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976B1 -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976B1
KR102438976B1 KR1020220096721A KR20220096721A KR102438976B1 KR 102438976 B1 KR102438976 B1 KR 102438976B1 KR 1020220096721 A KR1020220096721 A KR 1020220096721A KR 20220096721 A KR20220096721 A KR 20220096721A KR 102438976 B1 KR102438976 B1 KR 102438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rix
assumed
effective
assumed failure
l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6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3896A (ko
Inventor
송지영
이재걸
최창흠
한상욱
고백경
신정훈
김태균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6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97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8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8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5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48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s; 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apparent energy
    • G01R11/50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real or reactive components; Meter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apparent energy for measuring real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1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using digital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Holo Graphy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계통 영향 분석을 위한 상정고장 모의시 전체 상정고장 리스트 중에서 유효한 상정고장 리스트를 추출하도록 한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는 유효 상정고장 검출 대상 지역의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근거로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구성하고, 구성한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근거로 생성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 중에서 관심 지역 내의 유효 상정고장들을 검출하여 조류계산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VALID CONTINGENCY}
본 발명은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계통의 안정적인 계통운영을 위한 계통 영향 분석시 모의되는 상정고장에서 유효한 상정고장을 검출하는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계통에서는 신규 송전선로의 건설, 전력설비의 휴전 등과 같이 계통의 연결상태에 변동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안정적인 계통운영을 위해서 상정고장을 모의하여 변동사항에 따른 계통 영향을 분석한다. 이때, 상정고장은 전력계통의 선로, 변압기 탈락 등의 계통 고장을 사전에 모의하는 것으로, 전력설비의 신설, 조작(휴전)시 안정적인 계통운영을 위해 필수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항목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유효 상정고장의 범위 선별에 대한 분석기법이 부재하여, 관심지역 전체에 대해 상정고장을 모의하고 계통 영향을 분석해왔다. 여기서, 유효 상정고장의 범위는 조작(신규) 설비로 인해 계통에 영향을 받는 범위를 의미하며, 관심지역은 관리 대상인 계통 혹은 송전망 운영자의 업무 관할지역을 의미한다. 이때, 계통 영향 분석은 비선형 방정식 형태의 조류계산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계통의 전압, 유/무효전력의 흐름을 파악하는 과정으로, 비선형 방정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반복 수행에 따른 연산 부하가 크다.
또한, 종래에는 계통 영향 분석을 위해 관심지역 전체에 대한 계통영향을 분석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과도한 지역에 대한 계통검토(영향평가)를 수행하여 시스템 연산 소요시간 증대 등의 효율성 측면에서 문제점이 있다.
특히, EMS 등의 시스템에서는 실시간으로 빠른 연산을 요구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연산량의 증대는 시스템 부하를 증가시켜 시스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계통 영향분석을 위해 대표적인 알고리즘인 조류계산을 이용하며, 조류계산은 비선형 방정식 해를 탐색하는 기법으로 하나의 해를 구하기 위해 반복법을 수행하기 때문에 조류계산 수행 횟수가 증가할수록 시스템 연산부담은 크게 증가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80534호(명칭: 비상상태 전력 계통에서의 HVDC 계통 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계통 영향 분석을 위한 상정고장 모의시 관심지역 전체 상정고장 리스트 중에서 유효한 상정고장 리스트를 추출하도록 한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변경 설비 정보를 이용하여 전력계통의 Y매트릭스 정보를 수정하여 전체 관심지역에 대해 모든 상정고장(조류계산)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변경 설비가 계통에 미치는 범위를 산정하여 유효한 상정고장을 선별함으로써 상정고장수행 횟수를 줄여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는, 유효 상정고장 검출 대상 지역의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근거로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구성하는 행렬 구성부; 및 행렬 구성부에서 생성한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을 검출하여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를 포함한다.
행렬 구성부는, 기본 계통 데이터를 근거로 제1어드미턴스 행렬인 Y 매트릭스를 구성한다.
행렬 구성부는, Y 매트릭스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근거로 제2어드미턴스 행렬인 Y' 매트릭스를 구성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는,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 각각의 역행렬인 Z 매트릭스 및 Z' 매트릭스를 생성하고, Z 매트릭스와 Z' 매트릭스 및 기준값을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는, Z 매트릭스 및 Z' 매트릭스의 차이값에 대한 절대값을 Z 변화량으로 산출하고, Z 변화량 중에서 기준값 이상인 행렬 요소를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는, Z 변화량을 구성하는 행렬 요소 중에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행렬 요소의 모선번호 인덱스를 검출하고, 검출한 모선번호 인덱스를 포함하는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에서 생성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 및 관심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를 근거로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관심지역 판단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관심지역 판단부는,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 중에서 관심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을 검출하고, 검출된 유효 상정고장들을 포함하는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한다.
관심지역 판단부에서 생성한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에 대한 조류를 연산하는 조류 연산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상정고장 검출 방법은,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를 이용한 유효 상정고장 검출 방법에 있어서, 유효 상정고장 검출 대상 지역의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근거로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구성하는 단계; 및 구성한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을 검출하여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구성하는 단계는, 기본 계통 데이터를 근거로 제1어드미턴스 행렬인 Y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계; 및 Y 매트릭스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근거로 제2어드미턴스 행렬인 Y'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는, 제1어드미턴스 행렬의 역행렬인 Z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제2어드미턴스 행렬의 역행렬인 Z' 매트릭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Z 매트릭스와 Z' 매트릭스 및 기준값을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Z 매트릭스 및 Z' 매트릭스의 차이값에 대한 절대값을 Z 변화량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Z 변화량 중에서 기준값 이상인 행렬 요소를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Z 변화량을 구성하는 행렬 요소 중에서 기준값을 초과하는 행렬 요소의 모선번호 인덱스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한 모선번호 인덱스를 포함하는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 및 관심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를 근거로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 중에서 관심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을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된 유효 상정고장들을 포함하는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에서 생성한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에 대한 조류를 연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은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반영한 어드미턴스 행렬들을 이용하여 유효 상정고장을 검출함으로써, 시스템 연산량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정제된 모의 결과를 제공하여 분석의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은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근거로 구성한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와 관심 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를 근거로 관심 지역 내의 유효 상정고장들에 대해서만 조류계산을 수행하여, 시스템 연산량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임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정제된 모의 결과를 제공하여 분석의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상정고장 검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입력부(110), 행렬 구성부(130),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 관심지역 판단부(170), 조류 연산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110)는 분석 대상인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변경 설비 정보는 신규 송전선로, 휴전 대상 설비 정보 등을 포함한다. 계통 데이터는 조류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입력 데이터 형태를 의미한다. 입력부(110)는 기본 계통 데이터를 행렬 연산부에게로 전송한다.
행렬 구성부(13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송받은 기본 계통 데이터를 근거로 제1어드미턴스 행렬(이하, Y 매트릭스)을 구성한다. 즉, 행렬 구성부(130)는 기본 계통 데이터를 근거로 모선 간 연결 정보를 Y 매트릭스로 구성한다. 행렬 구성부(130)는 구성한 Y 매트릭스를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에게로 전송한다.
행렬 구성부(130)는 입력부(110)로부터 전송받은 변경 설비 정보를 반영한 제2어드미턴스 행렬(이하, Y' 매트릭스)을 구성한다. 즉, 행렬 구성부(130)는 기본 계통 데이터를 기준으로 구성된 Y 매트릭스에 변경 설비 정보를 반영하여 Y' 매트릭스를 구성한다. 행렬 구성부(130)는 구성한 Y' 매트릭스를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에게로 전송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는 행렬 구성부(130)로부터 전송받은 Y 매트릭스 및 Y' 매트릭스를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검출한다. 즉,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는 Y 매트릭스의 역행렬(이하, Z 매트릭스) 및 Y' 매트릭스의 역행렬(이하, Z' 매트릭스)을 생성한다. 여기서, Y 매트릭스, Y' 매트릭스, Z 매트릭스 및 Z' 매트릭스의 관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Figure 112022081265314-pat00001
Figure 112022081265314-pat00002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는 Z 매트릭스 및 Z' 매트릭스를 근거로 Z 변화량을 산출한다. 즉,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는 Z 매트릭스 및 Z' 매트릭스의 차이값을 산출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는 산출한 차이값의 절대값(즉, |Z-Z'|)을 Z 변화량으로 산출하며, Z 변화량(△Z)은 하기 수학식 2로 표현된다.
Figure 112022081265314-pat00003
여기서, Z 변화량이 크다는 것은 곧 변경된 설비로 인해 계통의 임피던스 변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통의 임피던스 변화가 큰 곳이 해당 설비 변경에 따른 계통 민감도가 큰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는 산출한 Z 변화량과 기준값(ε)을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검출한다. 즉,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는 Z 변화량을 구성하는 행렬 요소 중에서 기준값(ε)보다 큰 값을 갖는 요소의 행, 열의 모선번호 인덱스(Index)를 검출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는 검출한 모선번호 인덱스를 포함하는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관심지역 판단부(170)에게로 전송한다. 여기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는 유효 상정고장 범위 모선 리스트를 포함한다.
관심지역 판단부(170)는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150)로부터 전송받은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 및 관심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를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을 필터링한다. 즉, 관심지역 판단부(170)는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 중에서 관심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만을 필터링한다. 관심지역 판단부(170)는 필터링 결과에 따라 검출된 유효 상정고장들을 포함하는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조류 연산부(190)에게로 전송한다.
조류 연산부(190)는 관심지역 판단부(170)로부터 수신한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근거로 조류계산을 수행한다. 즉, 조류 연산부(190)는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에 대해 계통데이터와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를 이용하여 조류계산을 수행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상정고장 검출(150)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효 상정고장 검출(150)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의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 생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분석 대상의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입력받는다(S100). 이때,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조류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의 기본 계통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신규 송전선로, 휴전 대상 설비 등을 포함하는 변경 설비 정보를 입력받는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입력된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근거로 제1어드미턴스 행렬(즉, Y 매트릭스)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즉, Y' 매트릭스)를 생성한다(S200). 즉,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기본 계통 데이터를 근거로 모선 간 연결 정보를 Y 매트릭스로 구성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기본 계통 데이터를 기준으로 구성된 Y 매트릭스에 변경 설비 정보를 반영하여 Y' 매트릭스를 구성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한다(S300).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Y 매트릭스의 역행렬인 Z 매트릭스를 생성한다(S310). 즉,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기본 계통 데이터를 근거로 생성한 Y 매트릭스의 역행렬을 생성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Y' 매트릭스의 역행렬인 Z' 매트릭스를 생성한다(S320). 즉,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Y 매트릭스에 변경 설비 정보를 반영한 Y' 매트릭스의 역행렬을 생성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Z 매트릭스 및 Z' 매트릭스를 근거로 Z 변화량을 산출한다(S330). 즉,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산출한 Z 매트릭스 및 Z' 매트릭스의 차이값에 대한 절대값(즉, |Z-Z'|)을 Z 변화량으로 산출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Z 변화량 및 기준값(ε)을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한다(S340). 여기서, Z 변화량이 크다는 것은 곧 변경된 설비로 인해 계통의 임피던스 변화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계통의 임피던스 변화가 큰 곳이 해당 설비 변경에 따른 계통 민감도가 큰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Z 변화량을 구성하는 행렬 요소 중에서 기준값(ε)보다 큰 값을 갖는 요소의 행, 열의 모선번호 인덱스(Index)를 검출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검출한 모선번호 인덱스를 포함하는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한다. 이때,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는 유효 상정고장 범위 모선 리스트를 포함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생성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 및 관심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를 근거로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한다(S400). 즉,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 중에서 관심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만을 필터링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필터링 결과에 따라 검출된 유효 상정고장들을 포함하는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한다.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생성한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근거로 조류계산을 수행한다(S500). 즉,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100)는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에 대해 계통데이터와 어드미턴스 행렬 정보를 이용하여 조류계산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은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반영한 어드미턴스 행렬들을 이용하여 유효 상정고장을 검출함으로써, 시스템 연산량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임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정제된 모의 결과를 제공하여 분석의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은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근거로 구성한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한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와 관심 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를 근거로 관심 지역 내의 유효 상정고장들에 대해서만 조류계산을 수행하여, 시스템 연산량을 최소화하여 효율적인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정제된 모의 결과를 제공하여 분석의 직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110: 입력부
130: 행렬 구성부 150: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
170: 관심지역 판단부 190: 조류 연산부

Claims (1)

  1. 유효 상정고장 검출 대상 지역의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받은 기본 계통 데이터 및 변경 설비 정보를 근거로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구성하는 행렬 구성부; 및
    상기 행렬 구성부에서 생성한 제1어드미턴스 행렬 및 제2어드미턴스 행렬을 근거로 유효 상정고장을 검출하여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행렬 구성부는,
    상기 기본 계통 데이터를 근거로 제1어드미턴스 행렬인 Y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상기 행렬 구성부는,
    상기 Y 매트릭스 및 상기 Y 매트릭스에 상기 변경 설비 정보를 반영하여 제2어드미턴스 행렬인 Y'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상기 유효 상정고장 검출부에서 생성한 상기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 및 관심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를 근거로 조류계산 대상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를 생성하는 관심지역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와 관심 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를 근거로 관심 지역 내의 유효 상정고장들에 대해서만 조류계산이 수행되고,
    상기 관심지역 판단부는,
    상기 유효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 중에서 관심지역 내 모든 상정고장 리스트에 포함된 유효 상정고장들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KR1020220096721A 2015-09-25 2022-08-03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438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6721A KR102438976B1 (ko) 2015-09-25 2022-08-03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769A KR102430664B1 (ko) 2015-09-25 2015-09-25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0220096721A KR102438976B1 (ko) 2015-09-25 2022-08-03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769A Division KR102430664B1 (ko) 2015-09-25 2015-09-25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896A KR20220113896A (ko) 2022-08-17
KR102438976B1 true KR102438976B1 (ko) 2022-09-02

Family

ID=5858859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769A KR102430664B1 (ko) 2015-09-25 2015-09-25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0220096722A KR102438977B1 (ko) 2015-09-25 2022-08-03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0220096721A KR102438976B1 (ko) 2015-09-25 2022-08-03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769A KR102430664B1 (ko) 2015-09-25 2015-09-25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0220096722A KR102438977B1 (ko) 2015-09-25 2022-08-03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30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600B1 (ko) * 2021-02-26 2023-11-1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임베디드 hvdc의 모니터링 지역 선별 장치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5818B2 (ja) 2001-11-02 2003-10-14 浩一 辻 電力系統の監視保護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
JP2004343901A (ja) 2003-05-16 2004-12-02 Tm T & D Kk 電力系統の負荷量計算方法、電力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力系統解析装置
JP2007181387A (ja) 2005-12-01 2007-07-12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力系統の過渡安定度判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556946B2 (ja) 2006-12-19 2010-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潮流計算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4511096A (ja) 2011-01-28 2014-05-01 ザ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ネバダ システム オブ ハイヤー エデュケーション オン ビハーフ オブ ザ デザート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信号同定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555B1 (ko) * 2002-10-31 2005-03-11 한국전력공사 계통 해석방법 및 그 분석시스템
KR20050091916A (ko) * 2004-03-11 2005-09-16 한국전력공사 대규모 전력계통의 오프라인 상태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8438B1 (ko) * 2004-08-13 2006-12-15 한국전력공사 상정고장 검토기준 수립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37224A (ko) * 2005-09-30 2007-04-0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무효전력 예비력 상정사고 제약 최적 조류 계산 방법
KR20130035739A (ko) * 2011-09-30 2013-04-09 한국전력공사 Hvdc 최적운용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0534B1 (ko) 2012-07-11 2015-01-08 한국전력공사 비상상태 전력 계통에서의 hvdc 계통 제어 시스템
KR101593212B1 (ko) * 2013-11-13 2016-02-11 한국전기연구원 상정고장 해석 기반의 전력계통 안전도 개선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5818B2 (ja) 2001-11-02 2003-10-14 浩一 辻 電力系統の監視保護方法と、そのプログラム
JP2004343901A (ja) 2003-05-16 2004-12-02 Tm T & D Kk 電力系統の負荷量計算方法、電力系統監視制御システム、および電力系統解析装置
JP2007181387A (ja) 2005-12-01 2007-07-12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力系統の過渡安定度判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556946B2 (ja) 2006-12-19 2010-10-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潮流計算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4511096A (ja) 2011-01-28 2014-05-01 ザ ボード オブ リージェンツ オブ ザ ネバダ システム オブ ハイヤー エデュケーション オン ビハーフ オブ ザ デザート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信号同定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321A (ko) 2017-04-04
KR20220113897A (ko) 2022-08-17
KR102430664B1 (ko) 2022-08-16
KR102438977B1 (ko) 2022-09-02
KR20220113896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e et al. Distributed fault detection over sensor networks with Markovian switching topologies
JP6575939B2 (ja) 送電システムにおける振動安定性を分析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Pinto et al. Multi‐objective and multi‐period distribution expansion planning considering reliability, distributed generation and self‐healing
EP36713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system settings for an industrial system
US201702142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smart power grid networks
KR102438976B1 (ko) 유효 상정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US10948936B2 (en) Test bed platforms for advanced multi-stage automation and control for smart and micro grid
Metallinos et al. Derivation and evaluation of generic measurement-based dynamic load models
Dobrić et al. The application of genetic algorithm in diagnostics of metal-oxide surge arrester
Zhang et al. Measurement‐based dynamic load modelling using time‐domain simulation and parallel‐evolutionary search
Guillen et al. Data‐driven short‐circuit detection and location in microgrids using micro‐synchrophasors
KR101988670B1 (ko) 배전계통의 상태추정 장치
Pozos et al. A mixed-binary linear formulation for the distribution system expansion planning problem
CN107102543B (zh) 一种能量路由器抗干扰控制器的形成方法及装置
Krey et al. Clustering of electrical transmission systems based on network topology and stability
Li et al. On‐line voltage security assessment and control
Blaauwbroek et al. Interfacing solutions for power hardware‐in‐the‐loop simulations of distribution feeders for testing monitoring and control applications
Castillo et al. $ mk $ Robust Observability in State Estimation
KR102226677B1 (ko) 전력계통의 하모닉 임피던스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Cedeño et al. Convexification method for bilinear transmission expansion problem
Martínez‐Lacañina et al. DC corrective optimal power flow based on generator and branch outages modelled as fictitious nodal injections
JP2016502202A5 (ko)
Maharana et al. Sensitivity Based Network Contingency Ranking Using Newton Raphson Power Flow Method
Lemay et al. Modelling physical impact of cyber attacks
US1172237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resilient infrastructure simulation enviro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