)의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300b)를 통과하여 제1광섬유 삽입홈부(321) 내에 삽입된 상태로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의 제2광섬유 삽입홈부(331) 내로 공급되어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의 하부 측까지 연장되어 광섬유를 코일 형태로 코일링 하기 위한 초기 위치로 준비가 완료된다.
광섬유 권취릴부(400)에 감겨진 광섬유의 일단부 측이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에 의해 가압되고 코일링 패널부재(10)의 상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코일링 패널부재(10)가 평면 상에서 회전되거나,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가 코일링 패널부재(10)의 상면을 따라 굴러 이동하면서 광섬유 권취릴부(400)에 감겨진 광섬유를 당기게 되고, 이에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광섬유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코일 형태로 코일링될 수 있다.
그리고, 광섬유의 코일링 작업 시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는 코일링 패널부재(10)에 접촉된 상태로 구르면서 광섬유를 당겨 공급시키고, 코일링 패널부재(10)가 평면 상에서 회전되거나,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수직축(300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광섬유를 기설계된 코일 형태로 코일링한다.
한편,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는 베이스 지지체(6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광섬유를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이송되게 안내하는 복수의 이송 안내용 롤부재(510)를 포함한다.
이송 안내용 롤부재(510)는 외주면에 광섬유가 삽입되어 이송 중인 광섬유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송 안내용 홈이 위치된다.
광섬유는 이송 안내용 롤부재(510)의 이송 안내용 홈에 끼워진 상태로 이송되어 이송 중에 이송 안내용 롤부재(510)의 폭방향으로 이동되어 이탈되는 사고가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광섬유 코일링부(300)까지 이송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에서 광섬유 이송 안내부의 일 실시예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는 광섬유 권취릴부(400)를 회전시켜 광섬유를 풀어질 수 있게 하는 릴 회전모터부(900), 이송 중인 광섬유의 장력을 감지하여 릴 회전모터부(9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장력 감지부(1000)를 더 포함한다.
장력 감지부(1000)는 베이스 지지체(600)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이송 안내용 롤부재(5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 브라켓트부재(1010), 이동 브라켓트부재(1010)가 이동될 때 가압되어 가압되는 하중을 감지하는 장력 감지용 로드셀부(1020)를 포함한다.
장력 감지용 로드셀부(1020)는 이동 브라켓트부재(1010)가 이동될 때 당겨지거나 압축되면서 하중을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700)로 전달하여 릴 회전모터부(900)의 작동을 제어하여 광섬유가 기설정된 장력으로 유지되면서 풀어질 수 있게 한다.
릴 회전모터부(900)는 광섬유가 광섬유 코일링부(300) 즉,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330)에 의해 당겨질 때 광섬유 권취릴부(400)를 회전시켜 광섬유가 풀어지게 하고, 광섬유 권취릴부(40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광섬유가 풀어지는 속도 및 풀어지는 량을 제어할 수 있다.
릴 회전모터부(900)와 장력 감지부(1000)는 제어부(700)에 연결되고, 제어부(700)는 장력 감지부(1000)를 통해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를 통해 이송되는 장력을 전달받아 광섬유가 일정 장력을 가지고 이송될 수 있게 릴 회전모터부(9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이에 광섬유가 이송 중에 끊어지는 사고를 방지함과 아울러 광섬유가 이송 중 늘어지면서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면서 광섬유 코일링 작업 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는 릴 회전모터부(900)의 작동을 제어하여 광섬유의 장력의 조절 중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장력 조절용 댐핑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장력 조절용 댐핑부(520)는 베이스 지지체(600)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고 이송 안내용 롤부재(51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승하강 브라켓트부재(521), 승하강 브라켓트부재(521)를 탄성 지지하는 장력 조절용 스프링부재(522)를 포함한다.
장력 조절용 스프링부재(522)는 하단부 측이 승하강 브라켓트부재(521)에 연결되고, 상단부 측이 베이스 지지체(600)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일 예로 하고, 반대로 상단부 측이 승하강 브라켓트부재(521)에 연결되고 하단부 측이 베이스 지지체(600)에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장력 조절용 스프링부재(522)는 승하강 브라켓트부재(521)에 위치된 이송 안내용 롤부재(510)에 감기는 광섬유의 감김 방향 또는 광섬유의 이송 방향에 따라 설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승하강 브라켓트부재(521)를 탄성 지지하여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장력 조절용 댐핑부(520)는 승하강 브라켓트부재(521)가 장력 조절용 스프링부재(522)에 탄성 지지된 상태로 장력의 변동에 따라 상, 하 이동되면서 장력 변동에 따른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또한,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는 수직축(300a)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사이에서 광섬유를 잡아 수직축(300a)의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300b)로 통과되게 안내하는 제1광섬유 공급 안내용 롤부재(530)와 제2광섬유 공급 안내용 롤부재(540)를 더 포함한다.
제1광섬유 공급 안내용 롤부재(530)와 제2광섬유 공급 안내용 롤부재(540)는 수직축(300a)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되고, 각각 외주면에 광섬유가 삽입되는 제1공급 안내용 홈부와 제2공급 안내용 홈부가 위치된다.
광섬유는 광섬유 권취릴부(400)에 폭방향으로 감겨진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에서 광섬유 권취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는 광섬유 권취릴부(400)에서 풀려지는 광섬유의 위치를 감지하는 광섬유 위치 감지부(1100), 광섬유 위치 감지부(1100)에서 감지된 위치에 따라 광섬유 권취릴부(400)를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릴 이동부(1200)를 더 포함한다.
릴 이동부(1200)는 볼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랙기어와 랙기어에 맞물려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를 포함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직선 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과 피니언 구조체 등 공지의 직선 이동기기 또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광섬유 위치 감지부(1100)는 광섬유 권취릴부(400)와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의 사이에서 광섬유 권취릴부(400)의 폭방향으로 위치되는 복수의 광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더 상세하게 광섬유 위치 감지부(1100)는 광섬유 권취릴부(400)와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이송 안내용 롤부재와 광섬유 권취릴부(400)의 사이에 위치된다.
광섬유 권취릴부(400)에서 광섬유가 풀리는 위치는 광섬유 권취릴부(400)의 폭방향으로 가변되며 복수의 광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에 광섬유가 감지되면서 풀린 광섬유의 이송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광섬유 위치 감지부(1100)는 복수의 광감지센서 이외에 폭방향으로 가변되면서 광섬유 권취릴부(400)에서 풀리는 광섬유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위치감지센서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릴 이동부(1200)는 광섬유 위치 감지부(1100)에서 감지된 위치에 따라 광섬유 권취릴부(400)를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광섬유 권취릴부(400)가 풀릴 때 풀리는 광섬유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이송 중인 광섬유가 광섬유 권취릴부(400)와 근접한 첫번째 이송 안내용 롤부재(51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광섬유 권취릴부(400)는 릴 이동부(1200)에 의해 광섬유가 풀리는 위치에 따라 이동되어 이송 중인 광섬유가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 즉, 이송 안내용 롤부재(510)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며, 광섬유는 이송 중에 즉,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이송되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의 제조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해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의 코일링 방법은 자유 회전되는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광섬유를 가압한 상태로 공급하는 중에 코일링 패널부재를 이동시켜 이동 방향으로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자유회전하면서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기설계된 광섬유 코일 형태로 광섬유를 부착시켜 코일링하는 광섬유 코일링단계를 포함한다.
광섬유 코일링부는 광섬유 이송단계를 통해 광섬유를 공급받으며, 광섬유 이송단계는 광섬유 권취릴부(400)에 권취된 광섬유를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공급한다.
그리고, 광섬유 코일링단계에서 광섬유 코일링부(300)는 코일링 패널부재(10)의 이동 방향에 따라 수직축(300a)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광섬유 코일링단계는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광섬유를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가압하면서 코일링 패널부재(10)를 회전시키거나, X축방향 또는 Y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기설계된 광섬유 코일 형태로 광섬유를 부착시키는 광섬유 코일링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의 제조방법은 광섬유 이송단계 중 광섬유 권취릴부(400)에서 광섬유가 풀리는 위치에 따라 광섬유 권취릴부(400)의 위치를 폭방향으로 조절하여 광섬유가 일정한 위치에서 이송되어 광섬유 이송 안내부(50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의 제조방법은 광섬유 이송단계 중 광섬유의 이송을 안내하는 복수의 광섬유 이송 안내용 롤부재(5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이송 중인 광섬유의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광섬유 이송단계는 광섬유의 이송 중 광섬유의 장력을 감지하여 감지되는 장력에 따라 광섬유 권취릴부(4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광섬유가 일정한 장력으로 이송되어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광섬유 이송단계는 광섬유가 일정한 장력으로 이송되어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광섬유가 이송 중에 끊기는 사고를 방지하고, 광섬유가 늘어지지 않고 팽팽한 상태로 안정적으로 광섬유 코일링부(300)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광섬유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광섬유가 일정한 장력으로 이송되어야 하고,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은 장력 감지부(1000)와 장력 조절용 댐핑부(520)를 통해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광섬유를 이송시키면서 광섬유를 기설계된 코일형태로 코일링함으로써 코일링 작업 중 광섬유의 손상을 방지하고, 광섬유의 품질을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로 광섬유를 코일링하는 예를 도시한 확대 도면이고, 도 6을 참고하면 광섬유 코일링 단계는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광섬유를 가압하여 코일링 패널부재(10)에 부착시키고 광섬유가 광섬유 이송단계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중에 코일링 패널부재(10)가 평면 상에서 회전되거나,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될 때 수직축(300a)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면서 코일링 패널부재(10) 상에 광섬유를 기설계된 코일 형태로 정확하게 코일링할 수 있다.
또한, 광섬유 코일링단계는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코일링 패널부재(10)를 가압한 상태에서 가압되는 하중을 로드셀로 감지하여 코일링 패널부재(10)를 상, 하 이동시킴으로써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광섬유를 기설정된 형태로 코일링하는 중에 코일링 패널부재(10)를 일정한 압력으로 즉, 광섬유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100)가 이동하는 중에 광섬유를 공급하는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이동 방향에 따라 자유 회전하면서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을 기설계된 형태로 정확하고 빠르게 제조할 수 있어 코일링 작업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키고, 레이저 증폭기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제작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섬유를 공급하여 광섬유를 공급하는 광섬유 코일링부(300)가 일정한 압력으로 광섬유를 공급함과 아울러 수직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 다양한 형태의 광섬유 코일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어 레이저 증폭 장치의 설계 자유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광섬유 코일의 제조 시 불량률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코일링 패널부재 100 :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
110 : 패널 고정용 체결부 110a : 패널 고정볼트
200 : 받침 이동부 210 : 받침 회전부
220 : X축 이동부 230 : Y축 이동부
300 : 광섬유 코일링부 300a : 수직축
300b :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 310 :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
311 : 축지지용 상면부 311a : 광섬유 공급 안내용 관부
312 : 롤 장착용 프레임부 320 :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
321 : 제1광섬유 삽입홈부 330 :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
331 : 제2광섬유 삽입홈부 340 :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
350 :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 360 : 광섬유 지지용 스프링부재
400 : 광섬유 권취릴부 500 : 광섬유 이송 안내부
510 : 이송 안내용 롤부재 520 : 장력 조절용 댐핑부
521 : 승하강 브라켓트부재 522 : 장력 조절용 스프링부재
530 : 제1광섬유 공급 안내용 롤부재 540 : 제2광섬유 공급 안내용 롤부재
600 : 베이스 지지체 700 : 제어부
800 : 가압 지지부 810 : 제1코일링 지지부재
820 : 제2코일링 지지부재 830 : 승하강 기기
840 :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
850 : 댐퍼 스프링부재
900 : 릴 회전모터부 1000 : 장력 감지부
1010 : 이동 브라켓트부재 1020 : 장력 감지용 로드셀부
1100 : 광섬유 위치 감지부 1200 : 릴 이동부

Claims (15)

  1. 광섬유가 상면에서 코일링되는 코일링 패널부재가 올려지는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를 이동시키는 받침 이동부; 및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 상에 광섬유를 공급하며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 상에 광섬유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광섬유 코일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는,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
    상기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광섬유가 삽입되는 제1광섬유 삽입홈부가 형성된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 및
    상기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의 하부 측에서 상기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외주면에 광섬유가 삽입되는 제2광섬유 삽입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의 이동에 따라 이동 방향으로 자유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어 광섬유를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 상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이동부는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를 평면 상에서 회전시키고, X축 방향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 이동부는,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를 회전시키는 받침 회전부;
    상기 받침 회전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 회전부와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를 X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X축 이동부; 및
    상기 X축 이동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X축 이동부, 상기 받침 회전부와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를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Y축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가 광섬유를 일정한 가압력으로 가압할 수 있게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를 상, 하 이동시키는 가압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부는,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가 수직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코일링 지지부재;
    상기 제1코일링 지지부재가 상, 하 이동가능하게 위치되며 베이스 지지체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는 제2코일링 지지부재;
    상기 베이스 지지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2코일링 지지부재를 상, 하 이동시키는 승하강 기기; 및
    상기 제2코일링 지지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제1코일링 지지부재의 상, 하 이동으로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가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를 가압하는 하중을 감지하여 상기 승하강 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압 지지부는 하단부 측이 상기 코일링 압력 감지용 로드셀부에 연결되고, 상단부 측이 상기 제1코일링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댐퍼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는,
    상기 제1광섬유 삽입홈부에 삽입된 광섬유을 외주면으로 지지하는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 및
    상기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가 일단부 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에 장착되는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는 상기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광섬유 코일링부는,
    상기 광섬유 지지용 롤부재가 광섬유를 지지할 수 있게 상기 광섬유 지지용 브라켓트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광섬유 지지용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롤 장착용 브라켓트부재는,
    수직축이 돌출되게 위치되는 축지지용 상면부; 및
    상기 축지지용 상면부의 하부 측으로 세워져 위치되고 상기 광섬유 공급용 롤부재와 상기 코일링 작업용 롤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롤 장착용 프레임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축에는 광섬유가 통과되어 광섬유를 상기 제1광섬유 삽입홈 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가 위치되고,
    상기 축지지용 상면부의 하부면에는 상기 광섬유 통과용 중공부가 위치되고 광섬유를 상기 제1광섬유 삽입홈 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광섬유 공급 안내용 관부가 돌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에는 볼트가 체결될 수 있는 패널 고정용 체결부가 복수의 열과 행으로 위치되고,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는 볼트가 관통되는 복수의 볼트 관통구멍이 위치되며,
    상기 코일링 패널부재는 볼트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패널 고정용 체결부에 체결되는 복수의 패널 고정볼트로 상기 코일링 작업용 받침부 상에서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030003A 2021-03-08 2021-03-08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KR102439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003A KR102439943B1 (ko) 2021-03-08 2021-03-08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003A KR102439943B1 (ko) 2021-03-08 2021-03-08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943B1 true KR102439943B1 (ko) 2022-09-05

Family

ID=83279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003A KR102439943B1 (ko) 2021-03-08 2021-03-08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9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426A (ja) * 2002-01-09 2003-07-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コイルの巻取装置とその巻取方法
KR20080012754A (ko) * 2006-08-04 2008-02-12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레이저 광선 조사 장치 및 레이저 가공기
KR20120009103A (ko) 2010-07-22 2012-02-01 한국광기술원 자이로 센서용 광섬유 코일, 그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이로 센서
KR101993671B1 (ko) * 2018-03-13 2019-06-27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광섬유 안착 장치 및 광섬유 안착 장치를 이용한 광섬유 안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2426A (ja) * 2002-01-09 2003-07-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コイルの巻取装置とその巻取方法
KR20080012754A (ko) * 2006-08-04 2008-02-12 가부시기가이샤 디스코 레이저 광선 조사 장치 및 레이저 가공기
KR20120009103A (ko) 2010-07-22 2012-02-01 한국광기술원 자이로 센서용 광섬유 코일, 그 제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이로 센서
KR101993671B1 (ko) * 2018-03-13 2019-06-27 주식회사 이오테크닉스 광섬유 안착 장치 및 광섬유 안착 장치를 이용한 광섬유 안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01911C (en) Passive tensioning system for composite material payout control
KR100309577B1 (ko) 웨브의권취장치
FI951932A (fi) Menetelmä ja käärimislaite rainojen käärimiseksi
JP2926614B2 (ja) 編物ウェブの巻取装置
US7226244B1 (en) System for overload protection for pipe or cable laying structures
KR100309578B1 (ko) 권취조정방법
KR102135724B1 (ko) 권취장치
KR102439943B1 (ko)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링 장치
US4049212A (en) Apparatus for independently rewinding slit strips in a web slitting and rewinding machine
KR102439940B1 (ko) 레이저 증폭용 광섬유 코일의 제조장치
JP2010235332A (ja) 光ファイバ巻取装置及び光ファイバ巻取方法
CN112340533A (zh) 一种用于无人机系留缆收放的排线装置
US9051146B2 (en) Method and device for winding of fiber webs, especially of partial paper and board webs
US20100037759A1 (en) Braiding bobbin, braiding machine and method for drawing off a fiber from the spool of a braiding bobbin
KR101612937B1 (ko) 마이크로튜브용 자동 고속 정렬 권취기
JP3194043B2 (ja) ケーブル張力検出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ケーブル用適正張力設定装置
JPH0840607A (ja) 包装材で作られた連続ウエブの貯留装置
CN217780282U (zh) 可平衡卷料张力的卷料收放设备
JPH0859081A (ja) 細線用巻線機
CN215248564U (zh) 一种单轴异步张力器
US539048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ding out linear material
US5660348A (en) Computer controlled filament winding system having tensioning device
CN117410887B (zh) 一种电缆敷设系统、速度控制方法及使用方法
KR102628193B1 (ko) 코일 공급용 권출 장치
CN212197932U (zh) 绕线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