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507B1 -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507B1
KR102430507B1 KR1020150093744A KR20150093744A KR102430507B1 KR 102430507 B1 KR102430507 B1 KR 102430507B1 KR 1020150093744 A KR1020150093744 A KR 1020150093744A KR 20150093744 A KR20150093744 A KR 20150093744A KR 102430507 B1 KR102430507 B1 KR 102430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body
led
sterilization
power supply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860A (ko
Inventor
정상욱
배희호
정희철
Original Assignee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5009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507B1/ko
Application filed by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110338901.1A priority patent/CN113069570B/zh
Priority to EP16814619.9A priority patent/EP3315142A4/en
Priority to CN201911181252.8A priority patent/CN110859976B/zh
Priority to CN201680037592.1A priority patent/CN107708745A/zh
Priority to JP2017566777A priority patent/JP6845163B2/ja
Priority to PCT/KR2016/006386 priority patent/WO2016208906A1/ko
Publication of KR20170003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860A/ko
Priority to US15/854,647 priority patent/US10525153B2/en
Priority to US16/734,929 priority patent/US11027033B2/en
Priority to JP2021029066A priority patent/JP7102565B2/ja
Priority to US17/243,290 priority patent/US11938239B2/en
Priority to JP2022109315A priority patent/JP7413450B2/ja
Priority to KR1020220096805A priority patent/KR102655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507B1/ko
Priority to JP2023221822A priority patent/JP2024038183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4Visible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6Mobile applications, e.g. portable devices, trailers, devices mounted on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살균대상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수용공간이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지는 바닥면을 향해 개방되는 커버본체부와; 커버본체부의 바닥면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고, 수용공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점등되는 엘이디와; 엘이디의 점등을 위해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MULTI-PURPOSE PORTABLE STERILIZER}
본 발명은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접촉되어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소형 기기를 살균하는데 이용되는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접촉되어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소형 기기, 예를 들면 이어폰, 손톱깎기, 면도기, 휴대폰 등은, 특정 케이스에 보관되기보다는 사용자의 편의로 인해 주머니, 가방, 차량 내부 등과 같이 다양한 장소에 보관되므로 각 보관장소에 서식하는 많은 종류의 세균들과 접촉되기 쉽고, 항상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공기 중에 부유하고 있는 세균의 유입이 용이한 환경에 노출된다.
또한 소형 기기 중, 이어폰, 손톱깎기, 휴대폰 등과 같은 기기는 여러 명이 돌려가며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에, 어느 한 사람이 보유하고 있는 세균이 소형 기기를 통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에게 전파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따라서 인체에 접촉되어 사용되는 소형 기기에 존재하는 세균을 제거하는 것은 필요한 일이지만, 이를 위해 세제를 이용하여 매번 소형 기기를 세척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귀찮은 일이며, 소형 기기의 종류에 따라서는 불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세제를 이용한 세척 방법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비될 뿐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이물질을 제거하기가 쉽지 않고, 그로 인해 발생되는 세균 번식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 한편,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기가 특허문헌으로 공개되어 있다.
삭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92465호(공개일자: 2012년 8월 21일)
본 발명은 가정에서 쉽고 빠르게 이어폰, 손톱깎기, 면도기, 휴대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소형 기기에 존재하는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는: 살균대상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이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지는 바닥면을 향해 개방되는 커버본체와부; 상기 커버본체부의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공간을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점등되는 엘이디와; 상기 엘이디의 점등을 위해 상기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본체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버본체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커버본체부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엘이디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감지하는 감광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빛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커버본체부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엘이디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개 커버본체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판과,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판의 하부면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엘이디는, 상기 커버판의 하부면과 상기 측벽으로 둘러싸인 상기 커버본체부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판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부는, 상기 커버판의 하부면과 상기 측벽으로 둘러싸인 상기 커버본체부의 내부 영역에 알루미늄을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엘이디로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이머에 의해 조절된 시간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전원 공급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엘이디의 피크 파장은, 250~280nm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본체부에 설치되어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는 가시광 엘이디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시광 엘이디는, 상기 엘이디의 점등에 연동되어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에 따르면, 간단한 온/오프 조작만으로 이어폰, 손톱깎기, 휴대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소형 기기에 대한 자외선 살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살균대상이 되는 소형 기기에 잔류하는 각종 세균이 효율성 높게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소형 기기에 존재하는 세균을 가정에서 쉽고 빠르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바닥면에 놓인 소형 기기를 덮는 것만으로 소형 기기에 대한 살균을 손쉽게 행할 수 있어 휴대 사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 조작, 감지부를 통한 기기의 위치 내지 자세 감지, 타이머를 통한 동작 시간 설정 등, 다중으로 마련된 안전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작동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사고 발생 및 자외선의 유출로 인한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자외선 조사 시간 및 조사량에 따른 대장균의 불활성화 수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자외선 조사 시간 및 조사량에 따른 황색포도상구균의 불활성화 수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는, 커버본체부(110)와, 엘이디(120)와, 전원공급부(130)와, 감지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버본체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의 본체를 이루며, 이러한 커버본체부(110)의 내부에는 살균대상 기기(1; 도 3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본체부(110)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이 살균대상 기기(1)가 놓여지는 바닥면(B)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커버판(111)과 측벽(113)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커버판(111)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판(111)이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판(111)의 형상은, 원판, 삼각판, 그외 다각판 등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측벽(113)은, 바닥면(B)과 마주보는 커버판(111)의 하부면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커버판(111)과 측벽(113)을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커버본체부(110)는, 커버본체부(110)가 놓여지는 바닥면(B)의 상부에 살균대상 기기(1; 도 3 참조)를 수용하기 위한, 외부와 광학적으로 차폐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엘이디(LED; 120)는, 커버본체부(110)에 설치되되, 바닥면(B)과 마주보는 측에 설치되어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대상 기기(1)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점등된다.
본 실시예에서, 엘이디(120)는 커버판(111)의 하부면과 측벽(113)으로 둘러싸인 커버본체부(110)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커버판(111)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엘이디(120)는, 그 피크 파장이 270~280nm 사이에 위치하는 자외선을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대상 기기(1)를 향해 조사하며,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대상 기기(1)의 표면에 자외선이 고루 조사될 수 있도록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자외선 중, 피크 파장이 270~280nm 사이에 위치하는 자외선, 특히 275㎚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은 살균 효과가 뛰어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엘이디(120)가 275㎚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출사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되며, 이와 같이 구비되는 엘이디(120)의 작용에 의해 수용공간 내에서 살균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효율적인 수준의 살균 효과를 누리기 위해서는, UVC 영역, 그 중에서도 250~280㎚ 정도의 피크 파장을 가지는 자외선이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는, 반사부(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반사부(160)는, 커버본체부(110)에 형성되어 엘이디(1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대상 기기(1) 측으로 반사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반사부(160)는 커버판(111)의 하부면과 측벽(113)으로 둘러싸인 커버본체부(110)의 내부 영역에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알루미늄을 코팅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 외에도 자외선 반사율이 높은 여러 다른 물질이 코팅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반사부(160)는, 엘이디(1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대상 기기(1) 측으로 반사시켜 자외선의 조사 영역을 살균대상 기기(1)를 향해 집중시킴으로써, 자외선을 통해 이루어지는 살균대상 기기(1)에 대한 살균 작용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전원공급부(130)는, 상기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는 엘이디(120)의 점등을 위해 엘이디(12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30)는, 커버본체부(110)의 내부에 배터리(Battery)를 설치하고 이와 같이 커버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를 통해 엘이디(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엘이디(120)에 전달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감지부(140)는, 커버본체부(110)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커버본체부(110)가 그 내부의 수용공간을 외부로 개방하고 있거나 수용공간을 제대로 폐쇄하지 못한 경우 엘이디(1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커버본체부(110)의 주변 외부로 새어나올 수 있으므로, 엘이디(1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커버본체부(110)의 주변 외부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커버본체부(110)가 그 내부의 수용공간을 제대로 폐쇄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감지부(140)는, 커버본체부(110)가 그 내부의 수용공간을 제대로 폐쇄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커버본체부(110)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도록 구비된다.
일례로서, 감지부(140)는 커버본체부(110)의 위치, 자세 등을 감지하는 자이로센서(Gyro sens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감지부(140)는 커버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된 감광센서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본체부(110)가 바닥면(B)을 덮어 수용공간이 커버본체부(110)와 바닥면(B)에 둘러싸여 폐쇄된 경우에는 커버본체부(110)의 내부가 깜깜해지므로, 감지부(140)는 이와 같이 커버본체부(110)의 내부에 빛이 차단되는 것을 감지하여 커버본체부(110)가 수용공간을 제대로 폐쇄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측벽(113) 저면에 2개소 이상의 트리거스위치(미도시)를 돌출 형성하고, 이와 같이 설치된 복수개의 트리거스위치가 눌리는지 여부에 따라 커버본체부(110)의 수용공간 폐쇄 여부를 판단하는 형태로 감지부(140)가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감지부(140)의 일례들이 함께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령 캄캄한 방에서는 감광센서만으로는 커버본체부(110)의 위치, 자세 등이 감지될 수 없을 수 있고, 경사진 바닥면에 대해서는 자이로센서가 커버본체부(110)의 수용공간 폐쇄 여부를 정확히 판단할 수 없을 수도 있으며, 울퉁불퉁한 바닥면에서는 트리거스위치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감지부(140)의 조합으로 이를 극복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엘이디(120)의 점등이 조절되도록 전원공급부(130)의 동작을 조절한다. 이러한 제어부(150)는, 감지부(140)에서 감지된 커버본체부(110)의 수용공간 개폐 여부에 따라 전원공급부(130)의 동작을 조절한다.
일례로서, 제어부(150)는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커버본체부(110)의 위치 및 자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커버본체부(110)의 수용공간 개폐 여부를 판단하고, 커버본체부(110)가 수용공간을 개방하는 위치에 위치되면 엘이디(120)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전원공급부(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엘이디(1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전원공급부(130)의 동작을 조절하여 엘이디(120)를 점등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커버본체부(110)의 위치 및 자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커버본체부(110)의 수용공간 개폐 여부를 판단하며, 커버본체부(110)가 수용공간을 개방하거나 제대로 폐쇄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엘이디(120)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전원공급부(130)의 동작을 제어하여 엘이디(120)에 의한 자외선의 조사를 중단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는, 스위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170)는 전원공급부(130)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해 마련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스위치(170)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위치(170)가 커버본체부(110)의 상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커버판(111)의 상면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스위치(170)는 전원공급부(130)의 온/오프 조작 등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이러한 스위치(170)의 조작에 따라 전원공급부(130)의 온/오프 등이 조절되도록 전원공급부(130)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는, 타이머(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180)는 전원공급부(130)가 엘이디(1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되며, 제어부(150)는 타이머(180)에 의해 조절된 시간에 따라 전원공급부(130)의 전원 공급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머(180)를 통해 입력되는 시간이 10분일 경우, 제어부(150)는 10분간 엘이디(120)의 점등 및 그에 따른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진 후 엘이디(120)의 점등이 중단되도록 전원공급부(130)의 전원 공급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는, 가시광 엘이디(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시광 엘이디(190)는 커버본체부(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커버판(111)의 하부면과 측벽(113)으로 둘러싸인 커버본체부(110)의 내부 영역에서 엘이디(120)와 인접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가시광 엘이디(190)는, 엘이디(120) 점등시 엘이디(120)와 인접된 위치에서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조사하되, 엘이디(120)의 점등에 연동되어 점등된다.
즉 가시광 엘이디(190)는, 엘이디(120)가 점등되어 자외선이 조사될 때 엘이디(120)와 함께 점등되어 가시광선 영역을 빛을 조사함으로써, 엘이디(120)를 통해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시광 엘이디(190)의 작용에 의해, 엘이디(120)를 통해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음을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엘이디(120)를 통해 자외선이 조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눈에 보이지 않는 자외선의 특성으로 인해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자외선에 계속해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자외선 조사 시간 및 조사량에 따른 대장균의 불활성화 수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자외선 조사 시간 및 조사량에 따른 황색포도상구균의 불활성화 수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는, 바닥면(B)에 놓여진 살균대상 기기(1), 예를 들면 이어폰, 손톱깎기, 휴대폰 등과 같은 소형 기기가 커버본체부(110)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살균대상 기기(1)를 덮은 상태에서 살균대상 기기(1)에 대한 살균 작용을 수행하며, 이러한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의 살균을 위한 동작은 제어부(150)에 의해 제어된다.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살균대상 기기(1)에 대한 살균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의 작동은, 커버본체부(110)의 상부에 마련된 스위치(170) 등의 조작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바닥면(B)에 놓인 살균대상 기기(1)를 커버본체부(110)로 덮어 살균대상 기기(1)가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 후, 스위치(170)를 통해 동작신호를 입력하면 이 동작신호는 제어부(150)로 전송되고, 이와 같이 제어부(150)로 동작신호가 전송되면 제어부(150)가 전원공급부(130)의 동작 제어를 시작한다.
이때 감지부(140)는 커버본체부(1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커버본체부(110)의 위치 및 자세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제어부(150)는 이와 같이 취득된 커버본체부(110)의 위치 및 자세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커버본체부(110)의 수용공간 개폐 여부를 판단한다.
이 결과 수용공간이 커버본체부(110)에 의해 폐쇄되었음이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엘이디(12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전원공급부(1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수용공간이 개방되어 있거나 수용공간이 커버본체부(110)에 의해 제대로 폐쇄되어 있지 않음이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엘이디(120)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원공급부(13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수용공간이 커버본체부(110)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엘이디(12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됨으로써,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의 비효율적인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고,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으며, 엘이디(120)에 의해 조사되는 자외선이 커버본체부(110)의 주변 외부로 유출되어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는 것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150)에 이루어지는 동작 제어에 의해, 엘이디(120)에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엘이디(120)가 점등되어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대상 기기(1)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이때 엘이디(120)에서는 살균 특성이 강한 자외선, 예를 들어 270~280㎚ 내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 더욱 바람직하게는 275㎚에서 피크 파장을 갖는 자외선이 출사된다.
이와 같이 엘이디(120)가 동작되는 도중에도 감지부(140)의 동작은 계속되고, 이 과정에서 감지부(140)에 의해 취득된 커버본체부(110)의 위치 및 자세에 관한 정보에 의해 수용공간이 개방되어 있거나 수용공간이 커버본체부(110)에 의해 제대로 폐쇄되어 있지 않음이 확인되면, 제어부(150)는 엘이디(120)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전원공급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이에 따라 엘이디(120)가 소등되어 자외선 조사가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엘이디(120)의 소등은 타이머(180)에 의해 설정된 전원공급부(130)의 전원 공급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엘이디(120)의 점등 여부는 가시광 엘이디(190)의 점등 여부에 의해 확인될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는, 수용공간이 커버본체부(110)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170)를 통한 동작 신호가 입력되어야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지고, 커버본체부(110)가 작동 중 자외선의 외부 유출 위험이 있는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경우 또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는 경우 자외선 조사가 중단되도록 전원 공급이 자동으로 차단되며, 엘이디(120) 점등 및 이를 통한 자외선 조사 여부를 가시광 엘이디(190)의 점등 여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는, 상기와 같이 다중으로 마련된 안전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작동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사고 발생 및 자외선의 유출로 인한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한편 엘이디(120)에서 출사되는 자외선은,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대상 기기(1)를 향해 조사되어 살균대상 기기(1)의 표면에서 살균 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살균대상 기기(1)의 전체 영역에 빠짐없이 자외선이 조사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엘이디(120)가 설치되는 한편, 엘이디(12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부(160)를 이용하여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대상 기기(1) 측으로 반사시켜 자외선의 조사 영역이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대상 기기(1)를 향해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살균대상 기기(1)의 전체 영역에서 살균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의 살균 작용에 의한 살균 효과를 살펴보면,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을 이용하여 살균대상 기기(1)에 대한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진지 약 15분 정도가 경과한 시점에서 대장균의 불활성화가 99.9%에 가깝게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과정 동안 살균 대상 기기(1)에 약 5mJ/㎠ 정도의 자외선이 조사되어 살균대상 기기(1)의 표면에 잔류하는 대장균 대부분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황색포도상구균의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을 이용하여 살균대상 기기(1)에 대한 자외선 조사가 이루어진지 약 20분 정도가 경과한 시점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의 불활성화가 99.9%에 가깝게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과정 동안 살균대상 기기(1)에 약 7mJ/㎠ 정도의 자외선이 조사되어 살균대상 기기(1)의 표면에 잔류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대부분에 대한 살균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에 따르면, 간단한 온/오프 조작만으로 이어폰, 손톱깎기, 휴대폰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소형 기기에 대한 자외선 살균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살균대상이 되는 소형 기기에 잔류하는 각종 세균이 효율성 높게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소형 기기에 존재하는 세균을 가정에서 쉽고 빠르면서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에 따르면, 소형으로 제작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바닥면에 놓인 소형 기기를 덮는 것만으로 소형 기기에 대한 살균을 손쉽게 행할 수 있어 휴대 사용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100)는, 스위치(170) 조작, 감지부(140)를 통한 수용공간 폐쇄 여부 감지, 타이머(180)를 통한 동작 시간 설정 등, 다중으로 마련된 안전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자외선의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장치의 작동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사고 발생 및 자외선의 유출로 인한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110 : 커버본체부
111 : 커버판
113 : 측벽
120 : 엘이디
130 : 전원공급부
140 : 감지부
150 : 제어부
160 : 반사부
170 : 스위치
180 : 타이머
190 : 가시광 엘이디

Claims (12)

  1. 살균장치에 있어서,
    살균 대역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살균 엘이디;
    가시광 대역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가시광 엘이디;
    살균대상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커버본체부;
    상기 살균 엘이디 및 상기 가시광 엘이디의 점등을 위해 상기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엘이디는 커버본체부에 설치되되,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 대상 기기를 향해 살균광을 조사하도록 점등되고,
    상기 가시광 엘이디는 살균 엘이디가 점등되어 살균광이 조사될 때 살균 엘이디와 함께 점등되어 가시광 영역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살균 엘이디를 통해 살균광이 조사되는 것을 표시하고,
    상기 살균 엘이디와 상기 가시광 엘이디는 연동되어 함께 점등되는 살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살균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본체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버본체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커버 본체부의 수용 공간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바닥면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커버본체부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엘이디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살균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감지하는 감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빛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커버 본체부의 수용 공간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바닥면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커버본체부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엘이디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살균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 본체부의 수용 공간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바닥면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커버본체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커버판과, 상기 바닥면과 마주보는 상기 커버판의 하부면 가장자리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살균 엘이디는, 상기 커버판의 하부면과 상기 측벽으로 둘러싸인 상기 커버본체부의 내부 영역에 위치하도록 상기 커버판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살균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살균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을 상기 수용공간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살균장치.
  7. 살균장치에 있어서,
    살균 대역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살균 엘이디;
    가시광 대역 파장의 광을 출사하는 가시광 엘이디;
    살균대상 기기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커버본체부;
    상기 살균 엘이디 및 상기 가시광 엘이디의 점등을 위해 상기 엘이디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살균 엘이디로 전원을 공급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 엘이디는 커버본체부에 설치되되, 수용공간 및 수용공간에 수용된 살균 대상 기기를 향해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점등되고,
    상기 가시광 엘이디는 살균 엘이디가 점등되어 살균광이 조사될 때 살균 엘이디와 함께 점등되어 가시광 영역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살균 엘이디를 통해 살균광이 조사되는 것을 표시하는 살균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조절하는 살균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본체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커버본체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커버 본체부의 수용 공간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바닥면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커버본체부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엘이디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살균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커버본체부 내부에 설치되어 빛을 감지하는 감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의 빛 감지 여부에 따라 상기 커버본체부의 이동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커버 본체부의 수용 공간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바닥면을 향해 개방되고, 상기 커버본체부가 상기 살균대상 기기가 놓여진 상기 바닥면에서 이격되는 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엘이디로의 전원 공급이 중단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살균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93744A 2015-06-26 2015-06-30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KR1024305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744A KR102430507B1 (ko) 2015-06-30 2015-06-30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EP16814619.9A EP3315142A4 (en) 2015-06-26 2016-06-16 STERILIZATION APPARATUS
CN201911181252.8A CN110859976B (zh) 2015-06-26 2016-06-16 杀菌器及杀菌系统
CN201680037592.1A CN107708745A (zh) 2015-06-26 2016-06-16 杀菌装置
JP2017566777A JP6845163B2 (ja) 2015-06-26 2016-06-16 殺菌装置
PCT/KR2016/006386 WO2016208906A1 (ko) 2015-06-26 2016-06-16 살균 장치
CN202110338901.1A CN113069570B (zh) 2015-06-26 2016-06-16 便携式杀菌装置
US15/854,647 US10525153B2 (en) 2015-06-26 2017-12-26 Sterilizing apparatus
US16/734,929 US11027033B2 (en) 2015-06-26 2020-01-06 Sterilizing apparatus
JP2021029066A JP7102565B2 (ja) 2015-06-26 2021-02-25 携帯型殺菌装置
US17/243,290 US11938239B2 (en) 2015-06-26 2021-04-28 Sterilizing apparatus
JP2022109315A JP7413450B2 (ja) 2015-06-26 2022-07-06 殺菌装置
KR1020220096805A KR102655821B1 (ko) 2015-06-30 2022-08-03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JP2023221822A JP2024038183A (ja) 2015-06-26 2023-12-27 殺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3744A KR102430507B1 (ko) 2015-06-30 2015-06-30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805A Division KR102655821B1 (ko) 2015-06-30 2022-08-03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860A KR20170003860A (ko) 2017-01-10
KR102430507B1 true KR102430507B1 (ko) 2022-08-11

Family

ID=578117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744A KR102430507B1 (ko) 2015-06-26 2015-06-30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KR1020220096805A KR102655821B1 (ko) 2015-06-30 2022-08-03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805A KR102655821B1 (ko) 2015-06-30 2022-08-03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05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134B1 (ko) * 2018-09-28 2020-05-19 주식회사 쉐어라이트 살균장치
MX2020008666A (es) * 2018-02-20 2020-09-22 Freestyle Partners Llc Dispositivo de uvc lejana portatil y desechable.
KR102192544B1 (ko) * 2018-08-16 2020-12-17 (주)솔라루체 인터랙티브 자외선 led 살균 장치
KR102195358B1 (ko) * 2020-05-29 2020-12-28 주식회사 엘티전자 자외선 살균장치
KR102444682B1 (ko) * 2020-10-29 2022-09-19 (주)비에네스소프트 살균 효율성을 높인 키보드 살균장치
KR102623381B1 (ko) * 2021-06-22 2024-01-10 주식회사 포스트케어 차량 콘솔박스 부착형 플라즈마-uvc 하이브리드 살균 장치
KR102586128B1 (ko) * 2021-06-22 2023-11-01 주식회사 포스트케어 플라즈마-uvc 하이브리드 살균 장치의 동작 모드 자동 전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764B1 (ko) * 2004-06-09 2006-05-26 (주)썬바이텔 수저케이스 형상의 이동식 살균 건조기
KR200406166Y1 (ko) 2005-10-05 2006-01-20 정상길 행주의 살균 및 건조 기구
KR200440710Y1 (ko) * 2008-01-14 2008-06-27 정창섭 위생용품 살균소독기
KR101079227B1 (ko) * 2010-01-20 2011-11-03 주식회사 이아이라이팅 방전램프 및 상기 방전램프가 설치된 장치
KR20120092465A (ko) * 2011-02-11 2012-08-21 박성훈 주방용 도마 살균기
KR20130002604U (ko) * 2011-10-21 2013-05-02 정주희 다목적 살균장치
KR20210092465A (ko) 2020-01-16 2021-07-26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납형태의 이동식 컨테이너 하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5821B1 (ko) 2024-05-10
KR20170003860A (ko) 2017-01-10
KR20220113899A (ko) 2022-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507B1 (ko)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JP7413450B2 (ja) 殺菌装置
JP7346652B2 (ja) 携帯型装置の消毒
US96493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nitizing door knobs or door handles
KR101284639B1 (ko) 자외선 엘이디를 이용한 살균 휴대폰 케이스
US8895940B2 (en) Switch sanitizing device
KR10186626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주방용 싱크대
US1111685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ouchless sanitation of handheld objects
US11534512B2 (en) Appliance disinfection
WO2015167319A1 (en) Self-sterilizing cov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s
GB2454642A (en) Portable UV steriliser
KR20200076077A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
KR20130000919U (ko) 살균함
KR20220040787A (ko) 차량 내부의 물건 소독시스템
KR200421601Y1 (ko) 운반수단 손잡이 살균장치
JP3230753U (ja) 紫外線照射機能付きのデシケーター
KR102259696B1 (ko) 도어 핸들 모듈
KR101887393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손잡이
KR102449348B1 (ko) 광 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스틱
WO2023031405A1 (fr) Dispositif auto-désinfectant
US11524083B1 (en) Personal, portable, hand-held UV sanitizer and method of use
KR20220076838A (ko) 승강기 조작패널의 살균모듈
KR20220126980A (ko)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
KR20230024685A (ko) 엘리베이터 살균 시스템
KR20240057825A (ko) 살균 장치 및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