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451B1 -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 - Google Patents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451B1
KR102428451B1 KR1020210162993A KR20210162993A KR102428451B1 KR 102428451 B1 KR102428451 B1 KR 102428451B1 KR 1020210162993 A KR1020210162993 A KR 1020210162993A KR 20210162993 A KR20210162993 A KR 20210162993A KR 102428451 B1 KR102428451 B1 KR 10242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ion socket
screw
ga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구누수공사
임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구누수공사, 임영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구누수공사
Priority to KR1020210162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4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8Check valves with actuating mechanism; Combined check valves and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2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 F16K31/52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crank, eccentric, or cam with pin and slo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Leakage reduction or detection in water storage o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 배관(L1)과 주거지 배관(L2) 사이에 설치되고, 수도 공급의 개폐 및 주거지 배관(L2)에서 상수도 배관(L1)으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앵글밸브(10)를 통하여 상수도 배관(L1) 내부로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상수도 배관(L1)의 누수검사를 할 수 있는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 배관(L1)과 주거지 배관(L2)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 한 방향에 암나사(11a)가 형성되며, 'T'자 형태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11);와 밸브 본체(11) 내부에 위치하며, 암나사(11a)와 결합하는 숫나사(12a)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일단면에 요홈(12b)이 형성되는 나사축(12);과 상기 나사축(12)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3);와 상기 나사축(12)의 요홈(12b)에 삽입되는 축(14a)과 축(14a)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14b)가 형성되는 마개(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앵글밸브(10)의 수도 배관측 개방구에 연결된 일자형의 1차 연결소켓(21)과, 상기 1차 연결소켓(21)에 육각너트(22)를 통해 결합된 2차 연결소켓(23)을 포함하는 연결소켓(20);과 상기 2차 연결소켓(23)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연결되고, 상기 1차 연결소켓(20)의 반대측 단부에 인접한 내벽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T'자 형태의 연결관(31);과 상기 연결관(31)의 나사홈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부를 외주면에 형성하고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나사구멍을 형성하는 나사결합부(32);와 상기 나사결합부(32)의 한 부분에 연결된 손잡이(33);와 상기 나사결합부(32)의 나사구멍과 결합하여 전방 측으로 돌출 연장된 핀(34);을 포함하는 핀구동부(30);와 상기 핀 연결관(31) 상측에 연통되게 연결된 수도관(40);과 상기 수도관(40)의 단부에 연결된 'T'자형의 3차 연결소켓(60);과 제1 밸브(71)에 의해 가스 누출 탐사용의 가스를 주입 또는 주입차단하도록 상기 수도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3차 연결소켓(60)의 길이방향측 개방구에 연통되게 상기 3차 연결소켓(60)에 연결된 가스주입대(70);와 제2 밸브(81)에 의해 누수 탐지용의 공기를 주입 또는 주입차단하도록 상기 3차 연결소켓(6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횡방향측 개방구에 연통되게 상기 3차 연결소켓(60)에 연결된 공기주입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Gas injection device for detecting leakage of pipes}
본 발명은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수도 배관(L1)과 주거지 배관(L2) 사이에 설치되고, 수도 공급의 개폐 및 주거지 배관(L2)에서 상수도 배관(L1)으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앵글밸브(10)를 통하여 상수도 배관(L1) 내부로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상수도 배관(L1)의 누수검사를 할 수 있는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이나 기름과 같은 유체가 지나가는 배관의 노후 등으로 인하여 크랙(균열)이 발생하여 누유나 누수가 발생하게 되며, 배관이 지면에 깊숙이 매립되어 있으면 이러한 누유 및 누수를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특허문헌 1)과 같이 배관 내에 가스를 주입하고 지면 위에서 (특허문헌 2)와 같은 가스 탐지장치를 이용하여 가스가 검출되는 위치를 찾아 문제가 발생한 배관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수도 배관(L1)과 주거지 배관(L2) 사이에 설치되는 앵글밸브(10)는,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내부 한 방향에 암나사(11a)가 형성되며, 'T'자 형태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11);와 밸브 본체(11) 내부에 위치하며, 암나사(11a)와 결합하는 숫나사(12a)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일단면에 요홈(12b)이 형성되는 나사축(12);과 상기 나사축(12)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3);와 상기 나사축(12)의 요홈(12b)에 삽입되는 축(14a)과 축(14a)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14b)가 형성되는 마개(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사축(12)은 사용자가 손잡이(13)를 돌리게 되면 나사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수도 배관(L1)에 연결되는 방향의 밸브 본체(11) 내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개폐단(11b)이 형성되며, 나사축(12)이 하강시 마개(14)의 상측이 나사축(12)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하게 되며, 헤드(14b)가 개폐단(11b)과 맞닿아 밀착하게 됨으로써, 상수도 배관(L1)의 물이 주거지 배관(L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헤드(14b)와 나사축(12)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S)가 구비되어 나사축(12)의 조임이 풀려 헤드(14b)와 개폐단(11b) 사이에 틈새가 생겨 잠금이 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손잡이(13)를 돌려 나사축(12)을 상승시키면, 상수도 배관(L1)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마개(14)가 상승하게 되며, 앵글밸브(10)가 개방되고 상수도 배관(L1)의 물이 앵글밸브(10) 내부를 통과하여 거주지 배관(L2)로 공급되는 유로(F1)가 형성된다.
위와 같이 나사축(12)과 마개(14)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수도 배관(L1)의 누수탐지를 위하여, 거주지 배관(L1)과 결합되는 방향의 앵글밸브(10)에 가스를 주입하게 되면 마개(14)의 상면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마개(14)가 하강하며, 마개(14)와 개폐단(11b)이 밀착하게 되어 가스가 상수도 배관(L1)으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앵글밸브(10)의 역류방지 기능에 의해 상수도 배관(L1)으로 가스 공급이 막히는 현상으로 인하여 종래에는 상수도 배관(L1) 내로 가스를 주입하여 누수 검사를 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74134호 "가스검출을 이용한 누수,누출 탐사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3882호 "미량가스 탐지가 용이한 미세누출감지 가스탐지장치"
상수도 배관(L1)과 주거지 배관(L2) 사이에 설치되고, 수도 공급의 개폐 및 주거지 배관(L2)에서 상수도 배관(L1)으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앵글밸브(10)를 통하여 상수도 배관(L1) 내부로 가스 주입이 용이한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주된 해결과제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는, 상수도 배관(L1)과 주거지 배관(L2)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 한 방향에 암나사(11a)가 형성되며, 'T'자 형태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11);와 밸브 본체(11) 내부에 위치하며, 암나사(11a)와 결합하는 숫나사(12a)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일단면에 요홈(12b)이 형성되는 나사축(12);과 상기 나사축(12)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3);와 상기 나사축(12)의 요홈(12b)에 삽입되는 축(14a)과 축(14a)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14b)가 형성되는 마개(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앵글밸브(10)의 수도 배관측 개방구에 연결된 일자형의 1차 연결소켓(21)과, 상기 1차 연결소켓(21)에 육각너트(22)를 통해 결합된 2차 연결소켓(23)을 포함하는 연결소켓(20);과 상기 2차 연결소켓(23)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연결되고, 상기 1차 연결소켓(20)의 반대측 단부에 인접한 내벽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T'자 형태의 연결관(31);과 상기 연결관(31)의 나사홈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부를 외주면에 형성하고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나사구멍을 형성하는 나사결합부(32);와 상기 나사결합부(32)의 한 부분에 연결된 손잡이(33);와 상기 나사결합부(32)의 나사구멍과 결합하여 전방 측으로 돌출 연장된 핀(34);을 포함하는 핀구동부(30);와 상기 핀 연결관(31) 상측에 연통되게 연결된 수도관(40);과 상기 수도관(40)의 단부에 연결된 'T'자형의 3차 연결소켓(60);과 제1 밸브(71)에 의해 가스 누출 탐사용의 가스를 주입 또는 주입차단하도록 상기 수도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3차 연결소켓(60)의 길이방향측 개방구에 연통되게 상기 3차 연결소켓(60)에 연결된 가스주입대(70);와 제2 밸브(81)에 의해 누수 탐지용의 공기를 주입 또는 주입차단하도록 상기 3차 연결소켓(6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횡방향측 개방구에 연통되게 상기 3차 연결소켓(60)에 연결된 공기주입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수도관(4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도관(40) 내에 들어있는 물이나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나타내는 압력계(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핀(34)이 전진하게 되면 마개(14)의 측면을 가압하여 앵글밸브(10)의 헤드(14b)와 개폐단(11b)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앵글밸브(10)를 통하여 상수도 배관(L1)으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하여, 가스 주입을 이용한 상수도 배관(L1)의 누수검사 작업이 용이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상수도 배관과 주거지 배관 사이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앵글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앵글밸브의 문제점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지중에 설치된 상수도 배관의 요입부 내 노출측 단부에 결합된 도 3의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도 5중 A의 확대도.
도 7은 마개(14)가 하강하여 앵글밸브(10)가 잠긴 상태와, 손잡이를 돌려 나사축(12)이 상승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상수도 배관(L1)의 수압에 의하여 마개가 상승하는 상태와, 연결소캣(20) 방향에서 공급되는 가스에 의해 마개(14)가 하강하여 앵글밸브가(10)가 잠긴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상태에서 핀(34)이 전진하여 축(14b)의 측면을 가압하여 헤드(14a)와 개폐단(11b) 사이에 틈이 벌어져 가스가 상수도 배관(L1)으로 공급되는 상태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수도 배관(L1)과 주거지 배관(L2) 사이에 설치되고, 수도 공급의 개폐 및 주거지 배관(L2)에서 상수도 배관(L1)으로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 앵글밸브(10)를 통하여 상수도 배관(L1) 내부로 가스를 주입함으로써, 상수도 배관(L1)의 누수검사를 할 수 있는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상수도 배관(L1)과 주거지 배관(L2) 사이에 설치되는 앵글밸브(10)는,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내부 한 방향에 암나사(11a)가 형성되며, 'T'자 형태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11);와 밸브 본체(11) 내부에 위치하며, 암나사(11a)와 결합하는 숫나사(12a)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일단면에 요홈(12b)이 형성되는 나사축(12);과 상기 나사축(12)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3);와 상기 나사축(12)의 요홈(12b)에 삽입되는 축(14a)과 축(14a)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14b)가 형성되는 마개(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나사축(12)은 사용자가 손잡이(13)를 돌리게 되면 나사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수도 배관(L1)에 연결되는 방향의 밸브 본체(11) 내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개폐단(11b)이 형성되며, 나사축(12)이 하강시 마개(14)의 상측이 나사축(12)에 의해 가압되어 하강하게 되며, 헤드(14b)가 개폐단(11b)과 맞닿아 밀착하게 됨으로써, 상수도 배관(L1)의 물이 주거지 배관(L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때, 헤드(14b)와 나사축(12) 사이에는 스프링 와셔(S)가 구비되어 나사축(12)의 조임이 풀려 헤드(14b)와 개폐단(11b) 사이에 틈새가 생겨 잠금이 풀리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손잡이(13)를 돌려 나사축(12)을 상승시키면, 상수도 배관(L1)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마개(14)가 상승하게 되며, 앵글밸브(10)가 개방되고 상수도 배관(L1)의 물이 앵글밸브(10) 내부를 통과하여 거주지 배관(L2)로 공급되는 유로(F1)가 형성된다.
위와 같이 나사축(12)과 마개(14)가 상승한 상태에서 상수도 배관(L1)의 누수탐지를 위하여, 거주지 배관(L1)과 결합되는 방향의 앵글밸브(10)에 가스를 주입하게 되면 마개(14)의 상면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마개(14)가 하강하며, 마개(14)와 개폐단(11b)이 밀착하게 되어 가스가 상수도 배관(L1)으로 공급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는 위와 같은 앵글밸브(10)의 역류방지 기능에 의해 상수도 배관(L1)으로 가스 공급이 막히는 것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도 3 내지 9와 같이 연결소켓(20), 핀구동부(30), 수도관(40), 압력계(50), 3차 연결소켓(60), 가스주입대(70), 및 공기주입대(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소켓(20)은, 상기 앵글밸브(10)의 수도 배관측 개방구에 연결된 일자형의 1차 연결소켓(21)과, 상기 1차 연결소켓(21)에 육각너트(22)를 통해 결합된 2차 연결소켓(23)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소켓(20)은 앵글밸브(10)와 후술하는 핀구동부(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핀구동부(30)는, 상기 2차 연결소켓(23)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연결되고, 상기 1차 연결소켓(20)의 반대측 단부에 인접한 내벽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T'자 형태의 연결관(31);과 상기 연결관(31)의 나사홈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부를 외주면에 형성하고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나사구멍을 형성하는 나사결합부(32);와 상기 나사결합부(32)의 한 부분에 연결된 손잡이(33);와 상기 나사결합부(32)의 나사구멍과 결합하여 전방 측으로 돌출 연장된 핀(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33)를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결합부(32)가 연결관(31) 내에서 나사회전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때 핀(34)은 나사결합부(32)의 나사구멍에 결합하여 있으므로 나사결합부(32)의 전후진에 따라 움직이며, 거주지 배관(L1)과 결합되는 방향의 앵글밸브(10)에 가스를 주입할 시, 핀(34)이 전진하게 되면 마개(14)의 측면을 가압하여 헤드(14b)와 개폐단(11b)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앵글밸브(10)를 통하여 상수도 배관(L1)으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핀(34)은 나사결합부(32)의 나사구멍과의 결합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핀(34)이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핀(34)의 파손시 나사결합부(32)와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수도관(40)은 상기 연결관(31)의 상측에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는데, 유로(F1)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상수도 배관(L1) 내의 수도가 유로(F1)를 통해 수도관(40) 측으로 공급되고, 상기 앵글밸브(10)에 의해 유로(F1)가 폐쇄되었을 때에는 상수도 배관(L1) 내의 물이 유로(F1)를 통한 수도관(40) 측으로의 공급이 차단된다.
상기 압력계(50)는 상기 수도관(4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도관(40) 내에 들어있는 물이나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며, 측정값을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로 표시하는데, 가스주입대(70)와 공기주입대(80)가 잠겨 있는 상태에서 유로(F1)가 개방되면 상수도 배관(L1)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측정된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가 상수도 배관(L1)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측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의 가스주입대(70)나 공기주입대(80)에서 수도관(40)으로 공급되어야 할 가스나 공기의 압력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즉 가스주입대(70)나 공기주입대(80)에서 상수도 배관(L1)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수도관(40) 내에 가스나 공기를 주입하여, 수도관(40) 내부의 물을 상수도 배관(L1)으로 밀어내며, 가스 또는 공기를 상수도 배관(L1)으로 주입하게 된다.
상기 'T'자형의 3차 연결소켓(60)은 상기 수도관(40)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도관(40)과 가스주입대(70) 및 공기주입대(80)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스주입대(70)는, 제1 밸브(71)에 의해 가스 누출 탐사용의 가스를 주입 또는 주입차단하도록 상기 수도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3차 연결소켓(60)의 길이방향측 개방구에 연통되게 상기 3차 연결소켓(6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밸브(71)를 구비한 가스주입대(70)를 통해 가스 누출 탐사용의 가스를 수도관(40)과 상수도 배관(L1) 측으로 주입 및 주입차단할 수 있다.
이때 주입되는 가스는 중량 기준으로 질소 95%와 수소 5%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주입대(80)는, 제2 밸브(81)에 의해 누수 탐지용의 공기를 주입 또는 주입차단하도록 상기 3차 연결소켓(6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횡방향측 개방구에 연통되게 상기 3차 연결소켓(60)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밸브(81)를 구비한 공기주입대(80)를 통해 누수 탐지용의 공기를 수도관(40)과 상수도 배관(L1) 측으로 주입 및 주입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앵글밸브 11 : 밸브 본체
11a : 암나사 11b : 개폐단
12 : 축
12a : 숫나사 12b : 요홈
13 : 손잡이 14 : 마개
14a : 축 14b : 헤드
20 : 연결소켓 21 : 1차 연결소켓
22 : 육각너트 23 : 2차 연결소켓
30 : 핀구동부 31 : 연결관
32 : 나사결합부 33 : 손잡이
34 : 핀
40 : 수도관 50 : 압력계
60 : 3차 연결소켓 70 : 가스주입대
71 : 제1 밸브 80 : 공기주입대
81 : 제2 밸브
F1 : 유로 L1 : 상수도 배관
L2 : 주거지 배관 S : 스프링 와셔

Claims (2)

  1. 상수도 배관(L1)과 주거지 배관(L2) 사이에 설치되고, 내부 한 방향에 암나사(11a)가 형성되며, 'T'자 형태를 가지는 밸브 본체와(11);와 밸브 본체(11) 내부에 위치하며, 암나사(11a)와 결합하는 숫나사(12a)가 외주면에 형성되고, 일단면에 요홈(12b)이 형성되는 나사축(12);과 상기 나사축(12)의 일단에 연결되는 손잡이(13);와 상기 나사축(12)의 요홈(12b)에 삽입되는 축(14a)과 축(14a)의 일단에 형성되는 헤드(14b)가 형성되는 마개(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앵글밸브(10)의 수도 배관측 개방구에 연결된 일자형의 1차 연결소켓(21)과, 상기 1차 연결소켓(21)에 육각너트(22)를 통해 결합된 2차 연결소켓(23)을 포함하는 연결소켓(20);
    상기 2차 연결소켓(23)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연결되고, 상기 1차 연결소켓(20)의 반대측 단부에 인접한 내벽면에 형성된 나사부를 가지는 'T'자 형태의 연결관(31);과 상기 연결관(31)의 나사홈과 나사결합하는 나사부를 외주면에 형성하고 전방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나사구멍을 형성하는 나사결합부(32);와 상기 나사결합부(32)의 한 부분에 연결된 손잡이(33);와 상기 나사결합부(32)의 나사구멍과 결합하여 전방 측으로 돌출 연장된 핀(34);을 포함하는 핀구동부(30);
    상기 핀 연결관(31) 상측에 연통되게 연결된 수도관(40);
    상기 수도관(40)의 단부에 연결된 'T'자형의 3차 연결소켓(60);
    제1 밸브(71)에 의해 가스 누출 탐사용의 가스를 주입 또는 주입차단하도록 상기 수도관(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기 3차 연결소켓(60)의 길이방향측 개방구에 연통되게 상기 3차 연결소켓(60)에 연결된 가스주입대(70);
    제2 밸브(81)에 의해 누수 탐지용의 공기를 주입 또는 주입차단하도록 상기 3차 연결소켓(6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횡방향측 개방구에 연통되게 상기 3차 연결소켓(60)에 연결된 공기주입대(80);
    를 포함하고,
    상기 핀(34)은 나사결합부(32)의 나사구멍에 결합하여 있으므로 나사결합부(32)의 전후진에 따라 움직이며, 거주지 배관(L1)과 결합되는 방향의 앵글밸브(10)에 가스를 주입할 시, 핀(34)이 전진하게 되면 마개(14)의 측면을 가압하여 헤드(14b)와 개폐단(11b) 사이에 틈새가 생기도록 함으로써, 앵글밸브(10)를 통하여 상수도 배관(L1)으로 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관(40)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수도관(40) 내에 들어있는 물이나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나타내는 압력계(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
KR1020210162993A 2021-11-24 2021-11-24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 KR10242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93A KR102428451B1 (ko) 2021-11-24 2021-11-24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2993A KR102428451B1 (ko) 2021-11-24 2021-11-24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451B1 true KR102428451B1 (ko) 2022-08-03

Family

ID=82847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2993A KR102428451B1 (ko) 2021-11-24 2021-11-24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4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134A (ko) 2004-12-27 2006-07-03 송광오 가스검출을 이용한 누수,누출 탐사 시스템
KR102223882B1 (ko) 2019-09-24 2021-03-04 김현명 미량가스 탐지가 용이한 미세누출감지 가스탐지장치
KR102299953B1 (ko) * 2020-11-30 2021-09-09 (주)대상누수탐지기술 유체 주입용 연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134A (ko) 2004-12-27 2006-07-03 송광오 가스검출을 이용한 누수,누출 탐사 시스템
KR102223882B1 (ko) 2019-09-24 2021-03-04 김현명 미량가스 탐지가 용이한 미세누출감지 가스탐지장치
KR102299953B1 (ko) * 2020-11-30 2021-09-09 (주)대상누수탐지기술 유체 주입용 연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88018A1 (en) Fuel system for a combustion engine having local leakage detection
KR102428451B1 (ko) 배관의 누수 탐지용 가스 주입장치
US7255329B1 (en) Gate valve with offset valve stem
US20190107218A1 (en) Pressure relief valve with stop
US9513146B2 (en) Insertion mount device
EP0945668A2 (en) Fluid pressure testing
KR102472626B1 (ko) 배관의 유체누출 탐지용 기체 주입장치
KR101711137B1 (ko) 수도관의 누수차단 보수 방법 및 그 장치
KR101083501B1 (ko) 밸브용 실란트 주입장치
KR101705985B1 (ko) 쐐기형 밀착부재를 이용한 배관의 보수 공법
US10794741B2 (en) Flow measurement insert and system for use with orifice fitting
KR100478754B1 (ko) 수지제 배관 접속 체결관
JP5096879B2 (ja) 逆止弁の逆止性能点検方法とその装置
CN203083622U (zh) 防硫临界速度流量计
KR200459201Y1 (ko) 수압측정용 배관마개
CA2568681C (en) Gate valve with offset valve stem
CN219528977U (zh) 带憋压装置的液体注入阀
JP2838750B2 (ja) ドレンプラグ
CN213714659U (zh) 流体管路气密性检测系统
GB2272271A (en) Gate valve seat and method of testing valve assembly
US20210317934A1 (en) Retaining ring system and method of use
JPS6221186Y2 (ko)
KR200494196Y1 (ko) 구리스 피팅 연결구
KR20210063283A (ko)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
RU2084748C1 (ru) Штуцерное соедине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