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0631A -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0631A
KR20200080631A KR1020180170275A KR20180170275A KR20200080631A KR 20200080631 A KR20200080631 A KR 20200080631A KR 1020180170275 A KR1020180170275 A KR 1020180170275A KR 20180170275 A KR20180170275 A KR 20180170275A KR 20200080631 A KR20200080631 A KR 2020008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ght emitting
water
generator
semiconducto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어라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어라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어라이트
Priority to KR1020180170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0631A/ko
Publication of KR2020008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06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2Units using UV-light emitting diodes [L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7Units with two or more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8Units having reflectors, e.g. coatings, baffles, plates, mirr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살균장치에 있어서,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그리고, 내부공간과 입구를 가지는 상부, 입구와 마주보는 하면 및 하면과 상부를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내부공간에 반도체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장치{STERILIZING APPARATUS}
본 개시(Disclosure)는 전체적으로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이 편리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2677호에 제시된 자외선램프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자외선차단물질(4)이 도포된 자외선램프(5)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극(2), 필라멘트(3), 유리관(1)으로 구성된 자외선램프(5)의 일부 면에는 자외선차단물질(4)이 도포되어 있다. 자외선차단물질(4)이 도포된 방향으로는 자외선의 방출이 차단(6)된다. 자외선램프(5)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유리관(1)의 양단에는 열전자를 방출하기 위해 필라멘트(3)가 있고, 필라멘트(3)의 가열로 전자의 방출이 쉬워진다.
양단의 필라멘트(3)에 전위차를 발생시키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전류의 이동으로 발생하는 전자(8)는 이동 중에 수은증기(9)를 여기시키고 여기된 수은증기(9)는 기저상태로 떨어지면서 자외선(7)이 방출된다. 유리관(1)의 일부 면에 도포된 자외선차단물질(4)에 의해 일부 면은 자외선이 차단되고, 타면에서는 자외선(7)이 방출된다.
자외선 램프(5)는 크기가 크고, 전원의 소비량이 크다. 따라서, 자외선 램프(5)를 가지는 살균장치는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자가발전으로 사용하기에는 소비량이 크기 때문에 자가발전 및 휴대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5348호에 제시된 자외선 살균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수탱크에 모인 물을 자외선 살균등의 광선을 쬐어 살균하는 방식에 있어서 탱크 내의 물은 정체되어 있으므로 자외선 살균등을 기준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살균효과가 떨어지게 마련이고, 거리가 먼 곳에 위치한 부분에 대해서는 2차 오염의 위험마저 가지게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수탱크에 순환펌프를 부착하여 정수된 물을 강제순환시키는 방식을 고안한 것이다. 이를 통해 항상 균질한 살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정수된 물이 인입되는 인입구(1), 인입된 물이 저장되는 저수탱크(2), 그리고 살균을 담당하는 침전식 자외선 살균등(3), 저수된 물의 강제순환을 위한 순환펌프(5), 순환펌프(5)에서 토출된 물을 저수탱크(2)로 되돌리는 리턴 파이프라인(4) 및 서비스라인으로 연결되는 출구(6)로 구성된다. 순환펌프(5)는 타이머에 의해 주기적으로 운전함으로써 저수탱크(2)내의 강제 대류를 유발하여 균질한 자외선 살균효과를 보장한다.
도 3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8513호에 제시된 자외선 물 살균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살균통의 단부를 마감하는 마감판의 장착구멍과 나팔관 사이를 용접하여 실링(sealing)하고, 석영관과 나팔관 사이에 에폭시 수지가 충진되어, 에폭시 수지에 의해 석영관과 나팔관 사이가 실링됨으로써, 수압에 의해 석영관이 장착되는 곳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외선 물 살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목욕탕, 물탱크 등의 물을 자외선으로 살균하는 자선외 물 살균기에 관한 것으로서, 유입구(11)와 배출구(12)가 형성된 살균통(10)의 양 단부가 마감판(20, 30)에 의해 밀폐되고, 어느 한 마감판(20)에 복수개의 장착구멍(미도시)가 형성되고, 장착구멍에 일단이 밀폐된 석영관(40)이 끼워지고, 석영관(40)에 나팔관(50)이 끼워져, 장착구멍과 석영관(40) 사이에 배치된다. 장착구멍의 둘레가 나팔관(50)과 용접되어, 용접부(미도시)에 의해 장착구멍과 나팔관(50) 사이가 실링(sealing)되고, 나팔관(50)과 석영관(40) 사이에 에폭시 수지(미도시)가 채워져, 에폭시 수지에 의해 석영관(40)이 나팔관(50)에 고정될 뿐만 아니라 석영관(40)과 나팔관(50) 사이가 실링되며, 석영관(40)의 개구부에 마개(미도시)가 끼워지고, 석영관(40)의 개구부로 끼워지는 자외선 램프(80)의 일단이 마개의 센터구멍(미도시)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물 속에 구비되는 자외선 램프 등은 도 2와 같이 자외선을 통과시키면서 방수 가능한 석영관(40) 등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석영, 사파이어, 크리스탈 구조의 고품질 고가의 재료가 자외선을 통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2와 같이 방수 및 이차 오염을 막기 위해 다른 부수적인 설계가 필요하므로 이로 인해 비용이 증가한다.
비용이 적게 들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전기가 없는 지역, 오지 등에서도 식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물에 있는 바이러스와 박테리아를 살균할 수 있는 제품이 필요하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의 후단에 기술한다.
본 개시에 따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살균장치에 있어서,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그리고, 내부공간과 입구를 가지는 상부, 입구와 마주보는 하면 및 하면과 상부를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내부공간에 반도체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살균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살균장치에 있어서, 아래방향을 향해 입구를 가지며,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제1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케이스의 입구로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그리고, 반도체 발광소자에 전기를 공급하는 손잡이를 포함한 발전기;를 포함하는 살균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살균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케이스에 구비되며,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케이스에 구비되어 반도체 발광소자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기; 그리고, 케이스와 결합되며, 바닥으로부터 높이를 가지며, 내면을 가지는 통;을 포함하며, 통의 내면을 향해 반도체 발광소자의 자외선을 발광하며, 통 밖으로 자외선이 나가지 않는 살균장치가 제공된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물살균장치에 있어서, 물이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 내부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 그리고, 덮개에 구비되는 자외선을 발광하며, 덮개가 몸체를 덮은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광원;을 포함하는 물살균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대하여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의 후단에 기술한다.
도 1은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2677호에 제시된 자외선램프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15348호에 제시된 자외선 살균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28513호에 제시된 자외선 물 살균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사용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사용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조립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살균장치(100)에 있어서, 살균장치(100)는 케이스(110), 반도체 발광소자(130) 및 발전기(15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상면(173)과 측면(171) 및 상면(173)과 측면(171)으로 둘러싸는 제1 내부공간(111)을 포함하고, 제1 내부공간(111)은 케이스(110)의 아래방향에 입구(113)를 가진다. 반도체 발광소자(130)는 케이스(110)의 제1 내부공간(111)에 구비되며, 케이스(110)의 입구(113)를 향해 자외선(L)을 발광한다. 발전기(150)는 반도체 발광소자(130)의 위에 구비되며, 반도체 발광소자(130)에 전기를 공급한다. 발전기(150)는 케이스(110)에 고정되고, 발전기(150)에 손잡이(151)가 구비된다.
일 예로 손잡이(151)는 발전기(150)의 상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손잡이(151)로 발전기(150)를 발전하는 힘(F)에 의해 발전기(150)는 케이스(110)에 힘(F)을 전달한다. 발전기(150)를 손잡이(151)로 발전하면서 가해지는 힘(F) 또는 발전기(150)를 누르는 힘(F)으로부터 케이스(110)에 힘(F)이 전달된다. 힘(F)의 방향은 케이스(110)의 입구방향으로 케이스(110)를 누르는 방향이다. 따라서, 케이스(110)를 누르는 힘 때문에 케이스(110) 밖으로 빛이 새어나가지 않고, 제1 내부공간(111)이 밀폐되어 외부와 차단되어 살균력이 높아진다.
손잡이(151)는 도면에 그려진 손잡이(151)의 끝으로부터 연장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하면 발전기(150)를 회전하기 더 쉬워질 수 있다.
도 4와 도 5는 케이스(110)의 상면(173)에 발전기(150)가 구비되는 예이다.
발전기(150)가 케이스(110)의 상면(173)에 구비되는 경우, 발전기(150)를 손잡이(151)로 발전하면서 가해지는 힘(F)이 케이스(110)에 전달된다. 반도체 발광소자(130)는 기판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케이스(110)의 상면(173) 위에 발전기(150)가 구비되는 예이다. 상면(173) 위에 구비된 발전기(150)를 발전하면서 가해지는 힘(F)이 상면(173)을 통해 입구방향으로 힘이 전달된다.
도 5는 케이스(110)의 상면(173) 아래 제1 내부공간(111)에 발전기(150)가 구비되는 예이다. 케이스(110) 상면(173)에는 홀(115)이 있어, 손잡이(151)가 홀(115)를 관통하여 발전기(150)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제1 내부공간(111)에 발전기(150)가 구비되면서 손잡이(151)에 가해지는 힘(F)이 발전기(150)에서 케이스(110)로 전달될 수 있도록 케이스(110)의 제1 내부공간(111)에 발전기(150)가 구비될 수 있는 걸림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손잡이(151)에 가해진 힘은 걸림부(117)를 통해 케이스(110)의 입구방향으로 힘이 전달된다. 걸림부(117)는 케이스(110)로부터 제1 내부공간(111)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130)는 발전기(150)의 아래에 부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살균장치(100)에는 기울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살균장치(100)의 기울기가 기울어져있거나 뒤집어져 있으면, 발전기(150)가 발전을 해도 반도체 발광소자(130)가 발광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스(110)가 측면(171)으로만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케이스(110)의 상면(173)을 대신해 발전기(150)가 구비된 것이다. 케이스(110)와 접촉하도록 발전기(150)가 구비되고, 반도체 발광소자(130)의 빛(L)은 케이스(110)의 입구(113)로 발광된다.
또한, 살균장치(100)는 윈도우(190)를 더 포함한다. 윈도우(190)는 케이스(110)의 입구(113)와 반도체 발광소자(130) 사이에 구비되며, 반도체 발광소자(130)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190)는 하부에 위치되는 살균 대상물질로부터 발광부 오염을 방지하고 또한 물과 같은 전도성 물질이 튀겨 구동회로가 손상 또는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 한다. 또한 케이스와 잘 밀착하면 방수기능을 얻을 수 있다. 윈도우(190)는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윈도우(190)는 사파이어 또는 쿼츠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사파이어 또는 쿼츠로 형성된 윈도우(190)는 자외선 투과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윈도우(190)는 케이스(110)의 입구(113)로부터 거리를 두고 구비된다. 측면(171)은 자외선(L)이 살균장치(110)의 측면(171)으로 나가지 않도록 하고, 입구(113)의 안쪽에 구비된 윈도우(190)를 외부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스(110)의 입구(113)로부터 케이스(110) 측면방향으로 넓게 형성되어 케이스(110)의 상부(173)로 빛(L)이 반사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배리어(200)가 구비된다. 배리어(200)는 케이스(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배리어(200)는 케이스(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110)와 따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예로, 살균장치(100)가 물통(300)을 살균하기 위해 물통(300)과 접촉하게 되면, 살균장치(100)의 배리어(200)는 물통(300)과 접촉하게 된다. 배리어(200)에는 물통(300)의 입구(301)와 접촉하는 부위에 밀착부(210)가 구비되는데, 밀착부(210)는 물통(300)의 입구(301)와 밀착이 잘되고 반도체 발광소자(130)의 자외선이 배리어(200)와 물통(300)의 입구(301) 사이에서 새어나가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밀착부(210)는 케이스(110)에 전달되는 힘(F)이 배리어(200)까지 전달되어 물통(300)의 입구(301)에 밀착이 잘되도록 모양이 변할 수 있다.
밀착부(210)는 배리어(200)의 하면(203)에 구비되며, 하면(203)의 일부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밀착부(210)는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밀착부(21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등 일 수 있다.
케이스(110)의 제1 내부공간(111)을 형성하는 측면(171)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내부공간(111)에서 나가는 빛이 제1 내부공간(111)에서 흡수되지 않고, 반사되어 입구(113) 방향으로 더 많이 방출될 수 있다.
도 7과 같이 발전기(150)에 반도체 발광소자(1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배리어(200)는 형성될 수 있으며, 배리어(200)로 둘러싸는 제2 내부공간(201)이 구비된다. 도 8과 같이 배리어(20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 5의 입구(113)보다 넓은 면을 살균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제2 내부공간(201)을 형성하는 배리어(200)에는 반사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130)에서 발광된 빛은 반사부(230)에 의해 빛이 제2 내부공간(201)에 퍼져 살균되는 면적이 넓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전기(150)의 발전을 위한 손잡이(151)를 자외선(L)이 발광하는 방향으로 눌러서 발전하는 예를 나타낸다. 발전기(150)의 손잡이(151)를 눌러 발전기(150)가 발전된다. 발전기(150)의 손잡이(151)를 눌러줌으로써, 발전기(150)에 힘(F)을 전달하고, 발전기(150)와 케이스(110)가 밀착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10)에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의 측면(171)에 밀착부(210)가 구비되면, 케이스(110)를 눌러주는 힘에 밀착부(210)가 밀착되면서 제1 내부공간(111)의 밀폐력이 더 높아진다. 또한, 자외선(L)이 케이스(110) 외부로 나가지 않고, 밀폐력이 높아진 제1 내부공간(111)에 공기가 출입하지 않으므로 살균력이 더 증가한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손잡이(151)가 발전기(150)의 측면에 위치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발전기(150)를 발전할 때, 발전기(150)의 측면에 위치하는 손잡이(151)를 발전하면서 다른 한 손으로 발전기(150)를 눌러 발전기(150)에 힘(F)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힘(F)에 의해 케이스(110)의 밀착부(210)가 눌러져 제1 내부공간(111)의 밀폐력이 더 높아질 수 있다. 손으로 발전기(150)를 누름으로 인해서 안정적으로 케이스(110)가 눌려질 수 있다.
도 10(b)는 발전기(150)가 케이스(110)의 측면에 위치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발전기(150)를 발전하기 위해 손잡이(151)를 돌리거나 누르는 힘(F)은 케이스(110)에 전달된다. 발전기(150)가 케이스(110)에 접촉되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발전기(150)는 손잡이(151)의 힘이 케이스(110)로 전달할 수 있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400)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도 11(a)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살균장치(400)는 케이스(410), 반도체 발광소자(430), 발전기(450) 그리고, 통(470)을 포함한다.
케이스(410)는 통(470) 위에 구비되며, 케이스(410)에는 반도체 발광소자(430) 및 발전기(450)가 구비된다. 케이스(410) 내부공간(413)에 발전기(450)와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구비된다.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자외선을 발광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소비전력이 적어서 적은 양의 전류로 빛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발전기(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발전기(450)에서 발생된 전류는 반도체 발광소자(4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발전기(450)는 사람이 돌려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자가 발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소비전력이 적어서 사람이 발전하는 자가 발전에도 켜질 수 있다. 발전기(450)는 자가 발전을 하기 위해서는 손잡이(451)가 필요하다. 손잡이(451)를 사람이 잡고 회전시키면 발전기(450)에서 전기가 생성된다. 손잡이(451)의 길이(L)는 케이스(410)의 하면(412)과 통(470)의 하면(472)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손잡이(451)의 길이(L)가 케이스(410)의 하면(412)보다 위에 있게 되면 손잡이(451)를 회전시키는데 많은 힘이 들어가며, 이로인해 살균장치(400)가 움직여 넘어질 수 있다. 또한, 손잡이(451)의 길이(L)가 통(470)의 하면(472)보다 아래에 위치하면 손잡이(451)가 걸림없이 회전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470)의 하면(472)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손잡이(451)는 손잡이(451)를 적은힘으로 회전시키며 발전기(450)의 발전을 쉽게 하기 위해 케이스(410)의 하면(412)과 통(470)의 하면(472)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L)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470)은 내면(471)을 가진다. 내면(471)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빛을 비추어 통(470)의 내면(471)으로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통(470)에는 물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살균하고 싶은 물체를 두어도 된다.
통(470)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자외선은 플라스틱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도록 한다. 유리도 가능하지만 유리는 깨질 수 있고,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플라스틱이 이동시에 더 편리할 수 있다. 하지만, 통(470)의 내부가 보이면서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는 물질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통(470)에는 주둥이(479)가 구비될 수 있다. 통(470)에 액체가 담겨있는 경우, 주둥이(479)로 액체를 흘리지 않고 따를 수 있다.
발전기(450)의 손잡이(451)는 케이스(410)의 외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케이스(410)는 케이스(410)의 외부에 구비된 손잡이(451)가 케이스(410) 내부의 발전기(450)와 연결되기 위해서 케이스(410)에는 홀(4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살균장치(400)는 타이머(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왜냐하면 발전기(450)가 일정시간 이상 연속으로 사용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일 예로 타이머(480)는 반도체 발광소자(430)와 발전기(450) 사이에 구비되어, 발전기(450)의 일정시간 사용시 반도체 발광소자(430)와 발전기(45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일정시간동안 전기적 연결을 차단 후 전기적 연결이 다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타이머(480)를 사용함으로써 반도체 발광소자(430)나 발전기(450)의 과열 등을 막을 수 있고, 타이머(480)는 통(470)의 내부가 충분히 살균될 수 있는 시간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타이머(480)가 두 선에 연결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타이머(480)가 과열 등을 막기 위해 동작한다면 어떻게 연결되는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a)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400)의 다른 예이며, 도 11(b)와 같은 단면을 나타낸다. 도 12(b)는 도 12(a)의 BB' 단면을 나타낸다.
통(470)은 서랍(475)을 포함하는 예이다. 통(470)의 측면(478)에 입구(473)가 형성되고, 입구(473)를 통해 통(470)에 서랍(475)이 끼워졌다가 빠졌다가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470)의 내면(471)에는 서랍(475)이 끼워지는 돌출부(477)가 구비될 수 있고, 서랍(475)에는 홈부(476)가 형성되며, 돌출부(477)에 홈부(476)가 끼워져 돌출부(477)를 따라서 서랍(475)이 움직일 수 있다. 홈부(476)와 돌출부(477)는 서로 바뀌어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와 같이 케이스(410)의 내부공간(413)에 구비되는 반도체 발광소자(430)는 자외선을 발광한다.
또한, 도 13(b)와 같이 반도체 발광소자(430)와 같이 가시광선을 포함하는 알람부(4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자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켜져도 육안으로는 반도체 발광소자(430)의 작동여부를 알 수 없다. 반도체 발광소자(430)와 함께 알람부(490)를 함께 부착하여 사용자가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작동하는지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알람부(490)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430)일 수 있고,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동시에 발광할 수도 있다. 알람부(490)의 위치는 어디든 상관 없다.
도 13(c)와 같이 알람부(490)는 케이스(410)의 외면(419)에 구비되며, 알람부(490)는 가시광선을 발광한다. 이때, 통(470)은 투명하지 않아도 가능하다. 왜냐하면, 알람부(490)는 케이스(410)의 외면(419)에 구비되기 때문에 외부에서도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동작 중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사용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통(470)에 살균물(A)을 넣는다. 살균물(A)은 살균이 필요한 물건이나 재료일 수 있다. 살균물(A)은 예를 들면, 물, 아기용품, 핸드폰 등 일 수 있다.
이후, 통(470)과 케이스(410)를 고정한다. 통(470) 위에 케이스(410)를 두고 통(470)과 케이스(410)가 따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후, 발전기(450)를 발전한다. 발전기(450)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여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켜져 살균물(A)이 살균된다. 발전기(450)를 발전할 때, 사람은 한 손으로 발전기(450)의 손잡이(451)를 잡고 손잡이(451)를 회전시킨다. 다른 한 손은 케이스(410)를 누르면서 살균장치(400)가 움직이지 않도록 눌러 케이스(410)와 통(470)을 고정할 수 있다.
이후, 통(470)의 살균물(A)이 살균이 되면 통(470)과 케이스(410)를 분리하여 통(470)의 살균물(A)을 보관하거나 사용한다.
도 15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사용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서랍(475)에 살균물(A)을 넣는다.
이후, 서랍(475)을 통(470)에 넣는다. 서랍(475)은 통(47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발전기(450)를 발전한다. 발전기(450)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여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켜져 살균물(A)이 살균된다.
이후, 통(470)에 서랍(475)이 있는 경우에는 통(470)의 서랍(457)만 빼서 살균물(A)을 보관하거나 사용한다.
도 16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사용 후 조립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분리된 케이스(410)와 통(470)은 도 16(a)와 같이 손잡이(451)를 빼고, 통(470)과 케이스(410)가 겹쳐지도록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도 16(b)와 같이 손잡이(451)를 조립한 채로 통(470)과 케이스(410)를 조립할 수 있다. 통(470)에는 손잡이(451) 부분이 들어갈 수 있도록 주둥이(479)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스(410)를 두고, 케이스(410)를 통(470)으로 덮는다. 즉, 케이스(410)의 외면(419)과 통(470)의 내면(471)이 마주보도록 위치한다.
살균장치(400)를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케이스(410)와 통(470)을 겹쳐 살균장치(400)의 부피를 줄여서 이동할 수 있다.
케이스(410)의 높이는 통(470)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410)가 통(470)에 들어가도록 조립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7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470)의 측면(478)에는 문(475-1)이 구비된다. 문(475-1)은 열고 닫게 형성되어 문(475-1)을 열고 통(470)의 내부에 살균물(A;도 15 참조)을 넣는다. 문(475-1)이 있으면, 통(470)의 내면(471)을 오염시키지 않고 살균물(A)을 살균 할 수 있다.
살균물(A)을 살균할 때, 문(475-1)이 닫혀야 살균이 가능하다. 문(475-1)이 닫히지 않으면 발전기(450)를 발전해도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켜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문(475-1)과 통(470) 사이에 마그네트 스위치나 접점스위치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통(470)은 자주 물로 세척해야 하므로, 마그네트 스위치는 물이 닿지 않도록 케이스(410) 또는 문(475-1)에 위치 할 수 있다.
왜냐하면, 문(475-1)을 열어 놓고 반도체 발광소자(430)가 작동하면 자외선이 사람의 눈에 직접 쏘일 수 있기 때문에 문(475-1)을 닫아서 자외선이 통(470) 밖으로 나가는 것을 막는다. 이는 도 10의 서랍(475)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문(475-1)을 열고 내부에 물이 담긴 물컵을 넣는 경우, 내부의 물 뿐만 아니라 오염된 물컵도 동시에 살균할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a)는 살균장치(50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b)는 도 18(a)의 AA' 단면을 나타낸다. 도 18(c)는 살균장치(500)에 구비될 수 있는 통(550)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살균장치(500)는 반도체 발광소자(530)와 케이스(510)를 포함한다.
반도체 발광소자(530)는 자외선을 발광한다.
케이스(510)는 내부공간(517)과 입구(519)를 가지는 상부(511), 입구(519)와 마주보는 하면(515) 및 하면(515)과 상부(511)를 연결하는 측면(513)을 포함한다.
내부공간(517)에는 반도체 발광소자(530)가 구비되며, 입구(519)를 향해 반도체 발광소자(530)가 놓여진다. 반도체 발광소자(530)에서 나온 자외선은 입구(519)에서 하면(515)을 향해 나온다.
반도체 발광소자(530)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사람의 눈에 좋지 않아서 직접 사람의 눈에 들어가게 될 경우, 눈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발광소자(530)에서 나오는 자외선은 하면(515)과 측면(513)에서 흡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면(515)과 측면(513)은 자외선이 흡수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살균장치(500)의 케이스(510) 상부(511)에서 나오는 자외선이 하면(515)과 측면(513)에서 반사되지 않고 흡수시켜, 케이스(510)를 작동시킨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살균장치(500)가 작동 중 넘어진 경우에도 하면(515)과 측면(513)에서 흡수하므로 사용자의 눈을 보호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은 직진성이 강해서 케이스(510)가 엎어지거나 넘어졌을 때, 입구(519)에서 나온 자외선이 사람의 눈에 바로 들어갈 수 있는데, 입구(519)와 마주하도록 하면(515)이 구비되어 하면(515)이 사람에 눈에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8(c)와 같은 통(550)은 상부(511)와 하면(515) 사이에 구비되며, 통(550)은 내부공간(551)을 가진다. 통(550)은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반도체 발광소자(530)에서 나오는 자외선이 통 밖으로 나가지 않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통(550)이 케이스(510)의 상부(511)와 하면(515) 사이에 구비되며, 통(550)의 내부공간(551)으로 자외선이 들어와 통(550)의 내부공간(551)을 살균할 수 있다. 통(550)의 내부공간(551)에는 살균이 필요한 물건이나 물이 구비될 수 있다. 통(550)은 상부(511)와 하면(515) 사이에 구비되어 탈착 될 수 있다.
케이스(510) 상부(511)에 구비되는 내부공간(517)의 입구(519)에는 판(5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판(570)을 통해 자외선이 발광된다. 따라서 판(570)은 자외선이 통과할 수 있는 재질로 구비되어야 한다.
전원공급부(미도시;590)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케이스(510)의 내부공간(517) 및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내부공간(517)에 구비된 경우는 도 20 내지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외부에 구비된 경우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전원 코드, 배터리, 발전기 등이 외부에 구비되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스(510) 상부(511)에 구비되는 내부공간(517)에는 반도체 발광소자(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59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590)는 배터리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590)가 배터리인 경우에 반도체 발광소자(530)는 통(550;도 19 참조)이 들어가지 않은 채 켜질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의 눈에 자외선이 들어가서 사용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하면(515)과 측면(51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층(5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자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층(520)이 구비되므로, 대부분의 자외선이 흡수되어 살균장치(500) 밖으로 적은 양의 자외선만 빠져나갈 수 있다. 하면(515)과 측면(513)이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흡수층(520)이 구비되어 자외선의 반사를 방지하여 하면(515) 이외로 나가는 자외선을 흡수할 수 있다.
반도체 발광소자(530)는 자외선을 발광하는데 자외선은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전원이 공급 중인지 알기가 힘들다. 따라서, 이를 알려주기 위해,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알람부(540)는 반도체 발광소자(530)와 함께 구비될 수 있다. 알람부(540)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LED(light emitting diode) 일 수 있고, 가시광선과 자외선을 동시에 발광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케이스(510) 상부(511)에 구비되는 내부공간(517)에는 반도체 발광소자(5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공급부(590)가 구비될 수 있고, 전원공급부(590)는 발전기일 수 있다. 발전기는 발전기를 구동하는 손잡이를 케이스(510)에 포함할 수 있다. 발전기는 도 11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도 22는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물살균장치(100)는 몸체(110), 덮개(120), 광원(130)을 포함하고, 몸체(110)는 내부공간(111)을 가진다. 몸체(110) 상부에 덮개(120)가 구비되고, 덮개(120)는 내부공간(111)을 덮고, 덮개(120)에는 광원(130)이 구비될 수 있다. 덮개(120)는 몸체(110) 상부에 구비되고, 이에 따라 광원(130)도 덮개(120)에 구비되기 때문에 물에 닿지 않아 광원(130)이 방수되도록 할 필요가 없다.
일 예로 덮개(120)는 몸체(110)와 따로 떨어져 움직일 수 있고(미도시), 도 3과 같이 덮개(120)와 몸체(110)의 한쪽이 연결될 수 있다. 덮개(120)의 하면에 광원(130)이 구비될 수 있다.
광원(130)은 자외선을 발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반도체 발광소자(131;도 2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130)은 몸체(110)의 내부공간(111)에 자외선을 발광한다. 광원(130)은 200um~400um의 파장의 빛을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발광소자는 AlGaN 기반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AlGaN이 발광 할 수 있는 자외선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광원(130)은 240nm에서 300nm 사이의 자외선 빛을 발광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 이유는 생명 정보가 들어 있는 DNA 및 RNA는 약 260nm의 자외선을 중심으로 강한 흡수 효과(absorption)를 보이는데, 강한 흡수를 일으킨다는 것은 그 영역의 자외선이 DNA 및 RNA 염기 사슬을 파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lGaN 물질 기반의 반도체 발광소자는 이 자외선 영역의 빛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빛의 파장이 300nm 이상이 된다고 해서 살균이 안되는 것이 아니며 상대적으로 긴 시간의 노광이 필요하다.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기생충 등은 단세포 또는 세포수가 많지 않아 이런 자외선 영역에서 쉽게 살균될 수 있다. 그러나 파장이 400nm 이상의 경우 살균력이 매우 낮아져 살균 효과가 미미하다.
본 발명은 전기가 없는 오지 영역에서 사용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고 이 경우 수동 발전기를 사용하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 오랜 시간 동안 수동으로 발전을 하여야 하면 사용에 불편함이 발생하여 활용이 떨어 질 수 있으므로 가능한 짧은 시간에 물 속의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자외선 파장을 바람직하게 240nm에서 300nm로 추천한다.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아 질수록 반도체 발광소자의 효율과 제작이 매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몸체(110)는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발산되는 자외선이 투과하지 못하는 재질로 되어 있다. 그러나 자외선이 통과하지 못하면서 가시광선이 투과 할 수 있는 재질로 구성이 되면 더 좋다. 몸체(110)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나 알류미늄과 같은 금속으로도 될 수 있고 더 좋게는 일반유리 및 투명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어 반도체 발광소자에서 나오는 자외선 빛은 차단하고 가시광선만 투과하게 할 수 있다. 참고로 파장이 짧은 자외선의 경우 일반유리와 같이 비결정질 물체를 투과 할 수 없다. 가시광선이 투과 할 수 있는 재질이 좋은 이유는 가시광선을 통과시킴으로써, 광원(130)의 작동여부를 몸체(110) 외부에서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몸체(110)의 내부공간(111)에는 물이 채워지며, 물은 광원(130)의 자외선에 의해서 소독된다.
물살균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는 발전기(140)일 수 있다. 이때, 발전기(140)는 수동발전기일 수 있다. 수동발전기는 사람의 힘으로 전원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발전기(140)는 몸체(110)와 떨어져 구비되며, 발전기(140)에서 발생하는 전원(power)은 제1 접점(151), 제2 접점(152), 제3 접점(153) 및 제4 접점(154) 및 광원(130)으로 전달된다.
몸체(110)는 제1 접점(151)과 제2 접점(152)이 구비되고, 덮개(120)에는 제3 접점(153)과 제4 접점(154)이 구비된다. 몸체(110)의 내부공간(111)을 덮개(120)가 덮으면서 몸체(110)의 제1 접점(151)과 덮개(120)의 제3 접점(153) 및 몸체(110)의 제2 접점(152)과 덮개(120)의 제4 접점(154)이 밀착하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회로가 형성된다. 덮개(120)의 제3 접점(153)과 제4 접점(154)에 광원(13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회로적으로 보면, 제1 접점(151)과 제3 접점(153) 및 제2 접점(152)과 제4 접점(154)이 떨어졌다가 밀착되면서 동시에 스위치 역할을 한다. 즉, 광원(130) 앞과 뒤에 스위치가 각각 구비되는 것과 같다. 이렇게 제1 접점(151) 내지 제4 접점(154)를 구성하는 이유는 파장이 짧은 자외선의 경우 사람의 눈과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덮개(120)가 닫친 상태에서만 광원(130) 부분에 전기가 공급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른 방법의 전원 연결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는 도 27에 본 개시의 또 다른 예로써 도시한다.
몸체(110)와 덮개(120)에 굳이 양극과 음극의 제1 접점/제3 접점 및 제2 접점/제4 접점을 두는 이유는 덮개(120)를 쉽게 몸체(110)와 분리하여 물이 담기는 몸체(110)를 손쉽게 세척하게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면에는 덮개(120)가 몸체(110)에 연결되어 있지만, 덮개(120)와 몸체(110) 사이의 연결부분을 제거하여도 덮개(120)를 몸체(110) 위에 덮기만 하면 제1 접점(151) 내지 제4 접점(154)이 연결되어 회로가 작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몸체(110)와 덮개(120)를 잇는 하나의 전선을 연결하고, 다른 한 측에 몸체(110)와 덮개(120)가 닿는 접점을 만들어 한 개의 접점 스위치로도 구성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덮개(120)와 몸체(110)가 항상 연결되어 있어야 해서 분리 세척에 불편함이 발생 할 수 있다.
발전기(140)로부터 몸체(110)를 거쳐 덮개(120)에 위치한 광원(130)에 전기가 공급되고, 발전기(140)와 떨어져 위치하여, 발전기(140)를 수동으로 작동시킬 때 발생할 수 있는 흔들림 등이 몸체(110)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덮개(120)가 몸체(110)에 덮힌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되고, 광원(130)이 발광하기 때문에, 감전사고 위험이 낮아지고 자외선을 눈에 직접 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3은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도 22의 AA' 단면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원(130)이 덮개(120)에 구비되어 빛이 물의 상면에 비춰지기 때문에 광원(130)에서 먼 곳은 살균이 잘 안될 수 있으므로 물살균장치(100)에는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기(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기(160)는 덮개(120)에 부착되며, 전기가 도통하는 부분은 덮개(120)에 구비되어 물 속에 들어가지 않으므로 방수가 필요 없다.
순환기(160)는 회전부(161) 및 모터부(163)를 포함하며, 모터부(163)는 물에 닿지 않는 덮개에 위치하고, 회전부(161)는 물 속에 위치한다. 도시되지 않은 다른 예로 순환기(160)는 수동순환기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4는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몸체(110; 도 23 참조)의 제1 접점(151), 제2 접점(152)이 덮개(120; 도 23 참조)의 제3 접점(153), 제4 접점(154)과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되게 하기 위해 도 24의 그림과 같이 몸체(110)와 덮개(120)가 따로 떨어져 있을 때, 덮개(120)와 몸체(110)를 고정하는 연결부(170)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170)는 자석(일 예)일 수 있다. 연결부(170)는 덮개(120)가 몸체(110)를 덮었을 때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25는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광원(130)은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31)를 포함하고, 복수의 반도체 발광소자(131)에서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서 가시광선을 만들 수 있는 파장변환재(133)가 구비된다. 파장변환재(133)는 광원(130), 덮개(120) 및 몸체(110)의 내측면(118;도 26 참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될 수 있다. 광원(130)에 구비된 파장변환재(133)는 도 25에 도시되었으나 덮개(120) 및 몸체(110)의 내측면(118)에 구비된 도면은 도 26에 도시하였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파장변환재(133)가 반도체 발광소자(131) 중 하나를 덮고 있을 수 있다. 다만, 반도체 발광소자(131)를 덮지 않으면 반도체 발광소자(131)의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내측면(118)에 구비된 파장변환재(133)는 빛을 투과하는 투명한 봉지재(미도시)로 둘러싸여 파장변환재(133)가 직접 물에 닿지 않도록 보호될 수 있다.
파장변환재(133)는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바꿔준다. 이에 의해 바뀐 가시광선은 몸체(110;도 23 참조) 바깥에서 볼 수 있다. 자외선은 색이 없기 때문에 파장변환재(133)에 의해 자외선이 가시광선으로 바뀌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자외선이 나오는 광원(130)이 물살균장치 내부에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 눈으로 확인 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몸체(110)의 제1 접점(151)과 제2 접점(152)이 몸체(110)의 상부(113)에 구비되기 때문에 몸체(110)의 제1 접점(151)과 제2 접점(152) 보다 낮은 높이에 물 빠짐 구멍(115)이 구비될 수 있다. 물이 가득 차서 넘치는 경우 제1 접점(151)과 제2 접점(152)이 단락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예시에서 제1 접점(151) 내지 제4 접점(154)은 몸체(110)와 덮개(120)의 한쪽 측면에 구비된 것이 아니고, 몸체(110)와 덮개(120)의 마주보는 측면에 구비된 것이다.
몸체(110)에는 내부공간(111)과 연결되는 수도꼭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도꼭지(180)를 이용해 살균된 물을 몸체(110)의 외부로 바로 옮길 수 있다.
덮개(120)가 몸체(110)의 외측면(117)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외선이 몸체(110)와 덮개(120) 사이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덮개(120)가 몸체(110)로부터 움직이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점(151), 제2 접점(152) 및 제3 접점(153), 제4 접점(154)의 접촉이 더 좋아질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에 따른 물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서 자석은 몸체(110)와 덮개(1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과 다르게 자기장을 가지는 자석부(191)는 몸체(110)가 덮개(120)를 덮으면 자석부(191)의 자기장이 스위치(190)를 작동시켜 회로가 닫히게 만든다. 바람직하게는 자석부(191)로인해 스위치(190)가 작동되며, 이는 리드스위치(reed switch;일 예)일 수 있다.
몸체(110)에는 자석부(191)가 구비될 수 있다. 자석부(191)의 바람직한 예로써 자석부(191)는 자석(일 예)일 수 있다. 자석부(191)가 구비된 몸체(110)의 위에 덮히는 덮개(120) 부분에는 자석부(191)의 자기장의 영역이 미치는 공간 내부에 스위치(190)가 구비된다. 덮개(120)에는 광원(130)이 구비되어 발전기(140)와 연결된다. 따라서, 몸체(110)가 덮개(120)를 덮고 전원을 공급해야 광원(130)이 발광할 수 있다.
이 때에는 광원(1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발전기(140)가 덮개(120)에 바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몸체(110)와 덮개(120) 사이에 전기가 흐르기 위해서는 전선이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이며, 전선이 연결된 채로는 몸체(110)의 내부공간 세척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도 28은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a)는 살균장치(500)의 사시도이며, 도 28(b)는 살균장치(500)의 AA'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살균장치(500)는 케이스(510)에 구비되는 센서(512)와 통(550)에 구비되는 자석(552)을 포함한다. 센서(512)는 리드스위치 일 수 있으며, 센서(512)가 자석(552)에 의해 ON/OFF 될 수 있다. 자석(552)과 센서(512)가 충분히 가까이 있다면 센서(512)가 ON/OFF되어 회로가 연결되고 끊어진다. 즉 센서(512)는 스위치 역할을 한다.
센서(512)는 케이스(510)의 상부(511)에 구비될 수 있고, 케이스(510)의 상부(511)와 맞닿는 통(550)에 자석(552)이 구비될 수 있다. 통(550)이 케이스(510)에 끼워져야 센서(512)가 작동되어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530)가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발광소자(530)는 자외선을 발광하며, 자외선은 인체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스(510)로부터 통(550)이 완전히 결합되어야만 반도체 발광소자(53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반도체 발광소자(530)에서 나오는 자외선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통(550)이 케이스(510)에 완벽히 결합한 후, 자외선이 통 밖으로 나갈 수 없을 때 센서(512)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8에서 설명된 살균장치(500)는 도 28에서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도 18에서 설명된 살균장치(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9는 본 개시에 따른 살균장치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살균장치(600)는 조명부(610), 전원부(630), 및 제어부(6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조명부(610)는 예;가시광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를 포함한다. 전원부(630)는 살균장치(6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부(650)는 전원부(630)가 연결되었는지 감지하고, 손잡이(660)의 회전을 감지하고, 조명부(610)가 켜져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손잡이(660)는 발전기(670)와 연결될 수 있다. 발전기(670)는 도 11에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전원부(630)에 외부전원이 공급되면 살균장치(6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650)는 전원부(630)와의 연결을 감지한다. 제어부(650)는 손잡이(660)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다. 손잡이(660)의 회전은 전류를 발생시키므로 손잡이(660)가 회전하면 조명부(610)가 켜지며, 조명부(610)가 켜지면 조명부(610)의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가 작동된다.
조명부(610)가 켜져있을 때 손잡이(660)가 회전하면, 조명부(610)는 꺼진다. 제어부(650)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가 발광할 때 손잡이(660)가 회전하면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가 꺼진다.
예를 들면, 손잡이(660)가 회전하면, 발전기(370)가 발전하면서 전기를 생성한다. 이를 제어부(650)가 감지할 수 있다.
도 29에서 설명된 살균장치(600)는 도 29에서 설명한 것을 제외하고, 도 18에서 설명된 살균장치(5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살균장치에 의하면, 통의 내부에 케이스가 들어갈 수 있어 작은 부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하나의 살균장치에 의하면, 간편하게 살균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살균장치에 의하면, 외부전원이 더 필요하지 않고 살균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살균장치에 의하면, 발전기를 발전하기 위해 손잡이를 사용하는 힘으로 케이스에 힘이 전달되도록 하며, 제1 내부공간이 밀폐되도록 하여 제1 내부공간의 살균력을 높힌다.
본 개시에 따른 또 하나의 살균장치에 의하면, 휴대 가능하며, 자가 발전하여 간편하게 살균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살균장치에 의하면, 자외선을 이용해 살균을 간편하게 하고, 사용자에게 안전한 살균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하나의 물살균장치에 의하면, 안전하게 물을 살균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다른 하나의 물살균장치에 의하면, 적은 전기로 살균할 수 있는 물살균장치이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물살균장치에 의하면, 덮개와 몸체에 구비된 제1 접점 내지 제4 접점에 의해 내구성이 좋고, 전기 감전에 안전성이 높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물살균장치에 의하면, 광원 및 순환기에 방수가 필요하지 않아 내구성이 높고 부품가격이 낮다.
본 개시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물살균장치에 의하면, 몸체 및 덮개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몸체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00,400,500,600: 살균장치 110,410,510: 케이스
130,430,530:반도체 발광소자 150,450,670: 발전기
490, 540:알람부 470,550: 통
570: 판 590:전원공급부
610: 조명부 630:전원부
650:제어부 660:손잡이

Claims (37)

  1. 살균장치에 있어서,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그리고,
    내부공간과 입구를 가지는 상부, 입구와 마주보는 하면 및 하면과 상부를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내부공간에 반도체 발광소자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면은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살균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의 입구와 하면 사이에 구비되는 통;으로서, 통의 내부로 자외선이 들어가는 통;을 포함하는 살균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통은 케이스의 상부와 하면 사이에 탈착가능한 살균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면에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층;이 구비되는 살균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면은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살균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측면에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흡수층;이 구비되는 살균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발전기;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입구에는 자외선이 통과하는 판;이 구비되는 살균장치.
  11. 살균장치에 있어서,
    케이스;
    케이스에 구비되며,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케이스에 구비되어 반도체 발광소자에 전기를 공급하는 발전기; 그리고,
    케이스와 결합되며, 바닥으로부터 높이를 가지며, 내면을 가지는 통;을 포함하며,
    통의 내면을 향해 반도체 발광소자의 자외선을 발광하며,
    통 밖으로 자외선이 나가지 않는 살균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케이스의 높이는 통의 높이보다 낮은 살균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발전기는 손잡이를 포함하며,
    손잡이는 케이스의 하면과 통의 하면 사이에 위치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살균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통은 서랍;을 포함하는 살균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서랍의 내부에 케이스가 들어가도록 형성되는 살균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통은 통의 측면에 문;을 포함하는 살균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통에는 주둥이(spout)가 구비되는 살균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케이스는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알람부;를 포함하는 살균장치.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케이스는 통 위에 구비되며, 케이스와 통은 고정되는 살균장치.
  20. 청구항 11에 있어서,
    통의 내부에 케이스가 뒤집어져 들어가는 살균장치.
  21. 살균장치에 있어서,
    아래방향을 향해 입구를 가지며, 제1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
    케이스의 제1 내부공간에 구비되며, 케이스의 입구로 자외선을 발광하는 반도체 발광소자; 그리고,
    반도체 발광소자에 전기를 공급하는 손잡이를 포함한 발전기;를 포함하는 살균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반도체 발광소자의 아래에 구비되며, 반도체 발광소자로부터 나온 빛을 통과시키며 제1 내부공간을 보호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살균장치.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케이스는 상면을 가지며,
    발전기는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는 살균장치.
  24. 청구항 21에 있어서,
    케이스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살균장치.
  25. 청구항 21에 있어서,
    케이스는 상면을 가지며,
    발전기는 케이스의 상면에 구비되며,
    반도체 발광소자의 아래에 구비되며, 반도체 발광소자로부터 나온 빛을 통과시키며 제1 내부공간을 보호하는 윈도우; 그리고,
    케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배리어;를 포함하는 살균장치.
  26. 물살균장치에 있어서,
    물이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몸체;
    내부공간을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 그리고,
    덮개에 구비되는 자외선을 발광하며, 덮개가 몸체를 덮은 상태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광원;을 포함하는 물살균장치.
  27. 청구항 26에 있어서,
    몸체에는 제1 접점과 제2 접점이 구비되고, 덮개에는 제3 접점과 제4 접점이 구비되는 물살균장치.
  28. 청구항 26에 있어서,
    광원은 200~400nm파장의 빛을 포함하는 물살균장치.
  29. 청구항 26에 있어서,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기를 더 포함하는 물살균장치.
  30. 청구항 26에 있어서,
    몸체와 덮개 중의 적어도 하나는 가시광선이 통과하는 재질로 형성되는 물살균장치.
  31. 청구항 30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덮개 중의 적어도 하나는 자외선이 통과하지 않는 재질로 형성되는 물살균장치.
  32. 청구항 26에 있어서,
    덮개가 몸체의 외측면을 덮는 물살균장치.
  33. 청구항 26에 있어서,
    몸체에는 물빠짐구멍이 구비되는 물살균장치.
  34. 청구항 26, 청구항 30 및 청구항 31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하는 파장변환재가 광원, 덮개 및 몸체의 내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물살균장치.
  35. 청구항 26에 있어서,
    수동발전기를 포함하는 물살균장치.
  36. 청구항 26에 있어서,
    몸체에는 자기장을 가지는 자석부가 구비되고, 덮개에는 몸체의 자석부의 자기장 내부에 스위치가 구비되는 물살균장치.
  37. 청구항 36에 있어서,
    스위치는 리드스위치인 물살균장치.
KR1020180170275A 2018-12-27 2018-12-27 살균장치 KR202000806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275A KR20200080631A (ko) 2018-12-27 2018-12-27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275A KR20200080631A (ko) 2018-12-27 2018-12-27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0631A true KR20200080631A (ko) 2020-07-07

Family

ID=71602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275A KR20200080631A (ko) 2018-12-27 2018-12-27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063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2130B1 (en) UVC water purifier system and method
US962313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urface decontamination
AU2017316641B2 (en) Portable disinfection device
CN102361823B (zh) Uv消毒设备
CN113069570B (zh) 便携式杀菌装置
US20080035581A1 (en) Floating ultraviolet water purification device
US8481970B2 (en) Sanitiz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ES2262222T3 (es) Sistema de purificacion de agua por ultravioletas portatil.
KR101670350B1 (ko) 살균기능을 갖는 텀블러
KR20010099905A (ko) 소형 물체 살균 방법 및 장치
CN106175446A (zh) 供水器
KR20200030211A (ko) 살균장치
KR20200080631A (ko) 살균장치
JP5507890B2 (ja) 排水口用蓋体
KR102112134B1 (ko) 살균장치
US9975788B2 (en) Optical fluid treatment device
US10988388B2 (en) Sterilizing apparatus
KR20110070183A (ko) 자외선 램프를 이용한 가습기의 살균 가습 구조
CN106490805A (zh) 隐形眼镜盒
KR20210104437A (ko) 살균장치
KR20190065712A (ko) 물살균장치
WO2013140899A1 (ja) 除菌浄化装置
KR200494512Y1 (ko) 텀블러 살균장치
CN217745104U (zh) 一种手持式深紫外面光源消杀灯及消杀装置
KR20190056542A (ko) 버튼식 살균 텀블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