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442B1 -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442B1
KR102431442B1 KR1020210184852A KR20210184852A KR102431442B1 KR 102431442 B1 KR102431442 B1 KR 102431442B1 KR 1020210184852 A KR1020210184852 A KR 1020210184852A KR 20210184852 A KR20210184852 A KR 20210184852A KR 102431442 B1 KR102431442 B1 KR 102431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disaster information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48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천섭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202101848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4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3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 H04H60/8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telephonic networks which ar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04N21/814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comprising emergency warn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는 수신한 모든 재난방송에 대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화면을 구성하지 않고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Emergency Alert Information Receiver Capable of Selecting Emergency Alert Information to be Displayed According to User Environments}
본 발명은 재난방송을 수신하고 재난정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로서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신호에는 디지털 방송 콘텐츠뿐만 아니라 다양한 정보가 함께 포함되어 방송되며, 그 정보 중 하나가 재난 방송이다. 지진, 대설, 호우 등의 자연 재난과 대규모 화재, 산불 등의 사회 재난이 발생한 경우에 그 재난 정보와 재난에 따른 행동 요령이 포함된 재난 안내를 방송사업자의 채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국가기관 기타 재난 발령기관으로부터 수집된 재난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를 사용하는 CAP(Common Alerting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재난 정보는 방송 주체가 정한 다양한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된다. UHF(Ultra High Frequency) 지상파 방송이 채택하고 있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3.0 표준 프로토콜에 포함된 AEAT(Advanced Emergence Alert Table)는 종래에 널리 채택되고 있는 전송 프로토콜 중 하나다. UHF 방송시스템은 재난발령기관에서 CAP 프로토콜로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하면, AEAT 프로토콜에 따라 지상파 방송신호에 삽입하여 방송한다.
전용의 재난방송 수신기 뿐만 아니라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포함된 재난방송을 파싱할 수 있는 장치라면 디지털 TV, 컴퓨터, 셋톱박스 등 어떠한 형태의 장치이어도 재난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KR 10-2279055 (다국어 재난경보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재난방송을 수신하고 재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되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는 AEAT(Advanced Emergence Alert Table) 포맷이나 CAP(Common Alerting Protocol) 포맷으로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하여 표시장치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는 재난정보수신부, 메모리, 정보분석부 및 화면구성부를 포함한다. 재난정보수신부는 AEAT 포맷이나 CAP 포맷으로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하여 재난정보를 추출한다. 메모리에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가 표시장치에 표시할 재난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표시설정정보와,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때의 화면구성에 대한 정보인 스타일 시트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표시설정정보는 위치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재난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정보분석부는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위치정보가 상기 추출된 재난정보에서 확인한 재난지역에 포함되고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재난종류가 상기 추출된 재난정보에서 확인한 재난인 경우에 표시대상 재난정보로 판단하고, 화면구성부는 상기 추출된 재난정보가 상기 표시대상 재난정보인 경우에 상기 스타일 시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화면을 구성한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메모리에는 재난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 개의 스타일 시트가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면구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스타일 시트 중에서 상기 표시대상 재난정보의 재난 종류에 해당하는 스타일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표시설정정보의 수집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설정정보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설정정보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재난정보수신부는 상기 AEAT 포맷 또는 CAP 포맷의 재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유선 랜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유선랜을 통해 외부 지도정보서버에 상기 유선랜의 IP주소를 제공하여 상기 IP 주소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표시설정정보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지도정보 서버는 상기 IP 주소에 대해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재난정보 수신장치의 재난정보 수신방법에도 미친다. 재난정보 수신방법은, 메모리에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가 표시장치에 표시할 재난인지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표시설정정보와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때의 화면구성에 대한 정보인 스타일 시트가 저장되는 단계와; 재난정보수신부가 AEAT 포맷이나 CAP 포맷으로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하여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와; 정보분석부가 상기 추출된 재난정보의 재난이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위치를 포함되고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재난종류에 속하는 경우에 표시대상 재난정보로 판단하는 단계와; 화면구성부가 상기 추출된 재난정보가 상기 표시대상 재난정보인 경우에 상기 스타일 시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는 재난방송으로 방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만 수신한 모든 재난방송에 대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화면을 구성하지 않고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하고, 분류된 재난정보에 대해서만 표시장치에 표시할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는 사용자에 표시할 필요가 없는 재난정보, 예컨대 재난발령 지역이 다르거나 재난 종류가 사용자 환경에 맞지 않는 재난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는 재난정보 분류의 기준이 되는 표시설정정보에 포함되는 위치정보 등을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나 외부 지도정보 서버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외부 지도정보서버와 연결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의 블록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의 재난정보 수신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100)는 AEAT(Advanced Emergence Alert Table) 포맷이나 CAP(Common Alerting Protocol) 포맷으로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하고, 재난정보를 기설정된 화면 스타일에 따라 표시장치(10)에 표시되는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에는 표시장치(10)가 연결된다. 여기서, 표시장치(10)는 재난정보가 표시된 화면이 표시되는 장치로서, 단순 모니터일 수도 있고, 다른 주된 기능을 구비하고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와 케이블로 연결된 외부장치일 수도 있고, 재난정보 수신장치(100)를 내장하는 장치의 표시부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100)는 AEAT 포맷이나 CAP 포맷의 재난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면 족하므로, UHF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회로는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의 필수적인 구성이 아니다. 한편, 재난정보 수신장치(100)는 본 발명을 위한 전용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주된 기능이 다른 장치에 내장된 형태의 부가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난정보 수신장치(100)는 주기능이 UHF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TV 영상을 출력하는 디지털 TV 수상기나 IPTV(Internet Protocol TV), 셋톱박스(Set Top Box) 등에 내장될 수도 있다.
재난정보 수신장치(100)는 재난정보수신부(101), 입력부(103), 메모리(105), 화면구성부(107) 및 정보분석부(110)를 포함한다.
재난정보수신부(101)는 XML 규격을 준용한 AEAT 포맷이나 CAP 포맷으로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하여, 재난에 대한 요소정보들을 추출한다. 재난정보수신부(101)는 재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UHF 방송신호 수신회로나 유선 랜(LAN)과 같은 네트워크 수단 중 하나를 내장한다.
입력부(103)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서, 키패드의 형태일 수도 있고 리모컨의 형태일 수도 있다.
메모리(105)에는 표시설정정보와 화면구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타일 시트(Style Sheet)가 등록되며, 실시 예에 따라 화면 구성을 위한 이미지, 동영상 파일 또는 오디오 파일 등이 저장된다.
스타일 시트는 재난정보를 표시장치(10)의 화면에 표시할 때의 화면 구성에 대한 정보로서, HTML 포맷 또는 CSS(Cascading Style Sheets) 포맷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타일 시트는 재난의 종류에 따라 여러 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타일 시트에는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수신한 재난정보가 표시되는 위치와 형태, 재난정보에 따라 함께 표시할 이미지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r), 위치와 형태뿐만 아니라, 재난정보를 표시할 때 함께 재생할 음원의 URI 등이 표시될 수 있다. 구성을 위한 이미지, 동영상 또는 오디오는 재난정보와 함께 표시되고 재생되는 것으로서, 개별적으로 특정 URI가 할당되어 저장된다. 표시설정정보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정보분석부(110)는 메모리(105)에 저장된 '표시설정정보'를 설정하고, 그 표시설정정보를 기초로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추출한 재난정보가 표시대상인지를 판단한다. 재난정보는 해당 재난이 발생한 시간, 지역 및 재난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재난정보는 해당 재난이 발생한 시간, 지역 또는 재난의 종류에 관계없이 무작위로 방송되기 때문에, 서울지역에서 발생한 재난에 대한 정보가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도 수신될 수 있고, 산사태에 대한 정보가 관련없는 해안지역에 수신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설정정보'는 재난정보의 재난이 표시장치(10)에 표시할 필요가 있는 재난에 해당하는지 판단하기 위한 기준으로, 재난정보 수신장치(100)는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알릴 필요가 있는 정보인 표시대상에 해당하는 정보인지 아닌지 여부를 메모리(105)에 저장된 표시설정정보를 기초로 판단한다.
표시설정정보 수집
정보분석부(110)가 표시설정정보를 수집하여 메모리(105)에 저장한다. 표시설정정보에는, 재난정보 수신장치(100)가 위치한 지역(국가 및 도시)에 대한 위치정보, 재난유형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한다.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으로, 정보분석부(110)는 입력부(103)를 통해 사용자 또는 관리자로부터 위치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정보분석부(110)는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 도 2의 재난정보 수신장치(200)는 도 1의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를 더 구비한 예이다. 여기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0)는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무선전화기나 디지털 무선 단말기일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는 GPS 수신기(미도시)를 내장하여 자신의 위치정보를 생성하고 그 위치정보를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되거나 재난정보 수신장치(100)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위치정보를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는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0)와 무선 인터페이스로 연결할 수 있는 블루투스, 무선랜 등이 해당한다. 도 2처럼, 재난정보 수신장치(200)가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0)와 연결되는 별도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를 구비한 경우에, 정보분석부(110)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1)를 통해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정보분석부(110)는 IP 주소를 외부 지도정보서버에 제공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의 재난정보 수신장치(300)는 도 1의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유선 랜(301)으로 재난방송을 수신하는 예이다.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유선 랜(301)을 구비한 경우에, 정보분석부(110)는 IP 주소를 외부 지도정보서버(40)에 제공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외부 지도정보서버(40)는 인터넷(30)을 통해 재난정보수신부(101)의 유선 랜(301)과 연결되며, 정보분석부(110)가 제공한 IP 주소에 대해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해야 한다.
표시설정정보 중에서 재난유형은 화재, 수해, 홍수, 쓰나미, 지진, 산사태 등이 해당하며, 정보분석부(110)가 입력부(103)를 통해 입력받는다.
표시대상 판단
추출한 재난정보가 표시대상 인지 판단하기 위해, 정보분석부(110)는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추출한 재난정보의 발령지역에 메모리(105)에 저장된 표시설정정보의 위치정보가 포함되는지 판단하고,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추출한 재난정보의 재난(또는 재난종류)이 메모리(105)에 저장된 표시설정정보의 재난종류 중 하나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또한, 정보분석부(110)는 현재시간이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추출한 재난정보로부터 추출한 재난시간정보에 포함되는지도 함께 판단할 수도 있다.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재난정보를 추출할 때마다, 정보분석부(110)는 해당 재난정보가 표시장치(10)에 표시할 표시대상인지 표시대상이 아닌지 분류하여 그 결과를 화면구성부(107)에 제공한다.
화면구성부(107)는, 메모리(105)에 저장된 스타일 시트에 기초하여,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추출한 재난정보 중에서 정보분석부(110)가 표시대상으로 분류한 재난정보를 표시장치(10)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구성한다. 화면구성부(107)는 우선 재난정보의 재난 종류에 해당하는 스타일 시트를 추출한 다음, 재난정보를 추출한 스타일 시트에 설정된 텍스트의 폰트 크기, 위치, 형태에 맞추어 배치하고, 스타일 시트에 기록된 URI의 이미지와 오디오, 동영상 파일을 메모리(105)에서 추출하여 화면을 구성한다.
화면구성부(107)는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추출한 재난정보 중에서 정보분석부(110)가 표시대상으로 분류하지 않은 재난정보는 화면을 구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보분석부(110)가 표시대상이 아닌 것으로 분류한 재난정보는 표시장치(10)에 표시되지 않는다.
화면구성부(107)가 구성한 화면은 표시장치(10)에 제공되어 표시된다. 표시장치(10)가 외부장치인 경우에, 재난정보 수신장치(100)는 표시장치(10)로 화면을 전송하기 위한 전송수단(예컨대, HDMI 송수신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재난정보 수신장치(100)가 다른 장치에 표시장치(10)와 함께 내장된 경우에 표시장치(10)에게 바로 제공할 수 있다.
재난정보 수신방법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100, 200, 300)의 재난정보 수신방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수신방법은 도 1 내지 도 3의 재난정보 수신장치(100, 200, 300)에 대해 동일하므로, 도 1의 재난정보 수신장치(100)를 기초로 설명한다.
<표시설정정보의 등록: S401>
메모리(105)의 표시설정정보와 스타일 시트는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의 제조시에 디폴트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표시설정정보 중 위치정보나 재난종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의 사용 환경에 맞추어 등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의 정보분석부(110)는 위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위치정보나 재난종류를 입력받거나 수집하여 메모리(105)에 표시설정정보를 등록한다.
<재난정보의 수신 및 추출: S403>
재난정보수신부(101)는 AEAT 포맷이나 CAP 포맷으로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하여 재난정보를 추출한 다음 정보분석부(110) 및 화면구성부(107)에 제공한다.
<표시대상 여부 판단: S405 내지 S407>
정보분석부(110)는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추출한 재난정보가 표시대상인지를 표시설정정보를 이용하여 판단한다. 정보분석부(110)는 등록된 표시설정정보의 위치정보가 재난 발령지역에 포함되고, 발생한 재난이 등록된 표시설정정보의 재난종류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 표시대상으로 판단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처럼, 정보분석부(110)는 현재시간이 재난정보수신부(101)가 추출한 재난정보로부터 추출한 재난시간정보에 포함되는지도 함께 판단할 수 있다.
정보분석부(110)는 S403 단계에서 수신한 재난정보가 표시대상인지에 대한 판단결과를 화면구성부(107)에게 제공한다.
<화면 구성: S409, S411>
화면구성부(107)는 S403 단계에서 재난정보수신부(101)로부터 재난정보를 제공받으면 정보분석부(110)로부터 해당 재난정보가 표시대상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결과가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정보분석부(110)에 의해 표시대상으로 판단되면 재난정보의 재난종류에 해당하는 스타일 시트를 메모리(105)에서 추출한다. 만약 정보분석부(110)가 S403 단계에서 수신한 재난정보를 표시대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면, 화면구성부(107)는 해당 재난정보를 표시할 화면을 구성하지 않고 무시한다(S409).
화면구성부(107)는 메모리(105)에서 추출한 스타일 시트에 맞추어 재난정보를 표시하는 화면을 구성한다(S411).
화면구성부(107)는 구성된 화면을 표시장치(10)에게 제공하여 표시되도록 한다.
이상의 방법으로, 본 발명의 재난정보 수신장치(100)의 재난정보 수집방법이 수행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0)

  1. 재난정보 수신장치에 있어서,
    AEAT(Advanced Emergence Alert Table) 포맷이나 CAP(Common Alerting Protocol) 포맷으로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하여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재난정보수신부;
    표시설정정보와 스타일 시트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표시설정정보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가 표시장치에 표시할 재난인지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위치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재난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 시트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때의 화면구성에 대한 정보임;
    상기 추출된 재난정보의 재난이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위치를 포함되고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재난종류에 속하는 경우에 표시대상 재난정보로 판단하는 정보분석부; 및
    상기 추출된 재난정보가 상기 표시대상 재난정보인 경우에 상기 스타일 시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화면을 구성하는 화면구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모리에는 재난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 개의 스타일 시트가 저장되며, 상기 스타일 시트에는 상기 재난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상의 위치와 형태, 상기 재난종류에 따라 함께 표시할 이미지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와 화면상의 위치와 형태, 그리고 상기 재난정보를 표시할 때 함께 재생할 음원의 URI를 저장하며,
    상기 화면구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스타일 시트 중에서 상기 표시대상 재난정보의 재난 종류에 해당하는 스타일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화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설정정보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설정정보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수신부가 상기 AEAT 포맷 또는 CAP 포맷의 재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유선 랜을 구비한 경우에,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유선랜을 통해 외부 지도정보서버에 상기 유선랜의 IP주소를 제공하여 상기 IP 주소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표시설정정보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되, 상기 외부 지도정보 서버는 상기 IP 주소에 대해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6. 재난정보 수신장치의 재난정보 수신방법에 있어서,
    메모리에 표시설정정보와 스타일 시트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표시설정정보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가 표시장치에 표시할 재난인지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위치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재난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타일 시트는 상기 추출한 재난정보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때의 화면구성에 대한 정보임;
    재난정보수신부가 AEAT(Advanced Emergence Alert Table) 포맷이나 CAP(Common Alerting Protocol) 포맷으로 전송되는 재난정보를 수신하여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정보분석부가 상기 추출된 재난정보의 재난이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위치를 포함되고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재난종류에 속하는 경우에 표시대상 재난정보로 판단하는 단계; 및
    화면구성부가 상기 추출된 재난정보가 상기 표시대상 재난정보인 경우에 상기 스타일 시트에 따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재난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 복수 개의 스타일 시트가 저장되며, 상기 스타일 시트에는 상기 재난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상의 위치와 형태, 상기 재난종류에 따라 함께 표시할 이미지의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와 화면상의 위치와 형태, 그리고 상기 재난정보를 표시할 때 함께 재생할 음원의 URI를 저장하며,
    상기 화면을 구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화면구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스타일 시트 중에서 상기 표시대상 재난정보의 재난 종류에 해당하는 스타일 시트를 이용하여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할 화면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의 재난정보 수신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입력부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표시설정정보의 위치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정보분석부가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설정정보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의 재난정보 수신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분석부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위치정보를 상기 표시설정정보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의 재난정보 수신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재난정보수신부가 유선 랜을 구비하여 상기 AEAT 포맷 또는 CAP 포맷의 재난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정보분석부는 상기 유선랜을 통해 외부 지도정보서버에 상기 유선랜의 IP주소를 제공하여 상기 IP 주소의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표시설정정보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외부 지도정보 서버는 상기 IP 주소에 대해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정보 수신장치의 재난정보 수신방법.
KR1020210184852A 2021-12-22 2021-12-22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KR102431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852A KR102431442B1 (ko) 2021-12-22 2021-12-22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4852A KR102431442B1 (ko) 2021-12-22 2021-12-22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442B1 true KR102431442B1 (ko) 2022-08-11

Family

ID=82803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4852A KR102431442B1 (ko) 2021-12-22 2021-12-22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4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670A (ko) * 2014-06-30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방송 수신 장치와 연동하는 연동 장치 및 연동 장치의 동작 방법
KR20190017060A (ko) * 2012-03-02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방송을 통하여 긴급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79055B1 (ko) 2020-03-23 2021-07-19 한국방송공사 다국어 재난경보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7060A (ko) * 2012-03-02 2019-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방송을 통하여 긴급 경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60145670A (ko) * 2014-06-30 2016-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방송 수신 장치와 연동하는 연동 장치 및 연동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279055B1 (ko) 2020-03-23 2021-07-19 한국방송공사 다국어 재난경보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39993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EP2894632A1 (en) Display apparatus, interactiv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onse information
KR20080108700A (ko) 방송 수신기에서 인터넷 tv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방법을 채용한 방송 수신기
KR101678382B1 (ko) 홈 네트워크에서 디지털 방송의 채널 맵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60146527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80082007A (ko) 재난 정보 및 콘텐츠 생성 및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2431442B1 (ko) 사용자 환경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재난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재난정보 수신장치
US8046344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video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2954407A (zh) 一种弹幕互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372979B2 (ja) 災害情報連絡表示システム
KR101035312B1 (ko) 화면 분할 장치와 그를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JP6212404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2007325310A (ja) 番組情報表示装置、番組情報表示方法
JP6735643B2 (ja) 受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071710A (ja) 番組録画装置及びプリセット条件処理方法
CN109391537B (zh) 一种信息处理方法、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CN103686149A (zh) 浏览器故障信息的获取方法及系统
CN112653815B (zh) 图像捕获设备、系统、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859549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정보 방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7202011A (ja) 放送受信装置および緊急警報放送の表示制御方法
KR20150009106A (ko) 요약 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KR102206235B1 (ko) 네트워크카메라 대쉬보드
JP2020046866A (ja) 災害報知システム
US20200389779A1 (en) Electronic device,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6592309B2 (ja) 配信装置、情報提示装置、及び情報提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