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2142B1 -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2142B1
KR102432142B1 KR1020200052108A KR20200052108A KR102432142B1 KR 102432142 B1 KR102432142 B1 KR 102432142B1 KR 1020200052108 A KR1020200052108 A KR 1020200052108A KR 20200052108 A KR20200052108 A KR 20200052108A KR 102432142 B1 KR102432142 B1 KR 102432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er
charging
unit
night
night wal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3470A (ko
Inventor
김지유
Original Assignee
김지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유 filed Critical 김지유
Priority to KR1020200052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2142B1/ko
Publication of KR20210133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3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2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2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40Hand grips
    • F21V21/406Hand grips for portable lighting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야간 보행 식별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부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부 및 이 발광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는, 인출 스위치 및 반납 스위치와,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손잡이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홈이 형성된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삽입 홈 선단 측 개구부위를 개폐시키는 도어부; 상기 삽입 홈에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손잡이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잠금시키는 잠금부; 상기 삽입 홈에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손잡이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단자와 접속되어 상기 충전지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 및 상기 인출 스위치 및 반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부와 잠금부의 작동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Charging and storage device for night walk identifiers}
본 발명은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 시 어린이 등의 보행자가 점등이 이루어지는 야간 보행 식별기를 들고 횡단보도를 건너도록 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식별력을 제공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불식시키도록 하는 야간 보행 식별기를 충전함은 물론 보관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교통사고 통계에 따르면, 횡단보도 상에서 발생하는 사망사고율은 전체 보행자 사망사고의 약 60%에 달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횡단보도에는 신호등 및 교통표지판이 시설되어 있으나, 차량 운전자의 부주의 또는 신호 무시에 따른 신호위반에 의해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각 가구당 1대 이상의 자동차를 보유할 만큼 자동차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어서 도심은 물론이고 소규모 마을의 골목길에서도 자동차의 통행량이 급증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보행자가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학교로 이어진 횡단보도 주변이나 학교 가까이에 있는 도로의 지역은 스쿨 존(School zone)이라는 어린이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통행 차량의 최고속도를 제한함으로써, 성인에 비하여 주의력이 부족한 어린이들에 대한 안전사고의 우려를 경감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스쿨 존, 즉 어린이 보호구역의 교통안전은 차량 운전자의 주의가 더욱 필요한 지역이지만, 성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신장이 작고 주의력이 미숙한 어린이들은 주정차 차량 및 기타 장애물 등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가 많아, 어린이들이 횡단보도를 향하여 돌발적으로 뛰어나오는 경우에는 차량 운전자가 신속하게 대처하지 못하여 불의의 교통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았었다.
한편, 주간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돌발상황에서도 차량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여 순간적인 대처가 그나마 용이한 반면, 야간의 경우에는 차량 운전자의 가시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시야 확보가 더욱 어려워 상기와 같은 돌발상황에 용이하게 대처하지 못함으로써, 안전사고의 우려가 더욱 커지게 된다.
특히, 야간 시에는 어린이들이 보행신호에 따라 횡단보도를 건너더라도 차량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신장이 작은 어린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됨에 따라 역시 안전사고의 우려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14080호(2006.02.14.) 한국등록특허 제10-0692109호(2007.03.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야간 시 어린이 등의 보행자가 점등이 이루어지는 야간 보행 식별기를 들고 횡단보도를 건너도록 하여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확실한 식별력을 제공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불식시키도록 하는 야간 보행 식별기를 충전함은 물론 보관하도록 하는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미 사용 시에는 충전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점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횡단보도를 건너면서 사용 시에는 점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사용 후 미 반납 시에 알람 등에 의해 반납을 유도하도록 함으로써, 분실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부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부 및 이 발광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쉽게 깨지지 않고 빛이 투과되는 반투명 재질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원인 LED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일정 지름과 일정 길이를 갖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 및 후단 측에 각각 상기 파지부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 구성되되, 그 내부에는 충전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단부의 저면에는 충전 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충전지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의 광원인 LED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야간 보행 식별기를 장착하되,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가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충전 및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보행 신호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출 스위치 및 반납 스위치와,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손잡이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홈이 형성된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삽입 홈 선단 측 개구부위를 개폐시키는 도어부; 상기 삽입 홈에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손잡이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잠금시키는 잠금부; 상기 삽입 홈에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손잡이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단자와 접속되어 상기 충전지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 및 상기 인출 스위치 및 반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부와 잠금부의 작동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의 광원인 LED는, 상기 충전지에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지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의 외피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성되어 소정의 탄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여기서, 상기 충전 및 보관장치는 횡단보도를 마주보는 양 측의 보행 신호등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충전 및 보관장치에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삽입 홈을 갖춘 장착 프레임이 설치되되, 어느 한 쪽의 충전 및 보관장치의 삽입 홈으로부터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가 인출된 상태에서, 설정 시간 경과 후에 다른 한 쪽의 충전 및 보관장치의 삽입 홈으로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가 미 반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음 또는 진동의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삽입 홈을 향해 측 방향 이동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제2 단부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또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볼 스크류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에 의하면, 야간 시 어린이 등의 보행자가 점등이 이루어지는 야간 보행 식별기를 들고 횡단보도를 건넘에 따라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확실한 식별력을 제공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에 의하면, 미 사용 시에는 충전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점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횡단보도를 건너면서 사용 시에만 점등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사용 후 미 반납 시에 알람 등에 의해 반납이 유도됨으로써, 분실의 우려가 불식되는 유용한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의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보관장치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는 야간 보행 식별기의 정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보관장치에서, 야간 보행 식별기의 장착 프레임에 야간 보행 식별기가 장착 또는 인출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의 작동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에서, 장착 프레임에 대하여 야간 보행 식별기를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에서, 장착 프레임에 대하여 야간 보행 식별기를 반납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에서, 장착 프레임에 야간 보행 식별기기 미 반납되는 경우 알람 발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의 배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야간 보행 식별기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보관장치에 수납 가능하게 구비되는 야간 식별기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100)는, 어린이 등의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부(120)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부(110) 및 이 발광부(110)와 손잡이부(120)를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연결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발광부(110)는 쉽게 깨지지 않고 빛이 투과되는 반투명 재질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되, 어린이들에게 친근감을 주도록 풍선 형태를 이루는 커버와, 이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광원으로는 LED(Light Emitting Diode, 발광 다이오드)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LED의 경우, 색 온도가 대략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사이즈의 최소화가 가능함으로써, 커버의 디자인 자유도가 향상될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인 수명으로 인하여 경제성도 우수한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손잡이부(120)는 어린이 등의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일정 지름과 일정 길이를 갖는 파지부와, 이 파지부의 선단 및 후단 측에 각각 파지부의 지름보다는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제1 단부(122) 및 제2 단부(12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부(120) 내부에는 충전지(126)가 구비되고, 제2 단부(124)의 저면에는 충전 단자(128)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120)를 이루는 파지부와 제1 단부(122) 및 제2 단부(124)는 그 외피가 실리콘 또는 고무 등과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130)는, 손잡이부(120)와 발광부(110)를 기구적으로 연결하되, 그 내부에는 손잡이부(120)에 내설된 충전지(126)로부터 전원을 발광부(110) 내의 광원인 LED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발광부(110) 내의 광원인 LED는 손잡이부(120) 내의 충전지(126)에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만 충전지(126)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이 이루어지고, 충전지(126)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충전지(126)로부터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될 수 있는데, 이의 상세한 작동관계는 후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야간 보행 식별기(100)는, 횡단보도(10)의 양 측에 설치되는 보행 신호등(20)의 지주에 설치될 수 있는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대하여 장착되어 충전이 이루어지거나 인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서,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장착 프레임(210)에 야간 보행 식별기(100)가 장착 또는 인출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100)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의 작동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100)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서, 장착 프레임(210)에 대하여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인출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100)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서, 장착 프레임(210)에 대하여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반납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100)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서, 장착 프레임(210)에 야간 보행 식별기(100)기 미 반납되는 경우 알람 발생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는, 횡단보도(10)의 양 측에 설치되는 보행 신호등(20)의 지주에 횡 방향으로 설치되는 장착 프레임(21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장착 프레임(210)은 보행 신호등(20)의 지주에 대하여 어린이 등과 같이 신장이 작은 사람도 용이하게 손이 닿을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 프레임(210)에는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손잡이부(120)가 삽입되기 위한 일정 깊이의 삽입 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충전 및 보관장치(200)는 제어신호에 의해 장착 프레임(210)의 삽입 홈(212) 선단을 개폐시키는 도어부(230)와, 역시 제어신호에 의해 삽입 홈(212)에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손잡이부(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인출이 제한되도록 잠금시키는 잠금부(220)와, 제어신호에 의해 삽입 홈(212)에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손잡이부(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20)에 내설된 충전지(126)에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부(214)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충전 및 보관장치(200)는 장착 프레임(210)의 상면 일측에 설치되고, 사용자가 푸쉬 또는 터치함에 따라 도어부(230) 및 잠금부(220)가 작동되도록 하는 인출 스위치(240) 및 반납 스위치(250)와, 이 인출 스위치(240) 및 반납 스위치(250)의 조작에 의해 도어부(230) 및 잠금부(22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여 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야간 보행 식별기(100)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 신호등(20)의 지주에 충전 및 보관장치(200)가 설치되고, 이 충전 및 보관장치(200)의 장착 프레임(210) 삽입 홈(212)에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손잡이부(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20)의 저면에 설치되는 충전 단자(128)는 삽입 홈(212)의 저면에 설치되는 충전부(214)와 접속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손잡이부(120)에 내설된 충전지(126)에는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충전부(214)와 충전 단자(128)의 접속에 의해 충전지(126)에 전원이 충전되는 상태에서는, 충전지(126)의 전원이 발광부(110)의 광원인 LED로의 공급이 차단되어 LED는 발광이 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때 잠금부(220)는 삽입 홈(212)에 대하여 측 방향 이동되어 손잡이부(120)의 제2 단자 상부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손잡이부(120)가 장착 프레임(210)의 삽입 홈(212)으로부터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잠금부(220)는 제어신호에 의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가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가 제공될 수도 있고, 볼 스크류 등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부(230)는 삽입 홈(212) 선단을 개방시킨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삽입 홈(212)의 선단 개방부위는 손잡이부(120)의 제1 단부(122)가 차폐시킨 상태를 이루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손잡이부(120)는 그 외피가 실리콘 또는 고무와 같이 소정의 탄성을 갖는 탄성재질로 제공됨에 따라 손잡이부(120)의 제1 단부(122)가 삽입 홈(212)의 선단 개구부위를 차폐시키게 되면, 삽입 홈(212)의 개구부위에 대한 기밀(수밀)성이 유지됨으로써, 각종 이물질을 비롯하여 빗물 등이 장착 프레임(210)의 삽입 홈(212)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어린이 등의 사용자가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충전 및 보관 장치로부터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b,도4c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210)의 상면 일측에 배치되는 인출 스위치(240)를 푸쉬 또는 터치 등에 의해 조작하여 온(ON)(S10)시키면 된다.
즉, 인출 스위치(240)를 조작하게 되면, 이 신호는 제어부(300)로 송신되고, 제어부(300)는 인출 스위치(240)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잠금부(220)에 해제신호를 인가(S20)하게 됨으로써, 잠금부(220)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손잡이부(120)의 제2 단부(124)에 대한 잠금을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잠금부(220)에 대한 손잡이부(120)의 잠금이 해제되면,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손잡이부(120)는 장착 프레임(210)의 삽입 홈(212)으로부터 인출(S30) 가능한 상태가 되는바, 어린이를 비롯한 사용자가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충전 및 보관장치(200)로부터 인출하여 손으로 들고 횡단보도(10)를 건너면 된다.
충전 및 보관장치(200)로부터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인출시키게 되면, 야간 보행 시별기의 충전 단자(128)는 충전 및 보관장치(200)의 충전부(214)와 단락된 상태를 이루게 되는바, 손잡이부(120)에 내설된 충전지(126)는 발광부(110)의 광원인 LED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발광부(110)는 발광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어린이를 비롯한 사용자는 발광을 이루는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손에 들고 횡단보도(10)를 건너게 됨으로써, 야간 시 차량 운전자가에게 확실한 식별력을 제공하게 되어 안전사고의 우려를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인출 스위치(240)를 조작하는 경우 무조건 잠금부(220)가 해제되도록 하지 않고, 보행 신호등(20)이 보행신호 즉 초록불인 상태인 경우이거나 또는 보행 신호등(20)이 보행신호로 바뀌기 몇 초전과 같이 설정 시간 내에서만 잠금부(220)가 해제되도록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0)는 보행신호가 몇 초 남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보행신호가 끝나기 10초 전과 같은 설정 시간 내에도 잠금부(220)가 해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어린이 등의 보행자가 보행신호가 아닌 경우 불필요하게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충전 및 보관장치(200)로부터 인출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보행신호가 얼마 남지 않은 상태에서 무리하게 횡단보도(10)를 건너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충전 및 보관장치(200)의 삽입 홈(212)으로부터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인출한 후, 설정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어부(300)는 도어부(2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도어부(230)가 작동하도록 하여 삽입 홈(212)의 선단 측 개방부위를 차폐(S50)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삽입 홈(212)으로부터 야간 보행 식별기(100)가 인출된 상태에서 삽입 홈(212)이 개방된 상태를 이루면, 이 삽입 홈(212)으로 각종 이물질 또는 빗물 등이 유입될 수 있는바, 삽입 홈(212)으로부터 야간 보행 식별기(100)가 인출된 후 설정 시간 경과 이후에는 도어부(230)로서 삽입 홈(212)을 차폐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대하여 야간 보행 식별기(10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230)는 삽입 홈(212)을 차폐시킨 상태가 되고 잠금부(220)는 잠금 해제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어린이를 비롯한 사용자가 인출된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들고 횡단보도(10)를 안전하게 건넌 이후에, 반대 측 보행 신호등(20)에 설치된 충전 및 보관장치(200)의 빈 삽입 홈(212)에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반납하면 된다.
즉, 도 4c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230)가 삽입 홈(212)을 차폐시킨 상태는, 삽입 홈(212)이 빈 상태이므로, 이와 같이 빈 삽입 홈(212)이 위치한 장착 프레임(210)의 상면 일측의 반납 스위치(250)를 푸쉬 또는 터치하여 조작한다.
반납 스위치(250)를 조작(S100)하게 되면, 이 신호는 제어부(300)로 송신되고, 제어부(300)는 반납 스위치(250)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도어부(230)에 해제신호를 인가하게 됨으로써, 도어부(230)는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 홈(212)의 선단을 개방(S200)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부(230)의 작동에 의해 삽입 홈(212)이 개방되면,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손잡이부(120)를 장착 프레임(210)의 삽입 홈(212)에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되는바, 어린이를 비롯한 사용자가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반납(S300)하면 된다.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반납하게 되면, 다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120)의 충전 단자(128)는 충전부(214)와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어 충전지(126)로 충전(S400)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충전지(126)는 발광부(110)의 광원인 LED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켜 발광부(110)는 소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손잡이부(120)의 충전 단자(128)와 충전부(214)의 접속에 따라 충전지(126)에 충전이 이루어지게 되면, 이 신호는 제어부(300)로 송신되고, 제어부(300)는 송신된 신호에 의해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야간 보행 식별기(100)가 반납되었음을 판단하여 잠금부(22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이에 따라 잠금부(220)는 작동하여 손잡이부(120)의 제2 단부(124) 상부 측으로 이동하여 잠금상태(S500)를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야간 보행 식별기(100)는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대하여 이탈이 방지된 상태로 충전과 더불어 안정적인 보관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100)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는,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야간 보행 식별기(100)가 설정 시간 내에 반납되지 않는 경우, 알람 발생에 의해 반납을 유도하도록 하는 알람부(260)를 더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알람부(260)는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설치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것일수도 있고, 야간 보행 식별기(100)에 설치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어린이를 비롯한 사용자가 어느 한 쪽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로부터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인출한 시점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에도 다른 한 쪽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로 반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어부(300)는 알람부(260)에 신호를 인가하여 알람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미 반납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알람부(26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기이거나 또는 야간 보행 식별기(100)에 내장되는 진동기 등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300)는 설정 시간 경과 후에도 미 반납시에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어느 한 쪽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로부터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인출(S1000)한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이 경과(S2000) 이후에도 다른 한 쪽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로 반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S3000), 상기한 알람부(26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경보음 또는 진동 등으로 알람발생(S4000)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야간 보행 식별기(100)의 반납을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100)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를 뒷받침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한 쪽의 보행 신호등(20)에 2개의 야간 보행 식별기(100)가 설치되는 충전 및 보관장치(20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한 쪽의 보행 신호등(20)에 설치되는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야간 보행 식별기(10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100)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의하면, 야간 시 어린이 등의 보행자가 점등이 이루어지는 야간 보행 식별기(100)를 들고 횡단보도(10)를 건넘에 따라 차량 운전자에게 보다 확실한 식별력을 제공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야간 보행 식별기(100) 및 이의 충전 및 보관장치(200)에 의하면, 미 사용 시에는 충전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점등이 이루어지지 않고, 횡단보도(10)를 건너면서 사용 시에만 점등이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사용 후 미 반납 시에 알람 등에 의해 반납이 유도됨으로써, 분실의 우려가 불식되는 유용한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횡단보도 20 : 보행 신호등
100 : 야간 보행 식별기 110 : 발광부
120 : 손잡이부 122 : 제1 단부
124 : 제2 단부 126 : 충전지
128 : 충전 단자 130 : 연결부
200 : 충전 및 보관장치 210 : 장착 프레임
212 : 삽입 홈 214 : 충전부
220 : 잠금부 230 : 도어부
240 : 인출 스위치 250 : 반납 스위치
260 : 알람부 300 : 제어부

Claims (6)

  1.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하는 손잡이부와, 전기적 신호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지는 발광부 및 이 발광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일정 길이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쉽게 깨지지 않고 빛이 투과되는 반투명 재질의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내부에 배치되는 광원인 LED로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일정 지름과 일정 길이를 갖는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선단 및 후단 측에 각각 상기 파지부의 지름보다 더 큰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로 구성되되, 그 내부에는 충전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단부의 저면에는 충전 단자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충전지의 전원을 상기 발광부의 광원인 LED로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야간 보행 식별기를 장착하되,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가 인출가능하게 장착되어 충전 및 보관이 이루어지도록 보행 신호등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출 스위치 및 반납 스위치와,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손잡이부가 삽입되기 위한 삽입 홈이 형성된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의 삽입 홈 선단 측 개구부위를 개폐시키는 도어부;
    상기 삽입 홈에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손잡이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잠금시키는 잠금부;
    상기 삽입 홈에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의 손잡이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충전 단자와 접속되어 상기 충전지가 충전되도록 하는 충전부; 및
    상기 인출 스위치 및 반납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부와 잠금부의 작동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의 광원인 LED는, 상기 충전지에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만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이 이루어지고,
    상기 충전지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로부터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외피는, 실리콘 또는 고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및 보관장치는 횡단보도를 마주보는 양 측의 보행 신호등에 각각 설치되고, 각각의 충전 및 보관장치에는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삽입 홈을 갖춘 장착 프레임이 설치되되,
    어느 한 쪽의 충전 및 보관장치의 삽입 홈으로부터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가 인출된 상태에서, 설정 시간 경과 후에 다른 한 쪽의 충전 및 보관장치의 삽입 홈으로 상기 야간 보행 식별기가 미 반납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경보음 또는 진동의 알람을 발생시키는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삽입 홈을 향해 측 방향 이동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제2 단부 상부에 위치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또는 공압 실린더 또는 유압 실린더 또는 볼 스크류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KR1020200052108A 2020-04-29 2020-04-29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KR102432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108A KR102432142B1 (ko) 2020-04-29 2020-04-29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108A KR102432142B1 (ko) 2020-04-29 2020-04-29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470A KR20210133470A (ko) 2021-11-08
KR102432142B1 true KR102432142B1 (ko) 2022-08-12

Family

ID=7849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108A KR102432142B1 (ko) 2020-04-29 2020-04-29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214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53Y1 (ko) * 2005-11-22 2006-02-17 권경채 어린이 보행자용 차량정지 신호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109B1 (ko) 2005-03-31 2007-03-12 (주)필테라 스쿨존 안전 시스템
KR20060014080A (ko) 2006-01-27 2006-02-14 김동하 횡단 보도 경보 시스템 및 횡단 보도 경보 방법
KR101338759B1 (ko) * 2012-03-19 2013-12-06 하태진 안전표지판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853Y1 (ko) * 2005-11-22 2006-02-17 권경채 어린이 보행자용 차량정지 신호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3470A (ko) 202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95182B2 (ja) 電動車両用充電装置
KR102432142B1 (ko) 야간 보행 식별기의 충전 및 보관장치
KR102267361B1 (ko) 태양광 led모듈 및 이를 이용한 횡단보도 led 스마트 표시장치
JPH10291439A (ja) 自動車用非常灯
US8077054B1 (en) Garage door opener and parking guide combination
US8810433B1 (en) Garage door opener and parking guide combination
KR101607275B1 (ko) 도로 표지병
KR200471562Y1 (ko) 삼각대 일체형 경광봉
CN101658459A (zh) 助行导盲杖
KR101923779B1 (ko) 비상탈출용 망치 보관함
KR102181544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조난용 등산스틱
US20120299719A1 (en) Portable traffic warning device
JP2003226275A (ja) 自転車、オートバイのハンドル用安全装置
KR20110000971U (ko) 이륜차용 그립커버
KR101084643B1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의 발광팁
CN103538656A (zh) 一种电动车
JP5953422B1 (ja) 自転車用錠装置
KR101325417B1 (ko) 후레쉬가 내장된 지팡이
KR20050078137A (ko) 다기능 교통신호봉
JPH1014629A (ja) 警告灯を備えた傘
CN204378123U (zh) 一种照明安全拐杖
JP2004098844A (ja) 車両用ドア開放操作表示装置
JP3036052U (ja) 内照式道路標識
KR200382635Y1 (ko) 휴대용 교통안전 표시구
JP2001252117A (ja) 足下を安定に照明する歩行杖具、および歩行杖具用の足下安定照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