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283A -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283A
KR20210063283A KR1020210060700A KR20210060700A KR20210063283A KR 20210063283 A KR20210063283 A KR 20210063283A KR 1020210060700 A KR1020210060700 A KR 1020210060700A KR 20210060700 A KR20210060700 A KR 20210060700A KR 20210063283 A KR20210063283 A KR 20210063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ocket
screw
union
fasten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순용
Original Assignee
김순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용 filed Critical 김순용
Priority to KR1020210060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283A/ko
Publication of KR20210063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283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06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collar not being integral with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유니온을 개선한 것으로,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1나사소켓 및 제2나사소켓과, 제2나사소켓의 둘레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수나사부에 가변소켓이 체결되되, 제1나사소켓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너트부재의 체결고정으로 파이프의 연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유니온과 유니온사이에 각각의 가변소켓을 제2나사소켓에 형성된 수나사부 체결허용범위 내에서 전후 체결 조정가능하기 때문에 소정의 허용오차 길이의 파이프의 연결을 당기거나 밀어내는 저항없이 수월하게 조정 및 연결할 수 있음으로 유니온을 구성하는 소켓부위의 나사부위에 손상을 가하거나 파이프의 휨 변형을 초래하지 않게 하여 유니온 연결부위의 누수방지에도 더욱 효적이며, 가변소켓이 체결되는 길이를 제2나사소켓에 표시하여 체결된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체크가 가능하기 때문에 배관 점검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union for piping pipe}
본 발명은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배관 설비에 있어,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유니온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배관설비시 파이프의 연결길이에 대한 치수오차범위를 허용하여 효과적인 연결작업과 함께 연결불량으로 인한 누수문제를 해결하고, 문제가 발생한 해당 파이프 배관의 부분 교체시에도 교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기체 또는 유체를 수송하기 위한 파이프 계통은 일정 길이의 파이프들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시키고, 이들을 연결부재인 유니온(union)을 나사체결하는 방식으로 배관된다.
파이프 접속이음을 위한 유니온은 파이프와의 조립면 사이에 패킹(packing)이 삽입되어 파이프 이음부의 기밀성을 확보하며, 패킹은 원형의 단면을 갖는 원환체 모양의 합성고무 또는 내열성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져 다양한 분야에서 내압 또는 진공의 유지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체, 유체를 수송하기 위한 배관은 대상물로부터 간단한 연결부터 엘보형 연결관체 및 T자형 연결관체의 사용으로 공급원에서 방향이 전환되게 배관되며, 배관되는 파이프상에는 유량계, 압력게이지, 밸브 등이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 접속이음과 관련된 유이온에 대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8329호(명칭: 감압밸브와 수도미터기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이음관체, 등록일자: 2006년 06월 02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1'이라 함) 및 등록특허 제10-2159742호(명칭: 파이프 접속이음 유니온, 등록일자: 2020년 09월 18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 2'라 함)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공급측 급수관 및 수용가측 급수관 사이에 동일 축 선상으로 설치되는 감압밸브의 출구측 암나사부와 수도미터기측의 입구측 수나사부를 일체형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해 몸체 일측에 수나사부가 형성되고, 일측으로부터 관통되어 연결 대상인 수도미터기측 수나사부를 체결하는 유니온 조인트가 설치된 이음관체에 있어서, 상기 이음관체의 수나사부 체결지점이 끝나는 지점에 오-링이 삽입 설치되고, 몸체 외경에 체결을 위한 육각턱이 일체로 형성되며, 수나사부가 형성된 타단측 내경에 암나사가 형성되되,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어 몸체 외경에 관통된 유니온조인트를 이탈방지하는 지지턱부재가 체결 설치되는 한편, 지지턱부재의 일측면에 패킹을 두어 연결 대상인 수도미터기측 수나사부 종단과 밀착 지지되게 설치디도록 한 것인바, 파이프로 된 급수관끼리의 연결시 흔히 나사산부분에 감아 사용하는 테프론을 사용하지 않고 구비된 오-링 및 패킹의 기밀성으로 공급측 및 수용가측 급수관 사이에의 감압밸브, 수도미터기의 연결에 무리를 주지 않음으로써 기존의 테프론 처리에 의한 체결방식에 비해 누수방지 효과가 뛰어난 이점이 있고, 체결의 균일성에 따라 특히 수도미터기가 설치되는 좁은 공간에서의 이음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 2는 중공의 내주면에 내경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기부와, 외주면에 원주 방향을 따라서 돌출 형성된 제1플랜지부와, 양측의 개구단의 내주면 각각에 경사 형성된 제1 및 제2테이퍼 면을 갖는 몸체부와; 제1파이프의 개구단에 압입 고정되어 돌기부의 일단에 밀착되는 제1패킹부와; 제1파이프의 외주면에 삽입 위치하여 제1테이퍼 면과 면접촉하는 제2패킹부와; 제1파이프에 관통 삽입되어 몸체부의 일측 개구단의 외주면과 나사 조립되며, 제2패킹부와 면접촉하여 제2패킹부를 가압하게 되는 제1가압돌기가 마련된 제1고정캡과; 제2파이프의 개구단에 압입 고정되어 돌기부에 밀착되는 제3패킹부와; 제2파이프의 외주면에 삽입 위치하여 제2테이퍼 면과 면접촉하는 제4패킹부와; 제2파이프에 관통 삽입되어 몸체부의 일측 개구단의 외주면과 나사 조립되며, 제4패킹부와 면접촉하여 제4패킹부를 가압하게 되는 제2가압돌기가 마련된 제2고정캡을 포함하여 구성된 파이프 유니온으로서, 이는 각각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몸체부와 2개 위치에서 최적화된 구조를 갖는 패킹부에 의해 기밀이 이루어지며, 특히 유독한 화학물질과 같은 매체를 수송하는 파이프 연결 이음부의 기밀성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특허문헌 1,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니온을 이용한 배관 파이프의 이음은 어느 한 부분을 특정하여 연결되고, 분리될 수 있는 구조이고, 또한 패킹을 적용하여 기밀성을 갖도록 한 것이나, 배관 설비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통상 파이프에 설치된 유량계, 밸브, 압력게이지 등과 같은 유량제어 관련 유닛이 설치되며, 이들이 적용된 파이프의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은 유니온을 통해 연결 고정된다,
하지만 배관설비시 혹은 문제가 되고 있는 배관부위를 변경, 교체하는 작업시 교체되는 부분에서 제공되는 배관 연결길이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유니온을 이용한 연결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폐단이 발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파이프 연결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니온(10)과 유니온(10)사이 교체되어야 할 파이프(P)의 연결길이(L)가 설계된 길이보다 짧거나 또는 오버되는 경우, 파이프의 일단측과 일단측을 연결하는 유니온과의 체결이 쉽지 않게 된다.
통상 배관 파이프의 외측둘레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산은 태핑머신에 의해 현장에서 직접 배관 길이에 맞게 절단한 파이프를 태핑머신에 고정, 회전시키면서 나사산을 가공하고, 이 나사산은 유량계, 압력게이지, 밸브 등의 제어유닛과 체결되고 그 반대측에 가공한 나사산은 상기와 같이 유니온을 이용한 연결로서 배관되기 때문에 정확한 배관길이에서 오차를 갖는 경우가 많다.
상기와 같이 연결길이의 오차 범위가 크면, 상기와 같이 제어유닛이 적용된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는 유니온의 연결은 최대한 체결되는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에서 배관설비의 불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즉, 유니온의 나사체결되는 연결길이가 짧아지거나 혹은 그 반대로 길게된 경우, 유니온을 이용한 연결 작업이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측을 당기면서 체결하거나 그 반대로 밀어내면서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나사산이 뭉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가령 연결길이가 정확히지 않고 3~5mm의 정도로 근소한 차이가 나게되는 경우, 대부분의 작업자들은 유니온을 구성하는 너트를 파이프와 파이프에 체결된 나사소켓에 강제적으로 체결하여 파이프 연결을 실시하고 있지만, 이러한 점은 파이프 연결부위의 변형을 초래하고, 특히 유니온 연결에 대한 패킹부위의 기밀성이 떨어져 누수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관 설비에 있어, 파이프와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유니온의 연결구조를 개선하여 배관설비시 파이프의 연결길이에 대한 치수오차범위를 허용하여 효과적인 연결작업과 함께 연결불량으로 인한 누수문제를 해결하고, 문제가 발생한 해당 파이프 배관의 부분 교체시에도 교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니온의 최종 체결 정도를 외부에서 체크하여 체결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보형 연결관체나 T자형 연결관체 등으로 분기되게 연결된 파이프 및 파이프상에 유량계, 압력게이지, 밸브 등과 같은 제어유닛이 연결된 파이프를 동일선상에서 유니온으로 연결하여 배관 설비가 이루어지는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은, 파이프 일단에 마련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내경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암나사부가 끝나는 내경에 파이프의 나사산 체결을 제한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지지턱이 형성된 일측에는 암나사부 직경보다 큰 직경의 안내부가 확장 형성되고, 안내부로부터 확장된 단턱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가 형성된 외측둘레에는 다각부가 형성되고, 다각부의 일측에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1나사소켓과; 상기 파이프와 연결되는 또 하나의 파이프측에 마련된 나사산에 체결되도록 내경에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암나사부가 끝나는 내경에 파이프의 나사산 체결을 제한하는 지지턱이 형성되며, 외측둘레에 다각부 및 수나사부가 형성된 제2나사소켓과; 상기 제2나사소켓의 수나사부 구간에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내경에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다각부 및 다각부의 일측에 단차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소켓과 대응되며, 그 단부는 패킹으로 밀착 기밀된 상태로 제1나사소켓의 맞대응되어 제2나사소켓의 수나사부구간에서 체결 이동되는 가변소켓과; 상기 가변소켓의 다각부가 노출되게 중앙이 관통되고 단차부는 내경에 걸려지며, 제1나사소켓의 수나사부와 체결 고정되는 암나사부가 내경에 형성된 너트부재;를 포함하여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나사소켓의 수나사부에는 가변소켓의 암나사부가 체결된 길이를 가늠하기 위해 적어도 2 내지 3피치(pitch)의 나사구간이 표시된 표시눈금부가 하나 이상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니온 연결구조는 파이프의 연결을 위한 유니온을 개선한 것으로, 파이프와 연결되는 제1나사소켓 및 제2나사소켓과, 제2나사소켓의 둘레부에 수나사부를 형성하고, 이 수나사부에 가변소켓이 체결되되, 제1나사소켓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너트부재의 체결고정으로 파이프의 연결 및 분리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유니온과 유니온사이에 각각의 가변소켓을 제2나사소켓에 형성된 수나사부 체결허용범위 내에서 전후 체결 조정가능하기 때문에 소정의 허용오차 길이의 파이프의 연결을 당기거나 밀어내는 저항없이 수월하게 조정 및 연결할 수 있음으로 유니온을 구성하는 소켓부위의 나사부위에 손상을 가하거나 파이프의 휨 변형을 초래하지 않게 하여 유니온 연결부위의 누수방지에도 더욱 효적이며, 가변소켓이 체결되는 길이를 제2나사소켓에 표시하여 체결된 상태를 외부에서 쉽게 체크가 가능하기 때문에 배관 점검에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유니온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파이프 배관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온이 적용상태를 보여주는 분리사시도,
도 3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온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니온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7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유니온에 배관의 연결길이가 각각 다르게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나사소켓의 수나사부에 체결을 가늠할 수 있는 표시눈금부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엘보형 연결관체나 T자형 연결관체 등으로 분기되게 연결된 파이프 및 파이프상에 유량계, 압력게이지, 밸브 등과 같은 제어유닛이 연결된 파이프를 동일선상에서 유니온으로 연결하여 배관 설비가 이루어지는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10)은, 파이프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나사소켓(12)과, 제2나사소켓(14) 및 제2나사소켓에 체결되는 가변소켓(14)과, 너트부재(18)으로서 파이프와 파이프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나사소켓(12)은 첨부된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P) 일단에 마련된 나사산(P1)에 체결되도록 내경에 암나사부(12a)가 형성되고, 암나사부(12a)가 끝나는 내경에 파이프(P1)의 나사산(P1) 체결을 제한하는 지지턱(12b)이 형성되며, 지지턱(12b)이 형성된 일측에는 암나사부 직경보다 큰 직경의 안내부(12c)가 확장 형성되고, 안내부(12c)로부터 확장된 단턱부(12d)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12a)가 형성된 외측둘레에는 다각부(12e)가 형성되고, 다각부(12e)의 일측에는 수나사부(12f)가 형성된다.
상기 제2나사소켓(14)은 첨부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이프(P)와 연결되는 또 하나의 파이프(P)측에 마련된 나사산(P1)에 체결되도록 내경에 암나사부(14a)가 형성되고, 암나사부(14a)가 끝나는 내경에 파이프(P)의 나사산(P1) 체결을 제한하는 지지턱(14b)이 형성되며, 외측둘레에 다각부(14c) 및 수나사부(14d)가 형성된다.
상기 제2나사소켓(14)에 형성되는 수나사부(14d) 구간은 첨부된 도 1을 참조할 때 연결하고자 하는 파이프의 배관 연결길이(L)를 기준으로 파이프의 양측 모두 5mm 내지 15mm의 허용 길이에 대해 가변소켓(16)이 제2나사소켓(14)에 형성된 수나사부(14d) 구간에서 나사 체결되어 파이프의 연결이 용이한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변소켓(16)은, 첨부된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나사소켓(14)의 수나사부(14d) 구간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6a)가 내경에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다각부(16b) 및 다각부(16b)의 일측에 단차부(16c)가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소켓(12)과 대응되며, 그 단부는 패킹(15)으로 밀착 기밀된 상태로 제1나사소켓(12)의 맞대응되어 제2나사소켓(14)의 수나사부(14d) 구간에서 체결 이동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너트부재(18)는 첨부된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변소켓(16)의 다각부(16c)가 노출되게 중앙이 관통되고 상기 단차부(16c)는 내경에 걸려지며, 제1나사소켓(12)의 수나사부(12f)와 체결 고정되는 암나사부(18a)가 내경에 형성된다.
상기 다각부(12e, 14c, 16b)는 스패너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 체결시키기 용이한 팔각으로 이는 통상적인 볼트머리나 너트와 같이 육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나사소켓(14)의 수나사부(14d)에 체결을 가늠할 수 있는 표시부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로서, 상기 제2나사소켓(14)의 수나사부(14d)에는 가변소켓(16)의 암나사부(16a)가 체결된 길이를 가늠하기 위해 적어도 2 내지 3피치(pitch)의 나사구간이 표시된 표시눈금부(14e)가 하나 이상 도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에 대한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적으로 수평 수직 등 엘보형, T자형 연결관체에 파이프의 연결 및 유량계, 압력게이지, 밸브 등과 같은 제어유닛이 파이프상에 경유되어 유니온(1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배관 설비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니온(10)의 구성은 파이프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나사소켓(12)과, 제2나사소켓(14) 및 제2나사소켓에 체결되는 가변소켓(14)과, 너트부재(18)으로서 파이프(P)와 파이프(P)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유니온(10)과 파이프(P)의 결합은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나사소켓(12)에 대해 제2나사소켓(14) 및 가변소켓(16)이 함께 대응되게 연결되며, 여기서 패킹(15)은 항상 제2나사소켓(14)에 장착된 상태에서 제1나사소켓(12)의 단턱부(12d)의 끝단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는 형태로 연결이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할 때 각각 유니온(10) 사이에서의 배관의 연결길이(L)가 정확히 일치하는 상태이고, 이와 같은 상태일 때에는 첨부된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은 형태로 상기 제1나사소켓(12)의 단턱부(12d)와 밀착된 가변소켓(16)의 암나사부(16a)의 시작되는 선단에 제2나사소켓(14)의 끝단이 일치된 상태에서 연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배관의 연결길이(L)가 짧은 상태에서 유니온(10)의 결합상태는먼저 너트부재(18)를 제1나사소켓(12)의 수나사부(12f)에서 완전히 풀어 제2나사소켓(14)과 연결된 파이프(P)의 측으로 후퇴시켜준다.
첨부된 도 7의 (b)는 제2나사소켓(14)의 수나사부(14d)로부터 가변소켓(16)의 암나사부(16a)를 풀림방향으로 전진시켜 상대적으로 대응된 제1나사소켓(12)과 밀착된 상태를 만들어 주고, 상기 너트부재(18)를 제1나사소켓(12)의 수나사부(12f)에 나사체결하여 줌으로써, 배관의 연결길이(L)가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소켓(16)이 허용할 수 있는 5mm 내지 15mm의 허용 길이를 감안하여 파이프들을 안정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변소켓의 나사체결방향에 따라 그 위치를 달리하여 제1나사소켓과 연결된 배관의 연결길이(L)를 맞추어 줄 수 있어 기존과 같이 무리한 강압적 나사체결에 의해 유니온 구성요소들의 나사부위가 뭉게지는 손상, 주변 파이프를 무리하게 당기는 휨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7의 (c)는 반대로 상기 배관의 연결길이(L)가 유니온(10) 사이보다 길게 조립된 상태로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가변소켓(16)을 체결방향으로 제2나사소켓(14)의 수나사부(12f)에서 더 체결하여 주면, 배관의 연결길이(L)를 정확히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나사소켓(14)의 끝단은 제1나사소켓(12)의 안내부이 허용되는 깊이측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변소켓(16)과 제1나사소켓(12)은 밀착된 상태이고, 패킹(15)은 기밀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로 최종 너트부재(18)의 체결로서 연결된다.
따라서 도 7의 (c) 또한 나사부위가 뭉게지는 손상, 주변 파이프를 무리하게 당기는 휨 변형없이 파이프 배관을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설비시 또는 배관의 일부 교체시에도 작업성이 뛰어나다.
한편, 첨부된 도 8은 제2나사소켓(14)의 수나사부(14d) 부분에 있어, 다각부(16b)의 일측에서부터 하나 이상 도장된 표시눈금부(14e)는 작업자가 가변소켓(16)을 체결하는 정도, 체결된 길이정도를 가늠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 연결부분인 유니온의 체결상태 점검작업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유니온 연결구조는 기존과 달리 가변소켓(16)을 위치가 변한 만큼 배관의 전체 연결길이(L)를 허용하는 오차만큼 유니온(10) 및 파이프(P)에 무리를 가하지 않고 체결 및 해체할 수 있기 때문에 배관설비 보수작업에도 유리한 이점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유니온 12: 제1나사소켓
12a, 14a, 16a, 18a: 암나사부 12b, 14b: 지지턱
12c: 안내부 12d: 단턱부
12e, 14c, 16b: 다각부 12f, 14d: 수나사부
14e: 표시눈금부 14: 제2나사소켓
15: 패킹 16: 가변소켓
16c: 단차부 18: 너트부재
P: 파이프 P1: 나사산

Claims (2)

  1. 엘보형 연결관체나 T자형 연결관체 등으로 분기되게 연결된 파이프 및 파이프상에 유량계, 압력게이지, 밸브 등과 같은 제어유닛이 연결된 파이프를 동일선상에서 유니온으로 연결하여 배관 설비가 이루어지는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유니온(10)은,
    파이프(P) 일단에 마련된 나사산(P1)에 체결되도록 내경에 암나사부(12a)가 형성되고, 암나사부(12a)가 끝나는 내경에 파이프(P1)의 나사산(P1) 체결을 제한하는 지지턱(12b)이 형성되며, 지지턱(12b)이 형성된 일측에는 암나사부 직경보다 큰 직경의 안내부(12c)가 확장 형성되고, 안내부(12c)로부터 확장된 단턱부(12d)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암나사부(12a)가 형성된 외측둘레에는 다각부(12e)가 형성되고, 다각부(12e)의 일측에는 수나사부(12f)가 형성된 제1나사소켓(12)과;
    상기 파이프(P)와 연결되는 또 하나의 파이프(P)측에 마련된 나사산(P1)에 체결되도록 내경에 암나사부(14a)가 형성되고, 암나사부(14a)가 끝나는 내경에 파이프(P)의 나사산(P1) 체결을 제한하는 지지턱(14b)이 형성되며, 외측둘레에 다각부(14c) 및 수나사부(14d)가 형성된 제2나사소켓(14)과;
    상기 제2나사소켓(14)의 수나사부(14d) 구간에 체결되는 암나사부(16a)가 내경에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다각부(16b) 및 다각부(16b)의 일측에 단차부(16c)가 형성되며, 상기 제1나사소켓(12)과 대응되며, 그 단부는 패킹(15)으로 밀착 기밀된 상태로 제1나사소켓(12)의 맞대응되어 제2나사소켓(14)의 수나사부(14d) 구간에서 체결 이동되는 가변소켓(16)과;
    상기 가변소켓(16)의 다각부(16c)가 노출되게 중앙이 관통되고 상기 단차부(16c)는 내경에 걸려지며, 제1나사소켓(12)의 수나사부(12f)와 체결 고정되는 암나사부(18a)가 내경에 형성된 너트부재(18);를 포함하여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나사소켓(14)의 수나사부(14d)에는 가변소켓(16)의 암나사부(16a)가 체결된 길이를 가늠하기 위해 적어도 2 내지 3피치(pitch)의 나사구간이 표시된 표시눈금부(14e)가 하나 이상 도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
KR1020210060700A 2021-05-10 2021-05-10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 Ceased KR20210063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00A KR20210063283A (ko) 2021-05-10 2021-05-10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700A KR20210063283A (ko) 2021-05-10 2021-05-10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283A true KR20210063283A (ko) 2021-06-01

Family

ID=7637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700A Ceased KR20210063283A (ko) 2021-05-10 2021-05-10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32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2365B1 (ko) * 2023-07-31 2024-10-02 주식회사 우진 내진 기능이 향상된 상하수도관의 누수방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12365B1 (ko) * 2023-07-31 2024-10-02 주식회사 우진 내진 기능이 향상된 상하수도관의 누수방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4521B2 (en) Faucet with integrated push-to-connect fitting
US20190128454A1 (en) Adjustable frac flow line
BRPI0813131B1 (pt) conector de tubo energizável de alta pressão para um poço, e método para produzir uma conexão de alta pressão para um poço usando um conector
JP5915918B2 (ja) 高圧パイプ用継手および継手構造
DE69629388T2 (de) Verfahren zur installierung eines druckdifferenzumsetzers
JP2021139491A (ja) 配管用接続具及びこれを含む配管用接続装置
KR20210063283A (ko) 파이프 배관용 유니온 연결구조
JP6779447B2 (ja) 給水取出し施工における配管テスト用治具
KR100588329B1 (ko) 감압밸브와 수도미터기를 일체형으로 연결하는 이음관체
US9915376B2 (en) Tap with integral ball valve
US8186720B2 (en) Connection module and connector
JP2008019980A (ja) ホース接続管継手
US20210080037A1 (en) Telescoping meter flange
US9625068B2 (en) System and method of a flange seal ring
EP2275609B1 (en) Joint apparatus for connecting a faucet and a water pipe
JP5722645B2 (ja) 継手構造
US12049976B2 (en) Irrigation-system-coupl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KR102773290B1 (ko) 토크 체결형 튜브 피팅장치
US11549621B2 (en) Fluid connector
CN216383083U (zh) 一种应用于管道设备上热电偶泄漏的堵漏装置
KR200324262Y1 (ko) 관 이음 장치
KR200310138Y1 (ko) 배관용연결구
GB2569277A (en) Pipe joint seal fitting
RU2191354C2 (ru) Установочный набор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датчика перепада давления к фланцам диафрагмы (варианты)
JP2020016119A (ja) 水道の給水施工における配管テスト用治具及びそのテスト用冶具に用いる接続アダプ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5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0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11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20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10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2209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