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331B1 -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331B1
KR102438331B1 KR1020210036647A KR20210036647A KR102438331B1 KR 102438331 B1 KR102438331 B1 KR 102438331B1 KR 1020210036647 A KR1020210036647 A KR 1020210036647A KR 20210036647 A KR20210036647 A KR 20210036647A KR 102438331 B1 KR102438331 B1 KR 102438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width direction
foaming
branch
discharg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학
Original Assignee
(주)영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영화 filed Critical (주)영화
Priority to KR1020210036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67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using spray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62Regulating the feed w.r.t. the foam layer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365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using elongate feed conduits provided with throttl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C44/46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4/461Feeding the material to be shaped into an open space or onto moving surfaces, i.e. to make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dispensing apparatus, e.g. dispensing foaming resin over the whole width of the moving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60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29D99/001Producing wall or panel-like structures, e.g. for hulls, fuselages, or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90Passive houses; Double facade techn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설비에서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로서, 건축용 판넬의 내외피 강판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폭방향 트래버스대(42)가 탑재된 발포액 도포유닛(40)의 전후진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내외피 강판의 길이방향 위치조정 프레임(54)을 구비하고, 발포액 도포유닛(40)의 폭방향 트래버스대(42)에는 발포액용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혼합하는 믹서헤드(70)가 탑재된 트레이(52)가 설치되며, 트레이(52)에 탑재된 하나의 믹서헤드(70)로부터 연장되고 분기점에서 두개로 분기된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을 갖는 토출노즐부(44)를 구성하되,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간의 이격간격(a)은 190~210mm이고,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 각각은 길이(b)가 280~300mm이며 14~16mm간격(c)으로 형성된 2~4.5mm 직경(d)의 토출공(72)을 다수로 구비하며, 토출노즐부(44)에서의 발포액 토출압력이 140~160bar가 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FOAMING APPLICATION APPARATUS IN CONTINUOUS BUILDING ASSEMBLY PANNEL PRODUTION LINE}
본 발명은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에서 판넬의 강판 두께나 판넬의 강판 요철형태에 관계없이 강판의 면 전체에 단열재 발포액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판넬두께 불균일성을 제거함과 아울러 경제적인 장비 설치와 운용이 가능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내외벽마감판재 또는 지붕마감판재로 사용되는 건축용 판넬(일명 "샌드위치판넬"이라고도 함)은 내부 단열재("심재"라고도 함)로 된 본체판 양면에 강판 등이 합착되고 좌우 가장자리에는 연속 조립이 가능하도록 암수조립편이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건축용 판넬은 견고성, 우수한 단열효과, 방수 및 방음효과, 아름다운 외관과 공사기간 단축을 포함된 경제성, 편리성, 간편성 등의 여러 장점으로 일반 건축물이나 창고, 공장 등의 건축물에 적용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 요즈음 건축물의 안전관리가 강화되면서 인명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난연재료 기준 등이 규모와 용도에 관계없이 모든 건축물에 적용되고 있다.
조립식 건축물 형태로 적용되는 건축용 판넬에서 내부 단열재가 우레탄 폼 단열재와 같은 폼 단열재로 구성되는 경우,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공정을 진행중에 내부 단열재를 구성하기 위해 내외피 강판 사이에 내부 단열재 형성을 위한 발포가 수행되며 그후 압착, 양생 및 절단 포장이 이루어져서 완제품으로 제조된다.
내부단열재 발포형성을 위한 발포액 토출장치의 토출액은 주로 2액형으로서
연속식 건축용 조립판넬 생산라인공정중 발포액을 토출 도포하는 방식의 일 예로는 고정식 발포방식과 왕복이송식 발포방식 등이 있다.
고정식 발포방식은 다수의 발포액 토출구들이 고정된 방식으로 토출된 도포량이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지만 고정된 토출구들에 함께 다수의 공급배관들과 다수의 고압펌프들을 채용해야하므로 설비의 설치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왕복이송식 발포방식은 다수의 토출구들이 마련된 하나의 노즐대를 좌우 왕복으로 이송시키면서 발포액을 토출 도포하는 장비 설치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장비운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는 반면, 노즐대가 왕복시 턴(turn)이 이루어지는 강판의 양측 가장자리에 토출액이 많이 몰려서 발포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므로 판넬의 두께 편차를 야기시키는 단점이 있다. 즉 판넬의 심부가 좌우 가장자리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판넬의 두께 편차로 인한 불량제품이 양산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만일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설비중 발포액의 도포공정이 비교적 저렴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판넬의 강판두께나 강판 요철형태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도포 및 발포가 가능한 장치가 마련된다면 많은 관련자로부터 큰 호응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89476호 "고정식 발포시스템을 이용한 샌드위치 판넬의 제조방법 및 발포액 토출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설비에서 판넬의 강판 두께나 판넬의 강판 요철형태에 관계없이 강판 면 전체에 균일하게 발포액이 도포 및 발포되어 판넬두께의 편차가 없도록 제조될 수 있음과 아울러 경제적인 장비 설치와 운용이 가능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왕복이송식 발포방식에서 폭방향으로 스윙하는 하나의 노즐대 사용시와 동일한 펌프용량을 갖는 고압펌프를 그대로 사용하면서도 균일한 발포액 도포를 수행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설비에서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축용 판넬의 내외피 강판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폭방향 트래버스대(42)가 탑재된 발포액 도포유닛(40)의 전후진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내외피 강판의 길이방향 위치조정 프레임(54)을 구비하고, 발포액 도포유닛(40)의 폭방향 트래버스대(42)에는 발포액용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혼합하는 믹서헤드(70)가 탑재된 트레이(52)가 설치되며, 트레이(52)에 탑재된 하나의 믹서헤드(70)로부터 연장되고 분기점에서 두개로 분기된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을 갖는 토출노즐부(44)를 구성하되,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간의 이격간격(a)은 190~210mm이고,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 각각은 길이(b)가 280~300mm이며 14~16mm간격(c)으로 형성된 2~4.5mm 직경(d)의 토출공(72)을 다수로 구비하며, 토출노즐부(44)에서의 발포액 토출압력이 140~160bar가 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에 있어, 토출노즐부(44)의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의 폭횡단 스윙폭(S1)(S2)은 내외피 강판(2)(4)의 폭(W)의 60~7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에 있어서, 내외피강판(2)(4)의 진행속도가 4~8M/min되고 토출노즐부(44)의 스윙 유턴지점에서의 전후 중첩 도포면이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 길이(b)의 20~30%가 되도록 폭방향 트래버스대(42)의 왕복이동속도가 되게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 적용되는 폼 단열재 형성을 위한 발포처리장치가 판넬의 강판 두께나 판넬의 강판 요철형태에 관계없이 강판의 도포면 전체에 균일하게 발포액을 도포할 수 있어 판넬두께의 편차가 없도록 제조될 수 있음과 아울러 발포처리장치의 경제적인 장비 설치와 운용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설비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설비에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의 사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의 측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액 도포유닛이 발포액을 토출하여 도포하는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발포액 도포유닛중 토출노즐부의 사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사 노즐부의 평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에서 토출노즐부의 폭횡단 스윙에 따른 발포액 도포 진행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100)의 개략 구성도로서, 내피강판 언코일러(10), 내피강판 롤성형기(12), 외피강판 언코일러(16), 외피강판 롤성형기(18), 발포 및 접착기(20), 압착성형기(30), 판넬 커팅부(32)를 구비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적용가능한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100)는, 내피강판 언코일러(10)와, 외피강판 언코일러(16)와, 내피강판 언코일러(10)로부터 공급되는 내피강판(2)을 롤성형하여 양측외연에 조립돌부 및 조립홈부용 절곡편이 성형되게 하는 내피강판 롤성형기(12)와, 외피강판 언코일러(16)로부터 공급되는 외피강판(4)을 롤성형하여 양측외연에 조립돌부 및 조립홈부용 절곡편이 성형되게 하는 외피강판 롤성형기(18)와, 내피강판(2)의 내표면에 발포액을 토출하여 도포하는 발포 및 접착기(20)와, 발포 및 접착기(20)에 의해 발포 형성된 폼 단열재가 개재되어진 내피강판(2) 및 외피강판(4)을 압착성형하는 압착성형기(30)와, 압착성형된 판넬을 일정간격으로 판넬 컷팅하여서 건축용 판넬이 배출되게 판넬 커팅부(32)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은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100)에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인 발포 및 접착기(20)를 구현하되, 경제적인 장비 설치와 운용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판넬의 두께나 판넬의 강판 요철형태에 관계없이 강판의 도포면 전체에 균일하게 발포액을 도포할 수 있는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를 구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설비에서 도 1의 발포 및 접착기(20)를 구성하는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의 사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발포 및 접착기(20)로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발포 및 접착기(20)로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1의 발포 및 접착기(20) 즉 본 발명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는 도 2에서와 같이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폭방향 트래버스대(42)와 상기 폭방향 트래버스대(42)의 선단에 두 개의 분기노즐관(46a)(46b)을 갖는 분사 노즐부(44)가 탑재된 발포액 도포유닛(40)을 구비한다.
발포액 도포유닛(40)의 폭방향 트래버스대(42)는 구동풀리에 축설치된 서보모터(48)에 의해 폭방향으로 왕복이송 제어되는 풀리 벨트(50)에 트레이(52)가 설치된 구성이며, 트레이(52)에는 토출 노즐부(44)가 장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는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이 가능한 폭방향 트래버스대(42)가 탑재된 발포액 도포유닛(40)의 전후진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길이방향 위치조정 프레임(54)을 구비한다. 길이방향 위치조정 프레임(54)은 그 궤도바퀴(54a)가 베이스프레임(56)의 레일(56a)상에 얹혀져서 전후진 이송 및 위치고정이 가능케 된 구성이다.
또 본 발명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에는 토출노즐부(44)에서 도포될 발포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접착용 제1 원료를 수송하기 위한 제1 원료 공급호스(58)와 발포용 제2 원료를 수송하기 위한 제2 원료 공급호스(60)와 아울러 고압모터 공압선 등을 탑재하며 발포액 도포유닛(40)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움직임에 순응하여 따라 움직이는 제1,제2 케이블베어(62)(64)가 장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액 도포유닛(40)이 발포액을 토출하여 도포하는 요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발포액 도포유닛(40)중 토출노즐부(44)의 사시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토출 노즐부(44)의 평면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폼 단열재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처리장치에서 토출노즐부(44)의 폭횡단 스윙에 따른 발포액 도포 진행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폼 단열재의 형성을 위한 발포처리장치에 의해서 토출 도포되는 발포액은 2액형으로서 두가지 원료 예컨대 폴리올과 MDI(modified methylene diphenylene isocyanate)를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폴리우레탄계열 발포액이 된다. 폴리우레탄 계열 발포액은 주로 상온에 사용되며, 상온뿐만 아니라 초저온이나 고온에서도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접착력을 잃지 않는 특성이 있다. 폴리우레탄 계열 발포액으로 발포된 단열재는 유무기 단열재중 단열성이 가장 우수하고 낮은 열전도율을 가지며 난염제가 첨가되면 난연성도 구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발포액 제조를 위해 제1,제2 원료 공급호스(58)(60)를 통해 각기 공급된 제1,제2 원료는 예컨대 폴리올과 MDI(modified methylene diphenylene isocyanate)이다.
제1,제2 원료 공급호스(58)(60)를 통해 각기 공급된 제1,제2 원료는 제1,제2 고압펌프(66)(68)에 의해서 펌핑된 후 믹서헤드(70)에서 혼합되어 발포액으로 제조되며, 믹서헤드(70)에서 발포액으로 제조 직후에 본 발명에 따른 발포액 도포유닛(40)의 토출노즐부(44)를 통해서 발포액이 토출되는 구성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포액 도포유닛(40)의 토출 노즐부(44)는 고압펌프의 용량증가나 추가적인 설치없이 한쌍의 고압펌프(66)(68)를 활용하면서도 발포액 도포가 균일하게 될 수 있도록 주입관(45)에서 분기하되 각기 다수의 토출공(72)들을 갖는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 두 개로 분기되고 분기된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며 내외피강판의 길이방향으로 향하게 배치된 "U"자 형태로 구성한다.
만일 한개의 발포액 토출노즐관으로 구현되어도 동일한 용량의 도 7과 같은 한쌍의 고압펌프(66)(68)를 그대로 사용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분기된 두개의 분기노즐관(46a)(46b)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폭방향으로 횡단 왕복운동함으로써 폭방향으로서의 균일도포가 한개의 발포액 토출노즐관을 사용하는 것보다 우수하게 한다.
삭제
즉 만일 한개의 발포액 토출노즐관을 사용하여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게 되면 폭방향 트래버스대(42)가 다시 되돌아오는 구간인 내외피강판(2)(4)의 좌우측 가장자리에서만 발포액 도포면이 중첩되어서 중앙부에 비해서 두꺼워진다. 또한 한개 발포액 토출노즐관을 사용하게 되면 발포액의 토출압을 높혀야 전체 도포에 유리하다.
만일 한개의 발포액 토출노즐관에 토출압을 높이게 되면 발포액이 토출된 후 강판면에 부딪혀 튀어 오른 후 다시 낙하하면서 도포면에 문제거리의 기포들을 발생시키며 이는 발포후 단열재 내에 에어포켓을 야기시킨다. 그러므로 폼 단열재가 발포후 냉각되면서 판넬의 해당 부분의 충진밀도가 낮아지게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서와 같이 "U"자 형태의 토출노즐부(44)에서 두개의 서로 이격되고 나란한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은 폭방향으로 좌우 스윙을 하게 되면 각 분기노즐관 즉 제1 분기노즐관(46a)이나 제2 분기노즐관(46b)의 좌우 스윙폭은 한개의 발포액 토출노즐관에 비해서 좁게 형성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U"자 형태의 토출노즐부(44)의 제1 분기노즐관(46a)과 제2 분기노즐관(46b)이 되돌아오는 유턴지점은 각기 다르게 위치하므로 좌우 도포 중첩면이 서로 다르게 되고 중앙부에는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에 의한 도포중첩면이 형성되므로 내외피강판(2)(4)의 발포액 전체 도포면이 한개의 발포액 토출노즐관 사용에 비해서 훨씬 균일해진다. 또한 토출공의 개수가 한개의 발포액 토출노즐관에 비해서 두배 이상 많아지므로 전체 도포를 위한 토출압을 상대적으로 낮춰도 되는 것이며 토출 후 튀어 오르는 현상이 없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토출노즐부(44)에서의 발포액 토출압력이 140~160bar가 되도록 낮추어서 토출노즐부(44)의 토출공(72)에서 토출된 후에도 그 토출액 일부가 내외피강판(2)(4)로부터 다시 튀어오르지 않도록 하였다.
만약 본 발명과는 다르게 내외피강판(2)(4)의 폭방향 전체에 걸친 균일 도포를 위해 위치 고정된 다수개의 노즐대를 설치한다면 각 노즐대마다 별도의 고압펌프를 설치해야 하므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경제성이 전혀 없어지는 단점이 있고, 노즐대 하나로 폭방향으로 스윙을 하는 구성이면 발포액의 균일 도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와 같이 하나의 노즐대 사용시와 동일한 펌프용량을 갖는 고압펌프(66)(68)를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구현에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으며, 더욱이 동일한 펌프용량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폭방향 트래버스대(42)에 두개의 분기 노즐관(46a)(46b)를 사용할 수 있는 구성적 특징을 포함하여서 외피강판(2)(4)상에 가능한 한 발포액의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게 구현한다.
하나의 노즐대 사용시의 고압펌프(66)(68)의 펌프용량은 해당 고압펌프의 최대 용량의 60% 내외로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두개의 분기 노즐관(46a)(46b)을 갖는 토출노즐부(44)를 구현하되 해당 고압펌프의 최대용량의 80% 내외로 사용함으로써 한쌍의 고압펌프(66)(68)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었다.
본원 발명자는 세개의 분기노즐관으로 된 토출노즐부(44)를 실험해보았지만 해당 고압펌프의 최대용량을 벗어나게 되므로 추가의 펌프설비를 구비해야 하므로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것을 인식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주입관(45)에서 두개로 분기된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을 갖는 토출노즐부(44)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토출노즐부(44)를 구성함에 있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간의 이격간격(a)은 190~210mm으로 형성한다.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간의 이격간격(a)는 내외피 강판(2)(4)의 폭(W)이 1000mm인 것을 고려한 것이고 아울러 폭방향 트래버스대(42)가 내외피강판(2)(4)의 폭을 횡단하는 스윙을 하면서 균일한 도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외피강판(2)(4)의 폭(W) 대비 대략 20%를 차지한다는데에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내외피강판(2)(4)의 폭 좌우 가장자리 일부측에 조립부 가공면을 마련하기 위한 발포액 미도포부가 10~20%를 차지하므로 이를 고려하고 또 내외피강판(2)(4)의 폭(W)의 20% 내외로 서로 이격된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을 갖는 토출노즐부(44)에서의 폭횡단 스윙폭(S1)(S2)이 전체적 균일한 도포에 근접하도록 내외피 강판(2)(4)의 폭(W)의 60~70%가 되게 구성한다.
또 본 발명의 토출노즐부(44)를 구성함에 있어,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 각각은 그 길이(b)가 280~300mm이며, 각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에 형성된 토출공(72)은 직경(d)이 2~4.5mm이고 14~16mm간격(c)으로 형성되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토출노즐부(44)에서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의 길이(b)는 최선단 및 최후단 토출공(72)간의 길이이며, 그 길이(b) 280~300mm중에서 300mm를 넘어서면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의 선후단간의 압력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280mm 미만이면 도포면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는데에 그 임계적 의의가 있다.
또한 다수개로 배열된 토출공(72)의 직경(d)과 토출공 간격(c)가 범위내에 있으면 판넬의 강판 두께변경이나 판넬의 강판요철형태에 상관없이 적용되어서 모든 토출공(72)에서 균일한 도포액이 살포될 수 있으며, 만일 그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토출공(72)간의 균일한 도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에 그 임계적 의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100)의 제어기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에 의해서 내외피강판(2)(4)의 진행속도가 4~8M/min되게 하고, 또한 토출노즐부(44)의 스윙 유턴지점에서의 전후 중첩 도포면이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 길이(b)의 20~30%가 되도록 폭방향 트래버스대(42)의 왕복이동속도를 제어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토출노즐부(44)의 한번 스윙에 따른 도포면적 중(도 8 기준)에서 우측 가장자리 20% 구간에서는 제1 분기노즐관(46a)의 유턴에 의해서 발포액 도포가 중첩되고 좌측 가장자리 20% 구간에서는 제2 분기노즐관(46b)의 유턴에 의해서 발포액 도포가 중첩된다. 또 우측 가장자리 20% 구간의 내측 20% 구간에서는 제2 분기노즐관(46b)의 유턴에 의한 도포 중첩이 되고 이어서 따라오는 제1 분기노즐관(46a)에 의해서 한번 더 겹치고, 좌측 가장자리 20% 구간의 내측 20%구간은 제1 분기노즐관(46a)의 유턴에 의한 도포 중첩이 되고 이어서 따라오는 제2 분기노즐관(46b)에 의해서 한번 더 겹친다. 그리고 중앙부 20% 구간에서는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의 진행이 연이으면서 도포 중첩이 이루어진다.
그에 따라 도포 중첩부가 도포면적의 전체에 걸쳐 대체로 고르게 분산되므로 고른 발포액의 도포가 가능해진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2)-- 내피강판 (4)-- 외피강판
(20)-- 발포 및 접착기 (40)-- 발포액 도포유닛
(42)-- 폭방향 트래버스대 (44)-- 토출노즐부
(45)-- 주입관 (46a)(46b)-- 제1,제2 분기노즐관
(48)-- 서보모터 (50)-- 풀리 벨트
(52)-- 트레이 (54)-- 길이방향 위치조정 프레임
(54a)-- 궤도바퀴 (56)-- 베이스프레임 (56a)-- 레일
(58)-- 제1 원료 공급호스 (60)-- 제2 원료 공급호스
(62)(64)-- 제1,제2 케이블베어 (66)(68)-- 제1,제2 고압펌프
(70)-- 믹서헤드 (72)-- 토출공
(74)-- 발포액 도포면
(100)-- 연속식 건축용 판넬생산 설비

Claims (3)

  1.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설비에서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에 있어서,
    건축용 판넬의 내외피 강판(2)(4)의 폭방향으로 왕복 이송하는 폭방향 트래버스대(42)가 탑재된 발포액 도포유닛(40)의 전후진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내외피 강판의 길이방향 위치조정 프레임(54)을 구비하고,
    발포액 도포유닛(40)의 폭방향 트래버스대(42)에는 발포액용 제1 원료 및 제2 원료를 펌핑하는 한쌍의 고압펌프(66)(68)와 한쌍의 고압펌프(66)(68)에서 펌핑된 발포액용 제1 원료와 제2 원료를 혼합하는 믹서헤드(70)가 탑재된 트레이(52)가 설치되며, 트레이(52)에 탑재된 하나의 믹서헤드(70)로부터 연장되고 분기점에서 각기 다수의 토출공(72)들을 갖는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 두 개로 분기되고 분기된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이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며 내외피강판의 길이방향으로 향하게 배치된 "U"자 형태의 토출노즐부(44)를 구성하며,
    한쌍의 고압펌프(66)(68)은 왕복이송식 발포방식에서 한개로 된 발포액 토출노즐관 구비시 한쌍의 고압펌프와 동일하며 고압펌프 최대용량의 80% 용량으로 사용하고, 토출후 튀어오르는 현상 방지를 위해 토출노즐부(44)에서의 발포액 토출압력은 140~160bar가 되게 구성하고,
    폭방향 트래버스대(42)에 의해 내외피강판의 폭방향으로 왕복이송되며 발포액을 토출분사하는 "U"자 형태의 토출노즐부(44)에서의 폭횡단 스윙폭(S1)(S2)은 한개로 된 발포액 토출노즐관의 폭횡단 스윙폭보다 좁게 형성하되 내외피 강판(2)(4)의 폭(W)의 60~70%로 형성하고, "U"자 형태의 토출노즐부(44)에서 서로 이격된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의 유턴 지점이 서로 다르게 위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토출노즐부(44)는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간의 이격간격(a)은 190~210mm이고,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 각각은 길이(b)가 280~300mm이며 14~16mm간격(c)으로 형성된 2~4.5mm 직경(d)의 토출공(72)을 다수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내외피강판(2)(4)의 진행속도가 4~8M/min되고 토출노즐부(44)의 스윙 유턴지점에서의 전후 중첩 도포면이 제1,제2 분기노즐관(46a)(46b) 길이(b)의 20~30%가 되도록 폭방향 트래버스대(42)의 왕복이동속도가 되게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의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KR1020210036647A 2021-03-22 2021-03-22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KR102438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47A KR102438331B1 (ko) 2021-03-22 2021-03-22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647A KR102438331B1 (ko) 2021-03-22 2021-03-22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331B1 true KR102438331B1 (ko) 2022-08-31

Family

ID=8306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647A KR102438331B1 (ko) 2021-03-22 2021-03-22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33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776Y1 (ko) * 2001-08-20 2001-12-13 김창환 건축용 판넬 접착용 발포액 분사장치
JP2009066995A (ja) * 2007-09-14 2009-04-02 Toyo Tire & Rubber Co Ltd サンドイッチパネル製造装置及びサンドイッチパネル製造方法。
KR101189476B1 (ko) 2011-11-24 2012-10-15 주식회사 화인텍 고정식 발포시스템을 이용한 샌드위치 판넬의 제조방법 및 발포액 토출장치
KR20150086413A (ko) * 2014-01-17 2015-07-28 주식회사 비엠시스 발포우레탄 샌드위치 패널 제조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5776Y1 (ko) * 2001-08-20 2001-12-13 김창환 건축용 판넬 접착용 발포액 분사장치
JP2009066995A (ja) * 2007-09-14 2009-04-02 Toyo Tire & Rubber Co Ltd サンドイッチパネル製造装置及びサンドイッチパネル製造方法。
KR101189476B1 (ko) 2011-11-24 2012-10-15 주식회사 화인텍 고정식 발포시스템을 이용한 샌드위치 판넬의 제조방법 및 발포액 토출장치
KR20150086413A (ko) * 2014-01-17 2015-07-28 주식회사 비엠시스 발포우레탄 샌드위치 패널 제조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7915B2 (ja) カバー層に液体反応混合物を塗布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7540932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andwich composite elements
US7291234B2 (en) Continuous feed system for producing structural insulated panels
US4347281A (en) Foam board having improved evenness and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ts continuous manufacture
KR101601078B1 (ko) 발포우레탄 샌드위치 패널 제조시설
KR102438331B1 (ko) 연속식 건축용 판넬 생산라인 설비에서 폼 단열재를 위한 발포처리장치
JPH05154932A (ja) 発泡合成樹脂板の製造方法及び装置
US3776990A (en) Method of forming solid structures from a continuously supplied liquid
US3644606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foam slabs
US5817260A (en) Method of using a heated metering device for foam production
JP3760407B2 (ja) ストランドマット入りの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195909B1 (ko) 단열재의 발포성형 장치
KR20190012375A (ko) 우레탄폼 보드 제조장치
CN214496763U (zh) 一种合成革表面清洗烘干设备
KR101585130B1 (ko) 냉장 및 냉동시설용 우레탄패널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우레탄패널
CN111823472A (zh) 制造隔热板的方法
KR101189476B1 (ko) 고정식 발포시스템을 이용한 샌드위치 판넬의 제조방법 및 발포액 토출장치
JP2557901B2 (ja) 建築用断熱パネル及びその連続製造方法
JP3885199B2 (ja) 建築用のパネル材と、その連続製造装置
KR101814050B1 (ko) 초단열소재를 심재로 하는 건축용 조립식 복합단열패널의 연속식 제조장치 및 방법
WO2005011951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insulating panels, with sprayed expansible resins
JPH10337521A (ja) ウレタン連続発泡工程におけるウレタン原液散布方法及び装置
KR100292838B1 (ko) 패널의 제작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08228B1 (ko) 연속 순차형 다층 콘크리트 패널 제조장치
KR200278314Y1 (ko) 복수의 세장의 절단편들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