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957B1 -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957B1
KR102431957B1 KR1020200069339A KR20200069339A KR102431957B1 KR 102431957 B1 KR102431957 B1 KR 102431957B1 KR 1020200069339 A KR1020200069339 A KR 1020200069339A KR 20200069339 A KR20200069339 A KR 20200069339A KR 102431957 B1 KR102431957 B1 KR 10243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leage
coordinates
bus
app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2642A (ko
Inventor
황철연
Original Assignee
(주)소울인포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소울인포테크 filed Critical (주)소울인포테크
Priority to KR1020200069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957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은 정보 수집부가 이동단말기 및 카드사 서버로부터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마일리지 산출부가 상기 수집된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사용해 복수의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선택적으로 적용해 마일리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A MILEAGE OF TRAFFIC CARD}
본 발명은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중교통, 보행 및 자전거의 이용을 장려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서민복지, 출근 시간 교통정체 완화, 국민 건강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개발된다. 이러한 정책을 장려하기 위해, 대중교통 이용 내역, 보행 및 자전거와 같은 친환경 이동 수단의 이용 내역을 융합한 마일리지 제공 서비스들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기존 마일리지 제공 서비스는 출근시 발생하는 유저의 다양한 동선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3521호 (공개일 : 2013년 04월 30일, 발명의 명칭 :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마일리지 충전 및 충전 마일리지 사용방법)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3646호 (공개일: 2013년 04월 30일, 발명의 명칭 :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별 마일리지 충전 시스템)
본 발명은 출근시 발생하는 유저의 다양한 동선을 반영할 수 있는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은 정보 수집부가 이동단말기 및 카드사 서버로부터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마일리지 산출부가 상기 수집된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사용해 복수의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선택적으로 적용해 마일리지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마일리지 산출부는 유저의 승차정보 만 정상인 것으로 판별이 된다면,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일리지 산출부는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다른 곳에서 버스 이용이 있고 마일리지 산출부에서 앱 출발 GPS 좌표, 앱 도착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및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가 획득되면,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일리지 산출부는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다른 곳에서 버스 이용이 있고 앱 출발 GPS 좌표 및 앱 도착 GPS 좌표가 불명확하고,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산출한 승차 구간 유저 보행 거리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산출한 하차 구간 유저 보행 거리가 획득된 경우,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일리지 산출부는 상기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제 4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다양한 마일리지 부여 상황을 수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시스템에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시스템에 적용되는 운영서버의 기능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에 대한 래더 차트이다.
도 5는 도보네트워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요지를 명확히 하기 위해 종래 주지된 사항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단히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저의 출근 동선 상에서, 보행과 버스 이용이 혼합된 경우 그에 대한 마일리지를 교통카드에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서민복지, 출근 시간 교통정체 완화, 국민 건강 등이 달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승차구간은 승차 정류장에서 집(여기서, 집은 숙소, 숙박업소와 같은 임시거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까지의 구간일 수 있다. 그리고, 하차구간은 하차 정류장에서 회사(유저가 근무하는 회사)까지의 구간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10), 운영서버(20), 버스 단말기(30) 및 카드사 서버(40)를 포함하는 마일리지 운영 시스템 상에서 운영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는 인터페이스부(11), 거리측정부(12), 정보제공부(13), 통신부(14), GPS 모듈(15) 및 자이로 센서(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는 스마트폰 및 테블릿피씨 등과 같이 이동 통신과 본 발명의 마일리지 앱 구동 환경을 제공하는 모바일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 거리측정부(12), 정보제공부(13)는 이동 단말기(10)의 프로세서 상에서 앱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 거리측정부(12), 정보제공부(13)를 형성하는 마일리지 앱은 앱스토어를 통해 다운로드되어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유저는 마일리지 앱 아이콘을 터치와 같은 방식으로 조작하여 앱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앱이 활성화되면,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인터페이스부(11)가 제공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는 유저가 앱을 사용하는데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1)는 이동 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상에서, 유저에게 출발 버튼, 도착 버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부(11)는 유저로부터 출발버튼을 통해 출발 입력 및 도착 버튼을 통해 도착 입력을 받을 수 있다. GPS 모듈(15)은 인터페이스부(11)가 출발 입력을 수신하면 출발 GPS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GPS 모듈(15)은 인터페이스부(11)가 도착 입력을 수신하면 도착 GPS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거리측정부(12)는 자이로 센서(16)가 수집하는 정보를 기반으로 유저가 걸어서 이동하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6)를 통해 수집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유저의 걸음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한 걸음수에 기 설정된 기준 걸음 거리를 곱하는 것에 의해 유저가 보행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거리측정부(12)는 마일리지 앱이 활성화되면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자동으로 실시간 보행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3)는 통신부(14)를 통해, 마일리지 산출에 기초가 되는 정보(이하,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라 칭함)를 운영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3)는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로서, GPS 모듈(15)로부터 출발 위치 및 도착 위치를 제공 받고 이를 운영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13)는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로서, 거리측정부(12)로부터 출발 지점에서 승차 정류장까지의 보행거리 및 하차 정류장에서 도착 지점까지의 보행거리를 제공 받고 이를 운영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거리측정부(12)는 보행을 시작한 시점에서 보행을 종료한 시점까지의 걸음수를 이용해 승차구간 및/또는 하차구간에서의 보행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승차구간의 경우, 거리측정부(12)는 마일리지 앱이 활성화된 때 보행이 시작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버스 승차가 완료된 때 보행이 종료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승차 구간에서 거리측정부(12)는 마일리지 앱이 활성화되는 것에 동기화되어 걸음수의 카운팅을 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승차 구간에서 거리측정부(12)는 정보제공부(13)를 통해 버스 승차가 완료되는 것을 인지한 때, 걸음수의 카운팅을 종료할 수 있다. 버스 단말기(30)와 카드사 서버(40) 와의 연계 동작으로 버스 승차시 결제가 완료되면(달리 표현하면, 승차시 버스태깅이 완료되면), 카드사 서버(40)가 승차 정류장 정보를 운영 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운영 서버(20)는 승차 사실을 정보제공부(13)에 알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보제공부(13)가 유저가 버스 승차를 완료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하차구간의 경우, 마일리지 앱이 활성화되어 있고 정보제공부(13)가 유저가 버스 하차를 완료한 것을 인식한 때, 거리측정부(12)는 보행이 시작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버스 단말기(30)와 카드사 서버(40) 와의 연계 동작으로 버스 하차시 결제가 완료되면(달리 표현하면, 하차시 버스태깅이 완료되면), 카드사 서버(40)가 하차 정류장 정보를 운영 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운영 서버(20)는 하차 사실을 정보제공부(13)에 알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보제공부(13)가 유저가 버스 하차를 완료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하차구간의 경우, GPS 모듈(15)을 통해 유저 위치가 회사인 것으로 판정된 때 보행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하차 구간에서 거리측정부(12)는 정보제공부(13)를 통해 버스 하차가 완료되는 것을 인지한 때 걸음수의 카운팅을 개시할 수 있고, 정보제공부(13)가 보행을 종료한 것으로 판단한 때 걸음수의 카운팅을 종료할 수 있다.
하차구간의 경우, 유저의 착오로, 보행이 시작된 시점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 마일리지 앱이 활성화되는 상황도 존재할 수 있다.
버스 단말기(30)와 카드사 서버(40) 와의 연계 동작으로 버스 하차시 결제가 완료되면, 카드사 서버(40)가 하차 정류장 정보를 운영 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운영 서버(20)는 하차 사실을 정보제공부(13)에 알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정보제공부(13)가 유저가 버스 하차를 완료한 것을 인식할 수 있다. 하차구간의 경우, 유저의 착오로, 버스 하차 완료 후에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때 유저가 비활성인 앱을 활성화시키는 상황도 존재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운영서버(20)는 정보수집부(21), 마일리지산출부(22),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3) 및 통신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수집부(21)는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이동 단말기(10) 및 카드사 서버(4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정보수집부(21)가 수집한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 및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3) 상의 회원정보를 이용해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유저의 출근 시간 동안의 동선 및 행적에 기초하여 다양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23)는 유저별 기 설정되는 출발주소좌표(예를 들어, 집주소좌표), 승차정류장좌표(예를 들어, 출근시 자주 이용하는 버스 정류장좌표), 하차정류장좌표(예를 들어, 출근시 자주 이용하는 버스 정류장좌표) 및 도착주소좌표(예를 들어, 회사주소좌표)를 저장할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마일리지 운영 시스템 상에서 실행되는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래와 같은 방법에 의해 유저 별 마일리지가 산출될 수 있다. 1일 단위로 마일리지가 산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이동단말기(10)가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운영서버(20)에 제공할 수 있다(S1). 그리고, 버스 단말기(30)와 카드사 서버(40) 간의 연동에 의해 승차 결제 또는 하차 결제가 완료되면, 카드사 서버(40)가 운영 서버(20)에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2, S3). 이때, 정보수집부(21)는 마일리지 산출 기초정보로서, 정보제공부(13)로부터 유저 출발 GPS 좌표, 승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 하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 유저 도착 GPS 좌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수집부(21)는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로서, 카드사 서버(40)로부터 승차 정류장명 및 하차 정류장명 중 적어도 하나를 수집할 수 있다. 유저의 집에서 회사까지의 행적에 따라 유저별 수집되는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가 인퍼페이스(11)를 통해, 출발 입력과 도착 입력을 모두하고 승차 결제(달리 표현하면, 승차 태깅)와 하차 결제(달리 표현하면, 하차 태깅)를 모두 한 경우, 해당 유저에 대한 마일리지 산출 기초정보로서, 유저 출발 GPS 좌표, 승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 하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 유저 도착 GPS 좌표, 승차 정류장명 및 하차 정류장명이 모두 수집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유저가 승차구간에서 앱을 구동하고 인터페이스(11)를 통해 출발 입력을 하지 않은 경우,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 중 해당 유저에 대한 유저 출발 GPS 좌표는 정보수집부(21)에 수집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저가 승차구간에서 앱을 구동조차 하지 않은 경우,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 중 해당 유저에 대한 유저 출발 GPS 좌표 및 승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는 정보수집부(21)에 수집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저가 하차구간에서 앱을 구동하고 인터페이스(11)를 통해 도착 입력을 하지 않은 경우,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 중 해당 유저에 대한 유저 도착 GPS 좌표는 정보수집부(21)에 수집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저가 하차구간에서 앱을 구동조차 하지 않은 경우,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 중 해당 유저에 대한 유저 도착 GPS 좌표 및 하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는 정보수집부(21)에 수집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유저가 하차 결제(달리 표현하면, 하차 태깅)를 하지 않은 경우,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 중 해당 유저에 대한 하차 정류장명 및 하차 구간 유저 보행 거리는 정보수집부(21)에서 수집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유저 하차 이벤트를 인식할 수 없으면, 거리 측정부(12)가 하차 구간 유저 보행 거리의 산출에 사용되는 걸음수의 카운팅을 개시하지 않기 때문에 하차 구간 유저 보행 거리를 산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정보 수집부(21)는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이동 단말기(10) 및 카드사 서버(40)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같은 다양한 유저 행적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형평성 있게 마일리지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정보수집부(21)가 수집한 정보 및 회원정보데이터베이스(23)의 회원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마일리지 산정 기준을 우선순위에 따라 적용하여 유저별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정보는 기 설정되는 출발주소좌표(예를 들어, 집주소좌표), 승차정류장좌표(예를 들어, 출근시 자주 이용하는 버스 정류장좌표), 하차정류장좌표(예를 들어, 출근시 자주 이용하는 버스 정류장좌표) 및 도착주소좌표(예를 들어, 회사주소좌표)일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저 출발 GPS 좌료를 회원 정보 상의 출발주소좌표와 구분하기 위해, 유저 출발 GPS 좌표를 앱 출발 GPS 좌표라 칭하며, 회원 정보 상의 출발 주소 좌표를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라 칭한다. 그리고, 유저 도착 GPS 좌표를 회원 정보 상의 도착주소좌표와 구분하기 위해, 유저 도착 GPS 좌표를 앱 도착 GPS 좌표라고 칭하며 회원 정보 상의 도착주소좌표를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라고 칭한다. 그리고, 정보수집부(21)를 통해 수집되는 승차정류장명을 사용해 산출된 승차정류장좌표와 회원정보 상의 승차정류장좌표를 구분하기 위해, 정보수집부(21)를 통해 수집되는 승차정류장명을 사용해 산출된 승차정류장좌표를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라고 칭하며, 회원 정보 상의 승차정류장좌표를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라고 칭한다. 여기서, 버스태깅은 교통카드를 이용한 결제 행위로서 이루어지는 버스 결제 단말기에의 태깅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수집부(21)를 통해 수집되는 하차정류장명을 사용해 산출된 하차정류장좌표와 회원정보 상의 하차정류장좌표를 구분하기 위해, 정보수집부(21)를 통해 수집되는 하차정류장명을 사용해 산출된 하차정류장좌표를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라고 칭하며, 회원 정보 상의 하차정류장좌표를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라고 칭한다.
마일리지 산출부(22)는 다양한 상황을 수용하기 위해 복수의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선택적으로 적용해 유저별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S4 내지 S11).
먼저, 앞서 본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정보수집부(21)가 마일리지 적용을 위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4). 마일리지 적용을 위한 정보는 앞서 본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 S5에서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적용해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S6).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대한 세부 사항은 아래와 같다.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의해, 정기적인 출근 동선 만 유지한다면 마일리지 앱을 사용하지 않고 운영서버에서 하차 이벤트를 파악할 수 없는 경우라도 마일리지 보상이 가능할 수 있다. 즉, 정기적인 출근 동선을 유지하는 유저에게 매우 편리한 방식으로 마일리지가 부여될 수 있다.
구분 출발-승차 구간 하차-하차구간
활용 좌표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
ⓓ고개입력 도착주소좌표
거리측정방법 도보네트워크자료확보불가능시 ⓐⓑ 직선거리의 1.4배 ⓒⓓ 직선거리의 1.4배
도보네트워크자료확보가능시 ⓐⓑ 간의 도보네트워크 거리 ⓒⓓ 간의 도보네트워크 거리
승하차 정상 판별 ⓑ 반경 1km 이내 승차정보 ⓒ 반경 1km 이내 하차정보
적용 기준 최우선으로 적용
앱 구동하지 않아도 지급
하차 태그가 없어도 승차정보가 정상 판별되면 하차 구간도 정상 지급
보행거리가 80m 이내의 경우 80m로 기록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유저의 승차정보 만 정상인 것으로 판별이 된다면,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정보 수집부(21)를 통해 수집된 승차정류장명에 기초하여 승차정류장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일리지 산출부(22)는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예를 들어, 1km) 이내인 경우, 승차정보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은 승차정보 정상 여부에 따라 적용되는 것이므로 마일리지 앱을 구동하지 않아도 적용될 수 있다. 승차정보가 정상이라면, 정기적인 출근 동선으로 간주해도 무방하기 때문에 이 같이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교통 상황에 따라 최적경로 선택을 위해 승차 위치는 가변될 수 있으므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 좌표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이내라면 승차정보가 정상인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정기적인 출근 동선을 유지하는 유저에게 마일리지 앱 구동이라는 번거로움이 부가되지 않도록 앱을 구동하지 않아도 위와 같이,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승차정보가 정상이어서,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대상이라고 판단되면,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 및 고액입력 승차정류장좌표에 따른 승차구간 전체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 및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에 따른 하차구간 전체에 대한 마일리지가 부여될 수 있다. 즉,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은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 및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에 따른 승차구간 전체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 및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에 따른 하차구간 전체에서 유저의 보행 이벤트가 있었던 것으로 간주한다. 이때, 유동적인 동선을 고려하여,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4 배)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와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4 배)가 보행 거리로 간주될 수 있다. 이때, 도보네트워크 자료 확보가 되는 경우라면, 도보네트워크 상의 이동 거리를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와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에 우선하여 보행 거리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도보네트워크 상의 이동 거리는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도보 이동 거리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와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 간의 도보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정확한 도보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도보네트워크 상의 이동 거리)가 있다면 이를 우선적용하고, 정확한 도보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가 없다면,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와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를 도보 이동 거리로 간주하여 마일리지를 지급할 수 있다. 도 5의 지도에서 보듯이 일반적으로 경로탐색시에는 차량이 다닐 수 있는 도로를 기준으로 경로를 탐색하게 된다. 이와 달리, 사람이 도보로 이동한다는 기준에서 경로검색을 하면 다른 경로(사람이 걸어다닐수 있는 길, 보행로)로 길을 안내하는 것이 최적화된 경로이다. 이때, 도보로 다닐 수 있는 경로가 있다면 이를 ‘도보네트워크'라고 표현한다. 본 특허에서 거리를 산정할 때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한다고 하면 ‘’지점에서 ‘’지점까지 거리를 직선거리*1.4 로 해서 산정하도록 하는데 이것은 A에서 B까지 실제 도보를 한 거리를 기준으로 한 것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점에서 B지점까지의 직선거리*1.4”를 도보 거리로 간주하는 방식으로 산정하는 이유는 ‘’에서 ‘’까지 이동하는 동선이 다양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직선거리에 1.4를 곱하는 방식으로 기본거리를 산출한 것이다. 그러나, 사람이 다니는 정확한 동선(도보네트워크)을 알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이동거리를 지도상에서 산정한다면 보다 정확한 거리산정이 될 수 있을 것다. 따라서, 본 특허에서 이동거리를 산정할 때, A에서 B까지 도 5에서처럼, 도보네트워크를 통해 이동동선을 확인할 수 있으면, 이를 반영하고 이러한 반영이 어려운 경우에는 직선거리에 1.4를 곱하는 방식으로 이동거리를 산출하는 방식을 선별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행 거리가 하한거리(예를 들어, 80m) 미만이면, 하한거리를 보행거리로 간주할 수 있다. 이는 하한 거리 미만인 거리에 대하여도 마일리지를 부여함으로서, 더 많은 유저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마일리지 산출부(22)는 보행거리에 대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단위 보행거리(예를 들어, 1m) 당 단위 마일리지(예를 들어, 0.5원)를 적용하여 보행거리 전체에 대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산출된 마일리지가 마일리지상한(예를 들어, 1000 원)을 초과하면 마일리지상한을 마일리지로 간주할 수 있다.
마일리지 산출부(22)는 S5에서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7). S7에서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적용해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S8).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대한 세부 사항은 아래와 같다.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의해 정기적인 출근 동선에서 많이 벗어난 경우에도 마일리지가 부여될 수 있다.
구분 출발-승차 구간 하차-도착 구간
활용 좌표 ⓐ앱 출발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앱 도착 GPS 좌표
거리측정방법 도보네트워크자료확보불가능시 ⓐⓑ 직선거리의 1.4배 ⓒⓓ 직선거리의 1.4배
도보네트워크자료확보가능시 ⓐⓑ 간의 도보네트워크 거리 ⓒⓓ 간의 도보네트워크 거리
승하차 정상 판별
적용기준 - 유저가 입력한 출발주소좌표와 전혀 다른 곳에서 이용한 경우 (출장 등)
보행거리가 80m 이내의 경우 80m로 기록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은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전혀 다른 곳에서 버스 이용이 있고 마일리지 산출부(22)에서 앱 출발 GPS 좌표, 앱 도착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및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가 획득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마일리지 산출부(22)는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예를 들어, 1km)을 벗어난 경우,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출장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일 수 있다.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은 정보수집부(21)에 앱 출발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앱 도착 GPS 좌표를 모두 제공하고,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에서 기 설정된 반경(예를 들어, 1km)을 벗어난 유저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시, 유동적인 동선을 고려하여, 앱 출발 좌표와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4 배) 및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와 앱 도착 GPS 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4 배)가 보행 거리로 간주될 수 있다. 이때, 도보네트워크 자료 확보가 되는 경우라면, 도보네트워크 상의 이동 거리를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와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에 우선하여 보행 거리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도보네트워크 상의 이동 거리는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도보 이동 거리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와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 간의 도보 이동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정확한 도보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도보네트워크 상의 이동 거리)가 있다면 이를 우선적용하고, 정확한 도보 이동 거리에 대한 정보가 없다면,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와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를 도보 이동 거리로 간주하여 마일리지를 지급할 수 있다. 보행 거리가 하한거리(예를 들어, 80m) 미만이면, 하한거리를 보행거리로 간주할 수 있다. 이는 하한 거리 미만인 거리에 대하여도 마일리지를 부여함으로서, 더 많은 유저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마일리지 산출부(22)는 보행거리에 대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단위 보행거리(예를 들어, 1m) 당 단위 마일리지(예를 들어, 0.5원)를 적용하여 보행거리 전체에 대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산출된 마일리지가 마일리지상한(예를 들어, 1000 원)을 초과하면 마일리지상한을 마일리지로 간주할 수 있다.
마일리지 산출부(22)는 S7에서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9). S9에서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적용해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S10).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대한 세부 사항은 아래와 같다.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의해, 앱 출발 GPS 좌표 및 앱도착 GPS 좌표가 불명확한 경우에도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산출된 보행거리를 이용해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분 출발-승차 구간 하차-도착 구간
좌표 - -
거리측정방법 가속도 센서 걸음 거리 가속도 센서 걸음 거리
승하차 정상 판별 버스 승차 정보 버스 하차 정보
적용기준 - 유저가 입력한 주소와 전혀 다른 곳에서 이용
- GPS 좌표가 부정확한 경우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은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전혀 다른 곳에서 버스 이용이 있고 앱 출발 GPS 좌표 및 앱 도착 GPS 좌표가 불명확하고, 마일리지 산출부(22)에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거리 측정부(12)가 산출한 승차 구간 유저 보행 거리 및 거리 측정부(120가 산출한 하차 구간 유저 보행 거리가 획득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마일리지 산출부(22)는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예를 들어, 1km)을 벗어난 경우,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의 출장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일 수 있다.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은 앱 출발 GPS 좌표 및 앱 도착 GPS 좌표가 불명확한 경우에 적용되므로, 정보수집부(21)가 수집한 거리 측정부(12)에 의해 산출된 승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 및 거리 측정부(12)에 의해 산출된 하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를 이용하여 보행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일리지 산출부(22)는 단위 보행거리(예를 들어, 1m) 당 단위 마일리지(예를 들어, 0.5원)를 적용하여 보행거리 전체에 대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산출된 마일리지가 마일리지상한(예를 들어, 1000 원)을 초과하면 마일리지상한을 마일리지로 간주할 수 있다.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앱 출발 GPS 좌표 및 앱 도착 GPS 좌표에 애러가 있는 경우에 앱 출발 GPS 좌표 및 앱 도착 GPS 좌표가 불명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앱 출발 GPS 좌표와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2km)를 벗어난 경우 및 앱 도착 GPS 좌표와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간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2km)를 벗어난 경우에 앱 출발 GPS 좌표 및 앱 도착 GPS 좌표가 불명확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마일리지 산출부(22)는 S9에서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 4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적용해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S11).
제 4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대한 사항은 아래와 같다. 해당 유저에게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 제 4 마일리지 산출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제 4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의해, 보행 거리가 불명확한 경우에도 버스를 이용한 유저에게 최소한의 마일리지로 보상이 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승차구간 및 하차구간 중 보행거리가 파악된 구간에 대한 보상이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다.
CASE
출발
카드사
승차
카드사
하차

도착
지급방식
1 × × × 기본제공
2 × × 기본제공
3 × × 단계적용 제공
4 × 단계적용 제공
5 × 단계적용 제공
제 4 마일리지 산출 기준은 제 1 내지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 모두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제 4 마일리지 산출 기준은 앞서 제 2 및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서와 같이,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전혀 다른 곳에서 버스 이용이 있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제 4 마일리지 산출 기준은 총 5개의 케이스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 제 1 케이스 -
마일리지 산출부(22)가 앱 출발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앱 도착 GPS 좌표,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승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하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중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이다. 즉, 마일리지 앱이 출근 동선 상에서 활성화되지 않고 승차시 버스태깅 만이 이루어진 경우이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1 하한 금액(예를 들어, 50 원, 기본제공) 만을 마일리지로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마일리지 앱이 승차구간과 하차구간에서 모두 비활성화되어 있어, 보행 거리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승차구간 및 하차구간에 모두 하한 마일리지를 적용하는 것이다.
- 제 2 케이스 -
마일리지 산출부(22)가 앱 출발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앱 도착 GPS 좌표,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승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하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중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및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이다. 즉, 앱이 출근 동선 상에서 활성화되지 않고 승차 및 하차시 버스태깅 만이 이루어진 경우이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1 하한 금액(예를 들어, 50 원, 기본제공) 만을 마일리지로 산출할 수 있다. 이는 마일리지 앱이 승차구간과 하차구간에서 모두 비활성화되어 있어, 보행 거리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승차구간 및 하차구간에 모두 하한 마일리지를 적용하는 것이다.
- 제 3 케이스 -
마일리지 산출부(22)가 앱 출발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앱 도착 GPS 좌표,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승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하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중 앱 출발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및 승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이다. 즉, 마일리지 앱이 출근 동선 상에서만 활성화된 경우이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승차 구간에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 또는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앱 출발 GPS 좌표가 명확한 경우라면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서 본 바와 같이 승차구간에 대한 보행거리(앱 출발 좌표와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4 배))를 산출하고 그 승차구간 보행거리에 대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도보네트워크 자료 확보가 되는 경우라면, 도보네트워크 상의 이동 거리를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와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에 우선하여 보행 거리로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앱 출발 GPS 좌표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라면 제 3 마일리지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서 본 바와 같이, 승차 구간에 대한 보행거리(거리 측정부(12)에 의해 산출된 승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를 기준으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일리지 산출부(22)는 하차 구간에 대하여 제 2 하한 금액(예를 들어, 25 원) 만을 마일리지로 산출할 수 있다. 제 2 하한 금액은 제 1 하한 금액의 절반일 수 있다. 이는 마일리지 앱이 하차구간에서 모두 비활성화되어 있어, 보행 거리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하차구간에 하한 마일리지를 적용하는 것이다.
- 제 4 케이스 -
마일리지 산출부(22)가 앱 출발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앱 도착 GPS 좌표,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승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하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중 앱 출발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승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및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이다. 즉, 마일리지 앱이 출근 동선 상에서만 활성화된 경우이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승차 구간에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 또는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앱 출발 GPS 좌표가 명확한 경우라면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서 본 바와 같이 승차구간에 대한 보행거리(앱 출발 좌표와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4 배))를 산출하고 그 승차구간 보행거리에 대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도보네트워크 자료 확보가 되는 경우라면, 도보네트워크 상의 이동 거리를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와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에 우선하여 보행 거리로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앱 출발 GPS 좌표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라면 제 3 마일리지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서 본 바와 같이, 승차 구간에 대한 보행거리(거리 측정부(12)에 의해 산출된 승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를 기준으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일리지 산출부(22)는 하차 구간에 대하여 제 2 하한 금액(예를 들어, 25 원) 만을 마일리지로 산출할 수 있다. 제 2 하한 금액은 제 1 하한 금액의 절반일 수 있다. 이는 마일리지 앱이 하차구간에서 모두 비활성화되어 있어, 보행 거리를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하차구간에 하한 마일리지를 적용하는 것이다.
- 제 5 케이스 -
마일리지 산출부(22)가 앱 출발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앱 도착 GPS 좌표,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승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하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중 앱 출발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승차구간 유저 보행거리 및 앱 도착 GPS 좌표 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이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승차 구간에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 또는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앱 출발 GPS 좌표가 명확한 경우라면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서 본 바와 같이 승차구간에 대한 보행거리(앱 출발 좌표와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예를 들어, 1.4 배))를 산출하고 그 승차구간 보행거리에 대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도보네트워크 자료 확보가 되는 경우라면, 도보네트워크 상의 이동 거리를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와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에 우선하여 보행 거리로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앱 출발 GPS 좌표가 명확하지 않은 경우라면 제 3 마일리지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마일리지 산출부(22)는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서 본 바와 같이, 승차 구간에 대한 보행거리(거리 측정부(12)에 의해 산출된 승차구간 유저 보행 거리)를 기준으로 마일리지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마일리지 산출부(22)는 하차 구간에 대하여 제 2 하한 금액(예를 들어, 25 원) 만을 마일리지로 산출할 수 있다. 제 2 하한 금액은 제 1 하한 금액의 절반일 수 있다. 이는, 하차 이벤트를 인식할 수 없어 하차 구간에 대한 걸음수의 카운팅 자체가 되지 않아 하차 구간에서의 유저 보행 거리를 산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 산출된 마일리지는 카드사 서버를 통해 유저의 교통카드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마일리지 책정은 무임승차인 경우는 고려하지 않았다. 즉, 승차시 반드시 교통카드를 이용한 버스태깅이 이루어진 경우에 한하여 만 추가 마일리지 적용을 위한 방안으로 본 발명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S4 내지 S11 단계에서, 어느 일부 하나의 단계가 생략된 채로 실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11 단계가 생략된 채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때, S9에서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유저에 대한 마일리지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S7 내지 S11 단계가 생략된 채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때, S7에서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적용 조건에 해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유저에 대한 마일리지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10 : 이동 단말기
11 : 인터페이스부
12 : 거리측정부
13 : 정보제공부
14 : 통신부
15 : GPS 모듈
16 : 자이로 센서
20 : 운영서버
21 : 정보수집부
22 : 마일리지 산출부
23 : 회원정보 데이터 베이스
24 : 통신부
30 : 버스 단말기
40 : 카드사 서버

Claims (5)

  1. 정보 수집부가 이동단말기 및 카드사 서버로부터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및
    마일리지 산출부가 상기 수집된 마일리지 산출 기초 정보를 사용해 상황에 따라 서로 다른 마일리지 산출 기준을 적용해 마일리지를 산출하되,
    유저의 승차정보 만 정상인 것으로 판별되면,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 및 고객입력 승차정류장좌표에 따른 승차구간 전체 및 고객입력 하차정류장좌표 및 고객입력 도착주소좌표에 따른 하차구간 전체에서 유저의 보행 이벤트가 있었던 것으로 간주하는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하고,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다른 곳에서 버스 이용이 있고 마일리지 산출부에서 앱 출발 GPS 좌표, 앱 도착 GPS 좌표,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및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가 획득되면, 유동적인 동선을 고려하여, 앱 출발 좌표와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 및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와 앱 도착 GPS 좌표 간의 직선거리의 기 설정된 배수를 보행 거리로 간주하는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하고,
    고객입력 출발주소좌표와 다른 곳에서 버스 이용이 있고 앱 출발 GPS 좌표 및 앱 도착 GPS 좌표가 불명확하고,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산출한 승차 구간 유저 보행 거리 및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산출한 하차 구간 유저 보행 거리가 획득된 경우, 앱 출발 GPS 좌표 및 앱도착 GPS 좌표가 불명확한 경우에도 가속도 센서를 통해 산출된 보행거리를 이용해 보상을 산출하는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하고,
    상기 제 1 마일리지 산출 기준, 제 2 마일리지 산출 기준 및 제 3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4 마일리지 산출 기준에 따라 마일리지를 산출하되,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승차 구간에 대하여 제 1 하한 금액을 마일리지로 산출하고,
    버스태깅 승차정류장좌표 및 버스태깅 하차정류장좌표 만을 획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승차구간 및 하차구간에 모두 제 1 하한 금액을 마일리지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69339A 2020-06-09 2020-06-09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 KR10243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339A KR102431957B1 (ko) 2020-06-09 2020-06-09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339A KR102431957B1 (ko) 2020-06-09 2020-06-09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642A KR20210152642A (ko) 2021-12-16
KR102431957B1 true KR102431957B1 (ko) 2022-08-12

Family

ID=7903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339A KR102431957B1 (ko) 2020-06-09 2020-06-09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957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392B1 (ko) * 2011-06-17 2013-11-22 교통안전공단 개인별 녹색 교통 포인트 산정 시스템에서의 개인별 녹색 교통 포인트를 산정하는 방법, 이와 관련된 개인별 녹색 교통 포인트 산정 시스템에서의 개인별 녹색 교통 포인트에 기초한 개인별 인센티브 또는 패널티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와 관련된 개인별 녹색 교통 포인트 산정 시스템에서의 개인별 녹색 교통 포인트 산출 서버
KR101283992B1 (ko) 2011-10-20 2013-07-09 이윤형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마일리지 충전 및 충전 마일리지 사용방법
KR101344509B1 (ko) 2013-02-04 2013-12-23 이윤형 교통카드 시스템을 이용한 위치별 마일리지 충전 시스템
KR101581803B1 (ko) * 2013-10-01 2016-01-04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도보 이용을 위한 마일리지 적립 시스템 및 그 적립 방법
KR101603923B1 (ko) * 2014-06-03 2016-03-18 주식회사 미래엔에스 사용자 모바일 단말과 연동하는 탄소포인트 제공 방법
KR20190143247A (ko) * 2018-06-20 2019-12-30 박지우 대중교통이용에 따른 탄소배출권 인증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642A (ko) 2021-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94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able prescheduled dispatching for transportation services
RU274498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приспосабливаемого к конкретным потребностям, спланированного заранее диспетчер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услуг
US20220084407A1 (en) Connected user communication and interface system with shuttle tracking application
US113928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US2016024709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a Vehicle Sharing Facility
CA2708444C (en) Method for communicating and repartitioning vehicles
US20060059023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s
US111326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 resource management
US200601362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atching transportation to persons who want transportation
US11710095B2 (en) Vehicle service providing apparatus and vehicle service providing method
US20210302174A1 (en) Dynamically determining provider-transportation routes and rental-vehicle routes for a multi-modal graphical user interface
EP3262831B1 (en) Telephone call placement
JP5708497B2 (ja) 行動提示装置、行動提示システム、行動提示プログラム、及び行動提示方法
JP7080561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方法
US202001347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8206177A (ja) 配車支援方法、配車支援装置、配車支援プログラム及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US10942520B1 (en) Creating trip routes for autonomous vehicles
US10043388B1 (en) Parking system
KR102072174B1 (ko) 강제배차서버 및 강제배차서버에서 배차를 수행하는 방법
WO20090581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nsportation service
WO2019176819A1 (ja) 配車課金装置
KR102431957B1 (ko) 교통카드 마일리지 정산 방법
JP7289270B2 (ja) タクシーの走行を支援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207077A (ja) 配車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配車予約サーバ
JP2002140402A (ja) 車両の乗合サービス提供方法、システム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