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595B1 - 구강세척기 - Google Patents

구강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595B1
KR102430595B1 KR1020200025269A KR20200025269A KR102430595B1 KR 102430595 B1 KR102430595 B1 KR 102430595B1 KR 1020200025269 A KR1020200025269 A KR 1020200025269A KR 20200025269 A KR20200025269 A KR 20200025269A KR 102430595 B1 KR102430595 B1 KR 102430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mmodating chamber
nozzle assembly
valve
water
pressur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5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427A (ko
Inventor
언핑 관
리엔청 천
Original Assignee
썬전 윈딩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썬전 윈딩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썬전 윈딩 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73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17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having means for manually controlling the supply of two or more fluids, e.g. water and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02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2Air-blowing devices, e.g. with means for heating the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8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intermittent liquid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61H13/005Hydraulic gum massa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ozzl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가스 발생기, 물 탱크, 밸브, 노즐 어셈블리 및 급수 장치를 포함하는 구강세척기를 개시하는데, 고압 가스 발생기는 노즐 어셈블리와 연통되고 밸브는 고압 가스 발생기와 노즐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며 급수 장치는 각각 물 탱크 및 노즐 어셈블리와 연통되어 물 탱크 내의 물을 노즐 어셈블리에 수송한다. 상기 구강세척기를 사용할 경우 고압 가스 발생기는 발생한 고압 가스를 밸브에 수송하고 급수 장치는 물 탱크 내의 물을 노즐 어셈블리에 수송하며 노즐 어셈블리 내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후 밸브가 열리고 밸브의 고압 가스는 순간적으로 노즐 어셈블리에 배출되며 노즐 어셈블리 내의 물과 혼합되어 압축된 수증기를 형성한 후 노즐 어셈블리로부터 분출되어 한번의 청결 작업을 완성한다.

Description

구강세척기 {WATER TOOTHPICK}
본 발명은 구강 관리 도구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강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구강세척기는 칫솔의 보조 보충 도구로서 잇새 및 잇몸 등과 같은 칫솔이 청결하기 어려운 곳을 청결하게 할 수 있다. 기존의 대부분의 구강세척기의 작동 원리는 모두 가압 펌프를 통해 물을 가압한 후 노즐을 통해 구강 내의 세척이 필요한 부위로 가압된 물을 분사하여 치아 세척의 목적을 달성한다.
상기 구강세척기는 모두 단순히 물의 흐름을 이용하지만 물의 흐름의 청결 효과는 제한적이고 동일한 부위를 여러번 씻어야만이 세척이 깨끗하나 일반적인 구강세척기의 부피는 비교적 작으며 물을 저장하는 물 탱크의 부피는 작아 저장된 물을 모두 사용한 후에도 청결 부위가 깨끗하게 세척되지 않는 상황이 나타나 사용자 체험이 좋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청결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물을 절약할 수 있는 구강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강세척기는, 내부에 수용챔버를 형성하는 박스 어셈블리; 상기 수용챔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챔버를 제1수용챔버와 제2수용챔버로 분할시키는 이격부재; 상기 제2수용챔버에 설치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수용챔버의 체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리바운드 소자; 상기 제1수용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제2수용챔버와 연통되는 노즐어셈블리; 상기 제1수용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제1수용챔버를 통해 상기 노즐어셈블리와 연통되는 고압가스발생기; 상기 제2수용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제2수용챔버를 통해 상기 노즐어셈블리와 연통되는 물탱크; 및 상기 제1수용챔버와 상기 노즐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압가스발생기에서 발생된 고압가스는 상기 제1수용챔버에 충진되면서 상기 이격부재를 상기 제2수용챔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리바운드소자를 압축시키고, 상기 이격소자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수용챔버 내에 수용된 물은 상기 노즐어셈블리로 이동되어 저장되며, 상기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제1수용챔버에 충진되어 있던 고압가스는 상기 노즐어셈블리로 공급되면서 상기 노즐어셈블리 내의 물과 혼합되어 고압의 수증기를 형성한 후 상기 노즐어셈블리로부터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 단일 방향 밸브 및 제2 단일 방향 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단일 방향 밸브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수용 챔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단일 방향 밸브의 차단 방향은 상기 노즐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2 수용 챔버에 흐르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단일 방향 밸브는 상기 물 탱크와 상기 제2 수용 챔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단일 방향 밸브의 차단 방향은 상기 제2 수용 챔버로부터 상기 물 탱크에 흐르는 방향이다.
상기 박스 어셈블리는 제1 박스 및 제2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 부재는 제1 이격 부재 및 제2 이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격 부재는 상기 제1 박스 내에 이동 설치되고, 상기 제1 이격 부재와 상기 제1 박스는 제1 수용 챔버를 둘러싸서 형성하며, 상기 제2 이격 부재는 상기 제2 박스 내에 이동 설치되고, 상기 제2 이격 부재와 상기 제2 박스는 제2 수용 챔버를 둘러싸서 형성하며, 상기 제1 이격 부재와 상기 제2 이격 부재는 연결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더 나아가, 상기 구강세척기는 회로기판 및 전원을 포함하되, 상기 회로기판에는 제어 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압 가스 발생기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밸브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구강세척기는 기압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압 센서는 상기 고압 가스 발생기와 연통되고 상기 기압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더 나아가, 상기 밸브는 조절 밸브, 볼 밸브, 버터 플라이 밸브 또는 게이트 밸브이다.
더 나아가, 상기 밸브와 상기 노즐 어셈블리 사이에는 제3 단일 방향 밸브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3 단일 방향 밸브의 차단 방향은 상기 노즐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밸브에 흐르는 방향이다.
더 나아가,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세척할 수조 및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기 세척할 수조와 연통되고, 상기 세척할 수조는, 상기 제1수용챔버를 통해 상기 고압 가스 발생기와 연통되고, 상기 제2수용챔버를 통해 상기 물탱크와 연통된다.
더 나아가, 상기 세척할 수조 및 상기 노즐 사이에는 제4 단일 방향 밸브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4 단일 방향 밸브의 차단 방향은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세척할 수조에 흐르는 방향이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실시하면 다음과 같은 유리한 효과를 구비한다.
상기 구강세척기를 사용할 경우 고압 가스 발생기는 발생한 고압 가스를 밸브에 수송하고 급수 장치는 물 탱크 내의 물을 노즐 어셈블리에 수송하며 노즐 어셈블리 내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후 밸브가 열리고 밸브의 고압 가스는 순간적으로 노즐 어셈블리에 배출되고 노즐 어셈블리 내의 물과 혼합되어 압축된 수증기를 형성한 후 노즐 어셈블리로부터 분출되어 한번의 청결 작업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구강세척기는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고압 수증기를 형성할 수 있고 고압 수증기의 청결 방식은 단순한 고압 수류의 청결 방식보다 청결 효과가 더 우수하고 물을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설명된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이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전제 하에서 이러한 도면에 근거하여 다른 도면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여기서: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구강세척기의 원리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2에 따른 구강세척기의 원리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3은 구강세척기의 전체 구조 모식도이다.
도 4는 부분 위치 A의 확대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술적 해결수단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하고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 모든 실시예는 아닌 것은 분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진보성 창출에 힘쓰지 않는 전제 하에서 얻은 모든 다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설명해야 할 부분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모든 방향성 지시(예를 들어 상, 하, 좌, 우, 앞, 뒤......)는 어느 특정 자세(도면에 도시됨)에서의 각 부재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 운동 상황 등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만약 상기 특정 자세가 변화되면 상기 방향성 지시도 그에 따라 변화된다.
이 밖에 본 발명에서 “제1”,“제2” 등에 관한 설명은 단지 설명의 목적이고 이들의 상대적 중요성을 지시하거나 암시하는 것으로 또는 지시된 기술적 특징의 개수를 은연히 지시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제1”,“제2”로 한정된 특징은 상기 특징 중 적어도 하나를 명시적 또는 은연히 포함할 수 있다. 이 밖에, 각 실시예 사이의 기술적 해결수단은 서로 결합될 수 있지만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가 실현할 수 있는 것을 기초로 하여야 하고 기술적 해결수단의 결합이 서로 모순되거나 실현될 수 없을 경우 이러한 기술적 해결수단의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 내에 있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구강세척기를 제공하는데 구강 관리 분야에 적용된다. 상기 구강세척기는 급수 장치(1), 고압 가스 발생기(2), 물 탱크(3), 노즐 어셈블리(4) 및 밸브(5)를 포함하되, 급수 장치(1)는 각각 물 탱크(3) 및 노즐 어셈블리(4)와 연통되어 물 탱크(3) 내의 물을 노즐 어셈블리(4)에 수송한다. 고압 가스 발생기(2)는 노즐 어셈블리(4)와 연통되어 노즐 어셈블리(4)에 압축 가스를 수송한다. 밸브(5)는 고압 가스 발생기(2)와 노즐 어셈블리(4) 사이에 설치되어 압축 가스가 노즐 어셈블리(4)에 진입하는지 여부를 제어한다.
상기 구강세척기를 사용할 경우 고압 가스 발생기(2)는 발생한 고압가스를 밸브(5)에 수송하고 급수 장치(1)는 물 탱크(3) 내의 물을 노즐 어셈블리(4)에 수송하며 노즐 어셈블리(4) 내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후 밸브(5)가 열리고 밸브(5)의 압축 가스는 순간적으로 노즐 어셈블리(4)에 배출되며 노즐 어셈블리(4) 내의 물과 혼합되어 고압 수증기를 형성한 후 노즐 어셈블리(4)로부터 분출되어 사용자의 구강을 청결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급수 장치(1)는 박스 어셈블리(11), 이격 부재(13), 리바운드 소자(14), 제1 단일 방향 밸브(151) 및 제2 단일 방향 밸브(161)를 포함하되, 박스 어셈블리(11)는 수용 챔버(12)를 구비하고 이격 부재(13)는 수용 챔버(12) 내에 이동 설치되어 수용 챔버(12)를 제1 수용 챔버(121) 및 제2 수용 챔버(122)로 이격시킨다. 제1 수용 챔버(121)는 각각 고압 가스 발생기(2) 및 노즐 어셈블리(4)와 연통되고 밸브(5)는 제1 수용 챔버(121)와 노즐 어셈블리(4) 사이에 설치된다. 제2 수용 챔버(122)는 각각 물 탱크(3) 및 노즐 어셈블리(4)와 연통되고 제1 단일 방향 밸브(151)는 제2 수용 챔버(122)와 노즐 어셈블리(4) 사이에 설치되며 제1 단일 방향 밸브(151)의 차단 방향은 노즐 어셈블리(4)로부터 제2 수용 챔버(122)에 흐르는 방향이다. 제2 단일 방향 밸브(161)는 물 탱크(3)와 제2 수용 챔버(122) 사이에 설치되고 제2 단일 방향 밸브(161)의 차단 방향은 제2 수용 챔버(122)로부터 물 탱크(3)에 흐르는 방향이다. 리바운드 소자(14)의 양단은 이격 부재(13) 및 박스 어셈블리(11)에 연결되어 이격 부재(13)에 회복력을 제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구강세척기를 사용할 경우 고압 가스 발생기(2)는 먼저 가스를 제1 수용 챔버(121) 내로 펌핑하고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기압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이격 부재(13)가 수용 챔버(12) 내에서 이동하도록 구동시키며 제1 수용 챔버(121)의 부피가 점차적으로 커져 제2 수용 챔버(122)의 부피가 점차적으로 작아짐으로써 제2 수용 챔버(122) 내의 물이 제1 단일 방향 밸브(151)를 통해 노즐 어셈블리(4) 내로 통과되고 노즐 어셈블리(4) 내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후 밸브(5)가 열리며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압축 가스는 순간적으로 노즐 어셈블리(4)에 배출되고 노즐 어셈블리(4) 내의 물과 혼합되어 고압 수증기를 형성한 후 노즐 어셈블리(4)로부터 분출되어 한번의 청결을 완성한다.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가스가 배출될 경우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압력의 세기는 작아지고 이격 부재(13)는 리바운드 소자(14)의 작용 하에서 점차적으로 리셋되며 제2 수용 챔버(122) 내에는 부압이 형성되고 물 탱크(3) 내의 물은 제2 단일 방향 밸브(161)를 통해 제2 수용 챔버(122) 내에 유입되어 다음 청결을 위해 사용된다. 이 밖에, 상기 실시예에서 상기 구강세척기는 하나의 에어 펌프만 사용하여 워터 펌프 원리를 실현하고 워터 펌프 구조를 생략하여 구강세척기 청결 효과를 향상시키지만 구강세척기의 공간을 증가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박스 어셈블리(11)는 일체형 구조이다. 박스 어셈블리(11)는 서로 연통된 두 개의 박스로 구성될 수 있고 이격 부재(13)는 그 중 하나의 박스 내에 이동 설치되면 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급수 장치(1)는 제1 연결 파이프(15)를 더 포함하고 제1 연결 파이프(15)는 제2 수용 챔버(122) 및 노즐 어셈블리(4)를 연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1 단일 방향 밸브(151)는 제1 연결 파이프(15)에 설치되어 물이 단지 제2 수용 챔버(122)로부터 노즐 어셈블리(4)로만 흐르도록 확보하고 노즐 어셈블리(4) 내의 물이 제2 수용 챔버(122)에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강세척기의 물과 공기의 혼합 효과를 확보한다.
급수 장치(1)는 제2 연결 파이프(16)를 더 포함하고 제2 연결 파이프(16)는 제2 수용 챔버(122) 및 물 탱크(3)를 연통시키기 위한 것이다. 제2 단일 방향 밸브(161)는 제2 연결 파이프(16)에 설치되어 물이 단지 물 탱크(3)로부터 제2 수용 챔버(122) 내에만 흐르도록 확보하고 제2 수용 챔버(122) 내의 물이 물 탱크(3)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고압 가스 발생기(2)가 제1 수용 챔버(121) 내로 공기를 충진할 경우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압력의 세기는 증가하여 이격판(13)이 제2 수용 챔버(122)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2 수용 챔버(122) 내의 압력의 세기가 증가하고 이 경우 제2 수용 챔버(122) 내의 압력의 세기는 노즐 어셈블리(4) 및 물 탱크(3) 내의 압력의 세기보다 크며 제1 단일 방향 밸브(151)가 열리고 제2 단일 방향 밸브(161)가 닫히며 제2 수용 챔버(122) 내의 물은 노즐 어셈블리(4)에 배출되고 밸브(5)가 열려 제1 수용 챔버(121)의 압력의 세기가 감소될 경우, 이격판(13)은 리바운드 소자(14)의 작용 하에서 제2 수용 챔버(122)의 부피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경우 제2 수용 챔버(122) 내에는 부압이 형성되어 제2 단일 방향 밸브(161)가 열리도록 하고 제1 단일 방향 밸브(151)가 닫히며 물 탱크(3)의 물은 제2 수용 챔버(122)로 진입한다. 다시 말하면 고압 가스 발생기(2)를 통해 워터 펌프 원리를 실현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급수 장치(1)는 제4 연결 파이프(110)를 더 포함한다. 제4 연결 파이프(110)는 고압 가스 발생기(2) 및 제1 수용 챔버(121)를 연통시켜 고압 가스 발생기(2)의 압축 공기를 제1 수용 챔버(121)에 수송하기 위한 것이다.
급수 장치(1)는 제3 연결 파이프(17)를 더 포함하는데 제3 연결 파이프(17)는 제1 수용 챔버(121) 및 밸브(5)를 연통시키고 밸브(5)는 노즐 어셈블리(4)와 연통된다. 고압 가스 발생기(2)가 제1 수용 챔버(121)에 압축 공기를 수송하는 과정에서 압축 공기는 또한 제3 연결 파이프(17)로 진입하여 제3 연결 파이프(17) 내의 압력의 세기가 제1 수용 챔버(121)와 동일하도록 한다. 밸브(5)와 노즐 어셈블리(4)가 연통되기 때문에 밸브(5)가 열릴 경우 제1 수용 챔버(121) 및 제3 연결 파이프(17) 내의 압축 가스는 순간적으로 노즐 어셈블리(4) 내에 진입하여 노즐 어셈블리(4) 내의 물과 혼합된 후 노즐 어셈블리(4)에 의해 고속으로 분출되어 우수한 충격 효과를 달성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리바운드 소자(14)는 스프링일 수 있고 리바운드 소자(14)는 제2 수용 챔버(122) 내에 설치되며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가스가 증가되어 이격 부재(13)가 이동할 경우 이격 부재(13)는 제2 수용 챔버(122)의 부피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경우 리바운드 소자(14)는 압축되며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가스가 배출된 후 리바운드 소자(14)는 이격 부재(13)에 회복력을 제공하여 이격 부재(13)가 신속하게 리셋되도록 한다. 리바운드 소자는 또한 제1 수용 챔버(121)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이격 부재(13)가 제2 수용 챔버(122)의 부피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리바운드 소자(14)는 연장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격 부재(13)는 이격막이고 그 재질은 고무, 실리콘 또는 열가소성 탄성 중합체일 수 있으며 이로써 제1 수용 챔버(121)와 제2 수용 챔버(122) 사이의 차단성을 확보하여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압축 공기가 제2 수용 챔버(122)로 진입할 수 없도록 하고 제2 수용 챔버(122) 내의 물도 제1 수용 챔버(121)로 진입할 수 없도록 한다. 이격 부재(13)를 중앙이 두껍고 주위가 얇은 구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주위 가장자리가 박스 어셈블리(11)의 내벽에 고정되고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기압이 증가할 경우 이격 부재(13)의 중앙이 두꺼운 부분은 제2 수용 챔버(122)로 확장되어 제2 수용 챔버(122)의 부피가 점차적으로 작아지며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압력의 세기가 감소될 경우 이격 부재(13)의 중앙이 두꺼운 부분은 리바운드 소자(14)의 작용 하에서 점차적으로 리셋되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박스 어셈블리(11)는 제1 박스(111) 및 제2 박스(112)를 포함하고 이격 부재(13)는 제1 이격 부재(131) 및 제2 이격 부재(132)를 포함한다. 제1 이격 부재(131)는 제1 박스(111) 내에 이동 설치되고 제1 박스(111)와 제1 수용 챔버(121)를 둘러싸서 형성한다. 제2 이격 부재(132)는 제2 박스(112) 내에 이동 설치되고 제2 박스(112)와 제2 수용 챔버(122)를 둘러싸서 형성한다. 제1 이격 부재(131)는 제2 이격 부재(132)에 연결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이격 부재(13)는 피스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구강세척기를 사용할 경우 고압 가스 발생기(2)는 먼저 제4 연결 파이프(110)를 통해 가스를 제1 수용 챔버(121)로 펌핑하고 제1 수용 챔버(121)의 기압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제1 이격 부재(131)가 제1 수용 챔버(121) 내에서 운동하도록 구동시켜 제1 수용 챔버(121)의 부피가 점차적으로 커지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제2 이격 부재(132)는 제1 이격 부재(131)의 구동 하에서 동일한 방향 즉 제2 수용 챔버(122)의 부피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운동하며 다시 말하면 이격 부재(13)는 전체가 제2 수용 챔버(122)의 부피가 감소하는 방향으로 운동함으로써 제2 수용 챔버(122)의 압력의 세기가 증가하여 제2 수용 챔버(122) 내의 물이 제1 단일 방향 밸브(151)을 통해 노즐 어셈블리(4) 내로 통과되고 노즐 어셈블리(4) 내에 일정량의 물이 저장된 후 밸브(5)가 열리며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압축 가스는 순간적으로 노즐 어셈블리(4) 내에 배출되고 노즐 어셈블리(4) 내의 물과 혼합되어 고압 수증기를 형성한 후 노즐 어셈블리(4)로부터 고속으로 분출된다. 제1 수용 챔버(121) 내의 가스가 배출되면, 제1 수용 챔버(121)의 압력의 세기는 작아지고 이격 부재(13)는 리바운드 소자(14)의 작용 하에서 점차적으로 리셋되며 제2 수용 챔버(122) 내에 부압을 형성하고 물 탱크(3) 내의 물은 제2 단일 방향 밸브(161)를 통해 제2 수용 챔버 내로 유입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단지 하나의 고압 가스 발생기(2)를 사용하여 워터 펌프 원리를 실현한다.
특히 상기 실시예에서 제1 박스(111)에는 제1 통풍구가 설치되는데 제1 통풍구는 제1 박스(111)의 제1 수용 챔버(121)와 대향되는 측벽에 설치되고 제2 박스(112)에는 제2 통풍구가 설치되며 제2 통풍구는 제2 박스(112)의 제2 수용 챔버(122)와 대향되는 측벽에 설치되고 이러면 제1 수용 챔버(121)와 제2 수용 챔버(122)의 실링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고압 가스 발생기(2)로부터 제1 수용 챔버(121)에 압축 공기를 펌핑할 경우 제1 이격 부재(131)가 제1 박스(111) 내에서 우수하게 이동하도록 확보할 수 있으며 리바운드 소자(14)가 이격 부재(13)가 리셋되도록 구동될 경우 제2 이격 부재(132)는 제2 박스(112) 내에서 우수하게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 3에서 급수 장치(1)는 각각 물 탱크(3) 및 노즐 어셈블리(4)와 연통되는 워터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제1 연결 파이프(15)는 물 탱크(3) 및 워터 펌프를 연통시키고 제2 연결 파이프(16)는 워터 펌프 및 노즐 어셈블리(4)를 연통시킨다. 제3 연결 파이프(17)는 고압 가스 발생기 및 밸브(5)를 연통시킨다.
상기 실시예의 구강세척기를 사용할 경우 먼저 고압 가스 발생기(2)를 사용하여 압축 가스를 밸브(5)에 수송하고 이와 동시에 워터 펌프는 물 탱크(3) 내의 물을 노즐 어셈블리(4)로 펌핑하며 노즐 어셈블리(4) 내의 물이 일정량이 된 후 밸브(5)가 열리고 밸브(5)의 압축 가스는 순간적으로 노즐 어셈블리(4) 내에 배출되어 노즐 어셈블리(4) 내의 물과 혼합되어 고압 수증기를 형성한 후 노즐 어셈블리(4)로부터 고속으로 분출된다. 상기 구현예에서 워터 펌프와 고압 가스 발생기를 사용하여 물과 공기의 혼합 효과를 실현하고 구조가 간단하다.
상기 구강세척기는 전원(6) 및 회로기판(7)을 더 포함하되, 회로기판(7)에는 제어 회로가 설치되고 고압 가스 발생기(2) 및 밸브(5)는 모두 회로기판(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밸브(5)는 압축 가스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조절 밸브, 볼 밸브, 버터 플라이 밸브 또는 게이트 밸브를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상시 폐쇄 솔레노이드 밸브 또는 에어 모터 밸브일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구강세척기는 기압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기압 센서는 회로기판(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고압 가스 발생기(2)와 연통되어 고압 가스 발생기(2)에 의해 발생한 압축 가스의 기압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기압 센서는 기압 신호를 회로기판(7)에 전송하고 고압 가스 발생기(2)에 의해 발생한 압축 가스의 기압이 제1 예정값에 도달하면 회로기판(7)은 고압 가스 발생기(2)가 닫히도록 제어하며 밸브(5)가 열리도록 제어하여 압축 공기가 노즐 어셈블리(4)에 배출되도록 하고 고압 가스 발생기(2)에 의해 발생한 압축 가스의 기압이 제2 예정값에 도달하면 회로기판(7)은 밸브(5)가 닫히도록 제어하며 고압 가스 발생기(2)가 열리도록 제어하여 고압 가스 발생기(2)가 밸브(5)에 압축 공기를 수송하도록 하여 다음 청결에 사용된다. 특히 제1 예정값은 제2 예정값보다 높고 구체적인 수치는 청결 정도에 근거하여 설정한다.
밸브(5)와 노즐 어셈블리(4) 사이에는 제3 단일 방향 밸브(18)가 설치되고 제3 단일 방향 밸브(18)의 차단 방향은 노즐 어셈블리(4)로부터 밸브(5)에 흐르는 방향으로써 노즐 어셈블리(4) 내의 물이 밸브(5)에 역류되어 밸브(5)의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한다.
노즐 어셈블리(4)는 노즐(41) 및 세척할 수조(42)를 포함하고 세척할 수조(42)는 물을 저장 및 압축 공기가 물과 혼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세척할 수조(42)는 각각 고압 가스 발생기(2) 및 급수 장치(1)와 연통된다. 노즐(41)과 세척할 수조(42)는 연통되고 노즐(41)은 압축 공기와 물이 혼합된 후 형성된 고압 수증기를 분출하기 위한 것이다. 노즐(41)과 세척할 수조(42) 사이에는 제4 단일 방향 밸브(19)가 설치되고 제4 단일 방향 밸브(19)의 차단 방향은 노즐(41)로부터 세척할 수조(42)에 흐르는 방향으로써 구강세척기가 작동되지 않을 경우 세척할 수조(42) 내의 물이 노즐(41)을 따라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강세척기는 하우징(8)을 포함하고 하우징(8)에는 대향 설치되는 제1 단부(81)와 제2 단부(82)를 구비하며 급수 장치(1), 고압 가스 발생기(2), 물 탱크(3), 밸브(5), 전원(6) 및 회로기판(7)은 모두 하우징(8) 내에 설치되고 노즐 어셈블리(4)은 제1 단부(81)에 근접되게 설치된다. 노즐(41)은 제1 단부(81)에 연결되고 세척할 수조(42)는 제1 단부(81)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노즐(41)이 세척할 수조(42)와 직접 연통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8) 내의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한다. 물 탱크(3)는 제2 단부(82)에 연결되어 물 탱크(3)에 저장된 물을 모두 사용한 후 물 탱크(3)를 직접 제거하여 물 탱크(3)에 물을 첨가하면 된다. 급수 장치(1), 고압 가스 발생기(2), 전원(6) 및 회로기판(7)은 모두 물 탱크(3)와 세척할 수조(42) 사이에 설치되어 구강세척기의 각 어셈블리가 배열이 컴팩트하고 구강세척기의 부피가 작아 휴대가 용이하도록 확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결 파이프(15), 제2 연결 파이프(16), 제3 연결 파이프(17) 및 제4 연결 파이프(110)는 모두 호스이고 호스는 작은 부피를 점용하며 유연성이 우수하고 호스를 통해 연통된 두 개의 부재 사이의 위치는 하우징(8) 내에서 비교적 원활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가스와 물의 유통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구강세척기의 사용 효과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강세척기의 구조가 더 컴팩트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연결 파이프(15), 제2 연결 파이프(16), 제3 연결 파이프(17) 및 제4 연결 파이프(110)는 또한 하드 연결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이 제공하는 구강세척기는 물과 공기를 혼합하여 고압 수증기를 형성할 수 있고 고압 수증기의 청결 방식은 단순한 고압 수류의 청결 방식보다 청결 효과가 더 우수할 뿐만 아니라 물을 절약할 수있다.
상기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의 특허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의 내용을 이용하여 진행한 동등한 변형이거나 또는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하여도 모두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특허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1: 급수 장치
11: 박스 어셈블리
111: 제1 박스
112: 제2 박스
12: 수용 챔버
121: 제1 수용 챔버
122: 제2 수용 챔버
13: 이격 부재
131: 제1 이격 부재
132: 제2 이격 부재
14: 리바운드 소자
15: 제1 연결 파이프
151: 제1 단일 방향 밸브
16: 제2 연결 파이프
161: 제2 단일 방향 밸브
17: 제3 연결 파이프
18: 제3 단일 방향 밸브
19: 제4 단일 방향 밸브
110: 제4 연결 파이프
2: 고압 가스 발생기
3: 물 탱크
4: 노즐 어셈블리
41: 노즐
42: 세척할 수조
5: 밸브
6: 전원
7: 회로기판
8: 하우징
81: 제1 단부
82: 제2 단부

Claims (12)

  1. 내부에 수용챔버를 형성하는 박스 어셈블리;
    상기 수용챔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수용챔버를 제1수용챔버와 제2수용챔버로 분할시키는 이격부재;
    상기 제2수용챔버에 설치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제2수용챔버의 체적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리바운드 소자;
    상기 제1수용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제2수용챔버와 연통되는 노즐어셈블리;
    상기 제1수용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제1수용챔버를 통해 상기 노즐어셈블리와 연통되는 고압가스발생기;
    상기 제2수용챔버와 연통되고, 상기 제2수용챔버를 통해 상기 노즐어셈블리와 연통되는 물탱크; 및
    상기 제1수용챔버와 상기 노즐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는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밸브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고압가스발생기에서 발생된 고압가스는 상기 제1수용챔버에 충진되면서 상기 이격부재를 상기 제2수용챔버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리바운드소자를 압축시키고, 상기 이격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제2수용챔버 내에 수용된 물은 상기 노즐어셈블리로 이동되어 저장되며,
    상기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제1수용챔버에 충진되어 있던 고압가스는 상기 노즐어셈블리로 공급되면서 상기 노즐어셈블리 내의 물과 혼합되어 고압의 수증기를 형성한 후 상기 노즐어셈블리로부터 분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제1 단일 방향 밸브 및 제2 단일 방향 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단일 방향 밸브는 상기 노즐 어셈블리 및 상기 제2 수용 챔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단일 방향 밸브의 차단 방향은 상기 노즐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제2 수용 챔버에 흐르는 방향이고,
    상기 제2 단일 방향 밸브는 상기 물 탱크와 상기 제2 수용 챔버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단일 방향 밸브의 차단 방향은 상기 제2 수용 챔버로부터 상기 물 탱크에 흐르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어셈블리는 제1 박스 및 제2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격 부재는 제1 이격 부재 및 제2 이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격 부재는 상기 제1 박스 내에 이동 설치되고,
    상기 제1 이격 부재와 상기 제1 박스는 제1 수용 챔버를 둘러싸서 형성하며,
    상기 제2 이격 부재는 상기 제2 박스 내에 이동 설치되고,
    상기 제2 이격 부재와 상기 제2 박스는 제2 수용 챔버를 둘러싸서 형성하며,
    상기 제1 이격 부재와 상기 제2 이격 부재는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회로기판 및 전원을 포함하되, 상기 회로기판에는 제어 회로가 설치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압 가스 발생기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7. 제5항에 있어서,
    기압 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기압 센서는 상기 고압 가스 발생기와 연통되고 상기 기압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조절 밸브, 볼 밸브, 버터 플라이 밸브 또는 게이트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와 상기 노즐 어셈블리 사이에는 제3 단일 방향 밸브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3 단일 방향 밸브의 차단 방향은 상기 노즐 어셈블리로부터 상기 밸브에 흐르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어셈블리는 세척할 수조 및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노즐은 상기 세척할 수조와 연통되고,
    상기 세척할 수조는, 상기 제1수용챔버를 통해 상기 고압 가스 발생기와 연통되고, 상기 제2수용챔버를 통해 상기 물탱크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할 수조 및 상기 노즐 사이에는 제4 단일 방향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4 단일 방향 밸브의 차단 방향은 상기 노즐로부터 상기 세척할 수조에 흐르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세척기.
  12. 삭제
KR1020200025269A 2019-12-09 2020-02-28 구강세척기 KR1024305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247882.0A CN111000642A (zh) 2019-12-09 2019-12-09 一种洗牙器
CN201911247882.0 2019-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427A KR20210073427A (ko) 2021-06-18
KR102430595B1 true KR102430595B1 (ko) 2022-08-09

Family

ID=69845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5269A KR102430595B1 (ko) 2019-12-09 2020-02-28 구강세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53998B2 (ko)
EP (1) EP3834770B1 (ko)
JP (1) JP7178569B2 (ko)
KR (1) KR102430595B1 (ko)
CN (1) CN11100064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76815A (zh) * 2021-12-06 2022-03-15 深圳市云顶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冲牙器及冲牙器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7144A1 (en) * 2009-07-30 2012-03-29 Fougere Richard J Oral care cleaning and treating device
CN208693501U (zh) * 2017-10-22 2019-04-05 刘森良 一种水气雾化式自动牙刷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67413A (en) * 1946-02-15 1949-04-19 William A Wildhack Liquid oxygen pumping system
JP2594664Y2 (ja) * 1992-09-14 1999-05-10 三共株式会社 洗浄器
US5655906A (en) * 1995-06-12 1997-08-12 Micro Motors, Inc. Autoclavable dental sonic scaler
US20060078844A1 (en) * 2004-10-07 2006-04-13 Goldman Paul D Oral care systems, oral care devices and methods of use
KR101292826B1 (ko) * 2004-12-22 2013-08-0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구강 치료 시스템에서 유체 액적 생성용 가스 보조 시스템
US20070193797A1 (en) * 2006-02-22 2007-08-23 Shamis Dmitry A Pressure booster system
EP2224875B1 (en) * 2007-12-18 2016-11-09 Koninklijke Philips N.V. Electromechanical system for interproximal cleaning
CA2709760A1 (en) * 2007-12-18 2009-06-2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function switch for an oral care appliance
BRPI0915265A2 (pt) * 2008-11-17 2019-09-24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aparelho de limpeza dental utilizando gotas de líquido e aparelho para criar gotas de líquido para a limpeza dental
CA2743579A1 (en) * 2008-11-17 2010-05-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ozzle assembly for liquid droplet based interproximal cleaner
GB2538305B (en) * 2015-05-15 2017-09-20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JP6447876B2 (ja) * 2015-09-15 2019-01-09 株式会社熊本アイディーエム 介護用洗浄装置
GB2555620B (en) * 2016-11-04 2019-03-13 Dyson Technology Ltd Cleaning appliance
CN109381272A (zh) * 2018-12-05 2019-02-26 厦门洁博雅科技有限公司 一种洗牙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077144A1 (en) * 2009-07-30 2012-03-29 Fougere Richard J Oral care cleaning and treating device
CN208693501U (zh) * 2017-10-22 2019-04-05 刘森良 一种水气雾化式自动牙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34770C0 (en) 2024-01-17
KR20210073427A (ko) 2021-06-18
EP3834770A1 (en) 2021-06-16
CN111000642A (zh) 2020-04-14
EP3834770B1 (en) 2024-01-17
US20210169620A1 (en) 2021-06-10
JP2021090710A (ja) 2021-06-17
JP7178569B2 (ja) 2022-11-28
US11553998B2 (en)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89116C2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хода за ротовой полостью
KR102430595B1 (ko) 구강세척기
EP2946748B1 (en) Oral cleansing device
ATE395514T1 (de) Fluiddosierung mit pumpeneinheit mit wegwerfmembran
CN215019440U (zh) 冲牙器
KR101501204B1 (ko) 휴대용 구강세척기
JP6930122B2 (ja) 衛生洗浄装置
CN108969137A (zh) 一种防止喷头污染的洗牙器
KR101707120B1 (ko) 사이드버튼이 구비된 펌핑식 화장품 용기
KR101242578B1 (ko) 이중챔버 공기압 발생장치를 적용한 공기 분사식 구강세정기
CN208958379U (zh) 一种防止喷头污染的洗牙器
CN211583601U (zh) 一种洗牙器
CN112108060A (zh) 一种清水消毒杀菌洗涤水机
CN207506424U (zh) 泄压阀
CN208997393U (zh) 一种控制阀结构及具有该控制阀结构的座便器
KR101722874B1 (ko) 변기 막힘 해소장치
KR101663675B1 (ko) 유체 흐름 유도장치
CN209368970U (zh) 一种可增压的控制阀结构及具有该控制阀结构的座便器
CN211547941U (zh) 一种蒸汽装置及其智能坐便器
CN211202989U (zh) 一种用于水厂管道的防逆流阀门
CN215606462U (zh) 限压式冲牙器喷头
CN109868620A (zh) 衣物处理剂储放投放装置及洗衣机
CN217488928U (zh) 一种冲牙器
CN208221721U (zh) 一种全气动增压阀
CN216879883U (zh) 出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