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560B1 -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560B1
KR102432560B1 KR1020170128007A KR20170128007A KR102432560B1 KR 102432560 B1 KR102432560 B1 KR 102432560B1 KR 1020170128007 A KR1020170128007 A KR 1020170128007A KR 20170128007 A KR20170128007 A KR 20170128007A KR 102432560 B1 KR102432560 B1 KR 10243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obbin
armor
po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80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038A (ko
Inventor
김현웅
전동만
이훈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8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5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xcavating Of Shafts Or Tunnel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의 수직 포설작업의 작업공간, 작업시간 및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Cable Installation Device And Cable Install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케이블의 수직 포설작업의 작업공간, 작업시간 및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산용 케이블은 지하 갱도 내부에 포설되는 케이블로서, 지하의 작업장 등에 전력 또는 통신라인을 제공하기 위한 케이블을 의미한다. 지하의 작업장은 광산 채굴 작업장 또는 터널 공사 작업장 등이 있으며, 각종 작업 설비의 구동을 위한 전력 또는 제어신호의 공급을 위하여 지상 설비와 광산용 케이블로 연결될 수 있다.
지하 작업장과 연결을 위한 갱도의 길이는 수백미터 이상일 수 있으며 별도의 케이블 접속구간 없이 하나의 케이블로 지하의 작업장까지 하나의 광산용 케이블을 포설한다.
이러한 케이블의 포설구간은 수직한 갱도로 구성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케이블을 수직방향으로 포설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산용 케이블의 포설과정을 도시한다.
일반적인 광산용 케이블 등의 수직 포설방법은 수직 포설구간의 길이가 수백미터인 경우 케이블 자체의 무게가 수톤에 이른다.
케이블(c)의 길이가 수백미터 이상인 경우에 포설될 케이블을 수평방향으로 풀어 배치한 후 수직 갱도(m)로 케이블이 추락하지 않도록 케이블에 클램프(cl)를 설치하여 그 클램프(cl)에 지지 와이어(w)를 연결하고 지지 와이어(w)를 중장비 등을 사용하여 서서히 케이블을 수직 갱도 내부로 삽입하여 포설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케이블의 후단에는 아머팟(a)이라는 고정용 구조물이 구비되어 광산용 케이블의 포설이 완료되면 케이블이 하방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갱도 입구에서 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지지바(3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케이블을 수직 포설하는 경우, 지지 와이어(w)가 끊어지거나 클램프(cl)와 케이블의 고정상태가 튼튼하지 못한 경우, 케이블(c)은 수직 갱도 내부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포설방법은 케이블의 수직 포설길이에 비례하는 케이블 배치 공간이 필요하다. 즉, 수직 갱도의 깊이가 수백 미터라면 케이블의 길이도 수백 미터이고, 포설 준비를 위하여 지상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케이블의 길이 역시 그에 비례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갱도 내부로 케이블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장비 차량(30) 등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와 같은 중장비 차량(30)이 케이블을 잡아당겨 천천히 전진하며 케이블을 수직 갱도 내부로 포설하는 방법을 사용해야 하므로 중장비 차량(30)이 주행할 수 있는 주행공간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수직하게 지하로 포설되는 케이블은 주로 광산에서 사용되고, 이러한 광산은 일반적으로 산악지역에 많으므로, 케이블의 배치 또는 중장비 차량(30)의 주행이 가능한 장소를 확보하기 쉽지 않다.
또한, 중장비 차량(30)에 지지 와이어(w)를 연결하고 지지 와이어(w)를 케이블에 장착된 클램프(cl) 등에 연결하여 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클램프의 체결상태가 헐거우면 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케이블의 추락이 발생되고, 체결상태가 과한 경우 케이블(c)의 자켓 등이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일정 간격으로 케이블에 클램프(cl)를 설치하는 작업이 반복되어 케이블의 수직 포설작업의 작업시간이 크게 소요된다.
따라서, 공간적인 제약이 크고 안전사고의 위험 또는 케이블의 손상 가능성이 큰 종래의 케이블 포설방법 또는 포설장치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수직 포설작업의 작업공간, 작업시간 및 안전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을 위한 아머팟이 장착된 케이블이 권취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보빈에 권취된 케이블을 수직한 갱도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보빈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모터 사이에 구비되는 감속부를 구비하는 케이블 포설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빈은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의 권취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권취부재에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케이블 권취부와 아머팟이 장착된 케이블의 후단 영역이 권취되기 위한 아머팟 귄취부가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머팟 권취부는 권취부재의 외주면에서 특정 위치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어 구비된 블레이드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권취부와 상기 아머팟 권취부가 상기 권취부재 상에서 연통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는 불연속부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보빈의 양 플렌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부가 구비되고, 설치장소의 앵커에 고정되는 앵커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부는 하나의 플렌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지지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빈은 상기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빈의 한쌍의 플렌지를 지지하는 지지롤러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보빈의 권취부재의 길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부는 상기 보빈의 회전축과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감속부 사이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강제로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이블을 수직 갱도 내부로 설치하는 케이블 포설방법에 있어서, 아머팟이 케이블의 후단에 장착된 케이블이 권선된 보빈을 전술한 케이블 포설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대에 거치하는 보빈 거치단계, 상기 보빈에 권취된 케이블의 선단을 수직 갱도 내부로 배치한 후 상기 케이블 포설장치의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수직 갱도 내부로 공급된 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며 케이블을 수직 포설하는 케이블 수직 포설단계; 상기 수직 갱도 내에 케이블의 포설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하고, 아머팟을 지상의 지지대에 고정하는 아머팟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빈 거치단계는 보빈의 폭의 크기에 따라 보빈의 폭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아머팟 고정단계는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한 상태에서 아머팟을 크레인에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이 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아머팟을 지상의 지지대에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에 의하면, 광산 등에 포설되는 케이블의 포설 작업공간이 최소화되어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에 의하면, 광산의 수직 갱도 내부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경우, 보빈을 구동모터에 의하여 구동하는 방법으로 케이블을 수직 갱도 내에 포설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하며,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산용 케이블의 포설과정을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사용하여 수직 갱도 내부로 케이블을 포설하는 포설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이용한 케이블의 수직 포설작업의 마무리 단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수직 포설이 완료된 후 갱도 입구 지상에 설치된 지지바에 케이블의 후단 영역에 장착된 아머팟이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의 서로 다른 방향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케이블(c)이 권취되는 보빈(110), 상기 보빈(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150), 상기 보빈(110)에 권취된 케이블(c)을 수직한 갱도(m) 내부로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보빈(110)을 회전시키며 상기 갱도(m) 내부로 공급된 케이블(c)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0) 및, 상기 보빈(110)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모터(120) 사이에 구비되는 감속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광산 등의 수직 갱도(m) 내부로 케이블(c)을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포설장치(100)에 관한 것으로, 케이블(c)의 포설이 완료된 후 케이블(c)을 갱도(m) 입구에 고정하기 위한 아머팟(a)이 구비된다. 상기 아머팟(a)은 지상의 지지대 등에 고정되는 구조물로 포설된 케이블(c)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c)은 포설에 요구되는 길이만큼 보빈(110)에 권취되고, 그 후단 영역에는 상기 아머팟(a)이 장착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보빈(110)은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113)와 상기 플랜지(113)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의 권취부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재(111)에는 케이블(c)이 권취되는 케이블 권취부(111x)와 아머팟(a)이 장착된 케이블(c)의 후단 영역이 권취되기 위한 아머팟 귄취부(111y)가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머팟(a)은 케이블(c)의 수직 포설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케이블(c)의 철선 아머 등과 고정되는 장착물로서 갱도(m) 입구의 지지바(30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구조로 인해 어느 정도의 부피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아머팟(a)은 케이블(c)의 후단 영역에 장착되어 장착되므로 보빈(110)에 케이블(c)을 권취하는 경우 보빈(110)의 케이블(c)층의 가장 내측에 배치된다. 이 경우, 아머팟(a) 상부에 케이블(c)을 권취하는 경우 케이블(c)이 손상되거나 효율적으로 케이블(c)을 권취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빈(110)을 구성하는 양 플랜지(113)를 연결하는 권취부재(111)에는 케이블(c)이 권취되는 케이블 권취부(111x)와 아머팟(a)이 장착된 케이블(c)의 후단 영역이 권취되기 위한 아머팟 귄취부(111y)를 구획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아머팟(a) 권취부는 권취부재(111)의 외주면에서 특정 위치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어 구비된 블레이드(111b)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111b)는 상기 권취부재(111)를 길이방향으로 구획하기 위하여 상기 권취부재(111)의 표면에서 권취부재(111)의 둘레를 따라 반지름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 구성으로, 필요에 따라 권취부재(111)의 권취 영역을 복수 개로 형성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는 상기 권취부재(111)의 권취 영역을 2개로 구획하기 위하여 블레이드(111b)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블레이드(111b)가 2개 이상 구비되어 권취부재(111)의 권취 영역을 3개 이상으로 구획할 수도 있다.
상기 권취부재(111)의 권취 영역이 블레이드(111b)에 의하여 구획된다고 하여도 케이블(c)은 연결되어야 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케이블 권취부(111x)와 상기 아머팟(a) 권취부가 상기 권취부재(111) 상에서 연통되도록 상기 블레이드(111b)는 불연속부(111e)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상기 권취부재(111)의 권취 영역 중 아머팟(a) 권취부에 아머팟(a)이 구비된 케이블(c)의 후단 영역을 권취하고 상기 블레이드(111b)의 불연속부(111e)를 통해 케이블(c)을 케이블 권취부(111x) 측으로 배치한 후 케이블(c)을 권취하면 케이블(c)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케이블(c)을 효율적으로 권취할 수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상기 보빈(1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50)는 지지 플레이트(153) 상에 상기 보빈(110)의 양 플랜지(11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부가 구비되고, 설치장소의 앵커에 고정되는 앵커 고정부(1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13)는 원판 형태로 구성되고, 보빈(110)이 구동모터(120) 등에 의하여 회전구동되면 상기 보빈(11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하여 보빈(110)의 플랜지(113) 하부를 롤러부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보빈(110)을 구성하는 각각의 플랜지(113)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부가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상기 롤러부는 하나의 플랜지(113)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지지롤러(15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지지대(150)를 구성하는 지지 플레이트(153) 상에 좌측 플랜지(113)를 지지하는 제1 롤러부와 우측 플랜지(113)를 지지하는 제2 롤러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롤러부는 각각의 플랜지(113)를 지지하기 위한 2개의 지지롤러(151)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다양한 규격의 보빈(11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를 구성하는 보빈(110)은 상기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보빈(110)의 한쌍의 플랜지(113)를 지지하는 롤러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보빈(110)의 권취부재(111)의 길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롤러부를 구성하는 지지롤러(151)는 슬라이드 가이드(미도시) 등에 장착되어 보빈(110)의 크기, 구체적으로 권취부재(111)의 길이에 따라 지지대 상에서 위치가 가변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빈(110)의 일측에는 보빈(110)의 회전축(미도시)이 연결되는 감속부(130)와 상기 감속부(1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20)는 인버터 방식의 구동모터일 수 있으며, 그 주파수를 변경하여 구동모터의 회전속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속부(130)는 상기 보빈(110)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토크를 증폭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20)와 상기 감속부(130) 사이에 상기 구동모터(12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1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120)는 전원 차단에 의하여 구동이 정지될 수 있으나, 구동모터(120)의 회전을 강제로 차단할 수 있는 브레이크(160)가 구비되어 긴급 상황 또는 사고시에 강제로 모터의 회전을 멈출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다양한 규격의 보빈(1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감속부(130)와 보빈(110)의 회전축은 다양한 보빈(110)의 적용을 위하여 착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속부(130) 근방에 상기 구동모터(120)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패널(14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를 사용하여 수직 갱도(m) 내부로 케이블(c)을 포설하는 포설과정을 도시한다.
상기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지지대의 앵커 고정부(155)가 앵커(K)에 의하여 지면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수직 갱도(m) 근방의 지면에 설치하여 케이블(c)을 포설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케이블(c) 배치공간이 필요없다.
종래에는 케이블(c)에 클램프를 설치하고 그 클램프에 와이어를 연결하여 중장비로 케이블(c)을 조금씩 풀어 수직 갱도(m) 내에 케이블(c)을 포설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보빈(110)에서 직접 케이블(c)을 수직 갱도(m) 내부로 직접 풀어 포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광산 등의 갱도(m)는 산악 지역에 설치되므로, 케이블(c)의 배치공간과 중장비의 주행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지만,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는 케이블(c)을 지면 상에서 배치할 배치공간 또는 중장비가 주행할 공간이 필요없고, 케이블(c)이 포설됨에 따라 중장비가 케이블(c)을 지지할 수 있도록 케이블(c)에 클램프를 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c)의 수직 포설 작업의 작업시간과 작업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를 이용한 케이블(c)의 수직 포설작업의 마무리 단계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를 이용하여 케이블(c)의 수직 포설이 완료된 후 갱도(m) 입구 지상에 설치된 지지바(300)에 케이블(c)의 후단 영역에 장착된 아머팟(a)이 지지대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수직 갱도(m) 내부에 케이블(c)이 포설되면, 케이블(c) 후단 영역에 장착된 아머팟(a)을 지상의 지지바(300)에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케이블(c) 포설작업의 완료단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120)를 정지한 상태에서, 아머팟(a)을 와이어 등을 사용하여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고정하여 케이블(c)의 하중을 지지하며, 아머팟(a)을 갱도(m) 입구의 지지바(300)에 고정하여 케이블(c)의 수직 포설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이 과정에서는 갱도(m) 내부로 수직 포설된 케이블(c)의 하중을 지지하는 수단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에서 크레인 등의 중장비로 전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를 이용하여 케이블(c)을 수직 갱도(m) 내부로 설치하는 케이블 포설방법은 아머팟(a)이 케이블(c)의 후단에 장착된 케이블(c)이 권선된 보빈(110)을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100)를 구성하는 지지대(150)에 거치한 뒤 상기 보빈(110)에 권취된 케이블(c)의 선단을 수직 갱도(m) 내부로 배치한 후 상기 케이블(c) 수직 포설장치의 구동모터(120)를 구동하여, 상기 수직 갱도(m) 내부로 공급된 케이블(c)의 하중을 지지하며 케이블(c)을 수직 포설하고 상기 수직 갱도(m) 내에 케이블(c)의 포설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모터(120)를 정지하고, 아머팟(a)을 지상의 지지대(150)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보빈(110) 거치단계는 보빈(110)의 폭의 크기에 따라 보빈(110)의 폭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머팟(a) 고정단계는 상기 구동모터(120)가 정지한 상태에서 아머팟(a)을 크레인에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이 케이블(c)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아머팟(a)을 지상의 지지대에 고정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케이블 포설장치
c : 케이블
110 : 보빈
120 : 구동모터
130 : 감속부
140 : 컨트롤 패널

Claims (15)

  1. 케이블 고정을 위한 아머팟이 장착된 케이블이 권취되는 보빈;
    상기 보빈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보빈에 권취된 케이블을 수직한 갱도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보빈의 회전축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 사이에 직접 연결되는 감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부에 상기 보빈의 양 플랜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롤러부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 설치장소의 앵커에 고정되는 앵커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한 쌍의 사이드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태의 권취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부재에는 케이블이 권취되는 케이블 권취부와 아머팟이 장착된 케이블의 후단 영역이 권취되기 위한 아머팟 귄취부가 구획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머팟 권취부는 권취부재의 외주면에서 특정 위치의 원주를 따라 돌출되어 구비된 블레이드에 의하여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권취부와 상기 아머팟 권취부가 상기 권취부재 상에서 연통되도록 상기 블레이드는 불연속부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하나의 플렌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지지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지지대에 착탈 가능하게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한쌍의 플렌지를 지지하는 지지롤러 사이의 간격은 상기 지지대에 장착되는 보빈의 권취부재의 길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부는 상기 보빈의 회전축과 착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감속부 사이에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을 강제로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제어를 위한 컨트롤 패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13. 케이블을 수직 갱도 내부로 설치하는 케이블 포설방법에 있어서,
    아머팟이 케이블의 후단에 장착된 케이블이 권선된 보빈을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12항 중 어느 한 항의 케이블 포설장치를 구성하는 지지대에 거치하는 보빈 거치단계;
    상기 보빈에 권취된 케이블의 선단을 수직 갱도 내부로 배치한 후 상기 케이블 포설장치의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상기 수직 갱도 내부로 공급된 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며 케이블을 수직 포설하는 케이블 수직 포설단계;
    상기 수직 갱도 내에 케이블의 포설이 완료되면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하고, 아머팟을 지상의 지지대에 고정하는 아머팟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 거치단계는 보빈의 폭의 크기에 따라 보빈의 폭을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머팟 고정단계는 상기 구동모터가 정지한 상태에서 아머팟을 크레인에 고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크레인이 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아머팟을 지상의 지지대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포설방법.
KR1020170128007A 2017-09-29 2017-09-29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 KR10243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007A KR102432560B1 (ko) 2017-09-29 2017-09-29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8007A KR102432560B1 (ko) 2017-09-29 2017-09-29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038A KR20190038038A (ko) 2019-04-08
KR102432560B1 true KR102432560B1 (ko) 2022-08-12

Family

ID=66164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8007A KR102432560B1 (ko) 2017-09-29 2017-09-29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965B1 (ko) * 2020-12-24 2023-06-0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전동식 케이블 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454A (ja) * 2001-02-28 2002-09-1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ドラムのケーブル繰り出し装置
KR101726977B1 (ko) * 2016-04-20 2017-04-13 신중근 전기 모터식 전선권취용 분리형 드럼장치
JP2017073842A (ja) * 2015-10-05 2017-04-13 中国電力株式会社 移動用ケーブル架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4619A (ja) * 1992-06-11 1993-12-24 Hitachi Cable Ltd プレハブ架線の架線方法及び電線ドラム
KR101651954B1 (ko) * 2014-11-24 2016-08-30 주식회사 코릴 인버터제어방식 선박동력공급시스템
KR102543318B1 (ko) * 2016-01-27 2023-06-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광산용 케이블 하중 지지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5454A (ja) * 2001-02-28 2002-09-1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ケーブルドラムのケーブル繰り出し装置
JP2017073842A (ja) * 2015-10-05 2017-04-13 中国電力株式会社 移動用ケーブル架台
KR101726977B1 (ko) * 2016-04-20 2017-04-13 신중근 전기 모터식 전선권취용 분리형 드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038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US7475865B2 (en) Cable pulling machine for use in removing underground cables
CN110061451A (zh) 一种电力施工用电缆放线装置
CN209767009U (zh) 电缆自动敷设系统及其电缆敷设装置
KR20110097172A (ko) 다회선 케이블 선출장치
KR102432560B1 (ko)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
KR20130027175A (ko) 지중케이블 다회선 풀링장치
KR20160047830A (ko) 차륜식 크레인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443255B1 (ko)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KR20150014187A (ko) 크레인용 트롤리 회전장치
CN214660350U (zh) 盾构机分体始发掘进管线延长托载装置
CN209823293U (zh) 一种用于电力线缆铺设的布线车
KR102590667B1 (ko)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KR101468939B1 (ko) 관 포설 장치
EP2984717B1 (en) Method for stretching cables
KR102220512B1 (ko) 케이블 설치 및 철거장치
KR102220515B1 (ko) 케이블 설치 및 철거장치
KR102025155B1 (ko) 견인 어셈블리를 구비한 케이블 견인장치
KR102220513B1 (ko) 멀티 케이블 설치 및 철거장치
KR101361065B1 (ko) 신설 철도노반용 3열 전력 케이블 동시 포설방법
US9660426B1 (en) Attachments for compact tractor for pulling wire through underground conduits
CN213834087U (zh) 线缆收放装置
CN213265489U (zh) 预制管廊施工设备
CN213894676U (zh) 一种煤矿巷道内电缆放线装置
CN209871931U (zh) 一种缆盘旋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