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968B1 - 토션바 장착의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 - Google Patents
토션바 장착의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3968B1 KR102433968B1 KR1020200031521A KR20200031521A KR102433968B1 KR 102433968 B1 KR102433968 B1 KR 102433968B1 KR 1020200031521 A KR1020200031521 A KR 1020200031521A KR 20200031521 A KR20200031521 A KR 20200031521A KR 102433968 B1 KR102433968 B1 KR 1024339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lt
- push button
- structural member
- circular hole
- connector hold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F16B37/046—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with resilient means for urging the nut inside the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찬넬과 찬넬을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찬넬에 브라켓 등의 구조용 부재를 간편하게 조여 체결하는 푸시버튼(30)을 개시한다. 이러한 푸시버튼은, 볼트헤드와 볼트바디가 마련된 볼트(110); 상기 볼트바디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홀이 마련된 캡플레이트(120); 상기 볼트바디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볼트통과공이 마련된 커넥터홀더(140); 상기 비원형홀의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가 폭보다 큰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홀더(14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캡플레이트(120)와 커넥터홀더(140)를 사이에 두고 볼트(110)와 나사체결되는 잠금너트(130); 그리고 상기 캡플레이트(12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간섭되어 자세가 변경될 수 있도록 커넥터홀더(140)에 장착된 토션바(148, 149);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푸시버튼(30)의 체결 상태를 외부에서 용이하게 식별함으로써 푸시버튼(30)의 점검이나 검증이 외관 관찰로 가능해지고, 작업의 신뢰도가 향상되고 체결 불량에 따른 사고 방지에 유용하다. 그리고 푸시버튼(30)의 편의성과 함께 잠금레그(123,124)의 고강성 구조의 푸시버튼(30)을 제공함으로 구조용 부재의 결합에 유용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조용 부재의 푸시버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찬넬과 찬넬을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찬넬에 브라켓 등의 구조용 부재를 간편하게 조여 체결하는 푸시버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개의 구조용 부재나 부품을 결합하기 위해 볼트 체결하거나 용접한다. 용접은 결속이 우수하나 현장 작업의 어려움이 있어 볼트 체결이 선호된다. 볼트는 강한 결속을 위해 통상 너트와 함께 사용되며, 퀵 파스너나 푸시버튼으로 칭하면서 설치나 조립의 편의를 위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푸시버튼은 볼트와 너트의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푸시방식으로 체결한다.
상기 구조용 부재로서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11298호(컨베이어 시스쳄에 있어서의 주행레일이 부착된 프래임재 및 그 프레임재를 이용한 주행 프레임 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특허 10-1654871(판넬 체결 구멍을 갖는 씨형상 제조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특허 10-2015-0129842(추가의 기능적 측면을 구비하는 채널 프레이밍 및 이것을 위한 피팅부)에 개시된다. 또한, 상기 푸시버튼의 선행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79294(레일 장착용 연결 조립체)에 개시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079294(레일 장착용 연결 조립체)를 참조하면, 볼트와 잠금너트 사이에 홀더를 개재하고, 커넥터의 비원형홀에서 홀더의 회전을 제한하여 의도된 위치에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홀더 및 커넥터의 비원형홀의 형상에 주목하여 적정의 특수 형상을 제시하고 있다. 즉, 각면과 호면이 조합된 커넥터 홀이나, 홀더에 회전방지요소나 카운터 베어링을 배치한다. 커넥터 비원형과 홀더가 적합해야 하므로 커넥터/홀더의 결합 후 홀더/잠금너트의 순서로 작업한다. 이후 레일의 슬롯에 넣고 볼트로 조여 구조용 부재를 상호 결합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커넥터 홀과 홀더가 정합되어야 하므로 홀더 또는 커넥터의 사용이 제한적이다. 또한, 잠금너트가 비원형홀에 통과할 수 없는 구조는 공장 조립이 어렵고 현장에서 연결 조립되어야 하므로 불편하고 비용이 커진다. 그리고, 단순히 플레이트 가압것만으로는 구조체의 결합이 약하고 슬립 문제를 해소하지 못한다. 나아가, 체결이나 작업의 외관 검사가 가능해야 하지만, 커넥터와 레일에 푸시버튼이 감싸져 있어 체결이나 작업 확인이 어렵다. 별도 검사장비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높은 곳은 현실적으로 확인이 어렵다. 구조체의 체결 불량의 경우 작업의 신뢰도 저하와 구조물 붕괴가 염려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푸시버튼의 체결이나 작업의 외관 검사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체결 불량에 따른 불측의 사고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작업의 편의성과 함께 고강성 구조의 푸시버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원형홀이 마련된 구조용 부재의 체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볼트헤드와 볼트바디가 마련된 볼트; 상기 볼트바디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홀이 마련된 캡플레이트; 상기 볼트바디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볼트통과공이 마련되고,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비원형홀에 삽입되는 홀더바디를 구비한 커넥터홀더; 상기 캡플레이트와 커넥터홀더를 사이에 두고 볼트와 나사체결되는 잠금너트; 그리고 상기 캡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구조용 부재에 간섭됨으로써 탄성적으로 자세가 변경되어 체결 상태의 외관 확인이 가능하도록 커넥터홀더에 장착된 토션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푸시버튼으로 결합된 구조용 부재로의 연결구조체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푸시버튼; 상기 잠금너트가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비원형홀이 마련되고, 상기 캡플레이트가 볼트 삽입홀과 비원형홀이 연통하도록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바디가 비원형홀에 삽입되는 제1구조용 부재로서 브라켓; 그리고 상기 비원형홀과 연통하고, 상기 잠금너트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잠금너트가 고정된 제2의 구조용 부재로서 찬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 잠금너트는, 상기 비원형홀의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가 폭보다 큰 형상을 가지고 커넥터홀더의 하측에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 홀더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비원형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홀더바디에 고정된 걸림돌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바는, 상기 걸림돌부에 고정됨으로써 탄성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비원형홀에 끼워지는 잠금레그, 및 상기 구조용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레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바는, 잠금레그 및 가압레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려 볼트의 조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돌부에 고정된 기부를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토션바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잠금레그 및 가압레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걸림돌부와의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걸림돌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션바는, 상기 잠금레그 및 가압레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커넥터 홀더에 고정된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푸시버튼 기능에 더하여 토션바가 구조용 부재와 상호 작용하여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체결 중이나 작업 후에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하여 작업자나 검사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작업의 신뢰도가 향상되고 체결불량에 따른 사고예방에 유익하다. 그리고, 하향 경사진 잠금레그가 구조용 부재 관통홀에 끼워짐으로서 일체화한 고강성 구조로 체결력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의 정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상측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하측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연결구조체에서 분리한 단면도로서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로서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연결구조체의 종단면도로서 찬넬의 길이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로서 푸시버튼의 볼트가 하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수평으로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90°로 회전하여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의 정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상측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하측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연결구조체에서 분리한 단면도로서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로서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연결구조체의 종단면도로서 찬넬의 길이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로서 푸시버튼의 볼트가 하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수평으로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90°로 회전하여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설명하는 용어를 정의한다. 본 발명의 분야에서 구조용 부재는 단순히 봉 형상일 수 있도 있으나 C 형강이나 고강성을 위해 다양한 형상이나 모양으로 절곡 성형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용 부재는 "C 형강"이나 "찬넬"이나 "레일" 또는 기타의 다양한 명칭으로 지칭되고 있다. 이하, 구조용 부재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찬넬"이라 칭한다. 그리고, 찬넬과 찬넬을 직접 연결하거나, 커넥터나 브라켓을 매개로 연결하거나, 또는 찬넬에 직접 장치나 장비 또는 전장품 등을 비치하거나 정치할 수도 있고, 커넥터나 브라켓을 중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푸시버튼으로 체결되는 2개의 부재 중에서 그 하나를 "찬넬"이라 칭하고, 다른 하나의 부재를 "브라켓"이라 칭한다. 또한, 푸시버튼이 통과하는 브라켓의 관통홀의 형상은 푸시버튼, 보다 자세하게는 홀더와 잠금너트와의 관계에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로 단정하기 어렵다. 따라서, 브라켓의 관통홀은 적어도 최소 직경과 최대 직경이 서로 다른 것으로서 "비원형홀"을 그 일예로 설명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상향"과 "하향"을 사용한다. 이러한 "상향"과 "하향"은 볼트를 기준으로 하여 볼트의 헤드의 상측 방향으로서 "상향"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으로 볼트의 바디를 향하는 하측 방향으로서 "하향"이라 한다. 또한, "외향"과 "내향"을 사용한다. "내향"은 축선이나 중심을 향하는 방향을, 그 반대 방향으로 중심이나 축선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외향"이라 한다. 그리고 단일 부품의 설명을 위해 "상면"과 "저면"이나 "하측면"을 사용한다. "상면"은 볼트의 헤드를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표면을, "저면"과 "하측면"은 그 반대 방향에 위치한 표면을 지칭한다. 또한 공간 구획의 부재에 있어 "내측면"과 "외측면"을 사용한다. "내측면"은 내측 공간에 접하는 표면을, 그 대향하는 면으로 외측 공간에 접하는 면을 "외측면"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은, 비원형홀이 마련된 구조용 부재의 체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볼트헤드와 볼트바디가 마련된 볼트; 상기 볼트바디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홀이 마련된 캡플레이트; 상기 볼트바디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볼트통과공이 마련된 커넥터홀더; 상기 비원형홀의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가 폭보다 큰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넥터홀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캡플레이트와 커넥터홀더를 사이에 두고 볼트와 나사체결되는 잠금너트; 그리고 상기 캡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간섭되어 자세가 변경될 수 있도록 커넥터홀더에 장착된 토션바;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는, 상기 푸시버튼; 상기 잠금너트가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비원형홀이 마련되고, 상기 캡플레이트가 볼트삽입홀과 비원형홀이 연통하도록 상부에 배치되고, 걸림돌부가 비원형홀에 걸려 고정되는 제1구조용 부재로서 브라켓; 상기 비원형홀과 연통하고, 상기 잠금너트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잠금너트가 고정된 제2의 구조용 부재로서 찬넬;을 포함한다.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볼트삽입홀이 형성된 캡바디와, 상기 캡바디에서 하향 경사진 잠금레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홀더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비원형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외향 돌출하는 걸림돌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바디는, 상기 걸림돌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홀더는, 상기 걸림돌부가 고정된 홀더바디와, 상기 잠금너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홀더바디에서 하향 배치된 너트가이드를 구비하며; 상기 너트가이드에는, 상기 잠금너트 또는 볼트의 하향 이동에 대하여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진 걸림쇠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바는, 상기 걸림돌부에서 하향 경사되어 고정됨으로써 탄성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토션바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토션바에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하도록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캡플레이트는, 잠금레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압레그를 구비하며; 상기 토션바는, 잠금레그 및 가압레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려 볼트의 조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돌부에 고정된 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잠금레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가압레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바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잠금레그 및 가압레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걸림돌부와의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걸림돌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홀더는, 상기 걸림돌부가 고정된 홀더바디와, 상기 잠금너트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홀더바디에서 하향 배치된 너트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바디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탄성적으로 자세가 유지될 수 있도록 외향의 탄성 날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 날개는, 상기 홀더바디에서 벌어진 형상이고, 적어도 2개가 한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 날개는, 상기 홀더바디에서 잠금너트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벌어진 형상이고, 적어도 2개가 한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푸시버튼과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1)는 찬넬(10), 브라켓(20) 그리고 푸시버튼(30)으로 결합된다.
상기 찬넬(10)은, 전체적으로 중공의 프로파일로 형성되고, 그 일예로서, 다단 절곡 성형되어 그 상측에서 하향 절곡된 2개의 커튼월(11)을 가진다. 상기 2개의 커튼월(11)은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하고 있어 그 사이로 개구된 슬롯(H1)이 마련된다. 이러한 슬롯(H1)으로 푸시버튼(3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데, 강한 결속을 위해 그 하측면에 요철의 톱니(11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20)은, 판상의 부재로서 푸시버튼(30)이 통과할 수 있는 관통홀로서 비원형홀(H2)이 마련된다. 도시된 예는, 교차하는 찬넬(10)을 연결하는 일예로서 90°절곡 형상의 브라켓을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비원형홀(H2)은 푸시버튼(30)의 형상과 관련되는데, 일방향으로는 수용되지만, 다른 방향으로는 수용되지 않는 개구된 홀로서, 최소 직경과 최대직경이 다른 예로서 타원형이나 계란형 기타 다각형이 이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의 정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상측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하측에서 바라본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도시한 정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을 상측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의 하측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푸시버튼(30)은, 볼트(110), 캡플레이트(120), 잠금너트(130), 커넥터홀더(140) 및 토션바(148,149)를 구비한다.
상기 볼트(110)는, 나사부(113a)가 마련되고 볼트헤드(111)가 있는 헤드붙이 볼트라면 공지된 다양한 유형의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는 그 용도나 또는 볼트의 헤드에 따라 다양하며, 6각볼트, 4각볼트, 플랜지 볼트(flang bolt)나 와셔붙이 볼트 기타 특수볼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스터드 볼트와 같이 너트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헤드붙이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예로서 6각 볼트(110)를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기 캡플레이트(120)는, 캡바디(121), 잠금레그(123,124), 가압레그(125,126)를 구비한다.
상기 캡바디(121)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그 중앙부에는 볼트바디(113)가 삽입되는 볼트삽입홀(121a)이 마련되고, 그 가장자리에서 잠금레그(123,124)와 가압레그(125,126)가 절곡 성형되도록 한 것으로, 전체적으로 오목홈(121b)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볼트(110)의 조임에 의한 체결력을 캡바디(121) 외연으로 확대할 수 있고, 커넥터홀더(140)와의 사이에 작동공간이 마련될 수 있어 고강성 구조의 컴팩트한 구조로서 바람직하다. 상기 잠금레그(123,124)는 캡바디(121)에서 하향 경사져 돌출 연장된 형상이며, 상기 가압레그(125,126)는 캡바디(12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형상이다. 이는 찬넬(10)과 브라켓(20)의 연결시에, 가압레그(125,126)가 브라켓(20)의 상면에 안착하고, 잠금레그(123,124)는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을 향해 그 측벽에 맞대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가압레그(125,126)는 브라켓(20)과 넓게 접촉하도록 하고, 잠금레그(123,124)는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의 형상에 상응하여 끼워맞춰지도록 그 사이즈를 약간 크게 하는 것이 고강성 구조에 유리한다. 또한, 상기 잠금레그(123,124)와 가압레그(125,126)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 더욱 바람직하게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하고, 양쪽에서 균등하게 캡플레이트(1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각각 동일 선상에서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각각 두 개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잠금레그(123,124)와 가압레그(125,126)는, 도시된 예와 같이, 볼트(110) 조임에 따라 조임과 가압이 평형을 이뤄 원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캡바디(121)에서 단차진 형상으로 90°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서로 이격하여 간격져 배치됨으로서 그 사이에 기부홈부(129a,129b,129c,129d)가 마련된다. 상기 기부홈부(129a,129b,129c,129d)에는 토션바(148,149)의 기부(147a,147b,147c,147d)가 배치되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상기 잠금너트(13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그 폭은 찬넬(10)의 슬롯(H1)을 통과할 수 있도록 슬롯(H1)의 폭(B)보다 작으나, 그 길이는 찬넬(10)의 폭보다 작지만 슬롯(H1)의 폭보다 길다. 이는 잠금너트(130)를 슬롯(H1)에 통과시켜 커튼월(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그 중앙부에 나사홀(131a)이 형성되고, 그 양측으로 커튼월(11)의 톱니(11a)와 치합되는 잠금슈(133,134)가 위치한다. 또한 너트바디(131)에 형성된 나사홀(131a)의 폭방향으로는 호면으로 돌출 성형된 돌부(131b)가 위치한다. 상기 돌부(131b)는 너트가이드(143)와 짝맞춤되는데 이는 후술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슈(133,134)에는, 커튼월(11)과의 결속력을 크게 하기 위해 커튼월(11)의 톱니(11a)와 치합되도록 그 작용면에 톱니(133a,134a)가 마련되는 바람직하다. 한편,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잠금레그(123,124)는 비원형홀(H2)에 끼워지므로 횡력에 강하나, 수직력에 제한적이다. 그러나 가압레그(125,126)는 비원형홀(H2)이 없는 브라켓(20)에 배치되므로 볼트(110) 죔에 따른 가압성능이 우수하다. 따라서, 잠금너트(130)는 그 길이방향이 가압레그(125,126)의 배치방향과 같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잠금슈(133,134)와 가압레그(125,126)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볼트(110)의 조임에 따라 찬넬(10)과 브라켓(20)이 견고히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홀더(140)는, 전체적으로 측부 개방의 형상이고, 비원형홀(H2)과 슬롯(H1)을 통과해야 하므로 그 보다 작은 폭으로 한다. 그리고, 내부를 관통하여 볼트바디(113)가 통과해야 하므로 볼트통과공(H3)이 마련된다. 그런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토션바(148,149)가 종래의 스프링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내부에 스프링이 없어도 되고, 이에 따라 별도의 스프링 좌대나 스프링 가이드가 불요하다. 종래의 경우 스프링이 개재될 경우, 스프링 굴곡을 줄이고자 별도 가이드나 측벽이 요구되고, 스프링 좌대도 필요해서 커지고 작업이 번잡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스프링이 불요하므로, 도시된 예와 같이, 측부 개방형 중공관 형상으로 하여 커넥터홀더(140)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터홀더(140)는 체결시에 자세가 고정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커넥터홀더(140)의 상측에는 걸림돌부(147)가 마련된다.
상기 걸림돌부(147)는, 그 형상이나 모양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나, 내측에서 자세 고정의 한 방안으로 비원형홀(H2)에 걸려 고정되도록 한다. 도시된 예는 상측 단부에서 외향하여 연장되고 돌출하여 확장된 형상을 이루고 있다. 판상의 환형 고리가 연상된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그 형상이나 모양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넥터홀더(140)의 형상에 따라 다르고, 분할하여 조립하거나 위치를 조정하거나 기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자명하므로 그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비원형홀(H2)은 브라켓(20) 뿐만 아니라 찬넬(10)의 슬롯(H1) 역시 폭이 좁고 긴 비원형홀에 해당한다. 따라서, 걸림돌부(147)를 브라켓(20)에 설치할 수도 있고, 찬넬(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브라켓(20)에 고정하는 것이 조립 및 설치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부(147)는 캡플레이트(1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토션바(148,149)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토션바(148,149)의 기부(147a,147b,147c,147d)는 잠금레그(123,124)와 가압레그(125,126)의 사이의 기부홈부(129a,129b,129c,129d)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기부(147a,147b,147c,147d)는 잠금레그(123,124)와 가압레그(125,126)가 걸려서 수평으로 함께 움직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예는, 캡바디(121)와 잠금레그(123,124) 및 가압레그(125, 126)가 단차진 형상에 따라 자연스럽게 기부(147a,147b,147c,147d)에 걸리는 구조이나, 잠금레그와 가압레그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하거나 또는 기부홈부(129a,129b,129c,129d) 형상이나 배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토션바(148,149)는, 걸림돌부(147)에 하향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션바(148,149)가 경사진 경우, 장착시에 토션바(148,149)가 브라켓(20)에 걸려 이동하고 그 자세 변경이나 변화로 체결 상태의 외관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도시된 일예를 살펴보면, 가압레그(125,126) 양측의 걸림돌부(147)에서 외향하여 절곡된 형상이고, 전체적으로 "ㄷ"자 형상의 2개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커넥터홀더(140)를 누르면, 토션바(148,149)가 하향 경사진 상태에서 브라켓(20)에 걸려 상향 이동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도시된 예는,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잠금레그(123,124) 주위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는 "ㄷ" 형상이나, 브라켓(20)이나 찬넬(10)의 형상에 따라 "ㄱ" 이나 "ㄴ" 기타 다양한 형상의 토션바(148,149)가 가능하고, 다만 외팔보 형상의 경우 상하 이동이나 굽힘 보다는 토션바(148,149)의 자체의 비틀림 회전을 할 것이나, 예컨데 "ㄱ"이나 "ㄴ"에서 토션바(148,149)의 자체 회전하더라도 자세가 전체적으로 변화하여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시된 예는 바람직한 실시예이고, 가압레그(125,126)나 잠금레그(123,124) 또는 가압레그(125,126)와 잠금레그(123,124)가 걸림돌부(147)와 토션바(148,149)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가압레그(125,126)나 잠금레그(123,124) 또는 가압레그(125,126)와 잠금레그(123,124)의 외측 주변 즉, 외주연을 감쌀 수 있는 길이로 하여 배치하거나, 토션바(148,149)의 형상을 달리하여 상하 이동에 따른 굽힘이나 자체 비틀림 회전되게 하거나, 이는 토션바(148,149)의 자세가 변경되는 일예들임을 이해해야 한다.
통상, 토션바(148,149)는 봉을 비틀 때의 반발력을 이용한 스프링의 일종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어서는 안되고,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하 이동이나 굽힘이나 자체 회전에 의한 비틀림의 여부를 불문하고 구조용 부재와 간섭되거나 걸려서 그 자세가 변경됨으로써 외관 식별이 가능하도록 하는 의미가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상기 토션바(148,149)는, 도시된 예와 같이, 가압레그(125,126)나 잠금레그(123,124) 또는 가압레그(125,126)와 잠금레그(123,124)가 걸림돌부(147)와 토션바(148,149)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하거나, 구조용 부재인 브라켓(20)을 감싸는 형상으로 하여 배치되거나, 기타 토션바(148,149)의 형상을 달리하여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할 경우, 토션바(148,149)의 상하 이동이나 굽힘에 의한 모멘트가 발생하고 그 결과 스프링력에 의해 토션바(148,149)가 브라켓(20)을 가압할 수 있다. 또한, "ㄱ"자 형상과 같이 외팔보 형상의 토션바(148,149)에서 알 수 있는 바, 축선을 벗어나 외력을 가할 경우 비틀림 모멘트가 발생하나 결과적으로 스프링력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토션바(148,149)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경하여 구조용 부재와의 관계에서 굽힘 및/또는 비틀림 작용으로 구조용 부재를 가압 또는 스프링력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해서는 자명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커넥터홀더(140)는, 잠금너트(1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있도록 하향 배치된 너트가이드(143)를 구비한다.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분하여 살펴보면, 상기 커넥터홀더(140)는, 걸림돌부(147)가 고정된 홀더바디(145)와, 잠금너트(13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너트가이드(143)로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바디(145)는, 그 외측으로 탄성날개(161,162)가 마련된다.
상기 탄성날개(161,162)는, 찬넬(10)의 커튼월(11)에서 커넥터홀더(140)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외향으로 탄성재가 배치되거나, 외향으로 벌어진 형상이거나, 호상으로 벌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탄성날개(161,16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원형홀(H2)이나 슬롯(H1)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정도가 탄성적으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탄성날개(161,162)로는 본 발명의 분야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으나, 2개가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도록 호상으로 배치하면, 삽입할 때 탄성적으로 접어지면서 수용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우, 의도하지 않게 비원형홀(H2)이나 슬롯(H1) 폭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도시된 예와 같이, 상기 탄성날개(161,162)가 잠금너트(130)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2개의 탄성날개(161,162)의 최대 거리를 비원형홀(H2)의 장방향보다 작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접지 않고도 수월하게 끼울 수 있다. 그리고, 찬넬(10)의 커튼월(11)과 잠금너트(130)를 수직하게 배치하기 위해 커넥터홀더(140)를 회전시킬 때, 커튼월(11a)에 걸려서 탄성변형하도록 즉, 탄성력이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너트가이드(143)는, 홀더바디(145)의 하측에 배치되어 하향 돌출하고, 균형을 위해 2개가 한쌍으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잠금너트(1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그 잠금너트(130)와의 접촉면에는 돌부(131b)에 상응하여 요입된 요홈부(143a)를 갖는다. 도시된 예는, 돌부(131b)와 너트가이드(143)가 서로 짝이 되어 함께 거동하도록 하는 일예이며, 서로 조립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을 다향하게 변형할 수도 있다. 그러나, 체결시, 잠금슈(133,134)에 강한 전단력이나 굽힘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구멍이나 홈을 형성할 경우 잠금슈(133,134)의 변형이나 파손 문제가 있고 조립이 번거로워질 수 있으므로 오히려 도시된 예와 같이 서로 짝이 되는 돌부(131b)나 요홈부(143a)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너트가이드(143)에는 볼트(110)의 하향 이동에 대하여 반발하여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상향 경사진 걸림쇠(201, 202)가 마련된다. 상기 걸림쇠(201, 202)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균형을 위해 2개가 한쌍으로 하여 서로 마주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쇠(201, 202)는 잠금너트(1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단순히 배치될 수도 있고, 나사홀(131a)에 걸쳐진 형상일 수도 있다. 이 경우, 볼트(110)가 죄여져 체결할 때, 볼트나사부(113a)가 잠금너트(130)의 나사홀(131a)을 빠져 나오게 되는데, 이때 걸림쇠(201, 202)가 걸려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쇠(201, 202)는 볼트나사부(113a) 나선방향 및 나사산의 플랭크에 상응하게 성형 및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볼트(110)가 조여져 나사홀(131a)을 빠져나오더라도 볼트(110)가 걸림쇠(201, 202)를 타고 빠져 나올수 있으므로 걸림쇠(201, 202)의 변형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서 푸시버튼의 조립 및 그 작용을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너트가이드(143)에 잠금너트(130)를 끼우면, 너트가이드(143)의 요홈부(143a)와 잠금너트(130)의 돌부(131b)와 맞춰진다. 걸림돌부(147)에 캡바디(121)를 올려 놓고 토션바(148,149)의 기부(147a,147b,147c,147d)가 잠금레그(123,124)와 가압레그(125,126)의 사이에 위치한다. 다음으로 볼트바디(113)를 캡바디(121)의 볼트삽입홀(121a)에 끼워서 커넥터홀더(140)를 통해 잠금너트(130)와 결합한다. 이때, 가압레그(125,126)와 토션바(148,149)는 잠금너트(13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커넥터홀더(140)의 탄성날개(161,162)는 잠금너트(130)의 길이방향으로 벌어져 있어 잠금너트(130) 위에 배치되므로, 2개의 탄성날개(161,162)의 최대 거리는 잠금너트(130)의 길이 보다 작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을 연결구조체에서 분리한 단면도로서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잠금너트(130)는 홀더바디(145)의 저면에 접촉하고, 걸림쇠(201, 202)가 잠금너트(130)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걸림쇠(201, 202)는 탄성 변형하여 하향 이동할 수 있으나, 파손되지 않는 한 잠금너트(13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볼트바디(113)는 잠금너트(130)의 나사홀(131a)에 위치한다. 이때, 볼트바디(113)는 아직 나사홀(131a)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30)을 이용하여 찬넬(10)과 브라켓(20)을 조립할 경우, 먼저 찬넬(10)의 슬롯(H1)과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이 서로 중첩하여 연통하도록 찬넬(10)과 브라켓(20)을 배치한다. 그리고, 푸시버튼(30)을 잠금너트(13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로서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연결구조체의 종단면도로서 찬넬의 길이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횡단면도로서 푸시버튼의 볼트가 하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찬넬의 폭방향으로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파선은, 푸시버튼의 볼트 가압에 따른 잠금너트의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6과 내지 8을 참조하면, 푸시버튼(30)을 하향 이동시켜 비원형홀(H2)과 슬롯(H1)에 끼우면, 커넥터홀더(140)와 잠금너트(130)는 비원형홀(H2)과 슬롯(H1)로 들어간다. 그리고, 토션바(148,149)가 브라켓(20)에 걸린다. 이에 따라, 볼트헤드(111)와 캡바디(121)는 서로 떨어져 있고, 잠금레그(123,124)와 브라켓(20) 역시 서로 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푸시버튼을 돌리면, 잠금너트(130)가 커튼월(11)에 걸리기 때문에 회전할 수 없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볼트(110)를 눌러 외력(F1)을 가하면, 캡플레이트(120)와 커넥터홀더(140)가 하향 이동하고, 토션바(148,149)는 브라켓(20)에 걸려서 외력(F1)에 반발하면서 상향 이동한다. 그리고, 잠금너트(130)는 너트가이드(143)의 요홈부(143a)를 따라 하향 이동하고, 걸림쇠(201,202) 역시 외력(F)에 반발하여 탄성변형하면서 하향 이동한다. 이때, 볼트헤드(111)와 캡바디(121)의 사이의 거리를 t1, 잠금레그(123,124)와 브라켓(20)의 사이의 거리를 t2, 걸림쇠(201, 202)의 높이를 t3, 가압하기 전에 커튼월(11)와 잠금너트(130)의 높이차를 t4, 가압된 이후의 커튼월(11)과 잠금너트(130)의 높이차를 t5, 잠금너트(130)의 두께를 h 이라 할때, 아래 식을 만족한다.
[수학식 1]
t1 + t2 = t3 + t4
h + t5 = t1 + t2
위와 같이, 푸시버튼(30)을 누르면 잠금너트(130)가 커튼월(11)보다 그 높이차(t5) 만큼 아래에 위치한다. 이때, 토션바(148,149)와 걸림쇠(201,202)는 상향으로 탄발 지지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수평으로 각도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잠금레그(123,124)와 가압레그(125,126)가 토션바(148,149)의 기부(147a,147b,147c,147d)에 걸려 있기 때문에, 볼트(110)를 눌러 회전시키면, 캡플레이트(120)는 커넥터홀더(140)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탄성날개(161,162)는 잠금너트(130)의 길이 방향으로 벌어져 있으나, 볼트(110)의 회전에 따라 커튼월(11)에 걸려 점진적으로 오므라진다. 탄성날개(161,162)는 벌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볼트(110)가 90°회전하는 시점에 탄성변형이 최대가 된다. 이때 탄성력이 최대가 되는데, 2개의 탄성날개(161,162)가 강한 힘으로 커넥터홀더(140)를 중심으로 밀어 붙임에 따라 결과적으로 균형을 이뤄 중심을 잡게 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30)에 있어 커넥터홀더(140)의 내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 상측에 걸림돌부(147)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 커넥터홀더(140)의 자세가 불안할 경우 커튼월(11)의 톱니(11a)와 잠금슈(134)의 톱니(134a)가 서로 어긋날 수 있다. 이는 의도하지 않게 치합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체결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이를 보강한 것으로 볼트(110)의 회전에 따라 탄성날개(161,162)가 자동 조심 기능을 발휘함에 따라 푸시버튼(30)의 장착을 원활하고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연결구조체의 사시도로서 푸시버튼이 90°로 회전하여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잠금레그(123,124)가 비원형홀(H2)에 위치할 경우 가압을 해제한다. 잠금레그(123,124)와 잠금너트(130)가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고, 비원형홀(H2)과 슬롯(H1)이 동일 방향에 있으므로, 잠금너트(130) 역시 커튼월(11)에 직각 방향에 있다.
상기 볼트(110)의 가압을 해제하면, 커넥터홀더(140)가 자동조심되어 고정되어 있고, 그 상측에서 토션바(148,149)가 상향으로 탄발하고 있고, 더욱이 하측에서 걸림쇠(201,202)가 상향으로 탄발 지지하고 있다. 그 결과, 볼트(110)가 상향 이동하고, 잠금너트(130)가 커튼월(11)에 밀착해서 톱니(11a)와 톱니(134a)의 치합이 보다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탄성날개(161,162)에 더하여 걸림쇠(201,202)의 탄발력에 의해 초기 자세가 정확히 유지될 수 있어 유익하다.
다음으로, 가압 해제로 상향 이동되었던 볼트(110)를 조이면, 볼트나사부(113a)가 잠금너트(130)의 나사산을 타고 하향 이동하고, 캡플레이트(120)는 가압되어 하향 이동한다. 잠금레그(123,124)는 브라켓(20)의 비원형홀(H2)을 향하고 있으므로, 볼트(110)의 조임에 점진적으로 비원형홀(H2)에 맞춰지고, 가압레그(125,126)는 브라켓(20)을 가압한다. 또한, 토션바(148,149)는 볼트(110)의 조임에 따라 상향 이동하고, 도시된 예의 경우, 토션바(148,149)의 기부(147a,147b, 147c,147d)가 브라켓(20)의 표면에 접하므로 그 결과 토션바(148,149)가 브라켓(20)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토션바(148,149)가 브라켓(20)에 밀착하고 있는 경우에는 체결이 양호한 것이고, 브라켓(20)에서 떨어져 있을 경우 불량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 전후의 토션바(148,149)의 자세 변화를 보면서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30)의 장착을 점검할 수 있다. 토션바(148,149)에 페인트나 야광 또는 형광 물질을 채색하면 외관 식별만으로도 연결구조체의 검증은 더욱 쉬워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과 이를 이용한 연결 구조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과 연결구조체의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상술된 형상이나 모양이나 참조부호나 부속품이나 부분으로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설명에 반하여 다른 문헌을 이용하여 제한하여 해석되어서도 안되며,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과 연결구조체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연결구조체 10. 찬넬
11. 커튼월 20. 브라켓
30. 푸시버튼 110. 볼트
120. 캡플레이트 121. 캡바디
123.124. 잠금레그 125.126. 가압레그
130. 잠금너트 131. 너트바디
133.134. 잠금슈 140. 커넥터홀더
143. 너트가이드 145. 홀더바디
147. 걸림돌부 148, 149. 토션바
161, 162. 탄성날개 201,202. 걸림쇠
H1. 슬롯 H2. 비원형홀
H3. 볼트통과공
11. 커튼월 20. 브라켓
30. 푸시버튼 110. 볼트
120. 캡플레이트 121. 캡바디
123.124. 잠금레그 125.126. 가압레그
130. 잠금너트 131. 너트바디
133.134. 잠금슈 140. 커넥터홀더
143. 너트가이드 145. 홀더바디
147. 걸림돌부 148, 149. 토션바
161, 162. 탄성날개 201,202. 걸림쇠
H1. 슬롯 H2. 비원형홀
H3. 볼트통과공
Claims (17)
- 비원형홀이 마련된 구조용 부재의 체결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볼트헤드와 볼트바디가 마련된 볼트;
상기 볼트바디가 수용될 수 있도록 볼트삽입홀이 마련된 캡플레이트;
상기 볼트바디가 통과될 수 있도록 볼트통과공이 마련되고,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비원형홀에 삽입되는 홀더바디를 구비한 커넥터홀더;
상기 캡플레이트와 커넥터홀더를 사이에 두고 볼트와 나사체결되는 잠금너트; 그리고
상기 캡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구조용 부재에 간섭됨으로써 탄성적으로 자세가 변경되어 체결 상태의 외관 확인이 가능하도록 커넥터홀더에 장착된 토션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너트는,
상기 비원형홀의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길이가 폭보다 큰 형상을 가지고 커넥터홀더의 하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홀더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비원형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홀더바디에 고정된 걸림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바는, 상기 걸림돌부에 고정됨으로써 탄성적으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캡플레이트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비원형홀에 끼워지는 잠금레그, 및 상기 구조용 부재를 가압하는 가압레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홀더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비원형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홀더바디에 고정된 걸림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바는, 잠금레그 및 가압레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걸려 볼트의 조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걸림돌부에 고정된 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홀더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비원형홀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홀더바디에 고정된 걸림돌부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바는, 상기 구조용 부재의 체결시에 잠금레그 및 가압레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걸림돌부와의 사이의 영역에 위치하도록 걸림돌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 - 제 4 항에 따른 푸시버튼;
상기 잠금너트가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비원형홀이 마련되고, 상기 캡플레이트가 볼트 삽입홀과 비원형홀이 연통하도록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홀더바디가 비원형홀에 삽입되는 제1구조용 부재로서 브라켓; 그리고
상기 비원형홀과 연통하고, 상기 잠금너트가 적어도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슬롯이 마련되고, 상기 잠금너트가 고정된 제2의 구조용 부재로서 찬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체.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션바는,
상기 잠금레그 및 가압레그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주연을 감싸면서 커넥터 홀더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조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1521A KR102433968B1 (ko) | 2020-03-13 | 2020-03-13 | 토션바 장착의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1521A KR102433968B1 (ko) | 2020-03-13 | 2020-03-13 | 토션바 장착의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5571A KR20210115571A (ko) | 2021-09-27 |
KR102433968B1 true KR102433968B1 (ko) | 2022-08-22 |
Family
ID=7792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1521A KR102433968B1 (ko) | 2020-03-13 | 2020-03-13 | 토션바 장착의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3968B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1711A (ja) * | 1983-06-30 | 1985-01-22 | 長谷川 健一 | 取付ナット |
DE4243185A1 (de) * | 1992-12-19 | 1994-06-23 | Hilti Ag | Befestigungsvorrichtung |
DE102015119506A1 (de) | 2015-11-12 | 2017-05-18 | Fischerwerke Gmbh & Co. Kg | Verbindungsbaugruppe für Montageschienen |
DE102017103772A1 (de) * | 2017-02-23 | 2018-08-23 | Secura Services Ag | Befestigungsvorrichtung und Befestigungsbaugruppe |
DE102017103768A1 (de) * | 2017-02-23 | 2018-08-23 | Secura Services Ag | Befestigungsvorrichtung und Befestigungsbaugruppe |
-
2020
- 2020-03-13 KR KR1020200031521A patent/KR10243396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5571A (ko) | 2021-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040452B2 (ja) | 引き出し | |
US7240884B2 (en) | Mounting device of sprinkler | |
KR102433968B1 (ko) | 토션바 장착의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 | |
KR20210128155A (ko) | 잠금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 | |
KR102604956B1 (ko) | 블록식 전원분배장치 | |
KR101933838B1 (ko) | 확장된 지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 어셈블리. | |
KR20210116157A (ko) | 구조용 부재의 체결상태나 작업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푸시버튼 및 이를 이용한 연결구조체 | |
KR102579757B1 (ko) | 탄성밴드를 이용한 원터치 방식의 구조부재용 패스너 | |
JP3813976B1 (ja) | クサビ式組立て構造 | |
KR102093700B1 (ko) | 와이어링 하네스 고정후크 | |
CN111683564B (zh) | 桌子框架组件 | |
JP2013014955A (ja) | 軸組材の接合装置 | |
KR101571689B1 (ko) | 변압기 덮개용 고정구 | |
JP4594211B2 (ja) |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 |
DE10255902A1 (de) | Element zum Verbinden von Verkleidungsteilen an Rahmen | |
KR102703831B1 (ko) | 조립식 프레임 | |
JP5851640B1 (ja) | 屋根板取り付け金具 | |
JP2002151871A (ja) | 通信機器類収納用架枠 | |
JP4683756B2 (ja) | 横架材連結用金具 | |
JP7257051B2 (ja) | 足場板支持用ブラケット | |
JP7390175B2 (ja) | 柵 | |
KR200236274Y1 (ko) | 자동차의 루프 캐리어 | |
KR102242960B1 (ko) | 스터드의 클립 장치, 이를 이용하는 클립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스터드 시스템 | |
KR102659430B1 (ko) | 철재 선반 | |
KR102264263B1 (ko) | 적재대용 범용 브라켓과 그 브라켓을 제작하기 위한 브라켓 전개도 및 그 브라켓을 사용한 적재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