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279B1 -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279B1
KR102431279B1 KR1020200178639A KR20200178639A KR102431279B1 KR 102431279 B1 KR102431279 B1 KR 102431279B1 KR 1020200178639 A KR1020200178639 A KR 1020200178639A KR 20200178639 A KR20200178639 A KR 20200178639A KR 102431279 B1 KR102431279 B1 KR 10243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learner
server
applica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8024A (ko
Inventor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이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섭 filed Critical 이명섭
Priority to KR102020017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27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8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8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서버로서의 컴퓨터의 관리 프로그램과, 학습자 조작의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학습과목과 학습내용 및 학습범위의 선택하여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상기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학습에 대한 다짐과 명상을 선택 및 입력하여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학습자가 상기 학습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개시 전의 집중력의 증대를 선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개시 및 학습시간을 선택 및 측정,입력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인지하여 확인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연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을 평가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연동에 따라 상기 학습자가 다른 학습내용으로 복귀진입하고 학습을 평가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연동에 따라 상기 학습자가 학습종료와 학습집중도를 확인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가진다.

Description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METHOD FOR IMPROVING LEARNING CONCENTRATION}
본 발명은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계층의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집중도 및 수행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과 그 방법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종류의 학습에 관련한 방법이 컴퓨터 프로그램,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의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개발되고 이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시장은 매우 안정되어 있고 수요가 높아 개발 대비 경제성이 높다.
따라서, 종래로부터도 각종의 학습이론에 기반한 프로그램 특히, 최근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앱, 이하에서 '어플리케이션'이라 한다.)으로 널리 개발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는 학습툴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하므로 학습자가 접근하기 좋고 또한 사업자의 경우 안정적인 수익기반이 되고 있어 그 개발이 매우 활발하다.
대부분의 학습에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특정한 학습이론, 예를들면 메타인식이나 다층 학습, 심층심리학습 등의 이론을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으나 이들은 모두 학습내용의 확실한 숙지와 학습진도에 촛점을 맞추어 전개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순한 학습이론에 기반하는 학습툴로서의 앱이 아니라 학습자의 심리적이고 인지화에 기반하여 학습에 대하여 흥미를 가지고 나아가 집중도를 대폭 향상시키는 방법에 기반하고 그 방법이 구체화된 단말기로서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종래의 관련한 선원으로서는 한국 특허 제10-1753314호의 '이미지 매칭 학습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테스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테스트대상인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제1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단말이 각각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되 는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단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화면에서 소정 오브젝트가 실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상기 제1 단말에서 상기 오브젝트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해 기 저장된 이미지 스케일 비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단계; 상기 기 저장된 이미지 스케일 비율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의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상기 기 저장된 이미지 스케일 비율에 따라 스케일링하고,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스케일링 된 오브젝트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기 저장된 이미지 스케일 비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단말의 오브젝트의 이미지를 기 설정된 단위의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면서 스케일링하고, 상기 제2 단말의 화면에서 상기 스케일링 된 오브젝트의 이미지와 매칭되는 오브젝트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상기 오브젝트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2 단말에 대해 상기 스케일링 된 오브젝트의 이미지의 이미지 스케일 비율을 저장하여 이미지 스케일 비율을 학습시키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를 실행하도록 상기 제2 단말을 제어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테스트 방법을 제공하고 있고,
한국 특허 제10-2127171호에서는 '신분증 인식 모델을 이용한 분산 학습 방법, 서버,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통한 신분증 인식방법'에서, 신분증 인식 모델을 관리하는 서버의 분산 학습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 단말에서 촬영되는 신분증 영상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합성 곱(Convolution) 연산을 수행하는 신분증 인식 모델을 학습자 단말이 이용 가능하도록 배포(Release)하는 단계; 상기 배포된 신분증 인식 모델의 신분증 인식 결과에 따라 생성된 상기 신분증 인식 모델의 갱신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갱신 정보를 검증하고, 상기 검증된 갱신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분증 인식 모델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신분증 인식 모델의 출력 값과 학습자 응답을 비교하여 상기 합성 곱 연산을 수행하는 레이어의 가중치 변경 정보를 갱신 정보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분증 인식 모델의 분산 학습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 특허 제10-1753314호 한국 특허 제10-2127171호
없슴.
이에 본 발명의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은 하기와 같다.
관리자의 서버로서의 컴퓨터의 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서버와 인터넷 기반 데이터통신의 학습자 조작의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의 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연동으로 처리되는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학습자가 상기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학습과목과 학습내용 및 학습범위의 선택하여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의 상기 데이터 전송 이후에, 상기 학습자가 상기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학습에 대한 다짐과 명상을 선택 및 입력하여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에 대한 다짐과 명상을 선택 및 입력 이후에,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학습자가 상기 학습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내용의 확인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개시 전의 집중력의 증대를 선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집중력 증대선택의 상기 서버로의 전송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개시 및 학습시간을 선택 및 측정,입력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개시와 학습시간의 선택과 측정 이후에 상기 서버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인지하여 확인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내용의 인지확인 이후에, 상기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연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을 평가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을 평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연동에 따라 상기 학습자가 다른 학습내용으로 복귀진입하고 학습을 평가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의 평가 종료 이후에, 상기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연동에 따라 상기 학습자가 학습종료와 학습집중도를 확인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학습자관리에서 학습자등록을 수행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등록된 학습자의 학습관리데이터로서 학습자정보와 학습상황 및 학습상황의 학습데이터, 상기 학습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내용 및 현재 학습진행상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리프레쉬하는 것을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의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은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흥미의 증진과 집중도를 향상시켜 학습효율을 극대화하여 학습자의 학업성적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학습내용에 대한 보조적인 학습관리수단을 제공하고 학습자와 학습관리자의 푸쉬알람에 의하여 쌍방향 소통이 가능하게 하여 다수의 학습자를 단일의 학습관리자가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전날 학습한 내용을 상기하고 학습에 대한 자기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켜 학습효율을 대폭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학습집중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2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자 선택의 학과목과 학습교재등록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3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자의 금일의 학습과목과 교재선택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4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자 선택 후의 학습개시를 위한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자의 오늘의 다짐사항의 선택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6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자 명상수행의 단계를 도시하는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7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전날의 학습내용의 확인과 지정시간 동안의 학습내용의 작성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8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본학습진입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9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선택 이후의 집중력 향상을 위한 집중카드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0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자 학습 시간 측정의 스톱워치의 구동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1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내용의 인지확인을 위한 떠올리기단계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2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자가 자신을 평가하는 평가하기 화면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3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자의 초기화면으로의 복귀와 설정되는 휴식시간 구동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4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 완료 시의 전체 집중도와 학습자의 소감을 작성하는 화면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5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부가기능으로서 학습자 확인용의 통계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6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자 모집단 내에서의 학습의 랭킹을 확인하는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7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의 과목과 페이지당의 공부회수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8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서버에서의 학습관리자의 등록화면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9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서버에서의 학습관리자의 학습자 리스트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20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서버에서의 학습관리자의 학습자 어플리케이션 이용기록의 확인을 위한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21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서버에서의 학습관리자-학습자의 실시간 관리화면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22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서버에서의 관리자의 학습자 앱이용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관리화면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23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서버에서의 관리자의 관리화면에서의 푸시알림기능을 위한 학습자로의 푸시알림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24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서버에서의 관리자의 학습자로의 피드백전송을 위한 화면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25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서버에서의 관리자의 학습자로의 피드백전송이 수행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의 전체 인터넷 기반의 기기 구성도.
도 27 내지 28은 본 발명의 학습집중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학습집중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자 각 단계별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18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의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관리서버에서의 관리자의 관리화면의 각 단계 및 관리내용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 도 26은 본 발명의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장치의 전체 인터넷 기반의 기기 구성도,도 27 내지 28은 본 발명의 학습집중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학습집중도 향상을 위한 방법은, 학습자가 학습을 할 때 계획한 공부를 달성하고 효과적인 학습 진행을 위하여 다단의 단계(프로세스)를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며, 학습자의 학습 상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학습자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관리자가 원격으로 지켜보면서 푸시알람을 통해 학습자가 공부에 집중하도록 하는 방법에 기초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학습집중도 향상을 위한 방법은 학습내용 그자체에 대한 학습관리자의 관리는 이루어지지 않으나 학습증진의 보조적인 수단으로서 효율적으로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학습자는 다수의 학습자이 될 수 있고 학습관리자는 학원, 학교 의 1인 이상의 교사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학습집중도 향상을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도 26의 인터넷 기반의 기기 구성도에서와 같이, 통상적인 서버로서의 컴퓨터(PC)- 인터넷 기반의 무선통신(I) -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노트북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단말장치(S1,S2,S3..)가 구성하는 통상의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컴퓨터(PC)는 내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데이터베이스저장과 처리, 기억용의 메모리와 하술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방법을 구동하는 관리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역시 데이터연동하는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장치(S1,S2,S3..)와 통신연결된다.
이들 단말장치(S1,S2,S3..)가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로서, 관리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며, 프로그램은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을 구동하는 각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은 대부분 학습자(ㅣ)의 단말장치(S1,S2,S3..)에서 구현되는 어플리케이션(A)이고 학습관리자(M)가 관리자로서 대응한 서버와 협동하여 수행된다.
본 발명의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은 학습자의 학습동기의 부여와 학습을 위한 명상에 의한 집중력증대 및 학습내용의 리마인드, 학습결과에 대한 반성을 유도하게 하도록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수행을 위한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다.
1. 학습(공부)의 계획 작성과 학습에 대한 설정: 학습 시작 전 계획과 학습을 다짐을 작성하는 것은 학습이 하고 싶어지게 하는 동기부여의 효과를 부여하는 단계이다.
2. 집중력과 기억력을 높이기 위한 명상수행.
3.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집중카드의 훈련.
4. 학습 시에 스톱워치 기능의 사용: 스톱워치의 사용은 학습에 대한 낭비 시간을 줄여주고 학습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5. 공부를 시작하기 전, 전날에 학습한 내용을 상기하고 미리 지정된 시간(예를 들면 1분)동안 떠오른 내용을 쓰게 한다. 이는 전날에 학습한 내용을 복습하는 효과와 입력된 내용을 떠올리게 하는 학습내용의 인출 효과로 인해 기억의 공고화에 도움이 된다. 또한, 지정된 시간 내에 작성해야 하는 압박감으로 집중력을 최대로 발휘하도록 하는 효과를 부여한다.
6. 학습이 끝난 후 방금 학습한 내용을 떠올려보고 잘 떠올려지면 요약 쓰기를 진행하고 잘 떠올려지지 않으면 다시 책을 훑어본 후 요약 쓰기를 진행하게 한다.
7. 학습한 내용을 평가 항목(이해도, 집중도)에 체크하면서 학습한 것을 돌아보고 반성하면서 학습의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8. 학습하면서 느낀 점을 작성하는데, 이를 통해서 학습에 대한 재성찰을 도모하게 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각 단계가 구체적으로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을 예시적으로 디자인된 첨부하는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27 내지 28의 본 발명의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챠트도와 함께 예시적으로 디자인된 어플리케이션 화면을 캡쳐한 도면으로서 설명한다.
[학습과목과 학습내용 및 학습범위 선택단계]
서버와 데이터연동하여 리프레쉬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게 되면, 최초로 학습과목과 학습내용 및 학습범위의 선택 단계(100)로 진입하고 도 1의 어플리케이션의 로그인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에서와 같이, 가상적인 스터디룸으로의 입실을 시작(110)하는 화면을 가진다.
이후, 도 2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학습자가 선택하는 교과목(예시적으로 국어,수학..), 교재선택(예시적으로 '수능완성', '수능특강')으로 학습내용의 등록단계(120)를 가지며,
등록단계의 수행 이후에 도 3과 같이, 오늘 학습할 과목과 교재를 버턴(
Figure 112020138152219-pat00001
)의 조작으로써 과목선택 및 학습범위인 페이지를 입력(130)한다.
위의 선택 및 입력이 종료되면 도 4와 같이, 본 학습으로 진입하는 버턴(
Figure 112020138152219-pat00002
)의 조작으로 학습모드로 진입(140)하게 된다.
[학습전 학습에 대한 다짐과 명상 단계]
학습전, 학습에 대한 다짐과 명상 단계(200)로 진입하고, 도 5에서와 같이, 학습에 임하기 위한 '오늘의 다짐'을 등록하거나(좌도) 또는 기입력된 다수의 '다짐목록'에서 선택(우도)하여 다짐의 내용을 결정(210)한다.
위의 학습을 위한 다짐이 종료되면 도 6과 같이, 일정시간(예를 들면 5분) 동안, 학습을 위한 명상화면이 다양한 종류에서 선택되는 그래픽(도면에서는 불상이나 다양한 종교적 이미지나 학습자가 다양한 그래픽 중,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을 것이다.)으로 도시되고 배경음악으로 명상에 유익한 음악이 흘러나오게(이 역시 학습자 설정과 선택사항으로 할 수 있다.)하여 명상을 유도(220)한다.
[기학습 내용의 확인단계]
기학습 내용의 확인단계(300)로서, 도 7과 같은 단계에 진입하여 전날의 학습내용을 확인하고, 지정시간(예시적으로 1분) 동안 기 학습내용을 입력(310)하게 하여 기학습내용의 리마인드와 기학습 내용의 숙지도를 확인하게 한다.
위의 기학습 내용의 확인단계(300)가 종료되면 도 8의 어플리케이션의 본학습진입의 예시적인 화면캡쳐도에서와 같이, 다시 학습시작버턴(
Figure 112022018016699-pat00003
)을 눌러 단계(140)으로 복귀(320)시켜 시작한다.
[학습개시 전의 집중력 증대 단계]
학습개시 전의 집중력 증대 단계(400)로서 다양한 종류의 집중력을 증대하기 위한 도안의 집중력유도화면을 디스플레이(410)한다.
집중력유도화면은 다양한 종류의 검증된 집중력유도를 위한 도안이 채용될 수 있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시적으로는 태극문양을 디스플레이하고 일정 시간(예를 들면 20초: 문양은 학습자의 설정과 선택이 가능하게 할 수있다.) 집중시키도록 한다. 이 경우, 집중력유도 방법을 역시 설명으로 디스플레이하여 학습자가 이를 따르도록 한다.
[학습개시 및 학습시간의 측정]
위의 일정 시간의 집중력 증대 단계(400)가 종료되면, 도 10과 같이, 학습개시 및 학습시간의 측정단계(500)로 진입하게 되며, 이 단계에서는 학습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스톱워치가 디스플레이되면서 측정개시되어 학습시간을 측정(510)하게 된다.
[학습내용의 인지확인단계]
위의 학습개시 및 학습시간의 측정단계(500)의 구동 중, 학습자가 금일 수행하여야 하는 학습을 종료하게 되면, 학습내용의 인지확인단계(600)로 진입하게 되며 학습자가 종료버턴(
Figure 112020138152219-pat00004
)을 조작하여 시간측정을 중지(610)하면,
도 11과 같이, 직전 학습내용 확인단계로 진입(620)하여 '학습내용의 떠올리기'(연상 및 인지확인)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바로 연상되고 인지된 학습내용을 학습자가 입력(630)하게 된다.
[학습자의 학습평가단계]
위의 단계가 종료되면 학습자의 학습평가단계(700)로서, 직전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본인 평가를 수행하게 한다.
도 12에서와 같이, 학습평가항목으로서 '집중도', '이해도', '예상평가점수'를 선택하여 입력(710)하게 하고, 학습자가 직전 학습에 대한 소감이나 감상을 또한 입력(720)하게 하여 인지적으로 학습내용을 확인하게 한다.
[다른 학습내용으로의 진입과 학습자 학습평가단계]
다른 학습내용으로의 진입과 학습자 학습평가단계(800)로서, 단계(140)로 복귀하면, 도 13에서와 같이, 위의 단계에서 설정한 오늘의 다짐, 학습과목 및 내용의 확인, 순학습시간을 확인(810)하고,
위의 단계에서 스톱워치로 측정된 학습시간에 연동하는 휴식시간(예를 들면 30분 학습이면 5분, 30분 이상이면 10분)을 제공(820)한다. 이때에 본인이 기히 설정메뉴(도시하지 아니함)에서 설정한 좋아하는 음악이나 동영상을 재생할 수 도 있다.
[학습종료와 학습집중도의 확인단계]
학습종료와 학습집중도의 확인단계(900)로서, 학습이 모두 종료되면 공부종료버턴(
Figure 112020138152219-pat00005
)을 눌러 각 학습계획마다 도 8의 화면캡쳐도의 단계(320)로 복귀(910)하면 도 14와 같이, 학습자의 직전 학습에 대한 집중도가 표시되며 해당 학습에 대한 소감을 입력(920)하여 학습프로세스는 종료하게 된다.
[학습프로세스에 대한 부가기능]
위의 학습프로세서에 부가하여 어플리케이션의 화면상에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시적으로, 도 4의 본 학습으로 진입하는 학습모드진입단계(140)에서 제공되는 통계버턴(
Figure 112020138152219-pat00006
)을 누르면, 어플리케이션의 부가기능으로서 제공되는 학습자 확인용의 통계화면을 도시하는 예시적인 화면캡쳐도인 도 15와 같이,
통계 페이지에서는 일별 타임라인 및 전체 학습시간(학습 시작 버튼을 누른 후 학습 종료 버튼을 누를 때까지 걸린 시간), 순학습시간(과목별 학습 시간을 모두 더한 시간), 낭비시간(전체 학습 시간에서 순학습 시간, 집중력 훈련, 휴식 시간 등 프로세스 이외의 시간을 제외하고 남은 시간), 집중력 대비 학습시간(순학습시간 ×집중도), 평균 달성률, 과목별 학습 시간 등을 일별, 주별, 월별 단위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학습자의 해당 학습집단(클래스)에서의 등수를 확인하는 랭킹버턴(
Figure 112020138152219-pat00007
)의 조작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전체 이용자 간의 학습 시간 통계, 학습자가 설정한 학년별 학습 시간 통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나아가, 도 3의 페이지설정화면에서 '페이지보기' 버턴을 조작하면, 도 17과 같이, 학습의 과목과 페이지당의 공부회수를 확인하여 기억력의 고착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학습프로세스는 학습자 단독으로 수행하는 것이 아니고 각 수행 단계별 상황이 학습관리자의 관리화면에 모두 반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학습관리자의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8에서와 같이, 학습관리자는 아이디와 학습자의 이름으로서 학습자관리화면에서 학습자등록을 수행하면, 도 19와 같이, 관리서버에서의 학습자 리스트가 작성될 것이다.
도 20과 같이 각각의 학습자를 클릭하면 학습관리데이터로서 학습자정보와 해당 월의 달력상에 학습상황이 도시(좌도)되며 각 일자의 학습데이터가 보여진다(우도).
위의 학습프로세스에서 학습자가 학습시작버턴(
Figure 112020138152219-pat00008
)을 조작(단계 400)하면, 그때부터 학습자의 운영사항이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학습자의 입력내용 및 현재 학습진행상태가 도 21과 같이 실시간으로 리프레쉬되어 등록되며 도 22에서와 같이, 학습자의 현재 어플리케이션의 운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관리자는 도 23의 관리화면에서 푸시알람기능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언제든지 푸시알림을 보낼 수 있고, 학습의 독려와 학습 변경, 공지사항등을 알려줄 수있으며 도 24와 같이, 피드백보내기를 사용하여 학습자에게 학습상태에 대한 피드백을 보낼 수 있고 이러한 피드백은 메세지로써 학습자에게 도 25와 같이 전송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한 어플리케이션으로서 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그외에 태블릿이나 노트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에 대한 격려와 진도수행의 흥미를 학습자가 가질 수 있게 되어 학습의욕증진과 집중도를 향상시켜 학습효율을 극대화하여 학습자의 학업성적을 대폭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은 학습내용에 대한 보조적인 학습관리수단을 제공하고 학습관리자는 다수의 학습자를 학습관리자가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기 학습한 내용을 상기하고 학습에 대한 자기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학습에 대한 자신감을 증진시켜 학습효율을 대폭 증대시킨다.
100:학습과목과 학습내용 및 학습범위 선택단계
200: 학습전 학습에 대한 다짐과 명상 단계
300: 기 학습내용의 확인단계

Claims (5)

  1. 관리자의 서버로서의 컴퓨터의 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서버와 인터넷 기반 데이터통신의 학습자 조작의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하고, 상기 서버의 관리 프로그램과 상기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연동으로 처리되는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학습자가 상기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학습과목과 학습내용 및 학습범위를 선택하여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의 상기 데이터 전송 이후에, 상기 학습자가 상기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학습에 대한 다짐과 명상을 선택 및 입력하여 상기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에 대한 다짐과 명상을 선택 및 입력 이후에,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학습자가 상기 학습내용을 확인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내용의 확인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개시 전에 집중력의 증대를 선택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집중력 증대선택의 상기 서버로의 전송 이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개시 및 학습시간을 선택 및 측정,입력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개시와 학습시간의 선택과 측정 이후에 상기 서버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으로 상기 학습자가 학습내용을 인지, 확인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내용의 인지확인 이후에, 상기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연동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을 평가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을 평가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서버와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연동에 따라 상기 학습자가 다른 학습내용으로 복귀진입하고 학습을 평가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의 평가 종료 이후에, 상기 서버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연동에 따라 상기 학습자가 학습종료와 학습집중도를 확인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적어도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학습자관리에서 학습자등록을 수행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서버는 상기 등록된 학습자의 학습관리데이터로서 학습자정보와 학습상황 및 학습상황의 학습데이터, 상기 학습자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의 입력내용 및 현재 학습진행상태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리프레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에서의 상기 서버의 관리프로그램과 상기 단말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이 수행하는 방법의 각 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과목과 학습내용 및 학습범위 선택단계로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스터디룸으로의 입실을 시작하는 단계, 상기 스터디룸으로의 입실 이후에 학습내용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학습내용의 등록 이후에 과목선택 및 학습범위인 페이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과목선택 및 학습범위의 입력 이후에, 학습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의 서브단계;
    상기 학습에 대한 다짐과 명상 단계로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학습자가 '오늘의 다짐'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명상을 유도하는 단계의 서브단계;
    상기 기학습 내용의 확인단계로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학습자가 기학습내용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상기 학습자가 학습시작버턴의 조작단계로 복귀하는 단계의 서브단계;
    상기 학습의 개시 전의 집중력 증대 단계로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집중력유도화면으로 상기 학습자가 집중력을 증대하는 단계의 서브단계;
    상기 학습개시 및 학습시간의 측정단계로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학습시간을 스톱워치로 시간측정하는 단계의 서브단계;
    상기 학습 내용의 인지확인단계로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학습자가 시간측정을 중지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가 직전 상기 학습내용의 확인단계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학습내용을 상기 학습자가 입력하는 단계의 서브단계;
    상기 학습자의 학습평가단계로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직전 상기 학습에 대한 상기 학습자의 본인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본인평가 수행이후에 상기 학습자가 직전 상기 학습에 대한 소감을 입력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의 서브단계;
    상기 타 학습내용으로의 진입과 학습자 학습평가단계로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학습자의 학습과목과 학습내용 및 학습범위 선택단계의 상기 학습모드의 진입단계로 복귀하여 상기 학습자의 기설정한 다짐, 학습과목 및 내용의 확인, 순학습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학습시간에 연동하는 휴식시간 동안의 휴식을 수행하는 단계의 서브단계;
    상기 학습종료와 학습집중도의 확인단계로서,
    상기 학습자가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고 상기 서버로 전송되는, 상기 기 학습내용의 확인단계의 상기 학습자의 학습과목과 학습내용 및 학습범위 선택단계의 학습모드의 진입단계로 복귀하는 단계, 상기 직전 학습에 대한 집중도 확인과 학습에 대한 소감을 입력하는 단계의 서브단계;
    로 각각 순차적으로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관리프로그램과 상기 단말장치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서버에 전송,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일별 타임라인 및 전체 학습시간, 순학습시간, 낭비시간, 집중력 대비 학습시간, 평균 달성률, 과목별 학습 시간을 일별, 주별, 월별 단위로 확인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전송,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전체 상기 학습자 간의 학습 시간 통계, 학습자가 설정한 학년별 학습 시간 통계를 확인할 수 있는 부가기능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전송,입력된 데이터로부터 상기 학습자의 상기 기학습의 과목과 페이지당의 공부회수를 확인하여 기억력의 고착화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부가기능을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수행하는 단계;
    를 하나 이상 또는 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200178639A 2020-12-18 2020-12-18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KR10243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39A KR102431279B1 (ko) 2020-12-18 2020-12-18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39A KR102431279B1 (ko) 2020-12-18 2020-12-18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024A KR20220088024A (ko) 2022-06-27
KR102431279B1 true KR102431279B1 (ko) 2022-08-09

Family

ID=8224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639A KR102431279B1 (ko) 2020-12-18 2020-12-18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2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58B1 (ko) 2011-02-10 2011-12-23 김창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능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4823A (ko) * 2011-06-03 2012-12-12 (주)에스제이알에듀테인먼트 효율적인 공부시간 관리방법
KR101693592B1 (ko) * 2015-02-17 2017-01-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학습 관리 방법
KR101753314B1 (ko) 2017-02-07 2017-06-30 주식회사 시메이션 이미지 매칭 학습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테스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KR102127171B1 (ko) 2019-08-30 2020-06-26 주식회사 카카오뱅크 신분증 인식 모델을 이용한 분산 학습 방법, 서버, 어플리케이션 및 이를 통한 신분증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58B1 (ko) 2011-02-10 2011-12-23 김창화 인터넷을 이용한 독서능력 훈련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8024A (ko) 202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030B2 (en) Mobile based learning and testing system for automated test assignment, automated class registration and customized material delivery
US20140227675A1 (en) Knowledge evaluation system
US20080261191A1 (en) Scaffolding support for learning application programs in a computerized learning environment
KR20090027024A (ko) 다중 측정된 생체신호를 기반으로한 스트레스 분석방법
US10839708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ering an examination
JP4631014B2 (ja) 電子教材学習支援装置と電子教材学習支援システム及び電子教材学習支援方法並びに電子学習支援プログラム
KR101576727B1 (ko)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US20140322692A1 (en) Methods for online education
US20070190513A1 (en) Learning system, learning server, and program
US202100655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mptly connecting a knowledge seeker to a subject matter expert
WO2019150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monitor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al progress
US2014017884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ministering learning contents
KR102431279B1 (ko) 학습효율 증대 및 학습관리를 위한 방법
CN112926934A (zh) 一种教学评价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5106836A (ja) 医療教育システム
KR101517965B1 (ko) 위치 기반 강의 출결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2108199A (ja) 学習テスト方法及び学習テストシステム
CN113268512B (zh) 基于互联网平台的企业岗位职业技能培训系统
KR102154287B1 (ko) 서비스 인력 관리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및 서버
TWI723826B (zh) 線上評量考試系統及其運作方法
KR101958918B1 (ko) 커리큘럼 강의 스케줄 조정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11769A (ko) 강의 평가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161113A (zh) 一种成绩信息快速辅助录入的方法与系统
JP2001305946A (ja) 学習システム及び学習方法
KR20130025254A (ko) 모바일 문제 답안 작성에 의한 학습 패턴 정보 제공 방법 및 모바일 문제답안 작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