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580B1 -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580B1
KR102429580B1 KR1020210048076A KR20210048076A KR102429580B1 KR 102429580 B1 KR102429580 B1 KR 102429580B1 KR 1020210048076 A KR1020210048076 A KR 1020210048076A KR 20210048076 A KR20210048076 A KR 20210048076A KR 102429580 B1 KR102429580 B1 KR 102429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
case
cutting cutter
styrofoam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승기
하신영
이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4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B29C44/5681Covering the foamed object with, e.g. a l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5/00Use of polymers of vinyl-aromatic compound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5/04Polymers of styrene
    • B29K2025/06PS, i.e. polystyr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29K2105/04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with open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6Bu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는, 스티로폼에 피복체가 피복됨으로써 형성된 부표를 처리하는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로서, 상기 부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부표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부표를 커팅하는 절단 커터;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표가 커팅됨으로써 발생되는 스티로폼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홀을 구비하는 메쉬(mesh)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SHEATH TYPE ECO FRIENDLY BUOY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표를 처리하는 장치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부표(Buoy)는 호수나 바다에 설치된 양식장 등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수면 위에 설치된다. 이러한 부표는 수면 위에 띄워져 있어야 하므로, 부력이 우수한 스티로폼 등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구체적으로, 부표는 60~70만개의 스티로폼 알갱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부표는 햇살, 물살 및 기타 외력에 의해 쉽게 부서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미세 크기의 스티로폼이 발생함에 따라 해양이 오염될 수 있다. 이에, 해양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각종 친환경 부표가 제작되고 있으며, 이러한 친환경 부표들은 미세 크기의 스티로폼이 해양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티로폼 상에 플라스틱 물질을 피복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친환경 부표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손상되거나 그 수명이 다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를 재활용하기 위해 피복된 플라스틱 물질을 제거하여야 한다. 그러나, 현재에는 상기 플라스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처리 설비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작업자들이 커터칼을 이용하여 이를 일일이 절단하는 등 처리 과정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이 경우, 부표를 처리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작업자가 작업 과정에서 커터칼을 사용함에 따른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11439호(2019.08.0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표를 보다 수월하게 재활용하기 위한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티로폼에 피복체가 피복됨으로써 형성된 부표를 처리하는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로서, 상기 부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부표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부표를 커팅하는 절단 커터;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표가 커팅됨으로써 발생되는 스티로폼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홀을 구비하는 메쉬(mesh)를 포함하는,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측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 형성되며, 작업자의 명령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상기 부표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절단 커터는, 상기 내측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 형성되며, 상기 작업자의 명령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부표를 커팅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절단 커터는, 상기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부표의 크기, 상기 부표의 형태, 상기 피복체의 종류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 저장된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각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고정부의 전진 및 후진 정도와 상기 절단 커터의 이동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단 커터가 상기 부표를 커팅하는 동안 상기 부표를 지지한 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표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기 전에 개방되고, 상기 부표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된 후 상기 절단 커터가 동작하기 전에 폐쇄될 수 있다.
상기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는, 상기 메쉬와 연결되어 상기 메쉬를 통과한 스티로폼을 흡입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흡입된 스티로폼을 저장하는 저장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표 처리 장치의 케이스 내부로 부표가 수용됨에 따라 고정부를 통해 부표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절단 커터로 부표를 자동으로 커팅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수동으로 부표를 일일이 커팅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따라 부표의 처리 시간이 단축되고 안전 사고의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쉬와 에어펌프를 통해 미세 크기의 스티로폼을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스티로폼 분리에 따른 작업 편의 및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표가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기 전에 케이스의 도어가 개방되고, 부표가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된 후 절단 커터가 동작하기 전에 케이스의 도어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부표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동안 부표의 절단으로 인한 스티로폼 파편이 작업자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표의 크기, 상기 부표의 형태, 상기 피복체의 종류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고정부 및 절단 커터가 기 저장된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부표의 크기, 형태, 피복체의 종류, 두께 등에 따른 맞춤형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 처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내부에 부표가 수용된 후 케이스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100)는 스티로폼에 피복제가 피복됨으로써 형성된 부표(10)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표(10)의 재활용을 위해 상기 피복제를 커팅하고 스티로폼을 절단, 분리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피복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폴리우레아 등의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 처리 장치(100)는 케이스(102), 고정부(104), 절단 커터(106), 메쉬(108, mesh), 에어펌프(110) 및 저장소(112)를 포함한다.
케이스(102)는 부표(1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공간은 부표(10)의 수용을 위해 부표(10)의 크기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2)의 양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102a)가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상기 도어(102a)가 개방된 상태에서 부표(10)를 상기 케이스(102)의 내부로 인입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케이스(102)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케이스(102)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부(104)는 케이스(10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102)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표(10)를 고정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정부(104)는 예를 들어, 케이스(102)의 양측 내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104)는 케이스(102)의 내측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4)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고정부(104)의 형성 위치, 개수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부(104)는 부표(10)를 고정시키기 위해 케이스(102)의 내측면에서 다양한 위치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작업자는 부표(10)를 복수의 고정부(104) 사이에 위치시킨 후 고정부(104)의 동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작업자는 예를 들어, 부표 처리 장치(100)의 외면에 마련된 별도의 버튼(미도시)을 푸시하거나 레버(미도시)를 당길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명령이 고정부(104)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미도시)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104)가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즉, 고정부(104)는 작업자의 명령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부표(1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이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104)를 통해 부표(10)가 고정되면 후술할 절단 커터(106)를 통해 부표(10)를 커팅하기 위한 준비가 완료된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2)의 도어(102a)가 폐쇄될 수 있다. 즉, 케이스(102)는 부표(10)가 케이스(102)의 내부로 수용되기 전에 개방되고, 부표(10)가 케이스(102)의 내부로 수용된 후 후술할 절단 커터(106)가 동작하기 전에 폐쇄될 수 있다.
절단 커터(106)는 케이스(102)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102)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표(10)를 커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절단 커터(106)는 예를 들어, 케이스(102)의 양측 내측면 및 상측 내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절단 커터(106)는 케이스(102)의 내측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절단 커터(106)의 형성 위치 및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단 커터(106)는 부표(10)를 커팅하기 위해 케이스(102)의 내측면에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 작업자는 절단 커터(106)의 동작을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작업자는 예를 들어, 부표 처리 장치(100)의 외면에 마련된 별도의 버튼(미도시)을 푸시하거나 레버(미도시)를 당길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의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명령이 절단 커터(106)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터(미도시) 또는 제어부(미도시)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절단 커터(106)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절단 커터(106)는 작업자의 명령에 따라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부표(10)를 커팅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04)는 절단 커터(106)가 동작하는 동안 부표(10)를 지지한 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표(10)가 다각도, 다방향에서 보다 빠르게 커팅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상술한 다양한 입력 방식을 통해 케이스(102)에 수용되는 부표(10)의 크기, 부표(10)의 형태, 상기 피복체의 종류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에 따라 고정부(104) 및 절단 커터(106)가 기 저장된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표(10)의 크기나 형태가 달라지거나 피복체의 종류나 두께가 달라지는 경우 고정부(104)의 전진 및 후진 정도와 절단 커터(106)의 이동 패턴이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각 동작 모드에 따른 고정부(104)의 전진 및 후진 정도, 절단 커터(106)의 이동 패턴은 부표 처리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DB, 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스(102)의 내부로 인입된 부표(10)는 고정부(104) 및 절단 커터(106)의 동작에 따라 고정 및 커팅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메쉬(108)는 케이스(102)의 하측에 형성되고, 절단 커터(106)에 의해 부표(10)가 커팅됨으로써 발생되는 스티로폼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홀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절단 커터(106)는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부표(10)를 커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크기가 비교적 큰 스티로폼이나 피복제(30)의 경우 작업자에 의해 직접 분리가 가능하나 미세한 크기의 스티로폼(20)의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이를 분리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미세한 크기의 스티로폼(20)은 케이스(102)의 하측에 마련된 메쉬(108)의 홀을 통과하게 된다. 이를 위해, 메쉬(108)의 홀은 미세한 크기의 스티로폼(20)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작은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펌프(110)는 메쉬(108)와 연결되어 메쉬(108)를 통과한 스티로폼(20)을 흡입한다. 또한, 에어펌프(110)는 메쉬(108)와 연결되어 메쉬(108)를 통과한 미세 크기의 스티로폼(20)뿐 아니라 케이스(102)의 내부에 남아있는 미세 크기의 스티로폼(20)을 흡입할 수 있다.
저장소(112)는 에어펌프(110)를 통해 흡입된 스티로폼(20)을 저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표 처리 장치(100)의 케이스(102) 내부로 부표(10)가 수용됨에 따라 고정부(104)를 통해 부표(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절단 커터(106)로 부표(10)를 자동으로 커팅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수동으로 부표(10)를 일일이 커팅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따라 부표(10)의 처리 시간이 단축되고 안전 사고의 위험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메쉬(108)와 에어펌프(110)를 통해 미세 크기의 스티로폼(20)을 흡입하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스티로폼 분리에 따른 작업 편의 및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표(10)가 케이스(102)의 내부로 수용되기 전에 케이스(102)의 도어(102a)가 개방되고, 부표(10)가 케이스(102)의 내부로 수용된 후 절단 커터(106)가 동작하기 전에 케이스(102)의 도어(102a)가 폐쇄되도록 함으로써, 부표 처리 장치(100)가 동작하는 동안 부표(10)의 절단으로 인한 스티로폼 파편이 작업자나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부표(10)의 크기, 상기 부표(10)의 형태, 상기 피복체의 종류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고정부(104) 및 절단 커터(106)가 기 저장된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부표(10)의 크기, 형태, 피복체의 종류, 두께 등에 따른 맞춤형 처리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부표
20 : 스티로폼
30 : 피복제
100 : 부표 처리 장치
102 : 케이스
102a : 도어
104 : 고정부
106 : 절단 커터
108 : 메쉬
110 : 에어펌프
112 : 저장소

Claims (8)

  1. 스티로폼에 피복체가 피복됨으로써 형성된 부표를 처리하는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로서,
    상기 부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부표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부표를 커팅하는 절단 커터; 및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부표가 커팅됨으로써 발생되는 스티로폼이 통과하기 위한 복수의 홀을 구비하는 메쉬(mesh)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내측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 형성되며,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상기 부표를 고정시키며,
    상기 절단 커터는, 상기 내측면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복수 개 형성되며,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부표를 커팅하며,
    상기 고정부 및 상기 절단 커터는, 작업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부표의 크기, 상기 부표의 형태, 상기 피복체의 종류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기 저장된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며,
    상기 각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고정부의 전진 및 후진 정도와 상기 절단 커터의 이동 패턴이 달라지는,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절단 커터가 상기 부표를 커팅하는 동안 상기 부표를 지지한 채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부표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되기 전에 개방되고, 상기 부표가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수용된 후 상기 절단 커터가 동작하기 전에 폐쇄되는,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쉬와 연결되어 상기 메쉬를 통과한 스티로폼을 흡입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흡입된 스티로폼을 저장하는 저장소를 더 포함하는,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KR1020210048076A 2021-04-13 2021-04-13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KR102429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076A KR102429580B1 (ko) 2021-04-13 2021-04-13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076A KR102429580B1 (ko) 2021-04-13 2021-04-13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580B1 true KR102429580B1 (ko) 2022-08-03

Family

ID=82847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076A KR102429580B1 (ko) 2021-04-13 2021-04-13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5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445A (ko) * 2011-04-14 2014-03-10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절단 장치
KR102011439B1 (ko) 2018-02-09 2019-08-16 문시현 블로우 몰딩 또는 진공 성형체와 발포체를 결합한 부표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60924B1 (ko) * 2019-07-09 2019-12-30 이무훈 피복 스티로폼 절단기
KR102272376B1 (ko) * 2021-02-03 2021-07-02 창진이엔지(주) 스티로폼 파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445A (ko) * 2011-04-14 2014-03-10 니찌아스 카부시키카이샤 절단 장치
KR102011439B1 (ko) 2018-02-09 2019-08-16 문시현 블로우 몰딩 또는 진공 성형체와 발포체를 결합한 부표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060924B1 (ko) * 2019-07-09 2019-12-30 이무훈 피복 스티로폼 절단기
KR102272376B1 (ko) * 2021-02-03 2021-07-02 창진이엔지(주) 스티로폼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9580B1 (ko) 피복형 친환경 부표 처리 장치
US20060123800A1 (en) Desinfection device for a cryostat
JP2008036740A (ja) 切断機における切断刃の開閉カバー
CA2635484A1 (en) Electronic cutt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cutting
CN107140164A (zh) 船舶螺旋桨推进器即时清污装置
JP2007203390A (ja) シート材切断装置およびプリンタ
US2713407A (en) Chuck key safety switch mechanism
WO2007117587A3 (en) Scissors with sheath having eraser portion
US5850697A (en) Automatic guard lifting system
ATE551218T1 (de) Cabriofahrzeug
US3115910A (en) Scribe saws
KR20110000854U (ko) 연필 깎이
CN211810176U (zh) 船用防缠绕螺旋桨
JP2019006084A (ja) 印刷装置
FR2865313B1 (fr) Dispositif de manoeuvre bistable d'arbre mobile non traversant et coupe-circuit de batterie comprenant un tel dispositif
JP2005131019A (ja) ペーパーホルダー
JP4715640B2 (ja) 携帯用丸のこ
JPH119858A (ja) 鋸等の鞘
KR101247504B1 (ko) 커터 칼
KR102185267B1 (ko) 파형강관 절단장치
JP2005537144A5 (ko)
JP2005297351A (ja) 樹枝切断機
JP2019018523A (ja) 手持式作業機
CN221048459U (zh) 一种食材切条机
KR930020214A (ko) 가요성 절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