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6298B1 - Workpiece parts catcher - Google Patents

Workpiece parts catc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6298B1
KR102436298B1 KR1020180035067A KR20180035067A KR102436298B1 KR 102436298 B1 KR102436298 B1 KR 102436298B1 KR 1020180035067 A KR1020180035067 A KR 1020180035067A KR 20180035067 A KR20180035067 A KR 20180035067A KR 102436298 B1 KR102436298 B1 KR 102436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orkpiece
air
recovery devic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2996A (en
Inventor
구상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Priority to KR1020180035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298B1/en
Publication of KR2019011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9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8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sl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03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in a l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2Drive
    • B23Q2707/025Driving by vibration, shaking or jo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에 의해 공작물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수직 하방에 설치된 배출부; 및 일측이 상기 헤드부와 인접하고 타측이 상기 배출부와 인접하되, 베드와 수직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공작물을 상기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작물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공작물과 상기 이송부의 접촉면에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d part which is installed detachably by a chuck; a discharge part installed vertically below the head part; And one side is adjacent to the head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but forming an inclin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bed to form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work to the discharge unit; Containing, when the workpiece moves along the transfer unit , It relates to a workpiece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is inject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the transfer unit.

Description

공작물 회수장치{Workpiece parts catcher}Workpiece parts catcher

본 발명은 공작물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공작물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공작물의 배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recove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piece recover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discharging ability of the workpiece 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workpiece through air injected from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ransfer unit. .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In general, a machine tool refers to a machine used for the purpose of machining a metal/non-metal workpiece into a desired shape and size using an appropriate tool by various cutting or non-cutting methods.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복합가공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including turning centers, vertical/horizontal machining centers, door machining centers, Swiss turns, electric discharge machines, horizontal NC boring machines, CNC lathes, multi-task machines, etc. is being used

공작기계 중 복합가공기란 선삭가공과 드릴, 탭핑, 밀링가공 등 가공형태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는 다기능의 자동공구교환장치(ATC)와 공구 매거진이 장착된 터닝센터를 의미한다. 복합가공기에서 작업자가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로딩하거나 교환시에 공구를 수동으로 공구 매거진에 장착한다.Among machine tools, multi-tasking machine means a turning center equipped with a multi-function automatic tool changer (ATC) and tool magazine that performs various machining types such as turning, drilling, tapping, and milling. In the multi-tasking machine, the operator loads the tool required for machining or manually loads the tool into the tool magazine when exchanging it.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currently used have an operation panel to which numerical control (NC) or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technology is applied. Such an operation panel is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 switches or buttons and a monitor.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레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achine tool includes a table on which a workpiece material is seated and transferred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 pallet for preparing the workpiece before processing, a spindle that rotates with a tool or workpiece combined, a tailstock for supporting the workpiece, etc. during processing, a vibration isolator etc. are provided.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In general, in a machine tool, a table, a tool rest, a main shaft, a tailstock, a vibration isolator, etc. are provided with a conveying unit conveying along a conveying axis in order to perform various machining.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공구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나 터렛이 사용된다.In addition, in general, a machine tool uses a plurality of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a tool magazine or a turret is used as a tool storage place for storing and storing a plurality of tools.

이러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툴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 사용된다.Such a machine tool uses a plurality of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a tool magazine is used in the form of a tool storage place storing a plurality of tools.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치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한 공구를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다시 수납하기 위한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Tool Changer)를 구비한다.In addition, in general, a machine tool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tool changer (ATC, Automatic Tool Changer) for withdrawing or receiving a specific tool from the tool magazine by the command of the numerical control unit in order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machine tool.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비가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APC, AutomaticPallet Changer)를 구비한다.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APC)는 팔레트를 공작물 가공 영역과 공작물 설치 영역 간에 자동으로 교환한다. 팔레트에는 공작물이 탑재될 수 있다.In addition, in general, a machine tool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pallet changer (APC, Automatic Pallet Changer) in order to minimize the non-working time. The automatic pallet changer (APC) automatically exchanges pallets between the workpiece machining area and the workpiece installation area. Pallets may be loaded with workpieces.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자동으로 회수하는 공작물 회수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통상적으로 파트 캐쳐(Parts catcher)라 불린다. 공작물 회수장치는 공작기계의 주 목적인 가공행위에 직접 관여하는 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공작물 회수장치에 할당된 설치 공간은 제한적이게 된다.In addition, in general, a machine tool is provided with a workpiece recovery device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the finished workpiece. Such a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commonly called a parts catcher (Parts catcher). Since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not a device directly involved in the machining operation,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e machine tool, the installation space allocated to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limited.

공작물 회수장치는 여러 형태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포켓 방식와 슬라이딩 방식이 있다.There are several types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but there are typically a pocket method and a slid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버킷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bucket-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Figure 2 shows a conventional sliding-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도 1을 참조하여 버킷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설명한다. 버킷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척에 의해 헤드(1)에 탈부착 가능한 공작물이 낙하하고, 버킷(4)이 이를 수거한다. 버킷(4)은 암(5)을 통해 중심축(3)과 연결되고, 중심축(3)을 기준으로 선회 가능하다. 선회하는 암(5) 및 버킷(4)은 배출장치(2)와 인접하고, 배출장치(2)에 공작물을 이송시키게 된다.A bucket-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In the bucket-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a workpiece detachable from the head 1 is dropped by a chuck, and the bucket 4 collects it. The bucket 4 is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3 through an arm 5 , and is rotatable based on the central axis 3 . The orbiting arm 5 and the bucket 4 are adjacent to the discharge device 2 , and convey the workpiece to the discharge device 2 .

이러한 버킷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공작물의 수거 위치와 배출 위치가 명확하며 가벼운 소재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공작물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처짐 현상으로 인해 배출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관절 구조의 특성 상 암(5)의 파손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회전 반경 확보를 위해 설치 공간이 많이 할당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is bucket-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ollection and discharge positions of the workpieces are clear, and even light materials can be easily discharged. However, when the weight of the workpiece is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charge position is shifted due to the sagging phenomenon, and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the arm 5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int structur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installation space must be allocated to secure a turning radius.

도 2를 참조하여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설명한다.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중심축(3)을 기준으로 선회 가능한 플레이트(6)가 구비되고, 플레이트(6)가 베드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경사를 형성한다. 이때, 플레이트(6)의 일측은 헤드(1)와 인접하고, 타측은 배출장치(2)와 인접하여, 일측에 낙하되는 공작물은 경사로 인해 슬라이딩하여 배출장치(2)로 이송된다.A sliding 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 The sliding-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provided with a pivotable plate 6 based on a central axis 3, and the plate 6 forms an inclination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bed.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plate 6 is adjacent to the head 1 , and the other side is adjacent to the discharge device 2 , and the workpiece falling on one side slides due to the inclination and is transferred to the discharge device 2 .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넓은 바닥면을 지닌 플레이트 구조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소재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암 방식이 아니므로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버킷 방식과는 달리 선회 반경이 짧아도 되므로 설치 공간을 많이 할당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버킷 방식보다는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This sliding-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can transport various types of materials due to the plate structure with a wide bottom surface, and has excellent durability because it is not an arm type. In addition, unlike the bucket method, since the turning radius may be sho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allocate a lot of installation space.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sliding type of workpiece recovery device rather than a bucket type has been widely used.

그러나,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플레이트(6)의 경사 각도가 낮은 경우, 공작물의 마찰 면적이 큰 경우, 공작물의 무게가 가벼운 경우에는 공작물 회수장치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배출 능력이 원활하게 되지 않고 공작물의 플레이트(6)에 머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경사를 90도에 가깝게 할수록 좋지만, 설치 가능한 공간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sliding-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late 6 is low, when the friction area of the workpiece is large, or when the weight of the workpiece is light, the ejection ability, the most basic function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not smooth and the workpiece There is a problem that stays on the plate (6) of the. The closer the inclination is to 90 degrees, the better,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there is a limit on the space that can be installed.

따라서, 공작물의 형상, 무게, 경사 각도에 구속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의 배출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n inven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discharge capability of the sliding-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that is constrained by the shape, weight, and inclination angle of the workpiec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4978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14978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506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5506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이송부 상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공작물에 이송부로부터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air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through air injected from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ransfer unit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from the transfer unit to the workpiece. To provide a workpiece recovery device.

또한,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의 테이퍼면과 제1 플레이트의 각도를 예각으로 설정하여 제1 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마찰력 감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by setting the angle of the first plate and the tapered surface of the hole formed in the first plate to an acute angle, the thickness of the air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reduction effect. .

또한, 이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을 제1 홀 그룹 및 제2 홀 그룹으로 분리하여 제1 홀 그룹과 제2 홀 그룹이 평행선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층의 중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ransfer unit are separated into a first hole group and a second hole group so that the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are not arranged on a parallel line, thereby increasing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air layer. to provide the device.

또한, 보조홀을 형성하여 공기를 공작물이 슬라이딩 하는 방향으로 분사시켜 공작물의 배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workpiece recovery device capable of improving the discharge capability of the workpiece by forming an auxiliary hole to spray air in the sliding direction of the workpiece.

또한, 복수 개의 홀을 잇는 그루브를 통해 공기의 분사를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제1 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마찰력 감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piece recovery device capable of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reduction effect by forming a flow path for guiding air injection through a groove connecting a plurality of holes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air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척에 의해 공작물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수직 하방에 설치된 배출부; 및 일측이 상기 헤드부와 인접하고 타측이 상기 배출부와 인접하되, 베드와 수직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공작물을 상기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작물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공작물과 상기 이송부의 접촉면에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art in which a workpiece is detachably installed by a chuck; a discharge part installed vertically below the head part; And one side is adjacent to the head portion and the other side is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but forming an inclin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bed to form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work to the discharge unit; Containing, when the workpiece moves along the transfer unit , characterized in that air is inject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the transfer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이송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ransfer unit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plate; a second plate form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plate; a hollow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 plurality of holes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where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hollow part is spr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홀에 각각에 형성되는 테이퍼면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pered surfac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n angle of more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with the first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홀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기준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홀 그룹;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기준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홀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준선 및 상기 제2 기준선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폭 방향으로 교차되어 형성되되, 인접하는 상기 제1 홀 그룹 및 상기 제2 홀 그룹은 폭 방향으로 동일한 평행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group of hole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first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hole group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second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wherei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are formed to cross the first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The adjacent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are not arranged on the same parallel line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선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방으로 이격 및 절곡되어 보조 홀을 형성하고, 공기는 상기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보조 홀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ip of the second plate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and bent upwardly from the first plate to form an auxiliary hole, and air is pass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auxiliary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ray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작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separation of the workpiece is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에 상기 제1 홀 그룹 및 상기 제2 홀 그룹을 따라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에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along the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and is introduced into the hollow part Ai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moves along the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상기 이송부의 경사각도에 따라 상기 중공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주입구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air introduced through an ai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the inlet to supply air to the hollow portion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이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이송부 상면에 공기층을 형성한다. 공기층은 공작물에 가해지는 이송부로부터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공작물의 무게, 형상 및 이송부의 경사 각도의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공작물의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위 시간 당 배출 가능한 공작물의 수가 증대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injected from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ransfer unit forms an air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The air layer reduces the frictional force from the conveying part applied to the workpiece, so that the workpiece can be discharged smoothly regardless of the weight, shape, and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ing part. For this reason, the number of work pieces that can be discharged per unit time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또한,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의 테이퍼면과 제1 플레이트의 각도가 예각으로 설정되므로 제1 플레이트 상면 상에 공기가 머무르는 시간이 증대된다. 따라서, 공기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마찰력 감소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ngle between the tapered surface of the hole formed i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plate is set to an acute angle, the time for air to sta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is increased. Accordingly, the thickness of the air layer is increased and the frictional force reduction effect is increased.

또한, 보조홀이 형성되어 보조홀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공작물이 슬라이딩 하는 방향으로 공작물을 가압하므로, 공작물의 배출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hole is formed and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uxiliary hole presses the work pie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 piece slide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discharging ability of the work piece is improved.

또한, 이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을 제1 홀 그룹 및 제2 홀 그룹으로 분리하여 제1 홀 그룹과 제2 홀 그룹이 평행선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층의 중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어, 어느 하나의 홀이 막힌 경우에도 인접한 홀이 이를 커버할 수 있어 마찰력 감소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가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air layer by separating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ransfer part into a first hole group and a second hole group so that the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are not arranged on a parallel line. Even when one hole is blocked, an adjacent hole can cover it, thereby maintaining the effect of reducing friction.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에 의해 복수 개의 홀을 잇는 그루브를 통해 공기의 분사를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제1 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마찰력 감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 flow path for inducing injection of air through a groove connecting a plurality of holes by the convey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o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air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reduction effect there is

도 1은 종래의 버킷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이송부 부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홀의 배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및 7(b)는 홀의 배치에 따른 공기층의 형성 범위를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의 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bucket-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Figure 2 shows a conventional sliding-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vicinity of the transfer part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hole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compare the formation ranges of the air laye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erefore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아. "길이 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도 3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길이 방향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 3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높이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이송부를 기준으로 배출부 부근을 의미하며, "후방"이란, 이송부를 기준으로 헤드부 부근을 의미한다.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x-axis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3 in the same member, and the "width direction" is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3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In addition, "vertical direction" means a z-axis direction in a direction forming a height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t the same time in the same member. In addition, "upward" means an upward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downward" means a downward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inner side means a side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of the same member. In addition, "front" means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part with respect to the conveying part, and "rear" means the vicinity of the head part based on the conveying p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이송부 부근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홀의 배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및 7(b)는 홀의 배치에 따른 공기층의 형성 범위를 비교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의 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vicinity of the transfer part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chematically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is a comparison of the formation range of the air laye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ole,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8 .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헤드부(100), 배출부(200) 및 이송부(300)를 포함한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art 100 , a discharge part 200 , and a transfer part 300 .

헤드부(100)는 공작 기계의 스핀들 헤드로, 선단에 척(110)이 형성된다. 척(110)에는 공작물(1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10)은 후술할 이송부(300)에 수용된다. 도 3에서는 일 예로 원통 형상의 공작물(10)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The head part 100 is a spindle head of a machine tool, and a chuck 110 is formed at the tip. A workpiece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huck 110 . The finished workpiece 10 is accommodated in a transfer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FIG. 3 , an example of a cylindrical workpiece 10 is illustrat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배출부(200)는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공작물(10)을 배출하는 곳이다. 배출부(200)는 이송부(300)의 타측과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작물(10)은 이송부(300)를 거쳐 배출부(200)에 유입된다.The discharge unit 200 is where the workpiece 10 transferred by the conveying unit 300 is discharged. The discharge unit 200 is preferably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unit 300 . Accordingly, the workpiece 10 is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unit 200 via the transfer unit 300 .

이때, 배출부(200)는 헤드부(10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의 베드를 기준으로 헤드부(100)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배출부(200)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charge unit 200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head unit 100 .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d unit 100 is high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unit 200 with respect to the bed of the machine tool.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이송부(300)가 선회하여 이송부(300)의 일측이 헤드부(100)에 인접하고, 이송부(300)의 타측이 배출부(200)에 인접하게 되면 경사가 형성되고, 공작물(10)이 헤드부(100)에서 배출부(200)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별도의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도, 자중에 의해 공작물(10)이 배출부(200)로 이동하게 된다.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transfer unit 300 turns so that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300 is adjacent to the head unit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unit 300 is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200, an inclination is formed, and the workpiece (10) is slid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unit 200 from the head unit (100). Without applying a separate physical force, the workpiece 10 is moved to the discharge unit 200 by its own weight.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이송부(300)의 경사각도에 따라 중공부(33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주입구(350)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 유로(4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4 ,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to supply air to the hollow part 33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part 300 . The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0 connected to the 350 may be further included.

즉, 제어부(400)는 공작기계의 본체 또는 배출부(200)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이송부(300)의 경사각도에 따라 공기 공급 유로(410)를 통해 주입구(35)와 중공부(3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한다. 즉, 이송부(300)가 지면 또는 배출부(200)와 이루는 각도가 큰 경우에는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작은 압력의 공기를 공기 공급 유로(410)를 통해 주입구(350)와 중공부(330)에 공급한다. 이와 반대로 이송부(300)가 지면 또는 배출부(200)와 이루는 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마찰력이 증가함에 따라 작은 압력의 공기를 공기 공급 유로(410)를 통해 주입구(350)와 중공부(330)에 공급한다. 이처럼, 이송부(300)가 지면 또는 배출부(200)와 이루는 경사각도에 따라 배출되는 공작물이 받는 마찰력이 변화되고, 이러한 마찰력 변화에 따라 최적의 공기 공급 압력을 제어하여 공급하여 공작물 회수작업의 신뢰성과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r the discharge unit 200 of the machine tool.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pressure of air supplied to the inlet 35 and the hollow portion 330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unit 300 . That is, when the angle between the conveying unit 300 and the ground or the discharge unit 200 is large, as the frictional force decreases, air at a small pressure is supplied to the inlet 350 and the hollow portion 330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0 . supply Conversely, when the angle between the conveying unit 300 and the ground or the discharge unit 200 is small, as the frictional force increases, air at a small pressure is supplied to the inlet 350 and the hollow portion 330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0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0 . supply In this way, the friction force received by the discharged workpie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transfer unit 300 with the ground or the discharge unit 200, and the optimum air supply pressure is controlled and suppli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frictional force. Reliability of the workpiece recovery operation and efficiency are maximized,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또한, 제어부(400)는 제어부(400)에 미리 입력된 CNC 프로그램과 가공 프로그램 등을 통해 최종 가공된 공작물의 형상이나 중량에 따라 중공부(33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주입구(350)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 유로(4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port 350 in order to supply air to the hollow part 330 according to the shape or weight of the final processed workpiece through the CNC program and machining program input to the control unit 400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ressure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flow path (410).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이송부(300) 부근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홀(340)의 배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이송부(3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4 shows the vicinity of the transfer unit 300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chematically shows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340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shown. Hereinafter, the transfer unit 300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이송부(300)는 헤드부(100)와 배출부(200) 사이에 위치한다. 이송부(300)의 일측은 헤드부(100)와 인접하며, 이송부(300)의 타측은 배출부(200)와 인접한다. 이로 인해, 이송부(300)는 공작 기계의 베드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부(300)의 일측에 최초로 수용된 공작물(10)은 이송부(300)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배출부(200)로 유입된다.The transfer unit 300 is positioned between the head unit 100 and the discharge unit 200 .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300 is adjacent to the head unit 100 , and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unit 300 is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200 . For this reason, the transfer unit 300 is incli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d of the machine tool. Accordingly, the workpiece 10 initially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300 slides along the transfer unit 300 and flows into the discharge unit 200 .

이송부(300)는 회전축(301)에 결합되어 선회한다. 이로 인해, 공작물(10)을 배출하는 필요한 시기에만 헤드부(100) 및 배출부(200)와 인접하게 하여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transfer unit 300 is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01 and rotates. For this reas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pace can be minimized by adjoining the head part 100 and the discharge part 200 only at the necessary time to discharge the workpiece 10 .

이송부(300)는 제1 플레이트(310), 제2 플레이트(320), 중공부(330), 홀(340) 및 주입구(350)를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300 includes a first plate 310 , a second plate 320 , a hollow part 330 , a hole 340 , and an injection hole 350 .

제1 플레이트(3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지닌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late 3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shown in FIG. 4 .

제2 플레이트(320)는 제1 플레이트(310)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플레이트(320)는 제1 플레이트(310)에서 하방으로 이격된다. 이로 인해,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 사이에는 중공부(330)가 형성된다.The second plate 32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ike the first plate 310 . The second plate 320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plate 310 . Accordingly, a hollow portion 3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

제1 플레이트(310) 또는 제2 플레이트(320) 또는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가 맞닿는 일 지점에 주입구(350)가 형성된다. 일 예로, 배출부(200)와 인접한 부근에 주입구(35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200)와 인접한 부근에 주입구(350)가 형성되면, 주입구(350)를 통해 유입된 공기(20)가 중공부(330)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유동되어 이송부(3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340)에 골고루 배분된다. 이로 인해, 특정 구역에만 공기(20)가 분사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공작물(10)이 받는 마찰력이 감소되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injection hole 350 is formed at a point where the first plate 310 or the second plate 320 or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contact each other. For example, the injection hole 350 may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unit 200 . When the inlet 350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unit 200, the air 20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50 is sequentially flow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in the hollow portion 330 to be formed in the transfer unit 300 It is evenly distributed in the plurality of holes 340 . For this reas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praying of the air 20 only in a specific area is prevented,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friction force applied to the work 10 can be maximized.

도면에 도시되에 있지 않지만, 주입구(350)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외부 공기는 주입구(350)를 통해 중공부(330)에 유입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evice capable of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inlet 350 may be provided, and the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llow part 330 through the inlet 350 .

제1 플레이트(310)에는 복수 개의 홀(340)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홀(340)은 제1 플레이트(3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중공부(330)에 유입된 공기(20)는 복수 개의 홀(340)을 통해 제1 플레이트(310)의 상방으로 분사된다.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은 공작물(10)과 이송부(300)가 맞닿는 접촉면으로, 접촉면에 공기(20)가 분사되게 된다.A plurality of holes 340 are formed in the first plate 310 . The plurality of holes 340 are formed through the first plate 310 . Accordingly, the air 20 introduced into the hollow part 330 is sprayed upward of the first plate 310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340 .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is a contact surface where the workpiece 10 and the transfer unit 30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ir 20 is sprayed onto the contact surface.

따라서, 도 6과 같이,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에는 분사된 공기(20)로 인해 형성되는 공기층(21)이 형성된다(도 6의 점선 표시). 종래의 경우에는, 공기층(21)이 부재하고 본 발명의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에 해당되는 부분에 공작물(10)이 직접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에 해당되는 부분이 지니는 마찰력을 공작물(10)이 그대로 받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an air layer 21 formed by the sprayed air 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shown by a dotted line in FIG. 6 ).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air layer 21 is absent and the workpiece 1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workpiece 10 receives the frictional forc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as it is.

공작물(10)이 무겁거나, 형상이 단순하거나, 경사가 90도에 가깝다면 문제가 되지 않으나, 그 반대의 경우에는 공작물(10)은 마찰력으로 인해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배출부(200)에 해당되는 부분에 이송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workpiece 10 is heavy, the shape is simple, or the inclination is close to 90 degrees, it is not a problem, but in the opposite case, the workpiece 10 does not slide smoothly due to frictional force, so the discharge part 200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transferred to the corresponding part.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에 의하면, 공작물(10)과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 사이에 공기층(21)이 형성되므로 공작물(10)이 제1 플레이트(310)가 지니는 마찰계수를 그대로 적용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layer 21 is formed between the workpiece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the workpiece 10 has a friction coefficient of the first plate 310. will not be applied as such. Accordingly, the effect of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work piece 10 occurs.

이로 인해, 이송부(300)에서의 공작물(10)의 슬라이딩 동작이 종래의 경우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공작물(10)의 형상, 무게 및 이송부(300)가 지니는 경사에 따른 제약이 약화되어 공작물(10) 배출 능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Due to this, since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workpiece 10 in the transfer unit 300 is made more smoothly than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restrictions depending on the shape, weight, and inclination of the transfer unit 300 of the work 10 are weakened and the workpiece ( 10)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ischarge capacity occurs.

또한, 공작물(10)이 배출되지 않고 머물게 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시간 당 생산할 수 있는 공작물(10)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공작물(10)의 생산성의 향상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for which the workpiece 10 stays without being discharged is reduced, and the amount of the workpiece 10 that can be produced per hour is relatively increased, so that the productivity of the workpiece 10 can be improved.

복수 개의 홀(340)과 제1 플레이트(310)의 경계면에는 테이퍼면(3401)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홀(340)에 각각 형성되는 테이퍼면(3401)은 제1 플레이트(310)와 소정의 각도를 지닌다.A tapered surface 3401 is form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plurality of holes 340 and the first plate 310 . The tapered surfaces 3401 respectively formed in the plurality of holes 340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late 310 .

이때, 소정의 각도는 0도 초과 9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6에서는 45도 각도일 때의 공기(20)의 분사 모습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90도라 함은, 제1 플레이트(310)의 일 지점에서의 접선과 제1 플레이트(310)가 지니는 각도이고, 0도 초과 90도 미만의 범위는, 테이퍼면(3401)의 상단이 테이퍼면(3401)의 하단보다 이송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후방에 위치되었을 때의 범위를 의미한다.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angle is preferably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As an example, in FIG. 6 , the air 20 is sprayed at an angle of 45 degrees. Here, 90 degrees is an angle between the tangent line at one point of the first plate 310 and the first plate 310, and in the range of more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the upper end of the tapered surface 3401 is tapered. It means a range when positioned at the re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unit 300 than the lower end of the surface 3401 .

각도가 0도인 경우에는 공기(20)가 분사될 수 없으므로 0도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90도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20)의 분사 방향이 제1 플레이트(310)의 접선을 기준으로 이송부(300)의 전방으로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0도 초과 90도 미만인 경우에는 공기(20)의 분사 방향이 제1 플레이트(310)의 접선을 기준으로 이송부(300)의 후방으로 형성된다.When the angle is 0 degrees, it is preferable that the air 20 cannot be sprayed, so that it is more than 0 degre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90 degrees or more,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air 20 is formed in front of the transfer unit 300 with respect to the tangent line of the first plate 310 . Conversely, when the angle is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air 20 is formed in the rear of the transfer unit 300 with respect to the tangent line of the first plate 310 .

제1 플레이트(310)의 접선을 기준으로 이송부(300)의 전방인 경우에는 홀(340)에서 분사된 공기(20)가 제1 플레이트(310)의 경사를 따라 하강하는 방향으로 유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테이퍼면(3401)이 제1 플레이트(310)와 이루는 각도가 0도 초과 90도 미만인 경우에는, 분사된 공기(20)가 제1 플레이트(310)의 경사에 역행하여 승강하는 방향으로 최초로 유동한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 플레이트(310)의 경사를 따라 하강하는 방향으로 유동한다. 이로 인해,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공작물(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front of the transfer unit 300 based on the tangent line of the first plate 310 , the air 20 injected from the hole 340 flows in a descending direction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late 310 .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ngle between the tapered surface 3401 and the first plate 310 is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the injected air 20 goes against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late 310 , After first flowing in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direction, it flows in the descending direction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late 310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For this reas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esidence ti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is increas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work 10 is increased.

이송부(300)의 후방에는 보조 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320)의 선단은 길이 방향으로 제1 플레이트(310)보다 연장 형성되고, 절곡되어 제1 플레이트(310)와 상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uxiliary hole 321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transfer unit 300 . Referring to FIG. 6 ,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late 320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longer than the first plate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ben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310 upward.

이로 인해, 제2 플레이트(320)의 선단과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 사이에 공기(20)가 추가로 분사될 수 있는 보조 홀(321)이 형성된다. 중공부(330)에 유입된 공기(20)는 1차적으로 홀(340)을 통해 분사되고, 홀(340)을 통해 분사되지 않은 공기(20)는 보조 홀(321)을 통해 분사된다.Accordingly, an auxiliary hole 321 through which air 20 can be additionally injected i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late 3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 The air 20 introduced into the hollow part 330 is primarily injected through the hole 340 , and the air 20 not injected through the hole 340 is injected through the auxiliary hole 321 .

보조 홀(32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20)는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을 기준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한다. 이때, 공작물(10) 또한 헤드부(100)와 배출부(200)의 높이 차 및 이에 따른 경사로 인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하므로, 공작물(10)의 이동 방향과 보조 홀(32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20)의 방향이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10)이 배출부(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 되므로, 공작물(10)의 배출 효과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Air 20 injected through the auxiliary hole 321 flows from the rear to the front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 At this time, since the workpiece 10 also slid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ead part 100 and the discharge part 200 and the resulting inclination, the workpiece 10 is injected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auxiliary hole 321 The direction of the air 20 is the same. Therefore, since the work 10 receives a force to move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unit 200 ,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discharging effect of the work 10 is increased.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개의 홀(340)을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 개의 홀(340)은 제1 홀 그룹(341) 및 제2 홀 그룹(342)을 형성한다.5, the plurality of holes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lurality of holes 340 form a first hole group 341 and a second hole group 342 .

제1 홀 그룹(341)은 제1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가상의 제1 기준선(A)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제2 홀 그룹(342)은 제1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가상의 제2 기준선(B)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first hole groups 341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virtual reference line A formed on the first plate 310 . Also, the second hole groups 34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imaginary second reference line B formed on the first plate 310 .

제1 기준선(A)과 제2 기준선(B)은 도 5와 같이, 제1 플레이트(310)에 폭 방향으로 교차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호 인접하는 제1 홀 그룹(341) 및 제2 홀 그룹(342)은 폭 방향으로 동일한 평행선(C)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eference line A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B are formed to cross the first plate 310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5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ole group 341 and the second hole group 342 adjacent to each other are not arranged on the same parallel line C in the width direction.

이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7(a)는 상호 인접하는 제1 홀 그룹(341) 및 제2 홀 그룹(342)이 폭 방향으로 동일한 평행선(C) 상에 배치되는 경우의 공기(20)의 분사 범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과 같이 상호 인접하는 제1 홀 그룹(341) 및 제2 홀 그룹(342)이 폭 방향으로 동일한 평행선(C)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의 공기(20)의 분사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In order to explain the effect of this,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 7 . 7 (a) shows the injection range of the air 20 when the first hole group 341 and the second hole group 342 adjacent to each other are arranged on the same parallel line C in the width direction, 7 (b) is the injection of air 20 when the first hole group 341 and the second hole group 342 adjacent to each other are not arranged on the same parallel line C in the width direct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range is indicated.

도 7(a)와 도 7(b)를 비교한다. 홀(340)에서 분사되는 공기(20)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20)이 원형을 이룬다고 가정한다. 도 7(a)에서는 폭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홀(340)에서 발생된 공기층(20)과 중첩 범위가 발생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홀(340)과는 중첩 범위가 발생되지 않는다.7(a) and 7(b) are compared. It is assumed that the air layer 20 formed by the air 20 injected from the hole 340 forms a circle. In FIG. 7A , an overlapping range with the air layer 20 generated in the holes 34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s generated, and the overlapping range is not generated with the holes 34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그러나, 도 7(b)에서는 어느 하나의 홀(340)에서 형성되는 공기층(20)은 홀(340) 주변에 원형을 이루면서 인접하는 다른 복수 개의 홀(340)에서 형성되는 공기층(20)과 모두 중첩된다. 따라서, 중첩 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However, in FIG. 7(b) , the air layer 20 formed in any one hole 340 has a circular shape around the hole 340 and the air layer 20 formed in a plurality of other adjacent holes 340 and all overlap Accordingly, an effect of expanding the overlapping range occurs.

공작물 회수 장치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공작물(10)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에 의해 홀(340)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continuously used, the hole 340 may be blocked by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from the workpiece 10 .

이때, 본 발명과 같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복수 개의 홀(340)을 형성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홀(340)이 막혀 공기(20)가 분사되지 않는 경우, 막힌 홀(340)에 인접한 홀(340)이 이를 커버할 수 있는 범위가 도 7(a)에 따른 경우보다 넓으므로 공기층(21)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holes 340 are formed in a zigzag patter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y one hole 340 is blocked and air 20 is not sprayed, a hole 340 adjacent to the blocked hole 340 . Since the range that can cover this is wider than the case according to FIG. 7( a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the air layer 21 .

제1 플레이트(310)의 양 측부에는 날개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311)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지니며, 제1 플레이트(3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ings 311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310 . The wing part 311 has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plate 310 .

이러한 날개부(311)의 구성으로 인해, 공작물(10)이 이송부(30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이송부(3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공작물 회수 장치의 배출 능력이 증대된다.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wing portion 311 ,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workpiece 10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transfer unit 300 in the course of sliding along the transfer unit 300 . Due to this, the discharge capability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increas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300)의 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300)의 구성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8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effect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300)는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3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그루브(360)를 더 포함한다.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ll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urther includes a groove 360 .

그루브(360)는 제1 홀 그룹(341) 및 제2 홀 그룹(342)을 따라 함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그루브(360)는 평행선(C) 상에 배치된 제1 홀 그룹(341) 간 또는 제2 홀 그룹(342) 간을 잇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ove 360 is formed to be recessed along the first hole group 341 and the second hole group 342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grooves 360 are formed to connect between the first hole groups 341 or the second hole groups 342 arranged on the parallel lines C. As shown in FIG.

또한, 그루브(360)는 길이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제1 홀 그룹(341) 간 또는 제2 홀 그룹(342) 간을 잇는 그루브(360)를 연결한다. 이로 인해, 도 8과 같이 제1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340)을 모두 잇는 하나의 유로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roove 360 is also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the grooves 360 connecting the first hole group 341 or the second hole group 342 . Accordingly, as shown in FIG. 8 , a single flow path is formed that connects all of the plurality of holes 340 formed in the first plate 310 .

일 실시 예와는 달리,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300)는 중공부(330)에 공기(20)가 유입되는 경우, 유로를 통해 공기(20)의 유동이 유도되어 복수 개의 홀(340)로 분사된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20)의 분사량보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기(20)의 분사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Unlike one embodiment, in the transport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hen the air 20 is introduced into the hollow part 330 , the flow of the air 20 is induced through the flow path to induce a plurality of holes 340 . is sprayed with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i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increased than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ir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이로 인해, 일 실시 예에 의한 경우보다 공기층(21)의 두께가 두꺼워져 공작물(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또한, 공작물(10)의 배출 능력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Due to this, the thickness of the air layer 21 is thicker than the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workpiece 10 is further increased. In addition, the discharging ability of the workpiece 10 may be improved to increase productivity.

이하에서는, 공기(20)가 분사되어 공기층(21)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핀다. 주입구(350)를 통해 유입된 공기(20)는 중공부(330)에서 유동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in which the air 20 is sprayed to form the air layer 21 will be described. The air 20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350 flows in the hollow part 330 .

이송부(3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공기(20)는 유동되고, 제1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340)을 통과하여 제1 플레이트(310)의 상방으로 분사된다. 또한, 분사되지 않은 공기(20)는 보조 홀(321)을 따라서 추가적으로 분사된다.The air 20 flows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transfer unit 300 ,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340 formed in the first plate 310 , and is sprayed upwards of the first plate 310 . In addition, the non-injected air 20 is additionally injected along the auxiliary hole 321 .

이로 인해,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에는 공기층(21)이 형성된다. 공기층(21)은 공작물(10)과 제1 플레이트(310) 사이에 위치되어 공작물(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10)의 무게가 가볍거나, 넓은 면적을 지니는 등 형상의 특수성이 있거나, 이송부(300)의 경사 각도가 낮은 경우에도 공작물(10)의 배출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air layer 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 The air layer 21 is positioned between the work piece 10 and the first plate 310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work piece 10 . Therefore, even when the weight of the workpiece 10 is light, has a specific shape, such as having a large area, or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unit 300 is low, the discharge of the workpiece 10 can be made smoothly, so that productivity is improved. It works.

또한, 보조 홀(321)로부터 분사되는 공기(20)가 배출부(200) 방향으로 공작물(10)을 가압하여 배출 능력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ir 20 injected from the auxiliary hole 321 pressurizes the workpiece 10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unit 200 , thereby maximizing the discharge ability.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will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헤드, 2 : 배출장치,
3 : 중심축, 4 : 버킷,
5 : 암, 6 : 플레이트,
10 : 공작물, 20 : 공기,
21 : 공기층, 100 : 헤드부,
110 : 척, 200 : 배출부,
300 : 이송부, 301 : 회전축,
310 : 제1 플레이트, 311 : 날개부,
320 : 제2 플레이트, 321 : 보조홀,
330 : 중공부, 340 : 홀,
3401 : 테이퍼면, 341 : 제1 홀 그룹,
342 : 제2 홀 그룹, 350 : 주입구,
360 : 그루브, 400 : 제어부,
410 : 공기 공급유로, A : 제1 기준선,
B : 제2 기준선, C : 평행선.
1: head, 2: ejection device,
3: central axis, 4: bucket,
5: arm, 6: plate,
10: workpiece, 20: air,
21: air layer, 100: head part,
110: chuck, 200: discharge part,
300: transfer unit, 301: rotation shaft,
310: first plate, 311: wing,
320: second plate, 321: auxiliary hole,
330: hollow, 340: hole,
3401: tapered surface, 341: first hole group,
342: second hole group, 350: inlet,
360: groove, 400: control unit,
410: air supply flow path, A: first reference line,
B: second reference line, C: parallel line.

Claims (8)

척에 의해 공작물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수직 하방에 설치된 배출부; 및
일측이 상기 헤드부와 인접하고 타측이 상기 배출부와 인접하되, 베드와 수직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공작물을 상기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작물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공작물과 상기 이송부의 접촉면에 공기가 분사되고,
상기 이송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해 분사되되,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선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방으로 이격 및 절곡되어 보조 홀을 형성하고,
공기는 상기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보조 홀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a head part on which a workpiece is detachably installed by a chuck;
a discharge part installed vertically below the head part; and
Containing; and a transfer unit having one side adjacent to the head unit and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forming an inclinatio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ed to transfer the work to the discharge unit; and
When the workpiece moves along the conveying part, air is sprayed on the contact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the conveying part,
The transfer unit,
a first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plate form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plate;
a hollow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 plurality of holes passing through the first plate; and
Air introduced through the hollow part is spr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The tip of the second plate is spaced apart and bent upwardly from the first plate to form an auxiliary hole,
Air is ej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auxiliary h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에 각각에 형성되는 테이퍼면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apered surfac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forms an angle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with the first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기준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홀 그룹;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기준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홀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준선 및 상기 제2 기준선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폭 방향으로 교차되어 형성되되, 인접하는 상기 제1 홀 그룹 및 상기 제2 홀 그룹은 폭 방향으로 동일한 평행선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holes,
a first group of hole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first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forming a second hole group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a second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are formed to cross the first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adjacent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are not arranged on the same parallel line in the width direction. work piece recovery devi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작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s are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workpie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에 상기 제1 홀 그룹 및 상기 제2 홀 그룹을 따라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에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Further comprising; a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along the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i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e work piece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flowing into the hollow part moves along th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경사각도에 따라 상기 중공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주입구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the inlet to supply air to the hollow par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part.
KR1020180035067A 2018-03-27 2018-03-27 Workpiece parts catcher KR102436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67A KR102436298B1 (en) 2018-03-27 2018-03-27 Workpiece parts catc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67A KR102436298B1 (en) 2018-03-27 2018-03-27 Workpiece parts catc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996A KR20190112996A (en) 2019-10-08
KR102436298B1 true KR102436298B1 (en) 2022-08-25

Family

ID=6820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067A KR102436298B1 (en) 2018-03-27 2018-03-27 Workpiece parts catc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29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344B1 (en) * 2023-01-09 2024-01-12 김영수 Workpiece collection device for machine tool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6121A (en) * 2000-06-30 2002-01-18 Fujikoshi Mach Corp Storage device for waf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603U (en) * 1987-06-02 1988-12-13
JPH0815699B2 (en) * 1993-05-07 1996-02-21 有限会社甲南ダイカスト高松工場 Work table for article processing
KR0149784B1 (en) 1995-09-26 1998-11-02 석진철 Work retreiving device of cnc lathe
KR20060003731A (en) * 2004-07-07 2006-01-11 윈텍 주식회사 Method and defect examination apparatus for display bare glass
KR101555066B1 (en) 2009-12-10 2015-09-2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arts catc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ts catch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6121A (en) * 2000-06-30 2002-01-18 Fujikoshi Mach Corp Storage device for wa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996A (en) 201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1763B1 (en) Machining centre
US20040132595A1 (en) Machining station
US8082643B2 (en) Machining apparatus
JPH10180585A (en) Machine tool provided with automatic chip removal device
KR100635702B1 (en) Deburring robot system for cylinder head
KR102427733B1 (en) Tool turret of machine tool
KR102436298B1 (en) Workpiece parts catcher
WO2016071838A1 (en) Machine for cutting stone material
KR20110006582U (en) Machine for processing cast or forged rim and corresponding method
US7008152B2 (en) Machine tool for processing work pieces on at least three axes
KR102449379B1 (en) Clamping device of spindle for machine tool
KR101977551B1 (en) System of water jet apparatus having multi-head
CN105600371B (en) Hang automatic charging induction system and a method
KR20200106667A (en) Sliding cover for machine tool
JPS624504A (en) Machine tool
KR20200127540A (en) Machine tool
KR102562141B1 (en) Machine tool
KR20220124002A (en) Clamping device of spindle for machine tool
CA2377012C (en) A lathe
KR102595165B1 (en) Cross slide of turning center
US20230398651A1 (en) Machine Concept for the Mass Production of High-Precision Workpieces
KR102435068B1 (en) Machine tool
EP1920879A1 (en) Machine tool
KR102370771B1 (en) Carriage device of machine tool
KR102630395B1 (en)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