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437B1 -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 Google Patents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437B1
KR102435437B1 KR1020190109654A KR20190109654A KR102435437B1 KR 102435437 B1 KR102435437 B1 KR 102435437B1 KR 1020190109654 A KR1020190109654 A KR 1020190109654A KR 20190109654 A KR20190109654 A KR 20190109654A KR 102435437 B1 KR102435437 B1 KR 10243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tter
combustor
fuel supply
fuel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487A (ko
Inventor
권오채
김희경
구재원
안영종
김영후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9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4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9/00Subject-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3C99/006Flameless combustion stabilised within a bed of porous heat-resistant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9/00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 F23C9/08Combus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returning combustion products or flue gases to the combustion chamber for reducing temperature in combustion chamber, e.g. for protecting walls of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62Mixing devices; Mixing tubes
    • H01L35/3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광전변환용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열광전변환용 연소기는 노즐을 통해 내부에 연료가 주입되며 연소 공간을 형성하는 이미터, 상기 이미터의 외면을 이격되도록 둘러싸되 이격 공간을 통해 연소 후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쉴드부 및 상기 연소 공간에 형성되는 다공성 폼(porous foam)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광전변환용 연소기{COMBUSTOR FOR THERMOPHOTOVOLTAIC}
본 발명은 열광전변환용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효율의 열광전 발전을 위한 소형의 열광전변환용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상용 전자제품의 사용 증가와 이동형 군용장비의 개발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도 급증하는 추세이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리튬-이온 전지는 낮은 에너지밀도, 긴 충전시간, 짧은 충전수명, 환경문제 발생 등의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연소를 이용한 초소형 동력발생 장치(Power MEMS)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마이크로 가스터빈, 마이크로 왕복기관 등의 동적장치가 포함되어있는 초소형 열기관은 가공, 조립 및 기밀(sealing) 등의 기술적 한계로 과도한 마찰 및 심각한 열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현재 주 연료로 사용되고 있는 탄화수소계 연료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는 반면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으로 인식되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CO2)를 배출하기 때문에 이용시 환경기후협약에 의한 이산화탄소 규제에 대처할 수 있는 대체 에너지에 대한 연구가 절실한 상태이다.
이러한 기존 기술의 문제에 대응하여, 동적장치가 없는 초소형 동력발생장치 중 열광전변환 장치(thermophotovoltaic system)는 열복사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직접 변환하는 원리로 수 와트급의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 기존의 전지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추세와 함께 친환경 에너지원을 이용하는 열광전변환 장치의 장점을 살리는 동시에 높은 에너지 변환 효율을 구현하여 상용화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지속되고 있으나, 기존의 소형 열광전변환용 연소기는 낮은 열효율로 인하여 발전 출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87175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소 공간 내에 다공성 폼(foam)을 배치시켜 고효율의 열광전 발전을 할 수 있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노즐을 통해 내부에 연료가 주입되며 연소 공간을 형성하는 이미터; 상기 이미터의 외면을 이격되도록 둘러싸되 이격 공간을 통해 연소 후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쉴드부; 및 상기 연소 공간에 형성되는 다공성 폼(porous foam)을 포함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은 원통형의 상기 이미터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폼은 상기 이미터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은 상기 이미터의 하단부에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즐은 원통형의 상기 이미터의 하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단부에서 상기 연료 및 공기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 챔버 및 상단면에 상기 노즐이 형성되어 상기 이미터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쉴드부의 하부에 결착되어 내부에 상기 연료공급부를 이격 수용하여 상기 이미터와 쉴드부 사이의 이격 공간과 연통되는 이격 공간을 형성하며, 하단부에 상기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부의 외측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열교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부의 내측면에는 반경 방향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열교환 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 핀은 상기 연료공급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료공급부에는 상기 노즐의 바깥 둘레에 반경 방향으로 플랜지 형태로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복수의 배기가스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미터와 상기 쉴드부 사이의 이격 공간의 배기가스를 상기 연료공급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열교환 핀 사이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쉴드부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단을 덮고, 상기 이미터의 상단과는 이격되는 단열 재질의 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공성 폼은 탄화규소(SiC)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터는 탄화규소(SiC) 또는 산화마그네슘(MgO)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쉴드부는 석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열광전변환용 연소기에 따르면 연소 공간의 상단부에 다공성 물질을 형성하여 연소기의 열효율은 최대 70% 이상 달성하였으며, GaSb 광전셀 적용시 특정 조건에서 최대 30W 이상의 출력이 발생하였다.
또한, 연료가 공급되는 연료공급부의 외측에 배기가스를 유동시켜 배기가스의 폐열을 활용하여 연료를 예열시킬 수 있어서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연료공급부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열교환 핀에 의한 열교환기를 형성함으로써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가 있다.
또한, 이미터가 형성하는 연료 공간의 하단부에 다중 노즐을 형성하여 화염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광전변환용 연소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연료공급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A를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광전변환용 연소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열광전변환용 연소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광전변환용 연소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연료공급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A-A를 따라 절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광전변환용 연소기는 이미터(110), 쉴드부(120), 다공성 폼(130), 연료공급부(140), 캡부(150), 및 케이싱(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미터(110)는 원통의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연료가 주입되어 연소되는 연소 공간(C)을 형성하게 된다. 상하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연료공급부(140)가 체결되어 연료공급부(140) 상단면에 형성된 노즐(145)로부터 연료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상기 노즐(145)은 다중 노즐(145)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원통형의 이미터(110) 하단부 개방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주 방향을 따라 1열로 복수의 노즐(14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상기 노즐(145)은 연료공급부(140)의 상단면에 홀이 형성된 형태로 형성되나, 연소 공간(C)을 향하여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노즐(145)을 통해 연료(보다 정확하게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가 연소 공간(C) 내부로 분사된 직후에 점화되어 연소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화염이 이미터(110)의 벽체를 가열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복수의 노즐(145)로 연료가 분사되어 점화되는 경우, 분사 직후에는 각 분사 노즐(145)에서 독립적인 화염으로 존재하다가, 노즐(145)의 상부로 조금 떨어진 위치에서는 화염 간의 상호 간섭이 일어나 혼합된 화염(merged frame)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다중 노즐(145)에 의해 이미터(110)의 표면 온도를 더욱 높게 가열시키며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다.
이미터(110)가 형성하는 연소 공간(C) 내에는 다공성 폼(porous foam)(130)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다공성 폼(130)은 연소 공간(C)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다공성 폼(130)은 탄화규소(SiC)로 형성될 수가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다공성 폼(130)은 탄화규소로 형성되며, 공극률(porosity)은 0.870이며, 공극 크기(pore size)는 20ppi이다.
다공성 폼(130)의 아래 연소 공간(C)에 형성된 화염은 다공성 물질을 통과하며 유동 속도가 느려지게 되고 화염의 온도가 상승하여 이미터(110)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연소 공간(C) 상단부에 위치하는 다공성 물질로 형성되는 다공성 폼(130)에 의해 연소 효율, 발전 효율 및 화염의 온도를 높일 수가 있다.
열광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미터(110)의 표면 온도를 높이고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미터(110)에서 발생된 복사 파장(광)을 열광전변환 셀(미도시)에서 흡수하여 기전력을 발생한다. 다수의 열광전변환셀에서 흡수되는 복사 파장의 균일한 정도가 안정적인 기전력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이미터(110)에서 발생된 복사 파장의 강도가 강할수록(이미터(110)의 표면 온도가 높을수록) 더 큰 기전력을 발생한다.
쉴드부(120)는 원통형의 실린더 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이미터(110)를 수용한다. 이때, 이미터(110)의 외측면과 쉴드부(120)의 내측면 사이는 소정 거리 이격되어 사이에 이격 공간(S1)을 형성한다.
이미터(110)의 연소 공간(C)에서 연소되어 생성되는 배기가스는 상단에 위치하는 캡부(150)와 이미터(110) 상단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미터(110) 바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이미터(110)와 쉴드부(120) 사이의 이격 공간(S1)을 통해 아래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미터(110)는 방사율 및 열전도도가 높은 재질인 탄화규소(SiC) 또는 산화마그네슘(MgO)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쉴드부(120)는 열광전변환셀로 복사 파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석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캡부(150)는 단열 재질로 형성되어 쉴드부(120)의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단을 덮는다. 이때, 캡부(150)의 저면은 이미터(110)의 상단과는 이격되어 연소 공간(C)에서 연소되어 생성되는 배기가스를 이동시키는 이동 경로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캡부(150)와 이미터(110) 상단 사이의 경로를 통해 이미터(110)와 쉴드부(120) 사이의 이격 공간(S1)으로 배기가스가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가 있다.
연료공급부(140)는 이미터(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연료 및 공기를 공급받아 혼합시킨 혼합기를 상기 이미터(110)의 연소 공간(C)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연료공급부(140)이 하단부에는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주입구(142) 및 공기가 주입되는 공기주입구(144)가 각각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단면도의 정면에서 연료공급부(140)의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연료주입구(142)를 통해 공급된 연료는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연료공급노즐(143)을 통해 혼합 챔버(M) 내부로 연료를 주입시키게 되고, 연료주입구(142)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료공급부(140)의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공기주입구(144)는 연료공급노즐(143)의 외측에서 수직 상부로 절곡되어 혼합 챔버(M) 내부로 공기를 주입시키게 된다.
연료주입구(142) 및 공기주입구(144)를 통해 혼합 챔버(M) 내부로 공급된 연료 및 공기는 혼합되어 상단면에 형성된 노즐(145)을 통해 이미터(110) 내부로 공기와 혼합된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노즐(145)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연료공급부(140)의 상단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60)은 쉴드부(120)의 하부에 결착되고 내부에 연료공급부(140)를 이격 수용한다. 따라서, 쉴드부(120)의 외측면과 케이싱(160)의 내측면 사이에도 이격 공간(S2)을 형성하며, 상기 이격 공간(S2)은 상부에 위치하는 이미터(110)와 쉴드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S1)과 연통되어 배기가스가 이동하게 된다. 케이싱(160)의 하단부 외측면에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공(162)이 형성된다.
연료공급부(140)와 케이싱(160) 사이의 이격 공간(S2)을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폐열은 연료공급부(140)의 혼합 챔버(M) 내에 위치하는 연료와 공기의 혼합기를 가열시키는 열로 사용될 수가 있다.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료공급부(14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는 열교환 핀(146, 147)으로 구성되는 열교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연료공급부(140)의 외측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열교환 핀(14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료공급부(140)의 내측면에 반경 방향 반대 방향으로 내부로 돌출된 형태의 열교환 핀(147)이 형성될 수가 있다. 이때, 상기 열교환 핀(146, 147)은 연료공급부(140)의 상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단일의 열교환 핀(146, 147)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나, 길이 방향으로도 복수 개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연료공급부(140)의 상단부에는 노즐(145)의 바깥 둘레에 반경 방향으로 플랜지 형태로 연장되는 플랜지부(148)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148)에는 복수의 배기가스 연결공(149)이 형성된다. 상기 배기가스 연결공(149)은 상부에 위치하는 이미터(110)와 쉴드부(120) 사이의 이격 공간(S1)에 위치하는 배기가스가 하부에 위치하는 연료공급부(140)와 케이싱(160) 사이의 이격 공간(S2)으로 유동하도록 한다. 배기가스 연결공(149)은 아래에 위치하는 열교환 핀(146)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웃하는 열교환 핀(146) 사이의 공간으로 배기가스가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열교환 핀(146, 147)으로 구성되는 열교환부의 구성에 의해 배기가스의 폐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 챔버(M) 내부로 전달시킬 수가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로 전술한 실시예의 열광전변환용 연소기의 연소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광전변환용 연소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연료공급부(140)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연료주입구(142)를 통해 연료(부탄, CH4)가 혼합 챔버(M) 내부로 주입되고, 연료공급부(140)의 하단부의 다른 일측에 위치하는 공기주입구(144)를 통해 공기가 혼합 챔버(M) 내부로 주입된다. 혼합 챔버(M) 내부에 주입된 연료와 공기는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호 혼합된다.
혼합기는 연료공급부(140)의 상단면에 형성된 노즐(145)을 통해 이미터(110) 내부의 연소 공간(C)으로 분사되고, 상기 연소 공간(C)에서 점화 및 연소되어 화염 및 연소열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화염 및 연소열은 이미터(110)의 벽체를 가열시키며 광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상기 광에너지는 쉴드부(120)를 거쳐 외부로 전달되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분사 노즐(145)을 통해 혼합기가 이미터 내부로 공급되는데, 각 노즐(145)에서는 독립적인 화염이 존재하지만, 노즐(145)의 상부로 떨어진 위치에서는 화염 간의 간섭이 일어나 혼합된 화염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이미터(110)의 표면 온도를 더욱 높게 가열시키고 균일하게 유지시킬 수가 있다. 또한, 연소 공간(C) 내에서 형성된 화염은 연소 공간(C)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다공성 폼(130)을 통과하는데, 다공성 폼(130)에 의해 화염의 유동 속도가 느려지며 열기를 간직하도록 하여 화염의 온도를 더욱 상승하도록 하고, 결과적으로 이미터(110) 벽체의 온도를 더욱 상승시킬 수가 있다.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배기가스는 상단에 위치하는 캡부(150)에 충돌하여 방향을 전환하며, 캡부(150)와 이미터(110) 상단 사이의 틈을 통해 이미터(110)와 쉴드부(120) 사이의 이격 공간(S1)을 통해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배기가스는 연료공급부(140) 상단의 플랜지부(148)에 형성된 배기가스 연결공(149)을 통해 연료공급부(140)와 케이싱(160) 사이의 이격 공간(S2)으로 이동하여 케이싱(160)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공(16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연료공급부(140)와 케이싱(160) 사이의 이격 공간(S2)을 통해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폐열은 혼합 챔버(M) 내의 연료와 공기를 가열시키는 열로 사용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배기가스에 의해 예열된 혼합기는 연소 공간(C)에서 보다 쉽게 연소 온도에 도달하여 연소될 수가 있다.
이때, 연료공급부(140)의 외측면 또는 내측면에 복수의 열교환 핀(146, 147)으로 형성되는 열교환부의 구성으로 배기가스의 폐열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연소 후 배기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폐열을 그대로 배기하지 않고 연료를 예열하는데 이용함으로써 전체적인 에너지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이미터
120: 쉴드부
130: 다공성 폼
140: 연료공급부
142: 연료주입구
143: 연료공급노즐
144: 공기주입구
145: 노즐
146: 열교환 핀
147: 열교환 핀
148: 플랜지부
149: 배기가스 연결공
150: 캡부
160: 케이싱
162: 배출공
C: 연소 공간
S1: 이격 공간
M: 혼합 챔버

Claims (14)

  1. 하단부의 복수 개의 노즐을 통해 내부에 연료가 주입되며 연소 공간을 형성하는 이미터;
    상기 이미터의 외면을 이격되도록 둘러싸되 이격 공간을 통해 연소 후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쉴드부; 및
    상기 연소 공간에 형성되는 다공성 폼(porous foam); 및
    상기 이미터의 하부에 배치되고, 하단부에서 상기 연료 및 공기를 공급받아 혼합하는 혼합 챔버 및 상단면에 상기 노즐이 형성되어 상기 이미터에 상기 공기와 혼합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원통형의 상기 이미터의 하단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고, 각 노즐에서 생성된 화염은 상기 노즐의 상부에서 화염간의 간섭이 발생하여 혼합된 화염을 형성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폼은 상기 이미터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의 하부에 결착되어 내부에 상기 연료공급부를 이격 수용하여 상기 이미터와 쉴드부 사이의 이격 공간과 연통되는 이격 공간을 형성하며, 하단부에 상기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되는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의 외측면에는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열교환 핀이 형성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의 내측면에는 반경 방향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열교환 핀이 형성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 핀은 상기 연료공급부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부에는 상기 노즐의 바깥 둘레에 반경 방향으로 플랜지 형태로 연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에는 복수의 배기가스 연결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미터와 상기 쉴드부 사이의 이격 공간의 배기가스를 상기 연료공급부의 외측면에 형성된 열교환 핀 사이로 공급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 상단부에 체결되어 상단을 덮고, 상기 이미터의 상단과는 이격되는 단열 재질의 캡부를 더 포함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폼은 탄화규소(SiC)로 형성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터는 탄화규소(SiC) 또는 산화마그네슘(MgO)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쉴드부는 석영으로 형성되는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KR1020190109654A 2019-09-04 2019-09-04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KR10243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54A KR102435437B1 (ko) 2019-09-04 2019-09-04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54A KR102435437B1 (ko) 2019-09-04 2019-09-04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87A KR20210028487A (ko) 2021-03-12
KR102435437B1 true KR102435437B1 (ko) 2022-08-23

Family

ID=75177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654A KR102435437B1 (ko) 2019-09-04 2019-09-04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43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3248A (ja) * 2003-06-03 2004-12-24 Toyota Motor Corp 熱光発電装置
KR101029572B1 (ko) * 2009-12-28 2011-04-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세라믹 섬유 다공체 내 연소를 이용한 열광전 발전장치
JP2012124521A (ja) * 2012-02-20 2012-06-28 Nippon Light Metal Co Ltd 熱交換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102B1 (ko) 2012-01-27 2013-09-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초소형 열광전변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3248A (ja) * 2003-06-03 2004-12-24 Toyota Motor Corp 熱光発電装置
KR101029572B1 (ko) * 2009-12-28 2011-04-1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세라믹 섬유 다공체 내 연소를 이용한 열광전 발전장치
JP2012124521A (ja) * 2012-02-20 2012-06-28 Nippon Light Metal Co Ltd 熱交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487A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102B1 (ko) 초소형 열광전변환 시스템
JP2017147220A (ja) 高温動作型燃料電池モジュール
CN103090384B (zh) 一种多孔介质回热型微尺度燃烧器
JP6097384B2 (ja) 燃料改質器及び燃料電池
JP2001508952A (ja) サーモホトボルタイックジェネレータ
US6768049B2 (en) Thermophotovoltaic electr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power generating method thereof
KR102435437B1 (ko) 열광전변환용 연소기
JP2002319693A (ja) 熱光発電装置
JP7226225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6046247A (ja) 燃料電池装置
KR20140059764A (ko) 수소 생산용 개질부를 구비하는 열광전변환장치
JP7186146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KR100849504B1 (ko) 마이크로 채널형 촉매 연소기를 이용한 열전 발전 모듈
KR102052615B1 (ko)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연료개질장치
JP2016081825A (ja) 燃料電池装置
JP6728015B2 (ja) 可搬式発電装置
KR101888036B1 (ko) 열광 발전 장치
JP2005207625A (ja) 熱光発電装置
RU2555598C1 (ru) Смесительная головка метано-кислородного парогенератора
CN110553259B (zh) 一种适用于热发电的微小型非预混燃烧器
KR101227441B1 (ko) 폐가스 처리 시스템
JP6422323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
KR101394346B1 (ko) 수소 생산용 개질부를 구비하는 열광전변환장치
JP2018091558A (ja) 渦流燃焼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可搬式発電装置
JP2017162564A (ja) 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207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809

Effective date: 20220721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