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654B1 - 자동 트리밍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트리밍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654B1
KR102428654B1 KR1020220000213A KR20220000213A KR102428654B1 KR 102428654 B1 KR102428654 B1 KR 102428654B1 KR 1020220000213 A KR1020220000213 A KR 1020220000213A KR 20220000213 A KR20220000213 A KR 20220000213A KR 102428654 B1 KR102428654 B1 KR 102428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ting
support plate
cast product
gripper module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0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춘
Original Assignee
이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춘 filed Critical 이상춘
Priority to KR1020220000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84Manipulating or transferring devices for evacuating cast 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015Means for forcing the molten metal into the die
    • B22D17/2038Heating, cooling or lubricating the injection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31/00Cutting-off surplus material, e.g. gates; Cleaning and working on cas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트리밍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자동 트리밍시스템은 다이캐스팅 금형부에서 주조된 다이캐스팅 주물이 그립퍼모듈에 의해 받침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 사이로 투입되어 그립퍼모듈의 꺽임운동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트리밍공정의 전체 사이클타임 단축됨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다양한 품종의 주조제품을 범용으로 트리밍할 수 있도록 그립퍼모듈(100), 받침플레이트(200), 가동플레이트(300), 컨베이어부(40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 트리밍시스템{automatic trimm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 트리밍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캐스팅 금형부에서 주조된 다이캐스팅 주물이 그립퍼모듈에 의해 받침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 사이로 투입되어 그립퍼모듈의 꺽임운동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트리밍공정의 전체 사이클타임 단축됨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다양한 품종의 주조제품을 범용으로 트리밍할 수 있는 자동 트리밍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리밍 장치는 주조기에서 주조된 제품의 게이트 부위(제품 주조를 위해 금형에 액상 물질을 주입한 부위)를 절단하고, 절단 후에 남는 스크랩(scrab) 등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예컨데, 트리밍장치는 상부금형이 장착되는 상판, 하부금형이 장착되는 하판, 상판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부금형에는 하부금형에 안치된 주조 제품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펀치가 다수로 형성된다.
그리고, 부품을 분리한 후, 추출하기 위해 하판이 자체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이때 하판이 회전시 상판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방향으로 위치이동되도록 설계되므로, 상판과 하판 사이의 거리가 기본 스트로크 보다 길어지면서 트리밍 공정의 사이클 타임이 지연되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공개특허 10-2011-0042643호에서,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장착되고, 하부금형이 장착되는 지그; 상기 상부프레임에 하부에 장착되고, 상부금형이 장착되는 상판; 상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상판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상기 하부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지그를 회전시켜 주조 제품의 트리밍 후 하부금형에 잔존하는 스크랩을 자유낙하시키는 회전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지그의 상부면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고 축공이 구비되어 있는 회전축 결합부재와, 상기 두 회전축 결합부재에 각각 축설되어 결합되는 회전축부재와,상기 회전축부재를 회전시켜 지그를 회전시키는 기어부재와, 상기 기어부재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재와, 전후진이 되면 상기 지그의 회전 전후에 각각 지그의 하부면과 상부면을 지지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지그판의 회전반경을 최소화하고 완전한 반전회전(180도 회전)이 가능한 기술이 선 공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주조 제품의 게이트 부위를 트리밍 금형을 이용하여 절단(trimming)하고, 절단된 제품과 절단 후 금형에 남은 스크랩을 제거하려는 것이나, 스크랩을 제거하기 위해 지그판이 180° 반전회전되어야 하므로 사이클 타임이 여전히 지연되고, 제품 로딩, 언로딩 공정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다이캐스팅 전체 공정의 자동화를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따랐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다이캐스팅 금형부에서 주조된 다이캐스팅 주물이 그립퍼모듈에 의해 받침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 사이로 투입되어 그립퍼모듈의 꺽임운동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트리밍공정의 전체 사이클타임 단축됨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다양한 품종의 주조제품을 범용으로 트리밍할 수 있는 자동 트리밍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이캐스팅 금형부(M)에서 주조된 주물(C)의 런너성형물(C1)을 클램핑하고, 로봇팔(110)의 관절모듈(120)에 의해 각도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그립퍼모듈(100);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클림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의 주조제품(A)을 저면에서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받침플레이트(200); 상기 받침플레이트(200)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구동부(310)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송되어, 받침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주조제품(A)을 상부에서 가압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가동플레이트(300);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200)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클림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의 주조제품(A)이 받침플레이트(200)와 가동플레이트(300) 사이에 가압 고정되고, 상기 그립퍼모듈(100)이 선회운동되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그립퍼모듈(100)에 클램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 측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5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퍼모듈(100)은, 실린더 작동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선회운동되면서 클램핑/언클램핑 작동되는 한 쌍의 그립퍼(130)와, 그립퍼(130) 단부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런너성형물(C1)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V'형 홈(14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조(140)를 포함하고, 상기 'V'형 홈(142)은 그립퍼(130)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V'형 홈(142)에 수용되는 런너성형물(C1)은 그립퍼(130)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클램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는 구동부에 의해 횡축(210)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의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된 후, 상기 받침플레이트(200)의 선회작동에 의해 주조제품(A)이 컨베이어부(400) 측으로 하향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와 가동플레이트(300)는 트리밍존(Z)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받침플레이트(200)는 구동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회운동이 제어되며, 한 쌍의 가동플레이트(300)는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리프트바(310)에 연결되어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되고, 상기 트리밍존(Z)으로 주물(C)이 투입되어 어느 일측 받침플레이트(20)와 가동플레이트(300) 사이에 주조제품(A)이 가압 고정된 상태로 그립퍼모듈(100)이 선회운동되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고, 이후 그립퍼모듈(100)에 의해 주물(C)이 이동되어 다른 일측 받침플레이트(200)와 가동플레이트(300) 사이에 주조제품(A)이 가압 고정된 상태로 그립퍼모듈(100)이 선회운동되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는, 주조제품(A)이 안착되는 받침영역(220)과, 받침영역(220)과 이격되어 주조제품(A)에 연결 성형되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이 위치되는 트리밍홀(230)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밍홀(230)과 대응하는 가동플레이트(300) 저면에 설치되어 오버플로우성형물(C2)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밀편(330)이 구비되며,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클림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에 연결된 주조제품(A)이 받침플레이트(20)와 가동플레이트(30) 사이에 가압 고정되는 시점에 오버플로우성형물(C2)이 밀편(330)에 의해 가압되면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어 트리밍홀(23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리밍홀(230) 하부에 경사각으로 설치되고, 일측으로 토출단부(242)가 형성되는 경사호퍼(240)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호퍼(240)는 트리밍홀(230)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을 수거하여 토출단부(242)를 통하여 일측으로 포집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주조제품(A)과 오버플로우성형물(C2)은 하부로 낙하되어 컨베이어부(400)를 타고 이송되고, 상기 토출단부(242)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은 컨베이어부(400) 사이드영역으로 낙하되어 주조제품(A)과 분리된 영역에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는 주조제품(A)을 가압 고정하기 위해 가동플레이트(300) 측으로 이송시 축핀(600)과 축홀(610)에 의해 가동플레이트(300)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그립퍼모듈(100)의 선회운동에 의해 주조제품(A)이 트리밍된 후, 런너성형물(C1)은 로봇팔(110)에 의해 의해 이동되어 리턴컨베이어부(400')을 타고 다이캐스팅 금형부(M)의 용탕(M1)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턴컨베이어부(400')는 출구측 단부가 용탕(M1)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리턴컨베이어부(400')는 레일(410)을 타고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탕(M1)을 교체시, 리턴컨베이어부(400')가 레일(410)을 타고 용탕(M1) 영역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이캐스팅 금형부에서 주조된 다이캐스팅 주물이 그립퍼모듈에 의해 받침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 사이로 투입되어 그립퍼모듈의 꺽임운동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트리밍공정의 전체 사이클타임 단축됨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다양한 품종의 주조제품을 범용으로 트리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받침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을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오버플로운성형물을 트리밍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축핀과 축홀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경사호퍼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리턴컨베이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받침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을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오버플로운성형물을 트리밍하는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축핀과 축홀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경사호퍼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트리밍시스템의 리턴컨베이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자동 트리밍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때 자동 트리밍시스템은 다이캐스팅 금형부에서 주조된 다이캐스팅 주물이 그립퍼모듈에 의해 받침플레이트와 가동플레이트 사이로 투입되어 그립퍼모듈의 꺽임운동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트리밍공정의 전체 사이클타임 단축됨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다양한 품종의 주조제품을 범용으로 트리밍할 수 있도록 그립퍼모듈(100), 받침플레이트(200), 가동플레이트(300), 컨베이어부(40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립퍼모듈(100)은 다이캐스팅 금형부(M)에서 주조된 주물(C)의 런너성형물(C1)을 클램핑하고, 로봇팔(110)의 관절모듈(120)에 의해 각도조절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봇팔(110)은 다이캐스팅 금형부(M)와 후술하는 받침플레이트(200)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관절모듈(12)에 의해 주물(C)을 이송 및 꺽임운동에 의해 주조제품(A)을 트리밍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로봇팔(110)은 그립퍼모듈(100)에 의해 주물(C)의 런너성형물(C1)을 클램핑하도록 구비되는바, 여기서 런너성형물(C1)은 다이캐스팅 금형부(M)의 런너에서 경화된 주물 부분으로서, 런너성형물(C1)은 다이캐스팅 금형부(M)의 게이트에서 경화된 주물을 통하여 주조제품(A)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퍼모듈(100)은, 실린더 작동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선회운동되면서 클램핑/언클램핑 작동되는 한 쌍의 그립퍼(130)와, 그립퍼(130) 단부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런너성형물(C1)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V'형 홈(14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조(1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V'형 홈(142)은 그립퍼(130)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V'형 홈(142)에 수용되는 런너성형물(C1)은 그립퍼(130)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클램핑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그립퍼(130)가 다이캐스팅 금형부(M)의 형개 금형 사이에 협소한 공급으로 진입하여 런너성형물(C1)을 효과적으로 클램핑가능하고, 이후 후술하는 트리밍존(Z)으로 주물(C)을 이송하여 트리밍가공시 가동플레이트(300)에 간섭없이 꺽임작동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받침플레이트(200)는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클림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의 주조제품(A)을 저면에서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받침플레이트(200)는 후술하는 가동플레이트(300)와 함께 주조제품(A)을 클램핑하는 구성으로서, 받침플레이트(200) 상면에 주조제품(A) 저면을 긴밀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그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받침플레이트(200)는 구동부에 의해 횡축(210)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의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된 후, 도 2처럼 상기 받침플레이트(200)의 선회작동에 의해 어느 일측으로 하향 경사각으로 기울어지면, 상면에 안착된 주조제품(A)이 컨베이어부(400) 측으로 하향 배출되고, 이로 인해 연속 트리밍 작업이 가능하여 공정 자동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플레이트(200)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그립퍼모듈(100)에 클램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 측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500)이 구비된다.
상기 노즐(500)을 통하여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 주물(C)이 급랭 됨에 따라 그립퍼모듈(100)의 꺽임운동에 의해 주조제품(A)이 트리밍되는 중에 주조제품(A)의 변형이 방지됨과 더불어 주조제품(A)과 런너성형물(C1)이 연결되는 경계부가 정확하게 분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동플레이트(300)는 상기 받침플레이트(200)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구동부(310)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송되어, 받침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주조제품(A)을 상부에서 가압 고정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동플레이트(300)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구동부(31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위치이동되면서 받침플레이트(200) 상면에 안착된 주조제품(A)을 클램핑/언클램핑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동플레이트(300) 저면에 주조제품(A) 상면을 긴밀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그가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에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클림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의 주조제품(A)이 받침플레이트(200)와 가동플레이트(300) 사이에 가압 고정되고, 상기 그립퍼모듈(100)이 선회운동되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비된다.
도 5 내지 도 6에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는, 주조제품(A)이 안착되는 받침영역(220)과, 받침영역(220)과 이격되어 주조제품(A)에 연결 성형되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이 위치되는 트리밍홀(2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트리밍홀(230)과 대응하는 가동플레이트(300) 저면에 설치되어 오버플로우성형물(C2)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밀편(330)이 구비된다.
이에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클림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에 연결된 주조제품(A)이 받침플레이트(20)와 가동플레이트(30) 사이에 가압 고정되는 시점에 오버플로우성형물(C2)이 밀편(330)에 의해 가압되면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어 트리밍홀(230)을 통하여 배출되고, 이후 그립퍼모듈(100)의 꺽임운동에 의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 상에서 트리밍된다. 여기서 런너성형물(C1)은 게이트 및 스프루 내에서 경화된 성형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리밍홀(230) 하부에 경사각으로 설치되고, 일측으로 토출단부(242)가 형성되는 경사호퍼(2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경사호퍼(240)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받침플레이트(200)에 장착되거나, 도 9처럼 받침플레이트(200) 하부영역에 대응하도록 지지프라켓에 의해 컨베이어부(400) 상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 경사호퍼(240)는 트리밍홀(230)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을 수거하여 토출단부(242)를 통하여 일측으로 포집 배출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주조제품(A)과 오버플로우성형물(C2)은 하부로 낙하되어 컨베이어부(400)를 타고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단부(242)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은 컨베이어부(400) 사이드영역으로 낙하되어 주조제품(A)과 분리된 영역에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바, 즉, 토출단부(242)는 주조제품(A)이 배출되는 영역 외측에 배치되도록 구비되어, 단일의 컨베이어(400) 상에서 주조제품(A)과 오버플로우성형물(C2)이 낙하되는 영역이 구분되어 자동 분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주조제품(A)과 오버플로우성형물(C2)이 낙하되는 영역이 구분되는 경계 위치에 경사각으로 가이드판을 설치하여, 주조제품(A) 또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을 어느 일측으로 분류 이송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와 가동플레이트(300)는 트리밍존(Z)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받침플레이트(200)는 구동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회운동이 제어되며, 한 쌍의 가동플레이트(300)는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리프트바(310)에 연결되어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된다.
이에 도 7 (a) 내지 (b)처럼 상기 트리밍존(Z)으로 주물(C)이 투입되어 어느 일측 받침플레이트(20)와 가동플레이트(300) 사이에 주조제품(A)이 가압 고정된 상태로 도 7 (c)와 같이 그립퍼모듈(100)이 선회운동되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고, 이후 도 7 (d)처럼 그립퍼모듈(100)에 의해 주물(C)이 이동되어 다른 일측 받침플레이트(200)와 가동플레이트(300) 사이에 주조제품(A)이 가압 고정된 상태로 도 7 (e)와 같이 그립퍼모듈(100)이 선회운동되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부(400)에 따른 상기 받침플레이트(200)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컨베이어부(400)는 구동부에 의해 궤도운동되는 컨베이어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모듈(100)의 꺽임운동에 의해 트리밍되어 하향 배출되는 주조제품(A) 및 오버플로우성형물(C2)을 수거하여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다이캐스팅 금형부(M)에서 성형된 다이캐스팅 주물(C)이 그립퍼모듈(100)에 의해 이송되어 받침플레이트(200)와 가동플레이트(300) 사이에 클램핑된 상태로 그립퍼모듈(100)의 꺽임운동에 의해 트리밍되고, 트리밍된 주조제품(A)은 컨베이어부(400)를 타고 자동 배출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트리밍공정의 전체 사이클타임 단축됨과 더불어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다양한 품종의 주조제품(A)을 트리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는 주조제품(A)을 가압 고정하기 위해 가동플레이트(300) 측으로 이송시 축핀(600)과 축홀(610)에 의해 가동플레이트(300)와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도 8에서, 상기 축핀(600)이 받침플레이트(200)에 설치되고, 축핀(600)과 대응하는 가동플레이트(300) 상에 축홀(610)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축핀(600)과 축홀(610)의 위치를 변경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축핀(600)은 가동플레이트(300)가 최대 개방 위치(예컨대, 받침플레이트(200)와 최대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 축홀(610)과 분리되도록 길이가 설정된다.
이에 상기 가동플레이트(300)가 주조제품(A)을 클램핑하기 위해 받침플레이트(200) 측으로 이송되는 중에 소정의 위치에서부터 축핀(600)과 축홀(610)에 의해 받침플레이트(200)와 맞물려 일체성을 유지하고, 이로 인해 그립퍼모듈(100)의 꺽임하중이 작용하는 중에 받침플레이트(200)의 유동이 방지되어 트리밍 효율이 향상된다. 즉, 상기 받침플레이트(200)가 횡축(210)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더라도 트리밍 중 꺽임하중에 대한 내구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그립퍼모듈(100)의 꺽임작동에 의해 주조제품(A)이 트리밍 된 후 그립퍼모듈(100)에 잔류하는 런너성형물(C1) 및 경사호퍼(240)를 타고 분리 이송되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은 별도의 리턴컨베이어부(400')에 의해 용탕으로 이송되는 순환 구조를 가진다.
도 10에서, 상기 그립퍼모듈(100)의 선회운동에 의해 주조제품(A)이 트리밍된 후, 런너성형물(C1)은 로봇팔(110)에 의해 의해 이동되어 리턴컨베이어부(400')을 타고 다이캐스팅 금형부(M)의 용탕(M1)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리턴컨베이어부(400')의 입구측 영역은 로봇팔(110) 작동 반경 내에 배치되는 바, 즉, 받침플레이트(200) 및 가동플레이트(300)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출구측 단부는 용탕(M1) 측으로 연장되어, 런너성형물(C1) 및 오버플로우성형물(C2)를 용탕(M1)으로 자동 투입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오버플로우성형물(C2)은 컨베이어부(400)를 타고 이송되는 중에 경사판에 의해 이동 방향이 전환되어 리턴컨베이어부(400') 측으로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리턴컨베이어부(400')는 출구측 단부가 용탕(M1)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리턴컨베이어부(400')는 레일(410)을 타고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에 상기 용탕(M1)을 교체시, 도 10 (b)처럼 리턴컨베이어부(400')가 레일(410)을 타고 용탕(M1) 영역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리턴컨베이어부(400')에 간섭없이 용탕(M1) 교체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리턴컨베이어부(400') 입구측 단부에 설치되어 안전을 위해 작업자 이동을 차단하는 안전휀스(F)는 바닥에 설치되는 받침조인트(J)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어, 리턴컨베이어부(400')을 위치이동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100: 그립퍼모듈 200: 받침플레이트
300: 가동플레이트 400: 컨베이어부

Claims (10)

  1. 다이캐스팅 금형부(M)에서 주조된 주물(C)의 런너성형물(C1)을 클램핑하고, 로봇팔(110)의 관절모듈(120)에 의해 각도조절되도록 구비되는 그립퍼모듈(100);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클림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의 주조제품(A)을 저면에서 받침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받침플레이트(200);
    상기 받침플레이트(200) 상부에 이격 배치되고, 구동부(310)에 의해 종방향으로 이송되어, 받침플레이트(200)에 안착된 주조제품(A)을 상부에서 가압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가동플레이트(300);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200)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클림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의 주조제품(A)이 받침플레이트(200)와 가동플레이트(300) 사이에 가압 고정되고, 상기 그립퍼모듈(100)이 선회운동되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200)는, 주조제품(A)이 안착되는 받침영역(220)과, 받침영역(220)과 이격되어 주조제품(A)에 연결 성형되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이 위치되는 트리밍홀(230)을 포함하고, 상기 트리밍홀(230)과 대응하는 가동플레이트(300) 저면에 설치되어 오버플로우성형물(C2)을 상부에서 가압하는 밀편(330)이 구비되며,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클림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에 연결된 주조제품(A)이 받침플레이트(20)와 가동플레이트(30) 사이에 가압 고정되는 시점에 오버플로우성형물(C2)이 밀편(330)에 의해 가압되면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어 트리밍홀(230)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트리밍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와 인접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그립퍼모듈(100)에 클램핑되어 이송되는 주물(C) 측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5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트리밍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모듈(100)은,
    실린더 작동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선회운동되면서 클램핑/언클램핑 작동되는 한 쌍의 그립퍼(130)와,
    그립퍼(130) 단부에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런너성형물(C1) 외주면을 수용하도록 'V'형 홈(142)이 형성되는 한 쌍의 조(140)를 포함하고,
    상기 'V'형 홈(142)은 그립퍼(130)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V'형 홈(142)에 수용되는 런너성형물(C1)은 그립퍼(130)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클램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트리밍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는 구동부에 의해 횡축(210)을 중심으로 선회운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그립퍼모듈(100)에 의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된 후, 상기 받침플레이트(200)의 선회작동에 의해 주조제품(A)이 컨베이어부(400) 측으로 하향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트리밍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와 가동플레이트(300)는 트리밍존(Z)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 쌍이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받침플레이트(200)는 구동부에 의해 독립적으로 선회운동이 제어되며, 한 쌍의 가동플레이트(300)는 구동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리프트바(310)에 연결되어 동시에 상하방향으로 직선이동되고,
    상기 트리밍존(Z)으로 주물(C)이 투입되어 어느 일측 받침플레이트(20)와 가동플레이트(300) 사이에 주조제품(A)이 가압 고정된 상태로 그립퍼모듈(100)이 선회운동되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고, 이후 그립퍼모듈(100)에 의해 주물(C)이 이동되어 다른 일측 받침플레이트(200)와 가동플레이트(300) 사이에 주조제품(A)이 가압 고정된 상태로 그립퍼모듈(100)이 선회운동되면 주조제품(A)이 런너성형물(C1)과 꺽임작용에 의해 트리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트리밍시스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홀(230) 하부에 경사각으로 설치되고, 일측으로 토출단부(242)가 형성되는 경사호퍼(240)가 구비되고,
    상기 경사호퍼(240)는 트리밍홀(230)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을 수거하여 토출단부(242)를 통하여 일측으로 포집 배출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주조제품(A)과 오버플로우성형물(C2)은 하부로 낙하되어 컨베이어부(400)를 타고 이송되고,
    상기 토출단부(242)를 통하여 배출되는 오버플로우성형물(C2)은 컨베이어부(400) 사이드영역으로 낙하되어 주조제품(A)과 분리된 영역에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트리밍시스템.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플레이트(200)는 주조제품(A)을 가압 고정하기 위해 가동플레이트(300) 측으로 이송시 축핀(600)과 축홀(610)에 의해 가동플레이트(300)와 맞물리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트리밍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모듈(100)의 선회운동에 의해 주조제품(A)이 트리밍된 후, 런너성형물(C1)은 로봇팔(110)에 의해 의해 이동되어 리턴컨베이어부(400')을 타고 다이캐스팅 금형부(M)의 용탕(M1)으로 이송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트리밍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리턴컨베이어부(400')는 출구측 단부가 용탕(M1)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리턴컨베이어부(400')는 레일(410)을 타고 위치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탕(M1)을 교체시, 리턴컨베이어부(400')가 레일(410)을 타고 용탕(M1) 영역 외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트리밍시스템.
KR1020220000213A 2022-01-03 2022-01-03 자동 트리밍시스템 KR102428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213A KR102428654B1 (ko) 2022-01-03 2022-01-03 자동 트리밍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0213A KR102428654B1 (ko) 2022-01-03 2022-01-03 자동 트리밍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654B1 true KR102428654B1 (ko) 2022-08-02

Family

ID=8284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213A KR102428654B1 (ko) 2022-01-03 2022-01-03 자동 트리밍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6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1267A (zh) * 2022-08-19 2022-11-18 重庆市铜梁区渝良铸造有限公司 一种精密铸造组树的分割装置
KR102584358B1 (ko) 2023-05-08 2023-10-04 금오캐스트 주식회사 복합 트리밍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123A (ja) * 1996-05-09 1997-11-18 Noritake Co Ltd 湯道等除去装置
KR20090100137A (ko) * 2008-03-19 2009-09-23 주식회사 이성엔지니어링 다이캐스트 주조물용 트리밍장치
KR20120045588A (ko) * 2010-10-29 2012-05-09 (주) 유원컴텍 다이캐스팅 주조물의 자동 절단 분리 장치 및 자동 절단 분리 방법
KR20190020215A (ko) * 2017-08-17 2019-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캐스팅용 로봇 암
KR102231616B1 (ko) * 2020-09-11 2021-03-23 임병용 에어해머 타발기가 구비된 다이캐스팅 주조품 가공장비 및 이를 이용한 다이캐스팅 주조품 가공방법
JP7090419B2 (ja) * 2017-12-14 2022-06-24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泡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5123A (ja) * 1996-05-09 1997-11-18 Noritake Co Ltd 湯道等除去装置
KR20090100137A (ko) * 2008-03-19 2009-09-23 주식회사 이성엔지니어링 다이캐스트 주조물용 트리밍장치
KR20120045588A (ko) * 2010-10-29 2012-05-09 (주) 유원컴텍 다이캐스팅 주조물의 자동 절단 분리 장치 및 자동 절단 분리 방법
KR20190020215A (ko) * 2017-08-17 2019-02-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이캐스팅용 로봇 암
JP7090419B2 (ja) * 2017-12-14 2022-06-24 株式会社モリタホールディングス 泡供給装置
KR102231616B1 (ko) * 2020-09-11 2021-03-23 임병용 에어해머 타발기가 구비된 다이캐스팅 주조품 가공장비 및 이를 이용한 다이캐스팅 주조품 가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51267A (zh) * 2022-08-19 2022-11-18 重庆市铜梁区渝良铸造有限公司 一种精密铸造组树的分割装置
CN115351267B (zh) * 2022-08-19 2023-06-23 重庆市铜梁区渝良铸造有限公司 一种精密铸造组树的分割装置
KR102584358B1 (ko) 2023-05-08 2023-10-04 금오캐스트 주식회사 복합 트리밍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654B1 (ko) 자동 트리밍시스템
RU2760427C1 (ru) Пресс для литейной машины и литейная машина
EP2735421B1 (en) Apparatus for removing resin molded product and method for removing resin molded product
CN115837580A (zh) 一种工具自动上料组装设备
CN213410298U (zh) 自动浇铸设备及其浇铸装置
KR20160145445A (ko) 탈형 데크의 간격재 자동 조립 장치
JPH06142996A (ja) タンデムプレスラインの金型交換・成形方法および設備
CN210548037U (zh) 新型定向切割铸件注浇口设备
CN209886589U (zh) 热锻自动化上下料机械手
JPS6061222A (ja) 射出成形装置
CN209919292U (zh) 铰链腰盖自卸脚组件自动组装机
CN216992367U (zh) 一种浇筑模具的自动合模机
CN112024858A (zh) 自动浇铸设备
CN217997326U (zh) 一种玻璃模具成初模激光熔覆自动生产线
KR19980074067A (ko) 반도체팩키지의 리드성형용 프레스장치
CN211803782U (zh) 铸件产品全自动卸料设备
CN113211603A (zh) 一种浇筑模具的自动合模机
JP3765887B2 (ja) 金型分離装置
CN220970741U (zh) 一种副车架冒口机器人切割装置
CN117718464B (zh) 一种精密铸造的铸件浇口切割装置
CN219274419U (zh) 一种合金件自动化去水口加工及收料摆盘设备
CN218836034U (zh) 一种合金件分拣自动化去水口机构
CN216267264U (zh) 一种注塑自动化下料装置
JPS6227890B2 (ko)
CN220297734U (zh) 一种流水线自动剪水口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