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509B1 -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509B1
KR102428509B1 KR1020210101059A KR20210101059A KR102428509B1 KR 102428509 B1 KR102428509 B1 KR 102428509B1 KR 1020210101059 A KR1020210101059 A KR 1020210101059A KR 20210101059 A KR20210101059 A KR 20210101059A KR 102428509 B1 KR102428509 B1 KR 102428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rovider
parking area
inform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익
Original Assignee
박재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익 filed Critical 박재익
Priority to KR102021010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5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5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here the indication depends on the parking are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주차 구역의 부정 주차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의해 제어되는 제공자 장치; 사용자의 주차 구역의 부정 주차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구역의 주차 구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공자 장치로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주차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System for checking of parking area}
본 발명은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소유하는 사람들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주차공간은 부족하다.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지역을 방문하는 외부 차량은 주거지역 내의 생활도로인 이면도로에 주차를 하거나, 주차전용 건물의 유료 주차장과 같은 여러 유료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마다 주차장 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상기유료 주차장의 공간도 부족할 수 있다. 특히, 시간대에 따라 주차장의 수요의 차이에 의해 주차장의 공간이 부족할 수 있다.
이러한 주차 공간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상술한 바와 같이 이면도로에 주차하는 등 불법주차로 이어짐으로써 교통혼잡 및 교통사고 위험의 증가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유료 주차장은 주차관리원이 직접 주차 차량에 주차권을 발행하고 수납하도록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주차를 원하는 차량은 주차를 위해 유료 주차장을 찾아 간다고 해도, 주차장에 주차 가능 공간이 없을 경우 다른 주차 가능한 공간을 찾아 계속해서 이동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자체의 유휴 부지를 이용하여 지역 주민에게 제공되는 지정 주차 구역은 지정 주차 구역을 제공받지 않은 주민에게 불법 주차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지정 주차 구역을 제공받은 지역 주민의 주차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004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용하는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주차 구역 주변에서 물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를 통해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은 사용자의 주차 구역의 부정 주차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의해 제어되는 제공자 장치; 사용자의 주차 구역의 부정 주차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구역의 주차 구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공자 장치로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주차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공자 장치는 상기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부정 주차 여부의 확인 요청을 승인하는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승인이 입력되면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승인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부정 주차 여부의 확인에 따른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부정 주차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 신호 또는 주차 불가능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차 서버는 상기 주차 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가능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구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차량이 상기 주차 구역에 도착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도착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공자 장치는 상기 제공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공자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차 서버는 상기 주차 구역 정보 및 도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정 주차 여부의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제공자의 제공자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공자 장치로 상기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공자 장치는 상기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주차 가능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주차 불가능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공자 장치는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와 함께 부정 주차한 부정 주차자를 나타내는 부정 주차자 정보 및 부정 주차된 부정 주차 차량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차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차 서버는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구역을 운영하는 운영자의 운영자 장치 또는 운영자 서버로 부정 주차 신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은,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용하는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주차 구역 주변에서 물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를 통해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 포함된 주차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서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 포함된 제공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서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서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확인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 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 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 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 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 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 (또는 설정)된 제어부"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에서, “~장치” 및 “서버”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및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장치” 및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하드웨어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고, 실시 예에 따라 해당 하드웨어 장치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적 구성도 포괄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 및 “서버”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노트북 및 각 장치에서 구동되는 사용자 클라이언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 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컨텍스트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컨텍스트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 포함된 사용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 포함된 주차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서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 포함된 제공자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서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확인되지 않은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서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확인된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은 주차 서버(200)에 의해 운영되는 플랫폼에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가 가입되고, 제공자 장치(300)를 통해 제공자가 가입되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전용하는 주차 구역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주차 구역은 사유지에 위치하거나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주차 부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구역은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거자주 우선 주차 구역일 수 있다.
여기서, 제공자는 사용자의 주차 구역의 부정 주차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에 의해 운영되는 플랫폼에 가입될 수 있다. 또한, 제공자는 물류를 배송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물류 배송 플랫폼에 가입되어 해당 물류 배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자는 택배 서비스, 음식 배달 서비스, 퀵 서비스 및 자동차 탁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공자는 택배 서비스, 음식 배달 서비스, 퀵 서비스 및 자동차 탁송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주차 구역 주변에 경유하거나 주차 구역 주변에 도착할 예정인 사람일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주차 서버(200)로 주차 구역 정보를 송신하고, 주차 서버(200)는 주차 구역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별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구역 정보는 주차 구역의 위치를 나타내는 주차 구역 위치 정보, 주차 구역을 식별할 수 있는 주차 구역 식별 정보, 주차 구역을 전용하는 사용자를 나타내는 주차 구역 사용자 정보, 주차 구역을 운영하는 운영자를 나타내는 주차 구역 운영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구역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주차 구역 사용자 식별 정보, 사용자의 연락처를 나타내는 주차 구역 사용자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주차 구역 운영자 정보는 주차 구역을 운영하는 운영자를 식별할 수 있는 주차 구역 운영자 식별 정보, 운영자의 연락처를 나타내는 주차 구역 운영자 연락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운영자는 주차 구역이 위치한 주차장 부지의 소유자, 소유자에게 위탁을 받아 주차장을 운영하는 위탁자, 주차 구역이 위치한 국가 소유의 주차장 부지를 운영하는 지자체 기관 부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공자 장치(300)는 제공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제공자 식별 정보, 제공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공자 위치 정보, 제공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물류 배송 서비스의 물류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공자 물류지 위치 정보 및 제공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물류 배송 서비스의 물류지에 도착 시간을 나타내는 제공자 물류지 도착 시간 정보를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물류지는 제공자가 배송되는 물류를 수취하는 장소인 출발지 및 수취한 물류를 지급하는 장소인 도착지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서버(200)는 제공자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제공자별로 등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는 사용자가 전용하는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신호일 수 있다.
여기서, 부정 주차는 사용자에 의해 승인되지 않는 차량이 사용자가 전용하는 주차 구역에 주차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주차 구역으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여 주차 구역에 주차가 가능한지 여부 및 부정 주차가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 구역으로부터 먼 위치에 위치하고 있으나, 주차 구역으로 이동하거나 출발하여 주차 구역에 도착하여 주차 구역에 주차되려는 상황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와 함께 주차 구역 정보를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와 함께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 구역에 도착하는 시간 또는 주차 구역에 도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나타내는 도착 시간 정보를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100)는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와 함께 서비스 요청 여부 정보를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요청 여부 정보는 사용자가 전용하는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 외에, 1)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지 않으면 도착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도착 시간까지 주차 구역의 부정 주차를 차단하는 부정 주차 차단 서비스 및 2)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으면 부정 주차자에게 주차 구역에서 부정 주차 차량을 이동 요청하는 연락을 수행하는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를 사용자로부터 요청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주차 서버(200)는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구역의 주차 구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공자 장치(300)로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서버(200)는 주차 구역 정보, 도착 시간 정보, 제공자 위치 정보, 제공자 물류지 위치 정보 및 제공자 물류지 도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공자 장치(300) 중에서 부정 주차 여부의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제공자의 제공자 장치(300)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서버(200)는 주차 구역 정보에 포함된 주차 구역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주차 구역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제공자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제공자 위치가 포함되는 제공자의 제공자 장치(300)를 1차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주차 서버(200)는 주차 구역 정보에 포함된 주차 구역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주차 구역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 범위 내에 제공자 물류지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물류지 위치가 포함되는 제공자의 제공자 장치(300)를 2차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물류 배송 서비스를 현재 수행하고 있지 않는 제공자는 대응되는 제공자 물류지 위치 정보가 없을 수 있다.
이후, 주차 서버(200)는 2차로 선택된 제공자의 제공자 장치(300) 중에서 대응되는 제공자 물류지 도착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물류지 도착 시간이 도착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 도착 시간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확인 시간 전인 제공자의 제공자 장치(300)를 3차로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확인 시간은 제공자가 물류지에 도착한 후 주차 구역의 위치로 이동하는데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대응되는 시간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주차 서버(200)는 1차로 선택된 제공자 장치(300)와 3차로 선택된 제공자 장치(300)로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주차 서버(200)는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와 함께 주차 구역 정보 및 도착 시간 정보를 1차로 선택된 제공자 장치(300)와 3차로 선택된 제공자 장치(3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차 서버(200)는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와 함께 서비스 요청 여부 정보를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공자가 주차 구역 확인과 함께 수행 요청된 서비스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제공자 장치(300)는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주차 구역 정보 및 도착 시간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고, 부정 주차 여부의 확인 요청을 승인하는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승인을 입력받을 수 있는 UI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공자는 주차 구역 정보 및 도착 시간 정보를 확인하고, 제공자의 위치 및 현재 수행하고 있는 물류 배송 서비스를 고려하여 요청된 주차 구역 확인 요청에 대해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승인을 입력하거나 입력하지 않을 수 있다.
제공자 장치(300)는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승인이 입력되면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승인 신호를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주차 서버(300)는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승인 신호가 제공자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면,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한 다른 제공자 장치(300)로 부정 주차 여부의 확인 요청을 취소하는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취소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승인 신호를 송신한 제공자 장치(300)는 제공자로부터 부정 주차 여부의 확인에 따른 부정 주차 여부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공자 장치(300)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부정 주차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 신호 또는 주차 불가능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공자 장치(300)는 상기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주차 가능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공자 장치(300)는 상기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주차 불가능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주차 서버(200)는 상기 주차 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가능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치(100)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주차 서버(200)는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구역을 운영하는 운영자의 운영자 장치 또는 운영자 서버로 부정 주차 신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부정 주차 신고 신호를 송신함이란 주차 구역을 운영하는 운영자(운영기관)으로 부정 주차를 신고하는 전화 또는 문자 연락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차 서버(200)는 사용자로부터 부정 주차 신고를 대리하여 수행할 수 있는 권한을 위임하는 위임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공자 장치(300)는 상기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도착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도착 시간까지 주차 구역의 부정 주차를 차단하는 부정 주차 차단 서비스를 제공자가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부정 주차 차단 서비스 수행 여부 정보를 제공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제공자 장치(300)는 부정 주차 차단 서비스를 제공자가 수행함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차단 서비스 수행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주차 서버(200)로 부정 주차 차단 서비스 수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제공자 장치(300)는 도착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도착 시간까지 제공자 위치 정보와 주차 구역 위치 정보를 비교하고, 도착 시간 정보가 나타내는 사용자의 도착 시간까지 제공자 위치 정보와 주차 구역 위치 정보가 동일하면, 제공자가 부정 주차 차단 서비스의 수행을 완료 했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차단 서비스 수행 완료 신호를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제공자 장치(300)는 상기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부정 주차 정보를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부정 주차 정보는 부정 주차자 정보 및 부정 주차 차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공자 장치(300)는 상기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와 함께 부정 주차한 부정 주차자를 나타내는 부정 주차자 정보 및 부정 주차된 부정 주차 차량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차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입력받고, 입력된 부정 주차자 정보 및 부정 주차 차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부정 주차자 정보는 부정 주차자의 연락처를 나타내는 부정 주차자 연락처 정보, 부정 주차자를 식별할 수 있는 부정 주차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부정 주차 차량 정보는 부정 주차 차량의 차량 번호를 나타내는 부정 주차 차량 번호 정보 및 부정 주차 차량의 차량 종류를 나타내는 부정 주차 차량 종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부정 주차 정보는 텍스트 형식 및 이미지 형식 중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생성될 수 있다.
주차 서버(200)는 제공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부정 주차 정보를 사용자 장치(100)로 송신하고, 사용자 장치(100)는 부정 주차 정보를 이용하여 부정 주차를 주차 구역의 운영자에게 신고할 수 있다.
한편, 제공자 장치(300)는 상기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부정 주차자에게 주차 구역에서 부정 주차 차량을 이동 요청하는 연락을 수행하는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를 제공자가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 수행 여부 정보를 제공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제공자 장치(300)는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를 제공자가 수행함을 나타내는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 수행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주차 서버(200)로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 수행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후, 제공자 장치(300)는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를 제공자가 수행했음을 인증하는 이동 요청 연락 인증 정보를 입력받으면, 제공자가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의 수행을 완료 했음을 나타내는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 수행 완료 신호를 이동 요청 연락 인증 정보와 함께 주차 서버(200)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요청 연락 인증 정보는 부정 주차자 연락처 정보가 나타내는 연락처로 제공자 장치(300)를 통해 연락한 기록을 나타내는 연락 기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주차 서버(200)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를 수신한 제공자 장치(300)의 제공자에 확인 수수료 정보를 할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서버(200)는 주차 구역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제공자 위치 정보 또는 제공자 물류지 위치 정보 각각이 나타내는 위치까지의 확인 이동 거리에 기초하여 확인 수수료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확인 수수료 정보를 제공자에 할당할 수 있다.
주차 서버(200)는 확인 이동 거리에 확인 수수료율을 적용하여 확인 수수료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서버(200)는 확인 수수료율을 “1000원/km”로 설정하고, 확인 이동 거리가 “3Km”인 경우, 확인 이동 거리에 확인 수수료율을 곱하여 확인 수수료 정보를 “3000원”으로 산출할 수 있다.
즉, 주차 서버(200)는 확인 수수료 정보를 산출하여 부정 주차 여부를 확인한 제공자에게 확인 수수료 정보에 대응하는 확인 수수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주차 서버(200)는 제공자가 속한 물류 배송 플랫폼의 배송 서버로부터 배송 수수료율 정보를 수신하고, 배송 수수료율 정보가 나타내는 배송 수수료율이 높을수록 확인 수수료율을 높혀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공자가 물류 배송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취할수 있는 배송 수수료에 상응하는 확인 수수료를 제공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주차 서버(200)는 부정 주차 차단 서비스 수행 완료 신호 및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 수행 완료 신호에 기초하여 산출된 확인 수수료 정보를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서버(200)는 산출된 확인 수수료 정보에 대응되는 제공자의 제공자 장치(300)로부터 부정 주차 차단 서비스 수행 완료 신호 및 이동 요청 연락 서비스 수행 완료 신호 중 하나 이상이 수신된 이력이 확인되는 경우, 산출된 확인 수수료 정보가 높아지도록 보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정 주차 여부 확인 뿐만 아니라, 부정 주차를 차단하는 서비스 또는 부정 주차자에게 차량 이동을 요청하는 서비스를 추가로 수행한 제공자에게 더 높은 확인 수수료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장치(100)는 상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110),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출력부(120),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터치스크린 모듈, 마이크 모듈,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입력부(130),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140) 및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프로세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5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프로세서(1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및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스마트폰일 수 있다.
주차 서버(200)는 상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210),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230) 및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프로세서(2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저장부(23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230)에는 프로세서(2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제공자 장치(300)는 상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310),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 및 스피커 모듈을 구비한 출력부(320),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입력받기 위해 터치스크린 모듈, 마이크 모듈,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 입력부(330), 데이터, 정보 및 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340) 및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프로세서(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공자 장치(300)는 제공자 위치 정보를 센싱하는 GPS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50)는 저장부(34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상술된 각 구성 요소의 작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장부(340)에는 프로세서(35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4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
제공자 장치(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톱 및 노트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스마트폰일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사용자 장치
200 : 주차 서버
300 : 제공자 장치

Claims (6)

  1. 사용자의 주차 구역의 부정 주차 여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에 의해 제어되는 제공자 장치;
    사용자의 주차 구역의 부정 주차 여부를 확인 요청하는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사용자 장치; 및
    상기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구역의 주차 구역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공자 장치로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는 주차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자 장치는
    상기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부정 주차 여부의 확인 요청을 승인하는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승인이 입력되면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승인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부정 주차 여부의 확인에 따른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부정 주차 여부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가능 신호 또는 주차 불가능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 서버는
    상기 주차 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가능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제1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와 함께 상기 주차 구역에 대한 주차 구역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차량이 상기 주차 구역에 도착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도착 시간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자 장치는
    상기 제공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공자 위치 정보, 상기 제공자가 현재 수행하고 있는 물류 배송 서비스의 물류지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공자 물류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공자가 상기 물류지에 도착하는 도착 시간을 나타내는 제공자 물류지 도착 시간 정보를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 서버는
    상기 주차 구역 정보, 및 상기 도착 시간 정보, 상기 제공자 위치 정보, 상기 제공자 물류지 위치 정보 및 상기 제공자 물류지 도착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부정 주차 여부의 확인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제공자의 제공자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제공자 장치로 상기 제2 주차 구역 확인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물류지는
    상기 제공자가 배송되는 물류를 수취하는 장소인 출발지 및 상기 수취한 물류를 지급하는 장소인 도착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자 장치는
    상기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지 않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주차 가능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주차 구역에 부정 주차가 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여부 정보가 입력되면 주차 불가능 신호를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자 장치는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와 함께 부정 주차한 부정 주차자를 나타내는 부정 주차자 정보 및 부정 주차된 부정 주차 차량을 나타내는 부정 주차 차량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주차 서버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서버는
    상기 주차 불가능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차 구역을 운영하는 운영자의 운영자 장치 또는 운영자 서버로 부정 주차 신고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KR1020210101059A 2021-07-31 2021-07-31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KR102428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059A KR102428509B1 (ko) 2021-07-31 2021-07-31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059A KR102428509B1 (ko) 2021-07-31 2021-07-31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509B1 true KR102428509B1 (ko) 2022-08-02

Family

ID=8284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059A KR102428509B1 (ko) 2021-07-31 2021-07-31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5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048B1 (ko) 2016-02-11 2017-03-07 주식회사 한국주차공유서비스 주차공간 유료 공유 시스템
KR102040061B1 (ko) * 2019-03-05 2019-11-05 주식회사 위파티 거주자우선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200052427A (ko) * 2018-10-26 2020-05-15 주식회사 에이텍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공유시스템
KR102187313B1 (ko) * 2020-03-27 2020-12-07 주식회사 플러스파크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KR20210080963A (ko) * 2019-12-23 2021-07-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민참여 기반 주차면 정보 수집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4111A (ko) * 2019-12-27 2021-07-07 김현호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048B1 (ko) 2016-02-11 2017-03-07 주식회사 한국주차공유서비스 주차공간 유료 공유 시스템
KR20200052427A (ko) * 2018-10-26 2020-05-15 주식회사 에이텍 거주자 우선 주차구역의 공유시스템
KR102040061B1 (ko) * 2019-03-05 2019-11-05 주식회사 위파티 거주자우선 주차장 관리 시스템
KR20210080963A (ko) * 2019-12-23 2021-07-0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시민참여 기반 주차면 정보 수집공유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4111A (ko) * 2019-12-27 2021-07-07 김현호 장애인 주차 구역 관리 시스템
KR102187313B1 (ko) * 2020-03-27 2020-12-07 주식회사 플러스파크 공유 주차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90211B2 (en) Electronic fence (E-Fence) control technology for dockless sharing vehicles
US11019552B2 (en) Wireless beacon devices for use in managing transportation service terminals
US8994560B2 (en) Managing parking space availability
KR101637294B1 (ko) 스마트 카와 스마트 홈 사이의 인증 방법, 및 스마트 카와 스마트 홈 사이의 인증을 위한 텔레매틱스 서비스 센터
US2014035085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avigational Assistance to Reserved Parking Locations
KR102121697B1 (ko)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9323993B2 (en) On-street parking management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fying a vehicle via a camera and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US11354619B2 (en) Vehicle dispatch device
TWI618430B (zh) 提供基於位置脫離的通知的系統、方法和電腦可讀記錄介質
JP2008269347A (ja) タクシー配車装置、タクシー端末装置、タクシー配車システム、タクシー配車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853942B2 (en) System and method of ridesharing pick-up and drop-off
KR20210040663A (ko)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10462605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shared journey
US202103267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assenger transportation on commercial vehicles
KR102428509B1 (ko) 주차 구역 확인 시스템
US11599963B2 (en) Pairing transport service users and drivers using animation
KR102001146B1 (ko)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1740A (ko) 사물 인터넷과 주차 제어기를 이용한 주차 공유 플랫폼 시스템
CN111383065A (zh) 车辆共享方法、车辆共享平台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984303B2 (en) Increased security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transactions
US11443561B2 (en) Vehicle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processing using vehicle device
US20210174330A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In-Vehicle Payment System, System Having the Same and Method Thereof
KR102220268B1 (ko) 교통사고 정보 송수신 장치, 교통사고 정보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KR102068143B1 (ko) 위치 기반 티켓 발권 장치 및 방법
KR102533854B1 (ko) 선승인 기반 택시 요금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