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3753B1 -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보조 블루투스 회로 - Google Patents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보조 블루투스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3753B1
KR102433753B1 KR1020200146000A KR20200146000A KR102433753B1 KR 102433753 B1 KR102433753 B1 KR 102433753B1 KR 1020200146000 A KR1020200146000 A KR 1020200146000A KR 20200146000 A KR20200146000 A KR 20200146000A KR 102433753 B1 KR102433753 B1 KR 10243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circuit
clock clk
main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5011A (ko
Inventor
훙-촨 창
이-청 천
콴-충 황
츤-원 왕
Original Assignee
리얼텍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109133960A external-priority patent/TWI727899B/zh
Application filed by 리얼텍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리얼텍 세미컨덕터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1005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2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 H04L7/027Speed or phase control by the received code signals, the signals containing no special synchronisation information extracting the synchronising or clock signal from the received signal spectrum, e.g. by using a resonant or bandpass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06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using a receive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loudspeaker or an ear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loop type
    • H04B5/0025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 H04B5/0031Near field system adaptations for data transfer
    • H04B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04L7/0008Synchronisation information channels, e.g. clock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소스 블루투스 장치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의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한다.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의 슬레이브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2 블루투스 피코넷의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한다.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제2 블루투스 피코넷의 슬레이브의 역할을 담당한다.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에서 생성된 제1 메인 클록과 동기화된 제1 슬레이브 클록 및 제2 메인 클록을 생성하고, 재생될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에 따라 샘플링한다.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제2 메인 클록과 동기화된 제2 슬레이브 클록을 생성하고, 재생될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에 따라 샘플링한다.

Description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보조 블루투스 회로{MAIN BLUETOOTH CIRCUIT AND AUXILIARY BLUETOOTH CIRCUIT OF MULTI-MEMBER BLUETOOTH DEVICE CAPABLE OF SYNCHRONIZING AUDIO PLAYBACK BETWEEN DIFFERENT BLUETOOTH CIRCUITS}
본 발명은 블루투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이 동기화를 유지하게 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 관한 것이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복수의 서로 페어링되어 사용되는 블루투스 회로로 이루어진 블루투스 장치, 가령, 짝을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셋, 그룹을 이루는 블루투스 스피커 등을 지칭한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가 다른 블루투스 장치(이하 원격 블루투스 장치라고 함)와 연결이 수행될 때, 원격 블루투스 장치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를 단일 블루투스 장치로 취급한다.
많은 종래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오디오 재생 기능을 구비한다. 많은 응용에 있어,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은 오디오 데이터를 협력하여 재생함으로써, 스테레오 사운드 효과 또는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작을 서로 동기화할 수 없다면, 사용자에게 열악한 사용 체험을 가져오므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응용 가치와 사용 유연성을 저하시킬 것이다.
이 점을 감안하여, 어떻게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이 동기화를 유지하게 할 것인가는 실질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명세서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에서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 제1 클록 조정 회로;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 및 상기 제1 클록 조정 회로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에서의 슬레이브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2 블루투스 피코넷에서의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 회로; 상기 제1 제어 회로에 커플링된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 및 상기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에 커플링되고,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에 따라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데이터를 제1 재생 회로에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 제1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에서 생성된 제1 메인 클록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메인 클록과 동기화된 제1 슬레이브 클록 및 제2 메인 클록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1 클록 조정 회로를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가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에서 상기 제2 메인 클록과 동기화된 제2 슬레이브 클록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에서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록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에서 상기 제2 메인 클록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장점 중 하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가 그 내부의 제1 슬레이브 클록과 제2 메인 클록을 모두 소스 블루투스 장치에서 결정된 제1 메인 클록에 동기화하므로, 제1 클록 조정 회로는 비교적 단순화된 회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또 다른 장점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서 사용되는 제1 슬레이브 클록과 제2 메인 클록은 모두 제1 메인 클록과 동기화되므로, 메인 블루투스 회로의 블루투스 대역폭 사용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실시예를 제공한다.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에서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에서 슬레이브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2 블루투스 피코넷에서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는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에 따라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에서 생성된 제1 메인 클록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메인 클록과 동기화된 제1 슬레이브 클록 및 제2 메인 클록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에서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록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며,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에서 상기 제2 메인 클록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 제2 클록 조정 회로;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 및 상기 제2 클록 조정 회로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에서의 슬레이브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 회로; 상기 제2 제어 회로에 커플링된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 및 상기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에 커플링되고,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에 따라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데이터를 제2 재생 회로에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 제2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 회로는 또한, 상기 제2 메인 클록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메인 클록과 동기화된 제2 슬레이브 클록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2 클록 조정 회로를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에서 상기 제2 슬레이브 클록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실시예의 장점 중 하나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서 사용되는 제2 슬레이브 클록이 제2 메인 클록과 동기화되고, 제1 메인 클록과도 간접적으로 동기화되므로, 서브 블루투스 회로의 블루투스 대역폭 사용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의 또 다른 장점은 서브 블루투스 회로에서 사용되는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이 메인 블루투스 회로에서 사용되는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과 간접적으로 동기화되므로, 제2 재생 회로의 오디오 재생 동작도 제1 재생 회로의 오디오 재생 동작과 서로 동기화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장점은 하기의 설명 및 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단순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순화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가 스캐터넷(scatternet)을 형성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순화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어셈블리 또는 방법의 단계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단순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복수의 멤버 회로(member circuit)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멤버 회로만을 도시하였는데, 각각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및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이다.
본 실시예에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의 모든 멤버 회로는 모두 유사한 주요 회로 구조를 가지나, 상이한 멤버 회로에는 상이한 추가적인 회로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고, 모든 멤버 회로의 회로 구조가 모두 완전히 동일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제1 패킷 파싱 회로(112), 제1 클록 조정 회로(113), 제1 제어 회로(114), 제1 버퍼 회로(115),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 제1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17) 및 제1 재생 회로(118)가 포함되어 있다. 유사하게,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제2 패킷 파싱 회로(122), 제2 클록 조정 회로(123), 제2 제어 회로(124), 제2 버퍼 회로(125),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 제2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27) 및 제2 재생 회로(128)가 포함되어 있다.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패킷 파싱 회로(112)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 의해 수신된 블루투스 패킷을 파싱(parsing)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클록 조정 회로(113)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일부 작업 클록 신호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되어,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다른 블루투스 장치 사이에서 사용되는 피코넷 클록(piconet clock)을 동기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제어 회로(114)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제1 패킷 파싱 회로(112) 및 제1 클록 조정 회로(113)에 커플링되고, 전술한 회로의 동작 방식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동작하는 경우, 제1 제어 회로(114)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직접적으로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다른 멤버 회로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제어 회로(114)는 또한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에서 수신한 패킷을 제1 패킷 파싱 회로(112)를 이용하여 파싱함으로써, 관련된 데이터 또는 명령을 획득한다.
제1 버퍼 회로(115)는 재생될 오디오 데이터(이하, 제1 오디오 데이터라고 함)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전술한 제1 오디오 데이터는 제조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제1 버퍼 회로(115) 내에 미리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 다른 블루투스 회로(예컨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다른 회로에 의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는 제1 제어 회로(114)에 커플링되고, 제1 제어 회로(114)의 제어에 따라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1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17)는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와 제1 재생 회로(118)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에 따라 제1 버퍼 회로(115) 내의 제1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하며, 샘플링된 데이터를 제1 재생 회로(118)에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패킷 파싱 회로(122)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의해 수신된 블루투스 패킷을 파싱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클록 조정 회로(123)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의 일부 작업 클록 신호를 조정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와 다른 블루투스 장치 사이에서 사용되는 피코넷 클록을 동기화할 수 있다.
제2 제어 회로(124)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제2 패킷 파싱 회로(122) 및 제2 클록 조정 회로(123)에 커플링되고, 전술한 회로의 동작 방식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동작하는 경우, 제2 제어 회로(124)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블루투스 무선 전송 방식으로 다른 블루투스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다른 멤버 회로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제어 회로(124)는 또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서 수신한 패킷을 제2 패킷 파싱 회로(122)를 이용하여 파싱함으로써, 관련된 데이터 또는 명령을 획득한다.
제2 버퍼 회로(125)는 재생될 오디오 데이터(이하, 제2 오디오 데이터라고 함)를 저장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전술한 제2 오디오 데이터는 제조업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제2 버퍼 회로(125) 내에 미리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 다른 블루투스 회로(예컨대,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다른 회로에 의해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일 수 있다.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는 제2 제어 회로(124)에 커플링되고, 제2 제어 회로(124)의 제어에 따라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제2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27)는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와 제2 재생 회로(128)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에 따라 제2 버퍼 회로(125) 내의 제2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하며, 샘플링된 데이터를 제2 재생 회로(128)에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다.
실제적으로, 전술한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모두 다양한 버전의 블루투스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는 적합한 무선 통신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패킷 파싱 회로(112)와 제2 패킷 파싱 회로(122)는 모두 다양한 패킷 복조 회로, 디지털 연산 회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클록 조정 회로(113)와 제2 클록 조정 회로(123),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 및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는 모두 클록 주파수 및/또는 클록 위상을 비교 및 조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적절한 회로, 예컨대, 다양한 위상-고정 루프(phase-locked loop,PLL) 또는 지연-고정 루프(delay-locked loop,DL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제어 회로(114)와 제2 제어 회로(124)는 모두 적절한 연산 능력을 구비하는 다양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버퍼 회로(115)와 제2 버퍼 회로(125)는 모두 다양한 휘발성 저장 회로 또는 비휘발성 저장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17)와 제2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27)는 모두 다양한 적절한 디지털 회로, 아날로그 회로, 또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하이브리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재생 회로(118)와 제2 재생 회로(128)는 모두 다양한 적절한 디지털 오디오 재생 회로, 아날로그 오디오 재생 회로, 또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하이브리드 재생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클록 조정 회로(113) 또는 제2 클록 조정 회로(123)를 제1 제어 회로(114) 또는 제2 제어 회로(124)에 통합시킬 수도 있고,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 또는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를 제1 제어 회로(114) 또는 제2 제어 회로(124)에 통합시킬 수도 있다. 이 밖에도, 전술한 제1 패킷 파싱 회로(112)와 제2 패킷 파싱 회로(122)를 전술한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에 각각 통합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와 제1 패킷 파싱 회로(112)는 상이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일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와 제2 패킷 파싱 회로(122)는 상이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고, 동일한 회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응용에 있어서, 또한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중 상이한 기능의 블록을 단일 회로 칩에 통합시킬 수 있다. 예컨대,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중의 모든 기능 블록 또는 제1 재생 회로(118)를 제외한 다른 기능 블록은 단일 블루투스 제어 칩(Bluetooth controller IC)에 통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중의 모든 기능 블록 또는 제2 재생 회로(128)를 제외한 다른 기능 블록도 다른 하나의 단일 블루투스 제어 칩에 통합될 수 있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복수의 멤버 회로가 서로 페어링되어 사용되는 블루투스 장치, 가령, 짝을 이루는 블루투스 이어셋, 그룹을 이루는 블루투스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 스마트 스피커 및 게임 콘솔 등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가진 다양한 전자 기기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 중 상이한 멤버 회로는 각자의 블루투스 통신 회로를 통해 서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형태의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다.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와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경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를 단일 블루투스 장치로 취급한다.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이미 알려진 다양한 메커니즘을 채용하여 수신할 수 있고,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적절한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획득할 수 있다.
예컨대,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능동적으로 스니핑하도록 스니핑 모드(sniffing mode)에서 동작할 수 있다. 또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한 후에 포워딩한 패킷만을 수동적으로 수신하고,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능동적으로 스니핑하지 않는 릴레이 모드(relay mode)에서 동작할 수 있다.
주의해야 할 것은,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지칭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라는 두 용어는, 단지 상이한 멤버 회로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패킷을 수신하는 방식이 상이하다는 것을 쉽게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의 다른 동작 양상에 대해 어느 정도의 제어 권한을 가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은 전혀 아니다. 실제적으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양자에서 담당하는 역할은 간헐적으로 상호 교환, 주기적으로 상호 교환 또는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호 교환될 수도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동작 방식에 대해 더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순화된 흐름도이다. 도 3은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가 스캐터넷(scatternet)을 형성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순화된 개략도이다.
도 2의 흐름도에서, 특정 장치에 속하는 필드에 위치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장치에서 수행되는 단계를 나타낸다. 예컨대, “소스 블루투스 장치” 필드에 표기된 부분은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서 수행되는 단계이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 필드에 표기된 부분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수행되는 단계이고, “서브 블루투스 회로” 필드에 표기된 부분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이며, 전술한 논리는 후속의 다른 흐름도에도 적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와 단계 202를 먼저 수행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을 블루투스 통신 표준 규격을 따르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축한다. 단계 202에서,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마스터(master)의 역할을 담당하고,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슬레이브(slave)의 역할을 담당한다.
단계 204에서,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제1 메인 클록(CLK_P1M)을 생성하고,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제1 메인 클록(CLK_P1M)에 따라 블루투스 패킷의 전송 또는 수신 타이밍을 스케줄링(schedule)한다. 따라서, 제1 메인 클록(CLK_P1M)은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의 네이티브 시스템 클록(native system clock)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의 마스터 클록(master clock)이기도 하다.
그 밖에,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1 피코넷 타이밍 패킷을 생성하고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로서 다양한 적절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로서,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특정 에지(예컨대, 상승 에지)의 카운트 값(count value)을 이용하여, 제1 메인 클록(CLK_P1M)에 대응하는 카운터 값을 주파수 홉 동기화 패킷(frequency hop synchronization packet,FHS packet)에 기록하여, 상기 제1 피코넷 타이밍 패킷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206에서,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슬레이브 클록(slave clock)으로 사용하기 위해,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동기화된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을 생성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생성된 제1 피코넷 타이밍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제1 제어 회로(114)는 제1 피코넷 타이밍 패킷으로부터 전술한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 예컨대 관련된 카운트 값을 획득하도록 제1 패킷 파싱 회로(112)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제어 회로(114)는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동기화된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을 생성하도록 제1 클록 조정 회로(1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회로(114)는 주파수가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위상이 제1 메인 클록(CLK_P1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을 생성하기 위해,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1 레퍼런스 클록(CLK_R1)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1 클록 조정 회로(113)를 제어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전술한 제1 레퍼런스 클록(CLK_R1)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다양한 적절한 클록 생성 회로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동작하는 경우, 제1 제어 회로(114)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에 따라 블루투스 패킷의 전송 또는 수신 타이밍을 스케줄링하도록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단계 208에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을 블루투스 통신 표준 규약을 따르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구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하고,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슬레이브의 역할을 담당한다.
즉,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전술한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 속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도 속한다.
단계 210에서, 제1 제어 회로(114)는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 또는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동기화된 제2 메인 클록(CLK_P2M)을 생성하도록 제1 클록 조정 회로(113)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제어 회로(114)는 주파수가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위상이 제1 메인 클록(CLK_P1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2 메인 클록(CLK_P2M)을 생성하기 위해,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 또는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전술한 제1 레퍼런스 클록(CLK_R1)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1 클록 조정 회로(113)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하는 경우, 제1 제어 회로(114)는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따라 블루투스 패킷의 전송 또는 수신 타이밍을 스케줄링하도록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메인 클록(CLK_P2M)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네이티브 시스템 클록(native system clock)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의 마스터 클록(master clock)이기도 하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1 클록 조정 회로(113)에서 생성된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과 제2 메인 클록(CLK_P2M) 양자는 모두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서 생성된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동기화된다. 즉,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과 제2 메인 클록(CLK_P2M) 양자의 주파수는 모두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양자의 위상은 모두 제1 메인 클록(CLK_P1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실제적으로, 제1 제어 회로(114)는 전술한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과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각각 동일하지 않은 카운트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전술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내부의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과 제2 메인 클록(CLK_P2M) 양자를 서로 동기화하는 방식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블루투스 대역폭 사용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밖에, 전술한 단계 210에서, 제1 제어 회로(114)는 또한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피코넷 타이밍 패킷을 생성하고, 제2 피코넷 타이밍 패킷을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이용하여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제1 제어 회로(114)는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로서 다양한 적절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회로(114)는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로서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특정 에지(예컨대, 상승 에지)의 카운트 값을 이용하고,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대응하는 카운트 값을 주파수 홉 동기화 패킷에 기록하여, 상기 제2 피코넷 타이밍 패킷을 형성할 수 있다.
단계 212에서,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슬레이브 클록으로 사용하기 위해,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을 생성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생성된 제2 피코넷 타이밍 패킷을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을 통해 수신할 수 있고, 제2 제어 회로(124)는 제2 피코넷 타이밍 패킷으로부터 전술한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 예컨대 관련된 카운트 값을 획득하도록 제2 패킷 파싱 회로(122)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제어 회로(124)는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을 생성하도록 제2 클록 조정 회로(12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회로(124)는 주파수가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위상이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2 레퍼런스 클록(CLK_R2)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2 클록 조정 회로(123)를 제어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전술한 제2 레퍼런스 클록(CLK_R2)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다양한 적절한 클록 생성 회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 밖에, 단계 212에서, 제2 제어 회로(124)는 또한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을 생성하도록 제2 클록 조정 회로(123)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회로(124)는 주파수가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위상이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전술한 제2 레퍼런스 클록(CLK_R2)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2 클록 조정 회로(123)를 제어할 수 있다.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생성된 제2 메인 클록(CLK_P2M)은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생성된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동기화되기 때문에, 제2 클록 조정 회로(123)에 의해 생성된 전술한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도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 의해 생성된 제1 메인 클록(CLK_P1M)에 간접적으로 동기화되고, 따라서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의 슬레이브 클록으로서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의 블루투스 패킷을 스니핑(sniffing) 방식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2 클록 조정 회로(123)에서 생성된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과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 양자는 모두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생성된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다. 즉,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과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 양자의 주파수는 모두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양자의 위상은 모두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실제적으로, 제2 제어 회로(124)는 전술한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과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에 각각 동일하지 않은 카운트 값을 할당할 수 있다.
전술한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내부의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과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 양자를 서로 동기화하는 방식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대역폭 사용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2 제어 회로(124)는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에 따라 블루투스 패킷의 전송 또는 수신 타이밍을 스케줄링하도록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제2 제어 회로(124)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에 따라 블루투스 패킷의 수신 타이밍을 스케줄링하여,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의 블루투스 패킷을 스니핑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또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양자의 오디오 재생이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계 214 내지 단계 226의 동작을 수행한다.
단계 214에서, 제1 제어 회로(114)는 제1 메인 클록(CLK_P1M),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또는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을 생성하도록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은 제1 버퍼 회로(115) 내에 저장된 제1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록 신호이므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제1 메인 클록(CLK_P1M),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및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비해 더 낮지만,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의 주파수는 전술한 제1 메인 클록(CLK_P1M),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또는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주파수와 고정된 비율 관계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제1 제어 회로(114)는 주파수가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실질적으로 미리 결정된 비율 관계에 있고, 위상이 제1 메인 클록(CLK_P1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을 생성하기 위해,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1 샘플링 클록(CLK_S1)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제1 제어 회로(114)는 주파수가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과 실질적으로 미리 결정된 비율 관계에 있고, 위상이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을 생성하기 위해,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1 샘플링 클록(CLK_S1)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제어 회로(114)는 주파수가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실질적으로 미리 결정된 비율 관계에 있고, 위상이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1 샘플링 클록(CLK_S1)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를 제어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전술한 제1 샘플링 클록(CLK_S1)은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다양한 적절한 클록 생성 회로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단계 216에서, 제1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17)는 제1 제어 회로(114)의 제어 하에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에 따라 제1 버퍼 회로(115) 내에 저장된 제1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하고, 샘플링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1 재생 회로(118)에 전송하여 재생할 수 있다.
한편,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또한 도 2의 단계 218과 단계 220을 수행한다.
단계 218에서, 제2 제어 회로(124)는 제2 메인 클록(CLK_P2M),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 또는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과 동기화되고, 주파수가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을 생성하도록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은 제2 버퍼 회로(125) 내에 저장된 제2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록 신호이므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의 주파수는 일반적으로 제2 메인 클록(CLK_P2M),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 및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 보다 더 낮지만,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의 주파수는 전술한 제2 메인 클록(CLK_P2M),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 또는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의 주파수와 고정된 비율 관계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제2 제어 회로(124)는 주파수가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실질적으로 미리 결정된 비율 관계에 있고, 위상이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을 생성하기 위해,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2 샘플링 클록(CLK_S2)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제2 제어 회로(124)는 주파수가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과 실질적으로 미리 결정된 비율 관계에 있고, 위상이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을 생성하기 위해,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2 샘플링 클록(CLK_S2)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제어 회로(124)는 주파수가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과 실질적으로 미리 결정된 비율 관계에 있고, 위상이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을 생성하기 위해,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2 샘플링 클록(CLK_S2)의 주파수 및/또는 위상 오프셋을 조정하도록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를 제어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전술한 제2 샘플링 클록(CLK_S2)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한 다양한 적절한 클록 생성 회로에 의해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단계 220에서, 제2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27)는 제2 제어 회로(124)의 제어 하에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에 따라 제2 버퍼 회로(125) 내에 저장된 제2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 샘플링을 수행하고, 샘플링된 오디오 데이터를 제2 재생 회로(128)에 전송하여 재생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생성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은 제1 메인 클록(CLK_P1M),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또는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되고,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생성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은 제2 메인 클록(CLK_P2M),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 또는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과 동기화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1 메인 클록(CLK_P1M),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제2 메인 클록(CLK_P2M),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 및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은 모두 실질적으로 서로 동기화되고 위상 정렬된 클록 신호이므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도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에 간접적으로 동기화되고, 위상은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에 실질적으로 정렬된다.
이로써,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양자의 오디오 재생 동작은 시간 지연의 문제없이 서로 동기화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과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을 생성하는 방식은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작을 서로 동기화할 수 있게 하여, 이상적인 스테레오 사운드 효과 또는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를 만들어 낼 수 있고, 사용자에게 양호한 사용 체험을 가져올 수 있으며, 나아가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응용 가치와 사용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은 제1 레퍼런스 클록(CLK_R1)과 제1 샘플링 클록(CLK_S1)에 따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것이고,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의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은 제2 레퍼런스 클록(CLK_R2)과 제2 샘플링 클록(CLK_S2)에 따라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생성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술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사용되는 제1 레퍼런스 클록(CLK_R1)과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서 사용되는 제2 레퍼런스 클록(CLK_R2) 양자는 서로 독립적으로 생성된 클록 신호이다. 또한, 전술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사용되는 제1 샘플링 클록(CLK_S1)과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서 사용되는 제2 샘플링 클록(CLK_S2) 양자도 서로 독립적으로 생성된 클록 신호이다.
따라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양자가 오디오 재생 동작을 동기화하여 수행하고 일정 시간 후,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과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의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 양자 사이에는 주파수 및/또는 위상 편차가 나타날 수 있다.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과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의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 양자가 지속적으로 동기화를 유지할 수 없다면,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양자의 오디오 재생 동작이 서로 동기화될 수 없는 것을 초래하고, 나아가 양호하지 않은 사용 체험이 파생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단계 222를 간헐적으로 수행하고,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단계 224와 단계 226을 간헐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222에서, 제1 제어 회로(114)는 제1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타임 스탬프)를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제1 제어 회로(114)는 전술한 제1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로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의 상관 카운트 값(가령, 펄스 카운트 값, 상승 에지 카운트 값, 하강 에지 카운트 값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224에서, 제2 제어 회로(124)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전송된 제1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를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 226에서, 제2 제어 회로(124)는 제1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예컨대, 전술한 상관 카운트 값)에 따라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의 위상을 교정하도록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를 제어하여, 교정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이 현재의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에 동기화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단계 222 내지 단계 226의 동작을 통해,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양자의 오디오 재생 동작은 시간 지연의 문제없이 지속적으로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음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이로써,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협력하여 수행하는 오디오 재생 동작은 이상적인 스테레오 사운드 효과 또는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를 만들어 내고, 양호한 사용 체험을 유지하며, 나아가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응용 가치와 사용 유연성을 향상시키게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에서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순화된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의 단계 202 내지 단계 220은 모두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의 대응하는 단계와 동일하다. 그러나, 도 4의 실시예에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양자의 오디오 재생 동작이 지속적으로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은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와는 다소 상이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단계 422를 간헐적으로 수행하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하는 과정에서 단계 424와 단계 426을 간헐적으로 수행한다.
단계 422에서, 제2 제어 회로(124)는 제2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를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제2 제어 회로(124)는 전술한 제2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로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의 상관 카운트 값(가령, 펄스 카운트 값, 상승 에지 카운트 값, 하강 에지 카운트 값 등)을 이용하여,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단계 424에서, 제1 제어 회로(114)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전송된 제2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를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단계 426에서, 제1 제어 회로(114)는 제2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예컨대, 전술한 상관 카운트 값)에 따라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의 위상을 교정하도록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를 제어하여, 교정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이 현재의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에 동기화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단계 422 내지 단계 426의 동작을 통해, 마찬가지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양자의 오디오 재생 동작이 시간 지연의 문제없이 지속적으로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음을 효과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이로써,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협력하여 수행하는 오디오 재생 동작은 이상적인 스테레오 사운드 효과 또는 서라운드 사운드 효과를 만들어 내고, 양호한 사용 체험을 유지하며, 나아가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응용 가치와 사용 유연성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에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그 내부의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과 제2 메인 클록(CLK_P2M)을 모두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서 결정된 제1 메인 클록(CLK_P1M)에 동기화하므로, 제1 클록 조정 회로(113)는 비교적 단순화된 회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사용되는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과 제2 메인 클록(CLK_P2M)은 모두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동기화되므로,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의 블루투스 대역폭 사용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가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과 제2 메인 클록(CLK_P2M)을 업데이트하는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사하게,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그 내부의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과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을 모두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결정된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동기화하므로, 제2 클록 조정 회로(123) 또한 비교적 단순화된 회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서 사용되는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과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은 모두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되고, 모두 제1 메인 클록(CLK_P1M)과도 동등하게 동기화되므로,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의 블루투스 대역폭의 사용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고,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과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을 업데이트하는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중요한 것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서 사용되는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이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서 사용되는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과 간접적으로 동기화될 수 있으므로, 제2 재생 회로(128)의 오디오 재생 동작도 제1 재생 회로(118)의 오디오 재생 동작과 서로 동기화된다는 것이다.
주의해야 할 것은, 전술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에서의 멤버 회로의 개수는 전술한 2개에 제한되는 것이 전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수로 확장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실제적으로,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전술한 도 2와 도 4의 두 가지 오디오 재생 동기화 방법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채용하여,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양자의 오디오 재생 동작이 지속적으로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 또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두 가지 방법을 교대로 채용하여,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양자의 오디오 재생 동작이 지속적으로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음을 보장할 수도 있다.
이 밖에, 일부 응용에 있어서,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생성된 제3 슬레이브 클록(CLK_P1S2)의 동작을 생략할 수도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특정 어셈블리를 지칭하기 위해 소정의 단어들을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동일한 어셈블리를 지칭하는 데에 상이한 명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는 명칭의 차이로 어셈블리를 구분하는 방식을 사용한 것이 전혀 아니며, 어셈블리의 기능 상의 차이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언급된 "포함”은 개방식 용어로,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이 밖에, "커플링”이라는 단어는 여기서 임의의 직접적 및 간접적인 연결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문에서 제1 어셈블리가 제2 어셈블리에 커플링된다고 설명되면, 제1 어셈블리가 전기적 연결 또는 무선 전송, 광학 전송 등 신호 연결 방식을 통해 직접적으로 제2 어셈블리에 연결되거나, 다른 어셈블리 또는 연결 수단을 통해 제2 어셈블리에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되거나 신호 연결되는 것을 나타낸다.
명세서에서 사용된 "및/또는”의 설명 방식은, 나열된 항목 중의 하나의 항목 또는 복수의 항목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 밖에, 명세서에 따로 특정되지 않는 한, 임의의 단수의 표현은 모두 동시에 복수의 의미를 포함한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따른 균등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100...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multi-member Bluetooth device)
102...소스 블루투스 장치(source Bluetooth device)
110...메인 블루투스 회로(main Bluetooth circuit)
111...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first Bluetooth communication circuit)
112...제1 패킷 파싱 회로(first packet parsing circuit)
113...제1 클록 조정 회로(first clock adjusting circuit)
114...제1 제어 회로(first control circuit)
115...제1 버퍼 회로(first buffer circuit)
116...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first sampling-clock adjusting circuit)
117...제1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first asynchronous sample rate conversion circuit)
118...제1 재생 회로(first control circuit)
120...서브 블루투스 회로(auxiliary Bluetooth circuit)
121...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second Bluetooth communication circuit)
122...제2 패킷 파싱 회로(second packet parsing circuit)
123...제2 클록 조정 회로(second clock adjusting circuit)
124...제2 제어 회로(second control circuit)
125...제2 버퍼 회로(first buffer circuit)
126...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second sampling-clock adjusting circuit)
127...제2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second asynchronous sample rate conversion circuit)
128...제2 재생 회로(second control circuit)
202~226, 422~426...동작 단계(operation)
310...제1 블루투스 피코넷(first piconet)
320...제2 블루투스 피코넷(second piconet)

Claims (10)

  1.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로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마스터(master)의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제1 클록 조정 회로(113);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및 상기 제1 클록 조정 회로(113)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의 슬레이브(slave)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의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 회로(114);
    상기 제1 제어 회로(114)에 커플링된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 및
    상기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에 커플링되고,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에 따라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데이터를 제1 재생 회로(118)에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 제1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17)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회로(114)는 또한,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서 생성된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동기화된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및 제2 메인 클록(CLK_P2M)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1 클록 조정 회로(113)를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114)는 또한,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또는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 상기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114)는 또한,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제1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을 교정하는 것을 제공하여, 교정된 상기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이 현재의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에 동기화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2.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로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와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마스터(master)의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제1 클록 조정 회로(113);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 및 상기 제1 클록 조정 회로(113)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의 슬레이브(slave)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의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1 제어 회로(114);
    상기 제1 제어 회로(114)에 커플링된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 및
    상기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에 커플링되고,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에 따라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데이터를 제1 재생 회로(118)에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 제1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17)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어 회로(114)는 또한,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서 생성된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동기화된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및 제2 메인 클록(CLK_P2M)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1 클록 조정 회로(113)를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가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114)는 또한,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또는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 상기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또한, 교정된 상기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이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에 의해 현재 생성된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에 동기화되게 하기 위해, 제2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를 상기 제1 블루투스 통신 회로(111)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2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의 위상을 교정하도록 상기 제1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16)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회로(114)는 주파수가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위상이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클록 조정 회로(113)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제어 회로(114)는 또한, 주파수가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위상이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 또는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클록 조정 회로(113)를 제어하는,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4.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로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및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마스터(master)의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슬레이브(slave)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에 따라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서 생성된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동기화된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및 제2 메인 클록(CLK_P2M)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며,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제2 클록 조정 회로(123);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및 상기 제2 클록 조정 회로(123)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의 슬레이브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 회로(124);
    상기 제2 제어 회로(124)에 커플링된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 및
    상기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에 커플링되고,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에 따라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데이터를 제2 재생 회로(128)에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 제2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27)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 회로(124)는 또한,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2 클록 조정 회로(123)를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상기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4)는 또한, 상기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이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생성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에 간접적으로 동기화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 또는 상기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과 동기화된 상기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4)는 또한, 교정된 상기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이 현재의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에 동기화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1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의 위상을 교정하도록 상기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5.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의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로서, 상기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100)는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와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고,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 및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포함하며,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는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마스터(master)의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슬레이브(slave)의 역할을 담당하고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마스터의 역할을 담당하며,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는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에 따라 제1 오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상기 소스 블루투스 장치(102)에서 생성된 제1 메인 클록(CLK_P1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1 메인 클록(CLK_P1M)과 동기화된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 및 제2 메인 클록(CLK_P2M)을 생성하여, 상기 제1 블루투스 피코넷(310)에서 상기 제1 슬레이브 클록(CLK_P1S1)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며,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는,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제2 클록 조정 회로(123);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 및 상기 제2 클록 조정 회로(123)에 커플링되고,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의 슬레이브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상기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2 제어 회로(124);
    상기 제2 제어 회로(124)에 커플링된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 및
    상기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에 커플링되고,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에 따라 제2 오디오 데이터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데이터를 제2 재생 회로(128)에 전송하여 재생하도록 구성된 제2 비동기 샘플링 레이트 변환 회로(127)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제어 회로(124)는 또한,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동기화된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2 클록 조정 회로(123)를 제어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블루투스 피코넷(320)에서 상기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에 따라 패킷을 전송 또는 수신하도록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제어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4)는 또한, 상기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이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의해 생성된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에 간접적으로 동기화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 또는 상기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과 동기화된 상기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2 샘플링 클록 조정 회로(126)를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제어 회로(124)는 또한,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상기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의 위상을 교정하도록 제공하여, 교정된 상기 제1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1)이 현재의 제2 오디오 샘플링 클록(CLK_A2)에 동기화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제2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는 제2 오디오 재생 타이밍 데이터를 상기 제2 블루투스 통신 회로(121)를 통해 상기 메인 블루투스 회로(110)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회로(124)는 주파수가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위상이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에 실질적으로 정렬된 상기 제2 슬레이브 클록(CLK_P2S1)을 생성하도록, 상기 제2 메인 클록(CLK_P2M)의 타이밍 데이터에 따라 상기 제2 클록 조정 회로(123)를 제어하는, 서브 블루투스 회로(120).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46000A 2019-11-05 2020-11-04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보조 블루투스 회로 KR102433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962930567P 2019-11-05 2019-11-05
US62/930,567 2019-11-05
TW109133960 2020-09-29
TW109133960A TWI727899B (zh) 2019-11-05 2020-09-29 可使不同藍牙電路的音訊播放保持同步的多成員藍牙裝置中的主藍牙電路與副藍牙電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011A KR20210055011A (ko) 2021-05-14
KR102433753B1 true KR102433753B1 (ko) 2022-08-19

Family

ID=75688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000A KR102433753B1 (ko) 2019-11-05 2020-11-04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보조 블루투스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405880B2 (ko)
JP (1) JP7105849B2 (ko)
KR (1) KR102433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57421B2 (en) 2019-11-05 2022-09-27 Realtek Semiconductor Corp. Auxiliary bluetooth circuit of multi-member bluetooth device capable of reducing complexity of updating internal clock of bluetooth circui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212A (ja) * 2000-09-01 2002-05-24 Toshiba Corp 放送型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JP2009153070A (ja) * 2007-12-21 2009-07-09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80006798A1 (en) * 2016-06-30 2018-01-04 Imagination Technologies Limited Master Synchronisation
WO2019083840A1 (en) * 2017-10-23 2019-05-02 Bose Corporation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AUDIO DEVICES
US20190274024A1 (en) * 2017-11-09 2019-09-05 Pixart Imaging Inc. Wireless bluetooth communication mechanism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number of audio packet re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4110B2 (en) 1997-07-31 2005-06-07 Francois Trans Channel equalization system and method
US8320410B2 (en) * 2007-05-23 2012-11-27 Broadcom Corporation Synchronization of media data streams with separate sinks using a relay
US8102836B2 (en) * 2007-05-23 2012-01-24 Broadcom Corporation Synchronization of a split audio, video, or other data stream with separate sinks
US8045670B2 (en) 2007-06-22 2011-10-2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Interpolative all-digital phase locked loop
FR2920930B1 (fr) * 2007-09-06 2010-04-16 Parrot Systeme synchronise de distribution et de traitement de signaux,notamment de signaux audio dans un reseau d'enceintes sans fil
US8768252B2 (en) * 2010-09-02 2014-07-01 Apple Inc. Un-tethered wireless audio system
TWI545971B (zh) 2014-10-03 2016-08-11 絡達科技股份有限公司 藍牙發聲裝置的音頻同步方法
JP6737272B2 (ja) * 2015-06-15 2020-08-05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及び通信システム
US10009862B1 (en) 2017-09-06 2018-06-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luetooth media device time synchronization
CN110380759B (zh) * 2018-04-13 2022-02-25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用于多成员蓝牙装置中的副蓝牙电路
TWI659637B (zh) * 2018-04-13 2019-05-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可避免信號中斷的多成員藍牙裝置以及相關的主藍牙電路與副藍牙電路
TWI659638B (zh) * 2018-04-13 2019-05-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可維持與遠端藍牙裝置之間的藍牙信號品質的多成員藍牙網路以及相關的主藍牙電路與副藍牙電路
CN110381484B (zh) * 2018-04-13 2022-09-20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可避免信号中断的多成员蓝牙装置
EP3644661B1 (en) * 2018-10-26 2022-08-17 Google LLC A synchronization method for synchronizing clocks of a bluetooth device
US11375579B2 (en) * 2019-10-03 2022-06-28 Realtek Semiconductor Corp. Multi-member Bluetooth device capable of adaptively switching operation mode in response to data type change of received packets, and related main Bluetooth circuit and auxiliary Bluetooth circuit
US20210136551A1 (en) * 2019-11-05 2021-05-06 Realtek Semiconductor Corp. Multi-member bluetooth device capable of synchronizing audio playback between different bluetooth circuits
US20210136711A1 (en) * 2019-11-05 2021-05-06 Realtek Semiconductor Corp. Multi-member bluetooth device capable of reducing complexity of updating internal clock of bluetooth circuit
US11457421B2 (en) * 2019-11-05 2022-09-27 Realtek Semiconductor Corp. Auxiliary bluetooth circuit of multi-member bluetooth device capable of reducing complexity of updating internal clock of bluetooth circui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2212A (ja) * 2000-09-01 2002-05-24 Toshiba Corp 放送型サービス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方法
JP2009153070A (ja) * 2007-12-21 2009-07-09 Toshiba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20180006798A1 (en) * 2016-06-30 2018-01-04 Imagination Technologies Limited Master Synchronisation
WO2019083840A1 (en) * 2017-10-23 2019-05-02 Bose Corporation SYNCHRONIZING A PLURALITY OF AUDIO DEVICES
US20190274024A1 (en) * 2017-11-09 2019-09-05 Pixart Imaging Inc. Wireless bluetooth communication mechanism capable of effectively reducing number of audio packet re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51153B2 (en) 2023-09-05
JP2021078120A (ja) 2021-05-20
US20210136705A1 (en) 2021-05-06
KR20210055011A (ko) 2021-05-14
US11405880B2 (en) 2022-08-02
US20220295429A1 (en) 2022-09-15
JP7105849B2 (ja) 202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5312B2 (en) Method, device, loudspeaker equipment and wireless headset for playing audio synchronously
CN111052817B (zh) 蓝牙媒体设备时间同步
US20090298420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time synchronization of wireless audio data streams
US20120087503A1 (en) Multi-channel audio over standard wireless protocol
US20110129048A1 (en) Synchronized system for distributing and processing signals, in particular audio signals in a wireless loudspeaker network
KR20210055009A (ko)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KR102434430B1 (ko) 블루투스 회로의 내부 클록 업데이트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
KR102433753B1 (ko) 상이한 블루투스 회로들의 오디오 재생 동기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메인 블루투스 회로 및 보조 블루투스 회로
CN112788737B (zh) 可使不同蓝牙电路的音频播放保持同步的多成员蓝牙装置
KR102433696B1 (ko) 블루투스 회로의 내부 클록 업데이트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다중 멤버 블루투스 장치의 서브 블루투스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