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9266B1 -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 Google Patents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9266B1
KR102439266B1 KR1020210076297A KR20210076297A KR102439266B1 KR 102439266 B1 KR102439266 B1 KR 102439266B1 KR 1020210076297 A KR1020210076297 A KR 1020210076297A KR 20210076297 A KR20210076297 A KR 20210076297A KR 102439266 B1 KR102439266 B1 KR 102439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control
power
solar pane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6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의
가창업
정윤석
김도형
문진영
김영웅
정준태
Original Assignee
비나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나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나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6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9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9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9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20Optical components
    • H02S40/22Light-reflecting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 H04Q2209/883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where the sensing device enters an active or inactive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80Arrangements in the sub-station, i.e. sensing device
    • H04Q2209/88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 H04Q2209/886Providing power supply at the sub-station using energy harvesting, e.g. solar, wind or mechan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어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버튼의 입력 시 상기 제어버튼과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패시터; 상기 제어부와 커패시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커패시터의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칭 회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버튼의 입력 시, 발전한 전력으로 상기 스위칭 회로를 동작시켜 상기 캐패시터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전자기기에 제어신호가 송출될 시간 동안만 상기 스위칭 회로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Low-power smart remote control using capacitors and solar panels}
본 발명은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커패시터에 스위칭 회로를 적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통해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할 경우에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기전력이 필요 없어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등과 같은 장소에서 사용하고 있는 티브이, 선풍기, 에어컨, 오디오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사용자의 편리 도모 차원에서 리모컨을 마련해 둠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원격 제어를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리모컨에 의한 원격 제어는, 리모컨의 리모컨 송출부로부터 송신되는 원격 제어 신호를 전자기기에 구비된 리모컨 수신부를 통해 수신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고, 제어부에서 리모컨 수신부를 통해 전달된 원격 제어 신호를 판별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전자기기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통상적으로 전자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리모컨은, 동작이 정지된 경우라도 리모컨 송출부를 포함하는 제어부에 최소한의 전원을 제공해야 한다. 이것은 리모컨을 통해 상시 전자기기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제어하기 위해 제어버튼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하여 전자기기로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리모컨에 의한 전자기기의 원격 제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배터리를 통해 리모컨의 제어부로 항상 일정한 전원, 즉 대기 전력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리모컨의 배터리는 리모컨이 작동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어버튼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어부가 항상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대기 전력을 제공해야 하므로, 배터리의 전원인 계속해서 제어부에 공급되어 전력 손실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리모컨은 불필요하게 많은 전력을 낭비하고 있으며, 빠른 전력 소모로 충방전이 계속됨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어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대기 전력을 0(W)로 유지할 경우에는 리모컨 제어에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대기 전력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면서도 전자기기의 제어가 용이한 리모컨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의 기술로,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049901호(전자제품용 리모컨의 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커패시터에 스위칭 회로를 적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통해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할 경우에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기전력이 필요 없어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은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어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버튼의 입력 시 상기 제어버튼과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패시터; 상기 제어부와 커패시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커패시터의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칭 회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버튼의 입력 시, 발전한 전력으로 상기 스위칭 회로를 동작시켜 상기 캐패시터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전자기기에 제어신호가 송출될 시간 동안만 상기 스위칭 회로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제어버튼의 누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스위칭 회로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를 동작시키는 버튼누름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는 상기 전자기기에 제어신호가 송출될 시 상기 스위칭 회로의 on 상태를 유지시켜주고, 상기 제어신호의 송출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 회로를 off 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태양광 패널의 역전압을 방지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광 패널, 상기 버튼누름감지부에 보조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 유지용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은 선택적으로 상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커패시터를 연결시킬 수 있는 보조 연결 스위치; 상기 태양광 패널을 버튼누름감지부 또는 보조 연결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선택 스위치 및 상기 제어부의 모드선택버튼의 누름을 감지하고, 상기 모드선택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상기 태양광 패널과 버튼누름감지부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과 보조 연결 스위치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선택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선택버튼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패널과 보조 연결 스위치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보조 연결 스위치가 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은 커패시터에 스위칭 회로를 적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통해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할 경우에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기전력이 필요 없어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슈퍼 커패시터와 2차 전지의 중간 정도의 에너지량을 갖는 리튬이온 커패시터를 망간전지만큼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충전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을 태양광 투과가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보호하여, 태양광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
도 3은 도 2에 스위치 유지용 커패시터가 더 포함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
도 5는 도 4의 선택버튼감지부에 의해 보조 연결 스위치와 선택 스위치가 동작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이하,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이라 함)은 몸체부(1), 제어부(2), 커패시터(3), 스위칭 회로(4), 태양광 패널(5) 및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6)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몸체부(1)는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의 구성들이 설치되는 하우징으로써, 길이를 가지는 사각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 형태, 편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1)의 내부에는 제어부(2), 커패시터(3), 스위칭 회로(4),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6)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외부에 태양광 패널(5) 등이 설치되고, 제어부(2)의 제어버튼(20)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양광 패널(5)이 몸체부(1) 내부에 설치되되, 태양광 패널(5)이 위치하고 있는 하우징 일부분이 태양광 투과가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제어부(2)는 몸체부(1)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어버튼(20)이 구비되어, 제어버튼(20)의 입력 시 제어버튼(20)과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버튼(20)은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에 대응되게 구성된 것으로, 전자기기의 on, off 등의 입력값을 가지는 버튼일 수 있다.
이러한 제어버튼(20)은 몸체부(1)에서 외부로 도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전자기기를 제어하고자 할 시 원하는 바에 따라 제어버튼(20)을 눌러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2)는 사용자를 통해 제어버튼(20)이 입력될 경우, 선택된 제어버튼(20)과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전자기기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는 적외선송출부를 구비하여 전자기기로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커패시터(3)는 제어부(2)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스위칭 회로(4)가 동작함에 따라 제어부(2)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커패시터(3)는 리튬이온 커패시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리튬이온 커패시터(LIC, Lithium-ion Capacitor)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EDIC,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와 리튬이온 2차 전지(LIB)의 특징을 겸비하는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이며, 음극에 리튬 첨가 가능한 탄소계 재료를, 양극에 활성탄 혹은 폴리머계 유기 반도체 등의 커패시터 재료를 이용한 커패시터이다. 고 에너지 밀도, 신뢰성, 긴 수명, 안정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커패시터(3)는 충전될 수 있어,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커패시터(3)의 충전은 태양광 패널(5) 또는 충전 장치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스위칭 회로(4)는 제어부(2)와 커패시터(3) 사이에 설치되어, 제어부(2)와 커패시터(3)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칭 회로(4)는 태양광 패널(5)로부터 전압을 공급받음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데, 버튼누름감지부(50)를 통해 태양광 패널(5)로부터의 전압 공급이 제어되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스위칭 회로(4)가 on 상태(open 상태)로 됨에 따라 커패시터(3)에서 제어부(2)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스위칭 회로(4)가 태양광 패널(5)에 의해 동작되어 off 상태(short 상태)가 됨에 따라 커패시터(3)로부터 제어부(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 회로(4)는 FET(field effect transisto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FET(field effect transistor)는 전압을 인가해 전류를 뽑아내는 Voltage-controlled device로서,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FET로 JFET(Junction FET)와 MOSFET(Metal Oxide Semiconductor FET)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FET는 n 타입과 p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n 타입의 경우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전자가 흐르며, p 타입의 경우 드레인에서 소스로 전자가 흐르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스위칭 회로(4)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 역할을 하는 다양한 회로가 적용될 수 있다.
태양광 패널(5)은 몸체부(1)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조사받아 전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태양광 패널(5)은 태양광뿐만 아니라 실내의 조명 등을 통해 전압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태양광 패널(5)은 항상 낮은 전압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고려하여, 사용할 경우에만 스위칭 회로(4)를 동작시켜 커패시터(3)로부터 제어부(2)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낭비되는 대기전력을 최소화하고자 한다.
이에 태양광 패널(5)은 제어버튼(20)의 입력 시, 발전한 전력으로 스위칭 회로(4)를 동작시켜 커패시터(3)와 제어부(2)를 연결시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버튼누름감지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누름감지부(50)는 제어버튼(20)의 누름을 감지하고, 태양광 패널(5)로부터 스위칭 회로(4)에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튼누름감지부(50)는 사용자가 제어버튼(20)을 누름에 따라, 제어버튼(20)의 누름이 감지되면 태양광 패널(5)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이 스위칭 회로(4)로 공급되도록 하여, 스위칭 회로(4)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에 커패시터(3)로부터 제어부(2)에 전원이 공급되어, 제어부(2)에서 제어버튼(20)에 따라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태양광 패널(5)은 태양광에 의해 전압을 발생시킴에 따라 커패시터(3)로 전압을 공급하여 커패시터(3)가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태양광 패널(5)은 변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변압부는 태양광 패널(5)로부터 전달된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커패시터(3)에 충전시킬 수 있다. 이때, 변압부는 커패시터(3)에 인가될 수 있는 과전압을 제어함과 동시에 태양광 패널(5)로 역유입될 수 있는 전원을 차단시켜, 과전압 또는 전압의 역유입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5)은 다이오드(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51)는 태양광 패널(5)로부터 커패시터(3)에 전압이 공급될 시, 역전압이 발생되지 않도록 커패시터(3)의 VCC와 연결되는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6)는 전자기기에 제어신호가 송출될 시간 동안만 스위칭 회로(4)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버튼누름감지부(50)가 제어버튼(20)의 누름이 감지되지 않음에 따라 태양광 패널(5)로부터 스위칭 회로(4)에 전압이 공급되는 것을 중단시키므로,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6)가 제어신호의 송출이 완료될 때까지만 스위칭 회로(4)의 on 상태를 유지시켜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6)는 제어신호의 송출 시간동안만 스위칭 회로(4)의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것인데, 전자기기에 제어신호가 송출될 시 스위칭 회로(4)의 on 상태를 유지시켜주고, 제어신호의 송출이 완료됨에 따라 스위칭 회로(4)를 off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6)는 스위칭 회로(4)가 on 상태가 됨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제어부(2)에서는 수 mA의 낮은 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남은 잔여 전류를 통해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6)의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일시적으로 충전된 전원을 스위칭 회로(4)에 공급하여 스위칭 회로(4)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방전됨에 따라 스위칭 회로(4)가 off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스위치 유지용 커패시터가 더 포함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의 태양광 패널(5)은 스위치 유지용 커패시터(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유지용 커패시터(52)는 태양광 패널(5)에 의해 충전되다가 버튼누름감지부(50)에 보조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태양광 패널(5)로부터 충분한 전압이 공급되지 않아 버튼누름감지부(50)의 작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스위치 유지용 커패시터(52)는 충전되어 있는 전원을 버튼누름감지부(50)에 공급하여 버튼누름감지부(50)의 작동이 계속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선택버튼감지부에 의해 보조 연결 스위치와 선택 스위치가 동작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은 제어버튼(20)이 연속적으로 눌리는 상황에서 전원 공급과 차단이 반복됨에 따라 리모컨의 제어신호 송출에 딜레이가 발생될 수 있는 것을 고려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가 리모컨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연속모드를 선택할 시 제어부(2)에 커패시터(3)의 전원 공급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은 보조 연결 스위치(7), 선택 스위치(8) 및 선택버튼감지부(9)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2)는 모드선택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연결 스위치(7), 선택 스위치(8), 선택버튼감지부(9) 및 모드선택버튼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연결 스위치(7), 선택 스위치(8), 선택버튼감지부(9) 및 모드선택버튼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보조 연결 스위치(7)는 선택적으로 상시 제어부(2)에 커패시터(3)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위칭 회로(4)와 별개로 제어부(2)와 커패시터(3)를 연결시킬 수 있다.
보조 연결 스위치(7)는 태양광 패널(5)의 전압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으며, 전압 공급은 선택버튼감지부(9)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보조 연결 스위치(7)가 on 상태가 됨에 따라 제어부(2)에 커패시터(3)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off 상태가 됨에 따라 커패시터(3)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연결 스위치(7)는 스위칭 기능을 하는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선택 스위치(8)는 태양광 패널(5)을 버튼누름감지부(50) 또는 보조 연결 스위치(7)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으로, 선택버튼감지부(9)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스위치(8)는 상시에는 태양광 패널(5)과 버튼누름감지부(50)를 연결시킨 상태일 수 있으며, 버튼누름감지부(5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어 태양광 패널(5)과 보조 연결 스위치(7)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선택 스위치(8)는 단극 쌍투 타입의 SPDT(Single Pole Double Thorow) 스위치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선택 스위치(8)를 통해 태양광 패널(5)과 버튼누름감지부(50)가 연결되면 제어버튼(20)의 누름이 감지됨에 따라 스위칭 회로(4)를 통해 커패시터(3)의 전원 공급을 제어할 수 있고, 태양광 패널(5)과 보조 연결 스위치(7)가 연결되면 버튼누름감지부(50)는 동작하지 않으면서 보조 연결 스위치(7)가 on 상태가 되어 제어부(2)에 커패시터(3)로부터의 전원 공급이 보조 연결 스위치(7)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선택버튼감지부(9)는 제어부(2)의 모드선택버튼의 누름을 감지하여, 선택 스위치(8)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버튼감지부(9)는 모드선택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선택 스위치(8)가 태양광 패널(5)과 버튼누름감지부(50)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태양광 패널(5)과 보조 연결 스위치(7)를 연결시키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이때, 선택 스위치(8)와 선택버튼감지부(9)는 태양광 패널(5)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제어부(2)의 모드선택버튼은 사용자가 연속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모드선택버튼을 누르면, 그 누름을 선택버튼감지부(9)가 감지하여 태양광 패널(5)과 보조 연결 스위치(7)가 연결되는 연속모드가 될 수 있으며, 다시 한번 더 누르면 선택버튼감지부(9)가 누름 해제로 감지하여 태양광 패널(5)과 버튼누름감지부(50)가 연결되도록 선택 스위치(8)를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버튼누름감지부(50)는 선택 스위치(8)의 보다 용이한 작동을 위하여, 보조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전원부는 상용전원 또는 예비전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버튼누름감지부(50)에 전원을 공급하여 선택 스위치(8)의 제어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은 커패시터에 스위칭 회로를 적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통해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사용할 경우에만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대기전력이 필요 없어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슈퍼 커패시터와 2차 전지의 중간 정도의 에너지량을 갖는 리튬이온 커패시터를 망간전지만큼 오래 사용할 수 있으며 충전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패널을 태양광 투과가 가능한 플라스틱 소재로 보호하여, 태양광 패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을 제1 및 제2 실시예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성 및 이해가 쉽도록 하기 위해 실시예를 나눠 설명한 것으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구성은 설계 변경하여 서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몸체부
10: 결착홈
2: 제어부
20: 제어버튼
3: 커패시터
30: 충전단자
4: 스위칭 회로
5: 태양광 패널
50: 버튼누름감지부
51: 다이오드
52: 스위치 유지용 커패시터
6: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
7: 보조 연결 스위치
8: 선택 스위치
9: 선택버튼감지부

Claims (6)

  1.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제어버튼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버튼의 입력 시 상기 제어버튼과 대응되는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패시터;
    상기 제어부와 커패시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와 커패시터의 연결을 제어하는 스위칭 회로;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버튼의 입력 시, 발전한 전력으로 상기 스위칭 회로를 동작시켜 상기 캐패시터와 제어부를 연결하는 태양광 패널 및
    상기 전자기기에 제어신호가 송출될 시간 동안만 상기 스위칭 회로의 동작이 유지되도록 하는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제어버튼의 누름을 감지하고, 상기 제어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출력되는 전압이 상기 스위칭 회로로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스위칭 회로를 동작시키는 버튼누름감지부를 포함하는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유지용 커패시터는,
    상기 전자기기에 제어신호가 송출될 시 상기 스위칭 회로의 on 상태를 유지시켜주고, 상기 제어신호의 송출이 완료됨에 따라 상기 스위칭 회로를 off 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태양광 패널의 역전압을 방지하는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기 버튼누름감지부에 보조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스위치 유지용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6. 제2항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상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커패시터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커패시터를 연결시킬 수 있는 보조 연결 스위치;
    상기 태양광 패널을 버튼누름감지부 또는 보조 연결 스위치와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선택 스위치 및
    상기 제어부의 모드선택버튼의 누름을 감지하고, 상기 모드선택버튼의 누름이 감지되면, 상기 태양광 패널과 버튼누름감지부를 연결시킨 상태에서 상기 태양광 패널과 보조 연결 스위치를 연결시키도록 상기 선택 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선택버튼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 패널과 보조 연결 스위치가 연결됨에 따라 상기 보조 연결 스위치가 on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KR1020210076297A 2021-06-11 2021-06-11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KR102439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297A KR102439266B1 (ko) 2021-06-11 2021-06-11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6297A KR102439266B1 (ko) 2021-06-11 2021-06-11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9266B1 true KR102439266B1 (ko) 2022-09-01

Family

ID=83282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297A KR102439266B1 (ko) 2021-06-11 2021-06-11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92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927B1 (ko) * 2023-02-14 2023-07-20 주식회사 지구사랑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충전방식의 리모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445U (ko) * 2009-04-15 2010-10-25 강태규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리모콘
KR20110024764A (ko) * 2009-09-03 2011-03-09 유장호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
KR101158063B1 (ko) * 2010-05-10 2012-06-22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충전식 장착 리모컨을 갖는 선풍기 및 선풍기의 송수신방법
KR20160108910A (ko) * 2015-03-09 2016-09-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전력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445U (ko) * 2009-04-15 2010-10-25 강태규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리모콘
KR20110024764A (ko) * 2009-09-03 2011-03-09 유장호 콘센트 및 그 운용 방법
KR101158063B1 (ko) * 2010-05-10 2012-06-22 한일전기엠엠씨 주식회사 충전식 장착 리모컨을 갖는 선풍기 및 선풍기의 송수신방법
KR20160108910A (ko) * 2015-03-09 2016-09-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대기전력 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927B1 (ko) * 2023-02-14 2023-07-20 주식회사 지구사랑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충전방식의 리모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1599B (zh) Mos管的驱动电路、电源管理装置及用于驱动mos管的方法
EP2409392B1 (en) Power supply circuit for remotely turning-on electrical appliances
US9343981B2 (en) Charging device for charging a battery pack
US20130038143A1 (en) System and method with zero power standby mode for controlling an electric apparatus
US20070159348A1 (en) Power saving apparatus
CN103066690B (zh) 低功耗待机电路
IL180234A (en) Battery, electr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by shortening the battery
KR102439266B1 (ko) 커패시터와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저전력 스마트 리모컨
US10658922B2 (en) Control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for reduced standby power consumption
CN112885070A (zh) 超微功耗信号发射装置及其应用
CN202993464U (zh) 一种空调器供电控制系统
CN1758538B (zh) 控制电源向负载供电的开关电路、集成电路和开关装置
CN103592869A (zh) 一种电子设备供电控制系统及方法
JP2010268255A (ja) 電子機器の電源制御システム
US6529067B2 (en) Power saving circuit for wireless pointer
CN201233526Y (zh) 一种开关电源的打嗝式待机电路及电子设备
US10747361B2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18103328A1 (zh) 一种无人机及其太阳能供电电路与方法
JP2002078232A (ja) 電子機器
CN216412359U (zh) 一种单按键无线遥控器
CN216793039U (zh) 门铃唤醒装置
CN215897328U (zh) 供电电路及供电设备
CN218974798U (zh) 开关机电路及电子设备
CN218997929U (zh) 红外笔电源控制电路及红外笔
CN203504517U (zh) 一种基于光信号驱动的遥控电器待机零功耗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