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930B1 - 방수 부재 - Google Patents

방수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930B1
KR102430930B1 KR1020220017547A KR20220017547A KR102430930B1 KR 102430930 B1 KR102430930 B1 KR 102430930B1 KR 1020220017547 A KR1020220017547 A KR 1020220017547A KR 20220017547 A KR20220017547 A KR 20220017547A KR 102430930 B1 KR102430930 B1 KR 102430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gap
extension portion
protrusion
sol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신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탄탄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탄탄구조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탄탄구조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017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커버하여 간극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1 간극을 커버하며,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2 간극을 커버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방수 부재일 수 있다.

Description

방수 부재{Waterproof apparatus}
본 발명은 방수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커버하여 간극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유와 석탄과 같은 화석원료의 감소와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로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연구 개발이 대두되게 되었고, 특히 친환경 에너지 중에서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태양광에너지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이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은 옥외 주차장 지붕 또는 건축물의 지붕 역할을 하도록 건축물의 옥상에 주로 설치된다.
이러한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때에는 기둥 상부에 일정한 면적이 구비되게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설치하고, 상기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에 태양광패널이 놓여지는 지지프레임을 설치한다.
이때 체결수단을 이용해 기둥과 가로 프레임 등을 고정 설치하는 과정 중에 다수의 관통공을 지붕과 기둥 등에 형성하면서, 장마철이나 비가 내릴 때에는 관통공을 통해 건물 내부로 누수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21-0042792호(2021.04.20)에서는 우천시 누수처리문제, 모듈 발생열처리로 필요한 자연환기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방수기능 경사고정형태양광발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태양광 패널 자체의 모서리(엣지) 부분에서의 돌기가 형성되는 구조적 특성 때문에, 지붕으로 활용하는 태양광 패널의 하측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태양광 패널의 구조적 특성인 태양광 패널 자체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돌기가 형성되어,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패널 사이의 간극이 형성되더라도,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패널 사이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태양광 패널 하측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 부재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커버하여 간극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1 간극을 커버하며,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2 간극을 커버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방수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에 의하면,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패널 사이에 용이하게 부착되어,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패널 사이의 간극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가 부착되는 태양광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패널 사이의 간극을 커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커버하여 간극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1 간극을 커버하며,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2 간극을 커버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는, 방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간극에 삽입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2 부재로부터 가압력을 인가 받는, 방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삽입 공간의 일부에 삽입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2 부재가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에 의해 배출 공간을 형성하는, 방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일부가 오버랩되게 형성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부재와 접촉되는 제1-1 연장부 및 상기 배출 공간을 형성하는 제1-2 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부재와 접촉되는 제2-1 연장부 및 상기 배출 공간을 형성하는 제2-2 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 연장부와 상기 제2-1 연장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2 연장부와 상기 제2-2 연장부와의 이격 거리와 다른, 방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는 몸체부; 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 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부와 일부가 오버랩되게 형성되는 제2 연장부; 및 기 제3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보다 작은, 방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방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돌출부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돌출부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방수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연장부의 높이 보다 작은, 방수 부재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가 부착되는 태양광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가 태양광 패널과 태양광 패널 사이의 간극을 커버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2 부재 및 제3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의 (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를 구성하는 제1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우선, 방향에 대한 용어를 정의하자면 도 2, 도 4 및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x방향은 제1 방향을 의미 할 수 있으며, y 방향은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을 의미 할 수 있으며, z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태양광 패널(P)은 일반적으로 옥외 주차장 지붕 또는 건축물의 지붕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 건축물의 옥상에 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10)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태양광 패널(P)에 부착되어 태양광 패널(P)과 태양광 패널(P) 사이의 간극(S)을 커버하여 우천 시, 간극(S)을 통한 지붕으로의 누수를 방지하게 된다.
패양광 패널(P)은 가장자리에 엣지(edge)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간극(S)은 태양광 패널(P)의 엣지와 인접한 태양광 패널(P)의 엣지 사이의 빈틈을 의미한다.
태양광 패널(P)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도2 에서 볼 수 있듯이, 간극(S)또한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간극인 제1 간극(S1) 및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간극인 제2 간극(S2)이 형성된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방수 부재(10)를 구성하는 제1 부재(100)는 상기 제1 간극(S1)을 커버하며, 제2 부재(20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S3)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부재(100)는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태양광 패널(P)의 엣지와 높이가 동일한 부착 패드(G1)에 의해 태양광 패널(P) 및 인접한 태양광 패널(P)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제1 간극(S1)을 커버하여 상기 제1 간극(S1)으로의 누수를 방지한다.
상기 부착 패드(G1)는 일례로 양면 테이프 일 수 있으며, 부착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한 높이를 가질 수 있는 접착제는 모두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재(100)는 부착 패드(G1)에 의해 태양광 패널(P) 및 인접한 태양광 패널(P)에 부착되어, 상기 제1 간극(S1)을 커버한다.
한편, 제2 부재(200)는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간극(S2)을 커버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부재(100)가 형성하는 삽입 공간(S3)으로 삽입되어 위치 고정된다.
상기 제2 부재(200) 또한,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태양광 패널(P)의 엣지 의 높이 및 부착 패드(G1)에 부착되는 상기 제1 부재(100)의 높이를 더한 높이를 가지는 부착 패드(G2)에 의해 태양광 패널(P) 및 인접한 태양광 패널(P)에 부착되어, 상기 제2 간극(S2)을 커버하여 상기 제2 간극(S2)으로의 누수를 방지한다.
상기 제1 부재(100) 및 상기 제 2 부재(200)는 탄성이 있으며, 방수가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이나 고무 등으로 제작된다.
한편, 상기 방수 부재(10)는 상기 제2 간극(S2)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간극(S2)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제3 부재(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3 부재(300)는 상기 제2 부재(200)와 접촉되어, 상기 제2 부재(200)로부터 가압력을 인가 받는 본체부(310) 및 상기 본체부(310)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누수된 물이 고일 수 있게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돌출부(320)를 구비한다.
즉, 도 5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3 부재(300)를 구성하는 상기 돌출부(320)는 상기 제2 간극(S2)에 삽입되어, 상기 제2 간극(S2)으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상기 제3 부재(300)를 구성하는 본체부(310)는 상기 제3 부재(300)가 삽입된 이후 부착되는 상기 제2 부재(200)에 의해 가압력을 인가 받아, 상기 제2 간극(S2)을 실링하여 상기 제2 간극(S2)으로의 누수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3 부재(300)는 도 5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부재(200)와 상기 태양광 패널(P)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부착 패드(G2)와 이격되어, 상기 제2 부재(200), 상기 부착 패드(G2) 및 상기 태양광 패널(P) 사이에 배출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실링을 위해,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부(310)의 길이는,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간극의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부재(300)는 실링을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부재(100)는 도 3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는 몸체부(110), 상기 몸체부(110)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130), 상기 제1 연장부(130)와 상기 제3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제1 연장부(130)와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일부가 오버랩되게 형성되는 제2 연장부(140)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130) 및 상기 제2 연장부(140)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150)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부재(100)를 구성하는 상기 제2 연장부(140)는 부착 패드(G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장부(140)에 의해 상기 제1 부재(100)는 태양광 패널(P)에 부착된다.
또한,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부재(100)는 상기 제1 연장부(130) 및 상기 제2 연장부(140), 상기 제3 연장부(150)에 의해 상기 제2 부재(200)가 삽입되는 삽입 공간(S3)을 형성한다.
여기서,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삽입 공간(S3)의 일부에 삽입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4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부(130) 및 상기 제2 연장부(140)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2 부재(200)가 삽입되는 방향인 제2 방향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점점 좁아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부재(200)가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 공간(S3)으로 소정의 위치(억지 끼움이 되는 위치)까지 삽입 된 경우,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더 이상 위치 이동이 불가하게 된다.
따라서,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삽입 공간(S3)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부재(100)는 상기 제2 부재(200)가 삽입되지 않은 나머지 일부에 의해 배출 공간(S4)을 형성한다.
즉,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삽입 공간(S3)의 일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부재(100)와 이격되어 상기 삽입 공간(S3) 상에 상기 배출 공간(S4)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방수 부재(10)는 우천 시, 도 4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일례로, 상기 제2 부재(200)와 상기 제1 연장부(130) 사이의 간극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고, 다른 일례로, 상기 제2 부재(200)와 상기 제2 연장부(140) 사이의 간극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또 다른 일례로 태양광 패널(P)의 엣지와 상기 제2 연장부(140) 사이의 간극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 등에 의해 우천 시, 물은 상기 삽입 공간(S4)으로 유입 될 수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10)는 상기 상기 제1 부재(100) 및 상기 제2 부재(200)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 공간(S4)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방향으로 배출 공간(S4)을 통해 상기 삽입 공간(S4)으로 유입된 물을 배출하게 된다.
또한, 플라스틱 또는 고무 등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삽입 공간(S3)의 일부에 삽입되므로, 온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여름철에 고온에 의한 열팽창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2 부재(200)가 상기 삽입 공간(S3)의 일부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2 부재(200)는 나머지 공간인 배출 공간(S4)으로 고온에 의한 팽창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배출 공간(S4)에 의해 열팽창에 의한 뒤틀림이나 파손 등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제1 연장부(130)는 상기 제2 부재(200)와 접촉되는 제1-1 연장부(131) 및 상기 배출 공간(S4)을 형성하는 제1-2 연장부(132)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상기 제2 연장부(140) 또한, 상기 제2 부재(200)와 접촉되는 제2-1 연장부(141) 및 상기 배출 공간(S4)을 형성하는 제2-2 연장부(142)를 더 구비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의 (c)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연장부(130)는 삽입 공간(S3)을 형성하며, 삽입 공간(S3) 내에서 삽입된 상기 제2 부재(200)와 접촉하는 상기 제1-1 연장부(131)와 상기 제2 부재(200)가 삽입 되지 않은 나머지 공간인 배출 공간(S4)을 형성하는 상기 제1-2 연장부(132)로 구성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6의 (c)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연장부(140)는 삽입 공간(S3)을 형성하며, 삽입 공간(S3) 내에서 삽입된 상기 제2 부재(200)와 접촉하는 상기 제2-1 연장부(141)와 상기 제2 부재(200)가 삽입 되지 않은 나머지 공간인 배출 공간(S4)을 형성하는 상기 제2-2 연장부(13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 연장부(131)와 상기 제2-1 연장부(141)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1-2 연장부(132)와 상기 제2-2 연장부(142)와의 이격 거리와 다르게 형성된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 연장부(131)와 상기 제2-1 연장부(141)의 이격 거리(H1)는 상기 제1-2 연장부(132)와 상기 제2-2 연장부(142)와의 이격 거리(H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 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2 부재(200)가 상기 삽입 공간(S3)으로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삽입을 제한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제2 부재(200)는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높이(H8)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부재(200)의 높이(H8)는 상기 제1-1 연장부(131)와 상기 제2-1 연장부(141)의 이격 거리(H1)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2 연장부(132)와 상기 제2-2 연장부(142)와의 이격 거리(H2)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의 (c)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부재(200)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의 위치인 상기 제1-1연장부(131) 및 상기 제2-1연장부(141)와 접촉되는 위치(억지 끼움 되는 위치)까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부재(200)는 상기 삽입 공간(S3)의 일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제1-2 연장부(132)와 상기 제3 연장부(150) 및 상기 제2-2 연장부(142)에 의해 규정되는 배출 공간(S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부재(100)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연장부(130)의 길이(L1)은 상기 제1 부재(100)를 구성하는 상기 제2 연장부(140)의 길이(L2)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부(130)의 길이(L1)는 상기 제1-1연장부(131) 및 상기 제1-2 연장부(132)를 포함한 길이를 의미하며, 상기 제2 연장부(140)의 길이(L1) 또한, 상기 제2-1연장부(141) 및 상기 제2-2 연장부(142)를 포함한 길이를 의미한다.
즉, 도 7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장부(140)의 길이(L2)가 상기 제1 연장부(130)의 길이(L1)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제2 부재(200)를 상기 삽입 공간(S3)으로 삽입시킬 경우, 상기 제2 연장부(140)에 상기 제2 부재(200)를 거치 시킨 후, 상기 제2 연장부(140)를 가이드로 활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상기 삽입 공간(S3)으로 삽입 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연장부(130)는 상기 제2 부재(200)의 상면과 접촉 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연장부(140)는 상기 제2 부재(200)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여기서 만약, 도 7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장부(140)의 길이(L2)가 상기 제1 연장부(130)의 길이(L1)와 동일하게 형성된다면, 작업자는 상기 제2 부재(200)를 상기 삽입 공간(S3)에 삽입 시킬 경우, 삽입이 용이하지 않게 되며, 나아가, 삽입 시, 상기 제2 부재(200)가 휘거나 부러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수 부재(10)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장부(140)의 길이(L2)가 상기 제1 연장부(130)의 길이(L1)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상기 제2 부재(200)를 상기 삽입 공간(S3)으로 삽입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연장부(130)는 상기 제1 연장부(130)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133)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140) 또한, 상기 제2 연장부(140)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143)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연장부(130)는 상기 제1 부재(100)의 재질의 특성 상 복원력에 의해 삽입된 상기 제2 부재(2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1 부재(100)와 상기 제2 부재(200)간의 결합을 견고히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연장부(130)와 상기 제2 부재(200) 사이의 제2 방향으로의 간극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돌출부(133)를 구비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6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연장부(140)는 상기 제1 부재(100)의 재질의 특성 상 복원력에 의해 삽입된 상기 제2 부재(2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제한하며, 상기 제1 부재(100)와 상기 제2 부재(200)간의 결합을 견고히 유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 연장부(140)와 상기 제2 부재(200) 사이의 제2 방향으로의 간극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2 돌출부(143)를 구비한다.
다만, 상기 제1 돌출부(133)는 상기 제1-1 연장부(131)에서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 공간(S3)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 돌출부(143) 또한, 상기 제2-1 연장부(141)에서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 공간(S3) 내측으로 돌출 형성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제1 돌출부(133)의 길이(L3)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돌출부(143)의 길이(L4)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6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돌출부(143)의 길이(L4)는 상기 제1 돌출부(133)의 길이(L3)보다 크게 형성된다.
나아가, 도 6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돌출부(133)의 높이(H3)는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돌출부(143)의 높이(H4)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작업자가 상기 제2 부재(200)를 상기 제2 연장부(140)를 가이드로 이용하여 상기 삽입 공간(S3)으로 삽입 시킬 경우,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돌출부(143)의 길이(L3)가 상기 제1 돌출부(133)의 길이(L4)보다 상대적으로 길고,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돌출부(143)의 높이(H4)가 상기 제1 돌출부(133)의 높이(H3)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2 연장부(140)로의 삽입을 보다 원활하게 구현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돌출부(133)의 길이(L3)가 상기 제2 돌출부(143)의 길이(L4)보다 상대적으로 작고,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돌출부(133)의 높이(H3)가 상기 제2 돌출부(143)의 높이(H4)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돌출부(133)는 삽입된 상기 제2 부재(20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부재(100)와 상기 제2 부재(200)간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한다.
다만, 도 6의 (a) 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돌출부(133)와 상기 제2 돌출부(134)의 이격 거리는 상기 제2 부재(200)의 높이(H3)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히다.
한편, 도 8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부재(100)는 상기 제1 간극(S1)을 커버하는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부(110)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연장부(12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는 일례로, 도 8의 (a)에서 볼 수 있듯이 하측 부분이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곡률을 가지는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1 간극(S1)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제작 될 수 있다.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110)가 형성되는 높이(H5)는 상기 몸체연장부(120)의 높이(H6)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110)의 높이(H5) 및 상기 몸체연장부(120)의 높이(H6)는 상기 몸체부(110) 및 상기 몸체연장부(120)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두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110)가 형성되는 높이(H5)는 상기 몸체연장부(120)의 높이(H6)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몸체부(110)로의 보다 적은 외력을 인가하여, 상기 몸체부(110)의 휨 등의 물리적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일례로 도 8의 (b)에서 볼 수 있듯이, 태양광 패널(P)이 부착되는 지붕에서 지붕의 부식 등의 상태에 따라 패널(P)과 패널(P)의 상기 제3 방향으로의 높이 차(H7)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부재(100)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평행을 유지 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는 상기 몸체부(110)로의 보다 적은 외력을 가하고, 이에 따른 인위적인 물리적 변형(휨)을 일으킴으로써, 상기 높이 차(H7)를 보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부(110)가 형성되는 높이(H5)는 상기 몸체연장부(120)의 높이(H6)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으써, 작업자는 보다 적은 외력을 가해 상기 제1 부재(100)의 인위적인 변형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방수 부재
100: 제1 부재, 200: 제2 부재, 300: 제3 부재
110: 몸체부, 120: 몸체연장부
130: 제1 연장부, 140: 제2 연장부, 150: 제3 연장부
131: 제1-1 연장부, 132: 제1-2 연장부, 133: 제1 돌출부
141: 제2-1 연장부, 142: 제2-2 연장부, 143: 제2 돌출부
310: 본체부, 320: 돌출부
S: 간극
S1: 제1 간극, S2: 제2 간극
S3: 삽입 공간, S4: 배출 공간

Claims (8)

  1. 복수의 태양광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커버하여 간극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 부재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1 간극을 커버하며,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
    부착 패드에 의해 상기 태양광 패널 상에 부착되고,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2 간극을 커버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간극에 삽입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부재는,
    상기 제2 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제2 부재로부터 가압력을 인가 받으며,
    상기 제2 부재와 상기 태양광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부착 패드와 이격되어 상기 제2 부재, 상기 부착 패드 및 상기 태양광 패널 사이에 배출 영역을 형성하는,
    방수 부재.
  2. 삭제
  3. 복수의 태양광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커버하여 간극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 부재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1 간극을 커버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면 상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면 상에 배치되어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2 간극을 커버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삽입 공간의 일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부재와 이격되어 상기 삽입공간 상에 배출 공간을 형성하는,
    방수 부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일부가 오버랩되게 형성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부재와 접촉되는 제1-1 연장부 및 상기 배출 공간을 형성하는 제1-2 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부재와 접촉되는 제2-1 연장부 및 상기 배출 공간을 형성하는 제2-2 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1 연장부와 상기 제2-1 연장부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2 연장부와 상기 제2-2 연장부와의 이격 거리와 다른,
    방수 부재.
  5. 복수의 태양광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을 커버하여 간극으로의 누수를 방지하는 방수 부재에 있어서,
    제1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1 간극을 커버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면 상에 삽입 공간을 형성하는 제1 부재;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면 상에 배치되어 제2 방향으로 형성되는 간극인 제2 간극을 커버하며, 상기 삽입 공간에 삽입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부재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1 연장부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연장부와 일부가 오버랩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부재의 하면과 접촉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3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를 연결하는 제3 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연장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보다 작은,
    방수 부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돌출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하는,
    방수 부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돌출부의 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1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2 돌출부의 높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방수 부재.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제1 간극을 커버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연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높이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3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연장부의 높이 보다 작은,
    방수 부재.

KR1020220017547A 2022-02-10 2022-02-10 방수 부재 KR102430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547A KR102430930B1 (ko) 2022-02-10 2022-02-10 방수 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547A KR102430930B1 (ko) 2022-02-10 2022-02-10 방수 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930B1 true KR102430930B1 (ko) 2022-08-10

Family

ID=82847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547A KR102430930B1 (ko) 2022-02-10 2022-02-10 방수 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9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466B1 (ko) * 2022-09-15 2023-02-28 마스코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용 패널의 누수 차단모듈
KR102598525B1 (ko) * 2023-04-19 2023-11-06 주식회사 씨엠이앤씨 내부공기순환구조를 포함하는 건물일체형 태양광모듈 조립체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852A (ja) * 1985-08-23 1987-02-27 不二サッシ株式会社 太陽エネルギー収集屋根の中間部接続部材
JPH0941570A (ja) * 1995-07-26 1997-02-10 Tsuneshige Haramura 建物の屋根端部構造
JP2001152620A (ja) * 1999-11-29 2001-06-05 Toli Corp 排水溝用部材
JP2007181470A (ja) * 2002-08-22 2007-07-19 Toshi Kiban Consultant:Kk 折板屋根の屋根緑化設備
JP2016102370A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東芝 太陽光電池モジュール
JP2016125308A (ja) * 2015-01-07 2016-07-11 株式会社山装 交換式ドレン
KR101959075B1 (ko) * 2018-12-05 2019-03-15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90003186U (ko) * 2018-06-18 2019-12-27 최봉숙 태양광 패널의 방열/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수부재 세트
KR20200146012A (ko) * 2019-06-21 2020-12-31 첸 루 왕 솔라패널 방수 접합 구조
KR20210014255A (ko) * 2019-07-29 2021-02-09 슈에 리엔-펭 솔라 패널 지붕 및 솔라 패널 벽을 위한 방수 구조
KR102247229B1 (ko) * 2021-02-09 2021-05-03 마스코 주식회사 방수 및 방열기능이 개선된 태양광 발전지붕
KR102250278B1 (ko) * 2020-08-31 2021-05-12 디에스에너지(주) 태양광 패널용 방수커버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852A (ja) * 1985-08-23 1987-02-27 不二サッシ株式会社 太陽エネルギー収集屋根の中間部接続部材
JPH0941570A (ja) * 1995-07-26 1997-02-10 Tsuneshige Haramura 建物の屋根端部構造
JP2001152620A (ja) * 1999-11-29 2001-06-05 Toli Corp 排水溝用部材
JP2007181470A (ja) * 2002-08-22 2007-07-19 Toshi Kiban Consultant:Kk 折板屋根の屋根緑化設備
JP2016102370A (ja) *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東芝 太陽光電池モジュール
JP2016125308A (ja) * 2015-01-07 2016-07-11 株式会社山装 交換式ドレン
KR20190003186U (ko) * 2018-06-18 2019-12-27 최봉숙 태양광 패널의 방열/방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수부재 세트
KR101959075B1 (ko) * 2018-12-05 2019-03-15 스카이패널 주식회사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146012A (ko) * 2019-06-21 2020-12-31 첸 루 왕 솔라패널 방수 접합 구조
KR20210014255A (ko) * 2019-07-29 2021-02-09 슈에 리엔-펭 솔라 패널 지붕 및 솔라 패널 벽을 위한 방수 구조
KR102250278B1 (ko) * 2020-08-31 2021-05-12 디에스에너지(주) 태양광 패널용 방수커버
KR102247229B1 (ko) * 2021-02-09 2021-05-03 마스코 주식회사 방수 및 방열기능이 개선된 태양광 발전지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466B1 (ko) * 2022-09-15 2023-02-28 마스코 주식회사 태양광 발전용 패널의 누수 차단모듈
KR102598525B1 (ko) * 2023-04-19 2023-11-06 주식회사 씨엠이앤씨 내부공기순환구조를 포함하는 건물일체형 태양광모듈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930B1 (ko) 방수 부재
KR102455243B1 (ko) 태양광 발전 설비가 일체화된 지붕 패널 시스템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882689B1 (ko) 옥상스틸방수를 위한 칼라강판 결합구조
KR102081060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 발전 지붕 및 그 시공 방법
EP1300523A4 (en) SOLAR BATTERY MODULE, INSTALLATION CONSTRUCTION FOR A SOLAR BATTERY MODULE, ROOF WITH ENERGY-PRODUCING FUNCTION FOR INSTALLATION DESIGN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SOLAR BATTERY MODULE
EA016444B1 (ru) Опорный каркас фотоэлектрической панели и наружная стена здания с такими каркасами
KR102042997B1 (ko) 태양광패널 고정용 루프 브래킷
CN213418262U (zh) 一种光伏屋顶
US20220186493A1 (en) Unitized curtainwall systems and methods
JP2022062682A (ja) フロアフレーム
EP2072708B1 (en) Panel structure for roofs and the like
US4843773A (en) Mounting of glazing panels
JP4758729B2 (ja) 太陽発電システムの防水構造
US4157639A (en) Glazing panel assembly
CN214696176U (zh) 一种建筑伸缩缝的防水结构
JP6511269B2 (ja) 屋根構造
JP6449006B2 (ja) 屋根構造
JP6474185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の施工方法
KR102468235B1 (ko) 태양광 패널을 이용한 지붕 방수 시스템
KR102576812B1 (ko) 방수성과 단열성 및 내진성을 구비한 외벽마감장치
JP201606368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061523B1 (ko) 기와형 태양전지 모듈 조립체
JP6670152B2 (ja) 屋根設置パネル
US11894797B1 (en) Solar support structures and methods
CN220451254U (zh) 屋顶朝天窗防水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