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993B1 -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 - Google Patents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993B1
KR102428993B1 KR1020200125274A KR20200125274A KR102428993B1 KR 102428993 B1 KR102428993 B1 KR 102428993B1 KR 1020200125274 A KR1020200125274 A KR 1020200125274A KR 20200125274 A KR20200125274 A KR 20200125274A KR 102428993 B1 KR102428993 B1 KR 102428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plug
grounding
selection switch
wi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41687A (ko
Inventor
정완식
Original Assignee
정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완식 filed Critical 정완식
Priority to KR102020012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9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41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6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01R13/0281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using electro-optic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0Measuring earth resistance; Measuring contact resistance, e.g. of earth connections, e.g. pl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6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공구 등 전기 장비를 사용할 때 접지상태를 유무를 확실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누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휴대하거나 멜빵 등으로 어깨에 걸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어느 한측으로 전기 장비의 프러그를 접속하도록 구비하는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의 접지 유무를 확인하는 접지 유무 확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지 유무 확인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하는 밧데리; 상기 밧데리의 (+)전원을 배선을 거쳐 상기 콘센트의 일측으로 접속하는 메인스위치; 상기 콘센트와 상기 메인스위치 사이에 형성되어 LED 또는 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스위치; 상기 밧데리의 (-)전원을 배선을 거쳐 상기 콘센트 타측에 연결된 테스트 포인트로 접속하는 점검 리드선; 상기 밧데리와 상기 점검 리드선 사이에 형성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배선을 연결하도록 하는 수동/자동 선택스위치를 구비하되, 상기 수동/자동 선택스위치가 자동으로 선택될 경우, 상기 배선을 상기 점검 리드선에 바로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동/자동 선택스위치가 수동으로 선택될 경우, 상기 배선을 수동 점검 스위치를 거쳐 상기 점검 리드선에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Outlet with electric product plug Earth tester}
본 발명은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공사현장에서 전동공구나 전기 연장선 등의 전동 제품을 사용할 때 안전을 위하여 접지상태의 유무를 작업자의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설 공사현장에는 전동공구, 소형펌프, 소형모터, 전기연장선 등의 전원을 사용하는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필수적으로 접지상태의 유무를 확인하여 장비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종래에는 전동공구 등의 장비를 전원 연결할 때 접지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은 대부분 오옴테스터기를 이용하여 장비의 바디와 프러그의 접지단자에 서로 측정하여 접지유무를 확인하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면 프러그 접지단자의 변형 등의 불량상태인 경우 테스트기로는 접지상태가 정상적인 것을 확인될 수 있으나 콘센트에 프러그를 삽입하였을 때 프러그의 접지단자가 콘센트의 접지핀과 접촉되지 않는 경우는 확인할 수 없어 작업공구 등의 장비를 콘센트에 연결시 프러그의 접지단자에 콘센트의 접지핀이 접촉되지 않는 상태에서 전원 연결시 누전이 발생할 경우 작업공구의 바디에 접촉하는 작업자에 전기쇼크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전동공구 등의 장비는 바디가 비절연체로 이루어져 있는 것은 작업자에게 누전으로 인한 전기 쇼크가 가해질 수 있는 상당한 위험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18917호(2006.08.25)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동공구 등 전기 장비의 소형모터를 사용할 때 접지상태를 유무를 확실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누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를 제공함에 있다.
즉, 접지유무 측정시 사용되고있는 오옴테스터기는 그 특성상 기본적인 지식과 숙련된 조작능력을 가자고 있는 운영자를 필요로 하나 본 발명은 단순한 설명만으로도 누구나 쉽게 누전 여부를 테스트를 할 수 있는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해결수단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는, 휴대하거나 멜빵 등으로 어깨에 걸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어느 한측으로 전기 장비의 프러그를 접속하도록 구비하는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어 플러그의 접지 유무를 확인하는 접지 유무 확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지 유무 확인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하는 밧데리; 상기 밧데리의 (+)전원을 배선을 거쳐 상기 콘센트의 일측으로 접속하는 메인스위치; 상기 콘센트와 상기 메인스위치 사이에 형성되어 LED 또는 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스위치; 상기 밧데리의 (-)전원을 배선을 거쳐 상기 콘센트 타측에 연결된 테스트 포인트로 접속하는 점검 리드선; 상기 밧데리와 상기 점검 리드선 사이에 형성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배선을 연결하도록 하는 수동/자동 선택스위치를 구비하되, 상기 수동/자동 선택스위치가 자동으로 선택될 경우, 상기 배선을 상기 점검 리드선에 바로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동/자동 선택스위치가 수동으로 선택될 경우, 상기 배선을 수동 점검 스위치를 거쳐 상기 점검 리드선에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콘센트에 전기 장비의 프러그를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스위치를 온시킨 후 접지테스터 리드봉을 테스트할 장비의 바디에 접촉하면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접지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에 선택된 상기 LED 또는 벨이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에 선택된 상기 LED 또는 벨이 작동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 및 더욱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에 의하면, 전동공구 등 전기 장비를 사용할 때 접지상태를 유무를 확실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누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오옴 테스터기는 교육과 지식이 필요하나 본 발명은 누구나 쉽게 간단한 교육으로 쉽게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는, 케이스(100), 콘센트(200), 접지 유무 확인수단(300), 선택스위치(310), LED(311), 벨(312), 수동/자동 선택스위치(320), 수동 점검 스위치(330), 점검 리드선(340), 테스트 포인트(350), 밧데리(360), 메인스위치(370) 및 배선(380)을 포함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하거나 멜빵(미도시) 등으로 어깨에 걸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의 상면에 어느 한측으로 전기 장비의 프러그(미도시)를 접속하도록 구비하는 콘센트(200)와, 상기 콘센트(200)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의 접지 유무를 확인하는 접지 유무 확인수단(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지 유무 확인수단(3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 구비하는 밧데리(360); 상기 밧데리(360)의 (+)전원을 배선(380)을 거쳐 상기 콘센트(200)의 일측으로 접속하는 메인스위치(370); 상기 콘센트(200)와 상기 메인스위치(370) 사이에 형성되어 LED(311) 또는 벨(312)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스위치(310); 상기 밧데리(360)의 (-)전원을 배선(380)을 거쳐 상기 콘센트(200) 타측에 연결된 테스트 포인트(350)로 접속하는 점검 리드선(340); 상기 밧데리(360)와 상기 점검 리드선(340) 사이에 형성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배선(380)을 연결하도록 하는 수동/자동 선택스위치(3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수동/자동 선택스위치(320)가 자동으로 선택될 경우, 상기 배선(380)을 상기 점검 리드선(340)에 바로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동/자동 선택스위치(320)가 수동으로 선택될 경우, 상기 배선(380)을 수동 점검 스위치(330)를 거쳐 상기 점검 리드선(340)에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콘센트(200)에 전기 장비의 프러그를 접속하고 상기 메인스위치(370)를 온시키면, 상기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접지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310)에 선택된 LED(311) 또는 벨(312)이 작동하고, 상기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310)에 선택된 LED(311) 또는 벨(312)이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콘센트(200)에 전기 장비의 프러그를 접속하고 상기 메인스위치(370)를 온시킨다.
이때, 상기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접지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310)에 선택에 따라 LED(311) 또는 벨(312)중 어느 하나를 거쳐 상기 밧데리(360)의 (+)전원이 배선(380)을 거쳐 상기 콘센트(200)의 일측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콘센트(200) 타측의 테스트 포인트(350)에는 점검 리드선(340)이 접속되고, 상기 밧데리(360)의 (-)전원이 배선(380)을 거쳐 상기 콘센트(200) 타측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수동/자동 선택스위치(320)의 선택에 따라 상기 배선(380)이 수동 점검 스위치(330)를 거쳐 상기 점검 리드선(340)에 연결되거나 수동 점검 스위치(330)를 거치지 않고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접지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310)에 선택된 LED(311) 또는 벨(312)이 작동한다.
한편, 상기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310)에 선택에 따라 LED(311) 또는 벨(312)중 어느 하나를 거쳐 상기 밧데리(360)의 (+)전원이 배선(380)을 거쳐 상기 콘센트(200)의 일측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콘센트(200) 타측의 테스트 포인트(350)에는 점검 리드선(340)이 접속되고, 상기 밧데리(360)의 (-)전원이 배선(380)을 거쳐 상기 콘센트(200) 타측에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310)에 선택된 LED(311) 또는 벨(312)이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에 의하면, 전동공구 등 전기 장비를 사용할 때 접지상태를 유무를 확실히 판단할 수 있도록 하여 누전 등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포괄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권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케이스 200 : 콘센트
300 : 접지 유무 확인수단 310 : 선택스위치
311 : LED 312 : 벨
320 : 수동/자동 선택스위치 330 : 수동 점검 스위치
340 : 점검 리드선 350 : 테스트 포인트
360 : 밧데리 370 : 메인스위치
380 : 배선

Claims (2)

  1. 휴대하거나 멜빵 등으로 어깨에 걸쳐 지니고 다닐 수 있도록 형성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어느 한측으로 전기 장비의 프러그를 접속하도록 구비하는 콘센트와, 상기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그의 접지 유무를 확인하는 접지 유무 확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접지 유무 확인수단은,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하는 밧데리;
    상기 밧데리의 (+)전원을 배선을 거쳐 상기 콘센트의 일측으로 접속하는 메인스위치;
    상기 콘센트와 상기 메인스위치 사이에 형성되어 LED 또는 벨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스위치;
    상기 밧데리의 (-)전원을 배선을 거쳐 상기 콘센트 타측에 연결된 테스트 포인트로 접속하는 점검 리드선;
    상기 밧데리와 상기 점검 리드선 사이에 형성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상기 배선을 연결하도록 하는 수동/자동 선택스위치를 구비하되,
    상기 수동/자동 선택스위치가 자동으로 선택될 경우, 상기 배선을 상기 점검 리드선에 바로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수동/자동 선택스위치가 수동으로 선택될 경우, 상기 배선을 수동 점검 스위치를 거쳐 상기 점검 리드선에 연결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콘센트에 전기 장비의 프러그를 접속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스위치를 온시킬때, 상기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접지된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에 선택된 상기 LED 또는 벨이 작동하고,
    상기 플러그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선택스위치에 선택된 상기 LED 또는 벨이 작동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
  2. 삭제
KR1020200125274A 2020-09-25 2020-09-25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 KR102428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274A KR102428993B1 (ko) 2020-09-25 2020-09-25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274A KR102428993B1 (ko) 2020-09-25 2020-09-25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87A KR20220041687A (ko) 2022-04-01
KR102428993B1 true KR102428993B1 (ko) 2022-08-03

Family

ID=8118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274A KR102428993B1 (ko) 2020-09-25 2020-09-25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99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053Y1 (ko) * 2005-06-09 2005-09-16 김영순 휴대용 전기 테스터
KR101834437B1 (ko) * 2015-12-02 2018-04-13 최승현 접지 확인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1979A (en) 1996-08-09 1998-09-22 Hubbell Incorporated Protective grounding jumper cable te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053Y1 (ko) * 2005-06-09 2005-09-16 김영순 휴대용 전기 테스터
KR101834437B1 (ko) * 2015-12-02 2018-04-13 최승현 접지 확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687A (ko) 2022-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26354A (en) Polarity-reversing adapter means
US2858507A (en) Electric testing device
US6323652B1 (en) Electrical testing device
US20100317222A1 (en) Electrical power extension cord having continuous electrical current and ground monitor
EP3332393A1 (de) Zwischenstecker zur diebstahlsicherung und elektrisches edgerät
US4575588A (en) Universal telephone test apparatus
CA3010341C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continuity
US2747154A (en) Concrete tool immobilizing circuit
CN106353645B (zh) 一种开关插座绝缘耐压检测装置及耐压测试方法
KR102428993B1 (ko)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
US3878458A (en) Electrical safety test apparatus for detecting leakage current tripping current and proper grounding
US3368146A (en) Electrical safety tester having a plurality of switches for setting up tests
US3723863A (en) Portable ground continuity tester
KR102070650B1 (ko) 테스트 플러그용 단락점검장치
US9470730B2 (en) Self-monitoring power supply cord and operating equipment
DE202004008334U1 (de) BGVAZ-Steckdosenleiste
JP2021021689A (ja) テストターミナル
JPH09304469A (ja) 耐電圧試験用治具
US10436854B2 (en) Power supply arrangement
DE10013864A1 (de) Anschlussstecker, Steckdose und korrespondierendes Steckverbindungssystem
KR102085221B1 (ko) 접지 단선 감지 및 접지 임피던스 자동매칭장치
US20180113154A1 (en) Electrical Measurement Assembly Suitable for Portable Work Platforms
KR200490358Y1 (ko) 휴대용 소방전기 회로테스트기
JPH0677409U (ja) Pt試験用端子の電圧有無表示装置
KR200322664Y1 (ko) 배전반용 램프 온오프 테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