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763B1 -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 Google Patents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763B1
KR102438763B1 KR1020220034999A KR20220034999A KR102438763B1 KR 102438763 B1 KR102438763 B1 KR 102438763B1 KR 1020220034999 A KR1020220034999 A KR 1020220034999A KR 20220034999 A KR20220034999 A KR 20220034999A KR 102438763 B1 KR102438763 B1 KR 102438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gas
block body
ai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근
Original Assignee
(주)하이테크디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테크디젤 filed Critical (주)하이테크디젤
Priority to KR102022003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7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34Burn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eans for pressurising the gaseous fuel or the combustion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72Safety devices, e.g. operative in case of failure of gas supply
    • F23D14/82Preventing flashback or blowb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88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2Heating arrangements using combus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3/00Gaseous fuel burners
    • F23D2203/007Mixing tubes, air supply 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207/00Ignition devices associated with bur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Pre-Mixing And Non-Premixing Gas Burner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송풍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풍기에 의한 송풍압으로 건조대상체의 내부공간 상에 고압상태가 조성되는 환경 하에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송풍용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는 내부에 유동로가 형성되는 블록체; 상기 블록체에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의 유동로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 상기 블록체에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의 유동로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부; 상기 블록체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블록체의 유동로와 연통되어 압축공기와 가스를 혼합하기 위한 믹싱관; 상기 블록체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믹싱관에 의한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 및 상기 믹싱관 전단에 배치되어 화염을 분출하기 위한 화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공급부에 의한 공기압은 상기 건조대상체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내부압보다 고압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송퐁기를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공급하던 기존 가스버너와 달리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건조대상체 내부에 고압환경을 조성되거나, 또는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부하가 존재하는 경우 건조장치 내부압력이 높아지는 경우에도 건조대상체로 열풍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고압송풍용 가스버너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고압송풍용 가스버너{Gas burner for high-pressure blowing}
본 발명은 송퐁기를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공급하던 기존 가스버너와 달리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건조대상체 내부에 고압환경을 조성되거나, 또는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부하가 존재하는 경우 건조장치 내부압력이 높아지는 경우에도 건조대상체로 열풍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고압송풍용 가스버너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젤 자량의 DPF(Disel Particulate Filter), 즉 배기가스 저감장치인 디젤 미립자 필터는 집진된 이물질은 태우거나 세척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본래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정기적인 청소 내지 세척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DPF를 연소시키고, 세척을 통해 제거한 후, 건조하여 청소 내지 세척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특히 DPF를 건조작업은 통상적으로 전기히터나 버너를 통해 생성되는 열을 송풍용 고압 송풍기를 이용하여 건조대상체인 DPF로 송풍하여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열풍 공급을 위한 열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너나 전기히터를 통해 공급하게 된다.
먼저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송풍기를 이용하여 송풍하여 건조대상체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다만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정비업체에는 공급되는 소비전력이 제한되어 있어 건조장치나 기타 장비들을 늘리는 경우 기존 소비전력을 늘리기 위한 증설작업이 필요하여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열원으로 버너를 사용하는 경우 연료로서 가스와 연소를 위한 공기를 혼합하고, 이렇게 혼합된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에 점화플러그로 전기불꽂, 즉 스파크를 일으켜 점화하게 된다. 이 경우 공기의 공급은 연소공기 공급용 송풍기를 이용하여 버너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스를 연료가 연소되어 화염이 발생되면 버너의 외부에 배치된 송풍용 고압 송풍기에 의하여 건조대상체로 열풍이 공급된다.
다만 건조대상체 내부에 송풍용 고압 송풍기에 의한 송풍압 내지 열풍에 의하여 고압상태가 형성되는 경우, 즉 건조대상체로 공급되는 송풍압 내지 열풍이 빠져나지 않고 체류하거나, 또는 건조대상체를 빠져나가는 기체보다 공급되는 기체가 많은 경우 건조대상체 내부에 압력이 축적되면서 고압의 환경이 건조대상체 내부에 조성되고, 이에 의하여 건조장치 내부압력 역시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건조대상체 내부에 조성된 고압상태 환경 하에서 기존의 버너와 같이 모터 구동으로 팬의 회전시켜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공기 공급용 일반 송풍기의 경우 송풍 압력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고압상태 환경이 조성되거나, 또는 연소공기 공급용 일반 송풍기에 비하여 송풍용 고압 송풍기는 그 차제로서의 송풍압이 연소공기 공급용 일반 송풍기의 송풍압보다 높다.
따라서 건조대상체의 내부에 고압상태가 형성되거나 송풍용 고압 송풍기 자체의 송풍압이 높은 경우 버너측이 저압상태가 되어 버너측으로 송풍압 내지 열풍이 역류하여 화염이 소멸되거나, 또는 점화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버너로부터 열원인 화염이 작업 중 소멸되거나, 점화 자체가 어려워지는 경우 장치의 기능저하로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70210호(2007.10.19.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송퐁기를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공급하던 기존 가스버너와 달리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건조대상체 내부에 고압환경을 조성되거나, 또는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부하가 존재하는 경우 건조장치 내부압력이 높아지는 경우에도 건조대상체로 열풍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는 고압송풍용 가스버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송풍용 가스버너는 송풍기에 의한 송풍압으로 건조대상체의 내부공간 상에 고압상태가 조성되는 환경 하에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송풍용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는 내부에 유동로가 형성되는 블록체; 상기 블록체에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의 유동로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 상기 블록체에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의 유동로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부; 상기 블록체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블록체의 유동로와 연통되어 압축공기와 가스를 혼합하기 위한 믹싱관; 상기 블록체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믹싱관의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 및 상기 믹싱관 전단에 배치되어 화염을 분출하기 위한 화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공급부에 의한 공기압은 상기 건조대상체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내부압보다 고압으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블록체의 유동로는 상기 공기공급부와 연통되는 제1 유로와, 상기 가스공급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로의 직경보다 협소한 제2 유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믹싱관과 상기 화구를 감싸고, 열풍을 분출하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된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의 개구부에는 열풍을 상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향 경사진 다수의 유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믹싱관에는 상기 가이드관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믹싱관 및 상기 화구가 상기 가이드관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믹싱관에는 상기 블록체와 상기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관의 일단에는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송풍용 가스버너는 송퐁기를 이용하여 연소공기를 공급하던 기존 가스버너와 달리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건조대상체 내부에 고압환경을 조성되거나, 또는 이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부하가 존재하는 경우 건조장치 내부압력이 높아지는 경우에도 건조대상체로 열풍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공기와 가스의 혼합 및 유동을 촉진하기 위해 블로첵의 유동로를 벤츄리관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이 자연스럽고 원활하게 유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관을 도입하고, 가이드관에 상방 경사진 다수의 유도판을 도입하여 열풍의 확산 공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건조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송풍용 가스버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송풍용 가스버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송풍용 가스버너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송풍용 가스버너에 의한 열풍 공급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관의 유도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
본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송풍용 가스버너는 볼록체,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20), 연료용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부(30), 공기와 가스를 혼합하여 혼합가스를 생성하기 위한 믹싱관(40),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50) 및 화염을 분출하기 위한 화구(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디젤 자량의 DPF(Disel Particulate Filter), 즉 배기가스 저감장치인 디젤 미립자 필터는 집진된 이물질은 태우거나 세척하는 등의 작업을 통해 본래의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정기적인 청소 내지 세척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DPF를 연소시키고, 세척을 통해 제거한 후, 건조하여 청소 내지 세척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특히 DPF를 건조작업은 통상적으로 전기히터나 버너를 통해 생성되는 열을 송풍용 고압 송풍기를 이용하여 건조대상체인 DPF로 송풍하여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 열풍 공급을 위한 열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너나 전기히터를 통해 공급하게 된다.
먼저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전기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송풍기를 이용하여 송풍하여 건조대상체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다만 전기히터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정비업체에는 공급되는 소비전력이 제한되어 있어 건조장치나 기타 장비들을 늘리는 경우 기존 소비전력을 늘리기 위한 증설작업이 필요하여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가 있다.
또한 열원으로 버너를 사용하는 경우 연료로서 가스와 연소를 위한 공기를 혼합하고, 이렇게 혼합된 가스와 공기의 혼합가스에 점화플러그로 전기불꽂, 즉 스파크를 일으켜 점화하게 된다. 이 경우 공기의 공급은 연소공기 공급용 송풍기를 이용하여 버너 내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스를 연료가 연소되어 화염이 발생되면 버너의 외부에 배치된 송풍용 고압 송풍기(1)에 의하여 건조대상체로 열풍이 공급된다.
다만 건조대상체 내부에 송풍용 고압 송풍기에 의한 송풍압 내지 열풍에 의하여 고압상태가 형성되는 경우, 즉 건조대상체로 공급되는 송풍압 내지 열풍이 빠져나지 않고 체류하거나, 또는 건조대상체를 빠져나가는 기체보다 공급되는 기체가 많은 경우 건조대상체 내부에 압력이 축적되면서 고압의 환경이 건조대상체 내부에 조성되고, 이에 의하여 건조장치 내부압력 역시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건조대상체 내부에 조성된 고압상태 환경 하에서 기존의 버너와 같이 모터 구동으로 팬의 회전시켜 공기를 공급하는 연소공기 공급용 일반 송풍기의 경우 송풍 압력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고압상태 환경이 조성되거나, 또는 연소공기 공급용 일반 송풍기에 비하여 송풍용 고압 송풍기(1)는 그 차제로서의 송풍압이 연소공기 공급용 일반 송풍기의 송풍압보다 높다.
따라서 건조대상체의 내부에 고압상태가 형성되거나 송풍용 고압 송풍기(1) 자체의 송풍압이 높은 경우 버너측이 저압상태가 되어 버너측으로 송풍압 내지 열풍이 역류하여 화염이 소멸되거나, 또는 점화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버너로부터 열원인 화염이 작업 중 소멸되거나, 점화 자체가 어려워지는 경우 장치의 기능저하로 작업 능률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건조대상체 내부에 고압상태 환경이 조성되는 경우나 송풍용 고압 송풍기(1)의 송풍압이 고압인 경우에도 버너로부터 화염이 유지되고, 연속적으로 열풍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고압의 압축공기를 버너로 공급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가스버너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하에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송풍용 가스버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10)는 후술할 공기공급부(20)와 가스공급부(30)가 연결되어 압축공기와 가스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먼저 블록체(10)는 직사각형 형태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유동로(11)가 형성된다. 이 유동로(11)는 공기공급부(20)와 연결되는 공기유입로(13)와 가스공급부(30)와 연결되는 가스유입로(15)와 연통되어 있다.
특히 유동로(11)는 공기유입로(13)로 유입되는 압축공기와 가스유입로(15)로 유입되는 가스가 원활이 유입되어 유동할 수 있도록 벤츄리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유동로(11)는 공기유입로(13)와 연통되는 제1 유로(11a)와, 가스유입로(15)와 연통되는 제2 유로(11b)로 구성되는데, 이 경우 제2 유로(11b)의 직경은 제1 유로(11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아울러 제1 유로(11a)와 제2 유로(11b)는 유동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벤츄리 효과에 따라 자연스럽게 압축공기에 의하여 가스가 믹싱관(40)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후술하겠지만 공기공급부(20)에는 콤프레셔(미도시)로부터 일정 이상의 공기압으로 압축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압축공기의 유입 압력에 의하여 가스의 유동을 원활히 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유로부를 벤츄리 구조를 더하여 보다 확실한 기체의 유동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공급부(20)와 가스유입부는 각각 블록체(10)의 공기유입로(13)와 가스유입로(15)에 연결되어 압축공기와 가스가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체의 원활한 혼합 내지 유동을 위해 기체의 유동방향을 따라 공기공급부(20)와 가스유입부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기체의 유동방향이 도 3의 도시를 기준으로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블록체(10)의 좌측에 공기공급부(20)가 배치되고, 공기공급부(20)에 인접한 우측에 가스공급부(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공기공급부(20)에는 콤프레셔(미도시)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압축공기가 공급되고, 가스공급부(30)는 가스탱크(미도시)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연료용 가스가 공급된다.
특히 공기공급부(20)로 일정 이상의 압력의 공기압을 갖는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열풍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송풍용 고압 송풍기(1)에 의한 송풍압이 2기압인 경우, 또는 건조대상체 내부압이 2기압 이상인 경우 공기공급부(20)에 의한 압축공기의 공기압을 2기압 이상으로 조절하여 공급함으로써 송풍압 내지 열풍이 버너 내부로 역류하지 못하게 하면서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 가스버너와 달리 원활한 열풍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믹싱관(40)은 블록체(10)의 전방에 연결되고, 유동로(11)인 제2 유로(11b)와 연결되어 공기공급부(20)와 가스공급부(30)에 의하여 공급되는 압축공기와 가스의 혼합하여 혼합가스를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블록체(10)의 후방에는 점화플러그(50)가 결합되어 믹싱관(40)의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고, 믹싱관(40)의 전단에 구비된 화구(60)를 통해 화염이 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화구(60)를 통하여 분출되는 화염은 송풍용 고압 송풍기(1)에 의한 송풍을 통해 건조대상체로 열풍이 공급되어 건조대상체의 건조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1, 도 2,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관(70)은 믹싱관(40)의 일부와 화구(60)가 내부에 배치되고, 화구(60)로부터 분출되는 열풍이 상방으로 분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관(70)은 전단이 막힌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개구된 후단부를 통해 화구(60)와 믹싱관(40)의 일부가 삽입되어 가이드관(70) 내부에 배치된다. 이 경우 믹싱관(40)과 가이드관(70) 후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41)(75)가 구비되고, 제1 및 제2 고정플레이트(41)(75)에는 각각 서로 대응되는 제1 및 제2 볼트홀(41a)(75a)이 형성되어 볼트체결에 의하여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볼트체결 이외에 용접과 같은 접한 방식으로 각 고정플레이트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이드관(70)의 전방부 상부에는 화염에 의한 열풍이 상방으로 분출되도록 개구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화염에 의한 열풍이 개구부(71)를 통해 상방으로 분출된다. 다만 개구부(71)를 통해 분출되는 열풍의 확산을 위해 도 4의 도시와 같이 상방으로 경사진 다수의 유도판(73)을 도입하여 열풍의 확산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구부(71)의 가장자치에 링 형태의 연결부(73a)를 용접을 통해 접합하고, 연결부(73a)에 다수의 유도판(73)을 연결하여 열풍이 유도판(73)의 경사면을 타고 분출되면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도판(73)을 통해 확산되며 분출되는 열풍은 송풍용 고압 송풍기(1)의 송풍에 의하여 상방으로 유도됨으로써 건조대상체에 열풍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다.
한편 가이드관(70) 내부에 삽입된 믹싱관(40)과 화구(6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믹싱관(40) 외주면에는 제1 고정플레이트(41)와 화구(60) 사이에 도넛 형태의 지지플레이트(43)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플레이트(43)는 가이드관(70)의 내면에 접하여 믹싱관(40)과 화구(6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플레이트(43)는 고압의 압축공기가 가스와 혼합 및 유동하는 경우 내부압에 의하여 믹싱관(40)이나 화구(60)가 진동을 일으키거나 또는 떨림으로써 화구(60)를 통해 분출된 화염이 불안정하게 되거나, 또는 가이드관(70) 내면과 근접하여 배치되는 화구(60)가 충돌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가스버너에는 첨부된 도면 도시되지 않았지만 각종 센서와 조절기가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가스폭발을 차단하기 위한 안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공기공급부(20)로 공급되는 공기압을 감지하기 위한 에어압력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에어압력 스위치에 의하여 감지된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해 콤프레셔에는 에어압력 조절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가스공급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스위치가 가스공급부(30)에 구비될 수 있고, 가스탱크에는 가스량을 조절하기 위한 가스량 조절기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화구(60) 측에는 화염을 발생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화연감지센서가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각 조절기, 감지스위치 및 센서 등의 신호나 정보를 통해 가스버너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가스버너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스버너가 작용되는 건조대상체로 주로 디젤 차량의 DPF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건조대상체는 이에 한정되지 되지 않고 건조대상체 구조상 부하가 발생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부품들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송풍용 고압 송풍기
10 : 블록체
11 : 유동로 11a : 제1 유로
11b : 제2 유로 13 : 공기유입로
15 : 가스유입로
20 : 공기공급부
30 : 가스공급부
40 : 믹싱관
41 : 제1 고정플레이트 41a : 제1 볼트홀
43 : 지지플레이트
50 : 점화플러그
60 : 화구
70 : 가이드관
71 : 개구부 73 : 유도판
73a : 연결부 75 : 제2 고정플레이트
75a : 제2 볼트홀

Claims (5)

  1. 송풍기에 의한 송풍압으로 건조대상체의 내부공간 상에 고압상태가 조성되는 환경 하에서 열풍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송풍용 가스버너에 있어서,
    상기 가스버너는 내부에 유동로(11)가 형성되는 블록체(10);
    상기 블록체(10)에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10)의 유동로(11)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부(20);
    상기 블록체(10)에 연결되어 상기 블록체(10)의 유동로(11)로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가스공급부(30);
    상기 블록체(10)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기 블록체(10)의 유동로(11)와 연통되어 압축공기와 가스를 혼합하기 위한 믹싱관(40);
    상기 블록체(10)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믹싱관(40)의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기 위한 점화플러그(50); 및
    상기 믹싱관(40) 전단에 배치되어 화염을 분출하기 위한 화구(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공기공급부(20)에 의한 공기압은 상기 건조대상체의 내부공간에 형성되는 내부압보다 고압으로 공급되며,
    상기 믹싱관(40)과 상기 화구(60)를 감싸고, 열풍을 분출하기 위한 개구부(71)가 구비된 가이드관(7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관(70)의 개구부(71)에는 열풍을 상방으로 유도하기 위해 상향 경사진 다수의 유도판(7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10)의 유동로(11)는
    상기 공기공급부(20)와 연통되는 제1 유로(11a)와,
    상기 가스공급부(30)와 연통되어 상기 제1 유로(11a)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로(11a)의 직경보다 협소한 제2 유로(1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관(40)에는 상기 가이드관(70)의 내면에 접하여 상기 믹싱관(40) 및 상기 화구(60)가 상기 가이드관(7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플레이트(4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믹싱관(40)에는 상기 블록체(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43) 사이에 배치되는 제1 고정플레이트(41)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관(70)의 일단에는 상기 제1 고정플레이트(41)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플레이트(7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KR1020220034999A 2022-03-21 2022-03-21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KR102438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999A KR102438763B1 (ko) 2022-03-21 2022-03-21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4999A KR102438763B1 (ko) 2022-03-21 2022-03-21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763B1 true KR102438763B1 (ko) 2022-08-31

Family

ID=83061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4999A KR102438763B1 (ko) 2022-03-21 2022-03-21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76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10B1 (ko) 2001-12-10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광휘소둔로 가열대의 크리닝 장치
US20110223551A1 (en) * 2010-03-09 2011-09-15 Honeywell Technologies Sarl Mixing device for a gas burner
KR20200113598A (ko) * 2019-03-26 2020-10-07 (주)보은 내화물 건조장치용 믹싱챔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10B1 (ko) 2001-12-10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광휘소둔로 가열대의 크리닝 장치
US20110223551A1 (en) * 2010-03-09 2011-09-15 Honeywell Technologies Sarl Mixing device for a gas burner
KR20200113598A (ko) * 2019-03-26 2020-10-07 (주)보은 내화물 건조장치용 믹싱챔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3774B2 (en) Methods of upgrading a conventional combustion system to include a perforated flame holder
US9080773B2 (en) Pitot tube pressure sensor for radiant tube heater
US5975887A (en) Compact hi-spin gas burner assembly
US5527180A (en) Infrared burner
KR102438763B1 (ko) 고압송풍용 가스버너
CA2127651C (en) Multi-fuel burner
EP0791785B1 (en) Hot fluid generating apparatus
JP3886653B2 (ja) バーナ用点火トーチ
EP2738459A1 (en) Combustion device
US6951455B2 (en) Gas burner
JP2006250429A (ja) リジェネバーナシステム
KR20190129688A (ko) 열교환 기능을 가지는 숯불 착화기
KR20200023832A (ko) 가스 난방기용 버너
AU2004219831B2 (en) Gas combustion-controlling method and gas combustion device
US11428403B2 (en) Gas furnace
US8016590B2 (en) Combustion burner resulting in low oxides of nitrogen
US20200173689A1 (en) Inward fired low nox premix burner
CA1182037A (en) Pulse burners
JPH09126419A (ja) 石油燃焼機器
US3419338A (en) Burner construction
KR200178767Y1 (ko) 가열로 2차연소형 확산식 버너에 이용되는 보염기 장치
JPH10160118A (ja) 流動床加熱用バーナ及び流動床燃焼装置
RU2201553C2 (ru) Горелка для жидкотопливных аппаратов сжигания
JP4616717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3915501B2 (ja) 燃焼装置、並びに、湯水加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