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411B1 - 솥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솥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411B1
KR102435411B1 KR1020190180206A KR20190180206A KR102435411B1 KR 102435411 B1 KR102435411 B1 KR 102435411B1 KR 1020190180206 A KR1020190180206 A KR 1020190180206A KR 20190180206 A KR20190180206 A KR 20190180206A KR 102435411 B1 KR102435411 B1 KR 102435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washing
scraping
rotating shaft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80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363A (ko
Inventor
박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성생활과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성생활과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성생활과학
Priority to KR1020190180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4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92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to wash large items like pots, trays, baking trays, cooking gr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37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 A47L15/39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crockery cleaned by brushes with brushes on movabl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6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솥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구(511)가 형성되어 있는 세척 수조(510)와, 상기 세척 수조(510)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샤프트(521)와, 상기 제1 회전샤프트(521)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세척 수조(510)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샤프트(522)와, 제1,2 회전샤프트(521,52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530)와, 상기 모터(530)의 회전력을 상기 제1,2 회전샤프트(521,522)에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541,542,543)와, 배수구(511)에 연결되어서 세척 후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550)과, 배수관(550)에 연결되어서 세척 후의 물의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552)와, 세척 수조(510)에 설치되는 4 개의 레그(513)와, 제1 회전샤프트(521)에 설치되어서, 솥(10)의 하부면(11)을 세척하는 하부 세척용구(100)와, 제2 회전샤프트(522)에 설치되어서, 솥(10)의 내부면(12a)을 세척하는 내부 세척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하나의 장치에서 솥의 내외부를 함께 세척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솥 세척 장치{POT CLEA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솥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솥의 내외부를 함께 세척할 수 있도록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솥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업용 식당이나, 레스토랑, 프렌차이즈 체인 식당, 호텔 등에서 대용량의 식기나 솥을 세척하기 위한 식기 세척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식기 세척 장치는 솥, 냄비, 식기 등의 다양한 기구나 그릇 등을 세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 장치는 특히 솥의 경우에 바닥이나 내부까지 깨끗하게 세척되지 않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특히 영업용 식당에서 솥밥을 취반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솥(또는 돌솥)의 경우에는 하부면(바닥면)에 달라붙은 각종 이물질, 그을음을 세척하거나, 또는 솥의 내부면에 붙은 눌러붙은 밥을 제거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솥의 하부면에 달라붙거나 내부면에 눌러붙은 것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인력에 의해서 다시한번 세척해야 하므로 이중 세척에 따른 인건비 상승 등의 문제가 있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978161호(공고일: 2019.05.14) 문헌2: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5570호(공개일: 2012.08.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솥 세척 장치의 목적은,
첫째, 하나의 장치에서 솥의 하부면(외부면)과 내부면을 함께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하나의 모터로서 2 개의 회전샤프트를 동시에 회전시켜서 솥의 하부면과 내부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제2 회전샤프트에 내부 세척용구를 선택적으로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 환경에 맞는 다양한 세척 모드(눌러붙어 있는 누릉지 등을 긁어서 세척하는 내부 세척 모드와 수세미형 커버에 의한 마찰로서 세척하는 내부 세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영업용 식당에서 솥밥을 취반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솥(또는 돌솥)의 경우에는 하부면(바닥면)에 달라붙은 각종 이물질, 그을음을 세척하거나, 또는 솥의 내부면에 붙은 눌러붙은 밥을 효율적으로 쉽고 편리하며 빠르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고,
다섯째,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세미를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세미의 부착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세미를 탈착식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 사용된 수세미를 언제든지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소모품인 수세미의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
일곱째, 영업용 식당에서 솥밥을 취반하기 위한 금속이나 유리 재질의 솥(또는 돌솥)의 경우에는 솥의 내부면에 눌러붙은 부착물(예컨대, 밥, 누룽지, 또는 탄밥 등)을 효율적으로 쉽고 편리하며 빠르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여덟째, 솥을 제자리에 위치하고, 세척용구를 회전시킴으로써 내부면에 눌러붙은 부착물(예컨대, 밥, 누룽지, 또는 탄밥 등)을 더욱더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아홉째, 플레이트 형상의 긁기 날개를 한 쌍으로 90 도 간격으로 교차 형성함으로써, 더욱더 효율적으로 솥의 내부면에 눌러붙은 밥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열번째, 가이드의 구성에 의해서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제거물질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아래로 낙하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열한번째, 보강 리브에 의해서 제품의 회전에 따라서 약화될 수 있는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열두번째, 솥을 제자리에 위치하고, 수세미 커버가 씌워진 회전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내부면에 눌러붙은 부착물(예컨대, 밥, 누룽지, 또는 탄밥 등)을 더욱더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열세번째, 수세미형 커버를 회전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 사용된 수세미형 커버를 언제든지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소모품인 수세미형 커버의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며,
열네번째, 제1 벨크로파스너를 이용하여 수세미를 회전체에 탈부착(씌우거나 씌운 후에 탈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세미형 커버를 회전체에 씌우는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열다선번째, 회전체에 씌워진 후에는 견실하게 회전체에 고정할 수 있어서 회전에 의한 세척 과정에서 수세미형 커버가 빠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열여섯번째, 수세미형 커버(300)를 더욱더 견실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열입곱번째, 피세척물(예컨대 솥)의 상태에 따라서 브러시에 세척과 수세미형 커버에 의한 세척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 환경에 맞는 최적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열여덟번째, 재료비를 절감하여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솥 세척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솥 세척 장치는, 세척하기 위한 물을 담을 수 있고,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세척 수조와, 상기 세척 수조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샤프트와, 상기 제1 회전샤프트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세척 수조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샤프트와, 상기 제1,2 회전샤프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1,2 회전샤프트에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와, 상기 배수구에 연결되어서 세척 후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과, 상기 배수관에 연결되어서 세척 후의 물의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와, 상기 세척 수조에 설치되는 4 개의 레그와, 상기 제1 회전샤프트에 설치되어서, 솥의 하부면을 세척하는 하부 세척용구와, 상기 제2 회전샤프트에 설치되어서, 솥의 내부면을 세척하는 내부 세척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솥 세척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나의 장치에서 솥의 하부면(외부면)과 내부면을 함께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하나의 모터로서 2 개의 회전샤프트를 동시에 회전시켜서 솥의 하부면과 내부면을 동시에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2 회전샤프트에 내부 세척용구를 선택적으로 착탈식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 환경에 맞는 다양한 세척 모드(눌러붙어 있는 누릉지 등을 긁어서 세척하는 내부 세척 모드와 수세미형 커버에 의한 마찰로서 세척하는 내부 세척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네째, 영업용 식당에서 솥밥을 취반하기 위한 금속 재질의 솥(또는 돌솥)의 경우에는 하부면(바닥면)에 달라붙은 각종 이물질, 그을음을 세척하거나, 또는 솥의 내부면에 붙은 눌러붙은 밥을 효율적으로 쉽고 편리하며 빠르게 세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세미를 부착할 수 있고, 그 결과 수세미의 부착을 편리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수세미를 탈착식으로 부착할 수 있고, 그 결과 다 사용된 수세미를 언제든지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소모품인 수세미의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영업용 식당에서 솥밥을 취반하기 위한 금속이나 유리 재질의 솥(또는 돌솥)의 경우에는 솥의 내부면에 눌러붙은 밥을 효율적으로 쉽고 편리하며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솥을 제자리에 위치하고, 세척용구를 회전시킴으로써 내부면에 눌러붙은 부착물(예컨대, 밥, 누룽지, 또는 탄밥 등)을 더욱더 쉽고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플레이트 형상의 긁기 날개를 한 쌍으로 90 도 간격으로 교차 형성함으로써, 더욱더 효율적으로 솥의 내부면에 눌러붙은 밥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번째, 가이드의 구성에 의해서 세척과정에서 발생하는 제거물질을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아래로 낙하하여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두번째, 보강 리브에 의해서 제품의 회전에 따라서 약화될 수 있는 제품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세번째, 수세미형 커버를 회전체에 탈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 사용된 수세미형 커버를 언제든지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소모품인 수세미형 커버의 유지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네번째, 제1 벨크로파스너를 이용하여 수세미를 회전체에 탈부착(씌우거나 씌운 후에 탈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세미형 커버를 회전체에 씌우는 동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다섯번째, 회전체에 씌워진 후에는 견실하게 회전체에 고정할 수 있어서 회전에 의한 세척 과정에서 수세미형 커버가 빠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여섯번째, 수세미형 커버를 더욱더 견실하게 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일곱번째, 피세척물(예컨대 솥)의 상태에 따라서 브러시에 세척과 수세미형 커버에 의한 세척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세척 환경에 맞는 최적의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여덟번째, 재료비를 절감하여 제품의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세척용구(100)의 분리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세척용구(100)의 사시도 및 사용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의 하부 세척용구(100)에 있어서, 본체(110)가 회전샤프트(520)에 결합되는 예를 표현하기 위한 요부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하부 세척용구(100)에 있어서, 본체(11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내부 세척용구(200)의 사시도 및 제2 회전샤프트(522)에 분리된 상태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8은 내부 세척용구(200)의 제2 회전샤프트(522)에 결합되어서 솥(10)을 세척하는 동작을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 9는 내부 세척용구(20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수세미형 커버(30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수세미형 커버(300)에 있어서, 둘레부(310)가 열려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수세미형 커버(300)가 부착된 내부 세척용구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15는 수세미형 커버(300)의 변형된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솥 세척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는, 세척하기 위한 물을 담을 수 있고, 세척 대상인 솥(10)이나, 그릇 등이 놓여지고, 배수구(511)가 형성되어 있는 세척 수조(510)와, 상기 세척 수조(510)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샤프트(521)와, 상기 제1 회전샤프트(521)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세척 수조(510)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샤프트(522)와, 상기 제1,2 회전샤프트(521,52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530)와, 상기 모터(530)의 회전력을 상기 제1,2 회전샤프트(521,522)에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541,542,543)와, 상기 배수구(511)에 연결되어서 세척 후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550)과, 상기 배수관(550)에 연결되어서 세척 후의 물의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552)와, 상기 세척 수조(510)에 설치되는 4 개의 레그(513)와, 상기 제1 회전샤프트(521)에 설치되어서, 솥(10)의 하부면(11)을 세척하는 하부 세척용구(100)와, 상기 제2 회전샤프트(522)에 설치되어서, 솥(10)의 내부면(12a)을 세척하는 내부 세척용구(200,300,4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541,542,543)는 모터(530)의 모터축에 축설되는 원동기어(541)와 상기 원동기어(541)에 치합하고 회전샤프트(520)에 축설되는 피동기어(542,54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에 있어서, 상기 레그(513)에 설치되는 캐스터(514)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자유롭게 이동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세척용구(100)는, 예컨대 밥을 짓기 위한 솥(10)[금속 재질이나 유리 재질의 솥이나 돌솥을 모두 포함한다.]의 하부면(11)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용구로써, 솥(10)의 하부면(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112a)가 형성되어 있고, 세척 수조(510)에 설치된 회전샤프트(520)에 삽입되는 샤프트공(111a)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수용부(112a)의 내면(112b)에 부착되는 벨크로테이프(120)와, 상기 벨크로테이프(120)에 착탈식으로 부착되어서 솥(10)의 하부면(11)을 마찰에 의해서 세척하는 수세미(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공(111a)이 세척 수조(510)의 제1 회전샤프트(521)에 삽입되고, 솥(10)의 하부면(11)이 수세미(130)에 밀착되도록 솥(10)이 수용부(112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샤프트(521)의 회전에 의해서 본체(110) 및 수세미(130)가 회전함으로써 솥(10)의 하부면(11)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번호 12는 조리대상인 예컨대 쌀이 담기는 솥(10)의 내부면(12)이다.
상기 수세미(130)는 예컨대 나일론 부직포나, 합성수지 부직포, 또는 이들에 연마제가 부가된 식기 세척용 수세미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제조사 3M 사의 스카치 브라이트 수세미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하부 세척용구(100)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테이프(120)는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크로테이프(120)는 양면테이프에 의해서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세척용구(100)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샤프트공(111a)이 형성된 베이스부(111)와, 솥(10)의 하부면(11)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11)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확대되어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2a)가 요입 형성되어 있어서 솥(10)의 하부면(11)을 수용하는 컵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벨크로테이프(120)는 상기 컵부(112)의 내면(112b)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세척용구(200)는, 예컨대 밥을 짓기 위한 금속, 유리, 돌 재질의 솥(10)의 내부면(12a)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용구로써, 세척 수조(510)의 회전샤프트(520)에 삽입되는 샤프트공(210a)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의 외주면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서, 솥(10)의 내부면(12a)에 눌어붙어 있는 부착물을 긁거내기 위한 긁기 날개(221,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200)는 눌러붙어 있는 부착물(예컨대 밥, 누룽지 등)을 긁어서 제거하는 것으로서, 누룽지를 긁을 수 있는 "밥주걱"을 회전식의 자동화를 구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200)에 있어서, 상기 바디(210)는, 원기둥 형상의 측면부(211)와, 상기 측면부(211)의 상측을 형성하는 상면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긁기 날개(221,222)는,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에서 상면부(212)를 경유하여 일 측면부(211)의 반대편인 타 측면부로까지 걸쳐서 ∩ 자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200)에 있어서, 상기 긁기 날개(221,222)는,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와 상기 일 측면부의 반대편인 타 측면부(211)에서 각각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부(221a,222a)와, 상기 수직부(221a,222a)에서 연장되어서 상면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부(221b,22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221a,222a)와 수평부(221b,222b)의 경계는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200)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211)와 상면부(212) 사이에 면취되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긁은 후의 잔여물이 아래로 원활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면(21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200)에 있어서, 상기 바디(210)의 하단에는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 리브(23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200)에 있어서, 상기 긁기 날개(221,222)는, 보강 리브(230)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제거된 부착물이 보강 리브(23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아래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200)에 있어서, 상기 긁기 날개(221,222)는,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에서 상면부(212)를 경유하여 일 측면부(211)의 반대편인 타 측면부로까지 걸쳐서 ∩ 자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긁기 날개(221)와, 상기 제1 긁기 날개(221)와 90 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에서 상면부(212)를 경유하여 다시 일 측면부(211)의 반대편의 타 측면부 걸쳐서 ∩ 자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긁기 날개(2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긁기 날개(221)와 제2 긁기 날개(222)는 상면에서 교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긁기 날개(221)는,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와 상기 일 측면부의 반대편인 타 측면부(211)에서 각각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수직부(221a)와, 상기 제1 수직부(221a)에서 연장되어서 상면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수평부(22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221a)와 제1 수평부(221b)의 경계는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긁기 날개(222)는,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와 상기 일 측면부의 반대편인 타 측면부(211)에서 각각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수직부(222a)와, 상기 제2 수직부(222a)에서 연장되어서 상면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수평부(22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직부(222a)와 제2 수평부(222b)의 경계는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세척용구(300,410)는, 솥(10)의 내부면(12a)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용구로써, 세척 수조(510)의 회전샤프트(520)에 구비되어서 회전샤프트(520)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410)와, 상기 회전체(410)에 씌워져서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410)와 함께 회전하여서 솥(10)의 내부면(12a)을 회전 마찰에 의해서 세척하는 수세미형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300,410)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410)의 하면에는 상방으로 요입된 샤프트공(30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샤프트공(300a)이 회전샤프트(520)에 삽입되어서 회전체(41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300,410)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형 커버(300)는, 둘레부(310)와, 상기 둘레부(320)의 상측에 봉제에 의해서 형성되는 덮개부(320)로 구성되어서 하방으로 개방된 형상이며, 개방된 하방을 아래로 향하도록 하여 회전체(410)에 씌워져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300,410)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310)는, 닫힌(closed)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일끝(311)과 타끝(312)이 존재하여서 단절(분리)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둘레부(310)의 일끝(321)에는 제1 벨크로파스너(331)[암 제1 벨크로파스너]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둘레부(310)의 타끝에는 상기 제1 벨크로파스너(331)와 벨크로 결합하는 제2 벨크로파스너(322)(예컨대 수 제1 벨크로파스너)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2 벨크로파스너(322)와 제1 벨크로파스너(331)가 분리된 상태에서 수세미형 커버(300)가 회전체(410)에 씌워지고, 이후, 상기 제2 벨크로파스너(332)와 제1 벨크로파스너(331)를 벨크로 결합시켜서 회전체(410)의 외주면에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300,410,420)에 있어서, 회전체(410)의 외주면에는 외향으로 브러시(420)가 복수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수세미형 커버(300)는 브러시(420)를 외포하여서 회전체(410)에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내부 세척용구(300,410)에 있어서, 상기 둘레부(310)에는 하나 이상의 절개부(31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A)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하부 세척용구(100)를 제1 회전샤프트(521)에 체결하고, 내부 세척용구(200) 또는 내부 세척용구(300,410,420)를 제2 회전샤프트(522)에 체결한다.
삭제
하부 세척용구(100) 본체(110)의 수용부의 내면(112b)에 벨크로테이프(120)를 부착하고, 이 벨크로테이프(120)에 수세미(130)를 부착한다.
그리고, 솥(10)의 하면부(11)를 수세미(130)에 밀착시킨 후에 모터(530)를 동작시키면 제1 회전샤프트(521)가 회전하여서 하부 세척용구(100)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하부 세척용구(100)가 회전하면서 솥(10)의 하면부(11)가 수세미(130)와의 마찰에 의해서 세척된다.
그리고, 내부 세척용구(200)가 제2 회전샤프트(522)에 체결된 경우, 내부 세척용구(200)가 솥(10)의 내부(12)에 수용되도록 솥(10)을 내부 세척용구(200)로 진입한다.
제1,2 긁기 날개(221,222)가 솥(10)의 내부면(12a)에 접촉한 상태에서, 모터(530)를 동작시키면 제2 회전샤프트(522)가 회전하여서 내부 세척용구(200)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내부 세척용구(200)가 회전하면서 솥(10)의 내부면(12a)에 눌러붙어 있는 부착물(예컨대 누룽지, 밥 등)을 쉽고 빠르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회전체(410)가 제2 회전샤프트(522)에 체결된 경우, 수세미형 커버(300)를 회전체(410)에 외포 즉, 씌운다.
수세미형 커버(300)가 씌워진 회전체(410)가 솥(10)의 내부(12)에 수용되도록 솥(10)을 수세미형 커버(300)로 진입하여서 밀착시킨다.
수세미형 커버(300)가 솥(10)의 내부면(12a)에 밀착한 상태에서, 모터(530)를 동작시키면 제2 회전샤프트(522)가 회전하여서 회전체(410)가 회전된다.
이와 같이 회전체(410)가 회전하면서 솥(10)의 내부면(12a)에 눌러붙어 있는 부착물(예컨대 누룽지, 밥 등)이 수세미형 커버(300)와의 마찰에 의해서 쉽고 빠르게 세척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솥 세척 장치
10 : 솥 12 : 솥의 내부
12a : 내부면
100 : 하부 세척용구
110 : 본체 111 : 베이스
111a : 샤프트공 112 : 컵부
112a : 수용부 112b : 수용부의 내면
120 : 벨크로테이프 130 : 수세미
200 : 내부 세척용구
210 : 바디 211 : 측면부
212 : 상면부 213 : 가이드면
221,222 : 긁기 날개
221 : 제1 긁기 날개 222 : 제2 긁기 날개
221a,222a : 수직부 221b,222b : 수평부
230 : 보강 리브
300 : 수세미형 커버 300a : 샤프트공
310 : 둘레부
311 : 둘레부의 일끝 312 : 둘레부의 타끝
315 : 절개홀 320 : 덮개부
331 : 제1 벨크로파스너 332 : 제2 벨크로파스너
410 : 회전체 420 : 브러시
510 : 세척 수조 511 : 배수구
513 : 레그 514 : 캐스터
521 : 제1 회전샤프트 522 : 제2 회전샤프트
530 : 모터
541,542,543 : 동력전달장치
550 : 배수관 552 : 배수밸브

Claims (4)

  1. 배수구(511)가 형성되어 있는 세척 수조(510)와,
    상기 세척 수조(510)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샤프트(521)와,
    상기 제1 회전샤프트(521)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세척 수조(510)의 바닥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회전샤프트(522)와,
    상기 제1,2 회전샤프트(521,522)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530)와,
    상기 모터(530)의 회전력을 상기 제1,2 회전샤프트(521,522)에 동시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541,542,543)와,
    상기 배수구(511)에 연결되어서 세척 후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550)과,
    상기 배수관(550)에 연결되어서 세척 후의 물의 배수를 단속하는 배수밸브(552)와,
    상기 세척 수조(510)에 설치되는 4 개의 레그(513)와,
    상기 제1 회전샤프트(521)에 설치되어서, 솥(10)의 하부면(11)을 세척하는 하부 세척용구(100)와,
    상기 제2 회전샤프트(522)에 설치되어서, 솥(10)의 내부면(12a)을 세척하는 내부 세척용구(200,300,4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세척용구(100)는,
    솥(10)의 하부면(11)을 수용할 수 있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된 수용부(112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회전샤프트(521)에 삽입되는 샤프트공(111a)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수용부(112a)의 내면(112b)에 부착되는 벨크로테이프(120)와,
    상기 벨크로테이프(120)에 착탈식으로 부착되어서 솥(10)의 하부면(11)을 마찰에 의해서 세척하는 수세미(1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샤프트공(111a)이 세척 수조(510)의 제1 회전샤프트(521)에 삽입되고, 솥(10)의 하부면(11)이 수세미(130)에 밀착되도록 솥(10)이 수용부(112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회전샤프트(521)의 회전에 의해서 본체(110) 및 수세미(130)가 회전함으로써 솥(10)의 하부면(11)을 세척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110)는,
    상기 샤프트공(111a)이 형성된 베이스부(111)와,
    솥(10)의 하부면(11)에 대응되도록, 상기 베이스부(111)에서 반경방향의 외향으로 확대되어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112a)가 요입 형성되어 있어서 솥(10)의 하부면(11)을 수용하는 컵부(1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벨크로테이프(120)는 상기 컵부(112)의 내면(112b)에 부착되며,
    상기 내부 세척용구(200)는,
    상기 제2 회전샤프트(522)에 삽입되는 샤프트공(210a)이 형성되어 있는 바디(210)와,
    상기 바디(210)의 외주면에서 외향으로 돌출되어서, 솥(10)의 내부면(12a)에 눌어붙어 있는 부착물을 긁거내기 위한 긁기 날개(221,2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바디(210)는, 원기둥 형상의 측면부(211)와, 상기 측면부(211)의 상측을 형성하는 상면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긁기 날개(221,222)는,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에서 상면부(212)를 경유하여 일 측면부(211)의 반대편인 타 측면부로까지 걸쳐서 ∩ 자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긁기 날개(221,222)는,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와 상기 일 측면부의 반대편인 타 측면부(211)에서 각각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수직부(221a,222a)와,
    상기 수직부(221a,222a)에서 연장되어서 상면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수평부(221b,22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221a,222a)와 수평부(221b,222b)의 경계는 만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부(211)와 상면부(212) 사이에 면취되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긁은 후의 잔여물이 아래로 원활하게 내려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면(2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바디(210)의 하단에는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보강 리브(23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며,
    상기 긁기 날개(221,222)는, 보강 리브(230)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긁기 날개(221,222)는,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에서 상면부(212)를 경유하여 일 측면부(211)의 반대편인 타 측면부로까지 걸쳐서 ∩ 자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긁기 날개(221)와,
    상기 제1 긁기 날개(221)와 90 도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에서 상면부(212)를 경유하여 다시 일 측면부(211)의 반대편의 타 측면부 걸쳐서 ∩ 자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긁기 날개(22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긁기 날개(221)와 제2 긁기 날개(222)는 상면에서 교차 형성되며,
    상기 제1 긁기 날개(221)는,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와 상기 일 측면부의 반대편인 타 측면부(211)에서 각각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수직부(221a)와, 상기 제1 수직부(221a)에서 연장되어서 상면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1 수평부(221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 수직부(221a)와 제1 수평부(221b)의 경계는 만곡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긁기 날개(222)는,
    상기 바디(210)의 일 측면부(211)와 상기 일 측면부의 반대편인 타 측면부(211)에서 각각 외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수직부(222a)와, 상기 제2 수직부(222a)에서 연장되어서 상면부에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수평부(222b)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수직부(222a)와 제2 수평부(222b)의 경계는 만곡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세척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벨크로테이프(120)는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세척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세척용구(300,410)는,
    상기 제2 회전샤프트(522)에 구비되어서 제2 회전샤프트(522)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410)와,
    상기 회전체(410)에 씌워져서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410)와 함께 회전하여서 솥(10)의 내부면(12a)을 회전 마찰에 의해서 세척하는 수세미형 커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솥 세척 장치.
KR1020190180206A 2019-12-31 2019-12-31 솥 세척 장치 KR102435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80206A KR102435411B1 (ko) 2019-12-31 2019-12-31 솥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80206A KR102435411B1 (ko) 2019-12-31 2019-12-31 솥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363A KR20210086363A (ko) 2021-07-08
KR102435411B1 true KR102435411B1 (ko) 2022-08-29

Family

ID=7689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80206A KR102435411B1 (ko) 2019-12-31 2019-12-31 솥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4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058B1 (ko) 2023-03-13 2024-02-01 삼화정공사주식회사 돌솥 세척장치
KR102632059B1 (ko) 2023-03-13 2024-02-01 삼화정공사주식회사 돌솥 세척장치
KR102655174B1 (ko) 2023-12-22 2024-04-05 삼화정공사주식회사 조리용구 및 밥솥 세척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55B1 (ko) * 2012-02-15 2013-08-14 조사훈 세척기구
KR101868561B1 (ko) * 2016-09-30 2018-06-19 조성미 돌솥 세척기구를 구비한 싱크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2339Y1 (ko) * 1989-10-19 1992-04-09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키폰 l. c. d경사 조절장치
WO2007105787A1 (ja) * 2006-03-16 2007-09-20 Jyongmyong Lee 洗浄装置及びその取付具
KR20120005570U (ko) 2011-08-01 2012-08-02 주식회사 텍콤 회전브러시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978161B1 (ko) 2019-02-01 2019-05-14 김옥수 조리용 식기 세척장치에 적용되는 회전구조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355B1 (ko) * 2012-02-15 2013-08-14 조사훈 세척기구
KR101868561B1 (ko) * 2016-09-30 2018-06-19 조성미 돌솥 세척기구를 구비한 싱크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363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5411B1 (ko) 솥 세척 장치
US10117562B2 (en) Implement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JP4435661B2 (ja) 洗濯機用排水トラップ
US20160029870A1 (en) Dish-Washing Apparatus
CN110115554A (zh) 一种刷锅机
KR200494936Y1 (ko) 수세미형 커버가 부착된 솥 세척 용구
CN107468102B (zh) 一种自清洁搅拌杯
KR101942992B1 (ko) 오목 용기에 대한 애벌 세척이 가능한 싱크대 및 이에 사용되는 애벌 세척기
KR102372009B1 (ko) 솥 내부면 부착물 긁기용구
KR20210086348A (ko) 솥 하부 세척용구
CN202891842U (zh) 一种洗碗机
CN220089197U (zh) 一种具有清洁组件的炒锅
CN108968777B (zh) 一种新的自动清洁厕所马桶机
CN211722920U (zh) 一种具有自清洁功能的按摩浴缸
CN211186950U (zh) 一种全自动打蛋器
CN210541092U (zh) 一种易清洗的食品加工机
KR100614150B1 (ko) 주방일 보조장치
CN219228954U (zh) 一种用于果蔬去农残的清洗装置
CN203458268U (zh) 果蔬清洗机
KR0183373B1 (ko) 싱크대 부착용 식기 세척기
CN212165754U (zh) 一种多功能星盆台
WO2012134270A1 (en) Cleaning device for drinking glasses
CN209733914U (zh) 一种洗碗机中的集成水槽
CN209677705U (zh) 一种可换清洁头的家用杯具电动清洁器
KR0158864B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