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3841B1 -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 Google Patents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3841B1
KR101993841B1 KR1020170085841A KR20170085841A KR101993841B1 KR 101993841 B1 KR101993841 B1 KR 101993841B1 KR 1020170085841 A KR1020170085841 A KR 1020170085841A KR 20170085841 A KR20170085841 A KR 20170085841A KR 101993841 B1 KR101993841 B1 KR 101993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housing
panel
solar
container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5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340A (ko
Inventor
추승엽
김응천
장성우
안병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베스
Priority to KR1020170085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3841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3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3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30Supporting structures being movable or adjustable, e.g. for angle adjus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개방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폭 방향이 길이 방향보다 좁은 형상의 컨테이너 구조물과,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의 외측 상단에 힌지 결속되되,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면서 폭 방향으로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 1 태양광 패널과, 상기 제 1 태양광 패널에 작동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패널 지지대와,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의 내측에 설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되되, 이동 방향이 상기 제 1 태양광 패널의 전개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 외측면에 힌지 결속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 2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A folding type solar power facility}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이 가능한 주거용 컨테이너 구조물 등에 설치하는 이동성을 향상시킨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수행하는 수단으로는 태양광에 반응하는 전지모듈, 즉 태양광 패널을 이용하게 되며 이를 이용하여 햇빛을 직류전기로 바꾸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태양광 발전은 크게 계통 연계형과 독립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계통 연계형은 주전력 공급처와 설비가 가정에 연결되어 발전량만큼 전기세를 감면 받고 추가 발전량을 이월할 수 있도록 하며, 독립형의 경우 주전력공급처와 독립되어 전기를 축전기에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는 방식이며, 주로 전신주가 없는 산간지방 등에서 사용된다.
태양광 발전 장치는 터빈이 필요한 다른 발전 장치와는 달리 유지보수비용이 비교적 적은편이며 에너지 수급이 쉬워 부지 제약이 적을 뿐만 아니라 신재생 에너지 발전 중에서는 일반인들이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세계시장에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장치의 초기 설치시,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가 필요 불가결하며, 구조물을 설치함에 있어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한 자재의 운송에 큰 문제점이 있으며, 따라서 설치 단가 또한 상승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조립 제작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태양광 발전 모듈을 운반 및 이송이 편리한 조립식 구조로 만들어진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 10-2012-0018258 호의 태양광 발전 시설물을 통해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으나,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구조물을 별도로 각기 다른 주거공간에 맞게 제작하여야 하며, 태양광 패널의 설치각도가 고정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태양광의 입사량이 한정적이었으며, 태양광 패널의 전개량을 변형할 수 없어 전개량이 고정된 태양광 패널이 차지하는 면적을 위한 부지확보가 반드시 필요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설치 장소에 따라 가변적으로 태양광 패널을 노출하여 설치부지의 형태 또는 면적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전개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송이 편리한 조립식 구조를 가지면서, 주거공간에 별도의 구조물을 제작하지 않고도 범용성을 가지도록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개방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폭 방향이 길이 방향보다 좁은 형상의 컨테이너 구조물과,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의 외측 상단에 힌지 결속되되,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면서 폭 방향으로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 1 태양광 패널과, 상기 제 1 태양광 패널에 작동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패널 지지대와,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의 내측에 설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 1 가이드 레일과,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되되, 이동 방향이 상기 제 1 태양광 패널의 전개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1 하우징 외측면에 힌지 결속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 2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측에 제 2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면에 힌지 결속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 3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호 상반되는 인출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형 주거공간에 별도의 구조물을 제작하지 않고도 태양광 발전 시설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범용성을 부여하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태양광 패널과 컨테이너 구조물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등을 통해 컨테이너 구조물 내에 간편하게 수납 가능하며, 설치 장소에 따라 가변적으로 태양광 패널을 노출하여 설치부지의 형태 또는 면적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전개하여 태양광 발전이 가능하고, 태양광 발전 수단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운송비의 절감과, 간편한 설치를 통해 태양광 발전 시설의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정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 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제 1 태양광 패널이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제 2 태양광 패널이 전개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제 3 태양광 패널이 전개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제 1 내지 제 3 태양광 패널이 모두 전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은 컨테이너 구조물(10), 제 1 태양광 패널(11) 제 1 가이드레일(13), 제 1 하우징(20)을 포함하며, 컨테이너 구조물(10)은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물에 주로 사용되는 컨테이너 구조물을 사용하며, 적어도 하나이상의 측면에 개방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폭 방향이 길이 방향보다 좁은 형상의 컨테이너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태양광 패널(11)은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10)의 개방부를 제외한 외측에 결합되며,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10)과의 결합부위는 외측 상단 또는 외측 하단에 결합 가능하며, 제 1 태양광 패널(11)이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10)의 외측 하단에 결합되는 경우, 컨테이너 구조물(10)의 외측 상단에 제 1 태양광 패널(11)을 접철하여 보관시 지면 방향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후크와 같은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레일(13)은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10) 내부 바닥면에 한 쌍이 설치되도록 하되, 한쌍의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3)은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3)은 컨테이너 구조물(10)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 되도록 하며, 제 1 가이드레일(13)의 설치 방향과 상기 제 1 태양광 패널(11)이 전개되는 전개 방향이 서로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하우징(20)은 후술할 제 2 태양광 패널과 제 3 태양광 패널을 접철시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10)의 내부 벽면과 근접하되, 한 쌍의 제1 하우징(20)이 서로 마주 볼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20)이 컨테이너 구조물(10)에서 자유롭게 삽출 및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3)과 결합하며, 제 1 하우징(20)의 이동방향과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3)의 설치 방향이 동일하도록 결합시키며, 한 쌍의 제 1 하우징(20)의 이동방향은 서로 같지 않으며, 서로 상반되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10) 외측 상부면에 고정 태양광 패널(14)이 부착되게 되는데, 이는 항시 태양광에 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태양 입사각에 따라 발전 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설치 각도를 변경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의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여 제 2 태양광 패널 및 제 3 태양광 패널의 보관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10)에 제 1 가이드레일(13)이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10) 내부 바닥면에 한 쌍이 설치되도록 하되, 한 쌍의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3)은 각각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제 1 가이드레일(13)에 이동가능하도록 제 1 하우징(20)이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10) 내부 벽면에 근접하되, 한 쌍의 상기 제 1 하우징(20)이 서로 마주볼 수 있도록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 1 하우징(20) 외측 상단에 지그재그형태로 접철 가능한 제 2 태양광 패널(21)이 힌지 결속되어 상기 제 1 하우징(20)이 컨테이너 구조물(10)에서 삽출되어 외부로 노출되었을 때,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1 하우징(20) 내부 바닥면에는 제 2 가이드레일(23)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가이드레일(23)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제 2 하우징(30)이 상기 제 1 하우징(20)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하우징(30)의 상단에 지그재그형식으로 접철 가능한 제 3 태양광 패널(31)이 힌지결합하여 접힌 상태로 상기 제 1 하우징 내부에 보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제 1 태양광 패널이 전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제 1 태양광 패널의 전개 모습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컨테이너 구조물(10)에 힌지 결합된 제 1 태양광 패널(11)이 사용되지 않을때에는 상기 제 1 태양광 패널의 일면이 컨테이너 구조물(10) 외부 측면과 밀착되어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가, 필요에 따라 전개시, 도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태양광(11) 패널의 일면이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 외부 측면과 이격되면서 전개된다.
이어서, 접혀져 있던 상기 제 1 태양광 패널(11)이 완전하게 펼쳐지게 되면 이를 지지하기 위해 제 1 패널 지지대(12)가 지면을 향해 펼쳐지게 되며, 평탄하지 않은 지면에서 지지가능하도록 상기 제 1 태양광 패널의 하부에 상기 제 1 패널지지대(12)를 설치 시, 설치 각도 조절 뿐만 아니라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제 2 태양광 패널이 전개되는 모습을 순서대로 나타낸 사시도인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제 2 태양광 패널의 전개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4a와 같이,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10) 내에 설치된 한 쌍의 상기 제 1 하우징(20)은 서로 상반되는 이동 방향을 가지도록 하며 도 4b 와 같이 상기 제 1 하우징(20)과 힌지 결속된 제 2 태양광 패널(21)이 펼쳐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하우징(20)을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어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완전히 노출된 제 1 하우징(20)에 힌지 결속된 상기 제 2 태양광 패널(21)이 접철된 상태에서 전개되는데, 그 전개 방향은 상기 제 1 하우징(20)의 삽출되어 이동하는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전개 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태양광 패널(21)이 전개된 이후, 이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제 2 패널 지지대(22)가 상기 제 1 패널 지지대(11)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 2 태양광 패널(21) 하부에 결속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제 3 태양광 패널의 전개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하우징(20) 내부에 위치한 제 2 하우징(30)이 외부로 삽출되며, 그 방향은 상기 제 1 하우징(20)의 삽출방향과 동일선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하우징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이후, 도 5c와 같이 제 3 태양광 패널(31)이 전개되며, 그 전개 방향은 상기 제 2 태양광 패널(21)의 전개방향과 동일하며, 이후, 도 5d와 같이 완전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 3 태양광 패널(31)이 전개된 이후, 이를 지면에 고정 시키기 위해 제 3 패널 지지대(32)가 상기 제 1 패널 지지대(11)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제 3 태양광 패널(31) 하부에 결속된다.
마지막으로,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의 제 1 내지 제 3 태양광 패널이 모두 전개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인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태양광 패널(11), 제 2 태양광 패널(21), 제 3 태양광 패널(31)은 그 전개 방향이 모두 상기 제 1 하우징(20) 및 제 2 하우징(30)이 삽출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고 있으며, 제 1 태양광 패널(11) 내지 제 3 태양광 패널은, 컨테이너 구조물(10)의 크기에 따라 면적을 달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단으로 접철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또한, 컨테이너 구조물(10) 내부 공간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고정하는 하우징을 필요로 하는 만큼 별도로 구비하여 확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폴딩형 태양광 발전시설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 컨테이너 구조물
11 : 제 1 태양광 패널
12 : 제 1 패널지지대
13 : 제 1 가이드레일
20 : 제 1 하우징
21 : 제 2 태양광 패널
22 : 제 2 패널지지대
23 : 제 2 가이드레일
30 : 제 2 하우징
31 : 제 3 태양광 패널
32 : 제 3 패널지지대

Claims (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개방부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폭 방향이 길이 방향보다 좁은 형상의 컨테이너 구조물;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의 외측 상단에 힌지 결속되되, 지그재그 형태를 가지면서 폭 방향으로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 1 태양광 패널;
    상기 제 1 태양광 패널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작동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 1 패널 지지대;
    상기 컨테이너 구조물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되, 길이 방향으로 한 쌍이 구비되는 제 1 가이드 레일;
    상기 제 1 가이드 레일과 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되되, 이동 방향이 상기 제 1 태양광 패널의 전개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하우징;
    상기 제 1 하우징 외측면에 힌지 결속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 2 태양광 패널; 및
    상기 제 2 태양광 패널 하부에 힌지결합되어 작동각도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제 2 패널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에 제 2 가이드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제 2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되는 제 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외측면에 힌지 결속되되, 지그재그 형태로 접철되는 구조를 가지는 제 3 태양광 패널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태양광 패널, 제2태양광 패널, 제3태양광 패널은 그 전개방향이 모두 상기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이 삽출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은,
    상호 상반되는 인출방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KR1020170085841A 2017-07-06 2017-07-06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KR101993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41A KR101993841B1 (ko) 2017-07-06 2017-07-06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5841A KR101993841B1 (ko) 2017-07-06 2017-07-06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40A KR20190005340A (ko) 2019-01-16
KR101993841B1 true KR101993841B1 (ko) 2019-06-27

Family

ID=65281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5841A KR101993841B1 (ko) 2017-07-06 2017-07-06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3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2675B (zh) * 2019-03-19 2021-05-14 浙江美尚光伏有限公司 可折叠光伏发电机构
KR102336657B1 (ko) * 2019-03-26 2021-12-07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대면적 패널모듈 및 그 전개방법
KR102429124B1 (ko) * 2020-05-12 2022-08-04 (주)케이엠티시 태양광패널이 구비된 측벽 개폐형 컨테이너
KR102437863B1 (ko) * 2020-09-16 2022-08-30 주식회사 지오디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2524189B1 (ko) * 2020-12-08 2023-04-20 한운기 컨테이너형 이동식 양방향 태양광 전원 공급장치
CN113517851A (zh) * 2021-04-27 2021-10-19 安徽旭能电力股份有限公司 一种小型双翼展开式户外太阳能光伏板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3061A (ja) * 2012-05-02 2013-11-14 Formula Club Co Ltd 電力供給設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6607Y1 (ko) * 2009-08-18 2011-11-08 최동호 캠핑카본체를 덮는 태양전지판 전개장치
KR101245750B1 (ko) * 2011-06-23 2013-03-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장치를 구비한 선박
KR20160020769A (ko) * 2014-08-14 2016-02-24 나상철 확장가능한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33061A (ja) * 2012-05-02 2013-11-14 Formula Club Co Ltd 電力供給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340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3841B1 (ko) 폴딩형 태양광 발전 시설
US7105940B2 (en) Mobile renewable energy generator
KR102098150B1 (ko) 컨테이너구조의 이동형 태양광 발전장치
KR102050595B1 (ko)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EP4162158A1 (en) Mobile autonomous solar- wind electrical station
KR102237996B1 (ko) 에너지 저장 장치용 컨테이너
CN210041722U (zh) 一种防风型光伏板组件
KR101205114B1 (ko)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소음감소기
KR102278051B1 (ko) 휴대형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067871B1 (ko) 기와지붕조립체
KR100765965B1 (ko) 창호
KR101214447B1 (ko) 태양광 발전 시설물
KR101907638B1 (ko) 건축 외장용 태양광발전 장치
KR102232727B1 (ko) 와이어 거치식 태양광 패널
KR20160015796A (ko) 휴대용 태양광 발전 장치
EP2386807A1 (en) Support device for a solar power generator assembly, solar power generator assembly comprising said devic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for.
KR20210061887A (ko)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20140126804A (ko) 태양광 패널 고정장치
KR102122818B1 (ko) 이동 가능한 폴더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0459677Y1 (ko) 태양광 발전식 방음벽
AU2014213489A1 (en) Modular building
KR102437863B1 (ko) 접이식 패널 구조를 갖는 이동식 독립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KR101973397B1 (ko) 태양광 발전 모듈 수납 케이스
JP5898745B1 (ja) 給湯機能付太陽光発電外壁パネル
CN104426468A (zh) 一种太阳能板展开支架结构及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