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326B1 -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 Google Patents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326B1
KR102431326B1 KR1020220020751A KR20220020751A KR102431326B1 KR 102431326 B1 KR102431326 B1 KR 102431326B1 KR 1020220020751 A KR1020220020751 A KR 1020220020751A KR 20220020751 A KR20220020751 A KR 20220020751A KR 102431326 B1 KR102431326 B1 KR 10243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plane
strut
tie
compression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훈
이상협
Original Assignee
이형훈
이상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훈, 이상협 filed Critical 이형훈
Priority to KR102022002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3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2/00Bridge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structures not covered as a whole by a single one of groups E01D2/00 - E01D11/00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스트럿-타이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압축력과 인장력이 함께 작용하는 연결부위(우각부, 연속지점부)를 시공 함으로서, 외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면서도 시공성도 우수한 구조물 시공이 가능한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STRUT-TIE CONNEC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트럿-타이 연결구조에 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스트럿-타이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압축력과 인장력이 함께 작용하는 연결부위(우각부, 연속지점부)를 시공 함으로서, 외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으면서도 시공성도 우수한 구조물 시공이 가능한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라멘교량에서의 우각부 시공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양 측벽체(22)의 상단에 교량용데크(31)의 단부가 지지되도록 하면서, 상기 양 측벽체(22)와 교량용데크(31)를 서로 연결하는 우각부철근(33,35,37)을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교량용데크(31)에 의한 바닥판과 양 측벽체(22)를 통한 라멘교량을 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우각부철근(33,35,37)은 우각부에 발생하는 휨 부모멘트에 저항하기 위하여 인장력과 압축력에 저항하기 위한 철근으로서 배근해야 하는데, 이러한 배근작업은 최근 철근공 인력부족등의 문제로 그 제작 및 시공에 있어 상당한 노력과 비용이 요구될 수 밖에 없었다.
도 1b는 종래 라멘교량에서의 우각부 다른 시공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역시 라멘교량에 있어 양 교각(3)을 기둥부재로 시공하고, 양 교각(3) 상단 사이에 거더(6)를 연결시공하되, 우각부철근조립체(10,12)를 ㄱ자형태로 제작하여, 수직부철근(10)을 양 교각(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면서, 수평부철근(12)이 거더(6)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미도시한 콘크리트를 ㄱ자형태의 우각부철근조립체(10,12)가 매립되도록 타설하여 거더(6)을 완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1a에서의 우각부철근(33,35,37)을 ㄱ자형태의 우각부철근조립체(10,12)으로 대체하여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우각부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c는 종래 이중벽체를 이용한 박스구조물(40) 시공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즉, 박스구조물(40)의 양 측벽체는 프리캐스트 이중벽체 형태로 제작한 것을 먼저 시공하고, 양 측벽체(41,42) 상단 사이에 하프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데크(43)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역시 콘크리트를 데크(43) 상부에 타설하여 바닥판을 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라멘구조 형태의 교량, 박스구조물을 시공 함에 있어 우각부는 휨 부모멘트가 작용함에 따라 압축력, 인장력이 함께 작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인장철근과 압축철근을 함께 우각부에 배근해야 하고, 이에 우각부철근은 배근자체가 용이하지 않게 되어, 입체형태의 ㄱ자 형태의 우각부철근조립체(10,12)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러한 입체형태의 ㄱ자 형태의 우각부철근조립체(10,12)을 별도로 제작한 후, 인양 하는 작업이 필요 하기 때문에, 우각부철근의 제작 및 설치에 많은 노력과 비용이 요구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 10-1788581호(발명의 명칭: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으로 제작되는 교량, 공개일자: 2017년10월20일) 대한민국 특허 제10-1314081호(발명의 명칭: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공개일자: 2013년10월14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104682호(발명의 명칭: 일체형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공개일자: 2019년09월11일)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우각부 철근조립체를 대체할 수 있는 스트럿-타이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작용하는 연결부위를 효과적으로 보강하면서 제작 및 시공성도 확보할 수 있어 신속하게 교량구조물과 같은 구조물 시공이 가능한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은,
인장부재, 압축부재, 사재로 구성된 트러스부재로서 수직평면상으로 일자형 형태로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인장부재와 압축부재는 사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서로 전달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인장부재, 압축부재 및 사재는 서로 연결되어 폐합 되도록 형성된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는 라멘교량(A)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연속지점부(E)에 설치되어 압축력과 인장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인장력에 인장부재가 저항하고, 상기 압출력에 압축부재가 저항하도록 하면서, 구조물의 중간기둥부와 상부중간기둥부를 횡방향빔과 일체로 연결시키며,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는, 연속지점부(E)에 설치된 횡방향빔을 기준으로 양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횡방향빔은 빔부인 양 하부플랜지 하부 내측 사이에 중앙복부가 횡방향으로 연장된 프리캐스트 제품으로, 빔부인 양 하부플랜지 상면으로부터 내측의 중앙복부를 감싸도록 역 U형 철근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되,상기 중앙복부는 횡방향으로 중간 중간에는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가 관통될 수 있도록 블록아웃부가 형성된 것을 이용하며,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는 횡방향빔에 블록아웃부가 형성된 부위는 그대로 블록아웃부를 관통하도록 연속된 일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블록아웃부가 형성되지 않은 횡방향빔 부위에서는 횡방향빔이 위치하는 부위는 배제하여 서로 양쪽으로 분리시키되, 상부만 서로 상부연결재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한 것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우각부 철근조립체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스트럿-타이 연결구조를 개시하되, 상기 스트럿-타이 연결구조로서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를 다수 이격시켜 세팅시킨 것을 이용 함으로서 우각부에 설치되어야 할 우각부 철근의 제작, 운반 및 시공에 있어 신속하면서도 구조적으로도 우각부 휨 모멘트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도 1a는 종래 라멘교량에서의 우각부 시공예시도,
도 1b는 종래 라멘교량에서의 우각부 다른 시공예시도,
도 1c는 종래 이중벽체를 이용한 박스구조물 시공예시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스트럿-타이 연결구조의 시공예시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의 스트럿-타이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예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스트럿-타이 연결구조(100)]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스트럿-타이 연결구조(100)의 시공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트럿-타이 연결구조(100)는 도 2a와 같이, 라멘교량(A)이 양 우각부(D)에 적용되어 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트럿(STRUT)은 압축부재에 해당하고, 상기 타이(TIE)는 인장부재에 해당되어 결국 압축부재와 인장부재를 결합시켜 외력에 저항하도록 형성시킨 연결구조를 스트럿-타이 연결구조라 할 수 있다.
이에 라멘교량(A)은 양 측벽부(110)를 이중벽체 방식을 이용하게 되며, 이는 스트럿-타이 연결구조(100)로서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직부를 삽입 고정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양 측벽부(110) 내측 사이에는 프리캐스트 데크(120)의 양 단부가 양 측벽부(110) 상단 사이에 지지 되도록 하고,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평부가 상기 프리캐스트 데크(120)으로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도 2b를 참조하면,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 3개를 서로 인접하여 이격 세팅하는 것만으로도 간단하게 다수를 라멘교량(A)의 우각부(D)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고,
상기 프리캐스트 데크(120)는 도 2c를 참조하면 U형 단면, 박스체 단면, 수평판 형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서,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는 도 1b의 우각부철근조립체(10,12)와 대비하여 입체형태가 아니라 각각 수직평면 상으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기 때문에 제작, 운반 및 인양설치에 있어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스트럿-타이 연결구조(10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양 측벽부(110), 프리캐스트 데크(120),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를 포함하게 된다.
먼저 상기 양 측벽부(110)는 도 2a와 같이,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된 이중벽체로서 기초(111) 상면에 서로 이격된 측벽(112)에 의하여 중공부(S)가 형성되고, 이격된 측벽(112) 사이에는 측벽연결재(113)가 설치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
이에 중공부(S)에 미도시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이격된 측벽(112)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면서, 상기 중공부(S)에는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직부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용하게 된다.
상기 수직부는 예컨대 상기 측벽연결재(113)에 의하여 간단하게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프리캐스트 데크(12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양 측벽부(110) 상면에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라멘교량(A)의 바닥판을 시공하기 위한 데크부재이다.
이때 상기 프리캐스트 데크(120)는 도 2b를 참조하면 U형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여 내측중공부(S2)에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평부가 삽입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이때 중요한 점은 내측중공부(S2)가 다소 협소하더라도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평부는 수직평면 형태이기 때문에 하강시켜 내측중공부(S2)에 삽입 함에 있어 작업성과 시공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도 2c에 의하면, 프리캐스트 데크(120)는
U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내측중공부(S2)를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U형 단면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격벽(121)이 형성되더라도 그대로 이용 가능함을 알 수 있고,
박스체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평부가 상면에 세팅되도록 할 수 있으며,
수평판 형태로 형성되더라도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평부가 역시 상면에 세팅되도록 할 수 있어,
다양한 단면 형태의 프리캐스트 데크(120) 이용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는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인장부재(131), 압축부재(132), 사재(133)로 구성된 트러스부재로서 수직평면상으로 ㄱ자형 형태로 형성시켜 수직부와 수평부로 구분되도록 한 것으로서, 다수를 서로 인접하여 세팅되도록 한 것이다.
라멘교량(A)의 우각부(D)는 휨 부모멘트가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휨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위에는 압축력과 인장력이 함께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우각부(D)에 작용하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함께 저항하면서도, 제작, 운반 및 인양 후 설치가 용이 하도록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를 이용하게 된다.
이에 도 2b를 참조하면,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인장부재(131)는 우각부에서 인장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외측 ㄱ자형 수직평면철근으로 세팅되고,
압축부재(132)는 상기 인장부재(131)와 이격되어 압?s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내측 ㄱ자형 수직평면철근으로 세팅되고,
상기 인장부재(131)와 압축부재(132)는 사재(13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서로 전달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인장부재(131), 압축부재(132)는 사재(133)는 서로 연결되어 폐합 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직부는 도 2a를 참조하면, 양 측벽부(110)의 서로 이격된 측벽(112)에 의하여 형성된 중공부(S)에 삽입되어 이격된 측벽(112) 사이에는 형성된 측벽연결재(113)에 의하여 설치 높이가 세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평부는 도 2a를 참조하면, 프리캐스트 데크(120)의 내측중공부(S2)에 수직으로 하강 삽입되도록 하거나 상면에 간단하게 세팅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는 수직평면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도 용이하고,
운반 시에도 서로 접하면서 수평으로 세팅하여 운반도 용이하며,
1개씩 인양하여 거치할 수 있기때문에 인양 설비에도 제한이 적어,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 다수를 서로 인접하여 세팅 함으로서 필요한 설치개수를 용이 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 본 발명의 스트럿-타이 연결구조(100)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의 스트럿-타이 연결구조(100)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스트럿-타이 연결구조(100)는 라멘교량(A)의 우각부(D)에 설치되어 압축력과 인장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양 측벽부(110)와 프리캐스트 데크(120)를 일체로 연결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며,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a에 의하면 양 측벽부(110) 사이에 중간기둥부(140)가 더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 중간기둥부(140)는 연속지점부(E)로서 휨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부위이므로,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과 함께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b에 의하면, 도 3a를 기준으로 상,하로 다층형으로 상부중간기둥부(160)가 상부로 추가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음을 알 수 있고,
역시 상기 상부중간기둥부(160)도 연속지점부(E)로서 휨 부모멘트가 발생하는 부위이므로,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과 함께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을 추가로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도 3c에 의하면, 중간기둥부(140)와 상부중간기둥부(160)가 설치되는 연속지점부에 설치되는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를 살펴보면,
역시 인장부재(151), 압축부재(152), 사재(153)로 구성된 트러스부재로서 수직평면상으로 일직선 형태로 형성시킨 것으로서 역시 다수(도 3c의 경우에는 3개)를 서로 인접하여 세팅되도록 한 것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중간기둥부(140)와 상부중간기둥부(160)가 형성된 연속지점부(E)는 역시 휨 부모멘트가 작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휨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부위에는 압축력과 인장력이 함께 작용하게 되며,
이러한 연속지점부(E)에 작용하는 압축력과 인장력을 함께 저항하면서도, 제작, 운반 및 인양 후 설치가 용이하도록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를 이용하게 된다.
이에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의 인장부재(151)는 연속지점부(E)에서 인장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상부 일자형 수직평면철근으로 세팅되고,
압축부재(152)는 상기 인장부재(151)와 이격되어 압축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하부 일자형 수직평면철근으로 세팅되고,
상기 인장부재(151)와 압축부재(152)는 사재(15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서로 분산되어 전달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인장부재(151), 압축부재(152)는 사재(153)는 서로 연결되어 폐합되도록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는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횡방향빔(170)을 기준으로 양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횡방향빔(170)은 빔부인 양 하부플랜지(171) 하부 내측 사이에 중앙복부(172)가 횡방향으로 연장된 프리캐스트 제품으로, 빔부인 양 하부플랜지(171) 상면으로부터 내측의 중앙복부(172)를 감싸도록 역 U형 철근(173)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되,
상기 중앙복부(172)는 횡방향으로 중간 중간에는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블록아웃부(174)가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는 역시 수직평면 형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작도 용이하고,
운반 시에도 서로 접하면서 수평으로 세팅하여 운반도 용이하며,
1개씩 인양하여 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인양설비에도 제한이 적어,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 다수를 서로 인접하여 세팅 함으로서 필요한 설치개수를 용이 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됨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c에 의하면,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는 횡방향빔(170)에 블록아웃부(174)가 형성된 부위는 그대로 블록아웃부(174)를 관통하도록 연속된 일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블록아웃부(174)가 형성되지 않은 횡방향빔(170) 부위에서는 횡방향빔(170)이 위치하는 부위는 배제하여 서로 양쪽으로 분리시키되, 상부만 서로 상부연결재(154)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3e에 의하면,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는 연속지점부(E)에 사용되고, 앞서 살펴본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는 라멘구조물의 우각부(D)에 역시 양 측벽부(110)와 프리캐스트 데크(120)를 이용하여 다수가 횡방향으로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110: 양 측벽부
111: 기초 112: 측벽
113: 측벽연결재
120: 프리캐스트 데크 121: 격벽
130: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
131: 인장부재 132: 압축부재
133: 사재
140: 중간기둥부
150: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
151: 인장부재 152: 압축부재
153: 사재 154: 상부연결재
160: 상부중간기둥부
170: 횡방향빔
171: 양 하부플랜지 172: 중앙복부
173: 역 U형 철근 174: 블록아웃부
A: 라멘교량 D: 우각부
E: 연속지점부
S: 중공부 S2: 내측중공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인장부재(151), 압축부재(152), 사재(153)로 구성된 트러스부재로서 수직평면상으로 일자형 형태로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인장부재(151)와 압축부재(152)는 사재(15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서로 전달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인장부재(151), 압축부재(152) 및 사재(153)는 서로 연결되어 폐합 되도록 형성된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는 라멘교량(A)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연속지점부(E)에 설치되어 압축력과 인장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여, 상기 인장력에 인장부재(131)가 저항하고, 상기 압축력에 압축부재(132)가 저항하도록 하면서, 구조물의 중간기둥부(140)와 상부중간기둥부(160)를 횡방향빔(170)과 일체로 연결시키며,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는, 연속지점부(E)에 설치된 횡방향빔(170)을 기준으로 양 측방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도록 하며, 상기 횡방향빔(170)은 빔부인 양 하부플랜지(171) 하부 내측 사이에 중앙복부(172)가 횡방향으로 연장된 프리캐스트 제품으로, 빔부인 양 하부플랜지(171) 상면으로부터 내측의 중앙복부(172)를 감싸도록 역 U형 철근(173)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되,상기 중앙복부(172)는 횡방향으로 중간 중간에는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가 관통될 수 있도록 블록아웃부(174)가 형성된 것을 이용하며,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는 횡방향빔(170)에 블록아웃부(174)가 형성된 부위는 그대로 블록아웃부(174)를 관통하도록 연속된 일자형으로 형성되도록 하거나, 블록아웃부(174)가 형성되지 않은 횡방향빔(170) 부위에서는 횡방향빔(170)이 위치하는 부위는 배제하여 서로 양쪽으로 분리시키되, 상부만 서로 상부연결재(154)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한 것을 이용하는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의
    인장부재(151)는 연속지점부(E)에서 인장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상부 일자형 수직평면철근으로 세팅되고,
    압축부재(152)는 상기 인장부재(151)와 이격되어 압축력이 작용하는 부위에 하부 일자형 수직평면철근으로 세팅되고,
    상기 인장부재(151)와 압축부재(152)는 사재(15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서로 분산되어 전달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인장부재(151), 압축부재(152) 및 사재(153)는 서로 연결되어 폐합되도록 형성시키는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5. 삭제
  6. 삭제
  7. 서로 이격된 측벽(112)에 의하여 중공부(S)가 형성되고, 이격된 측벽(112) 사이에는 측벽연결재(113)가 설치된 양 측벽부(110);
    양 측벽부(110) 상면에 양 단부가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라멘교량(A)의 바닥판을 시공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데크(120); 및
    인장부재(131), 압축부재(132), 사재(133)로 구성된 트러스부재로서 수직평면상으로 ㄱ자형 형태로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인장부재(131)와 압축부재(132)는 사재(13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서로 전달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인장부재(131), 압축부재(132)는 사재(133)는 서로 연결되어 폐합 되도록 형성된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직부는 양 측벽부(110)의 서로 이격된 측벽(112)에 의하여 형성된 중공부(S)에 삽입되어 이격된 측벽(112) 사이에는 형성된 측벽연결재(113)에 의하여 설치 높이가 세팅되며,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의 수평부는 프리캐스트 데크(120) 상면에 세팅되도록 하되,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ㄱ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30)는 라멘교량(A)을 포함하는 구조물의 우각부(D)에 설치되어 압축력과 인장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여 구조물의 양 측벽부(110)와 프리캐스트 데크(120)를 일체로 연결시키며,
    상기 양 측벽부(110) 사이에 중간기둥부(140)와 상기 중간기둥부(140) 상부에는 상부중간기둥부(160)가 설치되어, 상기 중간기둥부(140)와 상부중간기둥부(160)는 연속지점부(E)로서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평면 형태의 일자형 스트럿-타이 트러스부재(150)는 인장부재(151), 압축부재(152), 사재(153)로 구성된 트러스부재로서 수직평면상으로 일자형 형태로 형성시킨 것으로서, 상기 인장부재(151)와 압축부재(152)는 사재(15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서로 전달되도록 하게 되며, 상기 인장부재(151)와 압축부재(152)는 사재(15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폐합 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동시에 작용하는 위치에 설치되도록 하여 구조물의 중간기둥부(140)와 상부중간기둥부(160)를 횡방향빔(170)과 일체로 연결시키는 스트럿-타이 연결구조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8. 삭제
KR1020220020751A 2022-02-17 2022-02-17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KR1024313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751A KR102431326B1 (ko) 2022-02-17 2022-02-17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751A KR102431326B1 (ko) 2022-02-17 2022-02-17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326B1 true KR102431326B1 (ko) 2022-08-11

Family

ID=8280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751A KR102431326B1 (ko) 2022-02-17 2022-02-17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3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601B1 (ko) * 2022-12-29 2023-11-02 뉴콘텍이앤씨(주)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박스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79A (ja) * 2000-06-02 2001-12-14 Sato Kogyo Co Ltd 柱梁接合部におけるPCa梁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PCa梁部材
KR20030029831A (ko) * 2001-07-17 2003-04-16 모듈 호갈 인모빌리아리아 에스.에이. 공간금속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패널 건축시스템
KR20100090149A (ko) * 2009-02-05 2010-08-13 (주)한맥기술 역 t형 거더, 이를 이용한 라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314081B1 (ko) 2013-04-12 2013-10-14 (주)서현컨스텍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KR20140108776A (ko) * 2013-02-28 2014-09-15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콘크리트 구조물 연결부 보강장치
KR101720473B1 (ko) * 2016-12-02 2017-03-27 이강덕 내진성능이 개선된 Partial-PC 벽체를 이용한 지하 PC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88581B1 (ko) 2016-11-02 2017-10-20 엘에스빌드윈 주식회사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으로 제작되는 교량
KR20190104682A (ko) 2018-03-02 2019-09-11 유병훈 일체형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2679A (ja) * 2000-06-02 2001-12-14 Sato Kogyo Co Ltd 柱梁接合部におけるPCa梁部材の接合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PCa梁部材
KR20030029831A (ko) * 2001-07-17 2003-04-16 모듈 호갈 인모빌리아리아 에스.에이. 공간금속구조를 이용한 조립식 패널 건축시스템
KR20100090149A (ko) * 2009-02-05 2010-08-13 (주)한맥기술 역 t형 거더, 이를 이용한 라멘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20140108776A (ko) * 2013-02-28 2014-09-15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콘크리트 구조물 연결부 보강장치
KR101314081B1 (ko) 2013-04-12 2013-10-14 (주)서현컨스텍 라멘구조물의 양 벽체부와 상판 연결시공방법
KR101788581B1 (ko) 2016-11-02 2017-10-20 엘에스빌드윈 주식회사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으로 제작되는 교량
KR101720473B1 (ko) * 2016-12-02 2017-03-27 이강덕 내진성능이 개선된 Partial-PC 벽체를 이용한 지하 PC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104682A (ko) 2018-03-02 2019-09-11 유병훈 일체형형강을 이용한 이중벽체 구조물 제작방법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601B1 (ko) * 2022-12-29 2023-11-02 뉴콘텍이앤씨(주)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박스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8876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KR100924746B1 (ko) 다단계 긴장을 적용한 프리캐스트 코핑부의 시공 방법
KR102079008B1 (ko)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CN105821750B (zh) 一种预制预应力双t板及其使用方法
KR101208231B1 (ko) 2차 긴장재를 활용한 복부 파형강판 피에스씨 거더의 연속 지점부 시공방법
KR102431326B1 (ko) 스트럿-타이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구조물
KR100971200B1 (ko) 연결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조립식 박스형 구조물 시공방법
KR100911148B1 (ko) 교량의 경량화된 코핑
KR101582599B1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2429153B1 (ko) Pc모듈러 구조물간 접합구조를 갖는 분리형 pc모듈러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pc모듈러 구조물 간의 수직 접합구조, pc모듈러 구조물 간의 수평 접합구조
KR102319792B1 (ko) 2방향 프리캐스트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650431B1 (ko) 공장제작형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와 강재를 결합한 와이드 합성보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1000269B1 (ko) 트러스덱 바닥판을 tsc 보 측면에 부착한 띠쇠에 얹어 조성하는 합성보
KR101311207B1 (ko) 철골 철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CN214833739U (zh) 一种新型装配式剪力墙
CN212562032U (zh) 一种带洞口叠合剪力墙纵横墙侧面出筋连接节点构造
CN110344503B (zh) 一种局部叠合板与组合墙柱连接节点构造
CN212026598U (zh) 一种适用于装配式钢结构建筑的结构体系
KR20090093540A (ko) 무거푸집 공법을 이용한 구조물 시스템
KR20180094672A (ko) 부착 및 전단 성능이 강화된 구조물용 피씨 데크 플레이트
KR20170139873A (ko) 보춤을 줄일 수 있는 기둥과 보의 이중 결합 구조
JPH06322827A (ja) スーパーラーメン架構構造とその構築方法
KR20030063962A (ko) 개량형 t형 pc 슬래브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977279B1 (ko) 지하주차장 모듈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