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0322B1 -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0322B1
KR102520322B1 KR1020200151509A KR20200151509A KR102520322B1 KR 102520322 B1 KR102520322 B1 KR 102520322B1 KR 1020200151509 A KR1020200151509 A KR 1020200151509A KR 20200151509 A KR20200151509 A KR 20200151509A KR 102520322 B1 KR102520322 B1 KR 102520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club
club head
crown
face
uni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545A (ko
Inventor
키와무 히라이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04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7Heads with special crown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5Strengthening ri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having holding means provided inside, on the edge or on the rear face of the strik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42Devices for measuring, verifying, correcting or customis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e.g. measuring the maximum torque a batting shaft can withst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크라운부의 페이스부 근방에 있어서의 변형을 적절히 억제하여, 페이스부를 충분히 휘게 할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수단]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1)는, 페이스부(2) 및이 페이스부(2)의 상측 가장자리(2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크라운부(3)를 갖는 중공의 헤드 본체(10)를 구비하고, 크라운부(3)가 페이스부(2)의 상측 가장자리(2a)를 따르는 띠 형상의 제 1 고강성부(8)를 가지고 있고, 제 1 고강성부(8)가 페이스부(2)의 상측 가장자리(2a)를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11)를 갖고, 제 1 단위 구조(11)가 오목부 또는 돌기이며, 제 1 고강성부(8)가 크라운부(3)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한 전단으로부터 1/5의 범위 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골프 클럽 헤드{GOLF CLUB HEAD}
본 발명은 골프 클럽 헤드에 관한 것이다.
중공의 헤드 본체를 갖는 우드형 골프 클럽 헤드에는 타구의 비거리를 증대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타구의 비거리를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타구의 초속도를 크게 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생각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으로부터, 헤드의 내면의 샤프트 접속부의 후방에 토우힐 방향을 따르는 판 형상의 보강 리브를 설치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2000-176056호 공보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0-176056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우드 클럽은 상기 보강 리브를 가짐으로써, 볼의 타격시에 헤드의 보강 리브보다 후방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임팩트의 에너지를 페이스부의 변형에 소비할 수 있다고 여겨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우드 클럽은 페이스부를 효과적으로 휘게 할 수 있고, 페이스부의 변형에 의해 타구의 초속도를 높여, 타구의 비거리를 증대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보강 리브는 헤드의 내면의 샤프트 접속부와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요한다. 그 때문에, 이 보강 리브는 헤드의 페이스부 근방에 배치하기 어렵다. 그 결과, 이 보강 리브에 의해서는 헤드의 페이스부 근방의 변형을 충분히 억제하기 어렵다. 또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우드 클럽은, 헤드의 외각부(外殼部)를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를 보강 리브와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그 때문에, 이 우드 클럽은 제조 공정이 번잡해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에 근거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본 발명의 목적은 크라운부의 페이스부 근방에 있어서의 변형을 적절히 억제하여, 페이스부를 충분히 휘게 할 수 있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는, 페이스부 및 이 페이스부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크라운부를 갖는 중공의 헤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크라운부가 상기 페이스부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띠 형상의 제 1 고강성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고강성부가 상기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단위 구조가 오목부 또는 돌기이며, 상기 제 1 고강성부가 상기 크라운부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한 전단으로부터 1/5의 범위 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단위 구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을 갖고 있으면 좋다.
상기 제 1 단위 구조의 전후 방향 길이로서는 15㎜ 이하가 바람직하다.
모든 상기 제 1 단위 구조가 오목부이면 좋다.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헤드 본체의 길이에 대한 상기 제 1 고강성부의 길이의 비로서는 0.4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헤드 본체가 상기 페이스부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부(sole part)를 갖고, 상기 솔부가 상기 페이스부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띠 형상의 제 2 고강성부를 갖고, 상기 제 2 고강성부가 상기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제 2 단위 구조를 가지면 좋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상기 크라운부의 내면에 상기 페이스부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가지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헤드 본체에 있어서의 「앞」이란 타격하는 측을 말하고, 「뒤」란 그 반대측을 말한다. 「페이스부」란 타격면을 앞면에 갖는 부분을 말한다.「전후 방향」이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라이각이 되도록 헤드 본체를 수평면에 설치한 상태에 있어서의 샤프트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을 말한다. 「토우힐 방향」이란, 상기 상태에 있어서의 샤프트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연직면과 평행한 수평 방향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는 크라운부의 페이스부 근방에 있어서의 변형을 적절히 억제하여, 페이스부를 충분히 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타구의 초속도를 높여, 타구의 비거리를 증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를 갖는 골프 클럽을 나타내는 모식적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의 모식적 평면도(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의 모식적 저면도(하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골프 클럽 헤드의 IV-IV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골프 클럽 헤드에 있어서의 크라운부의 전단 근방을 나타내는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골프 클럽 헤드의 제 1 단위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제 1 단위 구조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와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도 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골프 클럽 헤드의 도 5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 및 도 8의 골프 클럽 헤드와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의 제 1 고강성부를 나타내는 모식적 단면도이다.
이하, 적당히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골프 클럽 헤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중공의 헤드 본체(10)를 구비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 본체(10)는 페이스부(2)와, 페이스부(2)의 상측 가장자리(2a)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크라운부(3) 와, 페이스부(2)의 하측 가장자리(2b)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부(4)를 구비한다. 또한, 헤드 본체(10)는 페이스부(2)의 좌우 한쌍의 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크라운부(3)와 솔부(4) 사이에 배치되는 사이드부(5)와, 샤프트 부착부(6)를 구비한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우드형 골프 클럽 헤드(1)이다. 샤프트 부착부(6)는 통 형상의 돌기(6a)를 갖는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샤프트 부착부(6)에 샤프트(7)가 접속된 상태로 우드형 골프 클럽(X)으로서 사용된다. 헤드 본체(10)는, 예를 들면 메탈 우드 헤드이고, 티탄 등의 금속을 주성분으로 한다.
(크라운부)
도 2,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라운부(3)는 페이스부(2)의 상측 가장자리(2a)를 따르는 띠 형상의 제 1 고강성부(8)를 갖는다. 제 1 고강성부(8)는 페이스부(2)의 상측 가장자리(2a)를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11)를 갖는다. 환언하면, 제 1 고강성부(8)는 그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는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11)를 갖는다.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11)는 1열이며, 또한 토우힐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위 구조(11)는 오목부 또는 돌기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단위 구조(11)는 오목부이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모든 제 1 단위 구조(11)가 오목부이다. 제 1 고강성부(8)를 구성하는 모든 제 1 단위 구조(11)가 오목부임으로써, 크라운부(3)의 변형을 토우힐 방향에 걸쳐 용이하며 또한 균일하게 억제하기 쉽다. 또한, 이 구성에 의하면, 크라운부(3)의 표면의 연마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크라운부(3)를 소망의 윤기나는 면 등으로 형성하기 쉽다. 또한, 크라운부(3)는 제 1 고강성부(8)의 길이 방향의 편측 또는 양측에, 제 1 단위 구조(11)와는 다른 단위 구조(9)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제 1 고강성부]
제 1 고강성부(8)는 크라운부(3)의 강성을 높인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강성부(8)는 크라운부(3)의 전후 방향 길이(L1)에 대한 크라운부(3)의 전단(즉, 페이스부(2)와의 경계선)으로부터 1/5의 범위 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크라운부(3)의 전후 방향 길이(L1)에 대한 크라운부(3)의 전단과 제 1 고강성부(8)의 후단의 전후 방향의 간격(D1)의 비는 0.2 이하이다. 또한, 상기 비의 상한으로서는 O.15가 보다 바람직하다. 크라운부(3)는 제 1 고강성부(8)를 가짐으로써 제 1 고강성부(8)보다 후방측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크라운부(3)의 페이스부(2)측의 변형을 적절히 억제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그 결과, 볼의 임팩트 에너지가 분산되어, 페이스부(2)를 집중적으로 휘게 하는 것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비의 하한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0.10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비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제 1 고강성부(8)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하기 어려워져, 제 1 고강성부(8)에 의해 크라운부(3)의 변형을 충분히 억제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제 1 고강성부(8)의 길이 방향의 연장선 상에는 샤프트 부착부(6)가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고강성부(8)를 페이스부(2)의 근방에 배치하기 쉽고, 크라운부(3)의 페이스부(2)측의 변형을 억제하기 쉽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페이스부(2)와 제 1 고강성부(8)의 평균 간격(D2)의 하한으로서는 2㎜가 바람직하고, 3㎜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균 간격(D2)의 상한으로서는 2O㎜가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간격(D2)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제 1 고강성부(8)에 의해 페이스부(2) 자체의 휨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평균 간격(D2)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볼의 임팩트의 에너지가 분산되어, 페이스부(2)를 집중적으로 휘게 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페이스부와 제 1 고강성부의 평균 간격」이란,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페이스부와 제 1 고강성부를 구성하는 각 제 1 단위 구조의 간격의 평균값을 의미한다.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의 헤드 본체(10)의 길이(L2)에 대한 제 1 고강성부(8)의 길이(L3)비의 하한으로서는 0.40이 바람직하고, O.4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제 1 고강성부(8)에 의해 크라운부(3)의 변형을 충분히 억제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비의 상한으로서는 O.95가 바람직하고, O.90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페이스부(2)와 근접한 위치에서의 제 1 고강성부(8)의 형성이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 1 고강성부(8)는 적어도 페이스부(2)의 상측 가장자리(2a)의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의 헤드 본체의 길이」란, 헤드 본체 중, 샤프트 부착부(6)의 돌기(6a)를 제외한 부분을 전후 방향으로 투영한 투영상의 토우힐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제 1 고강성부(8)는 크라운부(3)의 다른 영역과 동일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크라운부(3)에 있어서의 제 1 고강성부(8)의 내면은, 제 1 단위 구조(11)의 오목부에 대응해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즉, 제 1 고강성부(8)는 크라운부(3)를 부분적으로 굴곡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제 1 고강성부(8)는 크라운부(3)의 일부를 박육화한 박육부가 아니다. 제 1 고강성부(8)의 두께는 이 제 1 고강성부(8)에 연속하는 크라운부(3)의 두께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고강성부(8)는, 예를 들면 제 1 고강성부(8)의 반전형상을 갖는 주형을 사용해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고강성부(8)는 제 1 고강성부(8)의 반전 형상을 갖는 주형 내에 헤드 본체(1)의 형성 재료를 주입하고, 이 형성 재료를 경화시킴으로써 크라운부(3)의 다른 부분과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제 1 고강성부(8)의 두께와, 이 제 1 고강성부(8)에 연속하는 크라운부(3)의 두께를 용이하고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제 1 고강성부(8)의 두께가 이 제 1 고강성부(8)에 연속하는 크라운부(3)의 두께와 균일함으로써, 제 1 고강성부(8)에 의해 크라운부(3)의 강성을 높이면서, 크라운부(3) 전체의 무게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두께가 균일」이란, 두께의 비가 0.8 이상 1.2 이하인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0.9 이상 1.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 이상 1.05 이하인 것을 말한다.
제 1 고강성부(8)의 평균 두께(T)의 하한으로서는 0.2㎜가 바람직하고, O.4㎜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균 두께(T)의 상한으로서는 1.2㎜가 바람직하고, 0.9㎜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두께(T)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크라운부(3)의 변형을 충분히 억제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평균 두께(T)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상기 골프 클럽 헤드(1)의 중량이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 1 고강성부의 평균 두께」란, 제 1 고강성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의 임의의 5점의 두께의 평균값을 말한다.
[제 1 단위 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단위 구조(11)는 오목부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위 구조(11)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11a)을 갖는다. 한쌍의 측면(11a)은 각각 평면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공의 타격시의 임팩트는 크라운부(3)의 전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서 전해지기 때문에, 크라운부(3)는 전후 방향으로 만곡하기 쉬워진다. 이 점,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제 1 단위 구조(11)가 한쌍의 측면(11a)을 가짐으로써, 크라운부(3)의 전후 방향의 만곡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면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란, 전후 방향에 대한 측면의 경사 각도가 5° 이하인 것을 말하고,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이하인 것을 말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위 구조(11)는, 한쌍의 측면(11a)의 전단(앞 가장자리)끼리를 접속하는 앞면(11b)과, 한쌍의 측면(11a)의 후단(뒤 가장자리)끼리를 접속하는 뒷면(11c)을 갖는다. 또한, 제 1 단위 구조(11)는 앞면(11b), 뒷면(11c) 및 한쌍의 측면(11a)의 저부 가장자리끼리를 접속하는 저면(11d)을 갖는다. 앞면(11b), 뒷면(11c) 및 저면(11d)은 모두 평면이다. 저면(11d)은 대략 직사각형상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토우힐 방향을 폭방향으로 하는 대략 장방형상이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제 1 단위 구조(11)가 저면(11d)을 가짐으로써, 크라운부(3)의 전후 방향 및 토우힐 방향의 변형을 모두 억제하기 쉽다. 또한, 「대략 장방형상」이란 장방형의 코너부가 모따기된 형상을 포함한다.
한쌍의 측면(11a)의 전후 방향 길이(L4)는 앞면(11b) 및 뒷면(11c)의 토우힐 방향 길이(L5) 이상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제 1 단위 구조(11)에 의해 크라운부(3)의 전후 방향의 만곡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 1 고강성부(8)에 있어서의 제 1 단위 구조(11)의 개수를 많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라운부(3)의 변형을 보다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면의 전후 방향 길이」란, 측면의 전단 및 후단의 깊이 방향 중앙 부분끼리의 길이를 말한다. 또한, 「앞면의 토우힐 방향 길이」란 앞면의 양측단의 깊이 방향 중앙 부분끼리의 길이를 말하고, 「뒷면의 토우힐 방향 길이」란 뒷면의 양측단의 깊이 방향 중앙 부분끼리의 길이를 말한다.
한쌍의 측면(11a)은 깊이 방향을 향해서 서로 근접하고 있다. 한쌍의 측면(11a)은 서로 깊이 방향을 향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고, 일방의 측면(11a)만이 깊이 방향을 향해서 다른 측면(11a)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또한, 앞면(11b) 및 뒷면(11c)은 깊이 방향을 향해서 서로 근접하고 있다. 앞면(11b) 및 뒷면(11c)은 서로 깊이 방향을 향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고, 앞면(11b) 및 뒷면(11c)의 일방만이 깊이 방향을 향해서 앞면(11b) 및 뒷면(11c)의 타방과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어도 좋다. 제 1 단위 구조(11)는 바람직하게 대략 사각뿔대 형상이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한쌍의 측면(11a)이 깊이 방향을 향해서 서로 근접하고, 또한 앞면(11b) 및 뒷면(11c)이 깊이 방향을 향해서 서로 근접하고 있음으로써, 주형을 사용하여 제 1 고강성부(8) 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고강성부(8)의 두께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여, 상기 골프 클럽 헤드(1)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쉽다.
앞면(11b), 뒷면(11c), 및 한쌍의 측면(11a)이 깊이 방향으로 경사져 있을 경우, 경사각(α)의 하한으로서는 30°가 바람직하고, 40 °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경사각(α)의 상한으로서는 80°가 바람직하고, 6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각(α)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제 1 단위 구조(11)에 의한 크라운부(3)의 변형 억제 기능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경사각(α)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주형을 사용해서 제 1 고강성부(8)를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제 1 단위 구조(11)의 전후 방향 길이(L6)의 상한으로서는 15㎜가 바람직하고, 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 방향 길이(L6)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크라운부(3)의 전후 방향의 만곡 억제 기능이 그다지 향상되지 않을 우려나, 제 1 단위 구조(11)에 기인해서 크라운부(3)의 중량이 커질 우려가 있다. 한편, 제 1 단위 구조(11)의 전후 방향 길이(L6)의 하한으로서는 3㎜가 바람직하고, 4㎜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전후 방향 길이(L6)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크라운부(3)의 전후 방향의 만곡을 충분히 억제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 1 단위 구조의 전후 방향 길이」란, 제 1 단위 구조의 최전단과 최후단의 전후 방향의 간격을 말한다.
제 1 단위 구조(11)의 평균 깊이(D3)의 하한으로서는 1.0㎜가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균 깊이(D3)의 상한으로서는 3.0㎜가 바람직하고, 2.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깊이(D3)가 상기 하한 미만이면, 크라운부(3)의 변형을 충분히 억제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평균 깊이(D3)가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크라운부(3)의 변형 억제 기능이 그다지 향상되지 않을 우려나, 제 1 단위 구조(11)에 기인해서 크라운부(3)의 중량이 커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 1 단위 구조의 평균 깊이」란, 제 1 단위 구조의 저부와 개구 사이의 최대 깊이와 최소 깊이의 평균값을 말한다.
인접하는 제 1 단위 구조(11)끼리의 간격(D4)의 하한으로서는 1㎜가 바람직하고, 2㎜가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간격(D4)의 상한으로서는 5㎜가 바람직하고, 4㎜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D4)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소망의 형상의 제 1 단위 구조(11)를 형성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간격(D4)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제 1 단위 구조(11)를 고밀도로 배치하기 어려워져, 크라운부(3)의 변형을 충분히 억제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제 1 고강성부(8)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11)의 형상은,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접하는 제 1 단위 구조(11)끼리의 피치는 모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크라운부(3)에 부분적으로 변형하기 쉬운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타구의 쳐내기 방향을 제어하기 쉽다.
(솔부)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부(4)는 페이스부(2)의 하측 가장자리(2b)를 따르는 띠 형상의 제 2 고강성부(12)를 갖는다. 제 2 고강성부(12)는 페이스부(2)의 하측 가장자리(2b)를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제 2 단위 구조(13)를 갖는다. 제 2 단위 구조(13)는 오목부 또는 돌기이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솔부(4)가 제 2 고강성부(12)를 가짐으로써, 솔부(4)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페이스부(2)를 보다 집중적으로 휘게 할 수 있다.
제 2 고강성부(12)는 솔부(4)의 강성을 높인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부(4)에 있어서의 제 2 고강성부(12)의 내면은, 제 2 단위 구조(13)에 대응해서 돌출 또는 함몰되어 있다. 제 2 고강성부(12)는 페이스부(2)의 하측 가장자리(2b)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강성부(12)는 솔부(4)의 전후 방향 길이(L7)에 대한 솔부(4)의 전단(즉, 페이스부(2)와의 경계선)으로부터 1/5의 범위 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고강성부(12)는 제 1 고강성부(8)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단위 구조(13)의 형상은 제 1 단위 구조(11)의 형상과 상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페이스부(2)가 소망의 휨성을 가지도록, 크라운부(3)와 솔부(4)의 변형 정도를 개별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제 2 단위 구조(13)의 형상을 제 1 단위 구조(11)와는 별개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단위 구조(13)는 저면에서 보아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13a)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측면(13a)에, 전후 방향 및 토우힐 방향의 양방의 만곡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게 하기 쉬워, 타구를 치지 못했을 경우 등에 있어서의 솔부(4)의 변형을 억제하기 쉽다.
<이점>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제 1 고강성부(8)가 크라운부(3)의 전후 방향 길이(L1)에 대한 전단으로부터 1/5의 범위 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격시에 있어서의 크라운부(3)의 페이스부 근방에 있어서의 변형을 적절히 억제하여, 페이스부(2)를 충분히 휘게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제 1 고강성부(8)가 크라운부(3)에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타격시에 비교적 변형하기 쉬운 크라운부(3)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페이스부(2)를 집중적으로 휘게 하기 쉽다. 이것에 의해,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타구의 초속도를 높여, 타구의 비거리를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제 1 고강성부(8)에 의해 크라운부(3)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므로, 크라운부(3)의 강성을 높이는데 있어서 크라운부(3)의 판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상기 골프 클럽 헤드(1)는 페이스부(2)의 휨성을 높이면서, 골프 클럽 헤드 전체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쉽다.
[제 2 실시형태]
<골프 클럽 헤드>
도 8 및 도 9의 골프 클럽 헤드(21)는 헤드 본체(10)의 내면에 페이스부(2)로부터 이간되고, 또한 페이스부(2)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22)를 갖는 것 이외, 도 1∼도 7의 골프 클럽 헤드(1)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리브(22)는 페이스부(2)로부터 이간되어 페이스부(2)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리브(22)는 페이스부(2)의 상측 가장자리(2a)를 따라 크라운부(3)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브(22)는 제 1 고강성부(8)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리브(22)는 제 1 고강성부(8)의 내면으로부터 내측(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리브(22)는 페이스부(2)의 하측 가장자리(2b)를 따라 솔부(4)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브(22)는 제 2 고강성부(12)의 내면에 배치되어 있다. 즉, 리브(22)는 제 2 고강성부(12)의 내면으로부터 내측(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브(22)는 제 1 고강성부(8)의 내면에 배치되는 영역과 제 2 고강성부(12)의 내면에 배치되는 영역으로 분단되어 있어도 좋고,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강성부(8)의 내면에 배치되는 영역과 제 2 고강성부(12)의 내면에 배치되는 영역이 연속하고 있어도 좋다.
리브(22)의 연장선 상에는, 샤프트 부착부(6)가 위치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리브(22)를 페이스부(2)의 근방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21)는 제 1 고강성부(8)에 의해 크라운부(3)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고, 제 2 고강성부(12)에 의해 솔부(4)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리브(22)가 헤드 본체(10)의 내면에 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라도 페이스부(2)의 휨성을 충분히 향상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리브(22)의 힐측의 단부가 샤프트 부착부(6)에 의해 분단되었을 경우라도, 페이스부(2)를 충분히 휘게 할 수 있다.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리브(22)와 페이스부(2)의 평균 간격(D5)의 하한으로서는 2㎜가 바람직하고, 3㎜가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평균 간격(D5)의 상한으로서는 20㎜가 바람직하고, 15㎜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평균 간격(D5)이 상기 하한 미만이면, 리브(22)에 의해 페이스부(2) 자체의 휨이 저해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상기 평균 간격(D5)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페이스부(2)를 집중적으로 휘게 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한, 「리브와 페이스부의 평균 간격」이란, 리브와 페이스부의 최소 간격과 최대 간격의 평균값을 말한다.
< 이점>
상기 골프 클럽 헤드(21)는 헤드 본체(10)의 내면에 리브(22)을 가지므로, 헤드 본체(10)에 있어서의 페이스부(2) 이외의 부분의 변형을 보다 확실히 억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골프 클럽 헤드(21)는 페이스부(2)를 보다 집중적으로 휘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는 본 명세서의 기재 및 기술 상식에 근거하여 상기 실시형태 각 부의 구성요소의 생략, 치환 또는 추가가 가능하고, 그것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위 구조가 오목부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한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위 구조(31)는 돌기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단위 구조의 깊이는, 제 1 단위 구조(31)의 높이로 치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단위 구조의 저면은, 제 1 단위 구조(31)의 천면(天面)(31a)으로 치환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고강성부를 구성하는 모든 제 1 단위 구조가 오목부인 구성에 대해서 설명했다. 하지만, 제 1 고강성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는 모두 돌기여도 좋고, 오목부와 돌기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제 1 고강성부를 구성하는 복수의 오목부끼리, 및 복수의 돌기끼리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제 1 단위 구조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의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단위 구조의 형상이 한정되지 않을 경우이면, 도 2의 골프 클럽 헤드(1)에 있어서,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11)와, 이들 제 1 단위 구조(11)의 길이 방향의 양측에 배치되는 다른 단위 구조(9)를 포함시켜서 제 1 고강성부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단위 구조는 평면에서 보아 원형, 삼각형, 오각형 이상의 다각형 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 1 단위 구조가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을 가질 경우에서도, 이들 측면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한쌍의 측면은, 전후 방향으로 평행이며 또한 연직인 가상면을 기준으로 해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크라운부의 변형을 좌우 균등하게 억제하기 쉽다.
상기 제 1 단위 구조는 상술의 저면을 갖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단위 구조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측면의 저부 가장자리끼리가 직접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단위 구조는 단면 V자 형상의 홈을 구성한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이 구성에 의해서도 크라운부의 전후 방향의 만곡을 억제하기 쉽다.
상기 솔부는 상술의 제 2 고강성부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솔부가 제 2 고강성부를 가질 경우라도, 이 제 2 고강성부의 배치, 형상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상기 제 1 고강성부와 상기 제 2 고강성부가 길이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상기 골프 클럽 헤드는 크라운부, 사이드부 및 솔부에 연속하는 고강성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상기 골프 클럽 헤드가 상술의 리브를 가질 경우라도, 이 리브의 형상, 배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른 골프 클럽 헤드는 타구의 비거리를 증대하는 것에 적합하다.
1, 21 : 골프 클럽 헤드
2 : 페이스부
2a : 상측 가장자리
2b : 하측 가장자리
3 : 크라운부
4 : 솔부
5 : 사이드부
6 : 샤프트 부착부
6a : 돌기
7 : 샤프트
8 : 제 1 고강성부
9 : 다른 단위 구조
10 : 헤드 본체
11, 31 : 제 1 단위 구조
11a : 측면
11b : 앞면
11c : 뒷면
11d : 저면
12 : 제 2 고강성부
13 : 제 2 단위 구조
13a : 측면
22 : 리브
31a : 천면
X : 우드형 골프 클럽
D1 : 크라운부의 전단과 제 1 고강성부의 후단의 전후 방향의 간격
D2 :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페이스부와 제 1 고강성부의 평균 간격
D3 : 제 1 단위 구조의 평균 깊이
D4 : 인접하는 제 1 단위 구조끼리의 간격
D5 :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리브와 페이스부의 평균 간격
L1 : 크라운부의 전후 방향 길이
L2 :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의 헤드 본체의 길이
L3 :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고강성부의 길이
L4 : 제 1 단위 구조의 측면의 전후 방향 길이
L5 : 제 1 단위 구조의 앞면 및 뒷면의 토우힐 방향 길이
L6 : 제 1 단위 구조의 전후 방향 길이
L7 : 솔부의 전후 방향 길이
T : 제 1 고강성부의 평균 두께
α : 경사각

Claims (7)

  1. 페이스부 및 이 페이스부의 상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크라운부를 갖는 중공의 헤드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크라운부가 상기 페이스부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띠 형상의 제 1 고강성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1 고강성부가 상기 상측 가장자리를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제 1 단위 구조를 갖고,
    상기 제 1 단위 구조가 오목부 또는 돌기이며,
    상기 제 1 고강성부가 상기 크라운부의 전후 방향 길이에 대한 전단으로부터 1/5의 범위 내의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골프 클럽 헤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구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을 갖는 골프 클럽 헤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위 구조의 전후 방향 길이가 15㎜ 이하인 골프 클럽 헤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모든 상기 제 1 단위 구조가 오목부인 골프 클럽 헤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토우힐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헤드 본체의 길이에 대한 상기 제 1 고강성부의 길이의 비가 0.40 이상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본체가 상기 페이스부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솔부를 갖고,
    상기 솔부가 상기 페이스부의 하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띠 형상의 제 2 고강성부를 갖고,
    상기 제 2 고강성부가 상기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정렬되는 복수의 제 2 단위 구조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라운부의 내면에 상기 페이스부의 상측 가장자리를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갖는 골프 클럽 헤드.
KR1020200151509A 2020-02-17 2020-11-13 골프 클럽 헤드 KR102520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4695 2020-02-17
JP2020024695A JP2021126469A (ja) 2020-02-17 2020-02-17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545A KR20210104545A (ko) 2021-08-25
KR102520322B1 true KR102520322B1 (ko) 2023-04-11

Family

ID=77228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1509A KR102520322B1 (ko) 2020-02-17 2020-11-13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1126469A (ko)
KR (1) KR102520322B1 (ko)
CN (2) CN215841486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126469A (ja) * 2020-02-17 2021-09-02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099A (ja) * 2000-08-04 2002-02-19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6214743A (ja) * 2015-05-25 2016-12-22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8175519A (ja) * 2017-04-17 2018-11-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6056A (ja) 1998-12-15 2000-06-27 Endo Mfg Co Ltd ゴルフのウッドクラブ
JP5204826B2 (ja) * 2010-09-30 2013-06-05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2120685A (ja) * 2010-12-08 2012-06-28 Bridgestone Sports Co Ltd 中空ゴルフクラブヘッド
CN202078711U (zh) * 2011-04-01 2011-12-21 陈龙刚 一种高尔夫球杆头
JP6527318B2 (ja) * 2014-09-03 2019-06-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790352B2 (ja) * 2015-08-19 2020-11-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718111B2 (ja) * 2016-03-08 2020-07-08 株式会社プロギア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662758B2 (ja) * 2016-11-21 2020-03-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N109589568A (zh) * 2017-09-28 2019-04-09 大田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高尔夫球杆头
US10245481B1 (en) * 2017-12-21 2019-04-02 Acushnet Compnay Golf club head
JP2021126469A (ja) * 2020-02-17 2021-09-02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2099A (ja) * 2000-08-04 2002-02-19 Daiwa Seiko Inc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6214743A (ja) * 2015-05-25 2016-12-22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2018175519A (ja) * 2017-04-17 2018-11-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126469A (ja) 2021-09-02
CN215841486U (zh) 2022-02-18
KR20210104545A (ko) 2021-08-25
CN113262446A (zh)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935B2 (en) Golf club head with reinforced crown
US8425347B2 (en) Golf club head with reinforced crown
US5711722A (en) Golf club head
US10537769B2 (en) Golf club head
KR102520322B1 (ko) 골프 클럽 헤드
US20220032135A1 (en) Golf club head
KR102504969B1 (ko)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US11213729B2 (en) Golf club head
JP7298252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7289735B2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CN114425146A (zh) 铁杆型高尔夫球杆头
US20190374823A1 (en) Golf club head
KR102398790B1 (ko) 골프클럽 헤드 및 골프클럽
CN221045427U (zh) 铁杆型高尔夫球杆头
CN217448868U (zh) 高尔夫球杆头
JP7286214B1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20220152461A1 (en) Golf club head
KR20230085821A (ko) 골프 클럽 헤드
JP2023069741A (ja) ウッド型ゴルフクラブヘッド
KR20240072045A (ko) 아이언형 골프 클럽 헤드
CN114904239A (zh) 铁型高尔夫球杆头
KR20230131111A (ko) 골프 클럽 헤드 및 그 제조 방법
JP2024034961A (ja) ゴルフクラブヘッド
GB2477049A (en) Golf club head with reinforced crow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