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929B1 -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929B1
KR102429929B1 KR1020150172217A KR20150172217A KR102429929B1 KR 102429929 B1 KR102429929 B1 KR 102429929B1 KR 1020150172217 A KR1020150172217 A KR 1020150172217A KR 20150172217 A KR20150172217 A KR 20150172217A KR 102429929 B1 KR102429929 B1 KR 102429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subject
per week
test
calorie consum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887A (ko
Inventor
홍석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트
Priority to KR1020150172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929B1/ko
Priority to PCT/KR2016/013750 priority patent/WO2017095089A1/ko
Priority to US15/781,023 priority patent/US20200273556A1/en
Publication of KR20170065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91Measuring volume of inspired or expired gases, e.g. to determine lung capac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방법은 운동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를 이용하여 피검자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운동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칼로리 소비량과 주당 운동 회수에 따라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량을 계산하는 단계; 일정 기간 운동 프로그램 진행 후 운동 검사를 재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를 이용하여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량을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및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변화에 기초하여 주당 소비 칼로리와 관련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만족 여부 또는 도달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Method for providing health management service by interworking with physical test and server thereof}
본 발명은 운동 검사와 연동해 사용자의 체력 수준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가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텔레비전이나 휴대폰, 태블릿 PC, 랩탑 PC, PC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증대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피트니스에서 실시되는 다양한 운동에 대하여 사용자는 웹 또는 모바일을 통해 운동 지도를 포함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일 예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3-89765호에서는 개인 운동 관리 시스템 및 개인 운동 관리 방법에 제시되었다. 상기 제시된 운동 관리 시스템은 제휴 피트니스 센터에 회원 가입하는 사용자를 홈 페이지에 자동 회원 가입시키는 자동 회원 가입부; 회원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의 출입 정보를 수신하는 출입 관리부; 입장한 회원의 정보를 강사 모바일 단말로 통보하는 강사 단말 통보부; 상기 강사 모바일 단말로부터 회원에 대한 운동 지도 결과 및 신체 변화 결과를 등록받는 강사 운동 지도 결과 등록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회원의 운동 결과를 등록받는 회원 운동 결과 등록부를 포함하는 운동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회원은 임의의 제휴 피트니스 센터를 방문하더라도 강사에게 실시간 통보된 회원의 운동 정보에 기반하여 자신의 운동 프로그램에 맞는 강사의 운동 지도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최근들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트레이너를 대신하여 사용자에 대한 운동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으나, 사용자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운동 결과 및 그에 따른 칼로리 소모량 등 단편적인 운동 효과만을 제공하는 수준이기 때문에 서비스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체력 수준을 측정하여 질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운동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자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운동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칼로리 소비량과 주당 운동 회수에 따라, 상기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량을 계산하는 단계; 일정 기간 상기 운동 프로그램 진행 후 상기 운동 검사를 재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량을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변화에 기초하여, 주당 소비 칼로리와 관련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만족 여부 또는 도달 비율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 장치는 운동 검사와 연동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며, 운동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심폐능력분석부; 상기 운동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칼로리 소비량과 주당 운동 회수에 따라, 상기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량을 계산하는 칼로리계산부; 일정 기간 상기 운동 프로그램 진행 후 상기 운동 검사를 재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량을 변화를 확인하는 변화확인부; 및 상기 확인된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변화에 기초하여, 주당 소비 칼로리와 관련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만족 여부 또는 도달 비율을 결정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트래드밀(treadmill)과 같은 실내 운동 장치에서 일정 거리 또는 시간을 달려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입력하여 피검자의 심폐 능력을 나타내는 진단 기준값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검사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검사 결과값 입력만으로 피검자의 심폐 능력에 대한 객관화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야외에서 수행되는 운동 검사를 실내 운동 장치에서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운동 검사를 위해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는 동시에, 피검자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구해진 진단 기준값에 기초하여 피검자를 복수의 그룹들 중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그룹에 상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달리기 속도 및 거리 등과 같은 운동 조건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심폐 능력 수치에 따라 피검자의 체력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피검자의 질환 발병율을 예측하여 제공함으로써, 피검자가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피검자가 일정 조건의 검사를 수행하여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입력받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피검자의 심폐 능력 지수들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심폐 능력 지수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피검자의 레벨 및 운동 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의 결과물로 제공되는 심폐 능력 검사 리포트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단말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서버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서버 장치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피검자의 체력 수준 변화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할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운동 검사 이외의 기능을 주기능으로 하는 장치 또는 2 이상의 장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는 피검자가 일정 조건의 검사를 수행하여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입력받는다(S100 단계).
상기 검사는 서로 다른 조건에서 수행되도록 미리 설정된 복수의 검사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야외 또는 바람직하게는 트래드밀(treadmill)과 같은 실내 운동 장치에서 피검자자가 일정 거리 또는 시간을 달리도록 하여 시간 또는 거리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를 진행하는 검사자 또는 피검자가 "2.4km Run Test", "12min Run Test", "M-Bruce Protocol" 및 "Balke Protocol"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2.4km Run Test"는 2.4km의 거리를 최단 시간에 달리는 운동 검사로서, 실내에서 검사 시 트레드밀에서 적당한 속도로 시작하여 피검자(또는 검사자)가 속도를 조절하여 피검자의 최대 능력치에 맞는 페이스로 조절하면서 2.4km를 완주하여 달린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12min Run Test"는 12분 동안 최대한 많은 거리를 달리는 운동 검사로서, 실내에서 검사 시 트레드밀에서 적당한 속도로 시작하여 피검자(또는 검사자)가 속도를 조절하여 피검자의 최대 능력치에 따라 달린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M-Bruce Protocol"은 약 5.3km/h의 속도로 경사도 11도에서 달리는 것으로 시작하여, 아래의 표 1과 같이 1 분마다 스테이지를 증가시키면서 피검자가 중단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5118869643-pat00001
또한, "Balke Protocol"은 달리기 속도를 약 5.3km/h로 고정하고 경사도를 0도에서부터 1분당 1도씩 증가시키면서 피검자가 중단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검사 방법은 피검자의 운동 능력에 따라 선택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검자의 운동 능력이 낮을수록 "2.4km Run Test", "12min Run Test", "M-Bruce Protocol", "Balke Protocol"의 순서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검사 방법들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하기 위한 검사 방법의 일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피검자의 심폐 능력을 검사할 수 있는 다양한 운동 검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달리기 검사 이외에, 2000m 로잉 머신(rowing machine) 검사를 통해 피검자에 대한 운동 검사가 수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성별, 나이, 경력자와 초보자를 구분하여 입력한 후, 실내 조정 운동 기구인 로잉 머신에서 2000m를 얼마나 빨리 도착하는지를 측정하는 운동 검사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피검자의 최대 능력치를 검사하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검사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수회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거나, 2 이상의 방법들을 혼합함으로써 피검자에게 적합한 검사 방법을 통해 검사 결과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번의 검사를 통해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활용하여, 검증된 증가 공식(예를 들어, 달리기 속도를 0.3km/h 씩 증가)을 활용하여 검사를 수차례 반복하면서 피검사에 대한 최대치를 찾아갈 수 있다.
그에 따라, 검사자가 숙련자인 경우 1~2번의 검사를 통해 피검사의 검사 결과값에 대한 최적 값을 찾을 수 있고, 검사자가 비숙련자인 경우에는 피검사에 대한 검사 결과값을 찾기 위하여 보다 많은 회수의 검사를 반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검사는 반복되는 검사 자체만으로도 운동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상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검사 결과값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20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피검자가 수행 가능한 검사 방법들이 표시되고, 각각의 검사 방법으로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들이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의 화면(200)에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자가 "2.4km Run Test"를 수행한 결과 2.4km를 "11분 24초"에 완주한 경우, 화면(200) 상의 "2.4km Run Test" 결과값 입력란(211, 212)에 상기 시간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화면 상에서 "초기화" 버튼(251)을 선택하여 화면(200) 상에 입력된 검사 결과값을 초기화하거나, "계산" 버튼(252)을 선택하여 상기 입력된 검사 결과값에 따른 진단 기준값의 계산을 요청하거나, "저장" 버튼(253)을 눌러 화면(200) 상에 입력된 검사 결과값이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 내부의 메모리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검사 결과값의 입력이 확인되면,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입력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심폐 능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 기준값을 계산한다(S110 단계).
예를 들어,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입력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해 상기 진단 기준값으로 피검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을 계산할 수 있으며, 상기 계산된 최대산소섭취량(VO2max)에 따라 피검자의 산소이용률(Mets)이 구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계산된 진단 결과값(260)은, 피검자의 심폐 능력 지수를 나타내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의 화면(200)에 피검자에 대한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피검자 정보는 이름, 나이, 성별, 키, 몸무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진단 기준값 계산 이전에 미리 입력된 정보이다.
또한, 상기 계산된 진단 기준값과 상기 피검자의 연령 평균값을 비교한 결과가 순위 또는 백분위로 표시되며,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평가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이 "Superior", "Excellent", "Good", "Fair", "Poor" 및 "Very Poor"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을 연령 평균값과 비교하여 계산된 백분위 값이 95% 이상인 경우 "Superior", 80%에서 95% 사이인 경우 "Excellent", 60%에서 80% 사이인 경우 "Good", 40%에서 60% 사이인 경우 "Fair", 20%에서 40% 사이인 경우 "Poor", 0%에서 20% 사이인 경우 "Very Poor"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화면 상에서 "재검사" 버튼(261)을 선택하여 재검사 후 검사 결과값을 입력할 수 있는 도 2에 도시된 화면으로 이동시키거나, "프로그램" 버튼(262)을 선택하여 상기 계산된 진단 기준값에 기초하여 피검자에 최적화된 운동 프로그램 정보를 요청하거나, "저장" 버튼(263)을 눌러 화면(200) 상에 표시된 진단 기준값들이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 내부의 메모리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S110 단계에서 계산된 진단 기준값에 기초하여 피검자를 복수의 그룹들 중 하나로 분류하고(S120 단계), 상기 피검사가 분류된 그룹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130 단계).
즉, 심폐 능력 레벨에 따라 피검자가 분류될 복수의 그룹들이 존재하며, 상기 복수의 그룹들은 서로 다른 운동 조건을 가지는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들에 각각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검자는 산소이용률(Mets) 또는 최대산소섭취량(VO2max) 값이 어떠한 범위를 가지는지에 따라 "초급자", "중급자" 및 "고급자" 중 어느 하나로 분류될 수 있으며, "초급자", "중급자" 및 "고급자"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 프로그램들은 운동 조건, 즉 피검자에게 제안하는 달리기 속도 및 거리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검사 결과값에 따라 계산된 피검자의 산소이용률(Mets)이 12 이상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검자의 심폐 능력 레벨이 "고급자"로 분류되어 화면(2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화면(200)에는 "고급자"에 상응하는 운동 조건(달리기 속도 및 달리기 시간)을 포함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280)가 표시되어 피검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정보(280)에 포함된 달리기 속도는 피검자의 평균 달리기 속도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피검자의 평균 달리기 속도는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페이스(Pace) 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운동 프로그램 정보(280)에 포함된 달리기 시간은 운동을 통해 소모하고자 하는 칼로리 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화면 상에서 "저장" 버튼(293)을 눌러 화면(200) 상에 표시된 피검자의 레벨 및 그에 대응되도록 제안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장치 내부의 메모리 또는 외부의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자의 검사 결과값이 입력되기만 하면, 상기 입력된 검사 결과값, 상기와 같이 계산된 적어도 하나의 진단 기준값 및 상기 피검자가 분류된 그룹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함께 화면(200)에 표시되거나 또는 종이 등에 출력되어 피검자(또는 검사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의 결과물로 제공되는 심폐 능력 검사 리포트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리포트의 구성들 중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피검자(또는 검사자)에게 제공되는 심폐 능력 검사 리포트의 상단에는 피검자의 이름, 나이, 키, 몸무게, 성별과 함께 검사 날짜 및 시간이 표시된다.
상기 피검자 정보의 하측에는, 피검자가 수행한 검사(예를 들어, "2.4km Run Test") 결과값(Time)과, 해당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이 피검자와 동일 성별 및 연령의 평균값(Average)과 함께 표시된다.
또한, 피검자의 심폐 능력을 나타내는 진단 지수로서, 상기 최대산소섭취량(VO2max)과 비례하여 계산되는 산소이용률(Mets), 상기 피검자의 성별/연령을 기준으로 한 최대산소섭취량의 백분위(Score), 검사 시 피검자의 평균 달리기 속도를 나타내는 페이스(pace), 상기 피검자의 성별/연령을 기준으로 한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의 평가(Rating) 및 운동 검사를 수행한 피검자들 중 피검자와 동일 성별 및 연령에서의 최대산소섭취량 순위(Ranking)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심폐 능력 검사 리포트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상측 부분에 표시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지수들이 시각적으로 표시되며, "진단" 항목에서는 피검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 페이스(Pace), 백분위(Score), 심폐 나이 및 산소이용률(Mets)과 성별/연령 평균값과 비교한 결과 및 차이 등을 시각적으로 나타낸다.
그리고, "평균치 비교" 항목에서는 피검자의 페이스(Pace)와 검사 결과값인 시간(Time)을 성별/연령 평균값과 비교한 결과 및 백분위(Score)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심폐 능력 검사 리포트의 하단 부분에는 피검자의 심폐 능력 레벨에 따라 피검사자에게 제안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어, "달리기 방법" 항목에서는, 상측 부분에서 계산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지수를 기초로 하여 피검자에게 적합한 달리기 방법이 표시되며, 상기 달리기 방법은 서로 다른 운동 강도 또는 운동 단계에 따른 복수의 운동 조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최고 강도의 운동(HIIT)으로 상측 부분에서 계산된 페이스(Pace)와 동일한 달리기 속도인 "12.6km/h"가 표시되며, 중간 강도의 운동(cardio training)으로 페이스(Pace)의 약 80%에 해당하는 달리기 속도인 "10.1km/h"가 표시되고, 낮은 강도의 운동(Fat burn 30min)으로 페이스(Pace)의 약 60%에 해당하는 달리기 속도인 "7.2km/h"가 표시된다.
또한, 단계별로 도전 가능한 달리기 거리 및 시간에 대한 정보, 질환 유형에 따라 안전한 운동 조건(달리기 속도)에 대한 정보가 "달리기 방법" 항목에 표시될 수 있다.
"최적화 프로그램" 항목에서는, 상측 부분에서 계산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지수를 기초로 하여 피검자가 분류된 그룹이 표시되며, 상기 피검자의 그룹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피검자의 그룹은 상측 부분에서 계산된 산소이용률(Mets)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산소이용률(Mets)이 "10" 미만인 경우 "초급자"로, 산소이용률(Mets)이 "10" 내지 "12" 사이 경우 "중급자"로, 산소이용률(Mets)이 "12" 이상인 경우 "고급자"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최적화 프로그램" 항목에서는, "초급자", "중급자" 및 "고급자" 각각에 대응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초급자"의 경우, 30분간 상측 부분에서 계산된 페이스(Pace)의 60%에 해당되는 달리기 속도로 달리는 운동 프로그램이 표시되며, 성공 시마다 달리기 속도를 0.3km/h 씩 증가시킬 것을 제시할 수 있다.
"중급자"의 경우, 페이스(Pace)의 80%에 해당되는 달리기 속도로 달리는 운동 프로그램이 표시되며, 소모하고자 하는 칼로리 량에 따라 서로 다른 달리기 시간이 제시될 수 있다.
한편, "고급자"의 경우, 페이스(Pace)의 100%에 해당되는 달리기 속도로 2분 달린 후 페이스(Pace)의 60%에 해당되는 달리기 속도로 2분 달리는 것을 반복하는 운동 프로그램이 표시되며, 소모하고자 하는 칼로리 량에 따라 서로 다른 반복 회수가 제시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트래드밀과 같은 실내 운동 장치에서 일정 거리 또는 시간을 달려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입력하여 피검자의 심폐 능력을 나타내는 진단 기준값이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고가의 검사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검사 결과값 입력만으로 피검자의 심폐 능력에 대한 객관화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구해진 진단 기준값에 기초하여 피검자를 복수의 그룹들 중 하나로 분류하고, 분류된 그룹에 상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달리기 속도 및 거리 등과 같은 운동 조건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제안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할 운동 검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한 운동 검사 시스템의 구성 및 각각의 동작들 중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동 검사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운동 검사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 장치(600)와 서버 장치(7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6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을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또는 서버 장치(700)와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600)는 피검자가 일정 조건의 검사를 수행하여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입력받고, 입력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심폐 능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 기준값을 계산하며, 계산된 진단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를 복수의 그룹들 중 하나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그룹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600)는 피검자가 일정 조건의 검사를 수행하여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입력받고 그에 따라 계산된 진단 기준값 및 피검자 그룹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입력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피검자의 심폐 능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 기준값을 계산하고 피검자를 복수의 그룹들 중 하나로 분류하는 기능은 서버 장치(7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이외에 사용자 입력 및 정보 표시 등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장치(600)는 사용자입력부(610), 디스플레이부(620), 제어부(630) 및 통신부(6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600)의 사용자입력부(610)는 피검자가 일정 조건의 검사를 수행하여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입력받는다.
한편, 디스플레이부(620)는 상기 입력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계산된 상기 피검자의 심폐 능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 기준값을 표시하고, 복수의 그룹들 중 상기 진단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가 분류된 그룹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630)는 사용자입력부(610)를 통해 입력된 검사 결과값이 통신부(640)를 통해 서버 장치(700)로 전송되고, 통신부(640)를 통해 서버 장치(700)로부터 수신되는 피검자가 분류된 그룹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가 디스플레이부(62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며, 그 이외에 단말 장치(6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700)는 통신부(710), 제어부(720), 진단부(730), 메모리(740) 및 데이터베이스(750, D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서버 장치(700)는 단말 장치(600)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운동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통신부(710)를 구비하며, 상기 통신부(710)는 피검자가 일정 조건의 검사를 수행하여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단말 장치(6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720)는 상기 통신부(720)를 통해 수신된 검사 결과값을 진단부(730)로 전달하고, 진단부(730)는 상기 입력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자의 심폐 능력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진단 기준값을 계산한다.
또한, 진단부(730)는 상기 계산된 진단 기준값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를 복수의 그룹들 중 하나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740)에는 피검자가 분류될 복수의 그룹들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들은 각각 서로 다른 운동 조건(예를 들어, 달리기 속도 및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720)는 메모리(740)에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피검자가 분류된 그룹에 대응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상기 구성된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된 운동 조건에 대한 정보가 통신부(710)를 통해 단말 장치(60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운동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심폐 능력 수치에 따라 피검자의 체력 수준의 변화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피검자의 질환 발병율을 예측하여 제공함으로써, 피검자가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서버 장치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서버 장치(700)는 통신부(710), 제어부(720), 심폐능력분석부(730), 데이터베이스(750), 칼로리계산부(760), 변화량확인부(770) 및 분석부(7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서버 장치(700)의 구성들 중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심폐능력분석부(730)는 운동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에 기초하여, 피검자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운동 검사를 통해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인 최대산소섭취량(VO2max) 또는 산소이용률(Mets)를 측정하는 방법과, 측정된 심폐 능력 수치에 따라 피검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칼로리계산부(760)는 상기 심폐능력분석부(730)에 의해 제안된 운동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칼로리 소비량과 주당 운동 회수에 따라,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량을 계산한다.
예를 들어, 운동 검사를 통해 측정된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은 피검자의 체력 수준을 나타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피검자의 트레이닝 볼륨(training volume), 즉 한 번의 운동을 통해 소비할 수 있는 적정 칼로리의 량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피검자의 트레이닝 볼륨(적정 칼로리 소비량)에 기초하여, 그에 대응되는 운동 프로그램이 운동 검사를 통해 피검자에게 제안될 수 있다.
그를 위해, 피검자에게 제안되는 운동 프로그램은 복수의 칼로리 소비량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운동 조건들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 조건은 피검자가 한 번의 운동으로 수행하여야 할 달리기 속도와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계산된 피검자의 칼로리 소비량에 주당 운동 회수를 곱하면, 피검자가 운동 프로그램을 통해 한 주에 소비 가능한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가 구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운동 검사를 통해 측정된 최대산소섭취량(VO2max)에 따라 피검자가 한 번의 운동으로 180kcal를 소비할 수 있는 체력 수준이며, 한 주에 2회 운동이 가능한 경우, 해당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는 360kcal/week가 된다.
한편, 운동 프로그램 시작 전 피검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과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는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변화량확인부(770)는 일정 기간 상기 운동 프로그램 진행 후 운동 검사를 재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를 이용하여,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량을 변화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운동 검사를 통해 피검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이 측정되고 그에 기초하여 피검자에게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이 제안되면, 피검자는 제안된 운동 프로그램을 시작하여 그에 따라 운동한다.
피검자가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제안된 운동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운동 검사를 통해 피검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이 다시 측정되고, 그에 따라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가 다시 계산될 수 있다.
이 경우, 변화량확인부(770)는 데이터베이스(750)에 피검자와 관련하여 저장되어 있는 과거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와 일정 기간 운동 프로그램 진행 후 다시 계산된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를 비교하여,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의 변화량을 계산할 수 있다.
그 후, 분석부(780)는 상기 변화량확인부(770)에서 확인된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변화에 기초하여, 주당 소비 칼로리와 관련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만족 여부 또는 도달 비율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은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비만 예방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비만 개선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지질 플라그 제거를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등의 기준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기준치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분석부(780)에 의해 결정된 주당 소비 칼로리 관련 가이드라인에 대한 피검자의 현재 상태 정보는, 통신부(710)를 통해 단말 장치(600)로 전송되어 피검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운동 검사와 연동해 피검자의 체력 수준의 변화를 분석하고 그에 따라 건강 관리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흐름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 9에 도시된 서버 장치(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버 장치(700)의 심폐능력분석부(730)는 운동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에 기초하여, 해당 피검자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해 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S1010 단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심폐 능력 수치는 피검자가 일정 거리 또는 시간을 달려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최대산소섭취량(VO2max) 또는 산소이용률(Mets)일 수 있다.
또한, 피검자에게 제안되는 운동 프로그램은 칼로리 소비량에 따른 하나 이상의 운동 조건을 포함하며, 상기 운동 조건은 피검자에게 제안하는 달리기 속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칼로리계산부(760)는 상기 피검자에게 제안된 운동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칼로리 소비량과 주당 운동 회수에 따라,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량을 계산한다(S1020 단계).
예를 들어, 운동 검사를 통해 측정된 최대산소섭취량(VO2max)에 따른 피검자의 체력 수준에 맞추어 서로 다른 칼로리 소비량을 가지는 복수의 운동 프로그램들 중 하나가 피검자에게 제안되고, 상기 제안된 운동 프로그램을 1회 수행함에 의해 소비되는 칼로리 소비량과 피검자가 1주동안 운동 가능한 회수를 곱하여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가 계산될 수 있다.
피검자에게 상기와 같이 제안된 운동 프로그램을 일정 기간동안 진행하면, 피검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이 증가하여 체력 수준이 높아지게되며, 그에 따라 1회의 운동으로 소비할 수 있는 칼로리의 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운동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진행을 통해, 피검자가 1주동안 운동 가능한 회수도 증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가 보다 증가될 수 있다.
상기의 S1010 단계 및 S1020 단계가 수행된 후, 피검자는 자신의 심폐 능력 수치에 기초하여 제안된 운동 프로그램을 일정 기간 동안(예를 들어, 1달, 2달 또는 12주 등) 진행하고, 상기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운동 검사를 다시 수행하여 자신의 심폐 능력 수치를 확인할 수 있다.
변화량확인부(770)는 일정 기간 운동 프로그램 진행 후 운동 검사를 재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량을 변화를 확인한다(S1030 단계).
그를 위해 데이터베이스(750)에는, 운동 검사 수행시마다 피검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 1회 운동시 칼로리 소비량 및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등이 누적되어 저장될 수 있다.
분석부(780)는 상기 S1030 단계에서 확인된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변화에 기초하여, 주당 소비 칼로리와 관련된 복수의 가이드라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만족 여부 또는 도달 비율을 결정한다(S1040 단계).
상기 주당 소비 칼로리 관련 가이드라인들은,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비만 예방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비만 개선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지질 플라그 제거를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등에 대한 기준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최소 가이드라인은 1000kcal/week의 주당 소비 칼로리를 기준으로 하며,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1500kcal/week, 비만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2000kcal/week, 심혈관 질환자의 원인이 되는 지질 플라그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2200kcal/week 등과 같은 가이드라인들이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가이드라인들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뇨, 콜레스테롤, 혈압, 대사증후군 등 다양한 질환과 관련하여 주당 소비 칼로리의 기준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들이 데이터베이스(7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서버 장치(700)는 통신부(710)를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은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변화에 따른 주당 소비 칼로리 관련 가이드라인에 대한 도달 비율의 변화 정보를 단말 장치(600)로 전송하여, 해당 정보가 단말 장치(600)의 화면에 표시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11은 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피검자의 체력 수준 변화 및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피검자(또는 검사자)의 단말 장치(600)에서 표시되는 화면 구성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피검자가 운동 검사를 통해 최적의 운동 프로그램을 제안받아 그에 따라 12주간 운동을 한 후, 다시 운동 검사를 수행한 결과를 분석하여 분석된 정보가 서버 장치(700)와 연동하여 단말 장치(600)의 화면(1100)에 표시될 수 있다.
운동 검사를 통해 측정된 최대산소섭취량(VO2max)에 따라 피검자가 한 번의 운동으로 180kcal를 소비할 수 있는 체력 수준이며, 한 주에 2회 운동이 가능한 경우, 해당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는 360kcal/week가 된다.
상기와 같은 체력 수준에 맞추어 피검자에게 제안된 운동 프로그램을 12주간 진행한 후, 운동 검사를 통해 피검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을 다시 측정한 결과, 피검자가 한 번의 운동으로 소비할 수 있는 칼로리가 360kcal로 100% 증가하였고, 주당 운동 회수도 4회로 늘어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가 1440kcal/week로 300% 증가하였음이 확인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와 같은 피검자의 1회 운동시 소비 칼로리의 변화량, 주당 운동 회수의 변화량 및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의 변화량에 대한 정보가 서버 장치(700)로부터 수신되어 단말 장치(600)의 화면(11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피검자의 체력 수준의 증가와, 그에 따른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의 증가로 인해, 당뇨, 콜레스테롤, 혈압, 대사증후군 등의 만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인 1000kcal/week가 달성되었으며, 말초혈관질환 및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약 88% 달성하였다는 정보가 화면(1100)의 하측 영역(1110)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 장치(700)는 피검자의 운동프로그램 및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변화를 이용해 특정 가이드라인을 만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간을 예측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710)를 통해 단말 장치(60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검자가 현재 수행 중인 운동 프로그램을 4주동안 진행하는 경우 말초혈관질환 및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달성할 수 있다는 예측 정보가 화면(1100)의 하측 영역(111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 운동 검사를 다시 수행 결과 피검자의 최대산소섭취량(VO2max)이 감소할 수도 있으며, 그에 따라 피검자가 한 번의 운동으로 소비할 수 있는 칼로리가 270kcal로 25% 감소하였고, 주당 운동 회수도 2회로 줄어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가 540kcal/week로 63% 감소하였음이 확인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와 같은 운동 부족으로 인한 피검자의 1회 운동시 소비 칼로리의 감소량 및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의 감소량에 대한 정보가 서버 장치(700)로부터 수신되어 단말 장치(600)의 화면(1100)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운동 프로그램을 통한 피검자의 체력 수준의 감소와, 그에 따른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의 감소로 인해, 당뇨, 콜레스테롤, 혈압, 대사증후군 등의 만성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인 1000kcal/week에 미달되었다는 정보가 화면(1100)의 하측 영역(1110)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장치(700)는 운동 검사를 통해 제안된 운동 프로그램을 피검자가 충실히 진행하는 경우 위의 만성질환 예방 가이드라인을 만족시키는데 필요한 기간을 예측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710)를 통해 단말 장치(60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운동 검사와 연동하여 분석되는 피검자의 체력 수준 과, 그에 따른 질병의 발병 확률, 진행 속도, 정상 수치 대비 비율 및 피검자에게 제안되는 운동 방법 등 다양한 정보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건강 리포트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3)

  1. 서버가, 운동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자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운동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칼로리 소비량과 주당 운동 회수에 따라, 상기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를 계산하는 단계;
    서버가, 일정 기간 상기 운동 프로그램 진행 후 상기 운동 검사를 재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변화를 확인하는 단계;
    서버가, 서로 다른 주당 소비 칼로리 기준을 가지는 복수의 가이드라인들 중에서 상기 변화된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보다 낮은 기준을 가지는 제1 가이드라인과 상기 변화된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보다 높은 기준을 가지는 제2 가이드라인을 확인하는 단계; 및
    서버가, 상기 피검자에 대한 1회 운동시 소비 칼로리의 변화, 운동 빈도의 변화, 주당 소비 칼로리의 변화, 상기 제1 가이드라인의 달성 완료 정보,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의 달성률 및 달성 가능 기간 정보를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2 가이드라인들은 각각 서로 다른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에 대응되며,
    상기 피검자의 체력 수준, 질병의 발병 확률, 진행 속도 및 정상 수치 대비 비율, 상기 피검자에게 제안되는 운동 방법을 포함하는 건강 리포트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폐 능력 수치는
    상기 피검자가 일정 거리 또는 시간을 달려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최대산소섭취량(VO2max) 또는 산소이용률(Mets)인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은
    복수의 칼로리 소비량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운동 조건들을 포함하는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조건은
    상기 피검자에게 제안하는 달리기 속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은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비만 예방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비만 개선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및 지질 플라그 제거를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9. 운동 검사와 연동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운동 검사를 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에 기초하여, 상기 피검자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심폐능력분석부;
    상기 운동 프로그램에 대응되는 칼로리 소비량과 주당 운동 회수에 따라, 상기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를 계산하는 칼로리계산부;
    일정 기간 상기 운동 프로그램 진행 후 상기 운동 검사를 재수행하여 획득된 피검자의 심폐 능력 수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검자가 주당 소비 가능한 칼로리의 변화를 확인하는 변화확인부; 및
    서로 다른 주당 소비 칼로리 기준을 가지는 복수의 가이드라인들 중에서 상기 변화된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보다 낮은 기준을 가지는 제1 가이드라인과 상기 변화된 피검자의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 보다 높은 기준을 가지는 제2 가이드라인을 확인하는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검자에 대한 1회 운동시 소비 칼로리의 변화, 운동 빈도의 변화, 주당 소비 칼로리의 변화, 상기 제1 가이드라인의 달성 완료 정보, 상기 제2 가이드라인의 달성률 및 달성 가능 기간 정보가 상기 피검자의 단말 장치로 제공되며,
    상기 제1, 2 가이드라인들은 각각 서로 다른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주당 소비 가능 칼로리에 대응되고,
    상기 피검자의 체력 수준, 질병의 발병 확률, 진행 속도 및 정상 수치 대비 비율, 상기 피검자에게 제안되는 운동 방법을 포함하는 건강 리포트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폐 능력 수치는
    상기 피검자가 일정 거리 또는 시간을 달려 측정된 검사 결과값을 이용하여 계산되는 최대산소섭취량(VO2max) 또는 산소이용률(Mets)인 서버.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프로그램은
    복수의 칼로리 소비량들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운동 조건들을 포함하는 서버.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 조건은
    상기 피검자에게 제안하는 달리기 속도 및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이드라인들은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비만 예방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비만 개선을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및 지질 플라그 제거를 위한 주당 소비 칼로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서버.
KR1020150172217A 2015-12-04 2015-12-04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KR102429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217A KR102429929B1 (ko) 2015-12-04 2015-12-04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PCT/KR2016/013750 WO2017095089A1 (ko) 2015-12-04 2016-11-28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US15/781,023 US20200273556A1 (en) 2015-12-04 2016-11-28 Method of providing health managing service linked to exercise examinations, and server device for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217A KR102429929B1 (ko) 2015-12-04 2015-12-04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887A KR20170065887A (ko) 2017-06-14
KR102429929B1 true KR102429929B1 (ko) 2022-08-05

Family

ID=59218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217A KR102429929B1 (ko) 2015-12-04 2015-12-04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9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9836A1 (en) * 2012-09-21 2014-03-27 Md Revolution, Inc.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health and wellness program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257392A (en) * 1991-01-11 1992-08-17 Health Innov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diet and weight using human behavior modification techniques
KR100533105B1 (ko) * 2003-06-11 2005-12-02 주식회사 오투런 운동처방시스템 및 운동처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089836A1 (en) * 2012-09-21 2014-03-27 Md Revolution, Inc. Interactive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mplementing personalized health and wellness progra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887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0713B (zh) 客製化的訓練建議
US2017023232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udio and visual cues vi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956290B2 (en) Lifestyle companion system
US98813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group activities
AU2007297673B2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JP2016209627A (ja) フィットネスモニタリング方法、システム並びにプログラム製品及びそのアプリケーション
KR20180004928A (ko) 신체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47900B1 (ko)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KR102569544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그의 운동 강도 표시 방법
KR102005612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사용자의 최대 산소 능력에 기초한 운동 강도 표시 방법
US201400801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customizable sports workouts
KR20200055243A (ko) 운동 검사 연동 피트니스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KR102064722B1 (ko) 운동 검사 연동 검진 기록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KR102356927B1 (ko) 운동 검사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단말 장치 및 서버 장치
US20200273556A1 (en) Method of providing health managing service linked to exercise examinations, and server device for same
KR102429929B1 (ko) 운동 검사 연동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서버 장치
KR20230014455A (ko) 개인 맞춤형 운동 처방 및 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54104A1 (en) Method for providing exercise checkup service, terminal device and server device for the same
AU2016210760A1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AU2011204846B2 (en) Dynamically adaptive scheduling system
Kajaste Comparative evaluation of instruction methods for mobile fitness assessment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