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826B1 - 천장시스템 - Google Patents

천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826B1
KR102428826B1 KR1020190145152A KR20190145152A KR102428826B1 KR 102428826 B1 KR102428826 B1 KR 102428826B1 KR 1020190145152 A KR1020190145152 A KR 1020190145152A KR 20190145152 A KR20190145152 A KR 20190145152A KR 102428826 B1 KR102428826 B1 KR 102428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ceiling structure
fixing part
fix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8115A (ko
Inventor
김갑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45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8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7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being discontinuous and abutting against the other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6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the members lying in different 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천장구조물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천장구조물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천장구조물인 메인티바의 제1 상부헤더 하단을 거치하여 지지하는 상부고정수단; 상기 메인티바의 제1 하부립의 상면과 접하게 배치되는 하부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고정수단과 상기 하부고정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티바의 제1 웨브바와 체결되는 연결웨브수단;을 구비하는 천장연결철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장시스템{CEILING SYSTEM}
본 발명은 천장연결철물 및, 천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국내에서 내진천장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면서 특급 내진성능을 요하는 건물의 경우 천장 규모가 일정크기 이상인 경우에는 의무적으로 브레이스 저항형 내진천장을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지진 발생 시 천장재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천장에 브레이스를 설치하는 경우 브레이스가 저항하여 천장재가 탈락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여야 한다.
천장 마감재가 부착된 티바는 캐링채널(5)과 긴결되는데 지진 발생 시 티바가 캐링채널(5)과 분리되면서 천장 마감재가 탈락하는 사례가 가장 많이 발생한다.
따라서 지진 발생 시 티바가 캐링채널(5)로부터 탈락하여 천장재가 낙하하면 재실자에게 치명적인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공공체육관이나 강당과 같이 특급 내진을 요하는 대규모 천장을 가지고 있는 건물은 지진 발생 시 대피소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천장재의 내진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브레이스 저항형 내진천장을 설치하여야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티바를 사용하는 천장시스템의 경우 메인티바(1)와 크로스티바(3)를 서로 직각방향으로 아래 그림과 같이 연결하여 설치한다.
크로스티바(3)의 단부(4)를 메인티바(1)의 측면에 설치한 구멍에 맞추어 끼워 넣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이 경우 지진 발생 시 메인티바(1)와 크로스티바(3)가 강하지 고정되지 않으므로 크로스티바(3)가 메인티바(1)로부터 분리되어 궁극적으로 천장재가 탈락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캐링채널(5)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캐링채널(5) 위에 마이너채널(7)을 설치하며, 마이너채널(7)은 캐링채널(5)에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두 채널은 연결철물(9)로 고정한다.
그러나, 이렇게 마이너채널(7)을 설치하는 경우 면내방향의 강성이 약하여 상대변위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연결철물(9)이 캐리채널에서 빠지면서 패널이 낙하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10-1387345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천장구조물의 접합성능을 향상시켜 천장구조물의 낙하로 인한 재실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천장연결철물 및, 천장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천장구조물; 상기 제1 천장구조물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1 천장구조물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천장구조물; 상기 제1 천장구조물과 상기 제2 천장구조물을 접합하고, 상기 제1 천장구조물과 상기 제2 천장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천장연결철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천장구조물; 제3 천장구조물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천장구조물과 교차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천장구조물; 및, 상기 제3 천장구조물과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을 접합하는 제2 천장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천장연결철물은, 제1 천장구조물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천장구조물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천장구조물인 메인티바의 제1 상부헤더 하단을 거치하여 지지하는 상부고정수단; 상기 메인티바의 제1 하부립의 상면과 접하게 배치되는 하부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고정수단과 상기 하부고정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티바의 제1 웨브바와 체결되는 연결웨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천장연결철물은, 제3 천장구조물을 고정하는 제3 고정부; 상기 제3 고정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4 천장구조물이 상기 제3 천장구조물에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는 제4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3 천장구조물의 종방향 측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4 고정부는,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이 삽입되도록 상부와 대향되는 횡방향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3 천장구조물은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은, 상기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 각변 중앙부분에 길이방향 단부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3 천장구조물과 체결되면서 사각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제3 고정부는, 상기 제3 천장구조물인 캐링채널의 종방향 측면과 접합되는 판형부재인 측면접합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4 고정부는,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인 마이너채널이 삽입되도록 상기 마이너채널이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부와 횡방향이 개방된 'ㄷ'자형의 채널삽입편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삽입편은, 상기 캐링채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너채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마름모 형상의 하부지지판; 및, 상기 하부지지판의 대향되는 제1 단부에서 상측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판;을 구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설치영역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1 천장구조물은 길이방향 단부부분에 인접한 2개의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이 이격하여 상기 천장연결철물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설치영역의 단부영역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2 천장구조물은 길이방향 중앙부분에 인접한 2개의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이 이격하여 상기 천장연결철물을 매개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천장구조물의 접합성능을 향상시켜 천장조물 등의 낙하로 인한 재실자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메인티바와 크로스티바를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캐링채널과 마이너채널의 연결방법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천장연결철물이 제1 천장구조물과 제2 천장구조물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천장연결철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천장구조물과 제4 천장구조물의 연결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천장연결철물이 제3 천장구조물과 제4 천장구조물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천장연결철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연결철물(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연결철물(10)은 제1 고정부(100), 제2 고정부(20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삽입공간(3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천장연결철물(10)은, 제1 천장구조물(20)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100)와, 상기 제1 고정부(10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천장구조물(30)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100)는, 상기 제1 천장구조물(20)인 메인티바(20)의 제1 상부헤더(21) 하단을 거치하여 지지하는 상부고정수단(110)과, 상기 메인티바(20)의 제1 하부립(25)의 상면과 접하게 배치되는 하부고정수단(130) 및, 상기 상부고정수단(110)과 상기 하부고정수단(130)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티바(20)의 제1 웨브바(23)와 체결되는 연결웨브수단(15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천장연결철물(10) 중 제1 천장연결철물(10-1)은 제1 천장구조물(20)과 상기 제2 천장구조물(30)을 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천장구조물(20)은 메인티바(20)로 구성되고, 제2 천장구조물(30)은 크로스티바(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천장구조물(20)은 메인티바(20)로 구성되고, 제2 천장구조물(30)은 크로스티바(30)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제1 천장구조물(20)과 제2 천장구조물(30)은 메인티바(20)와 크로스티바(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부(100)는 제1 천장구조물(20)인 메인티바(20)를 고정하고, 제2 고정부(200)는 제2 천장구조물(30)인 크로스티바(3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티바(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상부헤더(21), 제1 웨브바(23), 제1 하부립(2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티바(20)는 제1 상부헤더(21), 제1 상부헤더(2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 웨브바(23), 제1 웨브바(23)의 하단에서 양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하부립(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헤더(21)는 사각형 형상의 폐단면으로 구성되고, 제1 상부헤더(21)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내입 형성된 'V' 자형의 한 쌍의 내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크로스티바(3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상부헤더(31), 제2 웨브바(33), 제2 하부립(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크로스티바(30)는 제2 상부헤더(31), 제2 상부헤더(31)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 웨브바(33), 제2 웨브바(33)의 하단에서 양측면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하부립(35)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티바(20)는 크로스티바(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고, 크로스티바(30)는 메인티바(20)의 높이범위 이내에 설치될 수 있다.
크로스티바(30)는 높이방향으로 메인티바(20)의 제1 상부헤더(21)와 제1 하부립(25)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하부립(35)의 단부영역은 제1 하부립(25)의 상부에 거치될 수 있고, 제2 웨브바(33)의 단부는 제1 웨브바(23)의 측면에 접하게 배치되며, 제2 상부헤더(31)의 단부는 제1 상부헤더(21) 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배치되면서 제1 웨브바(23)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상부헤더(31)는 사각형 형상의 폐단면으로 구성되고, 제2 상부헤더(31)의 하측에는 상측으로 내입 형성된 'V' 자형의 한 쌍의 내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100)는 본 발명의 천장연결철물(10)에 설치되는 제1 천장구조물(2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1 고정부(100)는, 제1 천장구조물(20)인 메인티바(20)의 제1 상부헤더(21) 하단을 거치하여 지지하는 상부고정수단(110)과, 상기 메인티바(20)의 제1 하부립(25)의 상면과 접하게 배치되는 하부고정수단(130) 및, 상기 상부고정수단(110)과 상기 하부고정수단(130)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티바(20)의 제1 웨브바(23)와 체결되는 연결웨브수단(15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고정수단(110)은 연결웨브수단(150)의 상단에서 형성되어, 제1 천장구조물(20)인 메인티바(20)의 제1 상부헤더(21) 하단을 거치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부고정수단(110)은, 제1 상부헤더(21)의 하측에 형성된 'V' 자형의 내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상부헤더(21)를 거치할 수 있다.
상부고정수단(110)은, 연결웨브수단(15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하부고정수단(130)은 연결웨브수단(15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연결웨브수단(150)의 길이방향 적어도 일부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고정수단(130)은, 상기 제1 고정부(100)의 연결웨브수단(150)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수평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하부립(25)의 상면과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웨브수단(150)은 상부고정수단(110)와 하부고정수단(130)의 사이에 설치되고,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연결웨브수단(150)에는 메인티바(20)의 설치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형태의 가변체결홀(H1) 및, 상기 가변체결홀(H1)과 함께 상기 메인티바(20)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체결홀(H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티바(20)의 설치위치가 확정시까지 가변체결홀(H1)에 볼트부재 등의 체결부재를 설치하여 가고정하고, 메인티바(20)의 설치위치가 확정될 경우, 고정체결홀(H2)에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제1 고정부(100)의 연결웨브수단(150)과, 메인티바(20)의 제1 웨브바(23)를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티바(20)와 크로스티바(30) 등의 천장구조물 간에 더이상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본고정할 수 있다.
각각의 연결웨브수단(150)의 상단은 상부고정수단(110)과 연결되고, 하단은 하부고정수단(130)과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연결웨브수단(150)의 상단은 상부고정수단(110)과 예각을 이루면서 교차되고, 연결웨브수단(150)의 하단은 하부고정수단(130)과 수직을 이루며 교차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2 고정부(200)는 본 발명의 천장연결철물(10)에 설치되는 제2 천장구조물(3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
제2 고정부(200)는 제1 고정부(10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00)는 제2 천장구조물(30)인 크로스티바(30)의 제2 웨브바(33)에 접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 고정부(200)와 제2 웨브바(33)는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00)에는 가변체결홀(H1)과, 고정체결홀(H2)을 가질 수 있고, 위에서 제1 고정부(100)와 메인티바(20)의 고정시에 설명한 바와 동일한 방식이 적용되면서 가고정 및, 본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제1 고정부(100)는 제2 고정부(200)와 별도로 제작되고,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는 일체로 형성된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는 하나의 금속판을 설정된 형상으로 재단한 후, 재단된 금속판을 다단으로 절곡하여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먼저, 하나의 금속판을 설정된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가 포함된 전개된 형상으로 금속판으로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절단된 금속판은 다단으로 접철시키면서 설정된 형상의 천장연결철물(10)로 만들 수 있다
제1 고정부(100)와 제2 고정부(200)는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된 단일의 부품을 구성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천장연결철물(10)의 제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고정수단(110)은, 상기 연결웨브수단(15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상부헤더(21)의 하측에 형성된 'V' 자형의 내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제1 상부헤더(21)를 거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부고정수단(130)은, 상기 연결웨브수단(150)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 하부립(25)의 상면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하부고정플랜지는 연결웨브수단(150)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천장연결철물(10) 중 제1 천장연결철물(10-1)은 하부고정수단(130)과 상기 제2 고정부(200)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천장구조물(30)인 크로스티바(30)의 제2 하부립(35)의 단부가 배치되는 삽입공간(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100) 및 상기 제2 고정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천장구조물의 설치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장공형태의 가변체결홀(H1) 및, 상기 가변체결홀(H1)과 함께 천장구조물을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체결홀(H2)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고정부(100)에 가변체결홀(H1)과 고정체결홀(H2)이 함께 형성되고, 제2 고정부(200)에 가변체결홀(H1)과 고정체결홀(H2)이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100)에 형성된 가변체결홀(H1)에 체결부재가 가고정되면서 천장연결철물(10)이 제1 천장구조물(20)의 길이방향으로 가고정될 수 있다.
제2 고정부(200)에 형성된 가변체결홀(H1)에 체결부재가 가고정되면서 천장연결철물(10)이 제2 천장구조물(30)의 길이방향 단부에 가고정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고정부(100)에만 가변체결홀(H1)과 고정체결홀(H2)이 함께 형성되거나, 제2 고정부(200)에만 가변체결홀(H1)과 고정체결홀(H2)이 함께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고정부(100)와 상기 제2 고정부(200)는 금속판을 설정된 형상으로 재단한 후, 다단으로 절곡하여 상기 제1 고정부(100)와 상기 제2 고정부(20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천장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시스템은 제1 천장구조물(20), 제2 천장구조물(30) 및, 천장연결철물(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천장시스템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천장구조물(20)과, 상기 제1 천장구조물(20)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1 천장구조물(2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천장구조물(30) 및, 상기 제1 천장구조물(20)과 상기 제2 천장구조물(30)을 접합하는 천장연결철물(10)을 포함하고, 상기 천장연결철물(10)은 상기 제1 천장구조물(20)과 상기 제2 천장구조물(3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대각선 “‡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천장연결철물(10) 중 제1 천장연결철물(10-1)은 제1 천장구조물(20)과 상기 제2 천장구조물(30)을 접합할 수 있다.
제1 천장연결철물(10-1)은 제1 천장구조물(20)과 제2 천장구조물(30)의 교차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천장구조물(20)과 제2 천장구조물(30)은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천장구조물(20)의 양측면에 각각 제2 천장구조물(30)이 배치되고, 제1 천장구조물(20)과 제2 천장구조물(30)의 사이는 천장연결철물(1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천장연결철물(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연결철물(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연결철물(10)은 제3 고정부(500), 제4 고정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천장연결철물(10)은 제3 천장구조물(50)을 고정하는 제3 고정부(500)와, 상기 제3 고정부(50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이 상기 제3 천장구조물(50)에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는 제4 고정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고정부(500)는 상기 제3 천장구조물(50)의 종방향 측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4 고정부(600)는,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이 삽입되도록 상부와 대향되는 횡방향면이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장연결철물(10) 중 제2 천장연결철물(10-2)은 제3 천장구조물(50)과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을 접합할 수 있다.
일례로, 제3 천장구조물(50)은 캐링채널(50)로 구성되고, 제4 천장구조물(60)은 마이너채널(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천장구조물(50)은 캐링채널(50)로 구성되고, 제4 천장구조물(60)은 마이너채널(60)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제3 천장구조물(50)과 제4 천장구조물(60)은 캐링채널(50)과 마이너채널(6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캐링채널(5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ㄷ'자형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마이너채널(6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ㄷ'자형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캐링채널(50)은 'ㄷ'자형의 종단면의 개방된 부분이 측면으로 배치되고, 마이너채널(60)은 'ㄷ'자형의 종단면의 개방된 부분이 상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고정부(500)는 제3 천장구조물(50)인 캐링채널(50)의 종방향 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제3 고정부(500)와 캐링채널(50)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거나,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제3 고정부(500)는 캐링채널(50)의 종방향으로 배치된 측면과 접합되는 판형부재인 측면접합판(501)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4 천장구조물(60)은 제3 천장구조물(50)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3 천장구조물(50)과 교차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제4 천장구조물(60)은 제3 천장구조물(50)과 40 ~ 50도 범위의 각도를 가지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제4 천장구조물(60)은 제3 천장구조물(50)과 45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4 고정부(600)는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인 마이너채널(60)의 저면을 지지한 상태에서 체결부재 등을 매개로 마이너채널(60)과 접합될 수 있다.
제4 고정부(600)는 제4 천장구조물(60)이 삽입되도록 상부와 횡방향이 개방될 수 있다.
제4 고정부(600)는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인 마이너채널(60)을 상기 캐링채널(50)과 대각선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4 고정부(600)와 제4 천장구조물(60)인 마이너채널(60)은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고정되거나,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고정부(500)는 상기 제3 천장구조물(50)인 캐링채널(50)의 종방향 측면과 접합되는 판형부재인 측면접합판(501)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4 고정부(600)는,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인 마이너채널(60)이 삽입되도록 상기 마이너채널(60)이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부와 횡방향이 개방된 'ㄷ'자형의 채널삽입편(601)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채널삽입편(601)은, 캐링채널(50)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너채널(60)의 하부를 지지하는 마름모 형상의 하부지지판(610) 및, 상기 하부지지판(610)의 대향되는 제1 단부에서 상측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판(630)을 구비할 수 있다.
마이너채널(60)은 채널삽입편(601)에 상부를 통해 삽입되어, 캐링채널(50)과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하부지지판(610)의 대향되는 2개의 제1 단부는 캐링채널(50)의 길이방향과 40 ~ 50도의 범위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어, 채널삽입편(601)의 설치되는 마이너채널(60)은 캐링채널(50)의 길이방향과 40 ~ 50도의 범위의 각도를 가지면서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부지지판(610)의 대향되는 2개의 제2 단부는 개방되어 있어 마이너채널(60)이 하부지지판(610)에 거치된 상태에서 하부지지판(610)의 대향되는 2개의 제2 단부의 상측을 통과하여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지지판(610)은 마이너채널(60)의 폭방향 양측면을 지지하면서, 마이너채널(60)이 캐링채널(50)과 대각선방향으로 교차되게 설치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채널삽입편(601)은 마이너채널(60)이 상부를 통해 삽입되고, 마이너채널(60)이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부와 횡방향인 제2 단부 방향이 개방된 'ㄷ'자형의 종단면을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천장시스템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장시스템은 제3 천장구조물(50), 제4 천장구조물(60) 및, 천장연결철물(1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천장시스템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천장구조물(50)과, 제3 천장구조물(5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천장구조물(50)과 교차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천장구조물(60) 및, 상기 제3 천장구조물(50)과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을 접합하는 접합하는 천장연결철물(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장연결철물(10)에는 제3 천장구조물(50) 및, 제4 천장구조물(60)이 고정될 수 있다.
제4 천장구조물(60)이 제3 천장구조물(50)에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됨으로써, 천장시스템의 면내강성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제3 천장구조물(50)은 캐링채널(50)로 구성되고, 제4 천장구조물(60)은 마이너채널(60)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천장구조물(50)은 캐링채널(50)로 구성되고, 제4 천장구조물(60)은 마이너채널(60)로 구성되는 실시예를 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제3 천장구조물(50)과 제4 천장구조물(60)은 캐링채널(50)과 마이너채널(6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 고정부(500)는 제3 천장구조물(50)인 캐링채널(50)을 고정하고, 제4 고정부(600)는 제4 천장구조물(60)인 마이너채널(60)를 고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천장구조물(50)은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S1)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은, 상기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S1) 각변 중앙부분에 길이방향 단부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3 천장구조물(50)과 체결되면서 사각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천장구조물(50)은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S1)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폭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4 천장구조물(60)은 설치영역(S1)에 내접하는 사각형 형상의 내접설치영역(S2)에 설치될 수 있고, 제4 천장구조물(60)은 내접한 사각형의 각변에 대응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설치영역(S1)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접설치영역(S2)은 사각형 형상의 꼭지점이 설치영역(S1)의 사각형의 각변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내접한 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설치영역(S1)은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접설치영역(S2)은 설치영역(S1)의 내부에 형성되고, 내접설치영역(S2)의 꼭지점이 설치영역(S1)의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천장구조물(60)은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S1)의 인접한 2개의 변의 중앙부분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고, 4개의 제4 천장구조물(60)이 설치되면서 사각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4개의 제4 천장구조물(60)은 설치영역(S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제4 천장구조물(60)의 단부의 일부가 설치영역(S1)을 미세하게 벗어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설치영역(S1)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1 천장구조물(50-1)은 길이방향 단부부분에 인접한 2개의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이 이격하여 상기 천장연결철물(10)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설치영역(S1)의 단부영역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2 천장구조물(50-2)은 길이방향 중앙부분에 인접한 2개의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이 이격하여 상기 천장연결철물(10)을 매개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S1)의 중앙에 배치되는 제3-1 천장구조물(50-1)은 길이방향 단부영역에서 인접한 2개의 제4 천장구조물(60)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2개의 제4 천장구조물(60)의 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제3-1 천장구조물(50-1)의 단부영역에 별도의 천장연결철물(10)을 매개로 각각 접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S1)의 단부에 배치되는 제3-2 천장구조물(50-2)은 길이방향 중앙영역에서 인접한 2개의 제4 천장구조물(60)의 단부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때, 2개의 제4 천장구조물(60)의 단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제3-2 천장구조물(50-2)의 중앙영역에 별도의 천장연결철물(10)을 매개로 각각 접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천장연결철물(10)과, 천장시스템 등이 적용된 천장구조체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천장구조체는 제1 천장구조물(20), 제2 천장구조물(30), 제1 천장연결철물(10-1), 제3 천장구조물(50), 제4 천장구조물(60), 제2 천장연결철물(10-2)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천장구조체는 달대볼트(K), 행어(J), 가새(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천장구조체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천장구조물(20)과, 상기 제1 천장구조물(20)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1 천장구조물(20)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천장구조물(30)과, 제1 천장구조물(20)과 상기 제2 천장구조물(30)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대각선 “‡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천장구조물(20)과 상기 제2 천장구조물(30)을 접합하는 제1 천장연결철물(10-1)과, 상기 제1 천장구조물(20)의 상측에 고정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천장구조물(50)과, 제3 천장구조물(50)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천장구조물(50)과 교차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4 천장구조물(60) 및, 상기 제3 천장구조물(50)과 상기 제4 천장구조물(60)을 접합하는 제2 천장연결철물(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천장구조물(20)과 연결되는 제2 천장구조물(30)은 제1 천장연결철물(10-1)을 매개로 연결되고, 제3 천장구조물(50)과 연결되는 제4 천장구조물(60)은 제2 천장연결철물(10-2)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천장구조물(20)과 제3 천장구조물(50)은 제3 천장연결철물(10-3)을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장시스템에서 제1 천장구조물(20)은 메인티바(20)로 구성되고, 제2 천장구조물(30)은 크로스티바(30)로 구성되고, 제3 천장구조물(50)은 캐링채널(50)로 구성되고, 제4 천장구조물(60)은 마이너채널(6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천장구조물(20)과 제2 천장구조물(30)이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격자형으로 설치되고, 제3 천장구조물(50)이 제1 천장구조물(20)과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설치되며, 제4 천장구조물(60)이 제3 천장구조물(50)과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복수 개의 천장구조물이 수직하게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면서 연결되어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하중에 대하여 천장구조체가 충분한 면내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달대볼트(K)는 일측단부는 천장슬래브(미도시)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에는 행어(J)가 설치되어 행어(J)에 제3 천장구조물(50)인 캐링채널(50)이 설치될 수 있다.
가새(L)는 일측단부는 천장슬래브(미도시)에 고정되고, 타측단부는 별도의 연결철물을 매개로 제3 천장구조물(50)인 캐링채널(50)이 고정될 수 있다.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가새(L)는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S1)의 각 변의 중앙부분에서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천장슬래브(미도시)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천장구조체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제1 천장구조물(20), 제2 천장구조물(30), 제1 천장연결철물(10-1), 제3 천장구조물(50), 제4 천장구조물(60), 제2 천장연결철물(10-2)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천장구조체에서 활용되는 제1 천장구조물(20), 제2 천장구조물(30), 제1 천장연결철물(10-1), 제3 천장구조물(50), 제4 천장구조물(60), 제2 천장연결철물(10-2)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메인티바 3: 크로스티바
4: 단부 5: 캐링채널
7: 마이너채널 9: 연결철물
10: 천장연결철물 10-1: 제1 천장연결철물
10-2: 제2 천장연결철물 10-3: 제3 천장연결철물
20: 제1 천장구조물, 메인티바
21: 제1 상부헤더 23: 제1 웨브바
25: 제1 하부립
30: 제2 천장구조물, 크로스티바
31: 제2 상부헤더 33: 제2 웨브바
35: 제2 하부립
50: 제3 천장구조물, 캐링채널
50-1: 제3-1 천장구조물 50-2: 제3-2 천장구조물
60: 제4 천장구조물, 마이너채널
100: 제1 고정부 110: 상부고정수단
130: 하부고정수단 150: 연결웨브수단
200: 제2 고정부 300: 삽입공간
500: 제3 고정부 501: 측면접합판
600: 제4 고정부 601: 채널삽입편
610: 하부지지판 630: 측면지지판
H1: 가변체결홀 H2: 고정체결홀
K: 달대볼트 J: 행어
L: 가새 S1: 설치영역
S2: 내접설치영역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천장구조물;
    상기 제1 천장구조물과 교차되도록 상기 제1 천장구조물의 양측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천장구조물;
    상기 제1 천장구조물과 상기 제2 천장구조물을 접합하고, 상기 제1 천장구조물과 상기 제2 천장구조물을 사이에 두고 한 쌍이 대각선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제1 천장연결철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3 천장구조물;
    제3 천장구조물의 상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 천장구조물과 교차되도록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4 천장구조물; 및,
    상기 제3 천장구조물과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을 접합하는 제2 천장연결철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천장연결철물은,
    제1 천장구조물을 고정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천장구조물을 고정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는,
    상기 제1 천장구조물인 메인티바의 제1 상부헤더 하단을 거치하여 지지하는 상부고정수단;
    상기 메인티바의 제1 하부립의 상면과 접하게 배치되는 하부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고정수단과 상기 하부고정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메인티바의 제1 웨브바와 체결되는 연결웨브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천장연결철물은,
    제3 천장구조물을 고정하는 제3 고정부;
    상기 제3 고정부의 상측에 설치되고, 제4 천장구조물이 상기 제3 천장구조물에 대각선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는 제4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3 천장구조물의 종방향 측면에 접합되고,
    상기 제4 고정부는,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이 삽입되도록 상부와 대향되는 횡방향면이 개방되고,
    상기 제3 천장구조물은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은,
    상기 사각형 형상의 설치영역 각변 중앙부분에 길이방향 단부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3 천장구조물과 체결되면서 사각형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부는,
    상기 제3 천장구조물인 캐링채널의 종방향 측면과 접합되는 판형부재인 측면접합판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4 고정부는,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인 마이너채널이 삽입되도록 상기 마이너채널이 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상부와 횡방향이 개방된 'ㄷ'자형의 채널삽입편으로 구비되는 천장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삽입편은,
    상기 캐링채널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마이너채널의 하부를 지지하는 마름모 형상의 하부지지판; 및,
    상기 하부지지판의 대향되는 제1 단부에서 상측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지지판;을 구비하는 천장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영역의 중앙영역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1 천장구조물은 길이방향 단부부분에 인접한 2개의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이 이격하여 상기 천장연결철물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고,
    상기 설치영역의 단부영역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2 천장구조물은 길이방향 중앙부분에 인접한 2개의 상기 제4 천장구조물이 이격하여 상기 천장연결철물을 매개로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시스템.
KR1020190145152A 2019-11-13 2019-11-13 천장시스템 KR102428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152A KR102428826B1 (ko) 2019-11-13 2019-11-13 천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152A KR102428826B1 (ko) 2019-11-13 2019-11-13 천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115A KR20210058115A (ko) 2021-05-24
KR102428826B1 true KR102428826B1 (ko) 2022-08-02

Family

ID=76152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152A KR102428826B1 (ko) 2019-11-13 2019-11-13 천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8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0117A (ja)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能重製作所 下地材固定金具
US20170226736A1 (en) * 2014-08-19 2017-08-10 Usg Interiors, Llc Free span ceiling grid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6977Y2 (ja) * 1988-09-27 1995-08-23 株式会社エービーシー商会 交叉部材の結合部の構造
JPH0752810Y2 (ja) * 1991-05-23 1995-12-06 俊博 池田 クロスクリップ
KR101387345B1 (ko) 2014-01-28 2014-04-21 현대금속산업(주) 니들펀칭형 방염 섬유 및 단백질계 친환경 접착제를 이용한 천장 판넬 및 역 v자 형상 클립을 이용한 천정 판넬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0117A (ja) 2014-03-27 2015-11-02 株式会社能重製作所 下地材固定金具
US20170226736A1 (en) * 2014-08-19 2017-08-10 Usg Interiors, Llc Free span ceiling gri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115A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0494B1 (ko) 코어벽체의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US8112959B2 (en) Device connecting concrete slabs at an expansion joint
KR102200232B1 (ko) 천장연결철물
KR102428826B1 (ko) 천장시스템
KR102010187B1 (ko) 이중바닥구조물의 안전결속장치
JP2007100358A (ja) 吊天井の補強金具
JP6807657B2 (ja) 柱梁接合部と梁との連結構造
KR20210006265A (ko) 천장판 설치용 크립바 시스템
KR102321309B1 (ko) 천장연결철물
KR102585839B1 (ko) 모듈형 천장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2440778B1 (ko) 천장시스템
JP3246186U (ja) フェンス
JP3802167B2 (ja) 木造軸組の接合構造及び木造軸組用の接合金具
KR102098540B1 (ko) 클립바 고정구 제조방법
JP6886788B2 (ja) 耐震天井構造
KR102632075B1 (ko) 고정볼트를 이용한 벽체 마감시스템
CN217027502U (zh) 一种预制外墙的挂装点结构
JP7458246B2 (ja) フェンス及びこのフェンスに用いる継手
JPH078685Y2 (ja) 天井パネル用下地材の結合構造
KR20240078698A (ko) 고정클립장치를 이용한 벽체 마감시스템
JP2951900B2 (ja) 床支持構造
JP2001207693A (ja) フェンス
JP3513670B2 (ja) 建築パネル接続用フアスナー
JPS6224646Y2 (ko)
JP2828877B2 (ja) 補強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