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454B1 - 토잉 후크 캡 - Google Patents

토잉 후크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454B1
KR102436454B1 KR1020210027382A KR20210027382A KR102436454B1 KR 102436454 B1 KR102436454 B1 KR 102436454B1 KR 1020210027382 A KR1020210027382 A KR 1020210027382A KR 20210027382 A KR20210027382 A KR 20210027382A KR 102436454 B1 KR102436454 B1 KR 102436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erging
converging
center line
rear end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대일
Original Assignee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플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58Auxiliary devices
    • B60D1/60Covers, caps or guards, e.g. comprising anti-thef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resilient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removably 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56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securing to the vehicle bu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잉 후크 캡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토잉 후크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와, 커버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고 토잉 후크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홀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걸림부재는,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후단이 전단보다 외측에 배치된 발산부, 발산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중심선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후단이 전단보다 내측에 배치된 수렴부, 수렴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중심선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여, 사출공정 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을 방지하고, 구조상 걸림부재에 탄성을 부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토잉 후크 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토잉 후크 캡 {TOWING HOOK CAP}
본 발명은 토잉 후크 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견인 시 사용되는 토잉 후크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는 토잉 후크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중인 차량이 주행을 하지 못할 정도의 고장이 발생하면 견인조치를 취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차체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견인 시 사용되는 토잉 후크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토잉 후크는 차량의 구난 또는 견인 시 케이블을 차체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서, 차체에 고리 형상의 후크가 직접 용접 고정되는 것이 보편적이며, 범퍼커버의 전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을 통하여 토잉 후크가 범퍼 커버의 내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토잉 후크를 사용할 경우에만 관통구멍을 개방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범퍼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통구멍을 폐쇄하는 토잉 후크 캡이 구비된다.
선행문헌으로 한국 등록특허 제10-1264484호를 제시한다. 선행문헌은 앵커부를 구비하여, 탈착된 토잉 후크 캡은 범퍼에 걸려있어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선행문헌과 같은 토잉 후크 캡을 제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출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한다. 이때, 재료는 캡 몸체에서 주입되며, 주입된 재료는 앵커부로 유동하며 마지막으로 앵커부의 단부에 다다른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따르면, 사출과정에서 주입된 재료는 실질적으로 유동하면서 점점 냉각되게 된다. 앵커부는 크기가 작은 반면에 주입된 재료가 냉각된 상태로 도달하는 바 여러가지 불량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냉각된 재료는 금형의 내면에 밀착되지 않는 바, 금형의 형상과 상이한 형상을 갖는 불량품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웰드라인이 발생됨으로써 강도가 저하되는 등 기계적인 성질에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선행문헌에 따른 앵커부는 화살표 형상으로 형성된 바, 범퍼의 홈에 용이하게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고, 후단이 범퍼의 홈에 걸려 탈착이 매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선행문헌에 따른 토잉 후크 캡은 탈착이 매우 어려우며, 한번 탈착한 경우 재사용이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토잉 후크 캡을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범퍼 안쪽에서 화살촉 부분의 단부를 손가락으로 눌러 내측으로 변형시켜 탈착해야 하는데, 화살촉 부분을 변형시키기 위하여는 상당히 큰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불편을 느낀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앵커부가 변형에 의하여 파손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앵커부가 소성 변형되어 범퍼의 홈의 폭 보다 작아지게 됨으로써, 재사용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64484호 (2013.05.08)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토잉 후크 캡이 가지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사출제작 과정에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토잉 후크 캡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걸림부재가 탄성영역에서 어느 정도 변형될 수 있게 하여, 토잉 후크 캡을 탈착한 후 재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잉 후크 캡은 차량의 토잉 후크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커버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고 토잉 후크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홀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걸림부재는,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후단이 전단보다 외측에 배치된 발산부, 발산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중심선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되 중심선을 기준으로 후단이 전단보다 내측에 배치된 수렴부, 수렴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중심선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한다.
토잉 후크 캡은 걸림부재를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을 더 포함하고, 발산부는 중공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 발산부와 중공의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발산부를 포함하고, 수렴부는 상부 발산부의 후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 수렴부와 하부 발산부의 후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하부 수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발산부는 상부로 연장되는 하부 발산부와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발산부를 포함하고, 걸림부재는 상부 발산부와 하부 발산부의 연결점에서 전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재는 발산부와 수렴부의 연결점에서 중심선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함몰하여 형성된 측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는 수렴부와 돌출부의 연결점에서 후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 후방 홈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재는 발산부와 수렴부의 연결점에서 전방으로 더욱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산부를 중심선에 투영시킨 길이는 수렴부를 중심선에 투영시킨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걸림부재의 수렴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바, 사출과정에서 웰드라인이 발생함에 따른 불량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전방 홈 또는 측방 홈 또는 후방 홈을 포함하여, 구조상 걸림부재에 어느 정도 탄성을 부여하여 토잉 후크 캡을 탈착 후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차량의 전면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이 장착된 부분을 내측에서 바라본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을 후방에서 바라본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의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재의 확대도,
도 7은 도 5의 걸림부재가 변형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토잉 후크 캡(3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30)이 설치될 수 있는 차량의 정면 일부를 도시한 도이다.
차량은 라디에이터 그릴(10)을 포함한다. 라디에이터 그릴(10)은 엔진의 열을 식히기 위해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에 설치된다.
차량은 범퍼(20)를 포함한다. 범퍼(20)는 차량이 외부와 충돌할 때 충격을 완화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범퍼(20)는 라디에이터 그릴(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30)은 범퍼(2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토잉 후크 캡(30)은 범퍼(2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미도시)는 범퍼(20) 내측에 배치된다. 범퍼(20)는 토잉 후크가 배치되는 위치에 커버부재 삽입홀(21)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재 삽입홀(21)에 토잉 후크가 배치될 수 있다. 토잉 후크 캡(30)은 커버부재 삽입홀(21)에 배치되며, 토잉 후크를 차폐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30)이 장착된 부분을 내측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범퍼(20)에는 걸림부재 삽입홀(22)이 형성된다. 걸림부재 삽입홀(22)은 토잉 후크 캡(30)의 걸림부재(330)가 삽입되어 걸리는 구성요소이다. 범퍼(20)가 이중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때, 커버부재 삽입홀(21)은 외측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걸림부재 삽입홀(22)은 내측 플레이트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30)의 사시도이다.
토잉 후크 캡(30)은 커버부재(310), 연장부재(320), 및 걸림부재(330)로 구분될 수 있다.
커버부재(310), 연장부재(320), 및 걸림부재(330)는 일체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커버부재(310), 연장부재(320), 및 걸림부재(330)는 사출형성에 의하여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사출구는 커버부재(310)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금형에 주입된 재료는 커버부재(310)와 연장부재(320)를 거쳐 걸림부재(330)로 유동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토잉 후크 캡(30)은 커버부재(310)를 포함한다. 커버부재(310)는 차량의 토잉 후크부를 커버하는 구성요소이다.
커버부재(310)의 전면은 범퍼(20)와 함께 차량의 외형을 형성한다.
커버부재(310)는 차폐부(311), 걸림부(312), 후크(313)로 구분될 수 있다. 차폐부(311), 걸림부(312) 및 후크(313)는 사출형성으로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재(310)는 차폐부(311)를 포함한다. 차폐부(311)는 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부(311)는 평면 및 곡면을 가질 수 있으며, 토잉 후크 캡(30)이 장착된 때 차폐부(311)의 전면은 범퍼(20)의 외측면과 단차를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재(310)는 걸림부(312)를 포함한다. 걸림부(312)는 차폐부(311)의 일 측을 범퍼(20)에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걸림부(312)는 커버부재(310)의 상부에 배치되고, 차량에 걸려 지지된다.
걸림부(312)는 차폐부(311)의 후면 상부에 배치된다.
걸림부(312)는 수평부(3121)와 수직부(3122)로 구분될 수 있다. 수평부(3121)는 차폐부(311)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수직부(3122)는 수평부(3121)의 일 측에서 상부로 돌출되고, 전면이 범퍼(20)에 형성된 커버부재 삽입홀(21)의 상단에 걸려 지지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재(310)는 후크(313)를 포함한다. 후크(313)는 차폐부(311)의 타 측을 범퍼(20)에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후크(313)는 커버부재(310)의 하부에 배치되고, 차량에 걸려 지지된다.
후크(313)는 차폐부(311)의 후면 하부에 배치된다.
후크(313)는 범퍼(20)에 형성된 커버부재 삽입홀(21)의 하단에 걸려 지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토잉 후크 캡(30)은 걸림부(312)과 후크(313)에 의하여 범퍼(20)에 고정된다. 토잉 후크 캡(30)이 범퍼(20)에 걸리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커버부재(310)의 상부에 배치된 걸림부(312)을 커버부재 삽입홀(21)의 상부에 건다. 그 후, 걸림부(312)을 중심으로 커버부재(310)를 회전시켜 후크(313)를 커버부재 삽입홀(21)의 하부에 건다. 마지막으로 커버부재(310)의 하단에 힘을 가하면 후크(313)가 커버부재 삽입홀(21)에 걸려 고정된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재(310)는 손잡이(314)를 포함한다. 손잡이(314)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토잉 후크 캡(30)을 탈착할 때 사용되는 구성요소이다.
손잡이(314)는 차폐부(31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손잡이(314)는 차폐부(311)의 하단에서 전방으로 굴곡진 판이다. 이러한 배치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314)의 후면과 범퍼(20) 사이의 틈에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 있다.
사용자가 손잡이(314)의 후면으로 손가락을 집어넣어 당길 경우, 후크(313)의 체결은 해제된다. 그 후 사용자는 걸림부(312)를 중심으로 커버부재(310)를 회전시켜 토잉 후크 캡(30)을 탈착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토잉 후크 캡(30)은 연장부재(320)를 포함한다. 연장부재(320)는 토잉 커버와 걸림부재(33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연장부재(320)의 일 단은 커버부재(310)와 결합되고, 타 단은 걸림부재(330)와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연장부재(320)의 전단은 커버부재(310)의 후면에 결합된다. 연장부재(320)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연장부재(320)의 후단은 걸림부재(330)의 전단에 결합된다.
연장부재(320)의 전단은 중단보다 단면적이 클 수 있다. 연장부재(320)의 전단과 커버부재(310)의 연결점에 하중이 집중되는 바, 연장부재(320)의 전단을 두껍게 형성하여 토잉 후크 캡(30)의 파손을 방지한다.
연장부재(320)의 후단은 중단보다 단면적이 클 수 있다. 연장부재(320)의 후단과 걸림부재(330)의 연결점에 하중이 집중되는 바, 연장부재(320)의 후단을 두껍게 형성하여 토잉 후크 캡(30)의 파손을 방지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토잉 후크 캡(30)은 걸림부재(330)를 포함한다. 걸림부재(330)는 범퍼(20)의 일 측에 걸림으로써, 토잉 후크 캡(30)을 차량으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계속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걸림부재(330)는 커버부재(310)의 일 측에 배치되고, 토잉 후크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홀에 걸린다.
걸림부재(330)는 걸림부재 삽입홀(22)에 삽입된다. 보다 상세하게, 걸림부재(330)는 범퍼(20)의 전방에 배치되고, 걸림부재(330)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걸림부재 삽입홀(22)에 삽입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중심선(A0)을 정의한다. 중심선(A0)은 연장부재(3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가상의 직선이다. 중심선(A0)은 전후방으로 연장된다. 중심선(A0)은 걸림부재(330)의 중심을 통과하며, 상부 발산부(3311)는 중심선(A0)을 기준으로 하부 발산부(3312)와 대칭되고, 상부 수렴부(3321)는 중심선(A0)을 기준으로 하부 수렴부(3322)와 대칭된다.
걸림부재(330)는 발산부(331)와 수렴부(332), 돌출부(333)로 구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발산부(331)는 걸림부재(330)의 단면적을 증가시켜 홈에 안정적으로 걸리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발산부(311)는 가상의 중심선(A0)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되, 중심선(A0)을 기준으로 후단이 전단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산부(311)는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발산부(3311)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발산부(3312)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발산부(3311)는 상부 후방으로 연장되고, 하부 발산부(3312)는 하부 후방으로 연장된다.
상부 발산부(3311)는 후방 상향의 경사면을 가지고, 하부 발산부(3312)는 후방 하향의 경사면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렴부(332)는 걸림부재(330)의 단면적을 감소시켜, 홈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수렴부(332)는 발산부(311)의 후단에 배치되고, 중심선(A0)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되, 중심선(A0)을 기준으로 후단이 전단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수렴부(332)는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수렴부(3321)와,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수렴부(3322)로 구분될 수 있다. 상부 수렴부(3321)는 하부 후방으로 연장되고, 하부 수렴부(3322)는 상부 후방으로 연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돌출부(333)는 걸림부재(330)의 유효 단면적을 감소시켜 걸림부재 삽입홈(22)에 용이하게 삽입되기 위한 구성요소임과 동시에, 토잉 후크 캡(30) 제작시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돌출부(333)는 수렴부(332)의 후단에 배치되고, 중심선(A0)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다.
돌출부(333)는 중심선(A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돌출부(333)는 중심선(A0)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다.
돌출부(333)는 중심선(A0)을 따라 후방으로 배치되는 바, 걸림부재 삽입홀(22)에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돌출부(333)는 걸림부재(330)의 제작상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율을 크게 낮춘다.
일반적으로, 토잉 후크 캡(30)은 범퍼(20)의 재질과 마찬가지로 수지 재질로 구성되며, 대부분 사출형성에 의하여 제작된다.
토잉 후크 캡(30)을 사출성형할 경우, 금형에 재료를 주입하여 제작한다. 이때, 사출구는 커버부재(310) 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재료는 커버부재(310)로 유입되고, 연장부재(320)를 통과하여 걸림부재(330)에 다다른다.
이때, 금형에 유입된 재료는 금형 내부를 유동하며 점점 냉각되고, 걸림부재(330)의 후단에서는 적정 온도 이하로 떨어짐에 따라 웰드라인이 발생될 확률이 높다. 따라서, 재료의 유동성이 감소함에 따라 금형과 재료 사이에 박리가 발생할 수도 있고, 기포가 발생함에 따라 금형과 재료 사이에 밀착되지 못하여 금형의 형상에 따른 형태가 만들어지지 못할 수 있다. 그 결과, 걸림부재(330)는 강도가 떨어지는 등 기계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토잉 후크 캡(30)이 파손될 수도 있다.
상술한 웰드라인의 발생을 저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걸림부재(330)는 돌출부(333)를 구비한다. 수렴부(332)의 후단에 돌출부(333)가 배치됨으로써, 금형 내부에서 발산부(311)나 수렴부(332)는 더 이상 금형의 단부에 위치하지 않는다. 따라서, 돌출부(333)의 단부에서 웰드라인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별론으로, 토잉 후크 캡(30)의 자중이 인가되는 발산부(311)나 수렴부(332)에는 웰드라인이 발생하지 않아, 걸림부재(330)의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재료의 온도가 적정온도 이하로 떨어짐에 따라 재료의 유동성이 떨어지게 되고, 점성으로 인하여 금형의 복잡한 형상을 구현하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금형의 단부에서는 상기 문제가 더욱 증가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사출구에 대향하는 곳에 돌출부(333)가 위치하는 바, 후방 홈(338) 등 상부 수렴부(3321)와 하부 수렴부(3322)의 연결점에서 금형에 따라 정확한 형상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걸림부재(330)는 중공(335)을 포함한다.
중공(355)은 걸림부재(330)를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중공(355)은 중심선(A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발산부(3311)는 중공(355)의 상부로 연장된다. 하부 발산부(3312)는 중공(355)의 하부로 연장된다.
상부 발산부(3311)와 하부 발산부(3312)는 V-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수렴부(3321)는 상부 발산부(3311)의 후단에서 하부로 연장된다. 하부 수렴부(3322)는 하부 발산부(3312)의 후단에서 상부로 연장된다.
상부 수렴부(3321)와 하부 수렴부(3322)는 V-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발산부(311)와 수렴부(332)는 중공(355)의 외둘레에 배치된다. 발산부(311)와 수렴부(332)의 연결점이 중심축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중공(355)의 형상은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름모 형상의 중공(355)은 상하 방향 대각선의 길이(L5)가 짧아지며 변형될 수 있다. 사용자는 발산부(311)와 수렴부(332)의 연결점을 가압하여, 중공(355)의 형상이 변형되도록 걸림부재(330)를 변형시킬 수 있고, 토잉 후크 캡(30)을 장탈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걸림부재(330)에 중공(355)을 형성하여 걸림부재(330)가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적은 힘을 가하여 용이하게 토잉 후크 캡(30)을 장탈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부재(330)는 전방 홈(336)을 포함한다. 전방 홈(336)은 걸림부재(330)가 장탈착할 때 탄성 영역에서 변형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전방 홈(336)은 상부 발산부(3311)와 하부 발산부(3312)의 연결점에서 전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전방 홈(336)은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걸림부재(330)가 변형될 때, 전방 홈(336)은 상하로 오므려지면서 변형될 수 있다.
전방 홈(336)의 전단은 상부 발산부(3311)의 내측면의 연장선과 하부 발산부(3312)의 내측면의 연장선의 교점에 배치된다.
상부 발산부(3311)와 하부 발산부(3312)의 연결점에서 전방 홈(336)이 형성되고, 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상부 발산부(3311)와 하부 발산부(3312)를 오므릴 수 있다. 또한, 구조상으로 상부 발산부(3311)와 하부 발산부(3312)는 변형 후 복원될 수 있는 탄성 영역이 증가하게 되므로, 발산부(311)가 종래기술보다 많이 변형되더라도 용이하게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토잉 후크 캡(30)을 탈착하기 위하여 발산부(311)를 많이 변형하더라도, 용이하게 원 위치로 복원하는 바,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발산부를 중심선에 투영시킨 길이(L1)는 수렴부를 중심선에 투영시킨 길이(L2)보다 짧다.
발산부를 중심선에 투영시킨 길이(L1)를 발산부의 수평길이라고 정할 수 있고, 수렴부를 중심선에 투영시킨 길이(L2)는 수렴부의 수평길이라고 정할 수 있다. 발산부의 수평길이(L1)와 전방 홈 길이(L4)를 합한 것은 수렴부의 수평길이(L2)와 같다. 발산부의 수평길이(L1)라 함은, 발산부(311)의 전단과 후단을 중심선(A0) 상에 투영하여 측정한 길이이다. 수렴부의 수평길이(L2)라 함은, 수렴부(332)의 전단과 후단을 중심선(A0) 상에 투영하여 측정한 길이이다. 전방 홈 길이(L4)는 발산부(311)의 전단과 전방 홈(336)의 전단을 중심선(A0) 상에 투영하여 측정한 길이이다.
수렴부의 수평길이(L2)는 발산부의 수평길이(L1)보다 긴 바, 걸림부재(330)가 걸림부재 삽입홀(22)에 삽입될 때 걸림부재(330)가 중심축을 향하여 쉽게 변형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발산부의 수평길이(L1)는 수렴부의 수평길이(L2)보다 짧은 바, 걸림부재(330)가 걸림부재 삽입홀(22)을 통과하면 걸림부재(330)의 형상이 원 위치로 신속하게 변형되면서 올바로 체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부재(330)는 측방 홈(337)을 포함한다. 측방 홈(337)은 걸림부재(330)가 장탈착할 때 탄성 영역에서 변형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측방 홈(337)은 발산부(311)와 수렴부(332)의 연결점에서 중심선(A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측방 홈(337)은 상부 발산부(3311)의 후단과 상부 수렴부(3321)의 전단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 발산부(3312)의 후단과 하부 수렴부(3322)의 전단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부에 형성된 측방 홈(337)은 상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고, 하부에 형성된 측방 홈(337)은 하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걸림부재가 변형될 때, 측방홈은 좌우로 벌려지면서 변형될 수 있다.
측방 홈(337)은 발산부(311)의 내측면의 연장선과 수렴부(332)의 내측면의 연장선의 교점에 배치된다.
발산부(311)와 수렴부(332)의 연결점에서 측방 홈(337)이 형성되고, 상부 또는 하부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걸림부재(330)를 상하 방향으로 오므릴 수 있다. 또한, 구조상으로 상부 발산부(3311)와 하부 발산부(3312)는 변형 후 복원될 수 있는 탄성 영역이 증가하게 되므로, 걸림부재(330)가 종래기술보다 많이 변형되더라도, 용이하게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토잉 후크 캡(30)을 탈착하기 위하여 발산부(311)와 수렴부(332) 사이의 연결점을 많이 이동시키더라도, 용이하게 원 위치로 복원하는 바, 재사용이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부재(330)는 후방 홈(338)을 포함한다. 후방 홈(338)은 걸림부재(330)가 장탈착할 때 탄성 영역에서 변형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후방 홈(338)은 상부 수렴부(3321)와 하부 수렴부(3322)의 연결점에서 후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다.
후방 홈(338)은 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한다. 걸림부재(330)가 변형될 때, 후방 홈(338)은 상하로 오므려지면서 변형될 수 있다.
후방 홈(338)의 후단은 상부 수렴부(3321)의 내측면의 연장선과 하부 수렴부(3322)의 내측면의 연장선의 교점에 배치된다.
상부 수렴부(3321)와 하부 수렴부(3322)의 연결점에서 후방 홈(338)이 형성되고, 후방으로 볼록한 곡면을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적은 힘으로 수렴부(332)를 걸림부재 삽입홀(22)에 삽입할 수 있다. 또한, 구조상으로 상부 수렴부(3321)와 하부 수렴부(3322)는 변형 후 복원될 수 있는 탄성 영역이 증가하게 되므로, 수렴부(332)가 종래기술보다 많이 변형되더라도 용이하게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따라서, 토잉 후크 캡(30)을 장착하기 위하여 수렴부(332)가 많이 변형되더라도, 용이하게 원 위치로 복원하는 바, 재사용이 가능하다.
전방 홈(336)의 크기는 후방 홈(338)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334)은 측방 홈(337)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바, 토잉 후크 캡(30)을 장착할 때 보다 탈착할 때 걸림부재(330)의 변형량이 더 크다. 따라서, 전방 홈(336)의 크기를 후방 홈(338)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탄성영역을 더욱 증가시켜, 걸림부재(330)를 보다 손쉽게 걸림부재 삽입홀(22)으로부터 탈착할 수 있고, 탈착하는 과정에서 걸림부재(330)보다 크게 변형되더라도 원 위치로 복원되는 바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부재(330)는 걸림턱(334)을 포함한다. 걸림턱(334)은 범퍼(20)의 홈에 삽입된 걸림부재(330)가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이다.
걸림턱(334)은 발산부(311)와 수렴부(332)의 연결점에서 전방으로 더욱 돌출된다.
걸림턱(334)은 수렴부(332)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3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30)은 돌출부(333)를 포함하는 바, 사출제작 과정에서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사출성형 과정에서 재료는 커버부재(310)에서 주입되고, 연장부재(320)를 유동하여, 걸림부재(330)까지 도달한다. 재료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냉각될 수 있으나, 금형의 후단에는 돌출부(333)가 배치되는 바, 수렴부(332)는 금형의 단부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웰드라인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외력이 집중되고 변형량이 많은 발산부(311)나 수렴부(332)는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고, 외력이나 변형에 의하여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수렴부(332)에는 후방 홈(338)이 형성되는 바, 종래기술보다 복잡한 형상의 금형이 채택된다. 이 경우에 재료가 유동하는 과정에서 적정온도 이하로 냉각됨에 따라 재료의 유동성이 저하되고, 복잡한 금형의 내부형상에 재료가 구석구석 주입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에도, 수렴부(332)의 후단에 돌출부(333)가 배치되는 바, 수렴부(332)는 금형의 단부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후방 홈(338)을 포함한 수렴부(332)의 후단에서 정확하게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잉 후크 캡(30)은 전방 홈(336)과 측방 홈(337)과 후방 홈(338)을 포함하는 바, 걸림부재(330)가 장탈착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변형된 경우에도 소성변형 없이 원 형상으로 복원되는 바, 재사용이 가능하다. 전방 홈(336)과 측방 홈(337)과 후방 홈(338)이 형성됨에 따라, 걸림부재(330)가 변형되는 경우에도, 응력이 분산되는 바 구조적으로 원 상태로 복원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들 보다 허용되는 신장비가 증가하여, 토잉 후크 캡(30)을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라디에이터 그릴 20: 범퍼
21: 커버부재 삽입홀 22: 걸림부재 삽입홀
30: 토잉 후크 캡
310: 커버부재 311: 차폐부
312: 걸림부 313: 후크
314: 손잡이 320: 연장부재
330: 걸림부재 331: 발산부
332: 수렴부 333: 돌출부
334: 걸림턱 335: 중공
336: 전방 홈 337: 측방 홈
338: 후방 홈
A0: 중심선
L1: 발산부 길이 L2: 수렴부 길이
L3: 돌출부 길이 L4: 전방 홈 길이
L5: 발산부와 수렴부의 연결점 사이의 길이

Claims (7)

  1. 차량의 토잉 후크부를 커버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토잉 후크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홀에 걸리는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가상의 중심선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후단이 전단보다 외측에 배치된 발산부;
    상기 발산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선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후단이 전단보다 내측에 배치된 수렴부;
    상기 수렴부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중심선을 따라 후방으로 연장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산부는,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 발산부와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발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상부 발산부와 상기 하부 발산부의 연결점에서 전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 전방 홈;
    상기 수렴부와 상기 돌출부의 연결점에서 후방으로 함몰하여 형성된 후방 홈;
    상기 발산부와 상기 수렴부의 연결점에서 상기 중심선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함몰하여 형성된 측방 홈;을 포함하는 토잉 후크 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를 좌우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중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산부는,
    상기 중공의 상부로 연장되는 상부 발산부와 상기 중공의 하부로 연장되는 하부 발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렴부는,
    상기 상부 발산부의 후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상부 수렴부와 상기 하부 발산부의 후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하부 수렴부를 포함하는 토잉 후크 캡.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발산부와 상기 수렴부의 연결점에서 전방으로 더욱 돌출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토잉 후크 캡.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산부를 상기 중심선에 투영시킨 길이는,
    상기 수렴부를 상기 중심선에 투영시킨 길이보다 짧은 토잉 후크 캡.
KR1020210027382A 2021-03-02 2021-03-02 토잉 후크 캡 KR102436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382A KR102436454B1 (ko) 2021-03-02 2021-03-02 토잉 후크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382A KR102436454B1 (ko) 2021-03-02 2021-03-02 토잉 후크 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454B1 true KR102436454B1 (ko) 2022-08-30

Family

ID=8311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382A KR102436454B1 (ko) 2021-03-02 2021-03-02 토잉 후크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4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484B1 (ko) 2010-10-08 2013-05-14 (주)엘지하우시스 토잉 후크 캡
KR20170109534A (ko) * 2014-11-26 2017-09-29 꽁빠니에 쁠라스띠끄 옴니옴 토잉 후크 오리피스 커버링 플레이트 및 스킨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1857584B1 (ko) * 2016-10-28 2018-05-14 주식회사 캠스 범퍼 조립용 플라스틱 클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484B1 (ko) 2010-10-08 2013-05-14 (주)엘지하우시스 토잉 후크 캡
KR20170109534A (ko) * 2014-11-26 2017-09-29 꽁빠니에 쁠라스띠끄 옴니옴 토잉 후크 오리피스 커버링 플레이트 및 스킨을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1857584B1 (ko) * 2016-10-28 2018-05-14 주식회사 캠스 범퍼 조립용 플라스틱 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1824B2 (ja) 伸縮自在ピン射出成形用のリングゲート
KR102436454B1 (ko) 토잉 후크 캡
US6755459B2 (en) Pedestrian protection assembly
US20070087877A1 (en) Motorcycle chain guide
US4838555A (en) Head of wood type golf club
US11135984B2 (en) Vehicle body rear structure
JP6338450B2 (ja) シートパッド用配風ダクト、配風ダクト入りシート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10918143B2 (en) Protective foam mask
WO2020115886A1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止め具の製造方法及び金型装置
US20220176685A1 (en) Apparatus for reducing fabric dimpling in electronic devices and associated methods
US10449925B2 (en) Deflector for reduced head injury criterion
JP7368219B2 (ja) 樹脂成形品
KR102520322B1 (ko) 골프 클럽 헤드
KR102253159B1 (ko) 차량의 서스펜션 로어암
US2785406A (en) Tubular face guard
KR100387610B1 (ko) 연료 휠러 넥 어셈블리 구조
KR102459332B1 (ko) 차량용 범퍼
JP2818980B2 (ja) 射出成形機
JP3776158B2 (ja) 安全靴用先芯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7056761A (ja) ホイルハウス後部構造
JP3057886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用の筬及びその筬の製造方法
KR102380148B1 (ko) 차량용 범퍼 체결부재
JP3575189B2 (ja) 車両のグリル構造
KR101605817B1 (ko) 벨트 텅 및 그 제조 방법
JP2011102594A (ja) 車両吸気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