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0663A -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0663A
KR20210040663A KR1020190123208A KR20190123208A KR20210040663A KR 20210040663 A KR20210040663 A KR 20210040663A KR 1020190123208 A KR1020190123208 A KR 1020190123208A KR 20190123208 A KR20190123208 A KR 20190123208A KR 20210040663 A KR20210040663 A KR 20210040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wash
information
user
reserv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285B1 (ko
Inventor
문현구
Original Assignee
문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구 filed Critical 문현구
Priority to KR1020190123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2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0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0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 G06K2209/15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 실시예들은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세차장을 예약하고,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을 제공하며, 세차장 혼잡도에 따라 이용 요금을 탄력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AR WASH}
아래 실시예들은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세차장을 예약 확인, 예약 및 결제하고,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을 제공하며, 세차장 혼잡도에 따라 이용 요금을 탄력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포매틱스(Informatics)가 결합된 용어인 텔레매틱스(Telematics)는, 무선 통신, 자동차, 단말, 컨텐츠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관된 IT 산업과 자동차 산업의 결합을 통한 자동차용 차세대 정보 제공 서비스로 정의된다.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무선 통신 기술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술을 활용하여 교통 및 주행 정보, 응급 상황 대처 정보, 원격 차량 진단 서비스, 인터넷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운전자는 차량에 이물질에 의한 얼룩 등이 발생하면 세차를 하고자 세차장을 찾게 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운행하는 사람은 대부분 주유소에서 주유를 한 다음 주유소와 함께 운영되는 세차장에서 세차를 하거나, 별도의 전문 세차장에서 세차를 의뢰하거나 셀프 세차장에서 직접 세차를 한다.
그런데, 세차장 마다 세차 비용과 대기 시간 등이 상이하여, 운전자가 과다한 세차 비용을 지불하거나 예상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대기하여야 하고, 세차장 운영자는 세차장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텔레매틱스(Telematics) 활용하여, 운전자에게 편리한 세차장 예약 시스템과 합리적인 세차 비용을 제공하고, 세차장 운영자가 세차장 시설을 효율적으로 운영 및 관리할 수 있는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이 요구되어 왔다.
또한, 기존 카드사, 통신사, 주유소 등은 자동차 운전자를 대상으로 마케팅하기 위하여 세차 쿠폰 등을 제공하기 위한 시도는 있으나, 세차 쿠폰을 기존 세차장에 적용할 수 있는 IT 인프라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마케팅용 세차 쿠폰을 기존 세차장에 적용할 수 있는 IT 인프라 구축에 대한 니즈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 실시예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여 세차장을 예약 확인, 예약 및 결제하고,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을 제공하며, 세차장 혼잡도에 따라 이용 요금을 탄력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 측에 따른 세차장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예약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세차 베이 사용자의 잔여 세차 시간 및 대기자의 평균 세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세차장 예약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요금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제된 요금에 따라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세차장 운영 기기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세차장 관리 방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고,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동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다.
일 측에 따른 세차장 관리 방법은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 수행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세차장을 예약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세차장 관리 방법은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을 계산하는 동작; 상기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시간의 대기 인원 및 대기 시간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 대기 인원 또는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시간의 요금 및 서비스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세차장 관리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선정된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 동작을 더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세차장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세차 기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세차장 운영 기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약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세차 베이 사용자의 잔여 세차 시간 및 대기자의 평균 세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세차장 예약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요금 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결제된 요금에 따라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세차장 운영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세차장 관리 서버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른 세차장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세차장 관리 서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고,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른 세차장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세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세차장을 예약하도록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른 세차장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세차장 관리 서버는,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을 계산하고, 상기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시간의 대기 인원 및 대기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 대기 인원 또는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시간의 요금 및 서비스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 측에 따른 세차장 관리 시스템은 상기 세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 실시예들은 차량 번호판 인식만으로, 세차장 예약 확인, 예약 및 결제가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예약 및 결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들은 현재 세차장 사용자의 개인화 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세차장 대기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들은 세차장 사용자에게 맞춤형 광고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예들은 단위 시간 별로 탄력적인 이용 요금을 결정하여, 사용자를 분산시켜 세차장 이용률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운영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운영 기기 작동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예약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판 인식을 이용한 세차장 예약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예측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시간의 요금 결정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동작,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동작,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관리 시스템(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관리 시스템(10)은 세차장 관리 서버(100), 세차장 운영 기기(200), 사용자 단말(300) 및 데이터베이스(400)을 포함한다.
세차장 관리 시스템(10) 내에 포함된 다양한 개체들(entities) 간의 통신은 유/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표준 통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세차장 운영 및 관리를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세차장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요금 결제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요금 결제 요청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결제된 요금에 따라, 세차 기기를 작동시키도록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세차장 운영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에 세차장 예약 인터페이스를 전송하여, 사용자가 세차장을 예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세차장 예약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세차장 예약 요청 정보가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되면,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현재 세차 베이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과 대기자들의 개인화 정보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대기 시간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생성해서,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고,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조회하여 해당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 또는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정하여 해당 광고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에 대한 타겟팅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을 계산하여, 단위 시간의 요금 및 서비스 시간을 탄력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세차장 관리 서버(1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2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세차장 운영 기기(200)는 세차장 관리 서버(100)에서 전송된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차 기기 제어 정보에 따라 다수의 세차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세차 기기는 세차 베이(230)에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세차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들로, 일례로 고압수 기기, 거품솔 기기, 하체 세차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운영 기기(200)는 사용자가 베이 컨트롤러(240)를 통해 입력한 베이 결제 요청 정보에 따라, 세차장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운영 기기(200)는 사용자가 베이 컨트롤러(240)를 통해 입력한 베이 기기 제어 정보에 따라, 세차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세차장 운영 기기(2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3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300)은 세차장 관리 서버(100)에서 전송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세차장을 예약하거나 세차장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은 세차장 관리 서버(100)에서 전송된 대기 시간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일 실시예의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하 도 4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데이터베이스(400)는 세차장 관리 서버(100)에서 생성된 사용자 정보, 대기 시간 정보, 예약 정보, 단위 시간의 이용 요금 정보 및 단위 시간의 서비스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외에, 데이터베이스(400)는 세차장 운영 및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관리 서버(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제어부(110), 예약부(120), 결제부(130), 사용자 정보 생성부(140), 대기 시간 예측부(150), 이용료 산정부(160), 광고 제공부(170), 통신부(180) 및 카메라부(190)를 포함한다,
세차장 관리 서버(100) 내에 포함된 다양한 개체들(entities) 간의 통신은 유/무선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표준 통신 기술 및/또는 프로토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세차장 관리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약부(120)와 결제부(130)를 통합하거나, 대기 시간 예측부(150)와 이용료 산정부(160)를 통합하여 하드웨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차장 관리 서버(100)의 하드웨어 구성은 본 명세서의 기재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방법과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세차장 관리 서버(1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예약부(120), 결제부(130), 사용자 정보 생성부(140), 대기 시간 예측부(150), 이용료 산정부(160), 광고 제공부(170), 통신부(180) 및 카메라부(19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약부(120)는 사용자 단말(300)에 세차장 예약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세차장을 예약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세차장 예약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예약하려는 세차장 및 예약 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예약부(120)는 세차장 예약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예약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약 요청 정보에는 예약하려는 세차장 정보 및 예약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예약부(120)는 수신된 예약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을 진행한다. 예약이 완료되면, 예약부(120)는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예약 정보를 대기 시간 예측부(150)에서 생성된 대기 시간 정보와 함께,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예약 정보에는 예약된 세차장 정보(위치, 요금, 편의시설), 예약 시간 정보, 배정된 베이 정보, 결제 가능한 수단 정보(카드, 현금, 계좌이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예약부(120)는 카메라부(190)에서 생성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이용하여, 세차장 예약을 진행할 수 있다. 예약부(120)는 차량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예약부(120)는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을 진행하되, 차량 번호판을 촬영한 카메라 기기가 위치한 세차장 또는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에 해당하는 세차장에 대해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부(130)는 사용자 단말(300)에 이용 요금 결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세차장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용 요금 결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이용하려는 세차장의 이용 요금 정보 출력하고, 사용자가 이용 시간 및 세차 시간을 선택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제부(130)는 이용 요금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요금 결제 요청 정보에는 세차 시작 시간 정보, 세차 이용 시간 정보, 결제 금액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신용카드 정보 등)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제부(130)는 수신된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결제부(130)는 결제 수단 정보에 대한 외부 금융 회사와 데이터 통신하여, 세차장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세차장 이용 요금의 결제가 완료되면, 제어부(110)는 결제된 요금에 따라, 세차 기기를 작동시키도록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세차장 운영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세차 기기 제어 정보에는 세차 기기들의 작동 시작 시간, 작동 종료 시간, 사용자가 작동 가능한 세차 기기의 리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생성부(140)는 사용자 정보를 생성 및 업데이트 하여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이름, 나이, 주소, 차량 번호, 차종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해당 정보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에는 세차장 이용 주기, 평균 세차 시간, 선호 세차장 등과 같은 개인화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대기 시간 예측부(150)는 현재 세차 베이(230)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과 대기자들의 개인화 정보를 이용하여, 세차장 대기 시간 예측할 수 있다.
일례로, 대기 시간 예측부(150)는 현재 세차 베이(230)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평균 세차 시간, 현재 세차 시간, 현재 잔여 시간 및 대기자들의 평균 세차 시간 등을 이용하여 세차장 대기 시간은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대기 시간 예측부(150)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활용하여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며, 현재 세차 베이(230)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개인화 정보를 인공지능 시스템에 적용하여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인공지능 기법에는 인공지능 기술 분야에서 공개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기 시간 예측부(150)는 예측된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대기 시간 정보를 생성하여, 예약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용료 산정부(160)는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을 계산하여, 단위 시간의 요금 및 서비스 시간을 탄력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단위 시간은 30분, 1시간, 2시간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단위 시간을 1시간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용료 산정부(160)는 사용자의 세차장 이용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 별로 세차 베이 이용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이용료 산정부(160)는 계산된 세차 베이 이용률에 따라, 세차장이 혼잡한 단위 시간에는 이용 요금을 올리거나 세차장이 한산한 단위 시간에는 이용 요금을 내리는 등 이용 요금을 탄력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추가로, 이용료 산정부(160)는 세차장이 한산한 단위 시간에는 서비스 시간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세차장의 혼잡도에 따라 서비스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광고 제공부(170)는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 또는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에 따라,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정하여 해당 광고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에 대한 타겟팅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80)는 세차장 운영 기기(200), 사용자 단말(300) 및 데이터베이스(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부(190)는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차량 번호판 이미지는 예약부(120)에 전송되어, 세차장 예약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운영 기기(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운영 기기(200)는 세차 제어부(210), 서버 통신부(220), 세차 베이(230), 베이 컨트롤러(240), 릴레이부(250) 및 모터부(260)을 포함한다.
세차 제어부(210)는 세차장 운영 기기(200)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서버 통신부(220), 세차 베이(230), 베이 컨트롤러(240), 릴레이부(250) 및 모터부(26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세차 제어부(210)는 프로세서(Processor),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호칭될 수 있으며, 제어부는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서버 통신부(220)는 세차장 관리 서버(100), 사용자 단말(300) 및 데이터베이스(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 통신부(220)는 세차장 관리 서버(100)에서 전송된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세차 제어부(21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차 기기 제어 정보에는 세차 기기들의 작동 시작 시간, 작동 종료 시간, 사용자가 작동 가능한 세차 기기의 리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세차 제어부(210)는 세차 기기 제어 정보에 따라, 세차 기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릴레이부(230)에 전송할 수 있다. 세차 기기 작동 신호는 세차 기기를 실제 작동시키는 신호로, 제어부(210)는 세차 기기들의 작동 시간에 맞춰 세차 기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릴레이부(230)에 전송할 수 있다.
세차 베이(230)는 세차 기기를 구비할 수 있다. 세차 기기는 사용자가 세차하는데 사용되는 다양한 기기들로, 일례로 고압수 기기, 거품솔 기기, 하체 세차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베이 컨트롤러(240)는 베이 결제 요청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베이 결제 요청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베이 결제 요청 정보에는 세차 시작 시간 정보, 세차 이용 시간 정보, 결제 금액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신용카드 정보 등)가 포함될 수 있으며, 베이 결제 요청 인터페이스는 QR 코드, NFC 등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베이 컨트롤러(240)는 베이 결제 요청 정보를 세차 제어부(210)에 전송할 수 있다.
세차 제어부(210)는 수신된 베이 결제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세차 제어부(210)는 결제 수단 정보에 대한 외부 금융 회사와 데이터 통신하여, 세차장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 컨트롤러(240)는 베이 기기 제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베이 기기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베이 기기 제어 정보에는 세차 기기들의 작동 시작 시간, 작동 종료 시간, 사용자가 작동 가능한 세차 기기의 리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세차 제어부(210)는 베이 기기 제어 정보에 따라, 세차 기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릴레이부(23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차 기기 작동 신호는 세차 기기를 실제 작동시키는 신호로, 제어부(210)는 세차 기기들의 작동 시간에 맞춰 세차 기기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릴레이부(230)에 전송할 수 있다.
릴레이부(250)는 세차 제어부(210)에서 전송된 세차 기기 작동 신호를 모터부(260)에 전송할 수 있다
모터부(260)는 세차 기기를 작동시키는 모터(motor)가 구비할 수 있다. 모터부(260)는 릴레이부(250)에서 전송된 세차 기기 작동 신호에 따라, 모터를 구동하여, 세차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세차장 운영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 거치대(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은 베이 컨트롤러(2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 거치대(미도시)에 사용자 단말(300)을 거치할 수 있으며, 세차장 운영 기기(20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베이 기기 제어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 기기 제어 정보에는 세차 기기들의 작동 시작 시간, 작동 종료 시간, 사용자가 작동 가능한 세차 기기의 리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3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310)는 사용자 단말(3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사용자 단말(300)와 사용자 단말(3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310)는 방송 수신 모듈(311), 이동통신 모듈(312), 무선 인터넷 모듈(313), 근거리 통신 모듈(314) 및 위치정보 모듈(3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3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3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3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3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300)에 내장되거나 외장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3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례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들 수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3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321)와 마이크(3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3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3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3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3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321)는 사용자 단말(3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3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3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3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동작을 받아들여,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센싱부(340)는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사용자 단말(300)의 방위, 사용자 단말(3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3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인터페이스부(370)는 사용자 단말(3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출력부(3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351)와 음향 출력 모듈(352), 알람부(3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51)와 터치 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3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3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3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352)은 호 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3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3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352)은 사용자 단말(3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3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353)는 사용자 단말(3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메모리(360)는 제어부(3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3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80)는 통상적으로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3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381)은 제어부(3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3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390)는 제어부(3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 예들이 제어부(3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360)에 저장되고, 제어부(3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운영 기기 작동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운영 기기 작동 방법은 요금 결제 요청 정보 수신 동작(11), 결제 수행 동작(12), 세차 기기 제어 정보 생성 동작(13) 및 세차 기기 제어 정보 전송 동작(14)을 포함한다.
우선, 요금 결제 요청 정보 수신 동작(11)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이용 요금 결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요금 결제 요청 정보에는 세차 시작 시간 정보, 세차 이용 시간 정보, 결제 금액 정보 및 결제 수단 정보(신용카드 정보 등)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수행 동작(12)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결제 수단 정보에 대한 외부 금융 회사와 데이터 통신하여, 세차장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 기기 제어 정보 생성 동작(13)으로, 세차장 이용 요금의 결제가 완료되면,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결제된 요금에 따라, 세차 기기를 작동시키도록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세차 기기 제어 정보에는 세차 기기들의 작동 시작 시간, 작동 종료 시간, 사용자가 작동 가능한 세차 기기의 리스트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세차 기기 제어 정보 전송 동작(14)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생성된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세차장 운영 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세차장 운영 기기(200)는 세차장 관리 서버(100)에서 전송된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차 기기 제어 정보에 따라 다수의 세차 기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예약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세차장 예약 방법은 예약 요청 정보 수신 동작(21), 대기 시간 예측 정보 생성 동작(22), 예약 정보 생성 동작(23) 및 생성된 대기 시간 예측 정보 및 예약 정보 전송 동작(24)을 포함한다.
우선, 예약 요청 정보 수신 동작(21)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세차장 예약 인터페이스를 통해 생성된 예약 요청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약 요청 정보에는 예약하려는 세차장 정보 및 예약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대기 시간 예측 정보 생성 동작(22)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현재 세차 베이(230)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과 대기자들의 개인화 정보를 이용하여, 세차장 대기 시간 예측할 수 있다.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예측된 대기 시간을 포함하는 대기 시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대기 시간 예측 방법에 대해서는 이하 도 9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예약 정보 생성 동작(23)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수신된 예약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을 진행하고, 예약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약 정보에는 예약된 세차장 정보(위치, 요금, 편의시설), 예약 시간 정보, 배정된 베이 정보, 결제 가능한 수단 정보(카드, 현금, 계좌이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대기 시간 예측 정보 및 예약 정보 전송 동작(24)으로, 예약이 완료되면,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생성된 대기 시간 예측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판 인식을 이용한 세차장 예약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번호판 인식을 이용한 세차장 예약 방법은 차량 번호판 인식 동작(31), 차량 번호 인식 동작(32), 사용자 정보 조회 동작(33), 세차장 예약 여부 확인 동작(34), 세차장 예약 확인 동작(35),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수신 동작(36) 및 세차장 예약 동작(37)을 포함한다.
우선, 차량 번호판 인식 동작(31)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여,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번호 인식 동작(32)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차량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일례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OCR (Optical Character Reader)을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 조회 동작(33)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4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예약 여부 확인 동작(34)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예약 확인 동작(35)으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는 경우,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세차장 예약을 확인할 수 있다.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전술한 대기 시간 예측 정보 및 예약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수신 동작(36)으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세차장 예약 동작(36)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을 진행하되, 차량 번호판을 촬영한 카메라 기기가 위치한 세차장 또는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에 해당하는 세차장에 대해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사용자 정보 조회 동작(41),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수신 동작(42), 광고 선정 동작(43) 및 선정된 광고 전송 동작(44)을 포함한다.
우선, 사용자 정보 조회 동작(41)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광고를 제공할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조회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이름, 나이, 주소, 차량 번호, 차종 등의 일반 정보뿐만 아니라, 세차장 이용 주기, 평균 세차 시간, 선호 세차장 등과 같은 개인화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수신 동작(42)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사용자 단말(3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광고 선정 동작(43)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의 위치 정보 또는 데이터베이스부(40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0)이 쇼핑몰에 위치한 경우, 쇼핑 관련 광고를 선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세차장 이용 주기에 따라 세차장 이용이 예측되는 경우 사용자의 선호 세차장에 대한 광고를 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선정된 광고 전송 동작(44)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선정된 광고를 사용자 단말(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에 대한 타겟팅 광고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예측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 시간 예측 방법은 현재 베이 사용자 및 대기자의 사용자 정보 조회 동작(51) 및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대기 시간 예측 동작(52)을 포함한다.
우선, 현재 베이 사용자 및 대기자의 사용자 정보 조회 동작(51)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현재 세차 베이(230)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 및 대기자의 사용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서 조회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대기 시간 예측 동작(52)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현재 세차 베이(230)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평균 세차 시간, 현재 세차 시간, 현재 잔여 시간 및 대기자들의 평균 세차 시간 등을 이용하여 세차장 대기 시간은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활용하여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으며, 현재 세차 베이(230)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의 개인화 정보를 인공지능 시스템에 적용하여 대기 시간을 예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인공지능 기법에는 인공지능 기술 분야에서 공개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시간의 요금 결정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시간의 요금 결정 방법은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 계산 동작(61), 단위 시간의 대기 인원 및 대기 시간 확인 동작(62), 단위 시간의 요금 결정 동작(63) 및 단위 시간의 서비스 시간 결정 동작(64)을 포함한다.
우선,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 계산 동작(61)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사용자의 세차장 이용 내역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 별로 세차 베이(230)의 이용률을 계산할 수 있다.
일례로, 단위 시간은 30분, 1시간, 2시간 등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단위 시간을 1시간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단위 시간의 대기 인원 및 대기 시간 확인 동작(62)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시간의 대기 인원 및 대기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시간의 요금 결정 동작(63)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 대기 인원 및 대기 시간에 따라, 세차장이 혼잡한 단위 시간에는 이용 요금을 올리거나 세차장이 한산한 단위 시간에는 이용 요금을 내리는 등 이용 요금을 탄력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상대적으로 세차 베이 이용률이 높거나, 대기 인원이 많거나, 대기 시간이 긴 단위 시간의 이용 요금을 세차 베이 이용률이 낮거나, 대기 인원이 적거나, 대기 시간이 짧은 단위 시간의 이용 요금 보다 높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시간의 서비스 시간 결정 동작(64)으로,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이용료 산정부(160)는 세차장이 한산한 단위 시간에는 서비스 시간을 추가로 설정할 수 있으며, 세차장의 혼잡도에 따라 서비스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차장 관리 서버(100)는 이용료 산정부(160)는 세차장 혼잡도에 따라, 단위 시간의 요금 및 서비스 시간을 탄력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프로세싱 유닛(Graphics Processing Unit; GPU),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예약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세차 베이 사용자의 잔여 세차 시간 및 대기자의 평균 세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세차장 예약을 수행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상기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요금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 및
    상기 결제된 요금에 따라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세차장 운영 기기에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세차장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고,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는 동작;
    상기 생성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는 동작;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동작;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동작; 및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을 수행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세차장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 수행 동작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세차장을 예약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세차장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을 계산하는 동작;
    상기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시간의 대기 인원 및 대기 시간을 확인하는 동작; 및
    상기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 대기 인원 또는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시간의 요금 및 서비스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세차장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는 동작;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정하는 동작; 및
    상기 선정된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 동작을 더 포함하는
    세차장 관리 방법.
  6. 사용자 단말;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데이터베이스;
    세차 기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세차장 운영 기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예약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예약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예약 정보를 생성하고, 세차 베이 사용자의 잔여 세차 시간 및 대기자의 평균 세차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여, 세차장 예약을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요금 결제 요청 정보를 이용하여, 요금 결제를 수행하고, 상기 결제된 요금에 따라 세차 기기 제어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세차장 운영 기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세차장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세차장 관리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차장 관리 서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판을 인식하고,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차량 번호판 이미지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인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세차장 예약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세차장 관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세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상기 카메라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세차장을 예약하도록 구성된
    세차장 관리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차장 관리 서버는,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을 계산하고, 상기 예약 정보 및 대기 시간 예측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시간의 대기 인원 및 대기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단위 시간의 세차 베이 이용률, 대기 인원 또는 대기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단위 시간의 요금 및 서비스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세차장 관리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차장 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맞춤형 광고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광고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세차장 관리 시스템.
KR1020190123208A 2019-10-04 2019-10-04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98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208A KR102298285B1 (ko) 2019-10-04 2019-10-04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3208A KR102298285B1 (ko) 2019-10-04 2019-10-04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0663A true KR20210040663A (ko) 2021-04-14
KR102298285B1 KR102298285B1 (ko) 2021-09-03

Family

ID=7547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3208A KR102298285B1 (ko) 2019-10-04 2019-10-04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2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754B1 (ko) * 2021-08-20 2022-01-24 주식회사 제이케이앤더블유 차량용품 추천판매 시스템
KR102518513B1 (ko) * 2022-10-04 2023-04-05 주식회사 온유산업 차량 표면 결함 점검 시스템을 포함하는 세차장 관리 시스템 및 세차장 운용 방법
KR102518517B1 (ko) * 2022-02-23 2023-04-10 주식회사 온유산업 셀프세차장 관리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278A (ja) * 2001-12-19 2003-07-04 Mitsubishi Heavy Ind Ltd 駐車場管理誘導装置、駐車場管理誘導方法、及び駐車場管理誘導プログラム
KR20150056716A (ko) * 2013-11-15 2015-05-27 박은수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32363A (ko) * 2014-09-15 2016-03-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세차장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17091428A (ja) * 2015-11-17 2017-05-25 オムロン株式会社 予約車両優先システム
KR20180076260A (ko) * 2016-12-27 2018-07-05 박경수 제어장치를 이용한 세차 영업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7278A (ja) * 2001-12-19 2003-07-04 Mitsubishi Heavy Ind Ltd 駐車場管理誘導装置、駐車場管理誘導方法、及び駐車場管理誘導プログラム
KR20150056716A (ko) * 2013-11-15 2015-05-27 박은수 주차 시설 기반 세차를 위한 실시간 통합 세차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32363A (ko) * 2014-09-15 2016-03-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세차장 안내 시스템 및 방법
JP2017091428A (ja) * 2015-11-17 2017-05-25 オムロン株式会社 予約車両優先システム
KR20180076260A (ko) * 2016-12-27 2018-07-05 박경수 제어장치를 이용한 세차 영업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4754B1 (ko) * 2021-08-20 2022-01-24 주식회사 제이케이앤더블유 차량용품 추천판매 시스템
KR102518517B1 (ko) * 2022-02-23 2023-04-10 주식회사 온유산업 셀프세차장 관리시스템
KR102518513B1 (ko) * 2022-10-04 2023-04-05 주식회사 온유산업 차량 표면 결함 점검 시스템을 포함하는 세차장 관리 시스템 및 세차장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285B1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1697B1 (ko)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116964B1 (ko) 전기차를 위한 충전 및 결제 통합 관리 시스템
US20210005087A1 (en) Server for communicating with mobile and vehicle devices
US11019552B2 (en) Wireless beacon devices for use in managing transportation service terminals
US10140645B2 (en) Intelligent fuel purchasing recommendations
US9460623B2 (en) Parking management
KR102298285B1 (ko) 세차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284741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주차장 공유 시스템
KR20110024979A (ko)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410634A (zh) 车辆管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9615367A (zh) 用于支付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3364490B (zh) 一种nfc应用的调用方法、电子设备及nfc装置
JP2009244960A (ja) 駐車場管理装置、駐車場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60041079A (ko) 간편 주차를 통한 결제관리 시스템 및 그 이용한 주차등록방법
US11246006B2 (en) Dynamic geofence to preserve privacy and battery life
KR20180136760A (ko) 복수의 배차 요청이 가능한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
US20090234741A1 (en) Navigation system and program
KR101005196B1 (ko) 차량 정보화를 위한 통합 단말기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
KR102268014B1 (ko) 공유 주차면 요금 결제시스템
KR20070080364A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택시 요금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55993B1 (ko) 차량탑재 단말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요금 정산 시스템
JP2002245381A (ja) 車両配車システム、車両配車方法及び車両配車プログラム
KR101681163B1 (ko) 모바일 차량의 관리 시스템
KR20130036872A (ko) 지피에스를 통한 간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이용한 주차등록방법
KR20160136879A (ko) 발렛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 및 서버와, 이를 이용한 발렛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