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4971B1 - 안테나 포지셔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안테나 포지셔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4971B1
KR102434971B1 KR1020200158062A KR20200158062A KR102434971B1 KR 102434971 B1 KR102434971 B1 KR 102434971B1 KR 1020200158062 A KR1020200158062 A KR 1020200158062A KR 20200158062 A KR20200158062 A KR 20200158062A KR 102434971 B1 KR102434971 B1 KR 10243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test
information
positioner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8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0955A (ko
Inventor
장재웅
김태윤
장경덕
이상록
민병희
이창은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58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97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0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0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125Means for positioning
    • H01Q1/1257Means for positioning u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02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 H01Q3/08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using mechanical movement of antenna or antenna system as a whole for varying two co-ordinates of the orientation

Abstract

본 개시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배치하는 안테나 포지셔너에 관한 것으로, 복사성 방출 시험이 수행되는 경우에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복사성 방출 시험에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들의 위치를 제어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시험 정보에 기반하여, 시험품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성 방출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하는 안테나 배치 결정부; 및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안테나 위치 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포지셔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NTENNA POSITIONING}
본 개시(disclosure)는 일반적으로 안테나 포지셔닝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복사성 방출 시험이 수행되는 경우에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전자 장치의 사용의 요구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전자 장치가 사회 전반에 걸쳐 보급됨에 따라 특정 지역의 전자파의 밀집도가 증가하고 있다. 전자파의 밀집도가 증가하는 경우 전자 장치 간에 통신 장애 및 기기 오작동을 유발하고, 이러한 장애를 예방하고자 전자 장치는 전자파 시험이 수행되어 보급되고 있다.
군사용 장치에 적용되는 전자 장치는 일반적인 전자 장치 보다 높은 수준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요구된다. 이에 대응하여 군사용 전자 장치의 신뢰성을 담보하고 다른 전자 장치와의 전자파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군사용 전자 장치는 군용 전자 장치의 전자파 시험의 기준이 되는 MIL-STD-461 (military standard)에 따른 시험이 수행된다.
군용 장비와 그 하부 시스템의 전자기적 영향성에 대한 요구사항에 관하여, 기존의 안테나 포지셔너를 이용하여 MIL-STD-461 F 시험 규격에 따라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시험자가 직접 안테나 포지셔너를 이용하여 안테나의 위치를 결정하고, 시험을 수행한다. 종래의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를 이용하는 경우, 시험자가 수동으로 안테나의 위치를 결정해야 함에 따라, 안테나 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 또한 시험품의 정확한 크기가 고려되지 않거나, 측정 안테나의 빔 폭(beamwidth)이 고려되지 않은 채 시험이 수행되는 경우, 정확도가 낮은 시험이 수행된다.
따라서 본 개시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를 이용하여 MIL-STD-461 시험 규격에 대응되는 시험을 수행하는 경우, 시험이 수행되는 환경을 고려하여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가 안테나를 포지셔닝 함으로써, 높은 신뢰성이 담보되는 복사성 방출 시험이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본 개시(disclosure)는 복사성 방출 시험이 수행되는 경우에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시험이 수행되는 환경을 고려하고자,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기반하여 안테나를 자동으로 포지셔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복사성 방출 시험에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들의 위치를 제어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시험 정보에 기반하여, 시험품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성 방출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하는 안테나 배치 결정부;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안테나 위치 조정부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험 정보는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로부터 방출되는 시험 주파수 정보, 상기 시험품의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배치 결정부는, 상기 시험 정보가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decibel) 빔 폭(beamwidth) 정보가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시험 정보가 상기 3-dB 빔 폭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시험 주파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에 관하여 미리 정의된 빔 폭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decibel) 빔 폭(beamwidth)을 결정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배치 결정부는, 복사성 방출 신호 검출에 이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개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위치를 식별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안테나 위치 조정부는, 도르레 구조를 이용하는 모터의 회전 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는 수직 이동 수단; 및 레일(rail) 구조를 이용하는 모터의 회전 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수평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복사성 방출 시험에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들의 위치를 제어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시험 정보에 기반하여 시험품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성 방출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시험 정보는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로부터 방출되는 시험 주파수 정보, 상기 시험품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시험 정보가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decibel) 빔 폭(beamwidth)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시험 정보가 상기 3-dB 빔 폭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시험 주파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에 관하여 미리 정의된 정보에 빔 폭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 빔 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복사성 방출 신호 검출에 이용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개수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도르레 구조를 이용하는 모터의 회전 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레일 구조를 이용하는 모터의 회전 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각각의 측면들 및 특징들은 첨부된 청구항들에서 정의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의 조합들(combinations)은, 단지 청구항들에서 명시적으로 제시되는 것뿐만 아니라, 적절하게 독립항들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하나의 실시 예(any one embodiment)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실시 예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들과 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징들의 대안적인 조합이 본 개시에 논의된 하나 이상의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시키거나, 본 개시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식별될 수 있는(discernable) 기술적 문제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감시키고, 나아가 실시 예의 특징들(embodiment features)의 이렇게 형성된 특정한 조합(combination) 또는 순열(permutation)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양립 불가능한(incompatible) 것으로 이해되지만 않는다면, 그 조합은 가능하다.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예시 구현(any described example implementation)에 있어서 둘 이상의 물리적으로 별개의 구성 요소들은 대안적으로, 그 통합이 가능하다면 단일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도 있으며, 그렇게 형성된 단일한 구성 요소에 의해 동일한 기능이 수행된다면, 그 통합은 가능하다. 반대로, 본 개시에 기술된 임의의 실시 예(any embodiment)의 단일한 구성 요소는 대안적으로, 적절한 경우,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둘 이상의 별개의 구성 요소들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들(certain embodiments)의 목적은 종래 기술과 관련된 문제점 및/또는 단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결, 완화 또는 제거하는 것에 있다. 특정 실시 예들(certain embodiments)은 후술하는 장점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시험 환경을 고려하여 복수의 안테나들을 자동으로 포지셔닝하고 복사성 방출 시험이 수행되도록 조정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로 시험이 수행될 수 있게 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포지셔닝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포지셔닝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사성 방출 시험에서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사성 방출 시험에서 시험 정보의 포함 내용에 따른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접근 방법을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사용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소프트웨어 기반의 접근 방법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개시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배치하는 안테나 포지셔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복사성 방출 시험이 수행되는 경우에 복수의 안테나들을 포지셔닝하기 위한 기술을 설명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고 기술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요소 외에 또 다른 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예들은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의 일부 또는 전부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에 의해 구현되거나, 소정의 기능을 위한 회로 구성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기능은 복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되거나, 본 개시에서 복수의 기능 블록이 수행하는 기능들은 하나의 기능 블록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포지셔닝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닝 시스템(100)은,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101), 제1 안테나 내지 제n 안테나(151-1 내지 151-n)을 포함한다.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101)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배치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101)는 입력부(103), 안테나 배치 결정부(105), 안테나 위치 조정부(107)를 포함한다.
입력부(10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03)는 복사성 방출 시험에 이용되는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 기능을 수행한다.
안테나 배치 결정부(105)는 복수의 안테나들을 배치하기 위한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배치 결정부(105)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시험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시험 규격에 정합되도록 안테나 배치를 결정하기 위한 연산을 수행한다.
안테나 위치 조정부(107)는 복수의 안테나들의 배치가 결정된 경우, 안테나 배치에 대응되도록 안테나를 위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 위치 조정부(107)는 안테나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테나 내지 제n 안테나(151-1 내지 151-n)는 무선 신호를 전자기파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 내지 제n 안테나(151-1 내지 151-n)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와 연결되고,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제어에 의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안테나 포지셔닝의 일 예(200)를 도시한다. 도 2는 시험품(201)에서 방출되는 복사성 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제1 안테나(251)와 제2 안테나(253)가 배치된 경우를 예시한다.
군사용 전자 장치는 군용 전자 장치의 전자파 시험의 기준이 되는 MIL-STD-461 (military standard)에 따르면 복사성 방출 시험을 위한 안테나 포지셔닝은 아래와 같은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1) 시험 주파수가 200 MHz 이하의 주파수인 경우
1) 시험품의 크기가 3미터 이하
하나의 안테나가 시험품의 경계의 가장자리에 대하여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됨.
2) 시험품의 크기가 3미터 초과
안테나의 개수는 시험품의 크기를 3으로 나누고, 나누어진 값을 소수점 올림을 통해 결정되고, 안테나의 배치는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됨
(2) 시험 주파수가 200 MHz 초과, 1GHz 이하의 주파수인 경우
안테나의 개수는 EUT(equipment under test)와 연결되는 케이블 첫 번째 35cm 거리까지가 안테나의 3 dB 빔 폭에 포함되도록 결정되고, 안테나의 배치는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됨
(3) 시험 주파수가 1GHz 초과의 주파수인 경우
안테나의 개수는 EUT와 연결되는 케이블 첫 번째 7cm 거리까지가 안테나의 3 dB 빔 폭에 포함되도록 결정되고, 안테나의 배치는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됨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안테나의 개수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안테나 포지셔너는 사용자로부터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다. 시험 정보는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로부터 방출되는 시험 주파수 정보, 시험품의 크기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 빔 폭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거나, 시험 주파수 정보와 안테나 별 빔 폭 정보에 기반하여 산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사용자로부터 시험 주파수 정보, 시험품의 크기 정보,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 빔 폭 정보를 입력받고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사용자로부터 시험 주파수 정보, 시험품의 크기 정보를 입력 받고, 시험 주파수와 복수의 안테나들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3-dB 빔 폭 정보를 식별하여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미리 정의된 안테나 별 3-dB 빔 폭 정보에 관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시험 주파수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시험 주파수에 대응되는 안테나의 3-dB 빔 폭을 결정함으로써 빔 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시험 정보에 기반하여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한다.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에 포함된 안테나 배치 결정부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시험 정보에 기반하여 미리 설정된 시험 규격에 정합되도록 안테나의 개수와 위치를 결정한다. 안테나의 개수와 위치가 결정되는 경우,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결정된 안테나 개수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안테나를 배치시킨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를 이용하여 안테나 구조물의 바닥면에는 이동이 가능한 이동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수단은 바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안테나의 수직 포지셔닝을 수행하기 위한 수직 이동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 이동 수단은 도르레 구조를 이용하는 모터에 기반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안테나의 수평 포지셔닝을 수행하기 위한 수평 이동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평 이동 수단은 레일(rail) 구조를 이용하는 모터에 기반하는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한 이후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안테나를 배치할 수 있다.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모터의 회전 수를 식별하고 모터의 회전 수에 따라 안테나의 이동 거리를 결정함으로써 안테나를 배치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기계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유니버셜(universal)한 마운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에 상이한 크기의 복수의 안테나가 장착되고, 복사성 방출 시험에 이용되는 안테나는 안테나 배치에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시험품(201)의 크기가 6m이고 시험 주파수가 200 MHz 이하인 경우의 안테나 포지셔닝이 도시되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험품의 크기를 3으로 나누는 연산에 기반하여 복사성 방출 시험에 이용되는 안테나의 개수는 두 개로 결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개수가 두 개인 경우,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시험품의 크기를 2로 나눈 다음 제1 구간의 중앙에 제1 안테나(251)가 포지셔닝 되고, 제2 구간의 중앙에 제2 안테나(253)가 포지셔닝 되도록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제1 안테나(251)를 중앙으로 배치한 후에 왼쪽으로 1.5m 이동하도록 조정하고, 제2 안테나(253)를 중앙으로 배치한 이후 오른쪽으로 1.5m 이동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사성 방출 시험에서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300)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단계(301)에서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험 정보는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로부터 방출되는 시험 주파수 정보, 시험품의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단계(303)에서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시험 정보에 기반하여 시험품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성 방출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한다.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시험 정보에 기반하여 복사성 방출 신호 검출에 이용되는 안테나의 개수와 안테나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입력 받은 시험 정보에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 빔 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입력 받은 빔 폭 정보를 이용하여 안테나 배치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입력 받은 시험 정보에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 빔 폭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시험 주파수와 안테나 정보에 기반하여 빔 폭을 결정하고, 결정된 빔 폭을 이용하여 안테나 배치를 결정한다.
단계(305)에서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배치되도록 제어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직 이동 수단과, 수평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수평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수직 이동 수단과 수평 이동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모터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안테나의 수직 포지셔닝을 수행하기 위한 수직 이동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도르레 구조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회전 수에 기반하여 안테나의 수직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안테나의 수평 포지셔닝을 수행하기 위한 수평 이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레일(rail) 구조를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모터의 회전 수에 기반하여 안테나의 수평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안테나의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 각각에 동일한 모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고, 안테나의 수평 이동과 수직 이동 각각에 상이한 모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복사성 방출 시험에서 시험 정보의 포함 내용에 따른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동작 방법에 관한 흐름도(400)를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단계(401)에서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사용자로부터 시험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다른 외부 장치로부터 시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시험 정보는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로부터 방출되는 시험 주파수 정보, 상기 시험품의 크기 정보를 포함한다.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가 입력 받는 시험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단계(403)에서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시험 정보에 빔 폭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에 있어 시험품과 시험품에 연결되는 케이블의 일부 영역이 안테나의 3-dB 빔 폭에 포함되도록 조정한다. 이를 위하여,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입력 받은 시험 정보에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 빔 폭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시험 정보에 시험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 빔 폭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식별한 경우, 단계(405)로 진행하여 시험 주파수와 안테나에 관한 빔 폭 정보에 기반하여 빔 폭을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시험 정보에 시험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 빔 폭 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식별한 경우, 단계(409)로 진행하여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한다.
단계(405)에서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시험 주파수 정보와 안테나 정보에 기반하여 빔 폭 정보를 획득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미리 정의된 안테나 별 3-dB 빔 폭 정보에 관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시험 주파수와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시험 주파수에 대응되는 안테나의 3-dB 빔 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407)에서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입력 받은 시험 정보와 획득된 빔 폭 정보에 기반하여 복사성 방출 시험에 이용되는 안테나의 개수 및 안테나의 위치를 결정한다.
단계(409)에서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는 입력 받은 시험 정보에 기반하여 복사성 방출 시험에 이용되는 안테나의 개수 및 안테나의 위치를 결정한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ead only memory, ROM),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ompact disc-ROM, CD-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s, DVD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다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복사성 방출 시험에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들의 위치를 제어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시험 정보에 기반하여, 시험품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성 방출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하는 안테나 배치 결정부; 및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안테나 위치 조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 배치 결정부는 미리 설정된 시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안테나 배치에 필요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개수 및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험 조건은 상기 시험품의 크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방출되는 주파수에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험 정보는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로부터 방출되는 시험 주파수 정보, 상기 시험품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배치 결정부는,
    상기 시험 정보가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decibel) 빔 폭(beamwidth) 정보가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상기 시험 정보가 상기 3-dB 빔 폭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시험 주파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에 관하여 미리 정의된 빔 폭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decibel) 빔 폭(beamwidth)을 결정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험 조건은 MIL-STD-461(military standard-461) 시험 조건을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위치 조정부는,
    도르레 구조를 이용하는 모터의 회전 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는 수직 이동 수단; 및
    레일(rail) 구조를 이용하는 모터의 회전 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수평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
  6. 복사성 방출 시험에 이용되는 복수의 안테나들의 위치를 제어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포지션을 결정하기 위한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시험 정보에 기반하여 시험품으로부터 방출되는 복사성 방출 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하는 단계;
    이동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안테나의 배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된 시험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안테나 배치에 필요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개수 및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험 조건은 상기 시험품의 크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로부터 방출되는 주파수에 관련된 조건을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동작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험 정보는 복사성 방출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안테나로부터 방출되는 시험 주파수 정보, 상기 시험품의 크기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험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시험 정보가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decibel) 빔 폭(beamwidth)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시험 정보가 상기 3-dB 빔 폭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시험 주파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안테나들에 관하여 미리 정의된 정보에 빔 폭 정보에 기반하여 주파수 별 안테나의 3-dB 빔 폭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동작 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험 조건은 MIL-STD-461(military standard-461) 시험 조건을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동작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배치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도르레 구조를 이용하는 모터의 회전 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수직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 및
    레일 구조를 이용하는 모터의 회전 수에 기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의 수평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중 안테나 포지셔너의 동작 방법.
KR1020200158062A 2020-11-23 2020-11-23 안테나 포지셔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3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62A KR102434971B1 (ko) 2020-11-23 2020-11-23 안테나 포지셔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8062A KR102434971B1 (ko) 2020-11-23 2020-11-23 안테나 포지셔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955A KR20220070955A (ko) 2022-05-31
KR102434971B1 true KR102434971B1 (ko) 2022-08-22

Family

ID=81780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8062A KR102434971B1 (ko) 2020-11-23 2020-11-23 안테나 포지셔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97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336A (ja) * 2002-08-20 2004-03-11 Murata Mfg Co Ltd 電磁波放射パターン測定装置
WO2019243449A2 (en) * 2018-06-22 2019-12-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measurement environment, apparatus to be teste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5469B2 (ja) * 1995-08-09 2003-04-14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ンテナ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7336A (ja) * 2002-08-20 2004-03-11 Murata Mfg Co Ltd 電磁波放射パターン測定装置
WO2019243449A2 (en) * 2018-06-22 2019-12-26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ethod and measurement environment, apparatus to be tes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0955A (ko) 202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8216B2 (en) Test arrangement and test method
EP3178178B1 (en) Method and system for calibrating an array antenna using near-field measurements
US96146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testing performance of wireless terminal
CN110045189B (zh) 用于具有无线功能的设备的生产测试的装置和方法
CN101855849B (zh) 嵌入式模块接收器噪声剖析
JP7162728B2 (ja) アンテナシステム用の改良された測定装置
US11397205B2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of performing an over-the-air test
US10393786B2 (en) Test system and method for over the air (OTA) measurements based on randomly adjusted measurement points
US20130295857A1 (en) Over-the-air test
US10404384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a device under test within an anechoic chamber based on a minimum test criteria
EP3416311B1 (en) Test system and test method
CN108923863A (zh) 设备等效全向辐射功率测量方法、装置、设备及介质
JP6923571B2 (ja) アンテナアレイ試験回路、フェーズドアンテナアレイを試験する方法、及びフェーズドアンテナアレイ
KR102434971B1 (ko) 안테나 포지셔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N112433101B (zh) 车辆测试系统及车辆测试方法
JP4645365B2 (ja) ターンテーブル装置
RU2761588C1 (ru) Способ испытаний навигационных систем авто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JP4070601B2 (ja) 自動化放出波測定方法及びシステム
CN112805576A (zh) 用于有源和无源天线空中测试的紧凑消声腔室
US20220140497A1 (en) Compact Antenna Test Range (CATR) Alignment Verification
JP2001324524A (ja) 不要輻射の自動測定方法および装置
US10177863B1 (en) Test system and method for over the air (OTA) measurements with a dynamic adjustable grid
CN110161321A (zh) 用于测量电磁场的测量装置和测量方法
D’Abreu et al. Chamber Design for Automotive EMC and ADAS Testing
CN117579195B (zh) 车辆天线系统的空口测试方法、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