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516B1 -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516B1
KR102429516B1 KR1020160007762A KR20160007762A KR102429516B1 KR 102429516 B1 KR102429516 B1 KR 102429516B1 KR 1020160007762 A KR1020160007762 A KR 1020160007762A KR 20160007762 A KR20160007762 A KR 20160007762A KR 102429516 B1 KR102429516 B1 KR 102429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op box
input
data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7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8017A (ko
Inventor
옥경환
김혜영
Original Assignee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에이치엔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07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516B1/ko
Priority to US15/404,480 priority patent/US10237605B2/en
Priority to JP2017005146A priority patent/JP7002198B2/ja
Publication of KR20170088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8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Abstract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이 제시된다.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가 구비된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단말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PUT AND OUTPUT OF SET-TOP BOX USING TERMINAL}
아래의 실시예들은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을 셋톱박스와 연결하여 입력 또는 출력 장치로 이용 가능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셋톱박스(set-top box)는 텔레비전 등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되어 외부에서 들어오는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여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해 주는 장치이다.
기존의 셋톱박스는 리모컨 등의 조작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셋톱박스를 제어하였다. 하지만, 리모컨의 경우 특정 셋톱박스에만 사용 가능한 전용 리모컨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다른 제품과의 호환성이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리모컨에서 셋톱박스로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일방향 통신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셋톱박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텔레비전 등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텔레비전 등의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및 기능에 제한이 많다.
한국공개특허 10-2015-0057822호는 이러한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의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셋톱 박스 및 셋톱 박스의 디스플레이 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실시예들은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을 셋톱박스와 연결하여 입력 또는 출력 장치로 이용 가능한 양방향 통신이 제공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ADB, MTP, PTP를 통해 출력 장치 없는 셋톱박스와 단말을 연결하여 단말을 출력 장치로 이용 가능하고, 입력 장치가 없는 셋톱박스와 단말을 연결하여 단말을 입력 장치로 이용 가능한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가 구비된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단말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아 제어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상기 영상이 실시간으로 출력되거나, 상기 단말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상기 음성이 실시간으로 출력되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상기 셋톱박스에서 전송 받을 수 있다.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서 MTP 또는 PTP 모드를 지원하도록 상기 단말의 USB 포트와 상기 셋톱박스의 USB 포트가 USB 케이블로 연결되어, USB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유선 통신될 수 있다.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셋톱박스의 무선 통신 모듈이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단말과 무선 통신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또는 설치 안내 파일을 제공하여 설치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에서 명령어 전송 및 결과를 받을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연결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데이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콜백 시스템(call back system)이 적용되어 상기 공유 데이터의 변경시 변경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변경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상기 셋톱박스에 입력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셋톱박스는 점검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점검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의 관리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점검 메뉴의 선택 좌표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전송 받은 상기 선택 좌표의 메뉴에 대해 상기 점검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에서 점검을 시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 시행 후, 결과를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셋톱박스는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의 제어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메뉴의 선택 좌표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 받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받은 상기 선택 좌표에 따라 상기 교통 신호 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가 구비된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출력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는 입력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상기 컨텐츠 신호를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상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단말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상기 음성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며, 상기 입력 처리부는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상기 셋톱박스에서 전송 받을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USB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USB 포트가 형성되어, 상기 단말에서 MTP 또는 PTP 모드를 지원하도록 상기 단말의 USB 포트와 상기 셋톱박스의 USB 포트가 USB 케이블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단말과 유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로 이루어져, 상기 단말의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셋톱박스의 무선 통신 모듈이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단말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서 명령어 전송 및 결과를 받을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연결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데이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콜백 시스템(call back system)을 적용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의 변경시 변경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에 표시하도록 정보를 전송하거나, 변경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상기 입력 처리부에 입력 처리하는 변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의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입력 받고, 상기 셋톱박스의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셋톱박스의 상기 음성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및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음성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상기 단말에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또는 설치 안내 파일을 제공 받아 설치를 유도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단말을 포함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단말을 셋톱박스와 연결하여 입력 또는 출력 장치로 이용 가능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ADB, MTP, PTP를 통해 출력 장치 없는 셋톱박스와 단말을 연결하여 단말을 출력 장치로 이용 가능하고, 입력 장치가 없는 셋톱박스와 단말을 연결하여 단말을 입력 장치로 이용 가능한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USB 연결 모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은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ADB, MTP, PTP를 통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며 출력 장치 없는 셋톱박스와 단말을 연결하여 단말을 출력 장치로 이용 가능하고, 입력 장치가 없는 셋톱박스와 단말을 연결하여 단말을 입력 장치로 이용 가능한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DB, MTP, PTP를 통해 단말과 셋톱박스를 USB 연결하여 단말을 출력 장치 및/또는 입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ADB, MTP, PTP를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이 없을 경우, 단말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 파일 또는 설치 안내 파일을 저장 후 단말에서 최소한의 확인으로 쉽게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단말은 USB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으므로 디스플레이부와 입력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셋톱박스에 USB 표준 연결 프로토콜만 지원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함으로써 단말과 셋톱박스를 간단한 구성 및 방법에 의해 연결할 수 있어 단말을 셋톱박스의 입력 및/또는 출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은 셋톱박스(100) 및 셋톱박스(100)와 연결되어 입출력을 제공하는 단말(1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셋톱박스(100)는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여,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단말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110)은 셋톱박스의 통신부와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입력 받고, 셋톱박스의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셋톱박스의 음성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및 셋톱박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음성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단말에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셋톱박스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또는 설치 안내 파일을 제공 받아 설치를 유도하는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의 각 구성에 대해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셋톱박스(100)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셋톱박스(100)는 영상 및/또는 음성을 출력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가 제공되는 않는 기기이거나 터치 스크린, 가상 키패드, 키패드 등의 입력부가 제공되지 않는 전기/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셋톱박스(100)는 디지털 위성방송용 수신 장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 중 하나인 텔레비전과 연결되어 디지털 방송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셋톱박스(100)는 상기의 디지털 위성방송용 수신 장비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구비된 전기/전자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셋톱박스(100)는 디지털 위성방송용 수신 장비, OTT(Over The Top) 장치, 공유기, 점검이 요구되는 정수기 및 보일러, 가전 기기, 자동차 멀티미디어 시스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 등 다양한 전기/전자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입력 및/또는 출력이 가능하고 셋톱박스(1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폰 등의 단말(110)이 이용될 수 있다.
단말(110)은 셋톱박스(1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화면)과 음성(오디오) 등을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셋톱박스(1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110)을 이용한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뿐 아니라 키패드(key pad), 터치 패드, 마우스, 자이로 센서, 카메라 등이 될 수 있다.
단말(110)은 전자 기기로서,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110)은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네비게이션, 노트북, 태블릿 장치(tablet device),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e-북 리더(e-book read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셋톱박스(100)와 단말(110)을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시키는 장치 또는 통신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셋톱박스(100) 및 단말(110)에는 USB 포트가 각각 형성되어 USB 케이블(120)에 의해 유선 연결될 수 있다. USB 케이블(120)을 통해 셋톱박스(100)와 단말(110)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단말과 기기를 연결하는 통합 데이터 영역을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 및 방법에 의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DB(Android Debug Bridge),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edia Transfer Protocol, MTP), 사진 전송 프로토콜(Picture Transfer Protocol, PTP) 등을 통해 셋톱박스(100)와 단말(110)을 USB 연결함으로써 단말(110)을 입력 및/또는 출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1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MTP 모드 또는 PTP 모드 등의 연결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셋톱박스(100)에서 제공되는 영상(화면)과 음성(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단말로 미러링할 수 있다.
여기서, ADB(Android Debug Bridge)는 안드로이드 단말로 명령어 전송 및 결과를 받을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디바이스에 명령을 내릴 수 있는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edia Transfer Protocol, MTP)과 사진 전송 프로토콜(Picture Transfer Protocol, PTP)는 단말과 컴퓨터 등의 기기를 연결하여 파일을 옮기는 것을 도와주는 연결 방식이다.
이러한 ADB, MTP, PTP를 사용함으로써 호환 파일 시스템이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독자적인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기기를 인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110)은 USB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셋톱박스(100)에 USB 표준 연결 프로토콜만 지원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단말(110)을 입력 및/또는 출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셋톱박스(100) 및 단말(110)에는 무선 통신 모듈이 각각 형성되어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무선 통신의 경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셋톱박스(100)와 단말(110)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서로 연동될 수 있다는 의미는 셋톱박스(100)와 단말(110)이 서로 통신하여 셋톱박스(100)에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11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단말(110)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선택 등의 지시를 셋톱박스(100)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은 셋톱박스(200) 및 셋톱박스(200)와 연결되어 입출력을 하는 단말(21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셋톱박스(200)에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2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셋톱박스(200)는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적절히 변환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및/또는 출력이 가능하고, 셋톱박스(2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한 스마트 폰 등의 단말(210)이 이용될 수 있다.
단말(210)은 셋톱박스(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음성 등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입력을 셋톱박스(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단말(210)은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211)을 통해 셋톱박스(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음성 등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210)은 상기의 어플리케이션(211)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입력을 셋톱박스(2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말(210)에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211)이 없을 경우, 셋톱박스(200)로부터 어플리케이션(211)의 설치 파일 또는 설치 안내 파일을 제공 받을 수 있다. 이때 셋톱박스(200)는 어플리케이션(211)의 설치 파일 또는 설치 안내 파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 서버를 통해 어플리케이션(211)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서버는 단말(210)과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로,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단말(210)로 어플리케이션(211)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210)은 서버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211)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단말(210)이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에 접속하여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한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은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1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제공 서버(212)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셋톱박스(200)로 재생될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서버(212)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방송 컨텐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말(2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모든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셋톱박스(200)가 스마트 기능을 구비하는 경우, 웹페이지, VOD(Video On-Demand), 게임 그 밖의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위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된 컨텐츠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셋톱박스와 단말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셋톱박스는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가 제공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가 형성된 단말을 통해 영상, 음성 등 다양한 기능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셋톱박스는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입력부가 제공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제공되어 단말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더욱이 입출력 장치로 단말을 사용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서는 하나의 셋톱박스에 대한 예로서 셋톱박스(300), 그리고 하나의 단말에 대한 예로서 단말(31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단말(310)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311), 입출력 인터페이스(313), 통신 모듈(314), 메모리(315) 및 디스플레이(316)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310)은 프로세서(311), 단말(310) 상에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 및/또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입출력 처리 모듈(311)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310)과 셋톱박스(300)는 메모리(303, 315), 프로세서(301, 311), 통신 모듈(302, 314)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313)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3, 315)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03, 315)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단말(3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303, 315)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302, 314)을 통해 메모리(303, 315)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 또는 셋톱박스(200))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303, 315)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01, 311)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03, 315) 또는 통신 모듈(302, 314)에 의해 프로세서(301, 311)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301, 311)는 메모리(303, 315)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02, 314)은 네트워크(320)를 통해 단말(310)과 셋톱박스(3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단말 또는 다른 셋톱박스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단말(310)의 프로세서(311)가 메모리(315)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314)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320)를 통해 셋톱박스(30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셋톱박스(300)의 프로세서(301)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304)과 네트워크(320)를 거쳐 단말(310)의 통신 모듈(314)을 통해 단말(3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314)을 통해 수신된 셋톱박스(30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311)나 메모리(315)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단말(3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13)는 입출력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3)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단말(310)의 프로세서(311)는 메모리(315)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셋톱박스(300)나 다른 단말이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313)를 통해 디스플레이(316)에 표시되고 스피커(317)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말(310) 및 셋톱박스(300)는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면, 단말(310)은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에서 셋톱박스(400)는 통신부(410) 및 제어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 따라 저장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부(410)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가 구비된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USB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USB 포트가 형성되어, 단말에서 MTP 또는 PTP 모드를 지원하도록 단말의 USB 포트와 셋톱박스(400)의 USB 포트가 USB 케이블로 연결됨에 따라 단말과 유선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410)는 무선 통신 모듈로 이루어져, 단말에서 MTP 또는 PTP 모드를 지원하도록 단말의 무선 통신 모듈과 셋톱박스(400)의 무선 통신 모듈이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단말과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제어부(420)는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여,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20)는 구성요소들로서 판단부, 데이터 출력부, 입력 처리부, 신호 처리부, 및 변화 감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판단부, 데이터 출력부, 입력 처리부, 신호 처리부, 및 변화 감지부는 셋톱박스(400)의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일 수 있으며, 제어부(420)는 상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제어부(420)일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셋톱박스의 제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에서 셋톱박스(500)의 제어부는 구성요소들로서 판단부(510), 데이터 출력부(520), 및 입력 처리부(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셋톱박스(500)의 제어부는 신호 처리부(540), 및 변화 감지부(5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판단부(510), 데이터 출력부(520), 입력 처리부(530), 신호 처리부(540), 및 변화 감지부(550)는 셋톱박스(500)의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일 수 있으며, 이때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메모리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의 코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에 따른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의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서로 다른 기능들(different functions)의 표현들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입출력 처리 방법을 위한 프로그램의 파일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메모리에 로딩할 수 있다.
판단부(510)는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520)는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데이터 출력부(520)는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지 않은 셋톱박스(500)에서 송신된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거나,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은 셋톱박스(500)에서 송신된 음성을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입력 처리부(530)는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는 입력 처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처리부(530)는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셋톱박스(500)에서 전송 받을 수 있다.
신호 처리부(540)는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컨텐츠 신호를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 가능하도록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통신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컨텐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변화 감지부(550)는 단말에서 명령어 전송 및 결과를 받을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연결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데이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콜백 시스템(call back system)을 적용하여 공유 데이터의 변경시 변경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에 표시하도록 정보를 전송하거나, 변경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입력 처리부(530)에 입력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ADB, MTP, PTP 및 무선 통신 등을 통해 출력 장치 없는 셋톱박스와 단말을 연결하여 단말을 출력 장치로 이용 가능하고, 입력 장치가 없는 셋톱박스와 단말을 연결하여 단말을 입력 장치로 이용 가능하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은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가 구비된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610),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630), 및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단말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은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650), 및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아 제어되는 단계(6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드로이드(Android) 단말에서 MTP 모드를 이용하여 USB 연결을 한 경우의 예를 설명한다.
MTP, PTP, ADB을 이용하여 문서, 앱 설치(app install), 및 입력(Input)과 출력(output) 파일 등을 셋톱박스(또는 토스트 박스(toast box), 아래에서는 셋톱박스로 통합하여 설명한다)와 단말이 공유할 수 있다. 즉, 상기의 셋톱박스와 단말은 동일한 파일을 공유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에서 ADB 연결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셋톱박스와 단말은 파일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콜백 시스템(call back system)이 적용될 수 있다. 공유 파일의 변경이 발생할 경우,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셋톱박스 또는 단말은 화면 표시, 입력 처리, 앱 설치, 문서 보기(view)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단말에서 ADB 연결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앱 설치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톱박스는 음성 또는 문서 등을 통해 단말로 클라이언트 시스템(Client system)의 설치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앱 설치 이후, MTP 파일 공유로 기기간 영상, 음성, 입력 장치, 출력 장치로 통신 및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에 따르면 단말의 USB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부와 입력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셋톱박스에 USB 표준 연결 프로토콜을 지원하도록 함으로써 단말을 입출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은 도 4 및 도 5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을 이용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에서의 셋톱박스(400)는 통신부(410) 및 제어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셋톱박스(500)의 제어부는 판단부(510), 데이터 출력부(520), 입력 처리부(530), 신호 처리부(540), 및 변화 감지부(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610)에서, 통신부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가 구비된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통신부는 단말에서 MTP 또는 PTP 모드를 지원하도록 단말의 USB 포트와 셋톱박스의 USB 포트가 USB 케이블로 연결되어, USB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단말과 유선 통신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셋톱박스 및 단말에는 USB 포트가 각각 형성되어 USB 케이블에 의해 유선 연결될 수 있다. USB 케이블을 통해 셋톱박스와 단말을 유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단말과 셋톱박스를 연결하는 통합 데이터 영역을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 및 방법에 의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DB, MTP, PTP 등을 통해 셋톱박스와 단말을 USB 연결함으로써 단말을 입력 및/또는 출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MTP 모드 또는 PTP 모드 등의 연결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셋톱박스에서 제공되는 영상(화면)과 음성(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는 단말의 무선 통신 모듈과 셋톱박스의 무선 통신 모듈이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연결되어 단말과 무선 통신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의 무선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셋톱박스와 단말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서로 통신하여 셋톱박스에 수신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단말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선택 등의 지시를 셋톱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630)에서, 판단부는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는 셋톱박스에서 단말을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컨텐츠로, 이미지, 영상(화면), 음성(오디오),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화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판단부는 단말에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단말에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판단부는 셋톱박스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또는 설치 안내 파일을 제공받아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서 ADB 연결을 이용할 수 없는 경우 셋톱박스는 음성 또는 문서 등을 통해 단말로 클라이언트 시스템(Client system) 등의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안내할 수 있다. 이후, 판단부는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640)에서, 데이터 출력부는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단말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은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650), 및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아 제어되는 단계(6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통신부에 의해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가 구비된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610)된 후, 셋톱박스의 송신 모드 및 수신 모드를 판단(620)다. 즉, 단계(620)에서 판단부는 셋톱박스의 송신 모드 및 수신 모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모드로 판단된 경우, 판단부는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630). 또한 수신 모드로 판단된 경우, 판단부는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650).
단계(650)에서, 판단부는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판단부는 단말에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단말에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판단부는 셋톱박스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또는 설치 안내 파일을 제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은 셋톱박스뿐만 아니라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 받을 수도 있다. 이후, 판단부는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660)에서, 입력 처리부는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아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은 터치 스크린, 가상 키패드, 키패드 등을 통해 획득된 좌표 값 또는 입력 값이 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을 이용한 입력 장치는 디스플레이부뿐만 아니라 키패드(key pad), 터치 패드, 마우스, 자이로 센서, 카메라 등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명령어 전송 및 결과를 받을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연결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데이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콜백 시스템(call back system)이 적용되어 공유 데이터의 변경시 변경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단말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변경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셋톱박스에 입력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지 않은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영상이 실시간으로 출력되거나, 단말의 스피커를 통해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은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음성이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셋톱박스에서 전송 받을 수 있다.
아래에서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아래의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의 몇 가지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은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가 구비된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여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단말로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여기서 셋톱박스는 점검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점검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의 관리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점검 메뉴의 선택 좌표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이후, 전송 받은 선택 좌표의 메뉴에 대해 점검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에서 점검을 시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가 없는 전자 기기의 점검을 시행하는 것은 전문가들만 할 수 있으나 단말을 통해 점검을 하는 경우 전문가는 물론 비전문가도 쉽게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점검 시행 후, 결과를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결과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정수기 또는 보일러 관리를 위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출력부가 없는 정수기 또는 보일러와 단말을 USB 케이블로 연결할 수 있다. 정수기 또는 보일러와 단말이 연결되는 경우, 정수기 또는 보일러에서 정수기 또는 보일러 관리 메뉴 화면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말에서 정수기 또는 보일러 관리 메뉴 화면의 점검 메뉴를 선택하면, 단말은 메뉴 선택 좌표를 정수기 또는 보일러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정수기 또는 보일러는 전송 받은 좌표의 메뉴를 점검 시행 후 결과를 단말 화면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의 셋톱박스는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해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의 제어 메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메뉴의 선택 좌표를 셋톱박스로 전송 받을 수 있다. 이후, 전송 받은 선택 좌표에 따라 교통 신호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통 신호 시스템의 수동 관리를 위해서 교통이 혼잡한 시간에 경찰이 단말을 이용하여 신호 제어 시스템과 USB 연결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교통 신호 시스템은 교통 신호 제어 화면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의 입력을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교통 신호기 옆의 교통 제어 시스템에 별도의 입출력 장치를 장착하는 것보다 비용 및 전원을 절약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의 셋톱박스는 카페 테이블에 제공되는 토스트 박스(Toast box)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카페 테이블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되지 않는 토스트 박스(Toast box)와 사용자의 단말을 USB 케이블로 연결 후 통신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토스트 박스(Toast box)는 영상 및/또는 음성을 출력하지 않는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가 제공되는 않는 기기이거나 터치 스크린, 가상 키패드, 키패드 등의 입력부가 제공되지 않는 전기/전자 기기가 될 수 있다.
상기의 토스트 박스(Toast box)와 단말이 연결되는 경우, 토스트 박스(Toast box)에서 단말 충전, 음료 주문과 결재, 음악 또는 영상 감상 등과 관련된 화면을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로 제공된 화면의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은 입력 받은 터치 스크린 이벤트, 좌표 등을 토스트 박스(Toast box)로 전송할 수 있다.
토스트 박스(Toast box)는 전송 받은 좌표의 메뉴를 실행 후 결과를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대기 시, 단말 충전 기능과 함께 단말에 별도의 앱 설치 없이 단말 화면을 이용하여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의 셋톱박스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될 수 있다.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 업데이트를 위해서 사용자는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과 단말을 USB 케이블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은 단말로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SW) 다운로드 명령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은 데이터 통신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 패키지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다운로드 완료 시, 단말에 다운로드된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 패키지를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으로 전달함으로써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USB 연결 모드 설정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셋톱박스 및 단말은 USB를 통해 유선 연결될 수 있다. USB 케이블 등을 통해 셋톱박스와 단말이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단말과 기기를 연결하는 통합 데이터 영역을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간단한 구성 및 방법에 의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DB(Android Debug Bridge),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edia Transfer Protocol, MTP), 사진 전송 프로토콜(Picture Transfer Protocol, PTP) 등을 통해 셋톱박스와 단말을 USB 연결함으로써 단말의 디스플레이부 등을 입력 및/또는 출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MTP 모드 또는 PTP 모드 등의 연결 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셋톱박스에서 제공되는 영상(화면)과 음성(오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은 USB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부 및 입력 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셋톱박스에 USB 표준 연결 프로토콜만 지원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경우 단말을 입력 및/또는 출력 장치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7)

  1.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가 구비된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단말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아 제어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상기 영상이 실시간으로 출력되거나, 상기 단말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상기 음성이 실시간으로 출력되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상기 셋톱박스에서 전송 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서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edia Transfer Protocol, MTP) 또는 사진 전송 프로토콜(PICTURE TRANSFER PROTOCOL, PTP) 모드를 지원하도록 상기 단말의 USB 포트와 상기 셋톱박스의 USB 포트가 USB 케이블로 연결되어, USB 표준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과 유선 통신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단말의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셋톱박스의 무선 통신 모듈이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단말과 무선 통신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에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또는 설치 안내 파일을 제공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에 설치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에서 명령어 전송 및 결과를 받을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연결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데이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콜백 시스템(call back system)이 적용되어 상기 공유 데이터의 변경시 변경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거나, 변경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상기 셋톱박스에 입력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점검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점검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의 관리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점검 메뉴의 선택 좌표를 전송 받는 단계;
    상기 전송 받은 상기 선택 좌표의 메뉴에 대해 상기 점검이 요구되는 전자 기기에서 점검을 시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점검 시행 후, 결과를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상기 결과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톱박스는,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의 적어도 일부로 구성되며,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에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의 제어 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제어 메뉴의 선택 좌표를 상기 셋톱박스로 전송 받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받은 상기 선택 좌표에 따라 상기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방법.
  10.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가 구비된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출력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는 입력 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단말에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입력을 전달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서비스 제공 서버와 상기 통신부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어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제공 받은 상기 컨텐츠 신호를 디스플레이 또는 출력 가능하도록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부는,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상기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단말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스피커가 구비되지 않은 상기 셋톱박스에서 송신된 상기 음성을 실시간으로 출력하며,
    상기 입력 처리부는,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상기 셋톱박스에서 전송 받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USB 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USB 포트가 형성되어, 상기 단말에서 미디어 전송 프로토콜(Media Transfer Protocol, MTP) 또는 사진 전송 프로토콜(PICTURE TRANSFER PROTOCOL, PTP) 모드를 지원하도록 상기 단말의 USB 포트와 상기 셋톱박스의 USB 포트가 USB 케이블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단말과 유선 통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무선 통신 모듈로 이루어져, 상기 단말의 무선 통신 모듈과 상기 셋톱박스의 무선 통신 모듈이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를 연결하여 상기 단말과 무선 통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에서 명령어 전송 및 결과를 받을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 연결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데이터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콜백 시스템(call back system)을 적용하여 상기 공유 데이터의 변경시 변경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에 표시하도록 정보를 전송하거나, 변경된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상기 입력 처리부에 입력 처리하는 변화 감지부
    를 더 포함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17.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여,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로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셋톱박스; 및
    상기 셋톱박스의 상기 통신부와 연결되어 유선 또는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와,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입력 받고, 상기 셋톱박스의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셋톱박스의 상기 음성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스피커와, 및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수신한 영상 및 음성을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하고, 상기 단말에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이 없을 경우 상기 셋톱박스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 또는 설치 안내 파일을 제공 받아 설치를 유도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셋톱박스의 제어부는,
    상기 단말이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상태인지 판단하는 판단부;
    상기 단말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영상을 출력하거나 상기 스피커를 통해 음성을 출력하기 위해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공유하는 데이터 출력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의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터치 좌표 또는 키패드 입력 값을 전송 받는 입력 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상기 단말에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셋톱박스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영상 또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 또는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단말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 받은 사용자의 입력을 상기 셋톱박스에 전달하는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KR1020160007762A 2016-01-21 2016-01-21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2429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62A KR102429516B1 (ko) 2016-01-21 2016-01-21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US15/404,480 US10237605B2 (en) 2016-01-21 2017-01-12 Input/output system and method for set-top box using terminal
JP2017005146A JP7002198B2 (ja) 2016-01-21 2017-01-16 端末を利用した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の入出力システムおよび入出力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7762A KR102429516B1 (ko) 2016-01-21 2016-01-21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8017A KR20170088017A (ko) 2017-08-01
KR102429516B1 true KR102429516B1 (ko) 2022-08-08

Family

ID=5936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7762A KR102429516B1 (ko) 2016-01-21 2016-01-21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37605B2 (ko)
JP (1) JP7002198B2 (ko)
KR (1) KR1024295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16840B (zh) * 2014-09-11 2018-03-23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usb设置和对外部设备进行操作的方法及装置
US10735780B2 (en) * 2018-11-20 2020-08-04 Dish Network L.L.C. Dynamically interactive digital media delive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7229A1 (en) * 2004-04-27 2011-08-11 Fathy Yassa Method and apparatus to broadcast content to handheld wireless devices via digital set-top-box receivers
US20150181286A1 (en) * 2013-12-23 2015-06-25 George E. Gonzalez Personal Area Network Proxy Service for Video on Demand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6325A (ko) * 2006-04-28 2007-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와 상기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10040621A1 (en) * 2009-08-11 2011-02-17 Ginsberg Matthew L Traffic Routing Display System
KR101642111B1 (ko) * 2009-08-18 2016-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모바일 디바이스,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JP2011166441A (ja) * 2010-02-09 2011-08-25 Nippon Hoso Kyokai <Nhk> デジタル放送受信機、端末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188333A (ja) * 2010-03-10 2011-09-22 Panasonic Corp 遠隔操作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及び遠隔操作方法
US8850082B2 (en) * 2010-08-30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Virtual USB compound device enumeration
GB2483499A (en) * 2010-09-10 2012-03-14 S3 Res & Dev Ltd Diagnostics and Analysis of a Set Top Box
JP2012080503A (ja) * 2010-10-06 2012-04-19 Oyo Denshi:Kk 移動体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を用いたコンテンツ閲覧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JP5549017B2 (ja) * 2011-05-20 2014-07-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ゲートウェイ装置、及びデータ送信方法
KR102023609B1 (ko) * 2011-09-26 2019-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텐트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JP6002967B2 (ja) * 2012-06-15 2016-10-05 サターン ライセンシング エルエルシーSaturn Licensing LLC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5312657B2 (ja) * 2012-09-04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146921A (ja) * 2013-01-28 2014-08-14 Canon Inc 通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373074A1 (en) * 2013-06-12 2014-12-18 Vivint, Inc. Set top box automation
KR20150057822A (ko) 2013-11-20 2015-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셋탑 박스 및 셋탑 박스의 디스플레이 방법
JP6420067B2 (ja) * 2014-06-11 2018-11-07 マクセル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97229A1 (en) * 2004-04-27 2011-08-11 Fathy Yassa Method and apparatus to broadcast content to handheld wireless devices via digital set-top-box receivers
US20150181286A1 (en) * 2013-12-23 2015-06-25 George E. Gonzalez Personal Area Network Proxy Service for Video on Demand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02198B2 (ja) 2022-01-20
JP2017130926A (ja) 2017-07-27
US20170214961A1 (en) 2017-07-27
KR20170088017A (ko) 2017-08-01
US10237605B2 (en) 2019-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9304A1 (en) Graphical user interface and data transfer methods in a controlling device
US9473617B2 (en) Terminal apparatus,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collaboration among a plurality of devices
KR102011360B1 (ko) 디바이스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58342B1 (ko) 오디오 처리 장치 및 오디오 처리 방법
JP6179686B1 (ja) 認証システム、及び、サーバー
US20150334171A1 (en) Mobile device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infotainment headunits
JP6832098B2 (ja) 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方法
US9521507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connections with plurality of user terminals in system
JP6051173B2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ダウンロード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9253228B2 (en) Cloud computing method, computing apparatus and server using the same
KR102429516B1 (ko) 단말을 이용한 셋톱박스 입출력 시스템 및 방법
KR102472410B1 (ko) 셋톱박스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45141B1 (ko) 복수 단말 동시 원격 제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2009182B1 (ko) 앱 다운로드 시스템, 스마트 테이블 및 이를 이용한 앱 설치 방법
BR112015021110B1 (pt) Método para configurar uma interface gráfica de usuário de guia de programa em um dispositivo portátil
KR102327910B1 (ko) 클라우드 기반 하이브리드 스마트 tv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79081A (ko) 콘텐트 공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309243B1 (ko) Pip 모드에서 대화방에 컨텐츠를 공유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513017B1 (ko) 네비게이션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00053752A (ko) 자동 완성 기능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288937B1 (ko) 방송 엔딩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2379723B1 (ko) 방송 영상과 관련된 상품의 연관 상품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101798983B1 (ko) 매체간 서비스 연계를 위한 바인딩 장치 및 방법
JP540369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447398B1 (ko) Voip를 위한 접속망 품질 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