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969B1 -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969B1
KR101852969B1 KR1020170012883A KR20170012883A KR101852969B1 KR 101852969 B1 KR101852969 B1 KR 101852969B1 KR 1020170012883 A KR1020170012883 A KR 1020170012883A KR 20170012883 A KR20170012883 A KR 20170012883A KR 101852969 B1 KR101852969 B1 KR 101852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rotatably connected
frame
sliding shaft
clos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박건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준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준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준마
Priority to KR1020170012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33Lift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65D88/128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tank containers, i.e. containers provided with supporting devices for han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9/00Adaptations of wind motor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driven thereby; Wind motor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particular locations
    • F03D9/10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 F03D9/11Combinations of wind motors with apparatus storing energy storing electrical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0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7/04Mechanical-power-produc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pressure differences or thermal differences occurring in na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와; 다수의 구조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되, 구조부재와 컨테이너 저부 사이가 이격된 하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하부공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축과, 상기 슬라이딩축에 일단부가 끼움 결합되되, 슬라이딩축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신축기둥으로 구성된 하부지지장치와; 상기 개폐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하단에 연장프레임이 회전하여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계단프레임과, 마주보는 계단프레임들 및 마주보는 연장프레임들 사이를 각각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부재와, 상기 계단프레임 및 연장프레임의 외측에 일직선이 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계단기둥부재로 구성된 사다리장치와; 상기 계폐도어의 둘레를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테라스난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종래의 기술과 달리 트레일러나 지게차 등의 도움 없이 운반차량에서 컨테이너 자체가 하차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띄어 설치할 수 있으며,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 등의 에너지를 공급받아 외부 전력 공급 없이 활동이 가능한 컨테이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Self standing container system}
본 발명은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용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지역에 태양전지, 축전지, 인버터, 충전기 및 수요지역에 적합한 공급기기 등이 탑재된 컨테이너를 현장에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컨테이너에 하부지지장치가 설치되어 별도의 중장비의 지원없이 차량에서 자력으로 분리 및 설치할 수 있으며,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우기시 침수를 예방하고, 외부로부터 침입을 방지하도록 한,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으로 인해 많은 지역에 강력한 전력그리드가 공급되어 전기 및 기타 생활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많은 기기들이 공급되고 있다. 그러나 산업발전이 미비한 낙후지역에서는 전기, 수도 등 생활환경이 아주 열악한 지역이 아직도 많이 존재하고 있다. 그로 인해 생활에 필수적인 혜택이 열악한 지역에서는 소득의 증대가 다른 부유한 지역에 비해서 현저히 낮으며, 또한 위생상황이 취약하기 때문에 불안정한 생활의 연속이 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전력과, 깨끗한 식수 및 기타 생활에 필요한 공급기기들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나 식수 등의 공급이 필요한 지역의 경우 건설 인프라가 상당히 낙후한 지역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고중량의 기기들을 탑재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서 내려 지상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부장비 없이 자체적으로 하차하고 지상에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필요에 대응하기 위해 등록특허공보 제10-1381592호에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특허문헌 1)가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상판의 외부면에 태양광 판넬이 형성되며, 하판 하부면에는 컨테이너를 지면으로 소정 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대로 구성되고 내부공간은 이중 투명문으로 분리되는 구조; 에너지 저장장치와 항온항습기기, 자동소화전을 구비하는 제1 내부공간; 발전기와 내부 상판에 스프링클러 및 송풍기가 구비되는 제2 내부공간; 각각의 내부공간에 IP CCTV 및 센서가 설치되어 컨테이너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제어부를 구비한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259034호에 이동식 전원설비(특허문헌 2)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축전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전원접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접속장치는 다른 전원설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의 플러그유닛과 접속될 수 있도록 진퇴 가능한 구조; 상기 하우징 상면에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 모듈;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거나 외부로 돌출 가능한 풍력발전장치를 구비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미국 특허 등록번호 US 8,593,102 B2 “Portable, self-sustaining power station”(특허문헌 3)은 전력분배 수단과 관련된 풍력, 태양광 판넬 및/또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장치를 가진 장치; 수자원으로부터 음용수를 만들 수 있는 수처리 장비를 가동하기 위한 엔진장치; 작업공간, 생활공간을 가지며 철도, 육상, 해상, 공중으로 이송이 가능한 시스템; 한사람에 의해서 태양광 판넬을 쉽게 설치할 수 있는 롤러 어셈블리; 상기의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이동가능하고 자급자족이 가능한 발전소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상용전원이 없는 지역에서 독립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저장할 수 있으며 추가로 수처리 기기, 통신기기 등을 보완하여 보조 또는 독립적인 발전원 시스템으로서 활용도를 높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들은 적용되는 시스템의 용량에 따라 부피 및 질량이 증가될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현장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고성능의 중장비를 활용하여 하차하고 설치해야 하나, 이러한 고성능의 중장비를 활용할 수 없는 지역에서는 많은 비용을 들여 고성능의 중장비를 가져가거나 트레일러 자체를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비가 많이 오는 지역에 있어서는 침수의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기초공사를 수행하여 컨테이너를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KR 10-1381592 (2014.03.31.) KR 10-1259034 (2013.04.23.) US 8,593,102 (2013.11.26.)
본 발명의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과 달리 트레일러나 지게차 등의 도움 없이 운반차량에서 컨테이너 자체가 하차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이격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은 컨테이너 외부에 태양광 전지판이나 풍력발전기와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생산 설비를 구축하여 자체 발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컨테이너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장치가 수납되는 저부 공간에 축전기를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무게중심을 안정화함과 동시에 컨테이너 공간 활용율을 극대화시키려는 것이다.
또한, 컨테이너의 도어를 하향 회전식으로 구성하여 이 도어가 자체적으로 테라스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테이너 외부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이 경우 컨테이너의 도어에 난간 및 계단이 부착된 상태에서 설치시 펼쳐질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공간 활용률을 높이면서 안전성을 높이고, 컨테이너 내외부로의 거주자 이동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컨테이너 내부에 수요자의 요구사양에 적합한 부하전력 공급기를 모듈식으로 하여 기본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획득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독자적인 전력공급 또는 수처리시스템, 조명 시스템 및 기타 공급기기를 설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측에 하향 회전하는 개폐도어가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와; 다수의 구조부재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컨테이너를 지지하되, 구조부재와 컨테이너 저부 사이가 이격된 하부공간부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하부공간부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축과, 상기 슬라이딩축에 일단부가 끼움 결합되되, 슬라이딩축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신축기둥으로 구성된 하부지지장치와; 상기 개폐도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하단에 연장프레임이 회전하여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계단프레임과, 마주보는 계단프레임들 및 마주보는 연장프레임들 사이를 각각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부재와, 상기 계단프레임 및 연장프레임의 외측에 일직선이 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계단기둥부재로 구성된 사다리장치와; 상기 계폐도어의 둘레를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테라스난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태양광, 풍력, 지열 중 어느 하나의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생산장치와; 상기 전력생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생산된 전력을 충전 또는 축전하며, 상기 하부공간부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저장장치와; 상기 전력저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력을 공급받아 컨테이너 내부의 조명 또는 난방을 공급하는 조명난방공급장치를 포함한 인프라설비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슬라이딩축은 내부에 사각 단면 형상의 끼움중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끼움중공부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수평축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기둥 상부 일측에 상기 끼움중공부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되 회전이 방지되는 사각끼움부재가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끼움부재에는 상기 중공끼움부를 향해 사각끼움부재 크기보다 작은 원형의 원형관이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축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신축기둥의 하부에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로드가 상측에 연결된 엑츄에이터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신축기둥의 하단과 엑츄에이터 일측 외주면에는 각각 관통홀이 형성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재가 상기 두 플랜지부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들의 상,하부에는 상기 스크류부재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발판부재는 일측이 상기 계단프레임 및 연장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2단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2단링크의 타측은 상기 계단프레임 및 연장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기술과 달리 트레일러나 지게차 등의 도움 없이 운반차량에서 컨테이너 자체가 하차하고 지면으로부터 일정높이로 띄어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컨테이너 외부에 태양광 전지판이나 풍력발전기와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생산 설비를 구축하여 자체 발전 시스템을 구축하는 한편, 컨테이너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하부지지장치가 수납되는 저부 공간에 충전기, 축전기, 인버터 등과 같이 전력 생산 설비의 부수 설비가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컨테이너 공간 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의 도어를 하향 회전식으로 구성하여 이 도어가 자체적으로 테라스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컨테이너 외부 공간 활용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특히, 이 경우 컨테이너의 도어에 난간 및 계단이 부착된 상태에서 설치시 펼쳐질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공간 활용률을 높이면서 안전성을 높이고, 컨테이너 내외부로의 거주자 이동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컨테이너 내부에 수요자의 요구사양에 적합한 부하전력 공급기를 모듈식으로 하여 기본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획득한 에너지를 이용하여 독자적인 전력공급 또는 수처리시스템, 조명 시스템 및 기타 공급기기를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에서 인프라설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배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하부지지장치의 작동 전,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 시스템이 운반차량에서 지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 시스템이 운반차량에서 지상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 및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사다리장치의 작동 절첩 전,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하부지지장치와 프레임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개폐도어 상부에 사다리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하부지지장치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은 크게 컨테이너(10), 프레임(20), 하부지지장치(30), 사다리장치(40) 및 테라스난간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컨테이너(10)는 통상의 공지된 컨테이너(10)로 구성되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측에 하향 회전하는 개폐도어(11)가 설치되어 있는 특징을 갖는다.
개폐도어(11)가 하향 회전하기 위해서는 미도시된 경첩이 개폐도어(11) 하부와 컨테이너(10) 하부의 연결 부위에 설치됨은 자명하다.
개폐도어(11)를 하향 회전시키는 것은 개폐도어(11)가 하향 회전하여, 도시된 것처럼 지면과 평행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이 상측 공간을 마치 주택의 테라스와 같은 형태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프레임(20)은 상기 컨테이너(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것처럼 길이방향의 횡방향부재(21a), 이에 직교한 종방향부재(21b)와 같은 다수의 구조부재(21)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측으로 연장되어 컨테이너(10)의 외부 골격을 이루고, 이를 통해 상기 컨테이너(1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구조부재(21)와 컨테이너(10) 저부 사이가 이격된 하부공간부(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통상의 컨테이너의 경우 외부 골격이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의 바닥면을 절개한 후 바닥 높이를 올리고 그 하측에 하부공간부(22)를 형성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레임(20)의 구성은 하부공간부(22)를 통해 하부지지장치(30)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 공간에는 축전지가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축전지는 다른 장비들의 무게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중량을 가지는 것으로서, 상기 축전지가 상기 수납 공간에 설치되는 경우, 콘테이너(10)의 무게 중심이 하부측으로 이동되어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공간 활용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하부지지장치(3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공간부(22)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축(31)과, 상기 슬라이딩축(31)에 일단부가 끼움 결합되되, 슬라이딩축(31)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신축기둥(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인 하부지지장치(30)의 구성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구성은 슬라이딩축(31) 내부에 사각 단면 형상의 공간인 끼움중공부(31a)가 형성되어 있고, 끼움중공부(31a)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수평축(31b)이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은 슬라이딩축(31)이 사각 각관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원통관이 설치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원통관은 미설치되어 작동이 가능하나, 동작의 정확성을 감안할 경우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더불어, 도면에서 신축기둥(32)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끼움중공부(31a)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며, 끼움중공부(31a)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는 회전이 방지되는 사각끼움부재(32a)가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즉, 사각끼움부재(32a)가 끼움중공부(31a)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신축기둥(32)의 회전이 방지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사각끼움부재(32a)에는 상기 중공끼움부(31a)를 향해 사각끼움부재(32a) 크기보다 작은 원형의 원형관(32b)이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축(31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있다.
즉, 원형관(32b)은 신축기둥(32)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은 도 8의 상태에서 원형관(32b)이 수평축(31b)과 끼움 연결된 상태에서는 신축기둥(32)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보다 깊숙히 삽입하여 사각끼움부재(32a)가 끼움중공부(31a)에 끼워지면 회전이 방지되는 구조를 취하게 된다.
이에 따른 작동 전,후의 상태가 도 3 내지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 3의 상측 도면과 같이 신축기둥(32)이 상기 하부공간부(2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이며, 차량 탑재 상태로 설치 장소에 도착한 후에는, 사용자 조작 등을 통해 끼움중공부(31a)에 끼워져 있는 사각끼움부재(32a)가 외측으로 이탈되도록 하게 되면 신축기둥(32)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지면에 평행한 방향에서 지면과 직교한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컨테이너(10)가 차량에 탑재된 상태에서 차량에 지지되고 있는 경우 차량(1)과의 분리가 이루어져야 된다.
이를 위해 신축기둥(32)은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10에는 이를 위한 신축기둥(32)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로드(33a)가 상측에 연결된 엑츄에이터(33)가 상기 신축기둥(32)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신축기둥(32)의 하단과 엑츄에이터(33) 일측 외주면에는 각각 관통홀(34a)이 형성된 플랜지부(34)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재(35)가 상기 두 플랜지부(34)의 관통홀(34a)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34)들의 상,하부에는 상기 스크류부재(35)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36)가 설치되어 있다.
도 10에는 엑츄에이터(33)의 하부에 추가로 하부기둥(37)이 설치되고, 이 하부기둥(37)에 플랜지부(34)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취한다.
이러한 구성은 하부지지장치(30)의 길이 조절은 엑츄에이터(33)의 작동에 의해 조절되며, 엑츄에이터(33) 작동 전에는 너트부재(36)를 풀어 신축기둥(32)과 엑츄에이터(33), 또는 신축기둥(32)과 하부기둥(37) 사이의 이동이 방해받지 않게 한다.
너트부재(36)를 풀고 엑츄에이터(33)가 작동하면서 스크류부재(35)는 가이드역활을 해주게 된다.
즉, 컨테이너(10)의 하중이 크고, 지면이 평평하지 않은 경우 엑츄에이터(33)가 고장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류부재(35)는 이동을 가이드해주게 된다.
적정 높이 즉, 차량 화물칸 바닥면으로부터 프레임(20)이 이격될 정도로 작동된 다음에는 너트부재(36)를 죄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러한 하부지지장치는 작동 전후에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도면기호로 미표기된 볼트홀을 통해 전산볼트 등을 체결함으로써, 삽입 또는 전개된 상태에서 위치를 고정하도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 하부지지장치(30)의 하단에는 베이스플레이트가 구비되어 볼트를 통해 지면에 앙카볼트를 이용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사다리장치(4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폐도어(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절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다리장치(40)는 계단프레임(41), 연장프레임(42), 발판부재(43), 레일(44), 이동부재(45) 및 계단기둥부재(46)로 구성되어 있다.
계단프레임(41)은 서로 평행하게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경첩(41a)에 의해 개폐도어(11)에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져 있다.
계단프레임(41)의 하부에는 경첩(42a)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경첩(42a)에 연장프레임(42)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를 통해 사다리장치(40)는 도 7과 같이 전개 전에는 계단프레임(41)과 연장프레임(42)이 서로 접하도록 절첩된 상태를 취하며, 사용을 위한 전개시에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게 된다.
이때, 통상의 절첩식 사다리와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고정되기 위한 고정구가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한편, 발판부재(43)는 마주보는 계단프레임(41)들 및 마주보는 연장프레임(42)들 사이를 각각 상호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발판부재(43)는 사다리 절첩시 부피를 최소화하기 위해 도면과 같이 각각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판부재(43)는 일측이 상기 계단프레임(41) 및 연장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2단링크(4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2단링크(47)의 타측은 상기 계단프레임(41) 및 연장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처럼 발판부재(43)의 회전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절첩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시에도 선택적으로 상호 일직선이 되도록 회전시켜 미끄럼판과 같이 가변시켜 바퀴가 달린 수레 등을 끌고 운반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레일(44)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계단프레임(41) 및 연장프레임(42)의 외측에 전개시 상호 일직선이 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이동부재(45)는 일측이 상기 레일(44)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레일(44)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계단기둥부재(46)는 상기 이동부재(4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도 1과 같이 전개된 상태에서 계단의 하중을 지지하는 기둥 역할 및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지지할 수 있는 난간 역할을 해주게 된다.
이를 위한 계단기둥부재(46)는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절첩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하고, 전개시에는 단순히 기둥 역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보행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이중관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계단기둥부재(46)는 상기 이동부재(45)와 끼움 결합되어 회전하는 축부재(46a)와, 상기 축부재(46a)에 연결되어 있고 내부가 빈 관 형태로 이루어진 연결관(46b), 상기 연결관(46b)과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어 있는 외부관(46c) 및 상기 외부관(46c)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내부관(46d)으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절첩시에는 상기 외부관(46c) 및 내부관(46d)이 계단프레임(41)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부피를 최소화시키고, 전개시에는 축부재(46a)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계단프레임(41)과 엇갈린 각도가 된 채 내부관(46d)이 연장된 채 고정되어 외부관(46c)이 지면에 대해 계단 하중을 지지하고, 상측으로 돌출된 내부관(46d)은 보행자 이동을 보조해주게 된다.
이때, 이동부재(45)가 이동은 물론 고정이 가능해야 하고, 축부재(46a)를 통한 각도 조절 후 각도를 고정해야 할 필요가 있는 바, 계단프레임(41) 및 연장프레임(42)에는 레일(44)에 볼트체결홀(44a)이 형성되고, 축부재(46a)에도 미도시된 볼트체결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한편, 계단프레임(41) 및 연장프레임(42)의 반대편에서 두 볼트체결홀을 관통하여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는 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테라스난간부재(5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개폐도어(11)의 둘레를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를 위해 테라스난간부재(50)는 하부에 개폐도어(11)와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브라켓(51)이 설치된다.
또, 상단에는 와이어 설치를 통해 난간보가 구비될 수 있게 와이어설치고리(52)가 도면과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테라스난간부재(50)는 필요한 경우 회전시키고 회전 후에는 고정되어야 하는 데, 이 경우 역시 브라켓(51)에 구비되는 회전축을 조여주는 너트부재나 공지의 고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개폐도어(11)가 펼쳐져 테라스 역할을 할 때 상기 개폐도어(11)의 하중을 지지할 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폐도어(11)가 닫혀 있을 때 외부에 위치하며, 테라스난간부재(50)와 같은 방식으로 상측에 회전 가능한 브라켓이 개폐도어(11)에 설치되어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도어(11)의 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관과 외부관의 이중관 구조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어, 개폐도어(11)가 하향 회전하여 테라스 형태를 취한 상태에서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어 개폐도어(11)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테라스기둥부재(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테라스기둥부재(70) 역시 이중관을 통한 길이 조절 후 위치가 고정될 수 있게 공지의 볼트, 가압부재, 클램프 등의 고정구가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하겠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에는 인프라설비(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인프라설비(60)의 필수 구성요소로는 전력생산장치(61), 전력저장장치(62) 및 조명난방공급장치(63)가 있다.
전력생산장치(6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컨테이너(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태양광, 풍력, 지열 중 어느 하나의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즉, 공지의 풍력발전기, 태양광발전기, 지열발전기 등과 같은 설비가 될 수 있으며, 이들이 복합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력저장장치(62)는 이들의 전력생산장치(61)로부터 생산된 전력을 충전하거나 축전하는 충전기나 밧데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전력생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전력저장장치(6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공간부(22) 내부에 설치되어 공간 활용율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조명난방공급장치(63)는 상기 전력저장장치(6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력을 공급받아 컨테이너(10)에 조명 또는 난방을 공급하는 통상의 조명이나 난방장치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통상적으로 컨테이너(10)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인프라설비(60)의 설치 개념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전력생산장치(61)는 컨테이너(10)나 프레임(20)에 연결된 채 컨테이너(10) 외부에 위치하고, 전력저장장치(62)는 컨테이너(10) 하부의 하부공간부(22)에 위치하여 공간 활용율을 높여준다.
또, 컨테이너(10) 내부에는 인버터(68), 접속반, 배전반(65) 및 기타설비(69) 등 각종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전력 공급을 제어하는 전력공급시스템(64), 식수 등의 관개 공급을 제어하는 식수관개공급시스템(66) 및 기타 위성 네트워크나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을 제어하는 서브시스템(67)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은 어떠한 중장비의 도움 없이 도면의 적재차량이 이동할 수 있을 정도면 이동하여 자체적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자체 구비된 발전 시스템을 통해 신재생에너지를 발전원으로 하여 전력을 충원하고, 사용자 요구 부하에 적합한 부하전력 공급 기기를 구비하여 수용자 생활을 윤택하게 할 수 있게 된다.
1 : 차량 10 : 컨테이너
11 : 개폐도어 20 : 프레임
21 : 구조부재 21a : 횡방향부재
21b : 종방향부재 22 : 하부공간부
30 : 하부지지장치 31 : 슬라이딩축
31a : 끼움중공부 31b : 수평축
32 : 신축기둥 32a : 사각끼움부재
32b : 원형관 33 : 엑츄에이터
34 : 플랜지부 34a : 관통홀
35 : 스크류부재 36 : 너트부재
37 : 하부기둥 40 : 사다리장치
41 : 계단프레임 41a, 42a : 경첩
42 : 연장프레임 43 : 발판부재
44 : 레일 45 : 이동부재
46 : 계단기둥부재 46a : 축부재
46b : 연결관 46c : 외부관
46d : 내부관 50 : 테라스난간부재
51 : 브라켓 52 : 와이어설치고리
60 : 인프라설비 61 : 전력생산장치
62 : 전력저장장치 63 : 조명난방공급장치
64 : 전력공급시스템 65 : 접속반, 배전반
66 : 식수관개공급시스템 67 : 기타서브시스템
68 : 인버터 69 : 기타설비
70 : 테라스기둥부재

Claims (5)

  1.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에 있어서,
    일측에 하향 회전하는 개폐도어(11)가 설치되어 있는 컨테이너(10)와;
    다수의 구조부재(21)가 상호 연결되어 구성되며, 상기 컨테이너(10)를 지지하되, 구조부재(21)와 컨테이너(10) 저부 사이가 이격된 하부공간부(22)가 형성되어 있는 프레임(20)과;
    상기 하부공간부(22)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딩축(31)과, 상기 슬라이딩축(31)에 일단부가 끼움 결합되되, 슬라이딩축(31)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하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신축기둥(32)으로 구성된 하부지지장치(30)와;
    상기 개폐도어(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하단에 연장프레임(42)이 회전하여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한 쌍의 계단프레임(41)과, 마주보는 계단프레임(41)들 및 마주보는 연장프레임(42)들 사이를 각각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발판부재(43)와, 상기 계단프레임(41) 및 연장프레임(42)의 외측에 일직선이 되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레일(44)과, 상기 레일(44)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재(45)와, 상기 이동부재(4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계단기둥부재(46)로 구성된 사다리장치(40)와;
    상기 개폐도어(11)의 둘레를 따라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테라스난간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고, 태양광, 풍력, 지열 중 어느 하나의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전력생산장치(61)와;
    상기 전력생산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생산된 전력을 충전 또는 축전하며, 상기 하부공간부(22)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전력저장장치(62)와;
    상기 전력저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력을 공급받아 컨테이너(10) 내부의 조명 또는 난방을 공급하는 조명난방공급장치(63)를 포함한 인프라설비(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축(31)은 내부에 사각 단면 형상의 끼움중공부(31a)가 형성되어 있고,
    끼움중공부(31a)의 내부에는 원통형의 수평축(31b)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신축기둥(32) 상부 일측에 상기 끼움중공부(31a)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끼움 결합되되 회전이 방지되는 사각끼움부재(32a)가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각끼움부재(32a)에는 상기 끼움중공부(31a)를 향해 사각끼움부재(32a) 크기보다 작은 원형의 원형관(32b)이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평축(31b)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기둥(32)의 하부에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로드(33a)가 상측에 연결된 엑츄에이터(33)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신축기둥(32)의 하단과 엑츄에이터(33) 일측 외주면에는 각각 관통홀(34a)이 형성된 플랜지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부재(35)가 상기 두 플랜지부(34)의 관통홀(34a)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부(34)들의 상,하부에는 상기 스크류부재(35)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부재(3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5.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재(43)는 일측이 상기 계단프레임(41) 및 연장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2단링크(4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2단링크(47)의 타측은 상기 계단프레임(41) 및 연장프레임(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KR1020170012883A 2017-01-26 2017-01-26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KR101852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883A KR101852969B1 (ko) 2017-01-26 2017-01-26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883A KR101852969B1 (ko) 2017-01-26 2017-01-26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969B1 true KR101852969B1 (ko) 2018-06-11

Family

ID=62600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883A KR101852969B1 (ko) 2017-01-26 2017-01-26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96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102B1 (ko) * 2020-04-14 2020-08-07 (주)엘림 수평 조절이 가능한 컨테이너의 지지 구조
KR102330398B1 (ko) 2021-04-27 2021-11-22 손규보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다기능 감시 컨테이너
CN113787929A (zh) * 2021-11-13 2021-12-14 杭州骑遇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厢式移动应急充电车
CN114735033A (zh) * 2022-04-29 2022-07-12 北京起重运输机械设计研究院有限公司 走台装置及索道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611A (ko) * 1999-06-05 1999-09-06 최정식 콘테이너승강장치
KR20100084443A (ko) * 2009-01-16 2010-07-26 박준 접이식 계단
KR101259034B1 (ko) 2011-08-18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전원설비
US8593102B2 (en) 2006-12-27 2013-11-26 Ecosphere Technologies, Inc. Portable, self-sustaining power station
KR101381592B1 (ko) 2013-09-04 2014-04-04 채재훈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
KR101383889B1 (ko) * 2013-08-28 2014-04-14 디엔비하우징 주식회사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적용된 주거용 컨테이너 하우스
KR101401209B1 (ko) * 2013-11-23 2014-05-28 송종운 이동식 컨테이너 하우스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8611A (ko) * 1999-06-05 1999-09-06 최정식 콘테이너승강장치
US8593102B2 (en) 2006-12-27 2013-11-26 Ecosphere Technologies, Inc. Portable, self-sustaining power station
KR20100084443A (ko) * 2009-01-16 2010-07-26 박준 접이식 계단
KR101259034B1 (ko) 2011-08-18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전원설비
KR101383889B1 (ko) * 2013-08-28 2014-04-14 디엔비하우징 주식회사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이 적용된 주거용 컨테이너 하우스
KR101381592B1 (ko) 2013-09-04 2014-04-04 채재훈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
KR101401209B1 (ko) * 2013-11-23 2014-05-28 송종운 이동식 컨테이너 하우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102B1 (ko) * 2020-04-14 2020-08-07 (주)엘림 수평 조절이 가능한 컨테이너의 지지 구조
KR102330398B1 (ko) 2021-04-27 2021-11-22 손규보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다기능 감시 컨테이너
CN113787929A (zh) * 2021-11-13 2021-12-14 杭州骑遇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厢式移动应急充电车
CN113787929B (zh) * 2021-11-13 2022-05-17 杭州骑遇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厢式移动应急充电车
CN114735033A (zh) * 2022-04-29 2022-07-12 北京起重运输机械设计研究院有限公司 走台装置及索道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969B1 (ko)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US10236820B2 (en) Modular photovoltaic light and power cube
US10480489B2 (en) Mobile renewable energy structures providing wireless networking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7105940B2 (en) Mobile renewable energy generator
US9169649B2 (en) Photovoltaic module attached to guardrail
US10284135B2 (en) Solar panel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JP6295282B2 (ja) 支柱直立型太陽電池設備
US9716464B2 (en) Solar panel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US20170023191A1 (en) Portable hybrid street light
KR200483396Y1 (ko) 복합 발전 가로등
KR101981501B1 (ko) 이동식 태양광 조명 장치
KR101215665B1 (ko) 난간 부착형 태양광 발전모듈
US10868492B2 (en) Solar panel mounting apparatus and system
KR102123157B1 (ko) 태양광 추적장치
KR101958965B1 (ko) 복합 발전 장치
US20110162300A1 (en) Photovoltaic utility building
JP2010034190A (ja) 移動式ソーラーシステム
KR20070079169A (ko) 기둥상부 보관형 태양광 가로등
KR101951720B1 (ko) 태양광 발전장치
KR200414632Y1 (ko) 기둥상부 보관형 태양광 가로등
AU2012100403A4 (en) Portable Power Generation Device
KR102122818B1 (ko) 이동 가능한 폴더형 태양광 발전장치
AU2014213489A1 (en) Modular building
KR102437863B1 (ko)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FR2795569A1 (fr) Generateur solaire photovoltaique monobloc portati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