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980A -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 - Google Patents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980A
KR20220126980A KR1020210031396A KR20210031396A KR20220126980A KR 20220126980 A KR20220126980 A KR 20220126980A KR 1020210031396 A KR1020210031396 A KR 1020210031396A KR 20210031396 A KR20210031396 A KR 20210031396A KR 20220126980 A KR20220126980 A KR 20220126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door
sterilization
storage spa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르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르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르덴
Priority to KR1020210031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6980A/ko
Publication of KR20220126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9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프레임 내 수납공간에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살균부가 구비된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프레임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수납공간 내 살균부가 구동제어되어 수납과 동시에 살균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로 자외선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납품의 위생적이고 안전한 보관이 가능한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 {FURNITURE WITH STERILIZATION FUNCTION}
본 발명은 가구프레임 내 수납공간에 살균기능을 수행하는 살균부가 구비된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프레임에 구비된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수납공간 내 살균부가 구동제어되어 수납과 동시에 살균처리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로 자외선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납품의 위생적이고 안전한 보관이 가능한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형 가구는 전면측에 도어가 형성되어 도어 개폐를 통해 수납품의 인출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형 가구는 의류 뿐만 아니라 평상시에 사용되는 물건, 휴대용 물건 등이 수납될 수 있는데 일반 물건의 경우 매일 세척하기 어려워 세균 등이 표면에 묻은 상태로 보관되며, 의류 또한 세탁된다 하더라도 장기간 보관이나 미세한 세균 등이 의류에 포함된 상태로 보관되는 경우 의류에 곰팡이나 세균들이 번식할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수납공간 내부는 환기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세균이 번식하기 좋은 환경으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좀약 등을 수납공간 내부에 구비할 수 있으나 수납물에 좀약 냄새가 배게 되고, 좀약으로는 모든 세균을 번식을 방지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20882호에 "오존살균가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오존을 발생시키는 오존 발생기를 신발장, 싱크대 등과 같은 일반 가구 내부에 구비되어 오존을 발생시켜 살균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오존은 다소 인체에 유해한 반면 가구 개폐와 동시에 내부의 오존이 가구를 개폐한 사용자에게 전달될 우려가 매우 높다. 특히, 오존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별도의 제어구성에 대한 기재가 존재하지 않아 내부에 스위치가 구비된 경우 스위치 구동과 동시에 사용자가 오존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오존가스를 접하게 될 우려가 존재하며, 오존 발생기 구동스위치가 외부에 존재한다 하더라도 사용자는 내부에 오존 가스가 현재 발생중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고, 이로인해 직접 가구를 개폐하여 확인하게 된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또한, 가구 내에 통기수단을 별도로 구비해야하기 때문에 내부구성 및 제작이 복잡하고, 오존발생기와 함께 통기수단 또한 구동해야하기 때문에 전력소모가 크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7-0020882호 "오존살균가구"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구 내 수납공간에 자외선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살균부를 구비하여 도어 개폐와 동시에 살균부가 구동제어되어 수납과 동시에 자동으로 살균할 수 있는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도어 폐쇄와 동시에 일정시간동안 살균부가 구동되어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외부로 자외선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구 개폐시 접하게 될 수 있는 자외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구 내 수납공간에 살균부가 구비되어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에 있어서,
일면에 도어가 형성된 가구프레임; 상기 수납공간 내측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인입된 수납품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도어가 형성된 상기 가구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살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가구 내 수납공간에 자외선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살균부를 구비하여 도어 개폐와 동시에 살균부가 구동제어되어 수납과 동시에 자동으로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도어 폐쇄와 동시에 일정시간동안 살균부가 구동되어 전력소모를 최소화하고, 외부로 자외선이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어에 경사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가구 개폐시 접하게 될 수 있는 자외선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프레임의 도어 개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부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2 도어와 경사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의 구성을 구성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프레임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프레임의 도어 개방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부의 구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2 도어와 경사부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의 구성을 구성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는 가구프레임(100) 내 수납공간(101)에 살균부(200)가 구비되어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가구는 가구프레임(100), 살균부(200), 감지부(300) 및 제어부(400)로 구성된다.
가구프레임(100)은 내부에 의류나 물건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01)이 구비되고, 이러한 수납공간(101)이 형성된 정면측에는 도어(110)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110)의 개폐에 따라 수납공간(101)이 외부와 연통되어 사용자가 수납공간(101)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공간(101) 내부에는 수납품의 단순 보관뿐만 아니라 수납품을 살균부(200)와 가까이 구비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거치구(1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구(102)는 도 2와 같이 마스크와 같이 세균번식이 쉽게 일어나는 수납품을 살균부(200)와 근접한 곳에 보관하여 빠르고 강한 살균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거나 크기가 작아 수납공간(101) 내 단순 수납하기 어려운 수납품을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거치구(102)는 도 2 및 3과 같이 살균부(200)의 하측 인접한 공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가구프레임(100)의 전면에는 수납공간(101)의 수납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가구프레임(100)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110)가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110)는 도 1과 같이 제1 도어(111) 및 제2 도어(112)로 구성된 여닫이 형태가 될 수 있으나 하나의 도어(110)로 이루어진 미닫이 형태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존의 여닫이 형태는 폐쇄될 때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가 서로 수직하게 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러한 한 쌍의 도어(110)간의 높이방향으로의 틈새가 발생하여 도어(110) 폐쇄와 동시에 이루어지는 살균부(200) 구동에 의해 수납공간(101) 내부의 자외선이 틈새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의 접합되는 면에는 경사부(120)가 형성된다.
경사부(120)는 제1 도어(111)와 제2 도어(112)가 접해지는 일면에 각각 형성되며, 제2 도어(112)는 외측(정면)으로 갈수록 점차 너비가 좁아지는 경사를 갖게되고, 제1 도어(111)는 제2 도어(112)의 경사와 대응되게 외측(정면)으로 갈수록 점차 너비가 넓어지는 경사를 갖게 된다.
따라서, 제2 도어(112)를 먼저 닫고, 제1 도어(111)가 닫히면 수납공간(101)과 연통되는 틈새가 경사부(120)에 의해 마감됨으로써 내부의 자외선이 제1 및 2 도어(111,112)간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도어(111)는 제2 도어(112)가 닫힌 후 닫혀야 경사부(120)가 서로 접합되면서 틈새가 마감되기 때문에 감지부(300)는 제1 도어(111)가 폐쇄되는 측의 가구프레임(100) 정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감지부(300)는 접촉센서로 이루어지거나 수납공간(101) 내 빛의 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로 이루어져 도어(110)의 개폐를 감지한다.
살균부(200)는 수납공간(101) 내측 상면에 구비되어 감지부(300)가 도어(110)의 폐쇄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살균부(200)가 구동되어 수납공간(101) 내 수납품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살균부(200)는 UV램프나 UV-C LED 등으로 이루어져 살균효과가 뛰어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지부(300)는 도어(110)가 구비된 가구프레임(100)의 전면측에 구비되어 도어(110)의 개폐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살균부(200)의 구동이 제어되도록 한다.
즉, 도 2와 같이 도어(110)가 가구프레임(100) 전면 측단과 결합되어 회동시 최종적으로 회동되는 부분(힌지와 인접한 부분)에 구비되어 도어(110)의 완전 폐쇄를 감지하고, 이러한 감지값을 제어부(400)로 전달하여 제어부(400)가 살균부(200)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110)가 폐쇄됨과 동시에 살균부(200)는 구동되어 수납품측으로 살균효과를 갖는 자외선을 조사하고, 도어(110)가 개방되면 이를 감지부(300)가 감지하여 제어부(400)가 살균부(200)의 전원을 차단하여 상기 살균부(200)가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도어(110)를 개폐한 사용자에게 자외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살균부(200) 및 감지부(300)와 연결되어 도어(110) 개폐를 감지한 감지부(300)의 감지값에 따라 살균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400) 내 메모리에는 살균부(200)의 구동시간, 자외선 조사 세기 등이 저장되며, 이러한 제어부(400)는 외부 조절 스위치(도면에 미도시) 또는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수납품의 종류에 따라 구동시간 및 자외선 조사 세기 등이 조절되어 살균부(2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마스크와 같이 세균번식환경이 쉽게 조성되는 수납품의 경우 구동시간을 길게하고, 자외선 조사 세기를 강하게 하여 빠른 살균효과를 이용하여 빠른 마스크 재사용이 될 수 있도록 하고, 기설정된 구동시간 외에는 살균부(200)의 전원을 차단하여 과도한 전력소모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가구프레임 101: 수납공간
102: 거치구 110: 도어
111: 제1 도어 112: 제2 도어
120: 경사부 200: 살균부
300: 감지부 400: 제어부

Claims (1)

  1. 가구 내 수납공간에 살균부가 구비되어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에 있어서,
    일면에 도어가 형성된 가구프레임;
    상기 수납공간 내측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수납공간 내부로 인입된 수납품으로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하는 살균부;
    상기 도어가 형성된 상기 가구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감지값에 따라 상기 살균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
KR1020210031396A 2021-03-10 2021-03-10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 KR20220126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96A KR20220126980A (ko) 2021-03-10 2021-03-10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96A KR20220126980A (ko) 2021-03-10 2021-03-10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980A true KR20220126980A (ko) 2022-09-19

Family

ID=83460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396A KR20220126980A (ko) 2021-03-10 2021-03-10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698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882U (ko) 1995-11-22 1997-06-18 이창헌 오존 살균 가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0882U (ko) 1995-11-22 1997-06-18 이창헌 오존 살균 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1060A (ko) 화장용 도구 자외선 살균기
KR20170041947A (ko) Uv 살균장치
KR20110067206A (ko) 좌변기의 자외선 살균 장치
KR20130094474A (ko) 살균램프를 구비한 변기 커버
KR20170022190A (ko) 자외선 살균 기능을 갖는 싱크대
KR101890917B1 (ko) 욕실용 수납함의 살균장치
KR20220126980A (ko) 살균기능을 갖는 가구
KR101023247B1 (ko) 도서 소독장치
KR20200089822A (ko) 자외선 필통
KR102523102B1 (ko) 자외선 난반사 및 온풍 회전기능을 갖는 소독장치
KR102395130B1 (ko) 전기 소독기
KR102428796B1 (ko) 살균 기능을 구비한 의류 수납장
KR200435151Y1 (ko) 살균장치
KR20190001604U (ko) 항균기능을 갖는 변기덮개
KR101857182B1 (ko) 싱크대 살균기
KR200328935Y1 (ko) 자외선살균틀니보관함
KR20210141899A (ko) 다목적 자외선 살균기
JP2004305460A (ja) 歯ブラシ殺菌装置及び歯ブラシ収納ケース
KR20210072638A (ko) 좌변기용 자외선 소독장치
KR20090038497A (ko) 광섬유와 uv led를 이용하는 살균방식 및 장치.
JP2018175506A (ja) 殺菌装置
KR20150011984A (ko) 살균기능을 구비한 피아노건반 덮개 살균기
US20220151458A1 (en) Footwear Sanitization Device
CN219440076U (zh) 用于储物柜的紫外线杀菌灯
TWM653647U (zh) 感應式自動殺菌馬桶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