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134B1 -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134B1
KR102112134B1 KR1020180116157A KR20180116157A KR102112134B1 KR 102112134 B1 KR102112134 B1 KR 102112134B1 KR 1020180116157 A KR1020180116157 A KR 1020180116157A KR 20180116157 A KR20180116157 A KR 20180116157A KR 102112134 B1 KR102112134 B1 KR 102112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generator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light
ultraviolet ra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6476A (ko
Inventor
박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어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어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어라이트
Priority to KR1020180116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134B1/ko
Priority to US16/208,804 priority patent/US10988388B2/en
Publication of KR2020003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6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8Units having reflectors, e.g. coatings, baffles, plates, mirr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Toxic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살균장치에 있어서,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그리고, 내부공간과 입구를 가지는 상부, 입구와 마주보는 하면 및 하면과 상부를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내부공간에 반도체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장치{STERILIZING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이 편리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개시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도 1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2677호에 제시된 자외선램프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자외선차단물질(4)이 도포된 자외선램프(5)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극(2), 필라멘트(3), 유리관(1)으로 구성된 자외선램프(5)의 일부 면에는 자외선차단물질(4)이 도포되어 있다. 자외선차단물질(4)이 도포된 방향으로는 자외선의 방출이 차단(6)된다. 자외선램프(5)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유리관(1)의 양단에는 열전자를 방출하기 위해 필라멘트(3)가 있고, 필라멘트(3)의 가열로 전자의 방출이 쉬워진다.
양단의 필라멘트(3)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류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전자(8)는 이동 중에 수은증기(9)를 여기시키고 여기된 수은증기(9)는 기저상태로 떨어지면서 자외선(7)이 방출된다. 유리관(1)의 일부 면에 도포된 자외선차단물질(4)에 의해 일부 면은 자외선이 차단되고, 타면에서는 자외선(7)이 방출된다.
자외선 램프(5)는 크기가 크고, 전원의 소비량이 크다. 따라서, 자외선 램프(5)를 가지는 살균장치는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자가발전으로 사용하기에는 소비량이 크기 때문에 자가발전 및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여기서는, 본 개시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개시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본 개시에 따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살균장치에 있어서,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그리고, 내부공간과 입구를 가지는 상부, 입구와 마주보는 하면 및 하면과 상부를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내부공간에 반도체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살균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2677호에 제시된 자외선램프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내지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내지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사용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사용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조립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개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The present disclosure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 내지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살균장치(100)에 있어서, 살균장치(100)는 케이스(110), 반도체 발광소자(130) 및 발전기(15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상면(173)과 측면(171) 및 상면(173)과 측면(171)으로 둘러싸는 제1 내부공간(111)을 포함하고, 제1 내부공간(111)은 케이스(110)의 아래방향에 입구(113)를 가진다. 반도체 발광소자(130)는 케이스(110)의 제1 내부공간(111)에 구비되며, 케이스(110)의 입구(113)를 향해 자외선(L)을 발광한다. 발전기(150)는 반도체 발광소자(130)의 위에 구비되며, 반도체 발광소자(130)에 전기를 공급한다. 발전기(150)는 케이스(110)에 고정되고, 발전기(150)에 손잡이(151)가 구비된다.
일 예로 손잡이(151)는 발전기(15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손잡이(151)로 발전기(150)를 발전하는 힘(F)에 의해 발전기(150)는 케이스(110)에 힘(F)을 전달한다. 발전기(150)를 손잡이(151)로 발전하면서 가해지는 힘(F) 또는 발전기(150)를 누르는 힘(F)으로부터 케이스(110)에 힘(F)이 전달된다. 힘(F)의 방향은 케이스(110)의 입구방향으로 케이스(110)를 누르는 방향이다. 따라서, 케이스(110)를 누르는 힘 때문에 케이스(110) 밖으로 빛이 새어나가지 않고, 제1 내부공간(111)이 밀폐되어 외부와 차단되어 살균력이 높아진다.
도 2와 도 3은 케이스(110)의 상면(173)에 발전기(150)가 구비되는 예이다.
발전기(150)가 케이스(110)의 상면(173)에 구비되는 경우, 발전기(150)를 손잡이(151)로 발전하면서 가해지는 힘(F)이 케이스(110)에 전달된다. 반도체 발광소자(130)는 기판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케이스(110)의 상면(173) 위에 발전기(150)가 구비되는 예이다. 상면(173) 위에 구비된 발전기(150)를 발전하면서 가해지는 힘(F)이 상면(173)을 통해 입구방향으로 힘이 전달된다.
도 3은 케이스(110)의 상면(173) 아래 제1 내부공간(111)에 발전기(150)가 구비되는 예이다. 케이스(110) 상면(173)에는 홀(115)이 있어, 손잡이(151)가 홀(115)를 관통하여 발전기(15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제1 내부공간(111)에 발전기(150)가 구비되면서 손잡이(151)에 가해지는 힘(F)이 발전기(150)에서 케이스(1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제1 내부공간(111)에 발전기(150)가 구비될 수 있는 걸림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손잡이(151)에 가해진 힘은 걸림부(117)를 통해 케이스(110)의 입구방향으로 힘이 전달된다. 걸림부(117)는 케이스(110)로부터 제1 내부공간(111)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130)는 발전기(150)의 아래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살균장치(100)에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살균장치(100)의 기울기가 기울어져있거나 뒤집어져 있으면, 발전기(150)가 발전을 해도 반도체 발광소자(130)가 발광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스(110)가 측면(171)으로만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스(110)의 상면(173)을 대신해 발전기(150)가 구비된 것이다. 케이스(110)와 접촉하도록 발전기(150)가 구비되고, 반도체 발광소자(130)의 빛(L)은 케이스(110)의 입구(113)로 발광된다.
또한, 살균장치(100)는 윈도우(190)를 더 포함한다. 윈도우(190)는 케이스(110)의 입구(113)와 반도체 발광소자(130) 사이에 구비되며, 반도체 발광소자(13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190)는 하부에 위치되는 살균 대상물질로부터 발광부 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물과 같은 전도성 물질이 튀겨 구동회로가 손상 또는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 한다. 또한 케이스와 잘 밀착하면 방수기능을 얻을 수 있다. 윈도우(190)는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윈도우(190)는 사파이어 또는 쿼츠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사파이어 또는 쿼츠로 형성된 윈도우(190)는 자외선 투과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윈도우(190)는 케이스(110)의 입구(113)로부터 거리를 두고 구비된다. 측면(171)은 자외선(L)이 살균장치(110)의 측면(171)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고, 입구(113)의 안쪽에 구비된 윈도우(19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스(110)의 입구(113)로부터 케이스(110) 측면방향으로 넓게 형성되어 케이스(110)의 상부(173)로 빛(L)이 반사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배리어(200)가 구비된다. 배리어(200)는 케이스(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200)는 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110)와 따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살균장치(100)가 물통(300)을 살균하기 위해 물통(300)과 접촉하게 되면, 살균장치(100)의 배리어(200)는 물통(300)과 접촉하게 된다. 배리어(200)에는 물통(300)의 입구(301)와 접촉하는 부위에 밀착부(210)가 구비되는데, 밀착부(210)는 물통(300)의 입구(301)와 밀착이 잘되고 반도체 발광소자(130)의 자외선이 배리어(200)와 물통(300)의 입구(301) 사이에서 새어나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밀착부(210)는 케이스(110)에 전달되는 힘(F)이 배리어(200)까지 전달되어 물통(300)의 입구(301)에 밀착이 잘되도록 모양이 변할 수 있다.
밀착부(210)는 배리어(200)의 하면(203)에 구비되며, 하면(203)의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210)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착부(21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등 일 수 있다.
케이스(110)의 제1 내부공간(111)을 형성하는 측면(171)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부공간(111)에서 나가는 빛이 제1 내부공간(111)에서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어 입구(113) 방향으로 더 많이 방출될 수 있다.
도 5와 같이 발전기(150)에 반도체 발광소자(1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과 같이 배리어(200)는 형성될 수 있으며, 배리어(200)로 둘러싸는 제2 내부공간(201)이 구비된다. 도 6과 같이 배리어(20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5의 입구(113)보다 넓은 면을 살균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내부공간(201)을 형성하는 배리어(200)에는 반사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130)에서 발광된 빛은 반사부(230)에 의해 빛이 제2 내부공간(201)에 퍼져 살균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전기(150)의 발전을 위한 손잡이(151)를 자외선(L)이 발광하는 방향으로 눌러서 발전하는 예를 나타낸다. 발전기(150)의 손잡이(151)를 눌러 발전기(150)가 발전된다. 발전기(150)의 손잡이(151)를 눌러줌으로써, 발전기(150)에 힘(F)을 전달하고, 발전기(150)와 케이스(110)가 밀착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측면(171)에 밀착부(210)가 구비되면, 케이스(110)를 눌러주는 힘에 밀착부(210)가 밀착되면서 제1 내부공간(111)의 밀폐력이 더 높아진다. 또한, 자외선(L)이 케이스(110) 외부로 나가지 않고, 밀폐력이 높아진 제1 내부공간(111)에 공기가 출입하지 않으므로 살균력이 더 증가한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손잡이(151)가 발전기(150)의 측면에 위치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발전기(150)를 발전할 때, 발전기(150)의 측면에 위치하는 손잡이(151)를 발전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 발전기(150)를 눌러 발전기(150)에 힘(F)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힘(F)에 의해 케이스(110)의 밀착부(210)가 눌러져 제1 내부공간(111)의 밀폐력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손으로 발전기(150)를 누름으로 인해서 안정적으로 케이스(110)가 눌려질 수 있다.
도 8(b)는 발전기(150)가 케이스(110)의 측면에 위치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전기(150)를 발전하기 위해 손잡이(151)를 돌리거나 누르는 힘(F)은 케이스(110)에 전달된다. 발전기(150)가 케이스(110)에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발전기(150)는 손잡이(151)의 힘이 케이스(110)로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4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도 9(a)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살균장치(400)는 케이스(410), 반도체 발광소자(430), 발전기(450) 그리고, 통(470)을 포함한다.
케이스(410)는 통(470) 위에 구비되며, 케이스(410)에는 반도체 발광소자(430) 및 발전기(450)가 구비된다. 케이스(410) 내부공간(413)에 발전기(450)와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구비된다.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소비전력이 적어서 적은 양의 전류로 빛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발전기(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전기(450)에서 발생된 전류는 반도체 발광소자(4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발전기(450)는 사람이 돌려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자가 발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소비전력이 적어서 사람이 발전하는 자가 발전에도 켜질 수 있다. 발전기(450)는 자가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손잡이(451)가 필요하다. 손잡이(451)를 사람이 잡고 회전시키면 발전기(450)에서 전기가 생성된다. 손잡이(451)의 길이(L)는 케이스(410)의 하면(412)과 통(470)의 하면(472)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손잡이(451)의 길이(L)가 케이스(410)의 하면(412)보다 위에 있게 되면 손잡이(451)를 회전시키는데 많은 힘이 들어가며, 이로인해 살균장치(400)가 움직여 넘어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451)의 길이(L)가 통(470)의 하면(472)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손잡이(451)가 걸림없이 회전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470)의 하면(472)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손잡이(451)는 손잡이(451)를 적은힘으로 회전시키며 발전기(450)의 발전을 쉽게 하기 위해 케이스(410)의 하면(412)과 통(470)의 하면(472)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L)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470)은 내면(471)을 가진다. 내면(47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빛을 비추어 통(470)의 내면(471)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통(470)에는 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살균하고 싶은 물체를 두어도 된다.
통(47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외선은 플라스틱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한다. 유리도 가능하지만 유리는 깨질 수 있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플라스틱이 이동시에 더 편리할 수 있다. 하지만, 통(470)의 내부가 보이면서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는 물질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통(470)에는 주둥이(479)가 구비될 수 있다. 통(470)에 액체가 담겨있는 경우, 주둥이(479)로 액체를 흘리지 않고 따를 수 있다.
발전기(450)의 손잡이(451)는 케이스(410)의 외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케이스(410)는 케이스(410)의 외부에 구비된 손잡이(451)가 케이스(410) 내부의 발전기(450)와 연결되기 위해서 케이스(410)에는 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살균장치(400)는 타이머(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왜냐하면 발전기(450)가 일정시간 이상 연속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일 예로 타이머(480)는 반도체 발광소자(430)와 발전기(450) 사이에 구비되어, 발전기(450)의 일정시간 사용시 반도체 발광소자(430)와 발전기(45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일정시간동안 전기적 연결을 차단 후 전기적 연결이 다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타이머(480)를 사용함으로써 반도체 발광소자(430)나 발전기(450)의 과열 등을 막을 수 있고, 타이머(480)는 통(470)의 내부가 충분히 살균될 수 있는 시간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타이머(480)가 두 선에 연결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머(480)가 과열 등을 막기 위해 동작한다면 어떻게 연결되는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400)의 다른 예이며, 도 9(b)와 같은 단면을 나타낸다. 도 10(b)는 도 10(a)의 BB' 단면을 나타낸다.
통(470)은 서랍(475)을 포함하는 예이다. 통(470)의 측면(478)에 입구(473)가 형성되고, 입구(473)를 통해 통(470)에 서랍(475)이 끼워졌다가 빠졌다가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470)의 내면(471)에는 서랍(475)이 끼워지는 돌출부(477)가 구비될 수 있고, 서랍(475)에는 홈부(476)가 형성되며, 돌출부(477)에 홈부(476)가 끼워져 돌출부(477)를 따라서 서랍(475)이 움직일 수 있다. 홈부(476)와 돌출부(477)는 서로 바뀌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와 같이 케이스(410)의 내부공간(413)에 구비되는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자외선을 발광한다.
또한, 도 11(b)와 같이 반도체 발광소자(430)와 같이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알람부(4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자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켜져도 육안으로는 반도체 발광소자(430)의 작동여부를 알 수 없다. 반도체 발광소자(430)와 함께 알람부(490)를 함께 부착하여 사용자가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작동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알람부(490)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430)일 수 있고,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동시에 발광할 수도 있다. 알람부(490)의 위치는 어디든 상관 없다.
도 11(c)와 같이 알람부(490)는 케이스(410)의 외면(419)에 구비되며, 알람부(490)는 가시광선을 발광한다. 이때, 통(470)은 투명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알람부(490)는 케이스(410)의 외면(419)에 구비되기 때문에 외부에서도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동작 중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사용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통(470)에 살균물(A)을 넣는다. 살균물(A)은 살균이 필요한 물건이나 재료일 수 있다. 살균물(A)은 예를 들면, 물, 아기용품, 핸드폰 등 일 수 있다.
이후, 통(470)과 케이스(410)를 고정한다. 통(470) 위에 케이스(410)를 두고 통(470)과 케이스(410)가 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후, 발전기(450)를 발전한다. 발전기(450)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여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켜져 살균물(A)이 살균된다. 발전기(450)를 발전할 때, 사람은 한 손으로 발전기(450)의 손잡이(451)를 잡고 손잡이(451)를 회전시킨다. 다른 한 손은 케이스(410)를 누르면서 살균장치(400)가 움직이지 않도록 눌러 케이스(410)와 통(470)을 고정할 수 있다.
이후, 통(470)의 살균물(A)이 살균이 되면 통(470)과 케이스(410)를 분리하여 통(470)의 살균물(A)을 보관하거나 사용한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사용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서랍(475)에 살균물(A)을 넣는다.
이후, 서랍(475)을 통(470)에 넣는다. 서랍(475)은 통(47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발전기(450)를 발전한다. 발전기(450)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여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켜져 살균물(A)이 살균된다.
이후, 통(470)에 서랍(475)이 있는 경우에는 통(470)의 서랍(457)만 빼서 살균물(A)을 보관하거나 사용한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사용 후 조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분리된 케이스(410)와 통(470)은 도 14(a)와 같이 손잡이(451)를 빼고, 통(470)과 케이스(410)가 겹쳐지도록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14(b)와 같이 손잡이(451)를 조립한 채로 통(470)과 케이스(410)를 조립할 수 있다. 통(470)에는 손잡이(451) 부분이 들어갈 수 있도록 주둥이(479)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410)를 두고, 케이스(410)를 통(470)으로 덮는다. 즉, 케이스(410)의 외면(419)과 통(470)의 내면(471)이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살균장치(400)를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케이스(410)와 통(470)을 겹쳐 살균장치(400)의 부피를 줄여서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410)의 높이는 통(47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410)가 통(470)에 들어가도록 조립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470)의 측면(478)에는 문(475-1)이 구비된다. 문(475-1)은 열고 닫게 형성되어 문(475-1)을 열고 통(470)의 내부에 살균물(A;도 13 참조)을 넣는다. 문(475-1)이 있으면, 통(470)의 내면(471)을 오염시키지 않고 살균물(A)을 살균 할 수 있다.
살균물(A)을 살균할 때, 문(475-1)이 닫혀야 살균이 가능하다. 문(475-1)이 닫히지 않으면 발전기(450)를 발전해도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켜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문(475-1)과 통(470) 사이에 마그네트 스위치나 접점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통(470)은 자주 물로 세척해야 하므로, 마그네트 스위치는 물이 닿지 않도록 케이스(410) 또는 문(475-1)에 위치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문(475-1)을 열어 놓고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작동하면 자외선이 사람의 눈에 직접 쏘일 수 있기 때문에 문(475-1)을 닫아서 자외선이 통(470)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는다. 이는 도 10의 서랍(475)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문(475-1)을 열고 내부에 물이 담긴 물컵을 넣는 경우, 내부의 물 뿐만 아니라 오염된 물컵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a)는 살균장치(5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b)는 도 16(a)의 AA' 단면을 나타낸다. 도 16(c)는 살균장치(500)에 구비될 수 있는 통(55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살균장치(500)는 반도체 발광소자(530)와 케이스(510)를 포함한다.
반도체 발광소자(530)는 자외선을 발광한다.
케이스(510)는 내부공간(517)과 입구(519)를 가지는 상부(511), 입구(519)와 마주보는 하면(515) 및 하면(515)과 상부(511)를 연결하는 측면(513)을 포함한다.
내부공간(517)에는 반도체 발광소자(530)가 구비되며, 입구(519)를 향해 반도체 발광소자(530)가 놓여진다. 반도체 발광소자(530)에서 나온 자외선은 입구(519)에서 하면(515)을 향해 나온다.
반도체 발광소자(530)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사람의 눈에 좋지 않아서 직접 사람의 눈에 들어가게 될 경우, 눈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소자(530)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하면(515)과 측면(513)에서 흡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면(515)과 측면(513)은 자외선이 흡수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장치(500)의 케이스(510) 상부(511)에서 나오는 자외선이 하면(515)과 측면(513)에서 반사되지 않고 흡수시켜, 케이스(510)를 작동시킨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살균장치(500)가 작동 중 넘어진 경우에도 하면(515)과 측면(513)에서 흡수하므로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은 직진성이 강해서 케이스(510)가 엎어지거나 넘어졌을 때, 입구(519)에서 나온 자외선이 사람의 눈에 바로 들어갈 수 있는데, 입구(519)와 마주하도록 하면(515)이 구비되어 하면(515)이 사람에 눈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6(c)와 같은 통(550)은 상부(511)와 하면(515) 사이에 구비되며, 통(550)은 내부공간(551)을 가진다. 통(550)은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반도체 발광소자(530)에서 나오는 자외선이 통 밖으로 나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550)이 케이스(510)의 상부(511)와 하면(515) 사이에 구비되며, 통(550)의 내부공간(551)으로 자외선이 들어와 통(550)의 내부공간(551)을 살균할 수 있다. 통(550)의 내부공간(551)에는 살균이 필요한 물건이나 물이 구비될 수 있다. 통(550)은 상부(511)와 하면(515) 사이에 구비되어 탈착 될 수 있다.
케이스(510) 상부(511)에 구비되는 내부공간(517)의 입구(519)에는 판(5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판(570)을 통해 자외선이 발광된다. 따라서 판(570)은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어야 한다.
전원공급부(미도시;590)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케이스(510)의 내부공간(517) 및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내부공간(517)에 구비된 경우는 도 18 내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외부에 구비된 경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원 코드, 배터리, 발전기 등이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스(510) 상부(511)에 구비되는 내부공간(517)에는 반도체 발광소자(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59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590)는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590)가 배터리인 경우에 반도체 발광소자(530)는 통(550;도 17 참조)이 들어가지 않은 채 켜질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눈에 자외선이 들어가서 사용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하면(515)과 측면(5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층(5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자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층(520)이 구비되므로, 대부분의 자외선이 흡수되어 살균장치(500) 밖으로 적은 양의 자외선만 빠져나갈 수 있다. 하면(515)과 측면(513)이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흡수층(520)이 구비되어 자외선의 반사를 방지하여 하면(515) 이외로 나가는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530)는 자외선을 발광하는데 자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전원이 공급 중인지 알기가 힘들다. 따라서, 이를 알려주기 위해,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알람부(540)는 반도체 발광소자(530)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알람부(540)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일 수 있고,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동시에 발광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스(510) 상부(511)에 구비되는 내부공간(517)에는 반도체 발광소자(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590)가 구비될 수 있고, 전원공급부(590)는 발전기일 수 있다. 발전기는 발전기를 구동하는 손잡이를 케이스(510)에 포함할 수 있다. 발전기는 도 9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살균장치에 있어서,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그리고, 내부공간과 입구를 가지는 상부, 입구와 마주보는 하면 및 하면과 상부를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내부공간에 반도체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2) 하면은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살균장치.
(3) 케이스의 입구와 하면 사이에 구비되는 통;으로서, 통의 내부로 자외선이 들어가는 통;을 포함하는 살균장치.
(4) 통은 케이스의 상부와 하면 사이에 탈착가능한 살균장치.
(5) 하면에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층;이 구비되는 살균장치.
(6) 측면은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살균장치.
(7) 측면에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층;이 구비되는 살균장치.
(8)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9)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10) 입구에는 자외선이 통과하는 판;이 구비되는 살균장치.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살균장치에 의하면, 하면 및 측면 중 적어도 하나이상에 의해 자외선이 사용자의 눈을 보호한다.
500: 살균장치 510: 케이스 530:반도체 발광소자 540:알람부
550: 통 570: 판 590: 전원공급부

Claims (10)

  1. 살균장치에 있어서,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반도체 발광소자와 함께 구비되어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알람부;
    내부공간과 입구를 가지는 상부, 입구와 마주보는 하면 및 하면과 상부를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 그리고,
    케이스의 하면과 케이스의 상부 사이에 구비되어 자외선은 통과하지 않고 가시광선은 통과시키며,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는 통;을 포함하고,
    케이스의 입구 내에 반도체 발광소자와 알람부가 위치하여 자외선 및 가시광선이 입구를 통해 발광되어 자외선이 통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살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면은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살균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통은 케이스의 상부와 하면 사이에 탈착가능한 살균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면에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층;이 구비되는 살균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은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살균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측면에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층;이 구비되는 살균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입구에는 자외선이 통과하는 판;이 구비되는 살균장치.
KR1020180116157A 2017-12-04 2018-09-28 살균장치 KR102112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57A KR102112134B1 (ko) 2018-09-28 2018-09-28 살균장치
US16/208,804 US10988388B2 (en) 2017-12-04 2018-12-04 Steriliz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157A KR102112134B1 (ko) 2018-09-28 2018-09-28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76A KR20200036476A (ko) 2020-04-07
KR102112134B1 true KR102112134B1 (ko) 2020-05-19

Family

ID=7029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157A KR102112134B1 (ko) 2017-12-04 2018-09-28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1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9800A1 (ja) * 2015-05-26 2016-1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水器
KR101691597B1 (ko) * 2016-03-03 2017-01-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951U (ja) * 1991-09-11 1993-03-23 松下電工株式会社 殺菌灯
KR20000060553A (ko) * 1999-03-17 2000-10-16 박인오 분할된 세정용기를 갖는 초음파 세정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430507B1 (ko) * 2015-06-30 2022-08-11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휴대용 다용도 살균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89800A1 (ja) * 2015-05-26 2016-12-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給水器
KR101691597B1 (ko) * 2016-03-03 2017-01-03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살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6476A (ko)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31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face decontamination
CN113069570B (zh) 便携式杀菌装置
JP6577931B2 (ja) 紫外光を放出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8481970B2 (en) Sanitiz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888657B1 (en) Ultraviolet water and object surface disinfection apparatus
KR20010099905A (ko) 소형 물체 살균 방법 및 장치
US20110291995A1 (en) Steriliz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terilizing device
KR101780211B1 (ko) 표지 기능과 살균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화장품 케이스
KR20200030211A (ko) 살균장치
KR20170046265A (ko) 자외선 살균이 가능한 파운데이션 용기
JP2013066703A (ja) 液体分配装置
KR102112134B1 (ko) 살균장치
JP2017169945A (ja) 殺菌容器
KR20110070267A (ko) 휴대용 자외선 소독기
KR20150003596U (ko) 인체감지센서와 전자식 타이머가 내장된 충전식 자외선 살균장치
JP2005111034A (ja) 歯ブラシの滅菌装置
KR20210104437A (ko) 살균장치
US10768453B2 (en) Devices for cleaning contact lenses
US9975788B2 (en) Optical fluid treatment device
KR20200080631A (ko) 살균장치
CN212490827U (zh) 一种led紫外杀菌灯
US10988388B2 (en) Sterilizing apparatus
KR102360515B1 (ko) 살균 장치
CN212940644U (zh) 一种家用消毒器
KR102238915B1 (ko) 자외선 led를 이용한 마개형 살균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료살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