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858B1 -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8858B1 KR102438858B1 KR1020200025344A KR20200025344A KR102438858B1 KR 102438858 B1 KR102438858 B1 KR 102438858B1 KR 1020200025344 A KR1020200025344 A KR 1020200025344A KR 20200025344 A KR20200025344 A KR 20200025344A KR 102438858 B1 KR102438858 B1 KR 1024388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neral wool
- wall
- finishing
- finishing material
- insulation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벽면에 설치되는 외단열재의 시공시 다양한 두께와 형태에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시공용이성이 향상되면서, 외단열재의 주성분인 미네랄울의 변형도 최소화하여 단열성능 및 부착성능이 뛰어난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미네랄울로 형성되되, 내력보드가 일단에 층결합된 외단열재; 상기 외단열재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마감재; 및 일측은 벽면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마감재가 설치되되, 상기 외단열재가 안착되는 중심측은 길이가 신축가능한 가변형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은, 벽면고정구가 관통되도록 장공홀이 형성된 부착부; 상기 부착부에 수직하도록 형성되고, 벽면과 이격된 타단에 복수개의 잠금구가 설치되되 상기 외단열재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잠금구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에 중첩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안착되되, 상기 외단열재와 상기 마감재의 분리와 상기 마감재의 탈락이 방지되는 수직격벽이 복수개 형성된 마감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미네랄울로 형성되되, 내력보드가 일단에 층결합된 외단열재; 상기 외단열재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마감재; 및 일측은 벽면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마감재가 설치되되, 상기 외단열재가 안착되는 중심측은 길이가 신축가능한 가변형 브라켓;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브라켓은, 벽면고정구가 관통되도록 장공홀이 형성된 부착부; 상기 부착부에 수직하도록 형성되고, 벽면과 이격된 타단에 복수개의 잠금구가 설치되되 상기 외단열재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잠금구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에 중첩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안착되되, 상기 외단열재와 상기 마감재의 분리와 상기 마감재의 탈락이 방지되는 수직격벽이 복수개 형성된 마감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벽면에 설치되는 외단열재의 시공시 다양한 두께와 형태에도 시공이 가능하도록 시공용이성이 향상되면서, 외단열재의 주성분인 미네랄울의 변형도 최소화하여 단열성능 및 부착성능이 뛰어난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물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건물의 전체적인 구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내력 구조물이 뼈대를 이루어 형성되고, 이후에 외관을 이루는 벽면의 마감을 하거나, 내부의 벽면이나 배관설치 등의 시공과정을 거치게 된다.
건물의 외관을 이루는 벽면은, 외부에 노출되어 심미감을 형성하는 부분이면서도, 외부의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부분이므로, 심미적인 역할과 기능적인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기능적인 역할은 건물 외부와 내부 상호간 온도전달을 방지하는 단열 기능을 구비한 재료로 구비함으로써 수행하고, 심미적인 역할은 외부의 충격에 강하면서 무늬 또는 장식이 가능한 재료로 구분되어 구비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기능적인 역할에 추가적으로, 건물에 화재발생시 확산방지를 위한 추가적인 기능도 구비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건축법의 개정으로 인하여 외단열재에도 이러한 화재 확산방지 기능이 구비될 것이 강제되고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외단열재의 시공은, 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되는 건물의 외벽에 시멘트같은 각 재료의 고정접착이 가능한 재료를 이용하는 습식(濕式) 외단열 공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습식 외단열 공법은 양생에 소모되는 시간적 손실과 양생에 부적합한 환경조건시 작업이 불가한 문제점이 있으며, 시공 후 건물의 사용년한이 증가되는 경우 접착력의 저하로 외단열재가 탈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접착력의 저하로 인하여 외벽이 탈락되어 낙하물에 의한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등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벽에 앵커 또는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 브라켓을 설치하고 그 위에 외단열재 및 마감재를 삽입하는 방식의 건식(乾式) 외단열 공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건식 외단열 공법은 외단열재의 스펙이 달라지는 경우에 따라 고정브라켓의 사이즈를 다양하게 구비하여야 하며, 외단열재나 마감재의 고정이 제대로 되지 않아 탈락의 위험 및 단열기능과 심미적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벽면으로부터 탈락 가능성이 현저하게 낮은 건식 외단열 공법이 적용되되, 단열 기능을 수행하는 미네랄울과 심미적 기능을 하는 마감재의 설치가 용이한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는 미네랄울로 형성되되, 내력보드가 일단에 층결합된 외단열재; 상기 외단열재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마감재; 및 일측은 벽면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마감재가 설치되되, 상기 외단열재가 안착되는 중심측은 길이가 신축가능한 가변형 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은, 벽면고정구가 관통되도록 장공홀이 형성된 부착부; 상기 부착부에 수직하도록 형성되고, 벽면과 이격된 타단에 복수개의 잠금구가 설치되되 상기 외단열재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잠금구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에 중첩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안착되되, 상기 외단열재와 상기 마감재의 분리와 상기 마감재의 탈락이 방지되는 수직격벽이 복수개 형성된 마감부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기 가이드홀은 지그재그형 또는 상기 잠금구가 내삽될 수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조절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홀 사이에는 인식가능한 표식이 형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잠금구가 해제되어 상기 조절부가 슬라이딩되어 간격이 조절되고 상기 잠금구가 잠금되는 제1단계; 상기 부착부가 벽면에 고정되는 제2단계; 상기 외단열재가 끼움고정되는 제3단계; 및 상기 마감부에 상기 마감재가 설치되는 제4단계로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습식 외단열 공법은 시공시 양생에 필요한 시간의 소모와 양생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되었어야 하나, 건식 외단열 공법은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작업 환경조건에 상관없이 시공이 가능하다.
이러한 작업상의 이점은 결국 시공기간의 감소를 가져오며, 이는 궁극적으로 시공비용의 절감이라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외단열재의 시공시 외단열재의 두께와 같은 스펙에 따라 그 간격의 조절이 용이하여 요구되는 성능에 따른 다양한 외단열재를 시공하는 것이 용이하다.
외단열재가 삽입되는 브라켓은 가변형으로 구성되어, 벽면으로부터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는데, 지그재그형이나 삽입홈에 삽입되고 이를 다시 잠금구에 의하여 잠금하는 이중적인 조치를 함으로써, 간격의 변형없이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견고한 고정은 장기간에 걸친 미세진동이나 풍압 등에도 외단열재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유지 보수의 가능성이 낮아지는 효과 외에도 대형 인명사고의 발생 가능성도 매우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종래에는 벽면에 외단열재를 순차적으로 층이 형성되도록 시공하였으나, 본 발명은 가변형인 브라켓에 안착 설치가 가능하므로, 사전에 층으로 형성된 외단열재를 형성하고 이를 벽면에 고정하는 방법의 사용이 가능하므로, 시공이 용이하며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브라켓은 벽면에 시공하기 전에 안착될 외단열재의 두께에 따라 미리 조절되고 잠금된 후 벽면에 설치되므로, 용이한 시공과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불연재인 미네랄울 외단열재는 여타 외단열재와 달리 화재확산 방지기능이 가장 중요하며, 이러한 우수한 내화(耐火)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설치된 미네랄울 결합체의 구조적 안정성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뒤틀림, 흡습 또는 투습으로 인한 형상 변형으로 에어갭이 발생되어, 외단열재 설치구역인 화재확산방지선 내부에 연소구간이 발생함으로써 화재의 전파가 적절하게 억제되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 변형에 따른 내화 기능의 저하는, 본 발명에 의해 건물 외벽과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의 견고한 결합이 유지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외단열재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의 조절부와 마감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의 조절부와 마감부의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의 시공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의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의 조절부와 마감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의 조절부와 마감부의 측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의 시공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의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외단열재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의 조절부와 마감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의 조절부와 마감부의 측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의 시공 개념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의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단열재(100), 마감재(200) 및 브라켓(300)으로 구성될 수 잇으며, 각 구성의 기술적 특징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 외단열재(100)를 살펴본다.
외단열재(100)는 벽면의 외면에서 벽면 내부와 외부의 환경을 단절하게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하는 단열 성능과 소음진동을 차단하는 차음 성능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불연성, 흡음성, 열간수축온도, 내습성, 열전도성 및 내구성이 높은 성질을 가지는 내력보드(110)와 광물질 섬유인 미네랄울(130)이 결합된 제품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기능적 특징에 의하여 다양한 구성요소가 부가적으로 층결합된 외단열재(100)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내력보드(110)는 후술할 미네랄울(130)과 층결합하여 외단열재(100) 전체의 구조적 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는 수분에 대한 흡수성능과 난연성능이 구비될 수 있다.
내력보드(110)는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CRC보드, 세라믹 타일 또는 도장도금 강판시트 중 어느 하나 또는 상호결합된 것일 수 있다.
CRC보드(Cellulose fiber reinforced cement board)는 불연 강화 시멘트 패널로서, 온도 편차에 따른 길이 변화가 적고, 내수성, 내화성, 차음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고, 세라믹 타일(Ceramic tile)은 준불연 건축재로서, 상기 CRC보드와 합지되어 강도가 상승되는 장점이 있으며, 도장도금 강판시트는 금속제 건축재로서 경량자재로 취급이 쉽고 절단 등의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미네랄울(130)은 광물질 섬유로서 일반적으로 보온 및 방음재 등으로 사용되는데, 일반적으로 접할 수 있는 스폰지와 같은 방식으로 섬유가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섬유가 적층된 형태로 인하여 미네랄울(130)은 압력에 의해 그 부피가 급격하게 감소되는 성질을 가지게 되어, 외부의 충격에 의한 부피 변화로 전체 벽면 외장의 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네랄울(130)의 적층면과 내력보드(110)의 면이 수직하도록 배치하여 층결합하는 발명이 제시되었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미네랄울(130) 적층시트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하여 분할된 다수개의 미네랄울(130)을 적층 측면이 내력보드(110)의 표면에 맞닿도록, 즉 미네랄울(130) 적층면과 내력보드(110)가 수직하도록 배치하는 방법이 종래 제시되었다.
이러한 발명으로 내력보드(110)와 미네랄울(130)이 결합된 외단열재(100)의 강성이 어느정도 확보되었으나, 볼트를 이용하여 외단열재(100)를 관통하여 벽면에 설치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외단열재(100)의 부피가 감소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는 결국 시공상의 어려움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후술할 브라켓(300)에 의하여 외단열재(10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의 확보 및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바,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마감재(200)를 살펴본다.
마감재(200)는 벽면의 최외각에 설치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외단열재(100)를 보호하는 역할과 외부에 노출되어 심미감을 향상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마감재(200)의 재료나 구성은 어느 일정한 것으로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역할을 수행하는 기능이 구비된 것 모든 것을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마감재(200)는 외단열재(100)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마감재(200)는 그 역할의 수행을 위하여 다양한 형태나 무늬가 구비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 의해 탈락될 가능성이 높아 유지 보수의 용이함을 가져오기 위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감재(200)는 중량물이 아닌 상대적으로 경량이거나 충격이 흡수되는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벽면으로부터 탈락하여 낙하하여도 인적 물적 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낮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감재(200)와 외단열재(100)는 이격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마감재(200)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이 외단열재(100)에 감소되어 전달되며, 단열 효과적인 면에서도 열전달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도록 완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마감재(200)와 외단열재(100)는 후술할 브라켓(300)에 이격되어 있는 형상에 안착됨으로써 이격 설치되나, 용이한 설치를 위하여 마감재(200)는 판(板)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브라켓(300)을 살펴본다.
브라켓(300)은 일측은 벽면에 고정결합되고 타측 끝단에는 마감재(200)가 설치되며 중심측에는 외단열재(100)가 안착되는 지지대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중심측은 신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외단열재(100)의 부피가 다양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브라켓(300)은 부착부(310), 안착부(330), 조절부(350) 및 마감부(3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부착부(310)는 브라켓(300)이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평면으로 구성되는 벽면의 형상에 따라 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착부(310)가 벽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부착부(310)를 관통하여 고정하는 벽면고정구(311)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피스못이나 볼트 등으로 판형 구성물을 일측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통칭하는 것일 수 있다.
부착부(310)에 형성된 벽면고정구(311)가 관통되는 홀은 장공홀(313)로 구성함으로써, 시공시 브라켓(300)의 위치를 장공홀(313) 내에서 벽면고정구(311)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안착부(330)는 상기 부착부(310)에 수직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안착부(330)에 의하여 외단열재(100)가 안착되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안착부(330)는 부착부(310)를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수직한 판을 용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견고한 고정과 제조상의 용이함을 고려하면 절곡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부착부(310)와 동일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330)가 부착부(310)와 접하는 측의 타측 일단에는 복수개의 잠금구(331)가 설치될 수 있다.
잠금구(331)는 후술할 조절부(350)의 가이드홀(351)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조절부(350)의 위치가 결정된 후에 잠금에 의해 안착부(330)에 대하여 조절부(350)의 상대적인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잠금구(331)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판형인 안착부(330)에 수직하도록 형성되는 볼트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잠금구(331)는 조절부(350)가 안착부(330)에 고정되도록 잠금되어야 하므로, 안착부(330)에 삽입되는 부분은 가이드홀(351)을 관통하도록 하되 나사산을 가지고, 조절부(350)의 상부면에 접하는 부분은 조절부(350)를 가압할 수 있도록 수평연장된 헤드부를 가지는 볼트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잠금구(331)는 후술할 조절부(350)의 가이드홀(351)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조절부(35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안정적일 수 있다.
조절부(350)는 안착부(330)에 중첩 설치되어, 안착부(330)에 상대적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외단열재(100)의 부피에 따른 안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조절부(350)는 상술한 안착부(330)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되, 판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조절부(350)에는 안착부(330)의 잠금구(331)가 관통될 수 있는 복수개의 가이드홀(351)이 안착부(330)측에서 후술할 마감부(370)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홀(351)에 관통설치되어 있는 잠금구(331)의 몸체와 가이드홀(351)의 상대 운동에 따라 조절부(350)가 안착부(330)측으로 접근 및 후퇴하도록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조절부(350)가 안착부(330)측으로 접근하는 경우에는 안착부(330)와 조절부(350)가 형성하는 안착 공간이 축소되어 두께가 작은 외단열재(100)의 안착이 가능하고, 조절부(350)가 안착부(330)측으르부터 후퇴하는 경우에는 안착부(330)와 조절부(350)가 형성하는 안착 공간이 확대되어 두께가 큰 외단열재(100)의 안착이 가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절부(350)의 술라이딩 이동이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홀(351)의 형태가 지그재그(Zigzag)형으로 이루어지거나 잠금구(331)가 내삽되는 복수개의 삽입홈(353)이 형성된 홈구비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그재그형을 살펴보자면, 복수개의 가이드홀(351)이 안착부(330)측에서 마감부(370)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직선형이 아닌, 중심으로부터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진행방향이 반복 전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그재그형으로 인하여,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변곡점에는 잠금구(331)의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는 홈이 형성되는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지그재그형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횟수는, 다양한 두께를 가진 외단열재(100)의 여부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잠금구(331)가 내삽되는 삽입홈(353)이 형성되는 홈구비형을 살펴보자면, 안착부(330)측에서 마감부(370)측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직선형 가이드홀(351)은 그대로 형성되되, 각 가이드홀(351)의 측면, 즉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도록 할수 있다.
잠금구(331)는 직선형으로 구비된 가이드홀(351)을 따라 이동하다가 삽입홈(353)에 내삽되어 고정됨으로써 잠금구(331)의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삽입홈(353)의 곡률중심과 잠금구(331)의 중심이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가이드홀(351)의 직선 부분은 중심에서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삽입홈(353)에 잠금구(331)가 위치하여 잠금시 안착부(330)와 조절부(350)가 동일한 폭에 정렬될 수 있게 된다.
복수개의 가이드홀(351) 사이에는 인식가능한 표식(355)이 형성될 수 있는데, 표식(355)은 조절부(350)의 상부면에 각인 또는 프린팅되어 있을 수 있다.
표식(355)은 길이를 나타내는 수치이거나 잠금구(331)가 해당 표지에 위치할 경우 삽입될 수 있는 외단열재(100)의 규격을 기재한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표식(355)으로 인하여 시공시 간단하게 조절부(350)의 폭이 조절되며, 폭 조절시 작업자에 의한 오(誤)조절 가능성도 낮아질 수 있다.
마감부(370)는 상기 조절부(350)가 연장형성된 것으로, 벽면에서 가장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마감재(200)가 안착 설치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마감부(370)의 구비로 인하여 상기 외단열재(100)와 상기 마감재(200)는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마감재(200)의 탈락이 방지될 수 있다.
마감부(370)는 조절부(350)의 평면에 수직하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수직격벽(371)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외단열재(100)와 마감재(200)를 이격하는 역할을 하는 제1수직격벽(371a)과 마감재(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제2수직격벽(37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수직격벽(371a)과 제2수직격벽(371b)은 평행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부피의 증감이 있을 수 있는 외단열재(100)를 구속하는 제1수직격벽(371a)이 상대적으로 더 높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수직격벽(371a)과 제2수직격벽(371b)은 조절부(350)를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수직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브라켓(30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는 외단열재(100)와 마감재(200)의 상부를 구속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벽면에 설치된 외단열재(100)와 마감재(200)에는 상부와 하부에 접하는 복수개 브라켓(300)의 수직격벽(37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일반적으로 종래 습식 외단열 공법에 대한 보완으로 개발된 건식 외단열 공법은 브라켓(300)을 벽면에 설치한 후에, 외단열재(100) 또는 마감재(200)를 설치한 후에 브라켓(300)을 잠금하는 형태의 방식이 이용되었다.
본 발명은 브라켓(300)에 형성된 가이드홀(351)에 위치의 결정이 가능하도록 지그재그형 또는 삽입홈(353)이 형성된 홈구비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브라켓(300)을 벽면에 부착하지 않고도 그 간격을 적절하게 조정한 후에 잠금 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제1단계(S100)에서부터 제4단계(S400)까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단계(S100)는 브라켓(300)의 간격이 조절되는 단계로서, 브라켓(300)을 벽면에 설치하지 않아도 수행될 수 있어, 시공의 간편함과 함께 시공의 안전함을 얻을 수 있다.
먼저, 안착부(330)에 형성된 잠금부를 해제함으로써 중첩설치된 조절부(35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게 되되, 가이드홀(351)에 관통되어 있는 잠금구(33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홀(351)은 지그재그형이거나 홈구비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잠금구(331)는 지그재그형의 변곡점 또는 홈구비형의 삽입홈(353)에 위치할 수 있다.
변곡점 또는 삽입홈(353)에 잠금구(331)가 위치하게 되면, 그 형태상의 특징으로 인하여, 조절부(350)는 안착부(330)와 접근 또는 후퇴하는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은 제한될 수 있다.
안착될 외단열재(100)의 두께에 해당하는 변곡점 또는 삽입홈(353)에 잠금구(331)가 위치하게 되면, 잠금구(331)는 볼트결합 등에 의해 잠금이 될 수 있다.
잠금구(331)의 헤드부는 조절부(350)의 상부면을 가압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조절부(350)는 변곡점 또는 삽입홈(353)에 위치하게 되어 1차적으로 고정되고, 잠금구(331)의 잠금에 의하여 2차적으로 견고하게 잠금될 수 있다.
간격이 조절된 브라켓(300)은 벽면에 부착되는 제2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브라켓(300)의 부착부(310)는 판형으로 구성되고, 평면인 벽면에 밀착접촉된 후에 부착부(310)에 형성된 장공홀(313)에 벽면고정구(311)가 관통됨으로써 브라켓(300)이 고정될 수 있으며, 이 때 장공홀(313)로 인하여 브라켓(300)의 설치 위치는 유연하게 조정될 수 있다.
제2단계(S200)의 수행으로 브라켓(3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브라켓(300)의 안착부(330)와 조절부(350)에 의해 형성된 간격에 외단열재(100)가 끼움고정되는 제3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외단열재(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미네랄울(130)과 내력보드(110)의 결합으로 형성된 특징으로 인하여 압력에 의해 부피의 가변이 가능하므로, 브라켓(300)에 삽입시 억지끼움과 같은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외단열재(100)의 설치가 이루어지는 제3단계(S300)가 수행된 후에는, 브라켓(300)의 마감부(370)에 마감재(200)가 삽입 설치되는 제4단계(S400)가 수행됨으로써,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의 벽면 시공이 완료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는, 각 단위별로 설치완료된 각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의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각 마감재(200) 사이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시공이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마감재(200) 사이는 실리콘, 시멘트 또는 줄눈 시공을 통하여 접착할 수 있으며, 벽면이 위치하는 곳의 환경 및 강도에 따라 취사 선택하여 시공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0: 외단열재
110: 내력보드
130: 미네랄울
200: 마감재
300: 브라켓
310: 부착부
311: 벽면고정구
313: 장공홀
330: 안착부
331: 잠금구
350: 조절부
351: 가이드홀
353: 삽입홈
355: 표식
370: 마감부
371: 수직격벽
371a: 제1수직격벽
371b: 제2수직격벽
S100: 제1단계
S200: 제2단계
S300: 제3단계
S400: 제4단계
110: 내력보드
130: 미네랄울
200: 마감재
300: 브라켓
310: 부착부
311: 벽면고정구
313: 장공홀
330: 안착부
331: 잠금구
350: 조절부
351: 가이드홀
353: 삽입홈
355: 표식
370: 마감부
371: 수직격벽
371a: 제1수직격벽
371b: 제2수직격벽
S100: 제1단계
S200: 제2단계
S300: 제3단계
S400: 제4단계
Claims (5)
- 미네랄울로 형성되되, 내력보드가 일단에 층결합된 외단열재;
상기 외단열재와 이격되어 설치되는 마감재; 및
일측은 벽면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마감재가 설치되되, 상기 외단열재가 안착되는 중심측은 길이가 신축가능한 가변형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브라켓은,
벽면고정구가 관통되도록 장공홀이 형성된 부착부;
상기 부착부에 수직하도록 형성되고, 벽면과 이격된 타단에 복수개의 잠금구가 설치되되 상기 외단열재가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잠금구가 관통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부에 중첩설치되어 슬라이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에 연장형성되어 상기 마감재가 안착되되, 상기 외단열재와 상기 마감재의 분리와 상기 마감재의 탈락이 방지되는 수직격벽이 복수개 형성된 마감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홀은 지그재그형으로 이루어져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변곡점에서 상기 잠금구의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거나,
상기 가이드홀은 상기 잠금구가 내삽될 수 있는 복수개의 삽입홈이 형성된 홈구비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잠금구가 상기 삽입홈에 내삽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잠금구의 길이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가이드홀에 의해 상기 조절부의 슬라이딩 이동이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홀 사이에는 인식가능한 표식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5344A KR102438858B1 (ko) | 2020-02-28 | 2020-02-28 |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5344A KR102438858B1 (ko) | 2020-02-28 | 2020-02-28 |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9989A KR20210109989A (ko) | 2021-09-07 |
KR102438858B1 true KR102438858B1 (ko) | 2022-09-01 |
Family
ID=77797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5344A KR102438858B1 (ko) | 2020-02-28 | 2020-02-28 |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8858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143Y1 (ko) * | 2004-09-20 | 2004-12-03 | 정희정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 받침대 |
KR101863778B1 (ko) * | 2017-11-21 | 2018-06-04 | 김학재 | 외벽판넬 및 외벽판넬 고정조립체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1883B1 (ko) * | 2012-02-27 | 2015-01-21 | (주)비온디 | 건축물의 건식 외단열 시공방법 |
KR101394658B1 (ko) | 2013-01-18 | 2014-05-14 | (주) 벽산인슈로 | 불연성 목모 건축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160002935U (ko) * | 2015-02-13 | 2016-08-23 | 우성호 | 천연석재 표면의 보드 제조방법 및 이의 건식 시공방법 |
KR101986990B1 (ko) | 2016-09-28 | 2019-06-10 | (주)한국록셀보드 | 외단열 공법 및 그에 따른 외단열 벽체 |
-
2020
- 2020-02-28 KR KR1020200025344A patent/KR1024388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9143Y1 (ko) * | 2004-09-20 | 2004-12-03 | 정희정 | 길이 조절이 가능한 선반 받침대 |
KR101863778B1 (ko) * | 2017-11-21 | 2018-06-04 | 김학재 | 외벽판넬 및 외벽판넬 고정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09989A (ko) | 2021-09-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89645B1 (en) | Sound-insulating sandwich element | |
CA2371354C (en) | Sound-insulating sandwich element | |
EP3482009A1 (en) | A curtain wall system, a composite module for a curtain wall system and a building comprising a curtain wall system | |
CN110158852A (zh) | 一种装配式建筑用复合夹芯保温装饰外墙板及制备方法 | |
EP2635830B1 (en) | Method for providing a fire safe penetration in building element | |
KR102438858B1 (ko) | 벽면 시공이 용이한 미네랄울 외단열재 결합체 및 그 시공방법 | |
EP0965701A1 (en) | Sound insulating panel | |
KR102303438B1 (ko) | 외벽마감용 불연외장패널 및 그 시공방법 | |
KR200332657Y1 (ko) |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 |
EP3868969B1 (en) | Fireproof wall | |
KR100555129B1 (ko) | 칸막이용 패널 및 이 패널을 이용한 칸막이 조립구조 | |
CN211817593U (zh) | 全螺栓式可拆卸外挂节能墙板体系 | |
JP3445816B2 (ja) | 硬質壁材の取付構造 | |
JP3577063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造建築物に於ける帳壁構造 | |
JP5878867B2 (ja) | ファサードを断熱するための補助的断熱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JP3577061B2 (ja) | 耐震耐火性を備えた断熱複合パネル | |
JP3902020B2 (ja) | Alc外壁の改修工法 | |
JP6276561B2 (ja) | 仕切り壁構造および壁の施工方法 | |
CN109555235B (zh) | 一种防火吸隔声板 | |
CN111119430B (zh) | 全螺栓式可拆卸外挂节能墙板体系 | |
EA046830B1 (ru) | Строительная плита | |
JP6138418B2 (ja) | 鉄骨の耐火被覆構造 | |
JP6097173B2 (ja) | 軒天井部材及び軒裏天井構造 | |
TW201447078A (zh) | 綠建材多層次防火複合鋼板結構 | |
JP2019132020A (ja) | 壁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