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133B1 - 의복 처리 설비 - Google Patents

의복 처리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133B1
KR102435133B1 KR1020207026170A KR20207026170A KR102435133B1 KR 102435133 B1 KR102435133 B1 KR 102435133B1 KR 1020207026170 A KR1020207026170 A KR 1020207026170A KR 20207026170 A KR20207026170 A KR 20207026170A KR 102435133 B1 KR102435133 B1 KR 102435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adapter
contact surface
mounting surface
skele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4092A (ko
Inventor
웬웨이 리
쯔웨이 자오
벤푸 싱
샤오레이 이
레이레이 아이
지후이 판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하이얼 스마트 홈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하이얼 스마트 홈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드럼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14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4Tubs provided with reinforcing structures, e.g. ribs, inserts, bra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복 처리 설비를 개시한다. 골격체와 골격체 상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의복 투입구가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의복 처리 설비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로서, 프론트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가 아래로 절곡되어 제1 장착면이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의 상부는 상기 제1 장착면을 통해 상기 골격체 상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프론트 패널은 의복 처리 설비의 전면을 커버하는 일체로 성형된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이므로, 의복 처리 설비가 일체형인 전체적 외관을 구비하고, 상기 일체로 성형된 프론트 패널은 고정이 용이하지 않아, 의복 처리 설비의 구조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 그 상측 가장자리를 아래로 절곡시켜 장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면과 골격체의 견고한 고정 연결을 통해, 프론트 패널과 의복 처리 설비의 골격체를 안정적으로 일체로 고정하여, 의복 처리 설비가 그 프론트 패널 전후 및 양측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의복 처리 설비
본 발명은 가전 제품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외관이 전체적인 효과를 구비하는 의복 처리 설비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가정용 전기 제품의 외관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경쟁이 심한 가전제품 판매에서, 사람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가전 제품 외관을 고르게 된다. 가전 제품의 구조 설계는 가전 제품이 잘 팔릴지 여부에 영향을 미친다. 기존의 의복 처리 설비, 특히 의류 건조기는 다양한 것들을 포함한다. 기존의 의복 처리 설비는 일반적으로 전면 하부에 프론트 패널을 설치하고, 프론트 패널의 상부에 제어 패널을 장착한다. 상기 제어 패널 하단과 프론트 패널 상단 사이는 의복 처리 설비의 전면에서 간격이 형성되어, 외관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의복 처리 설비의 프론트 패널 구조가 복잡하고, 구조 안정성이 떨어진다. 의복 처리 설비가 전체적으로 일체화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복 처리 설비의 프론트 패널을 일체형 구조로 설치하여, 즉 프론트 패널이 일체적인 전체 패널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체적인 패널이 의복 처리 설비의 전체 전면을 커버한다. 하지만, 프론트 패널이 일체형 구조일 때, 프론트 패널은 안정적인 고정 효과를 실현하기 어렵다. 이는 프론트 패널 상부가 직접 의복 처리 설비의 플랫폼과 접촉하므로,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의복 처리 설비의 프론트 패널 상부에 접힌 에지를 형성하여 직접 통체의 골격체 상에 얹혀 결합시킨 후, 프론트 패널 상부에 제어 패널을 장착하여, 상기 접힌 에지를 차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일부 의복 처리 설비와 같이 프론트 패널 상부에 직접 평행되게 연결 러그를 돌출 설치하고, 상기 러그를 통해 의복 처리 설비 내부의 골격체 상에 고정하여, 프론트 패널 상부를 고정시킬 수도 없다. 이러한 의복 처리 설비는 모두 제어 패널부가 프론트 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그 연결 구조를 차폐하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그 프론트 패널의 연결 구조가 간단하고 거칠며, 프론트 패널이 일체형인 전체적 패널 형태의 구조일 때, 상기 프론트 패널은 기존의 이러한 고정 구조를 사용할 수 없고, 외관이 이쁘지 않고, 연결 구조의 안정성도 떨어진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는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프론트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가 아래로 절곡되어 장착면이 형성되고, 이 장착면을 통해 골격체와 견고하게 고정 연결되어, 프론트 패널과 의복 처리 설비의 골격체를 안정적으로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의복 처리 설비의 프론트 패널 전후 및 양측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복 처리 설비를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기본 사상은 다음과 같다.
의복 처리 설비는, 골격체 및 골격체 상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의복 투입구가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은 의복 처리 설비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이다. 프론트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는 아래로 절곡되어 제1 장착면이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의 상부는 상기 제1 장착면을 통해 상기 골격체 상에 고정된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프론트 패널은 의복 처리 설비의 전면을 커버하는 일체로 성형된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이므로, 의복 처리 설비가 일체형인 전체적 외관을 구비하고, 일체로 성형된 상기 프론트 패널은 고정이 용이하지 않아, 의복 처리 설비의 구조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그 상측 가장자리를 아래로 절곡시켜 장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면과 골격체의 견고한 고정 연결을 통해, 프론트 패널과 의복 처리 설비의 골격체를 안정적으로 일체로 고정하여, 의복 처리 설비의 그 프론트 패널 전후 및 양측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어댑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면은 상기 어댑터 상에 고정되고, 상기 어댑터는 골격체 상에 고정된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상기 어댑터를 통해 프론트 패널과 골격체의 어댑터 연결을 실현하고, 프론트 패널과 골격체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시킨다. 다른 한편, 제1 장착면은 아래로 연장되는 장착면으로서, 골격체 상에도 서로 팽행되는 면이 설치되어 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댑터를 설치하여 골격체와 프론트 패널의 어댑터 연결 고정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면은 상기 제1 접촉면과 연결 고정되고, 상기 골격체는 제2 접촉면과 연결 고정된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어댑터는 각각 제1 장착면 및 골격체와 연결되는 제1 접촉면 및 제2 접촉면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골격체와 프론트 패널의 어댑터 연결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는 서로 수직되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면은 골격체 상에서 프론트 패널과 결합되는 일측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접촉면은 수직의 면으로서, 제1 장착면과 밀착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어댑터는 횡단면이 홈 형상을 가지고, 외측에 위치되는 변이 내측에 위치되는 변보다 높도록 구성되어, 골격체로부터 프론트 패널로의 어댑터 연결을 간편하게 실현한다. 상기 어댑터는 골격체 상부에서 프론트 패널과 결합되는 일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골격체 상에 제1 장착면과 접촉 연결되는 제1 접촉면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장착면은 적어도 가장자리 부분이 수직의 평면으로서, 제1 접촉면과 밀착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어댑터는 복수 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어댑터는 골격체 상부 전면의 가장자리에 이격되게 고정되며, 각각의 어댑터 상의 제1 접촉면 상에 연결 구조가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 상의 제1 장착면과 연결 고정된다. 또는, 골격체는 어댑터를 하나만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는 골격체 상부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과 접촉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는 스트립 형태의 구조이고,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은 모두 스트립 형태의 면이며, 상기 제1 접촉면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스크류 홀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면 상에는 대응되게 스크류 홀이 설치되어 스크류를 통해 연결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장착면과 제1 접촉면 상에 프리 포지셔닝 구조가 더 설치된다. 상기 프리 포지셔닝 구조는 제1 접촉면 상에 구비된 수평의 접힌 에지와 제1 장착면 상에 구비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의 접힌 에지는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 연결되어, 어댑터와 프론트 패널의 프리 포지셔닝를 실현한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프리 포지셔닝 구조를 통해 어댑터와 프론트 패널의 프리 포지셔닝를 실현함으로써, 그 후에 이루어지는 이들에 대한 고정 장착 과정이 간편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론트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타측으로 절곡되어 제2 장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장착면은 골격체 및/또는 어댑터 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의 제1 접촉면 양단은 각각 체결부재를 통해 제2 장착면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의 제1 접촉면의 양단 가장자리에는 각각 하나의 스크류 홀이 구비되고, 프론트 패널 양측의 제2 장착면에는 각각 대응되게 스크류 홀이 구비되어, 스크류를 통해 상기 제1 접촉면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장착면은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접촉면으로 돌출되어 부분적으로 수직의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의 평면과 제1 접촉면은 밀착되며 스크류를 통해 체결된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제2 장착면 상에 수직의 평면을 설치함으로써 어댑터의 제1 접촉면과의 밀착 고정에 유리하고, 고정 안정 효과를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골격체는 4개의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프론트 패널과 결합되는 2개의 보강부재 상부에 빔이 연결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빔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빔은 상기 2개의 보강부재의 상부 단면을 감싸며, 골격체 상에 수평의 면을 형성한다. 상기 어댑터의 제2 접촉면은 상기 수평의 면과 밀착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 고정된다.
상술한 기술적 해결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아래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1. 본 발명의 의복 처리 설비는 골격체와 골격체 상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의복 투입구가 설치되는 프론트 패널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은 의복 처리 설비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로서, 프론트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가 아래로 절곡되어 제1 장착면이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의 상부는 상기 제1 장착면을 통해 상기 골격체 상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프론트 패널은 의복 처리 설비의 전면을 커버하는 일체로 성형된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이므로, 의복 처리 설비가 일체형인 전체적 외관을 구비하고, 일체로 성형된 상기 프론트 패널은 고정이 용이하지 않아, 의복 처리 설비의 구조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에서, 그 상측 가장자리를 아래로 절곡시켜 장착면을 형성하며, 이 장착면과 골격체의 견고한 고정 연결을 통해, 프론트 패널과 의복 처리 설비의 골격체를 안정적으로 일체로 고정하여, 의복 처리 설비의 그 프론트 패널 전후 및 양측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2. 본 발명에서, 골격체는 골격체와 어댑터를 포함하며, 제1 장착면은 어댑터 상에 고정되고, 어댑터는 골격체 상에 고정된다. 상기 어댑터를 통해 프론트 패널과 골격체의 어댑터 연결을 실현하고, 프론트 패널과 골격체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시킨다. 다른 한편, 제1 장착면은 아래로 연장되는 장착면으로서, 골격체 상에도 서로 팽행되는 면이 설치되어 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댑터를 설치하여 골격체와 프론트 패널의 어댑터 연결 고정을 실현한다. 상기 어댑터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장착면은 상기 제1 접촉면과 연결 고정되며, 상기 골격체는 제2 접촉면과 연결 고정된다. 어댑터는 각각 제1 장착면 및 골격체와 연결되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구비하도록 설계되어, 골격체와 프론트 패널의 어댑터 연결를 실현한다.
3. 본 발명의 어댑터는 서로 수직되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촉면은 골격체 상에서 프론트 패널과 결합되는 일측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접촉면은 수직의 면으로서, 제1 장착면과 밀착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어댑터는 횡단면이 홈 형상을 가지고, 외측에 위치되는 변이 내측에 위치되는 변보다 높도록 구성되어, 골격체로부터 프론트 패널로의 어댑터 연결을 간편하게 실현한다. 상기 어댑터는 골격체 상부에서 프론트 패널과 결합되는 일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골격체 상에 제1 장착면과 접촉 연결되는 제1 접촉면을 형성한다.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분으로서, 본 발명에 대한 추가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 및 그 설명은 본 발명을 해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대해 부적절한 한정은 하지 않는다. 물론, 아래에 기재되는 첨부 도면은 부분 실시예일 뿐,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창조적 노력을 거치지 않고도, 이러한 첨부 도면으로부터 기타 첨부 도면을 얻을 수 있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의복 처리 설비의 골격체와 프론트 패널의 연결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골격체와 프론트 패널의 연결 구조의 다른 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의 C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론트 패널 배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D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다른 일 시야각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의 E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어댑터의 제1 접촉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특별히 설명하면, 이러한 첨부 도면과 문자 설명은 그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 발명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으며,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분야의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개념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목적, 기술적 해결수단 및 이점이 더욱 명확하도록,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해결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충분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재에서, 특별히 설명하면, 용어 "상", "하", "내", "외" 등이 지시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을 기반으로 하는 방위 또는 위치 관계로서, 단순히 본 발명을 설명하고 설명을 간략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가리키는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 방위를 구비하고, 특정 방식으로 구성 및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명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한정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특별히 설명하면, 기타 명확한 규정 및 한정이 없는 한, 용어 "장착", "연결"은 넓은 범위로 이해되어야 하며, 예를 들어, 고정적 연결일 수 있고, 탈착 가능한 연결이거나, 일체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기계적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직접적 연결일 수 있고, 중간 매체를 통한 간접적 연결일 수도 있다. 본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구체적인 경우에 따라 상술한 용어가 본 발명에서의 구체적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의복 처리 설비는, 골격체(1) 및 골격체(1) 상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의복 투입구가 설치된 프론트 패널(2)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 패널(2)은 의복 처리 설비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이다. 프론트 패널(2)의 상측 가장자리는 아래로 절곡되어 제1 장착면(21)이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2)의 상부는 상기 제1 장착면(21)을 통해 상기 골격체(1) 상에 고정된다.
상기 의복 처리 설비는 상하로 설치되는 제1 의복 처리 장치와 제2 의복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의복 처리 설비의 하우징은 2개의 의복 처리 장치의 측부를 둘러싸는 사이드 패널, 2개의 의복 처리 장치의 배면을 커버하는 리어 커버 패널, 2개의 의복 처리 장치의 상부를 커버하는 플랫폼 및 2개의 의복 처리 장치 앞부분에 배치되며 플랫폼 및 사이드 패널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프론트 패널(2)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2)은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로서, 상기 프론트 패널(2)에는 상기 제1 의복 처리 장치와 제2 의복 처리 장치에 대응되게 각각 제1 의복 투입구(4)와 제2 의복 투입구(5)가 설치된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한정되는 제1 의복 처리 장치와 제2 의복 처리 장치는 의복 건조 드럼일 수 있고 의복 세탁 드럼일 수도 있으며, 또는 그 중 하나가 의복 건조 드럼이고 다른 하나는 의복 세탁 드럼일 수 있다. 여기서, 프론트 패널은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로 설계되며, 이에 따라 본 의복 처리 설비는 일체적인 외관 효과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프론트 패널(2)은 의복 처리 설비의 전면을 커버하는 일체로 성형된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이므로, 의복 처리 설비가 일체형인 전체적 외관을 구비하고, 일체로 성형된 상기 프론트 패널(2)은 고정이 용이하지 않아, 의복 처리 설비의 구조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그 상측 가장자리를 아래로 절곡시켜 장착면을 형성하며, 상기 장착면과 골격체(1)의 견고한 고정 연결을 통해, 프론트 패널(2)과 의복 처리 설비의 골격체(1)를 안정적으로 일체로 고정하여, 의복 처리 설비의 통체가 그 프론트 패널(2) 전후 및 양측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도 2,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의복 처리 설비는 어댑터(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면(21)은 상기 어댑터(3) 상에 고정되고, 상기 어댑터(3)는 골격체(1) 상에 고정된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상기 어댑터(3)를 통해 프론트 패널(2)과 골격체(1)의 어댑터 연결을 실현하고, 프론트 패널(2)과 골격체(1)의 연결 구조를 간소화시킨다. 다른 한편, 제1 장착면(21)은 아래로 연장되는 장착면으로서, 골격체(1) 상에도 서로 팽행되는 면이 설치되어 고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어댑터(3)를 설치하여 골격체(1)와 프론트 패널(2)의 어댑터 연결 고정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 도 2, 도 4 및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어댑터(3)는 제1 접촉면(31)과 제2 접촉면(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장착면(21)은 상기 제1 접촉면(31)과 연결 고정되고, 상기 골격체(1)는 제2 접촉면(32)과 연결 고정된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어댑터(3)는 각각 제1 장착면(21) 및 골격체(1)와 연결되는 제1 접촉면(31) 및 제2 접촉면(32)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골격체(1)와 프론트 패널(2)의 어댑터 연결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3)의 횡단면은 홈 형상으로서, 서로 수직되는 제1 접촉면(31)과 제2 접촉면(3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면(31)은 골격체(1) 상에서 프론트 패널(2)과 결합되는 일측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접촉면(32)은 수직의 면으로서, 제1 장착면(21)과 밀착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어댑터(3)는 횡단면이 홈 형상을 가지고, 홈 형상의 외측에 위치되는 변이 내측에 위치되는 변보다 높도록 구성되어, 골격체(1)로부터 프론트 패널(2)로의 어댑터 연결을 간편하게 실현한다. 상기 어댑터(3)는 골격체(1) 상부에서 프론트 패널(2)과 결합되는 일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골격체(1) 상에 제1 장착면(21)과 접촉 연결되는 제1 접촉면(31)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장착면(21)은 적어도 가장자리 부분이 수직의 평면(221)으로서, 제1 접촉면(32)과 밀착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된다.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어댑터(3)는 복수 개가 포함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어댑터(3)는 골격체(1) 상부 전면의 가장자리에 이격되게 고정되며, 각각의 어댑터(3) 상의 제1 접촉면(31) 상에 연결 구조가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 상의 제1 장착면(21)과 연결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의복 처리 설비는 어댑터(3)가 하나만 설치되고, 상기 어댑터(3)는 골격체(1) 상부에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어, 프론트 패널(2)과 접촉 고정된다. 하나의 어댑터(3)를 설치함으로써 평탄한 장착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1 접촉면(31)을 형성하여, 프론트 패널 상의 제1 장착면(21)과 결합 고정되어, 프론트 패널(2)에 대해 안정적인 고정 효과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3)는 스트립 형태의 구조이고, 상기 제1 접촉면(31)과 제2 접촉면(32)은 모두 스트립 형태의 면이며, 상기 제1 접촉면(31)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스크류 홀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면(21) 상에는 대응되게 스크류 홀이 설치되어 스크류를 통해 연결 고정된다. 다른 한편, 상기 제2 접촉면(32) 상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스크류 홀이 설치되어, 스크류를 통해 골격체(1)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장착면(21)과 제1 접촉면(31) 상에 프리 포지셔닝 구조가 더 설치된다. 상기 프리 포지셔닝 구조는 제1 접촉면(31) 상에 구비된 수평의 접힌 에지(33)와 제1 장착면(21) 상에 구비된 삽입홈(211)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의 접힌 에지(33)는 상기 삽입홈(211) 내에 삽입 연결되어, 어댑터(3)와 프론트 패널(2)의 프리 포지셔닝를 실현한다. 여기서, 상기 수평의 접힌 에지는 제1 접촉면의 상측 가장자리가 부분적으로 접혀서 형성된 수평 접힌 에지일 수 있고, 제1 접촉면의 중부에 사각형의 홈을 형성함으로써 접힌 에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프리 포지셔닝 구조를 통해 어댑터(3)와 프론트 패널(2)의 프리 포지셔닝를 실현함으로써, 그 후에 이루어지는 이들에 대한 고정 장착 과정이 간편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접촉면(31)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수평의 접힌 에지가 이격되게 설치되어, 프리 포지셔닝 안정성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2)의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타측으로 절곡되어 제2 장착면(22)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장착면(22)은 골격체(1) 및/또는 어댑터(3) 상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어댑터(3)의 제1 접촉면(31) 양단은 각각 체결부재를 통해 제2 장착면(22)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댑터(3)의 제1 접촉면(31)의 양단 가장자리에는 각각 하나의 스크류 홀(34)이 구비되고, 프론트 패널(2) 양측의 제2 장착면(22)에는 각각 대응되게 스크류 홀이 구비되어, 스크류를 통해 상기 제1 접촉면(31)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장착면(22)은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접촉면(31)으로 돌출되어 부분적으로 수직의 평면(221)을 형성하고, 상기 수직의 평면(221)과 제1 접촉면(31)은 밀착되며 스크류를 통해 체결된다.
상술한 해결수단에서, 제2 장착면(22) 상에 수직의 평면(221)을 설치함으로써 어댑터(3)의 제1 접촉면(31)과의 밀착 고정에 유리하고, 고정 안정 효과를 향상시킨다.
한편, 프론트 패널(2) 상의 양측의 제2 장착면(22)은 프론트 패널(2) 양측의 가장자리가 절곡되어 프론트 패널(2) 표면에 형성된 절곡면으로서, 상기 제2 장착면(22)은 상부에 스크류 홀이 형성되어 제1 접촉면(31)과 연결 고정되는 것 외에, 그 하부에 복수 개의 고정 구조가 더 구비되어 골격체(1)와 연결 고정된다. 상기 고정 구조는 스크류 홀일 수 있고, 끼움홈일 수도 있으며, 골격체(1) 상에 끼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격체(1)는 4개의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11)를 포함하고, 프론트 패널(2)과 결합되는 2개의 보강부재(11) 상부에 빔(12)이 연결되며, 상기 어댑터(3)는 상기 빔(12)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빔(12)은 상기 2개의 보강부재(11)의 상부 단면을 감싸며, 골격체(1) 상에 수평의 면을 형성한다. 상기 어댑터(3)의 제2 접촉면(32)은 상기 수평의 면과 밀착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 고정된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론트 패널(2)의 저부는 끼움 결합 또는 체결부재를 통해 골격체(1) 상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프론트 패널(2)의 저부에는 아래로 돌출되는 러그(222)가 설치되고, 러그(222) 상에 홀이 구비되어, 골격체(1)와 연결 고정된다.
상기 골격체(1)는 4개의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11)를 포함한다. 프론트 패널(2)과 결합되는 2개의 보강부재(11)의 저부에 빔(12)이 연결되며, 상기 어댑터(3)는 상기 빔(12) 상에 고정된다. 상기 빔(12)의 양단에도 아래로 연장되는 러그가 설치되며, 상기 러그는 프론트 패널(2) 상의 러그(222)과 밀착되며 스크류를 통해 체결된다. 프론트 패널(2) 상의 러그(222)는 프론트 패널(2)의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장착 과정에서 프론트 패널(2)의 표면에 스크류를 장착함으로써, 연결 구조가 간단해진다.
장착 과정에서, 우선 프론트 패널(2)과 어댑터(3)를 연결 고정한 다음, 어댑터(3)가 연결된 프론트 패널(2)을 골격체(1) 상에 고정하며, 상기 장착 과정은 간단하고, 어댑터 상의 제2 접촉면이 쉽게 골격체 상에 얹혀 결합될 수 있으며, 포지셔닝 장착이 용이하다.
실시예 2
실시예 2와 실시예 1의 다른 점은, 의복 처리 설비가 상기 어댑터(3)를 구비하지 않고, 의복 처리 설비의 프론트 패널(2)의 상측 가장자리는 아래로 절곡된 후, 나아가 외측으로 수평 절곡되어, 골격체(1)와 연결 고정되는 수평면을 형성함으로써, 실시예 1에서의 프론트 패널(2)과 어댑터를 일체로 연결하는 구조의 효과를 달성한다. 골격체(1) 상에는 마찬가지로 4개의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11)를 포함하고, 프론트 패널(2)과 결합되는 2개의 보강부재(11) 상부에 빔(12)이 연결되며, 상기 수평면은 상기 빔(12) 상에 밀착 고정된다. 상기 해결수단에서, 프론트 패널(2)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에 절곡을 통해 상기 수평면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를 미리 남겨두어야 하며, 프론트 패널(2)의 상측 가장자리는 아래로 1차 절곡된 후에, 형성된 절곡면 상에서 계속하여 의복 처리 설비 내부로 2차 절곡시켜, 상기 수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평면은 끼움 결합 및/또는 체결부재를 통해 골격체(1) 상에 고정된다. 프론트 패널(2)의 양측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내측으로 절곡되어 제2 장착면(22)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별도로 어댑터(3)를 설치하지 않고, 프론트 패널(2)이 직접 골격체(1) 상에 고정되므로, 장착 과정이 간단하고, 일체적인 설계는 구조가 더욱 안정적이다.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어떤 형태로도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비록 본 발명에서 상기와 같은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위에서 개시된 기술내용에 대해 약간의 변경이거나 수정을 가하여 동등하게 변화하는 등가적 실시예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수단의 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기술의 실질을 기초로 상기 실시예에 대해 이루어진 임의의 간단한 수정, 동등한 변화 및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해결수단의 범위 내에 속한다.
1: 골격체 11: 보강부재
12: 빔 2: 프론트 패널
21: 제1 장착면 211: 삽입홈
22: 제2 장착면 221: 수직의 평면
222: 러그 3: 어댑터
31: 제1 접촉면 32: 제2 접촉면
33: 수평의 접힌 에지 34: 스크류 홀
4: 제1 의복 투입구 5: 제2 의복 투입구

Claims (10)

  1. 골격체, 어댑터 및 골격체 상에 장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의복 투입구가 설치된 프론트 패널을 포함하는 의복 처리 설비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은 의복 처리 설비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체적인 패널 형태의 구조이고, 프론트 패널의 상측 가장자리는 아래로 절곡되어 제1 장착면이 형성되고, 프론트 패널의 상부는 상기 제1 장착면을 통해 상기 골격체 상에 고정되며,
    상기 어댑터는 서로 수직되는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면은 골격체의 프론트 패널과 결합되는 일측의 상단에 수평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1 접촉면은 수직의 면으로서, 제1 장착면과 밀착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처리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스트립 형태의 구조이고, 상기 제1 접촉면과 제2 접촉면은 모두 스트립 형태의 면이며, 상기 제1 접촉면 상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스크류 홀이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장착면 상에는 대응되게 스크류 홀이 설치되어 스크류를 통해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처리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착면과 제1 접촉면 상에 프리 포지셔닝 구조가 더 설치되고, 상기 프리 포지셔닝 구조는 제1 접촉면 상에 구비된 수평의 접힌 에지와 제1 장착면 상에 구비된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의 접힌 에지는 상기 삽입홈 내에 삽입 연결되어, 어댑터와 프론트 패널의 프리 포지셔닝을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처리 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패널의 양측 가장자리는 각각 서로 마주하는 타측으로 절곡되어 제2 장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장착면은 골격체 및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처리 설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의 제1 접촉면의 양단은 각각 체결부재를 통해 제2 장착면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처리 설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골격체는 4개의 수직으로 설치되는 보강부재를 포함하고, 프론트 패널과 결합되는 2개의 보강부재 상부에 빔이 연결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빔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처리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2개의 보강부재의 상부 단면을 감싸며, 골격체 상에 수평의 면을 형성하고, 상기 어댑터의 제2 접촉면은 상기 수평의 면과 밀착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연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복 처리 설비.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7026170A 2018-02-12 2019-01-31 의복 처리 설비 KR102435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144723.7A CN110144713A (zh) 2018-02-12 2018-02-12 一种衣物处理设备
CN201810144723.7 2018-02-12
PCT/CN2019/074143 WO2019154260A1 (zh) 2018-02-12 2019-01-31 一种衣物处理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092A KR20200144092A (ko) 2020-12-28
KR102435133B1 true KR102435133B1 (ko) 2022-08-24

Family

ID=67548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170A KR102435133B1 (ko) 2018-02-12 2019-01-31 의복 처리 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92747B2 (ko)
EP (1) EP3754091A1 (ko)
JP (1) JP7146928B2 (ko)
KR (1) KR102435133B1 (ko)
CN (1) CN110144713A (ko)
WO (1) WO201915426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9034A1 (en) * 2006-01-10 2007-07-12 Miele & Cie. Kg Housing for a front-loading laundry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06267A (en) 1963-08-12 1965-09-14 Ametek Inc Laundry machines
ES470524A1 (es) 1978-05-26 1979-02-01 Domar Sa Perfeccionamientos en los bastidores y carcasas de maquinas lavadoras de ropa
FR2491966A1 (fr) 1980-10-14 1982-04-16 Thomson Brandt Machine a laver le linge etroite et encastrable
ES283444Y (es) 1984-12-14 1985-12-16 Domar Sa Carcasa mueble para maquina lavadora de ropa
JPH05184790A (ja) 1992-01-10 1993-07-27 Toshiba Corp ランドリー機器用箱体
JPH08299684A (ja) 1995-05-10 1996-11-19 Nippon Kentetsu Co Ltd 洗濯機の前面パネルの取付構造
DE59902390D1 (de) 1998-03-19 2002-09-26 Miele & Cie Gehäuse für eine front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KR100595181B1 (ko) 2002-07-31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빨래건조기의 톱커버 어셈블리 조립 구조
AU2003262464B2 (en) * 2002-11-28 2006-07-06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US20050115105A1 (en) 2003-11-28 2005-06-02 Ahn Jeung G. Home applianc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06110006A1 (en) 2005-04-15 2006-10-19 Lg Electronics, Inc. Clean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and assembly methods for the same
US7895770B2 (en) * 2006-12-15 2011-03-01 Lg Electronics Inc. Laundry machine
EP2329072A2 (en) 2008-09-09 2011-06-08 Arçelik Anonim Sirketi Control panel assembly for a washer/dryer
CN104862937B (zh) * 2010-07-09 2017-07-14 Lg电子株式会社 用于运行衣物处理设备的方法
EP2711456B1 (en) * 2011-04-18 2018-09-05 LG Electronics Inc. -1- Washing machine including a drying function
KR20180013535A (ko) * 2016-07-29 2018-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히트펌프를 구비한 세탁건조기 및 그의 건조운전제어방법
CN208151724U (zh) 2018-02-12 2018-11-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设备
CN110219136A (zh) * 2018-03-02 2019-09-10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弹簧承重横梁及衣物处理设备的骨架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9034A1 (en) * 2006-01-10 2007-07-12 Miele & Cie. Kg Housing for a front-loading laundry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4091A4 (en) 2020-12-23
US20210040665A1 (en) 2021-02-11
US11492747B2 (en) 2022-11-08
JP2021512727A (ja) 2021-05-20
EP3754091A1 (en) 2020-12-23
KR20200144092A (ko) 2020-12-28
JP7146928B2 (ja) 2022-10-04
CN110144713A (zh) 2019-08-20
WO2019154260A1 (zh) 2019-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3221C2 (ru) Рамочная сборка для коммутационной панели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ей рама и коммутационная панель
US20160010719A1 (en) Pedestal and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435133B1 (ko) 의복 처리 설비
KR19980040473U (ko) 쉴드유니트 장착이 용이한 디스플레이장치
CN111394930A (zh) 衣物处理装置
ITTO20120095A1 (it) Macchina lavastoviglie
KR100992378B1 (ko) 조적 공사용 인방 어셈블리
CN213328316U (zh) 一种堆叠安装结构
RU2390081C2 (ru) Корпус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щита
WO2019154256A1 (zh) 一种衣物处理装置的支撑框架
KR100441099B1 (ko) 세탁기의 렉 브래킷 장착구조
EP3556928B1 (en) Clothes treatment device and cabinet component therefor
CN111394929A (zh) 衣物处理装置
KR20040085516A (ko) 세탁기용 받침대
KR20120004839U (ko) 배터리분배유니트의 터미널 오조립방지장치
CN107075774A (zh) 洗衣机和/或干衣机控制面板壳体固定系统
KR100867278B1 (ko) 세탁기
CN111455609A (zh) 衣物处理装置
KR101697259B1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파워커넥터
CN211985303U (zh) 一种水槽清洗机的防鼠底盖结构
CN111394950A (zh) 支撑框架以及衣物处理装置
WO2020140350A1 (zh) 框架结构以及衣物处理装置
CN107938287B (zh) 一种衣物处理设备
CN111394951A (zh) 框架结构以及衣物处理装置
CN115110271A (zh) 衣物处理设备的箱体及洗烘一体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