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5072B1 - 치아 보철 기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 - Google Patents

치아 보철 기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5072B1
KR102435072B1 KR1020220063205A KR20220063205A KR102435072B1 KR 102435072 B1 KR102435072 B1 KR 102435072B1 KR 1020220063205 A KR1020220063205 A KR 1020220063205A KR 20220063205 A KR20220063205 A KR 20220063205A KR 102435072 B1 KR102435072 B1 KR 102435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tering
prosthetic appliance
present
prosthesi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3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훈
Original Assignee
김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훈 filed Critical 김일훈
Priority to KR1020220063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0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8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61C13/082Cosmetic aspects, e.g. inlays; Determination of the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34Making or working of models, e.g. preliminary castings, trial dentures; Dowel pins [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A61C3/025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e.g. for cleaning, polishing or cutt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06Impression t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4Burning or sintering proc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상채득부터 컨투어링까지 신속하고도 불순물에 의한 색상 변화없이 정확한 보철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 구강의 치아를 음형으로 복제한 인상을 채득하는 채득단계(S10); 상기 인상을 기초로 모형을 제작하는 모형단계(S20); 제작된 모형을 스캔하여 보철물 형상을 디자인하는 제작단계(S30); 원재료를 상기 디자인된 보철물 형상대로 밀링하는 밀링단계(S40); 상기 밀링단계에 의하여 제작된 보철물을 소결장치(10)에 의하여 소결하는 소결단계(S50); 소결된 보철물을 치아와 잘 맞는지 맞춰보는 어댑테이션단계(S60);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는 빌드업단계(S70); 및, 소결된 보철물을 버(bur)를 이용하여 광택을 제거하거나 모델에 끼워서 표면작업을 하여 다듬는 컨투어링단계(S80);를 포함하여 진행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상채득부터 컨투어링까지 신속하고도 불순물에 의한 색상 변화없이 정확한 보철물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치아 보철 기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MANUFACTURING METHOD OF TOOTH RESTORATION MATERIAL AND SINTERING DEVICE FOR THE METHOD}
본 발명은 치아 보철 기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상 채득, 모형 제작, 스캔 및 보철물 형상 제작, 밀링 작업 및 소결하여 적합, 빌드업, 컨투어링을 한 후 치과에 배송하는 일련의 작업과정과 여기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진료를 진행할 때 기공물은 필수 요소이다. 잇몸 뼈에 보철물을 식립하는 치료인 임플란트를 포함해 크라운, 라미네이트 등 여러 치료를 위해서는 기공소에서의 보철물 제작이 필요하다.
기공소에서 보철물을 제작하는 경우 의뢰를 보내고 제작된 보철물을 받고 하는 과정에서도 상당 기간이 소요되는 편이다. 기공소의 경우 의뢰, 제작, 수정까지 오가는 과정의 시간이 소요되고 미세한 수정사항은 그냥 넘어갈 수도 있기 때문에 정확성 또한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치과에서 진행하는 전반적인 진료에는 기공소의 역할이 특히 중요하다. 이 중에서도 임플란트, 틀니와 같이 보철치료에서 자연치아와 비슷하게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기공사의 실력 또한 중요하다. 그리고 라미네이트, 크라운 같은 치료는 앞니에 진행될 때 인접 치아와 비슷한 색상과 모양으로 제작하는 심미적인 부분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만약 환자가 원하는 치아 색상과 모양이 있더라도 기존 치아들과 너무 동떨어져 보이면 치료를 하고 나서도 보기 좋지 않기 때문에 충분한 상의 후 제작하고 필요한 수정을 진행해야 한다.
특히 보철물을 소결하는 과정에서 퍼니스에 남아있는 기존의 불순물 때문에 원치 않는 색상의 보철물이 나오는 경우, 다시 처음부터 제작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더욱 소요될 수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0526호의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수복용 소재의 소결방법"에서는, 열선 형태의 가열부재와, 냉각장치 및 개폐장치가 구비된 도어로 이루어진 챔버와, 상기 챔버의 내부 온도를 초기 셋팅 온도에서부터 최종 목표 가열 온도로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열부재를 구간별로 제어하고, 이후에 상기 목표 가열 온도에서부터 최종 목표 냉각 온도로 도달할 때까지 상기 냉각장치 및 상기 개폐장치를 구간별로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이용하여 챔버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상승시키고, 냉각 시간을 단축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는 있으나, 이는 챔버 내부의 불순물이 여전히 잔존하여 보철물의 색상을 원치않는 색상으로 착색하는 문제를 여전히 갖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30526호의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수복용 소재의 소결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상채득부터 컨투어링까지 신속하고도 불순물에 의한 색상 변화없이 정확한 보철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작업에 의하여 디자인한 형상을 정확하게 구현하는 보철물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결과정에서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온도을 정확하게 셋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결과정에서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퍼니스의 내부 대기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자 구강의 치아를 음형으로 복제한 인상을 채득하는 채득단계(S10); 상기 인상을 기초로 모형을 제작하는 모형단계(S20); 제작된 모형을 스캔하여 보철물 형상을 디자인하는 제작단계(S30); 원재료를 상기 디자인된 보철물 형상대로 밀링하는 밀링단계(S40); 상기 밀링단계에 의하여 제작된 보철물을 소결장치(10)에 의하여 소결하는 소결단계(S50); 소결된 보철물을 치아와 잘 맞는지 맞춰보는 어댑테이션단계(S60);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는 빌드업단계(S70); 및, 소결된 보철물을 버(bur)를 이용하여 광택을 제거하거나 모델에 끼워서 표면작업을 하여 다듬는 컨투어링단계(S80);를 포함하여 진행한다.
특히 상기 소결단계(S50)는, 원통형의 샘플 입자(220)를 비드(210) 위에 올려놓고 소결장치(10)에서 소결한 후 샘플 입자(220)의 변화된 길이와 직경을 측정하여 참고표를 보고 이에 해당하는 온도로 보정하는 단계(S51); 상기 샘플 입자(220)를 제거하고 비드(210) 위에 소결할 보철물을 움직임이 자유롭게 위치시키는 단계(S52); 상기 소결할 보철물을 트레이(200) 위에 놓고 퍼니스(400)에 투입한 후 퍼니스(400)의 내부 공기를 배출관(420)을 통하여 외부로 빼내는 단계(S53); 및, 상기 배출관(420)을 막고 퍼니스(400) 내부의 온도를 높여 소결하는 단계(S54);를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결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소결 온도 및 소결 시간을 포함한 제어요소를 스크린(110)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하는 제어박스(100); 내부바닥에 비드(210)가 균일하게 퍼져서 채워지며 비드(210) 위에 소결할 보철물 또는 샘플 입자(220)가 놓이는 트레이(200); 상기 제어박스(100) 위에 구비되고 가드레일(31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트레이(200)를 지지하는 서포터(300); 상기 서포터(300)가 투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내벽에는 복수 개의 저항열선(410)이 하방으로 뻗어있어서 저항열선(410)의 온도 상승에 의하여 상기 보철물을 소결하며, 상부 중심부에는 외부로 통기되는 배출관(4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420)의 상단 내주면에는 나사결합하도록 나사산(430)이 형성되어 있는 퍼니스(400); 가로관(510)과 세로관(520)으로 이루어진 T자형이고 상기 배출관(420)의 상단에 세로관(520)의 하단이 나사결합하며 가로관(510)의 일단(511)에는 공기가 주입되고 타단(512)에는 공기가 배출되며, 가로관(510)과 만나는 세로관(520)의 개구부(522)가 상기 주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부양밸브(550)에 의하여 개폐되는 T자관(500);을 포함하되, 상기 T자관(500)은 가로관(510)의 중심부에 반원통형의 내부공간(551)이 내주면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양밸브(550)는 상기 반원통형의 내부공간의 중심에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부양하는 프로펠러(555)이고, 여기서 상기 프로펠러(555)의 회전축 하단에는 상기 세로관(520)의 개구부(522)에 끼워져서 회전축의 상하운동에 의해 세로관(520)을 개폐시키도록 원뿔모양의 마개(558)가 형성되며, 프로펠러(555)의 회전축 상단은 이동공간(557)이 형성된 홈(559)에 끼워지고, 상기 반원통형의 내부공간의 중심은 가로관(510)의 외주면을 잇는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인상채득부터 컨투어링까지 신속하고도 불순물에 의한 색상 변화없이 정확한 보철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 작업에 의하여 디자인한 형상을 밀링 머신을 이용하여 조각하여 정밀한 보철물을 얻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샘플 입자을 이용하여 퍼니스 내부 온도을 정확하게 셋팅하여 소결과정에서의 오류를 줄일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퍼니스의 내부 대기환경을 외부로 정기적으로 배출시켜 청결하게 유지함으로써, 소결과정에서의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시간 사용으로 발생한 퍼니스의 내부 오염 물질을 별도의 세척과정이 없이 공기주입만으로 용이하게 배출시켜서, 보철물의 시각적 특성을 원하지 않는 색상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철 기구 제작 방법를 구현하는 전체적인 흐름도와 각 단계에 해당하는 실제 실행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결단계(S50)를 진행하는 세부적인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철 기구 제작 방법에 있어서 비드(210) 위에 샘플 입자(220)를 핀셋으로 올려놓는 그림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보철 기구 제작 방법에 있어서 참고표를 나타낸 표이고 도 4b는 샘플 입자(2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보철 기구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정상적인 저항열선(410)과 오염된 저항열선(410)을 찍은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장치(10)의 트레이(200) 투입 전 및 투입 후의 종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장치(10)의 T자관(500)의 분해 사시도 및 분해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장치(10)의 T자관(500)의 평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의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장치(10)의 T자관(500) 내의 부양밸브(550)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용 승강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철 기구 제작 방법를 구현하는 전체적인 흐름도와 각 단계에 해당하는 실제 실행 사진이다.
먼저, 환자 구강의 치아를 음형으로 복제한 인상을 채득하는 채득단계(S10)를 진행한다. 대부분 채득단계는 치과에서 진행하고, 인상 채득이란 치아 또는 잇몸의 본을 뜨는 과정이다. 채득한 인상은 보통 기공소로 접수된다.
다음으로, 상기 인상을 기초로 모형을 제작하는 모형단계(S20)를 진행한다. 모형은 보통 석고를 인상에 충전하여 제작한다.
다음으로, 제작된 모형을 스캔하여 보철물 형상을 디자인하는 제작단계(S30)를 진행한다. 최근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정밀하게 디자인한다.
다음으로, 원재료를 상기 디자인된 보철물 형상대로 밀링하는 밀링단계(S40)를 진행한다. 3D 프린터로 제작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밀링 머신을 이용한다. 밀링단계(S40)는 밀링 머신의 버(bur)를 이용하여 블럭을 정밀하게 깍는 단계이다.
다음로, 상기 밀링단계(S40)에 의하여 제작된 보철물을 소결장치에 의하여 소결하는 소결단계(S50)를 진행한다.
특히 소결단계(S50)는 다시 세부적인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결단계(S50)를 진행하는 세부적인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원통형의 샘플 입자(220)를 비드(210) 위에 올려놓고 소결장치에서 소결한 후 샘플 입자(220)의 변화된 길이(L)와 직경(D)을 측정하여 참고표를 보고 이에 해당하는 온도로 보정하는 단계(S51)를 진행한다. 길이(L)를 제외하고 직경(D)만을 측정하여도 좋다.
소결 후에는 보철물이 20%가량 축소되기 때문에 온도에 따른 정확한 축소율을 알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정확한 온도를 설정하고 소결하는 작업이 중요하기 때문에 샘플 입자(220)의 축소 정도에 대응한 온도를 참고표를 보고 교정(calibration)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샘플 입자(220)는 보철물의 재료와 동일한 것이 좋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철 기구 제작 방법에 있어서 비드(210) 위에 샘플 입자(220)를 핀셋으로 올려놓는 그림이다.
샘플 입자(220)를 가볍게 올려놓고 강제로 집어넣어서는 안 된다. 소결로 인한 수축을 제대로 측정하기 위해서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보철 기구 제작 방법에 있어서 참고표를 나타낸 표이고 도 4b는 샘플 입자(22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소결 후의 샘플 입자(220)의 지름이 18.70이면 1510℃로 교정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샘플 입자(220)를 제거하고 비드(210) 위에 소결할 보철물을 움직임이 자유롭게 위치시키는 단계(S52)를 진행한다. 비드(210)는 0.3mm와 2mm 짜리를 1:1로 섞은 것으로, 트레이(200) 바닥에 골고루 펼치는 것이 좋다. 이때 보철물은 강제로 비드(210) 속에 누르지 말고 움직임이 자유롭게 가볍게 놓는다. 나아가 소결시 균열을 막기 위해 가능한 한 마찰이 없도록 해야 한다.
다음으로, 상기 소결할 보철물을 트레이(200) 위에 놓고 퍼니스(400)에 투입한 후 퍼니스(400)의 내부 공기를 배출관(420)을 통하여 외부로 빼내는 단계(S53)를 진행한다.
퍼니스(400) 안의 비드(210)나 보철물, 샘플 입자(220) 등은 소결 중 저항열선(410)에 약간의 침전 내지 석출을 남기면서 대기환경과 반응할 수 있다. 이런 것들은 동시에 보철물에도 남길 수 있으며, 다음 소결 작업을 오염시킬 수 있고 지르코니아 재료의 보철물의 시각적 특성을 변질시킬 수 있다. 따라서 퍼니스(400) 안의 불순물이나 오염물을 소결 전 완전히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본 발명의 보철 기구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정상적인 저항열선(410)과 오염된 저항열선(410)을 찍은 사진이다.
도 5a는 저항열선(410)의 표면이 깨끗하나, 도 5b는 장시간 사용결과 저항열선(410)의 표면이 하얗게 오염물질이 달라붙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추후 재소결 과정에서 보철물이나 비드(210) 등의 색상을 원하지 않는 색상으로 변질시킬 수 있으므로, 퍼니스(400) 내부의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배출관(420)을 통해 내부 공기를 외부로 빼주는 기술을 개시한다.
다음으로, 상기 배출관(420)을 막고 퍼니스(400) 내부의 온도를 높여 소결하는 단계(S54)를 진행함으로써, 소결단계(S50)를 마무리한다.
다음으로, 소결된 보철물을 치아와 잘 맞는지 맞춰보는 어댑테이션단계(S60)를 진행한다. 어댑테이션이란 보철과 치아가 잘 맞는지 맞춰보는 과정을 말한다.
다음으로, 원하는 색상을 구현하는 빌드업단계(S70)를 진행한다. 이는 색깔을 적절하게 파우더로 재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소결된 보철물을 버(bur)를 이용하여 광택을 제거하거나 모델에 끼워서 표면작업을 하여 다듬는 컨투어링단계(S80)를 포함한다. 컨투어링이란 버(bur)를 이용하여 광택을 제거하거나, 모델에 끼워서 인접면(컨택면)이나 사면, 정면, 후면 등을 실제 치아, 즉 실제 치아는 가로·세로 굵기가 다양한 텍스처가 있고 표면 사면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최대한 실제 치아에 가깝게 다듬는 외형작업을 진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장치(1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장치(10)의 트레이(200) 투입 전 및 투입 후의 종단면도이다.
소결 장치(10)는 크게 제어박스(100), 트레이(200), 서포터(300), 퍼니스(400), 부양밸브(550)를 내장한 T자관(500)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어박스(100)는, 소결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소결 온도 및 소결 시간을 포함한 제어요소를 스크린(110)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하도록 하는 요소이다.
소결프로그램이 구동되면 스크린(110)을 통해 사용자가 소결 온도, 온도 유지 시간, 온도 상승 또는 하강 비율, 작업 명칭 등의 제어요소를 입력하여 소결장치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트레이(200)의 내부바닥에 비드(210)가 균일하게 퍼져서 채워지며 비드(210) 위에 소결할 보철물 또는 샘플 입자(220)가 놓일 수 있다. 보철물 또는 샘플 입자(220)는 지르코니아가 적당하며 비드(210)는 보철물 또는 샘플 입자(220)의 물리적 성질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마찰없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이 좋다. 트레이(200)는 높은 온도에서도 물성의 변화가 없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한편 서포터(300)가 상기 제어박스(100) 위에 구비되고 가드레일(31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트레이(200)를 지지한다. 서포터(300)가 가드레일의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트레이(200)가 퍼니스(400) 안으로 투입된다.
또한 퍼니스(400)는, 상기 서포터(300)가 투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내벽에는 복수 개의 저항열선(410)이 하방으로 뻗어있어서 저항열선(410)의 온도 상승에 의하여 보철물을 소결하며, 상부 중심부에는 외부로 통기되는 배출관(4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420)의 상단 내주면에는 나사결합하도록 나사산(430)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 나사산(430)에 나사결합하여 퍼니스(400)의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T자관(500)을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본 발명의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장치(10)의 T자관(500)의 분해 사시도 및 분해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장치(10)의 T자관(500)의 평면도이다.
T자관(500)은 가로관(510)과 세로관(520)으로 이루어진 T자형이고 상기 배출관(420)의 상단에 세로관(520)의 하단이 나사결합하며 가로관(510)의 일단(511)에는 공기가 주입되고 타단(512)에는 공기가 배출되며, 가로관(510)과 만나는 세로관(520)의 개구부(522)가 상기 주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부양밸브(550)에 의하여 개폐된다.
예를 들어, 가로관(510)의 일단(511)에 컴프레셔 등으로 공기를 강하게 주입하면 가로관(510)을 통해 다시 가로관(510)의 타단(512)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가로관(510)의 내부 기압은 떨어지고, 퍼니스(400)의 상대적으로 기압이 높은 오염된 내부 공기가 세로관(520)을 따라 상부로 올라와, 함께 가로관(510)의 타단(512)으로 배출된다.
여기서 가로관(510)의 중심부에는 반원통형의 내부공간(551)이 내주면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양밸브(550)는 상기 반원통형의 내부공간의 중심에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부양하는 프로펠러(555) 형태가 좋다.
또한 상기 프로펠러(555)의 회전축 하단에는 상기 세로관(520)의 개구부(522)에 끼워져서 회전축의 상하운동에 의해 세로관(520)을 개폐시키도록 원뿔모양의 마개(558)가 형성되며, 프로펠러(555)의 회전축 상단은 이동공간(557)이 형성된 홈(559)에 끼워지는 것이 좋다.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본 발명의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장치(10)의 T자관(500) 내의 부양밸브(550)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a에서 보면, 가로관(510) 내부로 강한 공기가 주입되지 않는 평상시 상태에서는 프로펠러(555)의 회전축 하부에 달린 마개(558)가 중력에 의하여 세로관(520)의 개구부(522)를 막고 있다.
그러나 도 10b를 보면, 가로관(510) 내부로 강한 공기가 주입되면 프로펠러(555)가 회전하면서 상방으로 부양한다. 이는 홈(559)에 이동공간(557)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부양한 프로펠러(555)에 의하여 마개(558)도 열리게 되고 결과적으로 세로관(520)의 개구부(522)를 개방된다. 개방된 세로관(520)으로부터 퍼니스(400)의 내부 공기가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반원통형의 내부공간의 중심은 가로관(510)의 외주면을 잇는 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즉 세로관(520)의 개구부(522)는 가로관(510)으로 흐르는 공기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이 기압차로 인한 공기 배출에 유리하다.
이로써 본 발명의 소결장치에 의하면 장시간 사용으로 발생한 퍼니스(400)의 내부 오염 물질을 별도의 세척과정이 없이 공기주입만으로 용이하게 배출시켜서, 보철물의 시각적 특성을 원하지 않는 색상으로 변질되는 것을 막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소결장치
100:제어박스
110: 스크린
200: 트레이
210: 비드
220: 샘플 입자
300: 서포터
310: 가드레일
400: 퍼니스
410: 저항열선
420: 배출관
500: T자관
510: 가로관
520: 세로관
522: 개구부
550: 부양밸브
551: 내부공간
555: 프로펠러
558: 마개
559: 홈

Claims (2)

  1. 소결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소결 온도 및 소결 시간을 포함한 제어요소를 스크린(110)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하는 제어박스(100);
    내부바닥에 비드(210)가 균일하게 퍼져서 채워지며 비드(210) 위에 소결할 보철물 또는 샘플 입자(220)가 놓이는 트레이(200);
    상기 제어박스(100) 위에 구비되고 가드레일(310)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트레이(200)를 지지하는 서포터(300);
    상기 서포터(300)가 투입되도록 하부가 개방되고 내벽에는 복수 개의 저항열선(410)이 하방으로 뻗어있어서 저항열선(410)의 온도 상승에 의하여 상기 보철물을 소결하며, 상부 중심부에는 외부로 통기되는 배출관(420)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420)의 상단 내주면에는 나사결합하도록 나사산(430)이 형성되어 있는 퍼니스(400);
    가로관(510)과 세로관(520)으로 이루어진 T자형이고 상기 배출관(420)의 상단에 세로관(520)의 하단이 나사결합하며 가로관(510)의 일단(511)에는 공기가 주입되고 타단(512)에는 공기가 배출되며, 가로관(510)과 만나는 세로관(520)의 개구부(522)가 상기 주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하여 상하로 움직이는 부양밸브(550)에 의하여 개폐되는 T자관(500);을 포함하되,
    상기 T자관(500)은 가로관(510)의 중심부에 반원통형의 내부공간(551)이 내주면 일측에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부양밸브(550)는 상기 반원통형의 내부공간의 중심에 삽입되어 회전에 의해 부양하는 프로펠러(555)이고, 여기서 상기 프로펠러(555)의 회전축 하단에는 상기 세로관(520)의 개구부(522)에 끼워져서 회전축의 상하운동에 의해 세로관(520)을 개폐시키도록 원뿔모양의 마개(558)가 형성되며, 프로펠러(555)의 회전축 상단은 이동공간(557)이 형성된 홈(559)에 끼워지고,
    상기 반원통형의 내부공간의 중심은 가로관(510)의 외주면을 잇는 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보철 기구 제작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

  2. 삭제
KR1020220063205A 2022-05-24 2022-05-24 치아 보철 기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 KR102435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205A KR102435072B1 (ko) 2022-05-24 2022-05-24 치아 보철 기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3205A KR102435072B1 (ko) 2022-05-24 2022-05-24 치아 보철 기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072B1 true KR102435072B1 (ko) 2022-08-19

Family

ID=83113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3205A KR102435072B1 (ko) 2022-05-24 2022-05-24 치아 보철 기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07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7082A (ja) * 2006-10-23 2008-05-08 Ivoclar Vivadent Ag 特に歯科用の燃焼窯の稼働方法ならびに燃焼窯
KR101161155B1 (ko) * 2011-12-30 2012-07-03 (주)예스바이오골드 치과재료용 가열로
KR20130029848A (ko) * 2011-09-16 2013-03-26 배병수 모형 및 구강 스캔을 이용한 캐드, 캠 치과 보철물 제작 교육방법
KR101496080B1 (ko) * 2014-01-03 2015-03-02 심규현 치과기공물 제작방법
KR20160002738A (ko) * 2013-04-18 2016-01-08 아만 기르바흐 아게 적어도 하나의 소결되어야 하는 작업편을 갖는 배열체
US20190101332A1 (en) * 2016-02-24 2019-04-04 Dentsply Sirona Inc. Induction furna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a heat treatment of a dental replacement part
KR102230526B1 (ko) 2020-10-26 2021-03-22 원종영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수복용 소재의 소결 방법
KR102236836B1 (ko) * 2020-03-06 2021-04-05 박덕희 디지털 가공을 활용한 치아 보철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7082A (ja) * 2006-10-23 2008-05-08 Ivoclar Vivadent Ag 特に歯科用の燃焼窯の稼働方法ならびに燃焼窯
KR20130029848A (ko) * 2011-09-16 2013-03-26 배병수 모형 및 구강 스캔을 이용한 캐드, 캠 치과 보철물 제작 교육방법
KR101161155B1 (ko) * 2011-12-30 2012-07-03 (주)예스바이오골드 치과재료용 가열로
KR20160002738A (ko) * 2013-04-18 2016-01-08 아만 기르바흐 아게 적어도 하나의 소결되어야 하는 작업편을 갖는 배열체
KR101496080B1 (ko) * 2014-01-03 2015-03-02 심규현 치과기공물 제작방법
US20190101332A1 (en) * 2016-02-24 2019-04-04 Dentsply Sirona Inc. Induction furnace and method for carrying out a heat treatment of a dental replacement part
KR102236836B1 (ko) * 2020-03-06 2021-04-05 박덕희 디지털 가공을 활용한 치아 보철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30526B1 (ko) 2020-10-26 2021-03-22 원종영 소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수복용 소재의 소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2812B2 (ja) 義歯
US9192456B2 (en) Denture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king same
CN109350277B (zh) 一种数字化精确制作牙科修复体的方法
Abduo et al. Trends in computer-aided manufacturing in prosthodontics: a review of the available streams
de França et al. Precision Fit of Screw-Retained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Fabricated by CAD/CAM, Copy-Milling, and Conventional Methods.
US20080206709A1 (en) Gingival support sleeve
US10206767B2 (en) Dental prosthesis for determining abrasion facets
US9610145B2 (en) Precision-milled denture teeth and method and devices for making same
US10080630B2 (en) Method of making a denture with nature bite and wear properties and denture
US5971760A (en) Method of installing a replacement of a patient's deteriorated tooth
CN112972031B (zh) 一种高精密义齿及其制备方法
US20190307537A1 (en) Dental Prosthetic Moulds and Moulding Methods
JP2020510483A (ja) デジタル補正係数および既製の実際の義歯のデジタル補正係数を備えたホルダ
KR102435072B1 (ko) 치아 보철 기구 제작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소결 장치
Rutkūnas et al. Accuracy of fixed implant‐supported dental prostheses additively manufactured by metal, ceramic, or polymer: A systematic review
US9161826B2 (en) Production of a negative mould for use in producing of a dental prosthesis, a temporary or permanent crown or bridge
US20210097212A1 (en) Calibration in a digital work flow
US10512526B2 (en) Dental coloring stamp and a method of coloring
WO2021036496A1 (zh) 一种数字化瓷粉分层堆塑导板的制作方法及导板
US20200375705A1 (en) Scannable healing components
KR102034416B1 (ko) 치과전용 ct스캔너를 이용한 초정밀 치과보철물의 제조방법 및 그 초정밀 치과보철물
US3567806A (en) Method for making tray dentures
CN114948300A (zh) 一种基于3d打印的口腔颌面手术导板制造方法及使用方法
CA2696384C (en) Process for producing implants and components by direct shaping
Al-Assadi et al. The effect of porcelain veneering on marginal fitness of zirconia copingscompared to full contour zirconia crown using three different CAD/CAMsystems (An In vitro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