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12996A - Workpiece parts catcher - Google Patents

Workpiece parts catc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12996A
KR20190112996A KR1020180035067A KR20180035067A KR20190112996A KR 20190112996 A KR20190112996 A KR 20190112996A KR 1020180035067 A KR1020180035067 A KR 1020180035067A KR 20180035067 A KR20180035067 A KR 20180035067A KR 20190112996 A KR20190112996 A KR 20190112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plate
air
hol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50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36298B1 (en
Inventor
구상모
Original Assignee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5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6298B1/en
Publication of KR20190112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9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6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62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8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by means of slide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03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in a lath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07/00Automatic supply or removal of metal workpieces
    • B23Q2707/02Drive
    • B23Q2707/025Driving by vibration, shaking or jot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10Greenhouse gas [GHG] capture, material saving, heat recovery or other energy efficient measures, e.g. motor control, characterised by manufacturing processes, e.g. for rolling metal or metal wo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collection apparatus, which comprises: a head unit to which a workpiece is detachably installed by a chuck; a discharge unit installed in a vertically lower portion of the head unit; and a transfer unit having one side adjacent to the head unit and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and forming an inclination with a b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ransfer the workpiece to the discharge unit. When the workpiece is moved along the transfer unit, the air is sprayed to a contact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the transfer unit.

Description

공작물 회수장치{Workpiece parts catcher}Workpiece parts catcher

본 발명은 공작물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공작물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켜 공작물의 배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that can improve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workpiece by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workpiece through the air injected from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onveying unit. .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라 함은 각종 절삭 가공방법 또는 비절삭 가공방법으로 금속/비금속의 공작물을 적당한 공구를 이용하여 원하는 형상 및 치수로 가공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계를 말한다.In general, a machine tool refers to a machine that uses various cutting or non-cutting methods to process a metal / non-metal workpiece into a desired shape and dimension using a suitable tool.

터닝센터, 수직/수평 머시닝센터, 문형머시닝센터, 스위스 턴, 방전 가공기, 수평형 NC 보링머신, CNC 선반, 복합가공기 등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해당 작업의 용도에 맞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including turning centers, vertical / horizontal machining centers, door machining centers, swiss turns, electric discharge machines, horizontal NC boring machines, CNC lathes, and multi-task machines, are widely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in various industrial sites. It is used.

공작기계 중 복합가공기란 선삭가공과 드릴, 탭핑, 밀링가공 등 가공형태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는 다기능의 자동공구교환장치(ATC)와 공구 매거진이 장착된 터닝센터를 의미한다. 복합가공기에서 작업자가 가공에 필요한 공구를 로딩하거나 교환시에 공구를 수동으로 공구 매거진에 장착한다.Among the machine tools, the multi-tasking machine is a turning center equipped with a multi-functional automatic tool changer (ATC) and a tool magazine for various machining types such as turning, drilling, tapping, and milling. In the multi-task machine, the operator manually loads or replaces the tools required for machining and manually mounts the tools in the tool magazine.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공작기계는 수치제어(numerical control, NC) 또는 CNC(computerized numericalcontrol) 기술이 적용되는 조작반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조작반은 다양한 기능스위치 또는 버튼과 모니터를 구비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In general, various types of machine tools currently in use include operation panels to which numerical control (NC) or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CNC) technology is applied. This control panel has various function switches or buttons and a monitor.

또한, 공작기계는 공작물인 소재가 안착되고 공작물 가공을 위해 이송하는 테이블, 가공전 공작물을 준비하는 팔레트, 공구 또는 공작물이 결합되어 회전하는 주축, 공작물 등을 가공중에 지지하기 위한 심압대, 방진구 등을 구비한다. In addition, the machine tool is a table for seating the workpiece as a workpiece and transported for processing the workpiece, a pallet for preparing the workpiece before processing, a tailstock for supporting the spindle or the workpiece that is rotated by combining the tool or the workpiece, and a dustproof hole.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공작기계에서 테이블, 공구대, 주축, 심압대, 방진구 등은 다양한 가공을 수행하기 위해 이송축을 따라 이송하는 이송유닛을 구비한다.In general, in a machine tool, a table, a tool bar, a main shaft, a tailstock, a dust shield, etc. are provided with a conveying unit for conveying along a feed shaft to perform various processing.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공구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나 터렛이 사용된다.In addition, a machine tool generally uses a plurality of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a tool magazine or a turret is used in the form of a tool storage spa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tools.

이러한 공작기계는 다양한 가공을 위하여 다수의 공구를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공구를 수납보관하고 있는 툴 보관장소의 형태로 공구 매거진이 사용된다.Such a machine tool uses a plurality of tools for various processing, and a tool magazine is used in the form of a tool storage spa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tools.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공작기계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치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특정한 공구를 공구 매거진으로부터 인출하거나 다시 수납하기 위한 자동공구교환장치(ATC, AutomaticTool Changer)를 구비한다.In general, the machine tool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tool changer (ATC) for retracting or retracting a specific tool from the tool magazine by the command of the numerical control unit to improve the productivity of the machine tool.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비가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APC, AutomaticPallet Changer)를 구비한다. 자동 팔레트 교환장치(APC)는 팔레트를 공작물 가공 영역과 공작물 설치 영역 간에 자동으로 교환한다. 팔레트에는 공작물이 탑재될 수 있다.In addition, machine tools are typically equipped with an Automatic Pallet Changer (APC) to minimize downtime. An automatic pallet changer (APC) automatically changes pallets between the workpiece machining area and the workpiece installation area. Workpieces can be mounted on pallets.

또한, 일반적으로 공작기계는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을 자동으로 회수하는 공작물 회수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통상적으로 파트 캐쳐(Parts catcher)라 불린다. 공작물 회수장치는 공작기계의 주 목적인 가공행위에 직접 관여하는 장치가 아니기 때문에, 공작물 회수장치에 할당된 설치 공간은 제한적이게 된다.In general, a machine tool is provided with a workpiece recovery device for automatically recovering the workpiece is completed. Such a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commonly called a parts catcher. Since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not a device directly involved in the machining operation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e machine tool, the installation space allocated to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becomes limited.

공작물 회수장치는 여러 형태가 있으나, 대표적으로 포켓 방식와 슬라이딩 방식이 있다.There are many types of workpiece recovery devices, but there are typically pocket and sliding methods.

도 1은 종래의 버킷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1 illustrates a conventional bucket typ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nd FIG. 2 illustrates a conventional sliding typ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도 1을 참조하여 버킷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설명한다. 버킷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척에 의해 헤드(1)에 탈부착 가능한 공작물이 낙하하고, 버킷(4)이 이를 수거한다. 버킷(4)은 암(5)을 통해 중심축(3)과 연결되고, 중심축(3)을 기준으로 선회 가능하다. 선회하는 암(5) 및 버킷(4)은 배출장치(2)와 인접하고, 배출장치(2)에 공작물을 이송시키게 된다.Referring to Figure 1 will be described a bucket-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In the bucket-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a work piece detachable to the head 1 is dropped by the chuck, and the bucket 4 collects it. The bucket 4 is connected to the central axis 3 via the arm 5 and is pivotable about the central axis 3. The swinging arm 5 and the bucket 4 are adjacent to the discharging device 2 and transfer the workpiece to the discharging device 2.

이러한 버킷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공작물의 수거 위치와 배출 위치가 명확하며 가벼운 소재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공작물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처짐 현상으로 인해 배출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관절 구조의 특성 상 암(5)의 파손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회전 반경 확보를 위해 설치 공간이 많이 할당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is bucket-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has the advantage that the collection position and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workpiece is clear and can easily discharge light material. However, if the weight of the workpiece is heav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ischarge position is distorted due to the deflection phenomenon, there is a fear of damage to the arm (5) due to the nature of the joint structur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installation space should be allocated to secure the rotation radius.

도 2를 참조하여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설명한다.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중심축(3)을 기준으로 선회 가능한 플레이트(6)가 구비되고, 플레이트(6)가 베드를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를 지니면서 경사를 형성한다. 이때, 플레이트(6)의 일측은 헤드(1)와 인접하고, 타측은 배출장치(2)와 인접하여, 일측에 낙하되는 공작물은 경사로 인해 슬라이딩하여 배출장치(2)로 이송된다.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of the sliding metho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Sliding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provided with a plate (6) that can be rotated about the central axis (3), the plate 6 forms a slope with a predetermined angle relative to the bed. At this time, one side of the plate 6 is adjacent to the head 1, the other side is adjacent to the discharge device 2, the workpiece falling on one side is transported to the discharge device 2 by sliding due to the inclination.

이러한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넓은 바닥면을 지닌 플레이트 구조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소재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암 방식이 아니므로 내구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버킷 방식과는 달리 선회 반경이 짧아도 되므로 설치 공간을 많이 할당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버킷 방식보다는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Due to the plate structure having a wide bottom surface, such a sliding type workpiece recovery device can transfer various types of materials, and there is an excellent durability because it is not an arm type. In addition, unlike the bucket method, since the turning radius may be short, there is an advantage of not allocating a lot of installation space. Therefore, in recent years,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of the sliding method rather than the bucket method has been used a lot.

그러나,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는 플레이트(6)의 경사 각도가 낮은 경우, 공작물의 마찰 면적이 큰 경우, 공작물의 무게가 가벼운 경우에는 공작물 회수장치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배출 능력이 원활하게 되지 않고 공작물의 플레이트(6)에 머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경사를 90도에 가깝게 할수록 좋지만, 설치 가능한 공간의 제약이 있기 때문에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liding workpiece recovery device has a low ejection capacity, which is the most basic function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plate 6 is low, when the friction area of the workpiece is large, and the weight of the workpiece is light. There is a problem that stays on the plate (6). The closer the inclination to 90 degrees is better,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apply because of the constraints of the space available for installation.

따라서, 공작물의 형상, 무게, 경사 각도에 구속되는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의 배출 능력을 개선할 수 있는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invention that can improve the discharge capability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of the sliding method constrained by the shape, weight, and inclination angle of the workpiec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4978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14978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5066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5506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에서 분사되는 공기를 통해 이송부 상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공작물에 이송부로부터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n air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ing portion through the air injected from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onveying portion can reduce the friction force applied from the conveying portion to the workpiece It is to provide a workpiece recovery device.

또한,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의 테이퍼면과 제1 플레이트의 각도를 예각으로 설정하여 제1 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마찰력 감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provide a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that can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reducing effect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air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by setting the angle of the tapered surface of the hole formed i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plate at an acute angle. .

또한, 이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을 제1 홀 그룹 및 제2 홀 그룹으로 분리하여 제1 홀 그룹과 제2 홀 그룹이 평행선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층의 중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onveying part is separated into a first hole group and a second hole group so that the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are not disposed on parallel lines, and thus the workpiece retrieval which can expand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air layer. To provide a device.

또한, 보조홀을 형성하여 공기를 공작물이 슬라이딩 하는 방향으로 분사시켜 공작물의 배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that can form an auxiliary hole to inject ai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piece slides to improve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workpiece.

또한, 복수 개의 홀을 잇는 그루브를 통해 공기의 분사를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제1 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마찰력 감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공작물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provide a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that can form a flow path for inducing the injection of air through the grooves connecting the plurality of holes to increase the friction force reduction effect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air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척에 의해 공작물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수직 하방에 설치된 배출부; 및 일측이 상기 헤드부와 인접하고 타측이 상기 배출부와 인접하되, 베드와 수직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공작물을 상기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작물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공작물과 상기 이송부의 접촉면에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on which a workpiece is detachably installed by a chuck; A discharge part installed below the head part vertically; And a conveying part having one side adjacent to the head part and the other side adjoining the discharge part to form an inclination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 bed to transfer the workpiece to the discharge part. , The air is injected to the contact surface of the workpiece and the transfer uni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이송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veying part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plate form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plate; A hollow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plate, wherein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hollow part is inj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홀에 각각에 형성되는 테이퍼면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pered surfac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n angle of more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with the first pla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상기 복수 개의 홀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기준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홀 그룹;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기준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홀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준선 및 상기 제2 기준선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폭 방향으로 교차되어 형성되되, 인접하는 상기 제1 홀 그룹 및 상기 제2 홀 그룹은 폭 방향으로 동일한 평행선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les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ole group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first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hole group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second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are formed to cross the first plate in a width direction. The adjacent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are not disposed on the same parallel line in the width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선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방으로 이격 및 절곡되어 보조 홀을 형성하고, 공기는 상기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보조 홀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late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paced apart and bent upwards to form the auxiliary hole, the air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auxiliary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작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s are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orkpie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에 상기 제1 홀 그룹 및 상기 제2 홀 그룹을 따라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에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es a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along the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The air is characterized by moving along the groo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상기 이송부의 경사각도에 따라 상기 중공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주입구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ressur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the inlet for supplying air to the hollow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uni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이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이송부 상면에 공기층을 형성한다. 공기층은 공작물에 가해지는 이송부로부터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공작물의 무게, 형상 및 이송부의 경사 각도의 제약에 구애받지 않고 공작물의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위 시간 당 배출 가능한 공작물의 수가 증대되어 생산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ir injected from 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transfer unit forms an air layer on the transfer unit upper surface. The air layer reduces the frictional force from the conveying portion applied to the workpiece, so that the workpiece can be discharged smoothly regardless of the weight, the shape of the workpiece, an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conveying portion. As a result, the number of workpieces that can be discharged per unit time is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productivity.

또한, 제1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홀의 테이퍼면과 제1 플레이트의 각도가 예각으로 설정되므로 제1 플레이트 상면 상에 공기가 머무르는 시간이 증대된다. 따라서, 공기층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마찰력 감소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ngle between the tapered surface of the hole formed in the first plate and the first plate is set at an acute angle, the time for air to stay on the first plate upper surface is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hickness of the air layer becomes thick and the frictional force reducing effect is increased.

또한, 보조홀이 형성되어 보조홀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가 공작물이 슬라이딩 하는 방향으로 공작물을 가압하므로, 공작물의 배출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uxiliary hole is formed and the air injected through the auxiliary hole presses the work pie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rk piece slides,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work piece.

또한, 이송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홀을 제1 홀 그룹 및 제2 홀 그룹으로 분리하여 제1 홀 그룹과 제2 홀 그룹이 평행선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공기층의 중첩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어, 어느 하나의 홀이 막힌 경우에도 인접한 홀이 이를 커버할 수 있어 마찰력 감소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가가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the conveying part may be divided into a first hole group and a second hole group so that the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are not disposed on parallel lines, thereby expanding the overlapping range of the air layer. Even if one hole is blocked, adjacent holes can cover it, which is effective to maintain the frictional force reducing effect.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에 의해 복수 개의 홀을 잇는 그루브를 통해 공기의 분사를 유도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제1 플레이트 상면에 형성되는 공기층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마찰력 감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reduction effect by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air lay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by forming a flow path for inducing the injection of air through the groov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holes by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re is.

도 1은 종래의 버킷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슬라이딩 방식의 공작물 회수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이송부 부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홀의 배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및 7(b)는 홀의 배치에 따른 공기층의 형성 범위를 비교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의 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1 shows a conventional bucket typ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Figure 2 shows a conventional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of the sliding method.
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vicinity of the transfer portion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holes in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compare the formation range of the air laye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oles.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of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provided as examples to ensure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are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e general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relative size of layers and region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 / or “comprising” refers to a component, step, operation and / or element that is present in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elements. Or does not exclude additions.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아. "길이 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도 3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길이 방향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 3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동일부재에서 길이 방향 및 폭 방향과 동시에 직교하는 높이를 형성하는 방향으로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또한, "전방"이란, 이송부를 기준으로 배출부 부근을 의미하며, "후방"이란, 이송부를 기준으로 헤드부 부근을 의미한다.The definitions of the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The "length direction" is the x-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3 in the same member, and the "width direction" is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3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same member. In addition, the "vertical direction" means the z-axis direction in the direction which forms the height orthogonal to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idth direction at the same member. In addition, "upward" means the upward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downward" means the downward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inner side means a relatively near center in the same member. In addition, "front" means the vicinity of a discharge part based on a conveyance part, and "rear" means the vicinity of a head part based on a conveyance part.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이송부 부근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홀의 배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 및 7(b)는 홀의 배치에 따른 공기층의 형성 범위를 비교한 것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의 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the vicinity of the conveying portion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hole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a) and 7 (b) is a comparison of the formation range of the air laye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hole,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the back of the transfe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를 설명한다.3 to 8,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헤드부(100), 배출부(200) 및 이송부(300)를 포함한다.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ead portion 100, the discharge unit 200 and the transfer unit 300.

헤드부(100)는 공작 기계의 스핀들 헤드로, 선단에 척(110)이 형성된다. 척(110)에는 공작물(10)이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공이 완료된 공작물(10)은 후술할 이송부(300)에 수용된다. 도 3에서는 일 예로 원통 형상의 공작물(10)을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Head portion 100 is a spindle head of the machine tool, the chuck 110 is formed at the tip. The workpiece 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huck 110. Workpiece 10 is completed is accommodated in the transfer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In FIG. 3, the cylindrical work piece 10 is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배출부(200)는 이송부(300)에 의해 이송된 공작물(10)을 배출하는 곳이다. 배출부(200)는 이송부(300)의 타측과 인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공작물(10)은 이송부(300)를 거쳐 배출부(200)에 유입된다.The discharge unit 200 is a place for discharging the workpiece 10 transferred by the transfer unit 300. Discharge unit 200 is preferably adjacent to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unit (300). Therefore, the workpiece 10 flows into the discharge part 200 via the transfer part 300.

이때, 배출부(200)는 헤드부(100)의 수직 하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의 베드를 기준으로 헤드부(100)의 수직 방향의 높이가 배출부(200)의 수직 방향의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unit 200 is preferably installed to be located below the head portion 100 vertically.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ead part 100 based on the bed of the machine tool is higher than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rt 200.

이러한 구조로 인해, 이송부(300)가 선회하여 이송부(300)의 일측이 헤드부(100)에 인접하고, 이송부(300)의 타측이 배출부(200)에 인접하게 되면 경사가 형성되고, 공작물(10)이 헤드부(100)에서 배출부(200)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별도의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도, 자중에 의해 공작물(10)이 배출부(200)로 이동하게 된다.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conveying unit 300 is pivoted so that one side of the conveying unit 300 is adjacent to the head portion 100,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veying unit 300 is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200, a work piece is formed. 10 slides from the head part 100 toward the discharge part 200. The workpiece 10 is moved to the discharge part 200 by its own weight without applying a separate physical force.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는 이송부(300)의 경사각도에 따라 중공부(33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주입구(350)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 유로(4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s 3 and 4,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let for supplying air to the hollow portion 33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portion 300 The controller 4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400 for controlling a pressure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0 connected to the 350.

즉, 제어부(400)는 공작기계의 본체 또는 배출부(200)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이송부(300)의 경사각도에 따라 공기 공급 유로(410)를 통해 주입구(35)와 중공부(3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한다. 즉, 이송부(300)가 지면 또는 배출부(200)와 이루는 각도가 큰 경우에는 마찰력이 감소함에 따라 작은 압력의 공기를 공기 공급 유로(410)를 통해 주입구(350)와 중공부(330)에 공급한다. 이와 반대로 이송부(300)가 지면 또는 배출부(200)와 이루는 각도가 작은 경우에는 마찰력이 증가함에 따라 작은 압력의 공기를 공기 공급 유로(410)를 통해 주입구(350)와 중공부(330)에 공급한다. 이처럼, 이송부(300)가 지면 또는 배출부(200)와 이루는 경사각도에 따라 배출되는 공작물이 받는 마찰력이 변화되고, 이러한 마찰력 변화에 따라 최적의 공기 공급 압력을 제어하여 공급하여 공작물 회수작업의 신뢰성과 효율성이 극대화되고,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400 is installed in the main body or the discharge unit 200 of the machine tool.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ied to the injection hole 35 and the hollow portion 330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unit 300. That is, when the conveyance part 300 forms a large angle with the ground or the discharge part 200, as the frictional force decreases, air of a small pressure is injected into the inlet 350 and the hollow part 330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0. Supply. On the contrary, when the conveyance part 300 forms a small angle with the ground or the discharge part 200, as the frictional force increases, air of a small pressure is injected into the inlet 350 and the hollow part 330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0. Supply. As such, the friction force received by the discharged workpie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transfer unit 300 with the ground or the discharge unit 200, and the optimum air supply pressure is controlled and suppl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friction force to ensure the reliability of the workpiece recovery operation. And efficiency can be maximized and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또한, 제어부(400)는 제어부(400)에 미리 입력된 CNC 프로그램과 가공 프로그램 등을 통해 최종 가공된 공작물의 형상이나 중량에 따라 중공부(33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주입구(350)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 유로(41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injection hole 350 to supply air to the hollow part 330 according to the shape or weight of the final processed workpiece through the CNC program and the machining program, etc. previously input to the control unit 400. The pressure of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passage 410 may be controlled.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이송부(300) 부근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홀(340)의 배치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의 이송부(3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Figure 4 shows the vicinity of the conveying part 300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schematic view of the arrangement of the hole 340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is shown. Hereinafter, the transfer unit 300 o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이송부(300)는 헤드부(100)와 배출부(200) 사이에 위치한다. 이송부(300)의 일측은 헤드부(100)와 인접하며, 이송부(300)의 타측은 배출부(200)와 인접한다. 이로 인해, 이송부(300)는 공작 기계의 베드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송부(300)의 일측에 최초로 수용된 공작물(10)은 이송부(300)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배출부(200)로 유입된다.The transfer part 300 is located between the head part 100 and the discharge part 200. One side of the transfer unit 300 is adjacent to the head portion 100, the other side of the transfer unit 300 is adjacent to the discharge unit 200. As a result, the transfer part 300 forms an inclin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d of the machine tool. Therefore, the workpiece 10 first receiv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art 300 slides along the transfer part 300 and flows into the discharge part 200.

이송부(300)는 회전축(301)에 결합되어 선회한다. 이로 인해, 공작물(10)을 배출하는 필요한 시기에만 헤드부(100) 및 배출부(200)와 인접하게 하여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transfer part 300 is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01 to pivot.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space can be minimized by adjoining the head part 100 and the discharge part 200 only at a necessary time for discharging the workpiece 10.

이송부(300)는 제1 플레이트(310), 제2 플레이트(320), 중공부(330), 홀(340) 및 주입구(350)를 포함한다.The transfer part 300 includes a first plate 310, a second plate 320, a hollow part 330, a hole 340, and an injection hole 350.

제1 플레이트(3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지닌 직육면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late 31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4 it is preferably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제2 플레이트(320)는 제1 플레이트(310)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플레이트(320)는 제1 플레이트(310)에서 하방으로 이격된다. 이로 인해,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 사이에는 중공부(330)가 형성된다.The second plate 320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ike the first plate 310. The second plate 320 is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plate 310. For this reason, the hollow part 330 is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제1 플레이트(310) 또는 제2 플레이트(320) 또는 제1 플레이트(310)와 제2 플레이트(320)가 맞닿는 일 지점에 주입구(350)가 형성된다. 일 예로, 배출부(200)와 인접한 부근에 주입구(350)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200)와 인접한 부근에 주입구(350)가 형성되면, 주입구(350)를 통해 유입된 공기(20)가 중공부(330)에서 전방에서 후방으로 순차적으로 유동되어 이송부(30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340)에 골고루 배분된다. 이로 인해, 특정 구역에만 공기(20)가 분사되는 현상이 방지되고, 공작물(10)이 받는 마찰력이 감소되는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injection hole 350 is formed at one point where the first plate 310 or the second plate 320 or the first plate 310 and the second plate 320 contact each other. For example, the injection hole 350 may be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part 200. When the injection hole 350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part 200, the air 20 introduc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350 is sequentially flowed from the hollow part 330 from the front part to the rear part to be formed in the transfer part 300. It is evenly distributed to the plurality of holes 340. As a result, the phenomenon in which the air 20 is sprayed only in a specific region is prevented, and the friction force received by the work 10 may be maximized.

도면에 도시되에 있지 않지만, 주입구(350)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외부 공기는 주입구(350)를 통해 중공부(330)에 유입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evice capable of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inlet 350 may be provided, and th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hollow part 330 through the inlet 350.

제1 플레이트(310)에는 복수 개의 홀(340)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홀(340)은 제1 플레이트(3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중공부(330)에 유입된 공기(20)는 복수 개의 홀(340)을 통해 제1 플레이트(310)의 상방으로 분사된다.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은 공작물(10)과 이송부(300)가 맞닿는 접촉면으로, 접촉면에 공기(20)가 분사되게 된다.A plurality of holes 340 are formed in the first plate 310. The plurality of holes 340 are formed through the first plate 310. Therefore, the air 20 introduced into the hollow part 330 is injected above the first plate 310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340.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is a contact surface where the workpiece 10 and the transfer part 300 abut, and the air 20 is injected into the contact surface.

따라서, 도 6과 같이,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에는 분사된 공기(20)로 인해 형성되는 공기층(21)이 형성된다(도 6의 점선 표시). 종래의 경우에는, 공기층(21)이 부재하고 본 발명의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에 해당되는 부분에 공작물(10)이 직접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에 해당되는 부분이 지니는 마찰력을 공작물(10)이 그대로 받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6, the air layer 21 formed by the injected air 2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indicated by dotted lines in FIG. 6).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air layer 21 is absent and the work 10 directly contacts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workpiece 10 receives the friction forc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as it is.

공작물(10)이 무겁거나, 형상이 단순하거나, 경사가 90도에 가깝다면 문제가 되지 않으나, 그 반대의 경우에는 공작물(10)은 마찰력으로 인해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배출부(200)에 해당되는 부분에 이송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workpiece 10 is heavy, the shape is simple, or the inclination is close to 90 degrees, it does not matter, but in the opposite case, the workpiece 10 is not smoothly sliding due to the friction force, the discharge portion 200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transfer to the corresponding part.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공작물 회수장치에 의하면, 공작물(10)과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 사이에 공기층(21)이 형성되므로 공작물(10)이 제1 플레이트(310)가 지니는 마찰계수를 그대로 적용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이 감소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However, according to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ir layer 21 is formed between the workpiece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the workpiece 10 has a coefficient of friction that the first plate 310 has. It will not be applied as it is. Thus, the effect that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work 10 is reduced.

이로 인해, 이송부(300)에서의 공작물(10)의 슬라이딩 동작이 종래의 경우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공작물(10)의 형상, 무게 및 이송부(300)가 지니는 경사에 따른 제약이 약화되어 공작물(10) 배출 능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ly, since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workpiece 10 in the transfer part 300 is performed more smoothly than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shape, the weight, and the constraints of the inclination of the transfer part 300 are weakened so that the workpiece ( 10)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discharge capacity occurs.

또한, 공작물(10)이 배출되지 않고 머물게 되는 시간이 줄어들고, 시간 당 생산할 수 있는 공작물(10)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공작물(10)의 생산성의 향상 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time for the workpiece 10 to stay without being discharged is reduced, and the amount of the workpiece 10 that can be produced per hour is relatively increased, thereby express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workpiece 10.

복수 개의 홀(340)과 제1 플레이트(310)의 경계면에는 테이퍼면(3401)이 형성된다. 복수 개의 홀(340)에 각각 형성되는 테이퍼면(3401)은 제1 플레이트(310)와 소정의 각도를 지닌다.A tapered surface 3401 is formed at an interface between the plurality of holes 340 and the first plate 310. The tapered surfaces 3401 respectively formed in the plurality of holes 340 have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plate 310.

이때, 소정의 각도는 0도 초과 90도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6에서는 45도 각도일 때의 공기(20)의 분사 모습을 도시하였다. 여기서, 90도라 함은, 제1 플레이트(310)의 일 지점에서의 접선과 제1 플레이트(310)가 지니는 각도이고, 0도 초과 90도 미만의 범위는, 테이퍼면(3401)의 상단이 테이퍼면(3401)의 하단보다 이송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후방에 위치되었을 때의 범위를 의미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redetermined angle is more than 0 degree and less than 90 degree. For example, FIG. 6 illustrates the injection of air 20 at a 45 degree angle. Here, 90 degrees means an angle between the tangent at one point of the first plate 310 and the first plate 310, and a range of more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is tapered at the upper end of the tapered surface 3401. It means the range when it is located rear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nsfer part 300 from the lower end of the surface (3401).

각도가 0도인 경우에는 공기(20)가 분사될 수 없으므로 0도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90도 이상인 경우에는 공기(20)의 분사 방향이 제1 플레이트(310)의 접선을 기준으로 이송부(300)의 전방으로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0도 초과 90도 미만인 경우에는 공기(20)의 분사 방향이 제1 플레이트(310)의 접선을 기준으로 이송부(300)의 후방으로 형성된다.When the angle is 0 degrees, since the air 20 cannot be injec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is more than 0 degrees. In addition, when the ang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90 degrees,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air 20 is formed in front of the transfer part 300 based on the tangent of the first plate 310.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more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the injection direction of the air 20 is formed to the rear of the transfer part 300 based on the tangent of the first plate 310.

제1 플레이트(310)의 접선을 기준으로 이송부(300)의 전방인 경우에는 홀(340)에서 분사된 공기(20)가 제1 플레이트(310)의 경사를 따라 하강하는 방향으로 유동한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테이퍼면(3401)이 제1 플레이트(310)와 이루는 각도가 0도 초과 90도 미만인 경우에는, 분사된 공기(20)가 제1 플레이트(310)의 경사에 역행하여 승강하는 방향으로 최초로 유동한 뒤,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1 플레이트(310)의 경사를 따라 하강하는 방향으로 유동한다. 이로 인해,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에서 머무는 시간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공작물(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front of the transfer unit 300 based on the tangent of the first plate 310, the air 20 injected from the hole 340 flows in a descending direction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late 310. Howev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ngle formed by the tapered surface 3401 with the first plate 310 is greater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the injected air 20 reverses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late 310. After the first flow in the lifting direction,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passes in the direction of falling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plate (310).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ime for stay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is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ffect that can reduce the friction force applied to the workpiece 10 is increased.

이송부(300)의 후방에는 보조 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320)의 선단은 길이 방향으로 제1 플레이트(310)보다 연장 형성되고, 절곡되어 제1 플레이트(310)와 상방으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 auxiliary hole 321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transfer part 300. Referring to FIG. 6,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late 320 extends from the first plate 3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bent an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late 310.

이로 인해, 제2 플레이트(320)의 선단과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 사이에 공기(20)가 추가로 분사될 수 있는 보조 홀(321)이 형성된다. 중공부(330)에 유입된 공기(20)는 1차적으로 홀(340)을 통해 분사되고, 홀(340)을 통해 분사되지 않은 공기(20)는 보조 홀(321)을 통해 분사된다.As a result, an auxiliary hole 321 through which air 20 may be further injected i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econd plate 320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The air 20 introduced into the hollow part 330 is primarily injected through the hole 340, and the air 20 not injected through the hole 340 is injected through the auxiliary hole 321.

보조 홀(32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20)는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을 기준으로 후방에서 전방으로 유동한다. 이때, 공작물(10) 또한 헤드부(100)와 배출부(200)의 높이 차 및 이에 따른 경사로 인해 후방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 하므로, 공작물(10)의 이동 방향과 보조 홀(321)을 통해 분사되는 공기(20)의 방향이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10)이 배출부(200)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을 받게 되므로, 공작물(10)의 배출 효과가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The air 20 injected through the auxiliary hole 321 flows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first plate 310. At this time, since the work 10 also slides from the rear to the front due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ead part 100 and the discharge part 200 and the inclination thereof, the work 10 is sprayed through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auxiliary hole 321 of the work 10. The direction of the air 20 is the same. Therefore, since the work 10 receives the force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discharge part 200,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ischarge effect of the work 10 is increased.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복수 개의 홀(340)을 상세히 설명한다. 복수 개의 홀(340)은 제1 홀 그룹(341) 및 제2 홀 그룹(342)을 형성한다.5, a plurality of holes 3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lurality of holes 340 form a first hole group 341 and a second hole group 342.

제1 홀 그룹(341)은 제1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가상의 제1 기준선(A)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제2 홀 그룹(342)은 제1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가상의 제2 기준선(B)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The first hole group 341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imaginary first reference line A formed in the first plate 310. In addition, the second hole group 342 is formed along the virtual second reference line B formed on the first plate 31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1 기준선(A)과 제2 기준선(B)은 도 5와 같이, 제1 플레이트(310)에 폭 방향으로 교차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호 인접하는 제1 홀 그룹(341) 및 제2 홀 그룹(342)은 폭 방향으로 동일한 평행선(C)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reference line A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B are formed to intersect the first plate 310 in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5.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hole group 341 and the second hole group 342 adjacent to each other are not disposed on the same parallel line C in the width direction.

이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 도 7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7(a)는 상호 인접하는 제1 홀 그룹(341) 및 제2 홀 그룹(342)이 폭 방향으로 동일한 평행선(C) 상에 배치되는 경우의 공기(20)의 분사 범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b)는 본 발명과 같이 상호 인접하는 제1 홀 그룹(341) 및 제2 홀 그룹(342)이 폭 방향으로 동일한 평행선(C) 상에 배치되지 않는 경우의 공기(20)의 분사 범위를 나타낸 것이다.In order to explain the effects thereof, reference is made to FIG. 7. FIG. 7A illustrates the injection range of the air 20 when the first hole group 341 and the second hole group 342 adjacent to each other are disposed on the same parallel line C in the width direction. FIG. 7B shows the injection of air 20 when the first hole group 341 and the second hole group 342 adjacent to each other are not disposed on the same parallel line C in the width directio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nge is shown.

도 7(a)와 도 7(b)를 비교한다. 홀(340)에서 분사되는 공기(20)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20)이 원형을 이룬다고 가정한다. 도 7(a)에서는 폭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홀(340)에서 발생된 공기층(20)과 중첩 범위가 발생되고, 길이 방향으로 상호 인접한 홀(340)과는 중첩 범위가 발생되지 않는다.7 (a) and 7 (b) are compared. Assume that the air layer 20 formed by the air 20 injected from the hole 340 is circular. In FIG. 7A, an overlapping range with the air layer 20 generated in the holes 34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is generated, and overlapping ranges with the holes 340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not generated.

그러나, 도 7(b)에서는 어느 하나의 홀(340)에서 형성되는 공기층(20)은 홀(340) 주변에 원형을 이루면서 인접하는 다른 복수 개의 홀(340)에서 형성되는 공기층(20)과 모두 중첩된다. 따라서, 중첩 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발생한다.However, in FIG. 7B, the air layer 20 formed in one of the holes 340 is formed in a circle around the hole 340, and the air layer 20 is formed in the adjacent plurality of holes 340. Overlaps. Thus, the effect of expanding the overlapping range occurs.

공작물 회수 장치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공작물(10)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에 의해 홀(340)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If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is used continuously, the hole 340 may be blocked by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in the workpiece 10.

이때, 본 발명과 같이 지그재그 패턴으로 복수 개의 홀(340)을 형성하게 되면, 어느 하나의 홀(340)이 막혀 공기(20)가 분사되지 않는 경우, 막힌 홀(340)에 인접한 홀(340)이 이를 커버할 수 있는 범위가 도 7(a)에 따른 경우보다 넓으므로 공기층(21)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when the plurality of holes 340 are formed in a zigzag pattern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of the holes 340 is blocked and the air 20 is not injected, the holes 340 adjacent to the blocked holes 340 are formed. This can cover this range is wider than the case according to Figure 7 (a)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the air layer (21).

제1 플레이트(310)의 양 측부에는 날개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311)는 수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지니며, 제1 플레이트(3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ing parts 311 may be formed at both side portions of the first plate 310. The wing portion 311 has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preferably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first plate 310.

이러한 날개부(311)의 구성으로 인해, 공작물(10)이 이송부(300)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과정에서 이송부(30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공작물 회수 장치의 배출 능력이 증대된다.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wing 311,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orkpiece 1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transfer unit 300 in the process of sliding along the transfer unit 300. This increases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300)의 후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300)의 구성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8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ar surface of 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 8 to describe the configuration and the effects of 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300)는 일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300)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고, 그루브(360)를 더 포함한다.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cludes all of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uni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urther includes a groove (360).

그루브(360)는 제1 홀 그룹(341) 및 제2 홀 그룹(342)을 따라 함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그루브(360)는 평행선(C) 상에 배치된 제1 홀 그룹(341) 간 또는 제2 홀 그룹(342) 간을 잇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ove 360 is formed to be recessed along the first hole group 341 and the second hole group 342. In addition, the groove 360 is preferably formed in a form connecting the first hole group 341 or the second hole group 342 disposed on the parallel line (C).

또한, 그루브(360)는 길이 방향으로도 형성되어 제1 홀 그룹(341) 간 또는 제2 홀 그룹(342) 간을 잇는 그루브(360)를 연결한다. 이로 인해, 도 8과 같이 제1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340)을 모두 잇는 하나의 유로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groove 360 is also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nnect the grooves 360 connecting the first hole group 341 or the second hole group 342. As a result, as shown in FIG. 8, one flow path connecting all of the plurality of holes 340 formed in the first plate 310 is formed.

일 실시 예와는 달리,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이송부(300)는 중공부(330)에 공기(20)가 유입되는 경우, 유로를 통해 공기(20)의 유동이 유도되어 복수 개의 홀(340)로 분사된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 의한 공기(20)의 분사량보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한 공기(20)의 분사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Unlike one embodiment, when the air 20 is introduced into the hollow portion 33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flow of the air 20 is induced through the flow path to the plurality of holes 340 Is sprayed on. Therefor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i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an the injection amount of the air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generated.

이로 인해, 일 실시 예에 의한 경우보다 공기층(21)의 두께가 두꺼워져 공작물(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더욱 증대된다. 또한, 공작물(10)의 배출 능력이 향상되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air layer 21 is thicker than in the case of the exemplary embodiment,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effect of reducing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work 10. In addition, the discharge capacity of the work 10 can be improved to increase productivity.

이하에서는, 공기(20)가 분사되어 공기층(21)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핀다. 주입구(350)를 통해 유입된 공기(20)는 중공부(330)에서 유동한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forming the air layer 21 by injecting the air 20 is examined. The air 20 introduced through the injection hole 350 flows in the hollow part 330.

이송부(30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공기(20)는 유동되고, 제1 플레이트(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홀(340)을 통과하여 제1 플레이트(310)의 상방으로 분사된다. 또한, 분사되지 않은 공기(20)는 보조 홀(321)을 따라서 추가적으로 분사된다.The air 20 flows from the front to the back of the transfer part 300 and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340 formed in the first plate 310 and is injected upward of the first plate 310. In addition, the non-injected air 20 is additionally injected along the auxiliary hole 321.

이로 인해, 제1 플레이트(310)의 상면에는 공기층(21)이 형성된다. 공기층(21)은 공작물(10)과 제1 플레이트(310) 사이에 위치되어 공작물(10)에 가해지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게 된다. 따라서, 공작물(10)의 무게가 가볍거나, 넓은 면적을 지니는 등 형상의 특수성이 있거나, 이송부(300)의 경사 각도가 낮은 경우에도 공작물(10)의 배출이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us, the air layer 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310. The air layer 21 is positioned between the work piece 10 and the first plate 310 to reduce the frictional force applied to the work piece 10. Therefore, even when the weight of the workpiece 10 is light, or has a large area, or the like, or even when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part 300 is low, the workpiece 10 may be smoothly discharged,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It works.

또한, 보조 홀(321)로부터 분사되는 공기(20)가 배출부(200) 방향으로 공작물(10)을 가압하여 배출 능력이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ir 20 injected from the auxiliary hole 321 pressurizes the workpiece 10 toward the discharge part 200, thereby maximizing the discharge capacity.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rt.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헤드, 2 : 배출장치,
3 : 중심축, 4 : 버킷,
5 : 암, 6 : 플레이트,
10 : 공작물, 20 : 공기,
21 : 공기층, 100 : 헤드부,
110 : 척, 200 : 배출부,
300 : 이송부, 301 : 회전축,
310 : 제1 플레이트, 311 : 날개부,
320 : 제2 플레이트, 321 : 보조홀,
330 : 중공부, 340 : 홀,
3401 : 테이퍼면, 341 : 제1 홀 그룹,
342 : 제2 홀 그룹, 350 : 주입구,
360 : 그루브, 400 : 제어부,
410 : 공기 공급유로, A : 제1 기준선,
B : 제2 기준선, C : 평행선.
1: head, 2: ejector,
3: central axis, 4: bucket,
5: arm, 6: plate,
10: workpiece, 20: air,
21: air layer, 100: head portion,
110: chuck, 200: discharge part,
300: feeder, 301: rotation axis,
310: first plate, 311: wing portion,
320: second plate, 321: auxiliary hole,
330: hollow part, 340: hole,
3401: tapered surface, 341: first hole group,
342: second hole group, 350: injection hole,
360: groove, 400: control unit,
410: air supply passage, A: first reference line,
B: second reference line, C: parallel line.

Claims (8)

척에 의해 공작물이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수직 하방에 설치된 배출부; 및
일측이 상기 헤드부와 인접하고 타측이 상기 배출부와 인접하되, 베드와 수직 방향으로 경사를 형성하여 상기 공작물을 상기 배출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작물이 상기 이송부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공작물과 상기 이송부의 접촉면에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A head portion on which the work piece is detachably installed by the chuck;
A discharge part installed below the head part vertically; And
And a conveying part having one side adjacent to the head part and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discharge part, forming a slop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 bed to transfer the workpiece to the discharge part.
And when the workpiece moves along the conveying portion, air is sprayed onto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workpiece and the convey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하방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중공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복수 개의 홀;을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복수 개의 홀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unit,
A first plat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plate form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first plate;
A hollow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plate and the second plate; And
And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plate.
The air flowing through the hollow portion is a workpiece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jection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에 각각에 형성되는 테이퍼면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0도 초과 90도 미만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tapered surface form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holes, the workpiece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n angle of more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90 degrees with the first pl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기준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홀 그룹; 및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기준선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2 홀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준선 및 상기 제2 기준선은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폭 방향으로 교차되어 형성되되, 인접하는 상기 제1 홀 그룹 및 상기 제2 홀 그룹은 폭 방향으로 동일한 평행선상에 배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plurality of holes,
First hole group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a first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hole group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second reference lin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reference line and the second reference line are formed to cross the first plate in the width direction, wherein the adjacent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are not disposed on the same parallel line in the width direction. Workpiece recovery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선단은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상방으로 이격 및 절곡되어 보조 홀을 형성하고,
공기는 상기 복수 개의 홀 및 상기 보조 홀을 통해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 tip of the second plate is spaced apart and bent upwardly from the first plate to form an auxiliary hole,
Air is sprayed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and the auxiliary hole, the workpiece recovery apparatu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양 측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공작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날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Both sides of the first plate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 workpiece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wing portion is formed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workpie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레이트의 하면에 상기 제1 홀 그룹 및 상기 제2 홀 그룹을 따라 함입되도록 형성되는 그루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공부에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a groov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plate to be recessed along the first hole group and the second hole group.
Air entering the hollow portion is a workpiece recov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moving along the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경사각도에 따라 상기 중공부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주입구와 연결되는 공기 공급 유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작물 회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pressure of air introduced through an air supply passage connected to an inlet for supplying air to the hollow part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transfer part.
KR1020180035067A 2018-03-27 2018-03-27 Workpiece parts catcher KR1024362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67A KR102436298B1 (en) 2018-03-27 2018-03-27 Workpiece parts catc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5067A KR102436298B1 (en) 2018-03-27 2018-03-27 Workpiece parts catc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996A true KR20190112996A (en) 2019-10-08
KR102436298B1 KR102436298B1 (en) 2022-08-25

Family

ID=68208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5067A KR102436298B1 (en) 2018-03-27 2018-03-27 Workpiece parts catc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629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344B1 (en) * 2023-01-09 2024-01-12 김영수 Workpiece collection device for machine tool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0176A (en) 2022-11-14 2024-05-21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Workpiece parts catcher of machine tool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603U (en) * 1987-06-02 1988-12-13
JPH06315845A (en) * 1993-05-07 1994-11-15 Konan Diecast Takamatsu Kojo:Kk Object machining work bench
KR0149784B1 (en) 1995-09-26 1998-11-02 석진철 Work retreiving device of cnc lathe
JP2002016121A (en) * 2000-06-30 2002-01-18 Fujikoshi Mach Corp Storage device for wafer
KR20060003731A (en) * 2004-07-07 2006-01-11 윈텍 주식회사 Method and defect examination apparatus for display bare glass
KR101555066B1 (en) 2009-12-10 2015-09-2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arts catc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ts catch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3603U (en) * 1987-06-02 1988-12-13
JPH06315845A (en) * 1993-05-07 1994-11-15 Konan Diecast Takamatsu Kojo:Kk Object machining work bench
KR0149784B1 (en) 1995-09-26 1998-11-02 석진철 Work retreiving device of cnc lathe
JP2002016121A (en) * 2000-06-30 2002-01-18 Fujikoshi Mach Corp Storage device for wafer
KR20060003731A (en) * 2004-07-07 2006-01-11 윈텍 주식회사 Method and defect examination apparatus for display bare glass
KR101555066B1 (en) 2009-12-10 2015-09-2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arts catc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arts catc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344B1 (en) * 2023-01-09 2024-01-12 김영수 Workpiece collection device for machine too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6298B1 (en)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80585A (en) Machine tool provided with automatic chip removal device
US20090155012A1 (en) Machining apparatus
US20060111019A1 (en) Toolholder
KR20190112996A (en) Workpiece parts catcher
US4375708A (en) Non-indexing machining method and apparatus
KR20200107485A (en) Auto toool chang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achine tool having the same
EP3733341A1 (en) Tool magazine of machine tool
KR102449379B1 (en) Clamping device of spindle for machine tool
CN208496546U (en) A kind of high precision digital control cylindrical grinding machine
CN207593246U (en) A kind of adjustable for height material table of numerically-controlled machine tool
KR20200106667A (en) Sliding cover for machine tool
CN202752622U (en) Work-piece-moving out device of machine tool and machine tool
CN211053205U (en) Automatic clamping numerically controlled lathe
JPS624504A (en) Machine tool
CN210307014U (en) Inflating valve processing lathe
CN208879709U (en) A kind of feeding device of Efficient numerical control lathe
KR102562141B1 (en) Machine tool
KR20200127540A (en) Machine tool
KR20200018827A (en) Workpiece holder for automatic pallet changer
KR102435068B1 (en) Machine tool
KR102630395B1 (en) Machine tool
CN211638326U (en) Automatic feeding device of numerical control lathe
KR20230157007A (en) Option door apparatus of auto tool changer and auto tool changer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US20230398651A1 (en) Machine Concept for the Mass Production of High-Precision Workpieces
KR20200025655A (en) Cross slide of machin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