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106B1 -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 Google Patents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106B1
KR102431106B1 KR1020180059766A KR20180059766A KR102431106B1 KR 102431106 B1 KR102431106 B1 KR 102431106B1 KR 1020180059766 A KR1020180059766 A KR 1020180059766A KR 20180059766 A KR20180059766 A KR 20180059766A KR 102431106 B1 KR102431106 B1 KR 102431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manufacturing
reinforced
reinforced separator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302A (ko
KR102431106B9 (ko
Inventor
김성연
노태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80059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106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06B1/ko
Publication of KR102431106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06B9/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87After-treatment
    • C08J5/2293After-treatment of fluorine-containing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8L101/04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halogen ato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sulfur, e.g. sulfonated-polyethersulfones [S-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ll Separators (AREA)
  • Fuel Cell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도 조절이 용이한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RESIN COMPOSITION FOR PREPARING OF REINFORCED MEMBRANE, PREPARATION METHOD FOR THEREOF AND BATTER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전력 저장 기술은 전력 이용의 효율화, 전력 공급 시스템의 능력이나 신뢰성 향상, 시간에 따라 변동폭이 큰 신재생 에너지의 도입 확대, 에너지 재생 등 에너지 전체에 걸쳐 효율적 이용을 위해 중요한 기술이며, 그 발전 가능성 및 사회적 기여에 대한 요구가 점점 증대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세계적으로 풍력, 태양광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원을 사용한 전력 수급 방식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현대의 증가된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의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공급이 필요하다. 대표적 신재생 에너지인 풍력, 태양광 에너지 발전의 경우, 환경 변화에 따른 발전량 및 출력에 변동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용량, 고효율 에너지 저장 장치가 필요하다.
마이크로 그리드와 같은 반 자율적은 지역 전력 공급 시스템의 수급 균형의 조정 및 풍력이나 태양광 발전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의 불균일한 출력을 적절히 분배하고 기존 전력 계통과의 차이에서 발생하는 전압 및 주파수 변동 등의 영향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분야에서 이차 전지의 활용도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Redox flow battery, RFB)는 대용량화가 가능하며, 유지 보수 비용이 적고, 상온에서 작동 가능하며, 용량과 출력을 각기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최근 대용량 이차 전지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중에서도, 바나듐 이온을 이용하는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Vanadium redox flow battery, VRFB)가 차세대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바나듐 이온이 분리막(이온 교환막)을 투과하는 크로스-오버(crossover) 현상 등으로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의 용량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려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고자, 분리막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법, 분리막의 이온성기를 치환하는 방법, 분리막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가교시키기 위한 첨가제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분리막 자체의 구조 변경을 통해 투과도를 줄이는 방법으로 전도도의 감소 또는 내구성의 문제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전지 운전조건(state of charge: SOC)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전지의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는 일정 운전 이후에 전해액을 혼합한 후 다시 반으로 분배하여 운전하는 방법이 있으나, 전해액을 일정 시간 이후 또는 상시 혼합시켜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다공성 기재에 함침이 잘 이루어지며, 점도 조절이 가능하여 대면적 분리막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다공성 기재에 함침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전지에 적용 가능한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공성 분리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술폰화된 고분자,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알코올 및 물은 2:5 내지 4: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다공성 기재에 함침하여 시트 형태의 강화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극;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 배치되는 강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로,
상기 강화 분리막은 상기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점도 조절이 용이하여 대면적 분리막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건조 후에 분리막에 잔존하지 않아 전지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분리막은 높은 수소 이온 전도도, 기계적 강도 및 내구성을 필요로 한다. 또한, 분리막의 두께는 분리막에 함침되는 수지 조성물의 점도에 의존한다.
상기 수지 조성물을 다공성 기재에 함침하여 다공성 분리막을 제조하는 경우, 상기 수지 조성물은 고분자 수용액 및 알코올을 포함하며, 특히 상기 알코올을 필수로 포함한다. 그러나, 고분자 수용액에 알코올을 첨가할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급감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 기재에 함침되는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향상시키면서 점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즉, 본 발명은 술폰화된 고분자,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하며,
상기 알코올 및 물은 2:5 내지 4: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다공성 기재에 함침되며, 이로부터 강화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술폰화된 고분자는 이온 교환을 할 수 있는 고분자이며, 본 발명에서는 퍼플루오르술폰산계 고분자, 술폰화된 폴리아릴렌에테르계 고분자,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케톤계 고분자, 술폰화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고분자, 술폰화된 폴리아미드계 고분자, 술폰화된 폴리이미드계 고분자, 술폰화된 폴리포스파젠계 고분자, 술폰화된 폴리스티렌계 고분자 및 방사선 중합된 술폰화된 저밀도폴리에틸렌-g-폴리스티렌계 고분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단일 공중합체(Homo copolymer), 교대 공중합체(Alternating copolymer), 불규칙 공중합체(Random copolymer), 블록 공중합체(Block copolymer), 멀티블록 공중합체(Multiblock copolymer) 또는 그라프트 공중합체(Grafting copolymer)인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술폰화된 고분자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퍼플루오르술폰산계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술폰화된 고분자는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술폰화된 고분자가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다공성 기재에 함침한 이후 다공성 기재 내부에 잔존하는 술폰화된 고분자의 양이 적어 다공성 기재의 기공을 모두 채우지 못하여 분리막에 기공이 존재하게 되어 분리막의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다공성 기재에 잔존하는 술폰화된 고분자의 양이 적어 최종적으로 제조되는 강화 분리막의 두께가 얇게 제조된다. 또한, 상기 술폰화된 고분자가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다공성 기재에 함침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술폰화된 고분자는 파우더 형태 또는 술폰화된 고분자 수용액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술폰화된 고분자가 수용액 형태로 포함될 경우, 수용액의 용매인 물을 증발시키거나 추가하여 알코올과의 비율을 조절하여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은 알코올 및 물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 기재에 함침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알코올을 반드시 필요로 하나, 알코올 첨가시 조성물의 농도가 감소하면서 점도가 급감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술폰화된 고분자의 농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알코올 및 물의 중량비를 조절하여 조성물의 점도 향상 및 점도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알코올 및 물을 합한 중량은 60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5 중량%이며, 상기 범위 내에서 알코올 및 물의 중량비를 조절하여 조성물의 점도 향상 및 점도 조절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알코올 17 내지 52 중량% 및 물 25 내지 65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알코올 20 내지 49 중량% 및 물 30 내지 61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함량 범위에서 알코올 및 물은 2:5 내지 4:3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4:3 내지 3:4, 보다 바람직하게는 3:3 내지 4:3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포함된다. 상기 알코올 및 물의 중량비가 상기 범위 미만이면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조성물이 겔(gel)화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1-프로판올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의 점도는 100 내지 3000cps이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알코올 및 물의 중량비에 의존한다. 즉,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상기 알코올 및 물의 중량비를 조절함으로써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원하는 점도의 조성물을 얻을 수 있어, 원하는 두께의 강화 분리막을 얻을 수 있다.
전지, 특히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상기 강화 분리막의 두께가 30 내지 50μm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강화 분리막의 두께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끓는점이 100℃ 이상인 유기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끓는점이 100℃ 이상인 유기용매를 추가로 포함하면, 강화 분리막 제조시 용매가 빠르게 증발하는 문제를 해결하여 크랙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끓는점이 100℃ 이상인 유기용매의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끓는점이 100℃ 이상인 유기용매는 상기 술폰화된 고분자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로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다공성 기재에 함침하여 시트 형태의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다수의 기공을 포함하고 있다면 몸체의 구조 및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공성 기재는 폴리에틸렌(poltethylen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thylenevinylacetate copolym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폴리비닐리덴클로라이드(polyvinylidenechlorid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릴렌에테르술폰(poly(arylene ether sulfone)), 폴리에테르케톤(polyetherketon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폴리에틸렌에테르나이트릴(polyethylene ether nitrile)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기재의 기공에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함침시키며, 이를 시트(sheet) 형태의 강화 분리막으로 제조한다.
상기 시트 형태의 강화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한 성형 방법 및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특별히 한정한지 않으나, 대면적 분리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롤투롤(roll to roll) 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롤투롤 방법으로 강화 분리막 제조시, 강화 분리막의 두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의 점도에 의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점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롤투롤 방법을 이용하여 강화 분리막 제조시 분리막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대면적 분리막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극;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 배치되는 강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로,
상기 강화 분리막은 상기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전지는 본 발명의 강화 분리막을 적용할 수 있는 전지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수처리 분리막, 레독스 플로우 전지, 리튬 이온전지, 수소연료전지 및 클로로-알칼리(chloro-alkali) 전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레독스 플로우 전지,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전지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 구현예로서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으로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5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또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술폰화된 고분자의 함량은 30 중량%로 고정하였으며, 70 중량%의 범위 내에서 알코올 및 물의 중량비를 조절하였다.
술폰화된 고분자는 파우더 형태의 Aquivion EW980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알코올은 1-프로판올을 사용하였다.
Aquivion(g) 1-프로판올(g) 물(g) 1-프로판올:물
비교예 1 3 0 7 0:7
비교예 2 3 1 6 1:6
실시예 1 3 2 5 2:5
실시예 2 3 3 4 3:4
실시예 3 3 3.5 3.5 3:3
실시예 4 3 4 3 4:3
비교예 3 3 5 2 5:2
비교예 4 3 6 1 6:1
비교예 5 3 7 0 7:0
실시예 5.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제조
25 중량% 농도의 술폰화된 고분자가 용해된 술폰화된 고분자 수용액 100g(Aquivion Dispersion E98-25S)을 준비하였다. 이배퍼레이션(evaporation)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액의 용매인 물을 75g 증발시킨 후, 상기 증발된 수용액에 1-프로판올 25g 및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7.5g을 첨가하여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 중 술폰화된 고분자의 함량은 30.3 중량%였으며, 1-프로판올과 물의 중량비는 3:3이었다.
실시예 6.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제조
25 중량% 농도의 술폰화된 고분자가 용해된 술폰화된 고분자 수용액 100g(Aquivion Dispersion E98-25S)을 준비하였다. 이배퍼레이션(evaporation)을 이용하여 상기 수용액의 용매인 물을 79g 증발시킨 후, 상기 증발된 수용액에 1-프로판올 28g 및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7.5g을 첨가하여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조성물 중 술폰화된 고분자의 함량은 30.67 중량%였으며, 1-프로판올과 물의 중량비는 4:3이었다.
실험예 1. 조성물의 점도 및 분리막 두께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상온 및 40%의 습도에서 점도 측정기(디지털 회전형 점도계(DV2TLV), BROOKFIELD)로 측정하였으며, 이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강화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기재인 폴리에틸렌에 상기 조성물 각각을 롤투롤 장비를 이용하여 50μm 두께로 제막한 뒤, 순환오븐으로 80℃에서 3시간, 180℃에서 15시간 및 200℃에서 4분 진공 건조를 실시하여 강화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강화 분리막의 두께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점도(cps) 분리막 두께(μm) 1-프로판올:물
비교예 1 73.35 43 0:7
비교예 2 73.8 41 1:6
실시예 1 182.5 50 2:5
실시예 2 546.1 75 3:4
실시예 3 588.4 84 3:3
실시예 4 1167 150 4:3
실시예 5 193 45 3:3
실시예 6 306 52 4:3
비교예 3 Gel X 5:2
비교예 4 Gel X 6:1
비교예 5 Gel X 7:0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점도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점도 조절을 통하여 강화 분리막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었다.
강화 분리막을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적용함에 있어서, 상기 강화 분리막의 두께는 30 내지 50 μ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실시예 5가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적용되는 강화 분리막 제조에 매우 적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화 분리막을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전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술폰화된 고분자를 파우더 형태로 포함할 경우 알코올과 물의 비율이 2: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술폰화된 고분자를 수용액 형태로 포함할 경우 알코올과 물의 비율이 3:3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 및 2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점도가 낮아 강화 분리막에 제조에 적합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교예 1 및 2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점도가 낮아 분리막 제조시 롤투롤 장비에서 기재 필름 상에 상기 조성물을 캐스팅하면 흘러 내리는 문제가 발생하며, 다공성 기재에 함침이 잘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비교예 3 내지 5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조성물은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겔화 현상이 발생하여 강화 분리막을 제조할 수 없었다.

Claims (13)

  1. 술폰화된 고분자 수용액 및 알코올을 포함하며,
    상기 알코올 및 술폰화된 고분자 수용액의 용매인 물은 4:3 내지 3:4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로,
    상기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의 점도는 100 내지 3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및 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1-프로판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술폰화된 고분자는 퍼플루오르술폰산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술폰화된 고분자 10 내지 40 중량%, 알코올 17 내지 52 중량% 및 물 25 내지 6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은 추가로 끓는점이 100℃ 이상인 유기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끓는점이 100℃ 이상인 유기용매는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N-메틸-2-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마이드 및 디메틸설폭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끓는점이 100℃ 이상인 유기용매는 술폰화된 고분자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10. 청구항 1 내지 5 및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을 다공성 기재에 함침하여 시트 형태의 강화 분리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트 형태의 강화 분리막 제조는 롤투롤 공정에 의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 분리막 제조방법.
  12. 음극; 양극; 및 상기 음극과 상기 양극 사이에 배치되는 강화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지로,
    상기 강화 분리막은 청구항 1 내지 5 및 청구항 7 내지 9 중 어느 한 항의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전지는 바나듐 레독스 플로우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KR1020180059766A 2018-05-25 2018-05-25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KR102431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66A KR102431106B1 (ko) 2018-05-25 2018-05-25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766A KR102431106B1 (ko) 2018-05-25 2018-05-25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02A KR20190134302A (ko) 2019-12-04
KR102431106B1 true KR102431106B1 (ko) 2022-08-09
KR102431106B9 KR102431106B9 (ko) 2023-04-12

Family

ID=6900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66A KR102431106B1 (ko) 2018-05-25 2018-05-25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1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1227A (ko) * 2011-11-09 2013-05-20 주식회사 엘지화학 롤투롤 코팅장치 및 이를 사용한 세퍼레이터의 제조방법
KR20150045305A (ko) * 2013-10-18 2015-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막의 제조방법 및 분리막
GB201413794D0 (en) * 2014-08-04 2014-09-17 Johnson Matthey Fuel Cells Ltd And Universit� De Montpellier Ii And Ct Nat De La Rech Scient Membrane
KR20160064429A (ko) * 2014-11-28 2016-06-08 상명대학교 천안산학협력단 레독스 흐름 전지용 복합다공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0928B1 (ko) * 2015-12-02 2017-06-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레독스 흐름 전지용 분리막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02A (ko) 2019-12-04
KR102431106B9 (ko) 202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ian et al. Proton conducting composite membrane from Daramic/Nafion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y
Farooqui et al. Effect of polyaniline (PANI) on Poly (vinylidene fluoride-co-hexaflouro propylene)(PVDF-co-HFP)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repared by breath figure method
Gan et al. Facile fabrication of amphoteric semi-interpenetrating network membranes for vanadium flow battery applications
CN107004880B (zh) 聚合物电解质膜
KR20160064429A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복합다공막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20093954A1 (en) Separator for redox flow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0383553B (zh) 增强隔膜的制造方法、使用该制造方法制造的增强隔膜和氧化还原液流电池
CN107207424A (zh) 包含芳环的化合物和使用该化合物的聚电解质膜
JP5189394B2 (ja) 高分子電解質膜
KR101633908B1 (ko) 레독스흐름전지용 고분자전해질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레독스 흐름 전지
KR102563567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26530A (ko) 레독스 흐름 전지용 분리막, 레독스 흐름 전지용 제조방법, 및 레독스 흐름 전지
US11038184B2 (en) Porous support having excellent filling characteristics of ion conduct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inforced membrane including the same
KR102431106B1 (ko) 강화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CN110197919B (zh) 一种全钒液流电池用离子传导型多孔隔膜及其制备法和用途
KR102585647B1 (ko) 레독스 플로우 전지의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의 점도 조절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시스템
KR102308461B1 (ko) 분리막 제조용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Nonjola et al. Membrane separators fo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technologies
De Aja et al. Proton exchange membranes based on polymeric ionic liquids for fuel cell applications
CN111718505A (zh) 全钒液流电池用磺化聚醚醚酮/聚偏氟乙烯复合离子交换膜及其制备方法
CN111261911B (zh) 一种液流电池复合膜及其应用
KR20220066660A (ko) 불소계 수지가 함침된 바이폴라 플레이트 제조방법
KR20200056069A (ko) 다층 강화 분리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CN114583201A (zh) 一种液流电池用高性能离子传导膜及其制备和应用
Rodgers et al. Investigation of the Presence of a Saturating Media during Hot Pressing of Proton Exchange Membranes to Improve Perform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