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034B1 - 이동식 전원설비 - Google Patents

이동식 전원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034B1
KR101259034B1 KR1020110081994A KR20110081994A KR101259034B1 KR 101259034 B1 KR101259034 B1 KR 101259034B1 KR 1020110081994 A KR1020110081994 A KR 1020110081994A KR 20110081994 A KR20110081994 A KR 20110081994A KR 101259034 B1 KR101259034 B1 KR 101259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lug
unit
pow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1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9797A (ko
Inventor
이재학
김수형
서종수
손혜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1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0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19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9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8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 Y02P80/2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for sector-wide applications using renewable energ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동식 전원설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는 축전(蓄電)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마련된 전원접속장치를 포함하고, 전원접속장치는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하여 다른 전원설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를 갖춘 하나 이상의 플러그유닛과, 다른 전원설비의 플러그유닛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전원설비{MOBILE ELECTRIC POWER EQUIPMENT}
본 발명은 이동식 전원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원설비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이동식 전원설비에 관한 것이다.
빌딩, 공장, 병원, 해상을 운행하는 선박 등은 상용전원의 공급이 중단되는 상황 또는 발전설비의 고장이 발생하는 상황을 대비한 비상 전원설비를 보유한다. 대피로나 출입구의 조명시설, 필수적으로 가동이 요구되는 시설 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함이다.
통상의 비상 전원설비는 전기를 저장하는 축전(蓄電)장치를 포함한다. 또 필요한 곳으로 쉽게 옮길 수 있어야 하므로 이동설치가 용이한 형태다. 선박에서 사용하는 전원설비의 경우 화물용 컨테이너와 함께 선적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한 해상운송용 컨테이너의 규격을 따르고 있다. 또 비상 전원설비 중에는 축전(蓄電)기능은 물론이고, 태양전지모듈이나 풍력발전장치를 갖추어 자체 발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있다.
한편, 이러한 전원설비는 충전용량을 늘리기 위해 여러 개를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즉 복수의 전원설비를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열한 후 배선을 통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원설비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쉽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전원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축전(蓄電)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전원접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접속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하여 다른 전원설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를 갖춘 하나 이상의 플러그유닛과, 다른 전원설비의 플러그유닛이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식 전원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육면체의 컨테이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플러그유닛은 상기 하우징 상측의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플러그유닛과, 상기 하우징 하측의 반대편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3 및 제4플러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유닛은 상기 하우징 상측의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유닛이 배치되지 않은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콘센트유닛과, 상기 하우징 하측의 상기 제3 및 제4플러그유닛이 배치되지 않은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3 및 제4콘센트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유닛은 외면에 랙기어부를 구비하며 선단에 상기 접속단자부가 마련된 플러그바와, 상기 플러그바의 랙기어부에 치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부는 절연소재에 의해 원뿔형태로 마련되고 그 외면에 전원접속을 위한 복수의 접점을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유닛은 절연소재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접속단자부가 진입하여 접속되는 원뿔형 접속홈을 갖춘 콘센트블럭과, 전원 접속을 위해 상기 접속홈 내면에 마련된 복수의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접속장치는 상기 접속단자부의 접속 유지를 위해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콘센트유닛에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된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및 제4플러그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설치되고 그 외면에 제1랙기어부를 구비하며 선단에 제1접속단자부가 마련된 제1플러그바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설치되고 그 외면에 제2랙기어부를 구비하며 선단에 제2접속단자부가 마련된 제2플러그바와, 상기 제1랙기어부와 상기 제2랙기어부에 동시에 치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콘센트유닛은 다른 전원설비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측면을 통하여 진입하는 플러그유닛이 접속될 수 있도록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속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상면에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사용할 때 상기 하우징 상부로 돌출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여 수용되는 풍력발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풍력발전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승강레일,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된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축에 결합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나선축과, 상기 나선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이송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는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하여 다른 전원설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러그유닛과, 다른 전원설비의 플러그유닛이 접속될 수 있도록 하우징에 마련된 콘센트유닛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전원설비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의 단면도이다.
도 3a, 도 3b,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들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의 제1 내지 제4플러그유닛과 제1 내지 제4콘센트유닛의 배치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의 제1플러그유닛 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의 제1플러그유닛과 제2콘센트유닛의 구성 및 접속동작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의 제3플러그유닛의 구성 및 접속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a, 도 10b, 도 10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들을 전원접속장치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연결하는 예들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전원설비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면체의 하우징(10), 하우징(10)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의 축전(蓄電)유닛(20), 하우징(10)의 일측 내부에 수용된 풍력발전장치(30), 하우징(10) 상부에 설치된 태양전지모듈(40)을 포함한다.
하우징(10)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정한 해상운송용 컨테이너 규격에 따라 육면체의 컨테이너 형태로 제작하거나 실제 화물용 컨테이너를 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에는 복수의 축전유닛(20)에 전기가 충전될 수 있도록 하거나 충전된 전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유닛(미도시)과, 충전 및 전원의 사용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의 축전유닛(20)은 상용전원이나 비상 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축전지를 내장하고,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각각 별도의 전원입력포트와 전원출력포트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부에 이동바퀴(21)를 구비한다. 축전유닛(20)이 하우징(10) 내에 설치될 때는 축전유닛들(20) 상호 간 및 하우징(10)에 마련되는 전원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풍력발전장치(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승강레일(31), 승강레일(31)을 따라 승강하도록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승강부재(32), 승강부재(32)에 설치된 발전기(33), 발전기(33)의 축에 결합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34), 승강부재(32)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5)를 포함한다.
회전날개(34)는 하우징(10) 상부의 개구(11)를 통하여 하우징(10) 내부로 진입하거나 상방으로 돌출하기 용이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태일 수 있다.
승강장치(35)는 승강부재(32)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우징(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나선축(35a)과, 나선축(35a)을 회전시키도록 하우징(10) 내에 설치된 이송모터(35b)를 포함한다. 이송모터(35b)의 동작에 의해 나선축(35a)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나선축(35a)에 결합된 승강부재(32)가 나선축(35a)의 동작에 의해 승강하여 풍력발전장치(30)의 승강을 구현한다. 여기서는 승강장치(35)로 나선축(35a)과 이송모터(35b)를 채용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승강장치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승강장치는 유압실린더방식 또는 래크와 피니언기어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풍력발전장치(30)는 사용할 때 상승시킴으로써 회전날개(34)가 하우징(10) 상부로 돌출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 하우징(10) 내부로 하강시킴으로써 회전날개(34)가 하우징(1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풍력발전장치(30)에서 생성된 전기는 하우징(10) 내부의 충전유닛(20)에 충전될 수 있다.
태양전지모듈(4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광에 노출되기 쉽도록 하우징(10)의 외측 상면에 넓게 펼쳐진 형태로 설치된다. 태양전지모듈(40)에서 생성된 전기 역시 하우징(10) 내부의 충전유닛(20)에 충전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 도시한 이동식 전원설비는 태양전지모듈(40)과 풍력발전장치(30)를 구비한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태양전지모듈과 풍력발전장치 중 어느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채용한 것이거나, 자체 발전수단이 없이 내부에 축전유닛만을 구비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이러한 전원설비들을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는 예다. 도 3a는 태양전지모듈(40)과 풍력발전장치(30)를 갖춘 좌측 두개의 발전설비와, 풍력발전장치 없이 태양전지모듈(41)을 갖춘 우측 두개의 발전설비를 상호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다. 즉 네개의 전원설비를 평면 위에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경우다. 도 3b는 두 전원설비를 상하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다. 이때 하측 전원설비는 태양전지모듈과 풍력발전장치 없이 충전유닛만을 갖춘 것일 수 있다. 도 3c는 네개의 전원설비를 2열로 적층하여 사용하는 경우다. 이때 하측 두 전원설비는 태양전지모듈과 풍력발전장치가 없는 것, 상부 좌측 전원설비는 태양전지모듈(40)과 풍력발전장치(30)를 모두 갖춘 것, 상부 우측 전원설비는 풍력발전장치 없이 태양전지모듈(41)을 갖춘 것일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의 전원설비는 여러가지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이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적층하거나 배열한 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처럼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는 전원설비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본 실시 예의 전원설비는 전원접속장치를 구비한다. 전원접속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사방 구석 쪽에 배치되는 복수의 플러그유닛(50A, 50B, 50C, 50D)과 복수의 콘센트유닛(60A, 60B, 60C, 60D)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유닛은 하우징(10) 상측의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1플러그유닛(50A)과 제2플러그유닛(50B), 하우징(10) 하측의 반대편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3플러그유닛(50C)과 제4플러그유닛(50D)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및 제4플러그유닛(50C,50D)이 하우징(10) 하측의 반대편 대각방향 구석에 배치된다는 것은 제1플러그유닛(50A)과 제2플러그유닛(50B)을 연결하는 대각선(L1)과 제3플러그유닛(50C)과 제4플러그유닛(50D)을 연결하는 대각선(L2)이 교차하는 관계가 되도록 배치됨을 의미한다.
복수의 콘센트유닛은 하우징(10) 상측의 제1 및 제2플러그유닛(50A,50B)이 배치되지 않은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1콘센트유닛(60A)과 제2콘센트유닛(60B), 하우징(10) 하측의 제3 및 제4플러그유닛(50C,50D)이 배치되지 않은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3콘센트유닛(60C)과 제4콘센트유닛(60D)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복수의 전원설비를 상하로 적층하거나 수평방향으로 인접시켜 배치할 때 한 쪽 전원설비의 일부 플러그유닛과 다른 쪽 전원설비의 일부 콘센트유닛이 대향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이들의 연결을 통해 전원설비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전원접속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플러그유닛(50A)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제1플러그유닛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두 개의 전원설비를 전후로 인접하게 배치한 상태에서 제1플러그유닛(50A)과 제2콘센트유닛(60B)이 접속되는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제1플러그유닛(50A)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면에 랙기어부(52)를 구비하고 선단에 접속단자부(53)가 마련된 플러그바(51), 플러그바(51)의 랙기어부(52)에 치합된 피니언기어(54), 피니언기어(54)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55)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플러그유닛(50B)도 제1플러그유닛(50A)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바(51)는 하우징(10) 내에 설치되는 지지부(56)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고, 하우징(10)의 관통공(13)을 통해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하우징(10)의 관통공(13)에는 플러그바(51)의 입출(入出)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탄성소재에 의해 마련된 개폐부재(14)가 설치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54)는 플러그바(51)의 랙기어부(52)에 치합된 상태로 하우징(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하우징(10)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는 회전손잡이(55)와 연결축(57)에 의해 연결된다. 이는 사용자가 회전손잡이(5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피니언기어(54)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플러그바(51)의 진퇴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플러그바(51) 선단의 접속단자부(53)가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하거나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플러그바(51) 선단의 접속단자부(53)는 절연소재에 의해 원뿔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그 외면에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 상호 다른 극의 전원선이 연결되는 접점들(53a,53b)이 설치될 수 있다.
제2콘센트유닛(60B)은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다른 전원설비로부터 진입하는 플러그바(51)의 접속단자부(53)가 접속될 수 있도록 원뿔형 접속홈(62)을 구비하며 절연소재로 마련된 콘센트블럭(61)과, 전원연결을 위해 접속홈(62) 내면의 이격된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접점(62a,62b)을 포함한다. 즉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전원설비의 하우징(10)이 상호 인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한쪽 전원설비로부터 돌출하는 플러그바(51)가 다른 전원설비의 콘센트유닛(60B)의 접속홈(62)으로 진입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면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콘센트유닛(60B)의 대각편에 배치되는 제1콘센트유닛(60A)도 제2콘센트유닛(60B)과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서 부호 16은 제2콘센트유닛 쪽으로 플러그바가 진입하도록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이고, 부호 17은 플러그바(51)의 입출(入出)에 따라 개폐될 수 있도록 변형 가능한 탄성소재에 의해 마련된 개폐부재이다.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바(51)의 접속단자부(53)와 제2콘센트블럭(61)에는 이들의 접속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호 부착되는 자석(59,66)이 각각 설치된다. 플러그바(51)의 접속단자부(53)에 마련된 자석(59)이 콘센트블럭(61)의 접속홈(62)에 마련된 자석(66)에 대응하여 부착됨으로써 상호 접속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제1 및 제2콘센트유닛(60A,60B)은 인접하는 다른 전원설비로부터 하우징(10)의 상면 또는 측면을 통하여 진입하는 플러그바(51)가 접속될 수 있도록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접속홈(62)이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접속홈을 구비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 제1 내지 제4플러그유닛(50A,50B,50C,50D)에 도시된 화살표는 각각 해당 플러그유닛으로부터 플러그바가 돌출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제1 내지 제4콘센트유닛(60A,60B,60C,60D)에 도시된 화살표는 각각 해당 콘센트유닛으로 플러그바가 진입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콘센트유닛(60A,60B)은 하우징(10)의 상면 또는 측면으로부터 진입하는 플러그바가 접속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복수의 접속홈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 하측에 마련된 제3 및 제4플러그유닛(50C,50D)은 복수의 플러그바가 하우징(10)의 측면 또는 하면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복수의 전원설비를 수평방향으로 배열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는 경우에도 전원접속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은 복수의 플러그바를 갖춘 제3플러그유닛(50C)을 나타낸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3플러그유닛(50C)은 하우징(10)의 측면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설치되고 그 외면에 제1랙기어부(152)를 구비하며 선단에 제1접속단자부(153)가 마련된 제1플러그바(151), 하우징(10)의 하면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설치되고 그 외면에 제2랙기어부(252)를 구비하며 선단에 제2접속단자부(253)가 마련된 제2플러그바(251), 제1랙기어부(152)와 제2랙기어부(252)에 동시에 치합된 피니언기어(154), 피니언기어(154)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미도시)를 포함한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4플러그유닛(50D)도 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플러그바(151)와 제2플러그바(251)는 상호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피니언기어(154)는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할 때 이들 두 플러그바(151,251)가 상반된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랙기어부(152,252)에 동시에 치합되도록 설치된다. 이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니언기어(15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플러그바(151)가 측방으로 돌출하여 측방에 위치하는 전원설비와 접속되고, 동시에 제2플러그바(251)가 하우징(10)의 내측(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 것이다. 피니언기어(15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이와 반대의 상황이 발생한다. 즉 제2플러그바(251)는 하측으로 돌출하여 하측 전원설비와 접속되고 제1플러그바(151)는 하우징(10) 내부로 진입하여 측방의 전원설비와 분리된다.
이러한 전원접속장치에 의해 본 실시 예의 이동식 전원설비는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원설비 간의 전원접속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0a는 두 전원설비가 전후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이 경우는 후방 측 전원설비의 제1플러그유닛(50A)과 전방 측 전원설비의 제2콘센트유닛(60B)이 접속될 수 있다. 도 10b는 두 전원설비가 좌우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이다. 이 경우는 좌측 전원설비의 제3플러그유닛(50C)과 우측 전원설비의 제3콘센트유닛(60C)이 접속될 수 있다. 도 10c는 두 전원설비가 상하로 적층된 경우이다. 이 경우는 상측 전원설비의 제3플러그유닛(50C)과 하측 전원설비의 제1콘센트유닛(60A)이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전원설비 간의 전기적인 접속을 구현하기 위해 각 전원설비가 복수의 플러그유닛과 복수의 콘센트유닛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0a의 경우처럼 복수의 전원설비가 전후로 연이어 배치되는 경우라면, 각 전원설비의 전방과 후방에 하나의 플러그유닛과 하나의 콘센트유닛만을 설치하는 경우에도 연속적인 전원접속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전원설비가 같은 방향으로 연이어 배치되는 경우에는 각 전원설비의 상반된 위치에 하나의 플러그유닛과 하나의 콘센트유닛이 마련되는 것만으로도 연속적인 전원접속을 구현할 수 있다.
10: 하우징, 20: 축전유닛,
30: 풍력발전장치, 40: 태양전지모듈,
50A ~ 50D: 제1 내지 제4플러그유닛,
51: 플러그바, 52: 랙기어부,
53: 접속단자부, 54: 피니언기어,
55: 회전손잡이, 59,66: 자석,
60A ~ 60D: 제1 내지 제4콘센트유닛,
61: 콘센트블럭, 62: 접속홈.

Claims (12)

  1. 축전(蓄電)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전원접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접속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측으로 진입하거나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고 다른 전원설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단자부를 갖춘 하나 이상의 플러그유닛과, 다른 전원설비의 플러그유닛이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콘센트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육면체의 컨테이너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유닛은 상기 하우징 상측의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플러그유닛과, 상기 하우징 하측의 반대편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3 및 제4플러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콘센트유닛은 상기 하우징 상측의 상기 제1 및 제2플러그유닛이 배치되지 않은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콘센트유닛과, 상기 하우징 하측의 상기 제3 및 제4플러그유닛이 배치되지 않은 대각방향 구석에 각각 배치되는 제3 및 제4콘센트유닛을 포함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유닛은 외면에 랙기어부를 구비하며 선단에 상기 접속단자부가 마련된 플러그바와, 상기 플러그바의 랙기어부에 치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부는 절연소재에 의해 원뿔형태로 마련되고 그 외면에 전원접속을 위한 복수의 접점을 구비하며,
    상기 콘센트유닛은 절연소재에 의해 마련되며 상기 접속단자부가 진입하여 접속되는 원뿔형 접속홈을 갖춘 콘센트블럭과, 전원 접속을 위해 상기 접속홈 내면에 마련된 복수의 접점을 포함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부의 접속 유지를 위해 상기 접속단자부와 상기 콘센트유닛에 상호 부착될 수 있도록 각각 설치된 자석을 포함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플러그유닛은 상기 하우징의 측면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설치되고 그 외면에 제1랙기어부를 구비하며 선단에 제1접속단자부가 마련된 제1플러그바와, 상기 하우징의 하면 방향으로 진퇴하도록 설치되고 그 외면에 제2랙기어부를 구비하며 선단에 제2접속단자부가 마련된 제2플러그바와, 상기 제1랙기어부와 상기 제2랙기어부에 동시에 치합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콘센트유닛은 다른 전원설비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상면 또는 측면을 통하여 진입하는 플러그유닛이 접속될 수 있도록 상호 다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접속홈을 포함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면에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모듈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사용할 때 상기 하우징 상부로 돌출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 상기 하우징 내부로 진입하여 수용되는 풍력발전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풍력발전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승강레일, 상기 승강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설치된 발전기, 상기 발전기의 축에 결합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나선축과, 상기 나선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이송모터를 포함하는 이동식 전원설비.
KR1020110081994A 2011-08-18 2011-08-18 이동식 전원설비 KR101259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994A KR101259034B1 (ko) 2011-08-18 2011-08-18 이동식 전원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1994A KR101259034B1 (ko) 2011-08-18 2011-08-18 이동식 전원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797A KR20130019797A (ko) 2013-02-27
KR101259034B1 true KR101259034B1 (ko) 2013-04-29

Family

ID=4789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1994A KR101259034B1 (ko) 2011-08-18 2011-08-18 이동식 전원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0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969B1 (ko) 2017-01-26 2018-06-11 주식회사 준마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KR20230073863A (ko) 2021-11-19 2023-05-26 영농조합법인 올산민들레 민들레 여주차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619A (ko) * 2008-07-19 2010-01-28 박방자 집어등 및 선박작업등의 전원공급 장치
KR20100065542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선박의 충전 스테이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9619A (ko) * 2008-07-19 2010-01-28 박방자 집어등 및 선박작업등의 전원공급 장치
KR20100065542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선박의 충전 스테이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2969B1 (ko) 2017-01-26 2018-06-11 주식회사 준마 자립형 컨테이너 시스템
KR20230073863A (ko) 2021-11-19 2023-05-26 영농조합법인 올산민들레 민들레 여주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9797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6820B2 (ja) 蓄電装置
GB2506015A (en) Mobile Electrical Power Module
JP6156938B2 (ja) 電池収容体及び蓄電装置
CN109301125A (zh) 电动叉车电池模组结构及电池包
KR101259034B1 (ko) 이동식 전원설비
CN103560582B (zh) 一种户外变电站监控系统
WO2015045231A1 (ja) 光電変換装置および当該装置に使用される光電変換ユニット
CN202593508U (zh) 一种电力机车蓄电池柜体
US20130342155A1 (en) Electricity gener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170073331A (ko) 배터리 랙 시스템
CN105322639A (zh) 具有太阳能电池板和电池的电源供应装置
JP2018523765A5 (ko)
CN205646287U (zh) 一种模块化插座
CN206524677U (zh) 一种plc双电源供电装置
CN108242769A (zh) 一种基于高燃点植物油的环保型油浸式配电柜
CN206211323U (zh) 一种便于安装的配电箱
CN203942157U (zh) 开关柜
CN210102016U (zh) 一种无人机驻留站
CN207420213U (zh) 一种新型预埋式电力安全围栏杆
CN201947202U (zh) 一种太阳能控制器前维护装置
JP6315173B2 (ja) Dc接続箱
CN209767458U (zh) 立杆式太阳能供电装置
JP2018003366A (ja) 蓄電装置、蓄電システム
CN211829762U (zh) 一种箱式馈线终端
WO2013075840A8 (de) Hochvoltspeic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