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863B1 -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863B1
KR102437863B1 KR1020200119277A KR20200119277A KR102437863B1 KR 102437863 B1 KR102437863 B1 KR 102437863B1 KR 1020200119277 A KR1020200119277 A KR 1020200119277A KR 20200119277 A KR20200119277 A KR 20200119277A KR 102437863 B1 KR102437863 B1 KR 102437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ower generation
roller
pane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728A (ko
Inventor
이권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오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오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오디
Priority to KR102020011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86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8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40Mobile PV generator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 발전모듈을 접이식 패널 구조를 이용하여 접어서 수납함으로써 컨테이너 안에 안전하게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으면서, 편리하게 전개할 수 있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개폐문이 장착되고 서로 분리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공간 및 제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상단 및 하단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레일이 구비되는 컨테이너; 상기 제1레일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제1공간의 내부에 안착되어 수납되고 상기 개폐문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제1케이싱의 측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레일을 구비하는 제1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외측으로 인출 시 개폐문에 인접배치되는 제1구조체와, 상기 제1케이싱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의 제2레일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제2롤러를 구비하는 제2케이싱, 및 상기 제2케이싱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구조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모듈; 및 상기 제2공간의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MOBILE INDEPENDENT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WITH FOLDING PANEL STRUCTURE}
본 발명은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접이식 패널 구조를 이용하여 접어서 태양광 발전모듈을 수납함으로써 컨테이너 안에 안전하게 적재하여 이동할 수 있으면서, 편리하게 전개할 수 있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및 자원문제로 인한 신재생 에너지 활성화 정책 추진 및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인한 시스템 단가의 하락 등으로 태양광발전 시장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방식의 발전시스템 혹은 관련 산업이 파생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수 ~ 수십 ㎾급의 이동식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설치 지역에 제한을 받지 않고, 설치지역의 계절에 따른 조건 변화나 운영 여건에 따라 용이하게 이동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전력망 보급이 어려운 산간이나 섬 등의 격오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시스템으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요소 설비기술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으나 실제 고객들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의 제품개발은 아직 미진한 상태로,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하고 신재생에너지의 국내외 신규 시장 창출에 필요한 다양한 용량이나 모델에 대한 제품화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태양자원은 풍부하나 전력망 공급이 부족하여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중앙 및 동남아시아 국가 등에서 분산 전원 기능을 하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제품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품의 일례로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20822호로 공개된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태양광 전지판 조립체를 구비한 이동식 태양광 발전 트레일러'(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를 들 수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이동이 자유로워 설치 장소를 단단하게 변경할 수 있고, 태양광 전지판 조립체의 설치 각도를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전기에너지 발전 효율 증대와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태양광 전지판 조립체를 구비한 이동식 태양광 발전 트레일러에 관한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태양광 전지판 조립체를 트레일러 상에 안착시켜 이동하고 특정 위치에서 이를 전개하여 사용함에 따라 태양광 전지판의 개수를 필요로 하는 발전용량만큼 구비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또한, 태양광 전지판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트레일러 상에 안착되므로, 장기간 보관시 덮개를 씌우지 않으면 외부의 먼지 등에 노출되어 오염될 수 있고 운반 도중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 태양광 전지판의 효율감소 또는 파손의 우려가 있었다.
아울러, 트레일러 상에 태양광 전지판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전개하기 위하여 트레일러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사람의 인력이 많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자칫 태양광 전지판의 파손으로 이어질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KR 10-2016-0120822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모듈을 편리하고 쉽고 안전하게 적재, 이동 및 전개할 수 있는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개폐문이 장착되고 서로 분리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공간 및 제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상단 및 하단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레일이 구비되는 컨테이너; 상기 제1레일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제1공간의 내부에 안착되어 수납되고 상기 개폐문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제1케이싱의 측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레일을 구비하는 제1케이싱과, 상기 제1케이싱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컨테이너의 외측으로 인출 시 개폐문에 인접배치되는 제1구조체와, 상기 제1케이싱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의 제2레일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제2롤러를 구비하는 제2케이싱, 및 상기 제2케이싱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구조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모듈; 및 상기 제2공간의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의 일단에는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가 설치되는 제1롤러설치부 및 제2롤러설치부가 구비되되, 상기 각 롤러설치부는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각 롤러설치부가 각 롤러에 슬라이드되어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이 컨테이너로부터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각 롤러가 상호 대응하는 레일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각 케이싱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패널의 하측에는, 상기 제2패널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레그가 힌지결합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1구조체 또는 제2구조체의 배면에 힌지결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연결부위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2레그가 더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레일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이 전개될 때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에 장착되는 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컨테이너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프레임과,상기 지지프레임 상에 장착되어 태양광 발전모듈의 제1케이싱을 지지하면서 회동하는 지지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모듈의 인출이 이루어지는 개폐문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개폐문과 인접한 바닥면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이 수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컨테이너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추도록 기능하는 고정유닛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태양광 발전모듈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개폐문과 인접한 바닥면에 'ㄷ' 형태로 장착되고 상단에 제1통공이 형성된 제1걸림편과, 상기 제1케이싱의 타측에서 상기 제1걸림편의 수직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단에 제2통공이 형성된 한 쌍의 제2걸림편과, 상기 제1통공과 제2통공을 통과하여 태양광 발전모듈을 고정하는 막대 형태의 고정쇠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의하면, 태양광 발전모듈을 편리하고 쉽고 안전하게 적재, 이동 및 전개할 수 있으므로, 전력망 보급이 어려운 산간이나 섬 등의 격오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가 슬라이딩 이동되며 인출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이 향상되고.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가 접힌 상태로 수납됨으로써 수납공간 효율이 증대되고 태양광 전지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를 펼친 상태에서 제1패널과 제2패널에 하나의 레그를 장착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접힘을 방지하여 펼쳐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가 풀리 형태로서 상하부에 장착된 롤러를 통해 레일 상을 이동하는 방식으로 전개 및 수납되므로 전개 및 수납 과정에서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의 흔들림이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패널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패널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가 컨테이너로부터 이탈되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가 컨테이너로부터 순차적으로 이탈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구조체 및 제2구조체가 컨테이너로부터 이탈되어 태양광 발전모듈이 전개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이 전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과 컨테이터 상단 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싱과 컨테이너 하단 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의 구성을 도시한 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 상단에서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케이싱과 제2케이싱 하단에서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사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패널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패널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크게 컨테이너(100), 태양광 발전모듈(200),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 ESS)(300)를 포함한다.
상기 컨테이너(100)는 실질적으로 태양광 발전모듈(200)의 이동 및 설치를 위한 케이스로서, 단열벽체를 구비하여 극한 환경 지역에서의 작동이 보장되도록 내부 온도제어가 가능한 기술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컨테이너(100)는 측방향으로 개폐문(110)이 장착되고 서로 분리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공간(120) 및 제2공간(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개폐문(110)은 상기 제1공간(120) 및 제2공간(130)의 개방된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상기 제1공간(120) 및 제2공간(13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공간(120)은 후술되는 구성인 태양광 발전모듈(200)의 수납이 이루어지는 공간이고, 상기 제2공간(130)은 후술되는 구성인 태양광 발전모듈(200)이 구비된 공간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 잘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제1공간(120)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제1레일(122)이 장착된다. 상기 제1레일(122)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풀리타입의 롤러가 이동가능하도록 봉 형태의 레일이 채용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122)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이 전개될 때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140)가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140)는 상기 컨테이너 하단에 장착되는 지지프레임(141)과, 상기 지지프레임(141) 상에 장착되어 태양광 발전모듈의 제1케이싱(220)을 지지하면서 회동하는 지지롤러(14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40)는 캐양광 발전모듈을 접어서 컨테이너에 수납했을 때에는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해체되어 별도로 보관된다.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00)은 상기 제1공간(120)의 내부에 안착되어 수납되고 상기 개폐문(110)을 통하여 측방향으로 슬라이동됨에 따라 외부로 인출되는 제1구조체(210), 제2구조체(210'), 제1케이싱(220), 제2케이싱(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구조체(210)는 상기 제1케이싱(22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컨테이너(100)의 외측으로 인출 시 개폐문(110)에 인접배치되고, 상기 제2구조체(210')는 상기 제1케이싱(220)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제2케이싱(2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케이싱(220) 및 제2케이싱(230)은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와 각각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의 인출 시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케이싱(220)에는 제1구조체(210)의 상단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2케이싱(230)에는 상기 제2구조체(210')의 상단이 상기 제2케이싱(23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케이싱(220)이 상기 컨테이너(10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인출된 상태에서 제2케이싱(230)이 상기 제1케이싱(220)으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제1케이싱(220)보다 외측으로 더 인출되도록 이루어져 양측으로 길게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케이싱(220)의 상단에는 상기 컨테이너 상면 및 하면에 장착된 제1레일(1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1롤러(222)가 장착된다. 상기 제1롤러(222)는 제1케이싱과 제1구조체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복수개로 마련된다(도 7 및 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제1케이싱(220)에서 제2케이싱(230)과 마주보는 측면에는 제2레일(223)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케이싱에는 상기 제2레일(22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롤러(232)가 복수개로 마련된다. 이때 상기 제2레일(223)은 상기 제1케이싱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되고, 제2롤러(232)는 상단의 제2레일(223)에 대해서는 아래쪽으로 구름이동되게 장착되고, 하단의 제2레일(223)에 대해서는 윗쪽으로 구름이동되게 장착된다(도 10 및 도 11 참조).
또한 제1케이싱(220) 및 제2케이싱(230)의 일단에는 상기 제1롤러(222)와 제2롤러(232)가 설치되는 제1롤러설치부(221) 및 제2롤러설치부(231)가 구비된다. 상기 각 롤러설치부는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각 롤러설치부가 각 롤러에 슬라이드되어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이 컨테이너로부터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각 롤러가 상호 대응하는 레일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각 케이싱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는, 상기 제1케이싱(220) 또는 제2케이싱(23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패널(211)과, 상기 제1패널(211)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진 제2패널(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패널(211) 및 제2패널(212)은, 태양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전지판과, 상기 태양광 전지판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태양광 전지판이 통상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의 외측을 둘러싸 보호하는 형태의 직사각 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는, 상기 제1패널(211)과 제2패널(212)의 회동에 의해 상기 제1패널(211)과 제2패널(212)이 서로 맞닿으며 접힌 상태로 수납되거나 일정 경사각을 가지며 상기 제1케이싱(220) 및 제2케이싱(23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펼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케이싱(220) 및 제2케이싱(230)은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이 각각 수용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보다 큰 부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의 상단, 후면, 하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단면이 'ㄷ'자로 이루어진 판 형태로 이루어지며 전면은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의 펼침이 가능하도록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케이싱(220) 및 제2케이싱(230)은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의 상단과 일정간격 이격된 제1면,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의 후면과 이격된 제2면,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의 하단과 이격된 제3면을 포함하여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판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케이싱(220) 및 제2케이싱(230)의 제1면에는,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가 각각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전개된 태양광 발전모듈(200)은 제2공간(130)의 에너지저장장치(300)와 연결되어 생산된 전력이 상기 에너지저장장치(300)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0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컨테이너(100)의 외측으로 인출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모듈(200)은 어느 한쪽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의 태양광 발전모듈(200)은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모듈(200)의 인출방향과 반대방향인 다른 쪽 방향으로 인출되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출됨으로써 상기 컨테이너(100)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이와 같이 한 쌍의 태양광 발전모듈(200)로 구성됨으로써, 양측으로 각각 전개되어 설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고, 설치 공간에 따라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모듈(200)만 선택적으로 전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패널(212)의 하측 배면에는, 상기 제2패널(212)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레그(240)가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2패널(212)의 배면에 수용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도 6 참조).
상기 제1레그(240)는 상기 제1구조체(210) 또는 제2구조체(210')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2패널(212)의 하측 배면에 힌지결합되어 접힌 상태로 내장되어 장착되었다가, 상기 제1구조체(210) 또는 제2구조체(210')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제1레그(240)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동시켜 지면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레그(24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지지봉(미도시)과, 상기 지지봉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봉이 삽입되는 연결부재(미도시)로 이루어져, 지지봉과 연결부재의 체결위치를 통해 길이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레그(240)의 길이조절을 통해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이를 간단하게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1케이싱(220) 또는 제2케이싱(230)으로부터 상기 제1구조체(210) 또는 제2구조체(210')가 회동되는 각도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00)에는, 상기 제1패널(211) 및 제2패널(212)이 펼쳐진 상태에서 일단이 상기 제1구조체(210) 또는 제2구조체(210')의 배면에 힌지결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연결부위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2레그(250)가 더 장착될 수 있다(도 6 참조).
상기 제2레그(250)는 상기 제1패널(211)과 제2패널(212)이 연결되는 힌지부분에 장착되어 펼침 상태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2레그(250)를 통해, 상기 제1구조체(210) 또는 제2구조체(210')의 의도치 않은 접힘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상기 제1구조체(210) 또는 제2구조체(210')의 하중을 지지하여 펼쳐진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모듈(200)의 인출이 이루어지는 개폐문(110)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개폐문(110)과 인접한 바닥면에는,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00)이 수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컨테이너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추도록 기능하는 고정유닛(400)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유닛(400)은 태양광 발전모듈(20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개폐문(110)과 인접한 바닥면에 'ㄷ' 형태로 장착되고 상단에 제1통공(411)이 형성된 제1걸림편(410)과, 상기 제1케이싱의 타측에서 상기 제1걸림편(410)의 수직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단에 제2통공(421)이 형성된 한 쌍의 제2걸림편(420)과, 상기 제1통공(411)과 제2통공(421)을 통과하여 태양광 발전모듈을 고정하는 막대 형태의 고정쇠(430)로 구성된다.
상기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 ESS)(300)은 상기 제2공간(130)의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0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구성으로, 배터리(BATTERY), 전력변환장치(PCS) 및 에너지관리솔루션(EM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너지저장장치(300)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잘 알려진 구성으로도 적용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2공간(130)에는, 상기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 ESS)(300)와 더불어, 에어컨, 환풍기, 실내등 등이 구비되어, 외기온도에 영향을 받고 발열에 따른 효율저하 발생할 우려가 있는 에너지저장장치(300)의 온도를 냉방장치를 통해 적정온도로 유지함으로 최적의 전력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화재를 예방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개과정에 대해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모듈(200)은 이동이 필요하거나 사용이 필요하지 않을 시 컨테이너(100)의 제1공간(120)에 수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의 개폐문(110)을 개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모듈(200)이 컨테이너(10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태양광 발전모듈(200)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인출되고, 제2케이싱(230)이 제1케이싱으로부터 인출된 상태로 이루어져 제2구조체(210')가 제1구조체(210)의 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도 6의 (c) 내지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닿도록 접혀있던 제1패널(211) 및 제2패널(212)이 일정 경사각을 이루며 펼쳐져 조립을 마무리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모듈(200)의 전개과정에 대해 평면도와 함께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전개과정에 대해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제1케이싱(220) 및 제2케이싱이 컨테이너(100)의 제1공간(120)으로부터 인출되고 있음을 도시하였으며, 이때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싱(220)의 상단 및 하단에 장착된 제1롤러(222)가 컨테이너의 상단 및 하단에 설치된 제1레일(122)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122)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에 장착되는 지지부(140)에 의해 제1케이싱이 전개될 때 태양광 발전모듈을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도 4는 제1케이싱(220)의 인출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도,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케이싱(230)의 상단 및 하단에 구비된 제2롤러(232)가 제1케이싱의 측면에 장착되는 제2레일(223)에 가이드되어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있는 상태인 제1패널(211)과 제2패널(212)을 펼쳐 일정 경사각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0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출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데, 각 태양광 발전모듈(200)은 설치 공간에 따라 하나만 인출될 수도 있고 양측으로 한 쌍이 인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적인 인출이 가능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모듈(200)의 전개과정에 대해 측면도와 함께 전개과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의 (c)는 컨테이너(100)에 수납을 위해 제1패널(211)과 제2패널(212)이 서로 접촉되며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 6의 (d)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100)으로부터 인출된 제1케이싱(220) 또는 제2케이싱(230)으로부터 제1패널(211)의 회동이 이루어지고 제2패널(212)은 제1패널(211)로부터 회동하며 구조물이 펼쳐진다.
그리도 도 6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조체(210) 또는 제2구조체(210')가 일정 경사각을 이루면서 펼침 상태가 완료되면, 상기 제2패널(212)의 배면에 내장된 형태로 장착된 제1레그(240)를 회동시켜 외부로 인출시킴으로써 지면으로부터의 이격높이를 조절하고, 제2레그(2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패널(211) 및 제2패널(212)을 지지하여 펼침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의 어느 한측이 컨테이너(100)의 벽체에 고정되어 외부모멘트가 작동하여도 흔들림없이 고정되고 해체시에도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길이 조절 가능한 제1레그(240) 및 제2레그(250)를 이용하여 경사각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컨테이너 110 : 개폐문
120 : 제1공간 121 : 가이드판
122 : 제1레일 130 : 제2공간
140 : 지지부 141 : 지지프레임
142 : 지지롤러
200 : 태양광 발전모듈 210 : 제1구조체
210' : 제2구조체 211 : 제1패널
212 : 제2패널 220 : 제1케이싱
221 : 제1롤러설치부 222 : 제1롤러
223 : 제2레일 230 : 제2케이싱
231 :제2롤러설치부 232 :제2롤러
240 : 제1레그 250 : 제2레그
300 : 에너지저장장치
400 : 고정유닛 410 : 제1걸림편
411 : 제1통공 420 : 제2걸림편
421 : 제2통공 430 : 고정쇠

Claims (5)

  1. 측방향으로 개폐문(110)이 장착되고 서로 분리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제1공간(120) 및 제2공간(130)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간의 상단 및 하단에서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제1레일(122)이 구비되는 컨테이너(100);
    상기 제1레일(122)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롤러(222)를 구비하여 상기 제1공간(120)의 내부에 안착되어 수납되고 상기 개폐문(110)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제1레일(122)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제2레일(223)을 구비하는 제1케이싱(220)과, 상기 제1케이싱(22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컨테이너(100)의 외측으로 인출 시 개폐문(110)에 인접배치되는 제1구조체(210)와, 상기 제1케이싱(220)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싱의 제2레일(223)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제2롤러(232)를 구비하는 제2케이싱(230), 및 상기 제2케이싱(2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구조체(210')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모듈(200); 및
    상기 제2공간(130)의 내부에 안착되되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00)에서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는 에너지저장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구조체(210) 및 제2구조체(210')는, 상기 제1케이싱(220) 또는 제2케이싱(23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패널(211)과, 상기 제1패널(211)의 하단에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진 제2패널(212)을 포함하며,
    상기 제1레일(122)의 연장선상에서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이 전개될 때 태양광 모듈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에 장착되는 지지부(14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140)는 상기 컨테이너 하단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지프레임(141)과,상기 지지프레임(141) 상에 장착되어 태양광 발전모듈의 제1케이싱을 지지하면서 회동하는 지지롤러(1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의 일단에는 상기 제1롤러(222)와 제2롤러(232)가 설치되는 제1롤러설치부(221) 및 제2롤러설치부(231)가 구비되되, 상기 각 롤러설치부는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고, 각 롤러설치부가 각 롤러에 슬라이드되어 제1케이싱 및 제2케이싱이 컨테이너로부터 완전히 전개되었을 때 각 롤러가 상호 대응하는 레일에 지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각 케이싱의 일단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널(212)의 하측에는, 상기 제2패널(212)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1레그(240)가 힌지결합되어 장착되고,
    상기 제1구조체(210) 또는 제2구조체(210')의 배면에 힌지결합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여 제1패널 및 제2패널의 연결부위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제2레그(250)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태양광 발전모듈(200)의 인출이 이루어지는 개폐문(110)의 반대방향에 위치한 개폐문(110)과 인접한 바닥면에는, 상기 태양광 발전모듈(200)이 수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해 컨테이너의 내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추도록 기능하는 고정유닛(4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고정유닛(400)은,
    태양광 발전모듈(200)이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개폐문(110)과 인접한 바닥면에 'ㄷ' 형태로 장착되고 상단에 제1통공(411)이 형성된 제1걸림편(410)과,
    상기 제1케이싱의 타측에서 상기 제1걸림편(410)의 수직선상에 일정 간격 이격되게 장착되고 상단에 제2통공(421)이 형성된 한 쌍의 제2걸림편(420)과,
    상기 제1통공(411)과 제2통공(421)을 통과하여 태양광 발전모듈을 고정하는 막대 형태의 고정쇠(4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200119277A 2020-09-16 2020-09-16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437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77A KR102437863B1 (ko) 2020-09-16 2020-09-16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77A KR102437863B1 (ko) 2020-09-16 2020-09-16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28A KR20220036728A (ko) 2022-03-23
KR102437863B1 true KR102437863B1 (ko) 2022-08-30

Family

ID=8096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77A KR102437863B1 (ko) 2020-09-16 2020-09-16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8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7298A (ja) 2013-04-11 2014-10-30 株式会社ナベル 可搬式太陽光発電装置
US20190305720A1 (en) 2016-11-23 2019-10-03 Solar Networks Sp. Z.O.O. Mobile sola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822A (ko) 2015-04-08 2016-10-19 유한회사 지엔티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태양광 전지판 조립체를 구비한 이동식 태양광 발전 트레일러
KR101993841B1 (ko) * 2017-07-06 2019-06-27 주식회사 야베스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KR102050595B1 (ko) * 2018-04-16 2019-12-02 디엔이 주식회사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07298A (ja) 2013-04-11 2014-10-30 株式会社ナベル 可搬式太陽光発電装置
US20190305720A1 (en) 2016-11-23 2019-10-03 Solar Networks Sp. Z.O.O. Mobile sola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28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5689B2 (en) Canopy
US10236820B2 (en) Modular photovoltaic light and power cube
CN105656408B (zh) 集装箱
US10858840B2 (en) Electric blinds roof structure of canopy and canopy
KR101993841B1 (ko)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KR101220489B1 (ko) 수납식 침대
US11658606B2 (en) Energy generating photovoltaic awning with scissor mechanism and tilting photovoltaic panels
KR20200111388A (ko) 태양광 발전모듈 레일 스텐딩 방식의 패키지형 이동식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07565881B (zh) 一种光伏发电组件
KR101014408B1 (ko) 이동식 주택
KR101852969B1 (ko)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KR102437863B1 (ko)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052695B1 (ko) 베란다 태양광 발전장치
CN111411685A (zh) 绿色环保节能建筑
CN108868202B (zh) 电力营销用宣传亭
KR20210061887A (ko)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CN110811145A (zh) 一种便携式设计用智能绘画支架
KR101041739B1 (ko) 워크인 변전실에 설치되는 접이식 테이블
CN115361850A (zh) 风光互补型5g一体化节能机柜
BE1028295B1 (nl) Een verplaatsbaar zonnepaneelsysteem
WO2022032349A1 (en) A solar innovation system
KR200454938Y1 (ko) 차량용 이동 2층 침실
KR20110096365A (ko) 휴대용 블라인드형 태양광 발전기
KR102524189B1 (ko) 컨테이너형 이동식 양방향 태양광 전원 공급장치
CN205713419U (zh) 一种可移动式风光互补节能库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